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790B1 - 전기 스위칭 소자 - Google Patents

전기 스위칭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790B1
KR101819790B1 KR1020147015992A KR20147015992A KR101819790B1 KR 101819790 B1 KR101819790 B1 KR 101819790B1 KR 1020147015992 A KR1020147015992 A KR 1020147015992A KR 20147015992 A KR20147015992 A KR 20147015992A KR 101819790 B1 KR101819790 B1 KR 101819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onductive
conductive portion
support insulator
switch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5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8784A (ko
Inventor
아킴 스텔테르
빅토르 비에리히
힐마르 리쯔
Original Assignee
제네럴 일렉트릭 테크놀러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네럴 일렉트릭 테크놀러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제네럴 일렉트릭 테크놀러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98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66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conductor and enclosure
    • H02G5/068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conductor and enclosure being part of the junction between two enclos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2Joints between bus-bars for compensating thermal expan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05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switchgear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45Details of casing, e.g. gas t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스위칭 소자(10), 특히 기체절연된 전기 스위칭 시스템용 전기 스위칭 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스위칭 소자(10)는 제1 도전부(26) 및 경우에 따라 스위칭 소자(10)의 또다른 구성요소가 수납되는 두 개의 챔버(41, 4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두 개의 챔버(41, 42)를 서로 분리하고 상기 제1 도전부(26)가 관통하는 지지 절연체(2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 절연체(20)에 할당되는 링(24)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도전부(26)는 상기 링(24)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링(24)을 관통한다.

Description

전기 스위칭 소자{Electrical Switching Device}
본 발명은 전기 스위치 소자에 관한 것이다.
독일특허 DE 24 09 484 C2 는 압축기체 절연된 전기 스위칭 시스템의 일부를 개시한다. 상기 문헌의 도 4에는 우측 단부가 기체가 통하지 않게 지지 절연체(9)에 의해서 폐쇄상태인 분리 소자(1a)가 도시된다. 전류 도전부(7)가 상기 지지 절연체(9)를 관통하여 홀딩되고, 상기 분리 소자(1a)의 타측 단부 쪽으로 향해 있다. 상기 전류 도전부(7)의 양 단부는 상기 분리 소자(1a)의 양 단부의 영역에 위치한다. 상기 지지 절연체(9)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상기 분리 소자(1a)의 단부에는, 또다른 전류 도전부(8)가 수납되고 파이프 형태인 버스바 부재(busbar part, 2a)가 기체가 통하지 않게 플랜지 장착된다. 상기 전류 도전부(8)의 양 단부는 버스바 부재(2a)의 양 단부의 영역에 위치한다. 상기 버스바 부재(2a)의 반대편 단부에는 다시 지지 절연체(9)가 구비되고, 또다른 전류 도전부(7)가 이를 관통하여 홀딩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분리 소자(1a) 및 버스바 부재(2a)의 구성에 의해서 이 두 구성요소들은 모듈 형태로 서로 나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두 개의 전류 도전부(7, 8)는 각각 연결부(10)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10)는 예를 들어 독일특허 DE 24 09 484 C2의 도 3과 같이, 즉, 소켓에 딥핑되는 플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10)의 형태에 의해서, 온도의 영향을 받는, 상기 전류 도전부(7, 8)의 종방향 팽창이 조정될 수 있다.
공지의 스위칭 시스템의 단점은 하나의 분리 소자(1a)와 버스바 부재(2a)에 항상 두 개의 연결부(10)가 할당된다는 점에 있다. 이러한 두 개의 연결부(10) 내지 이의 전이 저항에는 열 형태의 손실 에너지가 발생하는데, 이것은 전기 스위칭 시스템의 효율 저하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공지의 스위칭 시스템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청구항 1항에 따른 전기 스위칭 소자를 통해서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소자는 제1 도전부 및 경우에 따라 스위칭 소자의 또다른 구성요소가 수납되는 두 개의 챔버를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챔버를 서로 분리하고 상기 제1 도전부가 관통하는 지지 절연체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 절연체에 할당되는 링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도전부는 상기 링에서 이동가능하게 상기 링을 관통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상기 제1 도전부가 상기 링에 대하여 그리고 그에 따라 상기 지지 절연체에 대해서도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온도의 영향을 받는, 제1 도전부의 종방향 팽창이 지지 절연체에 대하여 조정될 수 있다. 링과 지지 절연체를 통해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여기서는 열이나 손실 에너지가 발생할 수 없다. 이 점에 있어서 상기 링은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고, 특히 비용이 드는 전기적 연결 수단 없이 형성될 수 있다.
