KR20100073354A -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생산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생산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3354A
KR20100073354A KR1020080132002A KR20080132002A KR20100073354A KR 20100073354 A KR20100073354 A KR 20100073354A KR 1020080132002 A KR1020080132002 A KR 1020080132002A KR 20080132002 A KR20080132002 A KR 20080132002A KR 20100073354 A KR20100073354 A KR 20100073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ulation
dynamics
module
shipbuilding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2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1161B1 (ko
Inventor
이찬영
서흥원
이원준
박광필
이성준
유성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2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161B1/ko
Publication of KR20100073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5Vehicle, aircraft or watercraft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 G06F9/4482Procedur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생산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새로운 생산공법을 시뮬레이션 할 때 기존의 정역학이 아닌 동역학을 기반으로 계산을 수행하고, 동역학 계산은 조선분야의 특성으로 인해 와이어 장력, 이퀄라이저, 유체동역학 계산 등의 기능을 제공해야 하며, 또한 시뮬레이션을 위해서는 현실상황을 묘사해야 하는데 회사의 생산 환경과 장비, 블록 등을 최대한 빠르고 쉽게 구성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야 하는바, 이러한 기능을 바탕으로 생산공법의 절차대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생산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 응용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생산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는,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시뮬레이션 지원 요소; 상기 시뮬레이션 지원요소의 구성요소들 간의 연결을 담당하는 시뮬레이션 미들웨어; 시간이나 사건을 통해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 시뮬레이션 커널; 시뮬레이터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 및 시뮬레이션 수행결과 보고 도구로서 시뮬레이션 분석 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80132002
유체동역학, 생산 공법,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 시뮬레이션 커널

Description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생산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A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ion Method of Shipbuilding and Marine Based on Dynamics}
본 발명은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생산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역학 기반의 시뮬레이션 체계를 구축하고, 이 체계를 이용하여 새로운 생산 공법을 검증하여 현업에 적용할 수 있게 하고,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동역학 기반의 시뮬레이터로 조선 특성에 맞게 유체동역학 계산 기능이 포함되어 있고, 설계 데이터를 바로 시뮬레이션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생산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조건 경기의 호황으로 선박의 수주 물량이 아주 많이 늘어남으로써 기존의 생산공법과 프로세스는 이와 같은 많은 물량을 처리하기가 힘들게 되었다.
그러나 새로운 생산공법은 새로 적용하는 공법이므로 아주 높은 위험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현장에 바로 적용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새로운 공법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미리 시뮬레이션을 해보고 위험성을 판단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따라 동역학 기반의 시뮬레이션 체계를 구축하고 이 체계를 적용하여 새로운 생산공법을 검증하여 현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전의 업무 체계에서는 특정 상황에 대한 분석이 주가 되어 새로운 공법이 고려되었을 때에는 해당 공법의 가장 위험한 경우를 가정하여 해당 경우에 대한 정적 계산만을 수행하였다. 가장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서 계산상의 문제가 없다면 여기에 일정 마진을 적용하여 현업에 적용하였다. 즉 기존에는 생산공법 아이디어를 제안하면, 위험 케이스를 선정하고, 유체역학 결과에 따라 정역학 계산을 수행하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얻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분석하고, 현업에 적용하는 단계를 거쳤다.
