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782B1 - 스프링 활성 순부를 구비한 유관 변환기 - Google Patents

스프링 활성 순부를 구비한 유관 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782B1
KR101819782B1 KR1020137018053A KR20137018053A KR101819782B1 KR 101819782 B1 KR101819782 B1 KR 101819782B1 KR 1020137018053 A KR1020137018053 A KR 1020137018053A KR 20137018053 A KR20137018053 A KR 20137018053A KR 101819782 B1 KR101819782 B1 KR 101819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spring member
gland
extending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8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3311A (ko
Inventor
토마스 알. 스미스
Original Assignee
파커-한니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커-한니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파커-한니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043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3/0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 E21B33/02Surface sealing or packing
    • E21B33/03Well heads; Setting-up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16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means to prevent the extrusion of the p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F16J15/32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having two or more 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46Sealings with packing ring expanded or pressed into place by fluid pressure, e.g. inflatable pac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200/00Special features related to earth drilling for obtaining oil, gas or water
    • E21B2200/01Seal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bstract

보어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보어 내부로 수용되는 스풀을 포함하는 유관 변환기 조립체 내부에 설치되기 위한 밀봉부. 상기 밀봉부는 상기 보어와 상기 스풀의 사이에 수용되는 환형의 본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스풀의 맞은편에 배치될 수 있는 내경면과 상기 보어의 맞은편에 배치될 수 있는 외경면을 구비한다. 상기 내경면은 유체 압력에 반응하여 활성화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순부를 구비한다. 대체로 환형의 제1 스프링 부재는 상기 본체의 제1 단부면과 인접한 상기 외경면 안쪽에 형성되고, 또한 대체로 환형의 제2 스프링 부재는 제2 단부면과 인접한 상기 본체 외경면 안쪽에 형성된다. 또한, 대체로 환형의 제3 및 제4 스프링 부재는 각각 상기 본체 순부들 중에 대응되는 하나의 안쪽에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프링 활성 순부를 구비한 유관 변환기{FLOWLINE DIVERTOR SEAL WITH SPRING-ENERGIZED LIPS}
본 출원은 2011년 1월 11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431,581호의 우선권을 향유하며, 개시된 내용은 참고 문헌으로 본 명세서에 그대로 병합된다.
본 발명은 넓게는 보어(bore) 및 보어 내부로 수용되는 대체로 환형의 요소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조립체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에 관련되며, 특히 상기 조립체는 유관 변환기에 해당한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890,535호 및 제6,290,231호의 유관 변환기는 굴착의 초기 단계에 쓰이기 위해 리그 플로어(rig floor) 아래의 연안의 드릴링 리그에 설치된다. 기본 구조에서, 유관 변환기는 관형의 서포트 하우징 및 원통형 스풀(spool)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축방향 보어를 구비하고, 리그 플로어의 아래에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은 변환기가 폐쇄된 때, 기체, 액체 또는 다른 유체 유동을 유도하기 위한 측방향 유관 출구를 구비한다. 스풀은 라이저(riser)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기 위한 리그의 회전 테이블을 통해 낮춰지게 된다. 스풀은 측방향 유관 출구와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측방향 유동 개방부를 구비한다.
한 쌍의 밀봉부는 변환기 하우징에 스풀을 밀봉하기 위한 측방향 유관 출구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다. 각각의 밀봉부는 하우징의 보어와 스풀 사이에 형성된 대응 글랜드(gland) 안으로 수용된다. 통로들은, 밀봉부를 활성화시키는 유압 유체 또는 다른 액체 또는 기체 매질과 같은, 유압원을 수용하는 글랜드들 중 대응되는 하나가 유체가 통하는 스풀 안에서 구비된다. 활성화되었기 때문에, 밀봉부는 스풀에 대해 밀봉하는 밀봉부 내경과 하우징의 보어에 대해 밀봉하는 밀봉부 외경을 구비한 하우징과 변환기 스풀 사이에서 유체 유동이 누설 되는 것을 예방한다.
변환기를 위한 몇몇의 밀봉부들은 밀봉부의 내경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환형 순부를 구비하는 환형의 탄성 본체(elastomeric body)의 각각의 단부에 결합된 단부 캡 또는 강성 금속 링을 이용한다. 순부는 유압원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링은 밀봉부가 변환기 보어와 본체 사이로 압출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채용된다.
본 발명은 보어 내부로 수용되는 대체로 원통형 요소 및 보어를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조립체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를 개시한다. 상기 조립체는 유관 변환기일 수 있고, 원통형 요소는 변환기 스풀에 해당한다.