필요가 있다면, 본 발명에서는 온도의 영향을 받는 제1 도전부의 종방향 팽창이 이에 연결된 제2 도전부에 대하여 조정되기만 하면 된다. 이를 위해서는 전기적 연결 수단이 필요할 수 있지만 종래기술의 이중적인 구현과는 달리 단지 단일 개만 필요하다. 이에 따라 전체 구조가 단순해지고 비용도 절감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 수단은 제2 도전부가 제1 도전부에 대하여 대략 동축적이고 이웃하여 배치되고 상기 두 도전부 중 하나가 다른 도전부를 향한 쪽의 개방 상태의 단부에, 상기 다른 도전부의 개방 상태의 단부가 삽입되는 소켓을 포함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른 도전부가 먼저 언급한 도전부와 연결된 소켓 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한 종방향 팽창의 조정이 간단하게 달성될 수 있다.
특히, 지지 절연체가 두 개의 챔버를 기체가 통하지 않는 상태로 서로 분리시키고, 링이 기체가 통하지 않는 상태로 상기 지지 절연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도전부와 상기 링 사이에 씰링 링(sealing ring)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압축기체 절연된 스위칭 소자가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도전부와 상기 링 사이에는 가이드링이 구비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제1 도전부와 상기 링 사이에는 컨택 부재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링의 슬라이딩 및 가이드 특성 및/또는 전기적 특성이 상기 제1 도전부에 대하여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 적용 방법 및 장점들은 도면에 도시되고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나타나 있다. 이때 설명되거나 도시된 모든 특징들은, 자체적으로 또는 임의의 결합으로서, 특허청구항에서의 구성이나 인용관계로부터 독립적으로, 그리고 그 표현 내지 상세한 설명 내지 도면에서의 기술과 독립적으로, 발명을 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위칭 소자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Z)의 확대도이다.
도 1에는 고전압 스위칭 시스템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전기 스위칭 소자(10)의 일 단(phase)이 도시된다. 상기 스위칭 소자(10)는 이른바 밀봉 상태이고 압축기체 절연된 스위칭 소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위칭 소자(10)는 각각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한 쪽이 폐쇄 상태인 제1 및 제2 금속성 하우징부(11, 12)를 포함한다. 이들의 개방된 쪽에는 상기 두 하우징부(11, 12)가 플랜지(flange, 13)에 의해서 기체가 통하지 않게 서로 연결되는데, 예를 들면 나사결합된다. 상기 두 개의 하우징부(11, 12)의 내부 공간은 SF6 또는 N2와 같은 절연기체 또는 기타 기체 또는 혼합 기체로 채워진다. 경우에 따라 상기 두 하우징부(11, 12)의 내부공간은 진공상태로서 그 공간에 진공이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두 하우징부(11, 12)는 폐쇄된 쪽의 영역에서 테두리면에 개구부(15)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 상에 파이프 형태의 절연부(16)가 기체가 통하지 않게 각각 배치된다. 상기 두 절연부(16)에 의해서 제1 및 제2 전기 도전체(17, 18)가 기체가 통하지 않게 외부로부터 하우징부(11, 12)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다. 상기 전기 도전체(17, 18)는 전기 전도성이 있는 물질, 특히 금속으로 형성된다.
상기 두 하우징부(11, 12)의 내부 공간에서는 상기 두 도전체(17, 18)가 상기 두 개의 파이프 형태의 하우징부(11, 12) 내부에서 실질적으로 동축적으로 정렬되도록 구부러진다.
대략적으로 플랜지(13)의 영역에 실질적으로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절연체(2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 절연체(20)는 전기 절연성 물질로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20) 및 내측 테두리(2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절연체(20)는 예를 들어 캐스팅 수지(casting resin), 특히 Al2O3 혼합물을 포함하는 캐스팅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절연체(20)는 바닥이 뚤린 냄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절연체(20)는 실질적으로 제1 하우징(11) 내부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1 하우징(11)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지지 절연체(20)는 상기 외측 테두리(21)에 의하여 기체가 통하지 않게 상기 두 하우징부(11, 12)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고정된다. 지지 절연체(20)의 외측 테두리(21)는 예를 들어 상기 두 하우징부(11, 12)의 플랜지들(13) 사이에 클램핑된다.