또한 새로운 생산 공법 검증 시에는 사람의 판단에 의한 해석이 주를 이루었다. 사람의 판단에 의해 가장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상황에 대한 도면 작성 후 해당 상황에서의 각종 물리학적 특성을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판단하였다. 이때 문제 상황에 따라서 여러 상용분석 툴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상황의 특수성을 모두 반영하여 계산할 수 있는 기능은 아직 부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하에서 안출된 것으로 새로운 생산공법을 시뮬레이션 할 때 기존의 정역학이 아닌 동역학을 기반으로 계산을 수행한다. 동역학 계산은 조선분야의 특성으로 인해 와이어 장력, 이퀄라이저, 유체동역학 계산 등의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위해서는 현실상황을 묘사해야 하는데 회사의 생산 환경과 장비, 블록 등을 최대한 빠르고 쉽게 구성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을 바탕으로 생산공법의 절차대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생산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 응용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생산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는,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시뮬레이션 지원 요소; 상기 시뮬레이션 지원요소의 구성요소들 간의 연결을 담당하는 시뮬레이션 미들웨어; 시간이나 사건을 통해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 시뮬레이션 커널; 시뮬레이터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 및 시뮬레이션 수행결과 보고 도구로서 시뮬레이션 분석 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생산 공법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단계;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단계; 설계 데이터와 연동하여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성하는 단계; 동역학 계산, 충돌 검사, 유체역학 계산을 통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시뮬레이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시뮬레이션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 및 현업 적용 및 피드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동역학 분석을 통해 위험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예전의 정적 분석에서는 알 수 없었던 여러 문제점들을 실시간으로 눈으로 보면서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조선 분야에 중요한 부력, 파도, 스웰(swell), 조류 등의 유체정역학/동역학 특성을 반영하여 해상 크레인 작업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조선 설계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시뮬레이션 모델을 따로 만들어야 하는 노력이 필요 없이 신속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면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생산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1000), 응용 시스템(400) 및 시뮬레이션 데이터(300)로 구성된다. 시뮬레이션 데이터(300)는 트라이본 3D 설계 모델을 시뮬레이션에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를 추출하고, 변환한다.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1000)는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시뮬레이션 지원 요 소(100), 시뮬레이션 지원요소(100)의 구성요소들 간의 연결을 담당하는 시뮬레이션 미들웨어(200), 시간이나 사건을 통해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 시뮬레이션 커널(500),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시뮬레이터를 개발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여러 지원도구로서, 시뮬레이터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600) 및 시뮬레이션 수행결과 보고 도구로서 시뮬레이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거나 데이터 테이블로 볼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뮬레이션 분석 도구(700)를 포함한다.
응용 시스템(400)은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만든 시뮬레이터로써 블록 탑재/턴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410)을 포함하고, 블록 탑재/턴오버에는 작업 가능성 확인, 간섭 검사, 와이어 로프 장력 계산, 자세 계산 등이 있다. 또한 응용 시스템(400)은 블록 탑재/턴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410), 생산 스케줄 시뮬레이터(도시 않음), 비상 대피 시뮬레이터(도시 않음) 등 응용분야에 따라서 프레임워크(1000)의 일부 기능만을 사용하거나 전체 기능을 사용하거나 해서 시뮬레이터를 개발할 수 있고, 현재의 블록 탑재/턴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410)은 프로토 타입이 개발되어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데이터(300)는 트라이본 데이터를 추출하는 트라이본 데이터 추출 모듈(310), 시뮬레이션 데이터 구조(320), 모델 트리를 탐색하는 모델 트리 탐색기(330), 메쉬를 생성하는 메쉬 생성기(340), 3D로 가시화하여 보여주는 3D 가시화 모듈(350)을 포함한다. 시뮬레이션 데이터(300)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물체(각종 장비 및 블록)의 형상 및 속성 정보가 필요하 고, 이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용 형상을 만들어야 하는데 이때 시뮬레이션용 형상을 설계 시스템(도시 않은)에 저장되어 있는 설계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시뮬레이션 데이터(300)는 설계 시스템으로부터 형상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구, 원통, 사각형 등)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각 요소 별로 삼각형 메쉬를 만들어서 이 정보를 시뮬레이션 시스템(도시 않음)에 전달한다.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전달받은 삼각형 메쉬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용 형상을 생성한다.
시뮬레이션 지원 요소(100)는 물체간의 상호작용에 따른 위치, 속도를 계산하는 동역학 모듈(110), 삼각형 메쉬로 물체의 형상을 만들고 이 물체간의 충돌을 계산하는 충돌 검사 모듈(120), 시뮬레이션 환경에 구성된 것들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가시화 해주는 그래픽스 모듈(130), 물체간의 연결을 시뮬레이션하여 장력을 계산하는 와이어 로프 모듈(140), 해상의 물체가 받는 부력(정역학) 및 파도에 의한 힘(동역학)을 계산하는 모듈(150), 부가적으로 물체의 관성 및 무게 중심을 계산하는 기타 계산 모듈(160)을 포함한다.