밀봉부는 탄성중합체 고분자 물질로 형성된 환형의 본체를 포함하며, 스풀의 글랜드 내부와 같은 하우징의 보어와 변환기 스풀 사이로 수용 가능하게 된다. 밀봉부 본체는 반지름 방향의 제1 단부면과 제1 단부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반지름 방향의 제2 단부면을 포함한다. 또한, 본체는 제1 및 제2 단부면 중간에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스풀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는 내경면 및 제1 및 제2 단부면 중간에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하우징 보어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는 외경면을 구비한다. 내경면은 각각 반지름 방향으로 스풀을 향해 연장된 제1 및 제2 순부를 구비한다. 순부는 스풀에 밀봉되도록 결합하기 위해 스풀 안의 유체 통로로부터 수용되는 유체 압력에 반응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대체로 환형의 제1 반압출 스프링 부재는 본체 제1 단부면과 인접한 본체 외경면 내부로 형성되고, 대체로 환형의 제2 반압출 스프링 부재는 제2 단부면에 인접한 본체 외경면 내부에 형성된다. 또한, 대체로 환형의 제1 및 제2 활성 스프링 부재 각각은 본체 순부 중에 대응되는 하나의 내부에 형성된다. 각각의 제1 및 제2 반압출부재 및 활성 스프링 부재는 금속 또는 비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에 성형된 제1 및 제2 반압출 스프링 부재의 제공은 스풀과 변환기의 보어 사이의 갭에서 밀봉부의 압출을 방지하는 한편, 제1 및 제2 활성 스프링 부재의 제공은 순부 부재의 활성을 돕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예시된 설계, 제조, 구조, 요소들의 조합 및/또는 부품 및 단계들의 배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관 변환기 밀봉부의 장점은 강성 단부 캡 필요성을 생략하도록 하고, 이는 중량을 감소시키고 및 밀봉부 본체와 단부 캡 사이의 접합이 파손될 가능성을 제거하여 신뢰성을 높일수 있다. 추가적인 장점은 밀봉 순부의 스프링 활성의 결과로 향상된 밀봉 기능을 포함해서, 순부가 변환기 조립체 부품의 오프셋 조건에서도 스풀과의 접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은 장점은 밀봉부가 가압되는 동안 압출 갭을 밀봉하기 위해 이동할 수 있는 밀봉부 외경의 가요성 반압출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점 및 다른 장점들은 여기에 포함된 개시를 기초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성질에 대해 더 깊은 이해를 위해 이하의 첨부된 도면과 상세한 설명이 참조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밀봉부를 포함하는 유관 변환기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밀봉부 중 하나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변환기 조립체에서 하나의 밀봉부의 설치를 도시하는 도 1의 확대 상세도이다.
본 도면은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의 관계에서 더 기술될 것이다.
임의의 용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이하의 설명에서 어떠한 제한의 목적을 가지는 것이 아닌 편의를 위함이다. 예를 들어, 용어 "앞으로" 및 "뒤로", "앞" 및 "뒤", "오른쪽" 및 "왼쪽", "위" 및 "아래", 및 "상부" 및 "하부"는 도면에서 기준이 설정된 곳에 방향을 부기하고, 용어 "내부에", "안으로", "안쪽에" 또는 "내부" 및 "외부로", "밖으로", "바깥쪽으로" 또는 "외부"는 각각 기준 요소의 중심으로부터 안과 밖을 향하는 방향을 참조하며, 용어 "반지름방향의" 또는 "횡방향의" 및 "축방향의" 또는 "수직의"는 기준 요소의 종방향 중앙축에 대해 반경의 또는 횡방향 또는 평행한 경우에, 축방향 또는 수직의 경우에 각각 수직한 평면 또는 방향을 참조하고, 용어 "하류부" 및 "상류부"는 각각 유체 또는 다른 유동의 안쪽 및 맞은편에 대한 방향을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은 단어와 비슷한 의미의 용어는 어떠한 제한의 의미가 아닌 편의의 목적으로 사용되도록 고려되었다. 도면의 임의의 관점에서, 축방향 또는 종방향은 화살표 표시된 "A"로 도시될 수 있으며, 반지름방향은 화살표 표시된 "R"에 의해 도시될 수 있다. 용어 "축방향" 및 "종방향"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영숫자가 부기된 요소는 부기된 숫자부에 의해 집합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맥락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참조될 수 있다. 나아가, 도면에서 다양한 요소의 구성부는 전체로서, 요소가 아닌 요소의 구성부를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는 구분된 참조 숫자가 부기될 수 있다. 공간, 면, 치수 및 범위를 참조하는 일반적인 참조는 화살표가 부기 될 수 있다. 각도는 요소의 축들 또는 표면에 대하여 측정되고 상기 요소들을 포함한 내부로 경계를 이루는 공간을 한정하거나, 이와 달리 요소의 축들 또는 표면에 대해 측정된 상기 부기를 배제하고 상기 요소의 사이의 외부 또는 그에 의한 외부로 경계를 이루는 공간을 한정한 만큼 "포함되어" 부기될 수 있다. 대체로, 기술된 각도의 측정은 통상의 축에 대해 결정되고, 그렇지 않으면 축까지 연장되지 않는 표면 및 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의 정점을 투영하는 것에 있어서 편의성의 목적으로 도면에서 뒤바뀔 수 있다. 용어 "축"은 맥락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선 또는 상기 선을 통해 횡방향 평면을 참조할 수 있다.