지지 절연체(20)에는 링(24)이 할당된다. 상기 링(24)은 지지 절연체(20)의 내부 테두리(22)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에 수용된다. 상기 링(24)은 지지 절연체(20)에 의해 홀딩된다. 상기 링(24)은 전기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링(24)은 대략 타원 형태의 단면적을 가지고 지지 절연체(20)의 내측 테두리(22)에 기체가 통하지 않게 인접 배치된다. 상기 링(24)에 의해서 두 하우징부(11, 12)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축적인 관통개구(25)가 형성된다.
상기 링(24)은 두 하우징부(11, 12) 이내에서 전기장을 끼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이를 위하여 상기 링(24)의 단면적은 본 실시예와는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링(24)의 관통개구(25)에는 제1 도전부(26)가 수용된다. 상기 제1 도전부(26)는 전기 전도성 물질, 예를 들어 금속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도전부(2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 또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축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동축적으로 상기 두 개의 하우징부(11, 12)의 내부에 정렬된다. 상기 제1 도전부(26)는 계속해서 상기 제1 하우징부(11)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하우징부(12) 내부에는 단지 약간 삽입된다.
상기 제1 도전부(26)는 상기 링(24)에서 축방향으로 적어도 약간 왕복 이동한다. 이를 위해 상기 링(24)과 상기 제1 도전부(26) 사이에는 적어도 매우 작은 고리모양의 간격이 존재한다.
상기 관통개구(25) 쪽을 향한 상기 링(24)의 내측면에는 씰링 링(28)이 상기 링(24)의 너트에 끼워진다. 상기 씰링 링(28)은 엘라스토머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24)과 제1 도전부(26) 사이의 고리 형태의 상기 간격은 상기 씰링 링(28)에 의해서 폐쇄된다. 상기 씰링 링(28)에 의해서 상기 링(24)과 상기 제1 도전부(26) 사이의 기체가 통하지 않는 상태의 연결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링(24)의 내측면에는 가이드링(29)이 너트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링(29)은 예를 들어 금속 또는 폴리머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링(29)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링(24)과 상기 제1 도전부(26) 사이의 슬라이딩 조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링(29)은 링(24) 이내에서 상기 제1 도전부(26)의 중심을 맞추거나 그리고/또는 상기 링(24)과 상기 제1 도전부(26) 사이의 밀폐 상태를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링(24)은 슬라이딩 특성이 우수한 물질, 예를 들어 PTFE (polytetraflurethylene)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링(24)의 물질은 상기 제1 도전부(26)의 슬라이딩 및 가이드 행태에 영향을 준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링(29)은 상황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지지 절연체(20)와 상기 링(24)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동의 지지-요소는 절연성 물질, 예를 들어 캐스팅 수지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씰링 링(28) 및/또는 가이드링(29)은 상기 공동의 지지-요소의 캐스팅 수지에 넣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링(24)이 도전성 물질, 예를 들어 금속으로 제조되는 경우, 상기 링의 내측면에는 또한 컨택 부재(31)가 너트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컨택 부재(31)는 고리 형태 또는 박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택 부재(31)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링(24)과 상기 제1 도전부(26) 사이의 전기적 연결부를 제조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두 구성요소들 사이의 전위 차이들이, 실질적인 전류가 상기 컨택 부재(31)를 통해서 흐르는 일 없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한 제1 하우징부(11) 내에는 제1 파워 스위치(33)가 수납된다. 상기 제1 파워 스위치(33)의 일측 핀은 제1 도전체(17)에, 타측 핀은 상기 제1 도전부(26)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한 제2 하우징부(12) 내에는 제2 파워 스위치(34)가 수납된다. 상기 제2 파워 스위치(34)의 일측 핀은 제2 도전체(18)에, 타측 핀은 상기 제2 도전부(36)에 연결된다.