상기 동역학 모듈(110), 충돌 검사 모듈(120) 및 그래픽스 모듈(130)에는, 와이어 모델링, 블록 로더 이퀄라이저(블록 로더에 작용하는 힘을 동일하게 분재시켜 주는 장치), 비선형 유체 정역학적 상태에서의 선형화된 쉽 모션을 계산하는 정적/동적 부유체 모델링, 임의 메쉬 형상에 대한 질량 관성 모멘트를 계산하는 질량관성 모멘트의 계산, 강체 운동 미분방정식의 수치적 해법 및 충돌 검사를 수행하는 공개용 동역학 모듈, 및 계층적 장면 그래프 구조,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을 포함하는 공개용 계층적 그래픽스 모듈이 포함된다.
시뮬레이션 미들웨어(200)는 시뮬레이션 지원요소들 간의 연결을 담당하는데, 동역학 모듈(110)에서 계산된 위치 등을 받아서 그래픽스 모듈(130)에 전달하여 현재 물체의 위치를 가시화 해서 보여줄 수 있으며, 동역학 모듈(110)에서 계산된 위치 정보를 충돌검사 모듈(120)에 전달하여 충돌 여부를 확인하고, 이 정보가 다시 동역학 모듈(110)에 전달되어 충돌에 따른 움직임의 변화를 반영하며, 기타 유체정역학/동역학 모듈(150)에서 계산된 부력 등을 동역학 모듈(110)에 전달하여 물체가 물위에 떠 있을 수 있게 만드는 작업 등을 수행한다. 이 시뮬레이션 미들웨어(200)는 동역학 모듈(110)과 소통하는 동역학 어댑터(210), 충돌검사 모듈(120)과 소통하는 충돌 검사 어댑터(220), 그래픽스 모듈(130)과 소통하는 그래픽스 어댑터(230), 와이어 로프 동역학 모듈(140)과 소통하는 와이어 로프 어댑터(240), 유체정역학/유체동역학 모듈(150)과 소통하는 유체정역학/유체동역학 어댑터(250), 기타계산 모듈(160)과 소통하는 기타 계산 어댑터(260), 시뮬레이션 데이터 구조(320)와 소통하는 시뮬레이션 데이터 어댑터(27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뮬레이션 미들웨어(200)는 상기 시뮬레이션 데이터 구조(320)와 소통하는 시뮬레이션 데이터 어댑터(270)를 포함한다.
상기 시뮬레이션 커널(500)은 이산 사건 및 이산 시간 기반의 시뮬레이션 모델 구조(510), 및 이산 사건 및 이산 시간 기반의 시뮬레이션 엔진(520)을 구비하고, 시뮬레이션에서 특정 상황에 따른 다른 작업 수행 방법을 정의할 수 있으며, 동역학 기반의 시뮬레이션에서는 전체 시나리오의 처리를 담당한다.
개발 도구(600)는 개발 절차(610), 시나리오 처리기(620) 및 모델 생성 기(630)를 포함한다.
모델 생성기(630)는 그래픽스 인터페이스(631), 스크립트 언어(632), 시뮬레이션 템플릿(633),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634)를 포함한다.
또한, 분석 도구(700)는 그래프 뷰어(711) 및 테이블 뷰어(712)를 포함한다.
도 2는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공법 시뮬레이션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 방법은 먼저, 생산 공법 아이디어를 제안하고(S10),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작성하고(S30), 설계 데이터와 연동하여(S20)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성하고(S40), 동역학 계산, 충돌 검사, 유체역학 계산을 통해(S50, S60, S70)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S90), 시뮬레이션 결과를 출력한다(S100). 이어서 시뮬레이션 결과를 분석하고(S110), 현업 적용 및 피드백이 수행된다(S120). 상기 유체역학의 계산에는 유체 특성이 수집된다(S80).