도시의 목적을 위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 유관 변환기 밀봉부의 작업지침은 리그 플로어 아래 드릴링 리그에 설치되는 유관 변환기 조립체 내부에 사용되는 것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징들이 다른 용도로 활용되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명백히 고려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대응하는 참조 기호들은 프라임 또는 연속적인 영숫자 부기로 참조되는 등가 요소를 구비한 몇몇의 관점 전체에 걸쳐 대응 요소를 부기하는데 사용되고, 대표적인 유관 변환기 조립체는 도 1의 도면부호 10에서 대체로 참조된다. 변환기(10)는 대체로 튜브형 서포트 하우징(12)을 포함하고, 이는 드릴링 리그(도시되지 않음)의 플로어에 설치되고, 그리고 축방향의 보어(14)를 구비하며, 중앙의 종방향 조립체 축(16)에 따라 전체에 걸쳐 확장되며, 반지름 방향 조립체 축(17)에 수직하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유관 출구(18)는 변환기(10)가 폐쇄된 때 유체 유동을 유도하기 위해 하우징(12) 내부로 개방된다. 드릴링 라이저(도시되지 않음)의 상단부에 고정될 수 있는 일반적인 원통형 변환기 스풀(20)은 보어(14)와 동축방향으로 배치되고, 그들 사이에서 환형의 갭(22)을 형성하기 위해 보어(14)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이격된다. 스풀(20)은 각각 도면부호 30, 32, 및 34로 표시되는 상부, 중앙 그리고 하부 부분을 포함하는 다중 피스 구조로 되어 있다. 스풀 중앙부(32)는 그것의 외경에 형성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포트 개방부로부터 유동을 제공하기 위한 출구(18)와 통하는 원주방향 리세스(36)를 구비하고, 그 중 하나는 도면부호 38로 도시되며 출구(18)와 유체 전달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정렬된 것으로 도시된다.
본 발명과 관계에서 한 쌍의 유관 변환기 밀봉 링, 상단의 링은 도면부호 40a로 참조되고, 그리고 하단의 링은 도면부호 40b로 참조되며, 각각은 대체로 한 쌍의 사각형 환형의 홈 또는 글랜드(42a, 42b) 중 대응되는 하나에 설치된다. 각각의 글랜드(42)는 글랜드(42a)를 위한 스풀 상부 및 중앙부(30, 32) 사이 및 글랜드(42b)를 위한 스풀 중앙부 및 하부(32, 34) 사이와 같은 곳에 형성되며, 스풀(20) 주위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3에 대해 추가적인 참조를 하여 더 이해될 수 있듯이, 도 1에서 도면부호 50으로 표기된 상세한 참조는 더 상세하게 도시되며, 글랜드(42a)로 볼 수 있듯이, 각각의 글랜드(42)는 제1 또는 상단부벽(52) 및 제1 단부벽(52)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제2 또는 하단부벽(54) 그리고 제1 및 제2 단부벽들(52, 54) 사이에 조립체 축(16)에 대해 반지름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변의 측벽(56)을 구비할 수 있다. 주변부 단부벽(56)은 유체 통로(60)와 밀봉부(40) 활성화를 위한 유압 유체 또는 다른 액체 또는 기체 매질과 같은 유체 압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내부로 통하는 개방부를 구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밀봉 링(40a)의 단면도가 도시되고, 링(40)의 각각은 대체로 환형 본체(70)를 구비하며, 이는 탄성중합체 고분자 물질로 성형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몰드성형된다. 본체(70)는 중앙의 종방향 밀봉 축(72) 주위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는 반지름방향 밀봉 축(74)에 수직하고, 조립체 축(16) 중간의 보어(14) 및 스풀(20)과 동축방향으로 글랜드(42)(도 1 및 도 3) 내부에 수용가능하게 된다. 도 3을 추가적으로 다시 참조하면, 본체(70)는 글랜드 제1 단부벽(52) 맞은편에 배치될 수 있는(도 3), 반지름 방향 제1 단부면(80a) 및 제1 단부면(80a)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글랜드 제2 단부벽(54) 맞은편에 배치될 수 있는 반지름 방향 제2 단부면(80b)을 구비한다. 또한, 본체(70)는 반지름방향으로 이격된 각각 도면부호 90a 및 90b로 표시되는 내경 및 외경면을 구비하며, 각각은 제1 및 제2 단부면(70a, 70b)의 중간에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내경면(90a)은 글랜드(42)에 (도 1 및 도 3) 배치될 수 있고 스풀(20)의 맞은편에 있으며, 외경면(90b)은 반대편 보어(14)에 배치될 수 있다.