상기 제1 파워 스위치(33) 및/또는 제2 파워 스위치(34) 대신 예를 들어 분리 스위치 또는 분리/접지 스위치 등과 같은 스위칭 소자(10)의 기타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두 스위치 중 하나 또는 모두가 구비되지 않고, 그 대신 상기 제1 도전체(17) 및 상기 제1 도전부(26) 및/또는 제2 도전체(18) 및 상기 제2 도전부(36)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마지막에 언급한 대안에 의해서는 공간적인 거리가 극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부(36)는 바- 또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두 하우징부(11, 12) 내에 실질적으로 동축적으로 정렬된다. 상기 제2 도전부(36)는 전기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부(12) 내에 위치한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부(26, 36)는 서로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정렬되고 이들의 개방 상태의 단부들은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제2 도전부(36)는 상기 제1 도전부(26)를 향한 쪽의 개방 상태의 단부에 상기 제1 도전부(26)의 개방 상태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소켓(37)을 포함한다. 상기 소켓(37)의 크기는, 상기 제1 도전부(26)가 상기 소켓(37) 내에서 축방향으로 적어도 미미하게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두 도전부(26, 36) 사이에 작은 전이 저항으로 전기적 연결부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전기적 연결 수단(38)이 상기 소켓(37) 내에는 구비된다. 상기 전기적 연결 수단(38)는 예를 들어 스프링 장착된 접촉부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두 도전부(26, 36)의 개방 상태의 단부들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점에서는, 한편으로는 상기 두 도전부(26, 36) 사이에서 적어도 매우 적은 축방향으로의 상대적 이동이 가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두 도전부(26, 36) 사이의 작은 전이 저항으로 전기적 연결 수단이 달성가능하다는 점만이 중요하다.
상기 제1 도전체(17), 상기 제1 파워 스위치(33), 및 상기 제1 도전부(26)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 하우징부(11)로부터 구분되고 기체가 통하지 않게 폐쇄된 제1 챔버(41)에 위치한다. 상기 제2 도전체(18), 상기 제2 파워 스위치(34), 및 상기 제2 도전부(36)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2 하우징부(12)로부터 구분되고 기체가 통하지 않게 폐쇄된 제2 챔버(42)에 위치한다. 상기 두 챔버(41, 42)는 상기 지지 절연체(20)에 의해서 기체가 통하지 않게 서로 분리된다.
폐쇄 상태의 파워 스위치들(33, 34)에서는 전류가 상기 제1 도전체(17)로부터 상기 제2 도전체(18)로, 또는 반대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도전체(17, 18) 및 상기 두 도전부(26, 36)는 절연부(16), 지지 절연체(20) 및 존재하는 절연기체를 이용하여 상기 두 하우징부(11, 12)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상기 두 하우징부(11, 12)는 보통 접지된다.
상기 스위칭 소자(10)의 작동 시 경우에 따라 나타나는, 온도의 영향을 받는 종방향 팽창, 특히 상기 두 도전부(26, 36)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도전체(17, 18) 중 어느 하나의 종방향 팽창은, 한편으로는 상기 제1 도전부(26)가 - 설명한 바와 같이 - 상기 제2 도전부(36)와 연결된 소켓(37) 이내에서 축방향으로 적어도 미미하게 왕복 이동할 수 있음으로 인해서,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제1 도전부(26)가 - 마찬가지로 설명한 바와 같이 - 상기 지지 절연체(20)와 연결된 링(24) 이내에서 적어도 미미하게 왕복 이동할 수 있음으로 인해서 보상된다.
한편으로는 상기 제1 도전부(26)와 상기 제2 도전부(36)의 소켓(37)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제1 도전부(26)와 상기 지지 절연체(20)의 링(24)이 각각 서로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는,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서 제조에 따라 달라지는 공차들도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하우징부들(11, 12) 및 그 안에 수납된 구성요소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지지 절연체(20)와 상기 링(24)은 개별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 절연체(20)는 예를 들어 캐스팅 수지로 주조되고 상기 링(24)은 상기 지지 절연체(20)의 제조 시 함께 몰딩되거나, 또는 상기 지지 절연체(20) 및/또는 상기 링(24)이, 상기 링(24)이 주조가 완료된 지지 절연체(20) 위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장착된 상기 두 하우징부(11, 12)는 상기 지지 절연체(20)를 개재하여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 시 상기 제1 도전부(26)는 상기 제2 도전부(36)의 소켓(37)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3)에 의해서 상기 두 하우징부(11, 12)는 서로 단단하게 그리고 상기 지지 절연체(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개구부들에 의해서 상기 두 하우징부(11, 12)에서 상기 두 챔버(41, 42)은 절연기체로 충진될 수 있다. 물론 절연기체 대신 하우징부들(11, 12)은 진공상태로 되어 그에 따라 상기 두 챔버들(41, 42)에 진공이 제조될 수도 있다.