상기 새로운 공법의 예로는 골리앗 크레인 설치 시 도크가 아닌 다른 위치에서 조립한 후 해상 크레인 2기로 통째로 들어서 도크에 설치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단계 S40의 시뮬레이션 환경 구성에는 새로운 생산공법이 시행될 장소, 장비 및 기후 조건 등의 상황을 최대한 유사하게 구성한다. 상기 설계 데이터 연동(S20)에는 사내 설계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설계 정보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물체를 바로 만들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의 작성(S30)에서는 작업의 전체 공정에 따라서 시나리오를 정의한다. 그 예로 매립지에서 골리앗 크레인 정체를 제작하고, 3,600 해상 크레인을 사용하여 리프팅하고, 바다 쪽으로 예인하고, 해상 크레인을 회전시켜 제2 도크로 예인하고, 골리앗 크레인을 내려놓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S90)에는 구성된 시나리오와 환경에 따라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시나리오에 따라서 특정 동작을 실행시키고 이에 따른 동역학, 충돌 검사 결과 등을 보여 주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 동역학 계산(S50)에서는 시뮬레이션 환경상에 구성된 물체들간의 상호작용을 단위시간 별로 계산하여 다음 단계의 물체의 위치와 속도 등이 알려진다. 상기 충돌검사(S60)에서는 삼각형의 메쉬로 만들어진 형상을 이용하여 물체들간의 충돌을 계산하여 정확한 충돌 위치와 충돌 깊이, 방향 등이 알려진다. 상기 유체역학 계산(S70)에서는 해상 크레인과 같이 바다 위에 떠 있는 물체의 부력, 파도 등에 의한 움직임이 계산되어 알려진다. 또한 상기 단계 S80의 유체특성 수집에는 해상 물체의 형상 및 속성에 따른 거동 특성을 유체 R&D팀으로부터 획득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공법 시뮬레이션 방법이 수행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로 하여 일 실시예를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범위의 사상 및 영향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실시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생산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공법 시뮬레이션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시뮬레이션 지원 요소 200; 시뮬레이션 미들웨어
300; 시뮬레이션 데이터 400; 응용 시스템
500; 시뮬레이션 커널 600; 개발 도구
700; 분석 도구 1000;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

Claims (11)

  1.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 응용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생산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는,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시뮬레이션 지원 요소;
    상기 시뮬레이션 지원요소의 구성요소들 간의 연결을 담당하는 시뮬레이션 미들웨어;
    시간이나 사건을 통해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 시뮬레이션 커널;
    시뮬레이터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 및
    시뮬레이션 수행결과 보고 도구로서 시뮬레이션 분석 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생산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시스템은,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개발된 블록 탑재/턴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시뮬레이션 데이터는,
    트라이본 데이터를 추출하는 트라이본 데이터 추출 모듈;
    시뮬레이션 데이터 구조;
    모델 트리를 탐색하는 모델 트리 탐색기;
    메쉬를 생성하는 메쉬 생성기; 및
    3D로 가시화하여 보여주는 3D 가시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생산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지원 요소는,
    물체간의 상호작용에 따른 위치, 속도를 계산하는 동역학 모듈;
    삼각형 메쉬로 물체의 형상을 만들고 이 물체간의 충돌을 계산하는 충돌 검사 모듈;
    시뮬레이션 환경에 구성된 것들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가시화 해주는 그래픽스 모듈;
    물체간의 연결을 시뮬레이션하여 장력을 계산하는 와이어 로프 모듈;
    해상의 물체가 받는 부력(정역학) 및 파도에 의한 힘(동역학)을 계산하는 모듈;
    부가적으로 물체의 관성 및 무게 중심 계산을 계산하는 기타 계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생산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미들웨어는,
    상기 동역학 모듈과 소통하는 동역학 어댑터;
    상기 충돌검사 모듈과 소통하는 충돌 검사 어댑터;
    상기 그래픽스 모듈과 소통하는 그래픽스 어댑터;
    상기 와이어 로프 동역학 모듈과 소통하는 와이어 로프 어댑터;
    상기 유체정역학/유체동역학 모듈과 소통하는 유체정역학/유체동역학 어댑터;
    상기 기타계산 모듈과 소통하는 기타 계산 어댑터;및
    상기 시뮬레이션 데이터 구조와 소통하는 시뮬레이션 데이터 어댑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생산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커널은,
    이산 사건 및 이산 시간 기반의 시뮬레이션 모델 구조; 및
    이산 사건 및 이산 시간 기반의 시뮬레이션 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생산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미들웨어는 상기 이산 사건 및 이산 기반 사건 기반 시뮬레이션 엔진과 소통하는 시뮬레이션 엔진 어댑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 뮬레이션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발 도구는 개발 절차, 시나리오 처리기 및 모델 생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생산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 생성기는 그래픽스 인터페이스, 스크립트 언어, 시뮬레이션 템플릿,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도구는 그래프 뷰어 및 테이블 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
  10. 생산 공법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단계;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단계;
    설계 데이터와 연동하여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성하는 단계;
    동역학 계산, 충돌 검사, 유체역학 계산을 통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시뮬레이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시뮬레이션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 및
    현업 적용 및 피드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공법 시뮬레이션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역학 계산 단계는 유체특성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공법 시뮬레이션 방법.