글랜드(42a)의 내부에 설치된 밀봉 링(40a)를 참조하면(도 1 및 도 3), 내경면(90a)은 스풀(20)을 향하여 그들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순부(100a)와 스풀(20)을 향하여 내경면(90a)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사이에 리세스(102)를 형성하기 위해 제1 순부(100a)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순부(100b)를 포함한다. 작동에서, 밀봉 순부(100a, 100b)는 밀봉적으로 글랜드 측벽(56)(도 3)과 결합하기 위해 유체 통로(60)(도 1 및 도 3)로부터 리세스(102) 안으로 수용되는 유체 압력에 반응하여 활성화된다.
도 2 및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또한 밀봉 링(40a)은 대체로 환형 제1 및 제2 반압출 스프링 부재(110a, 110b)를 각각 포함하여 형성되고, 각각은 밀봉 축(72) 주위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스프링 부재(110a)는 제1 단부면(80a)에 인접한 본체 외경면(90b) 안쪽에 형성된다. 이어서, 제2 스프링 부재(110b)는 본체 제2 단부면(80b)과 인접한 본체 외경면(90b) 안쪽에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밀봉 링(40a)은 대체로 환형의 제1 및 제2 활성 스프링 부재(120a, 120b) 각각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각각은 밀봉 축(72) 주위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활성 스프링 부재(120a)는 본체 제1 순부(100a) 안쪽에 형성되고, 제2 활성 스프링 부재는 본체 제2 순부(100b) 안쪽에 형성된다. 각각의 반압출 스프링 부재(110) 및 활성 스프링 부재(120)는 권취된 링, 즉, 가터 타입, 이 될 수 있고, 독립적으로 금속 또는 비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글랜드(42a)에 설치된 링(40a)을 구비한 밀봉 링(40a)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순부(100a, 100b)는 제1 및 제2 활성 스프링 부재(120a, 120b)를 이용하여 글랜드 측벽(56)을 밀봉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자가활성 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유체 통로(60)로부터 리세스(102) 안에 수용되는 유체 압력에 반응하는 순부(100a, 100b)가 활성화되므로, 밀봉부 외경면(90b)은 보어(14)와 밀봉적으로 결합되고, 밀봉 링(40a)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위의 제1 및 제2 반압출 스프링 부재(110a, 110b) 밀봉 갭(22)은 밀봉 본체(70)가 갭(22) 내부로 압출되는 것을 막는다.
본 발명의 밀봉 링(40)을 위한 구성 물질은 포함된 용도를 위해 통상적으로 고려된다. 상기 물질들은 대체로 부식 저항성이 있고, 한편, 필요한 기계적, 열적 또는 다른 물리적 성질을 위해 취급되는 유체들 또는 유체와 적합하도록 선택된다. 스프링 부재는 강, 스테인레스 강, 황동 또는 청동과 같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 또는 플라스틱 같은 비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밀봉 본체(70)는 폴리우레탄, 실리콘, 나이트릴, HNBR 또는 플루오로엘라스토머와 같은 탄성중합체로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임의의 변경이 예상되는 것처럼, 앞서 말한 명세서에 포함된 모든 사항은 제한의 의도가 아니라 설명으로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어떠한 우선권 문서도 포함하는 모든 참조사항은 본 명세서에 참고 문헌으로 인용된다.