도입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의 스위칭 소자(10)는 1단으로 형성된다. 물론 적절한 방식으로 다단 소자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소자(10)는 야외에장착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고전압 스위칭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씰링 링(28) 및/또는 복수 개의 가이드링(29) 및/또는 복수 개의 컨택 부재(31)가 구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씰링 링(28) 및/또는 가이드링(29) 및/또는 컨택 부재(31)가 -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 링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 도전부(26)의 외측면 상에, 즉, 링(24)의 영역에 끼워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소켓(37)이 -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 상기 제2 도전부(36)에 장착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 도전부(26)의 개방 상태의 단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도전부(36)의 개방 상태의 단부는 상기 제1 도전부(36)의 소켓(37) 내부에 딥핑된다.
마찬가지로, 도 1 및 2의 전기 스위칭 소자(10)는, 스위칭 소자(10)의 기타 구성요소 및/또는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수납되거나 스위칭 소자(10)의 기타 기능들 및/또는 추가적인 기능들이 구현될 수 있는 하우징부 및/또는 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Claims (13)

  1. 전기 스위칭 소자(10)로서,
    제1 도전부(26) 및 경우에 따라 스위칭 소자(10)의 또다른 구성요소가 수납되는 두 챔버(41, 42); 및
    상기 두 챔버(41, 42)를 서로 분리하고 상기 제1 도전부(26)가 관통하는 지지 절연체(2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절연체(20)에 할당되는 링(24)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도전부(26)는 상기 링(24)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링(24)을 관통하고,
    상기 지지 절연체(20)는 상기 두 챔버(41, 42)를 기체가 통하지 않는 상태로 서로 분리하고, 상기 링(24)은 기체가 통하지 않는 상태로 상기 지지 절연체(20)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도전부(26)와 상기 링(24)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씰링 링(28)이 구비되는, 전기 스위칭 소자(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부(2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 또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바- 또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 제1 도전부(26)에 의해서 주어지는 축의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전기 스위칭 소자(10).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부(26)와 상기 링(24)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링(29)이 구비되는, 전기 스위칭 소자(1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24)은 전기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링(24)은 상기 지지 절연체(20)에 의해서 홀딩되는, 전기 스위칭 소자(1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부(26)와 상기 링(24)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컨택 부재(31)가 구비되는, 전기 스위칭 소자(1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24)과 상기 지지 절연체(20)는 일체로 형성되는, 전기 스위칭 소자(1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절연체(20)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링(24)은 상기 지지 절연체(20)에 의해서 형성되는 개구부에 배치되는, 전기 스위칭 소자(10).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부(26)에 동축적이고 이웃하여 배치되는 제2 도전부(36)가 구비되고, 두 도전부 중 제2 도전부(36)는 제1 도전부(26)를 향한 쪽의 개방 상태의 단부에 소켓(37)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에 상기 제1 도전부(26)가 삽입되는, 전기 스위칭 소자(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부(26)는 상기 제2 도전부(36)에 연결된 소켓(37) 내에서 이동이 가능한, 전기 스위칭 소자(10).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37)은 상기 이동이 축방향으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전기 스위칭 소자(10).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37)에는 전기적 연결 수단(38)이 구비되는, 전기 스위칭 소자(10).
  13.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 스위칭 소자(10)를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칭 시스템.