KR1020080132002A 2008-12-23 2008-12-23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생산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1561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002A KR101561161B1 (ko) 2008-12-23 2008-12-23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생산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002A KR101561161B1 (ko) 2008-12-23 2008-12-23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생산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354A true KR20100073354A (ko) 2010-07-01
KR101561161B1 KR101561161B1 (ko) 2015-10-16

Family

ID=42636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2002A KR101561161B1 (ko) 2008-12-23 2008-12-23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생산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1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35877A (zh) * 2012-12-05 2013-02-20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基于案例的船体分段吊装工艺流程的快速确定方法
KR20150030809A (ko) * 2013-09-12 2015-03-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모델 간섭 검사 방법
CN115455739A (zh) * 2022-09-27 2022-12-09 中交第三航务工程局有限公司 交互式风机安装的模拟方法及模拟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953B1 (ko) 2020-03-26 2020-08-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선박 인양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285B1 (ko) * 2007-05-21 2007-12-18 주식회사 테크서버 플랜트엔지니어링 및 조선분야의 시공 또는 설치를 위한3차원 모델 데이터의 2차원 도면 자동 작성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35877A (zh) * 2012-12-05 2013-02-20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基于案例的船体分段吊装工艺流程的快速确定方法
KR20150030809A (ko) * 2013-09-12 2015-03-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모델 간섭 검사 방법
CN115455739A (zh) * 2022-09-27 2022-12-09 中交第三航务工程局有限公司 交互式风机安装的模拟方法及模拟系统
CN115455739B (zh) * 2022-09-27 2023-11-10 中交第三航务工程局有限公司 交互式风机安装的模拟方法及模拟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161B1 (ko) 201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 et al. Integrated simulation framework for the process planning of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Lee et al. Review of the multibody dynamics in the applications of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Ham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imulation-based safety evaluation program for a mega floating crane
Zhang et al. A mathematical model of virtual simulation for deepwater installation of subsea production facilities
Ha et al. Multibody system dynamics simulator for process simulation of ships and offshore plants in shipyards
KR101561161B1 (ko)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생산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Li et al. A collaborative simulation in shipbuilding and the offshore installation based on the integration of the dynamic analysis, virtual reality, and control devices
Ham et al. Integrated method of analysis, visualization, and hardware for ship motion simulation
Cha et al. Development of a simulation framework and applications to new production processes in shipyards
Tofte et al. How digital technology and standardisation can improve offshore operations
EP2755173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program and apparatus for coupling flooding simulation and evacuation simulation in a populated area
Wang et al. A visual simulation of ocean floating wind power system
Chu et al. Virtual prototyping system for maritime crane design and operation based on functional mock-up interface
Fonseca et al. Virtual prototyping and simulation of multibody marine operations using web-based technologies
Agis et al. The potential of virtual reality (VR) tools and its application in conceptual ship design
Steinke et al. Real-time finite element analysis of a remotely operated pipeline repair system
Martinez et al. Variable buoyancy anchor deployment analysis for floating wind applications using a Marine Simulator
Yu et al. Simulated training system for undersea oil spill emergency response
Yuan et al. Flexible riser replacement operation based on advanced virtual prototyping
Aarseth et al. A Hardware-In-The-Loop Simulator For Offshore Machinery Control System Testing.
Paci et al. 3D-numerical analysis of wave-floating structure interaction with OpenFOAM
CN116244778B (zh) 水电工程仿真云图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Du et al. A Distributed Virtual Reality System Based on Real-Time Dynamic Calculation and Multi-Person Collaborative Operation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Subsea Production Systems
Jeong et al. Study on the FEM analysis of mooring line for floating multibody system
Pajorova et al. Virtual reality of water management in a big tow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