KR1020147015992A 2011-11-16 2012-10-18 전기 스위칭 소자 KR101819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89359.0A EP2595263B1 (de) 2011-11-16 2011-11-16 Elektrisches Schaltgerät
EP11189359.0 2011-11-16
PCT/EP2012/070605 WO2013072153A1 (de) 2011-11-16 2012-10-18 Elektrisches schaltgerä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784A KR20140098784A (ko) 2014-08-08
KR101819790B1 true KR101819790B1 (ko) 2018-01-17

Family

ID=47074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5992A KR101819790B1 (ko) 2011-11-16 2012-10-18 전기 스위칭 소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595263B1 (ko)
KR (1) KR101819790B1 (ko)
CN (1) CN203135286U (ko)
HU (1) HUE028574T2 (ko)
MX (1) MX2014005819A (ko)
RU (1) RU2603361C2 (ko)
WO (1) WO20130721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93938B1 (de) * 2015-05-12 2021-07-14 Siemens Energy Global GmbH & Co. KG Hochspannungs-durchführungssystem
CN106207908B (zh) * 2016-08-23 2017-12-15 国家电网公司 管母支撑二通金具及其屏蔽环、屏蔽球冠
RU186262U1 (ru) * 2018-07-04 2019-01-15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высоковольт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Электроаппарат" (АО ВО "Электроаппарат") Разъединитель-заземлитель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 газовой изоляцией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58093A (de) 1973-09-28 1975-01-15 Sprecher & Schuh Ag Druckgasisolierte, gekapselte hochspannungs-schaltanlage mit entfernbaren sammelschienen.
JPS583717U (ja) * 1981-06-30 1983-01-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ガス絶縁電気装置
JPS6082930U (ja) * 1983-11-09 1985-06-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二脚ポストスペ−サに依る導体支持装置
FR2714204B1 (fr) * 1993-12-21 1996-01-19 Gec Alsthom T & D Sa Câble monophasé à isolation gazeuse pour le transport d'électricité.
JPH11273766A (ja) * 1998-03-19 1999-10-08 Mitsubishi Electric Corp 接続装置
EP1569254A1 (de) * 2004-02-27 2005-08-31 ABB Technology AG Schaltgerät mit Trenn-und/oder Erdungsfunk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95263A8 (de) 2013-08-14
CN203135286U (zh) 2013-08-14
EP2595263A1 (de) 2013-05-22
HUE028574T2 (en) 2016-12-28
RU2603361C2 (ru) 2016-11-27
EP2595263B1 (de) 2016-03-30
RU2014123774A (ru) 2015-12-27
MX2014005819A (es) 2014-10-24
WO2013072153A1 (de) 2013-05-23
KR20140098784A (ko) 2014-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19818A1 (en) Compressed-gas-insulated switch-disconnector module and bushing configuration
US20110000922A1 (en) Pressurized container arrangement with a compensation bellows
US20030094438A1 (en) Vacuum interrupter with two contact systems
JP2009525569A (ja) ガス絶縁高圧スイッチのためのスイッチングチャンバ
KR20060042156A (ko) 기체 절연 개폐기 어셈블리용 콤팩트 접지 개폐기
KR20070057229A (ko) 종단 이동 콘택 커넥션을 갖는 고체-절연 스위치 극
KR101819790B1 (ko) 전기 스위칭 소자
CN103026564B (zh) 气体绝缘电气设备
US10347447B2 (en) Tank type vacuum circuit breaker
US20050150868A1 (e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with a cooling device
US11710611B2 (en) Circuit breaker
CN104508782A (zh) 带有传热屏蔽件的断路器极部件
EP1152444B1 (en) Switch gear
CN111480212B (zh) 高压功率开关和用于电磁屏蔽绝缘子中的真空开关管的方法
US8859925B2 (en) Electric switchgear
KR101771641B1 (ko) 밀봉형 릴레이
US7767917B2 (en) Switch disconnector and switchgear assembly with a switch disconnector
CA1141410A (en) Three-phase unitary vacuum switch
US20190304719A1 (en) Switching Device With Dual Conductive Housing
EP3093866B1 (en) An electric pole unit for medium voltage gas-insulated circuit breakers
CN111837304B (zh) 气体绝缘开关装置
CN109844893B (zh) 高压开关装置和带有高压开关装置的开关设备以及高压开关装置的制造方法
US20060243703A1 (en) Outdoor bushing comprising an integrated disconnecting switch
CN111466005A (zh) 用于驱动高压功率开关中的真空开关管的可移动触头的装置和方法
US4618752A (en) Gas-insulated interrup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