Claims (6)

  1. 중앙의 종방향 조립체 축을 따라 연장되는 환형의 보어 및 상기 보어 안에 동축방향으로 배치되고 반지름 방향으로 이격되어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요소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조립체 내부로 설치되는 밀봉부이며,
    상기 조립체는 상기 원통형 요소와 보어의 사이에 형성되는 글랜드를 구비하고,
    상기 글랜드는 제1 단부벽과 제1 단부벽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제2 단부벽을 구비하며,
    상기 글랜드는 상기 제1 단부벽 및 제2 단부벽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또한 조립체 축에 대하여 반지름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변부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주변부 측벽은 유체압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내부로 향하는 유체 통로 개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밀봉부는,
    탄성중합체 고분자 물질로 형성되고 중앙의 밀봉부 축 주위로 연장되는 환형의 본체, 상기 밀봉부 축 주위로 연장되는 환형의 제1 반압출 스프링 부재 및 상기 밀봉부 축 주위로 연장되는 환형의 제2 반압출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보어와 상기 요소 중간에 조립체 축과 동축방향으로 글랜드 내부에 수용 가능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글랜드 제1 단부벽의 맞은편에 배치될 수 있는 반지름방향 제1 단부면 및 상기 글랜드 제2 단부벽의 맞은편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단부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반지름방향 제2 단부면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제1 및 제2 단부면의 중간에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원통형 요소의 맞은편에 배치될 수 있는 내경면과 상기 내경면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단부면 중간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보어의 맞은편에 배치될 수 있는 외경면을 구비하고, 상기 내경면은 상기 원통형 요소를 향하여 상기 내경면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순부 및 상기 제1 순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원통형 요소를 향하여 내경면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밀봉 순부는 상기 글랜드의 측벽에 밀봉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유체 통로로부터 수용되는 유체 압력에 반응하여 활성화되며,
    상기 제1 반압출 스프링 부재는 상기 본체 제1 단부면과 인접한 상기 본체 외경면 안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반압출 스프링 부재는 상기 제2 단부면과 인접한 상기 본체 외경면 안쪽에 형성되며,
    상기 밀봉부가 상기 조립체 안에서 압력을 받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반압출 스프링 부재는 상기 갭 내부로 상기 밀봉부 본체가 압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밀봉부의 맞은편 단부 상에서 상기 갭을 밀봉하는 밀봉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 축 주위로 연장되는 환형의 제1 활성 스프링 부재 및 상기 밀봉부 축 주위로 연장되는 환형의 제2 활성 스프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활성 스프링 부재는 상기 본체 제1 순부 안쪽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 제1 순부는 상기 글랜드 측벽과 체결되기 위해 상기 제1 활성 스프링 부재에 의해 활성화되며,
    상기 제2 활성 스프링 부재는 상기 본체 제2 순부 안쪽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 제2 순부는 상기 유체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글랜드 측벽과 결합하도록 상기 제2 활성 스프링 부재에 의해 활성화되는 밀봉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유관 변환기이고, 상기 요소는 스풀인 밀봉부.
  4. 중앙 종방향 조립체 축을 따라 연장되는 환형의 보어를 구비하는 하우징, 사이에 갭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반지름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보어 안에 동축방향으로 배치된 요소 및 밀봉부를 포함하는 조립체로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보어 및 상기 요소 사이에 형성되는 글랜드를 구비하고, 상기 글랜드는 제1 단부벽과 상기 제1 단부벽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제2 단부벽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글랜드는 상기 제1 단부벽 및 제2 단부벽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조립체 축에 대하여 반지름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변부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주변부 측벽은 유체 압력원을 제공하기 위해 그것의 내부로 유체 통로 개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밀봉부는 탄성중합체 고분자 물질로 형성되고 중앙의 밀봉부 축 주위로 또한 상기 보어와 상기 요소의 중간에 상기 조립체 축과 동축방향으로 상기 글랜드 내부에서 연장되는 환형의 본체, 상기 밀봉부 축 주위로 연장되는 환형의 제1 반압출 스프링 부재 및 상기 밀봉부 축 주위로 연장되는 환형의 제2 반압출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글랜드 제1 단부벽의 맞은편에 배치된 반지름방향 제1 단부면과 상기 제1 단부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글랜드 제2 단부벽의 맞은편에 배치된 반지름 방향 제2 단부면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요소의 맞은편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단부면 및 제2 단부면의 중간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내경면과 상기 내경면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보어의 맞은편에 배치되고 제1 단부면 및 제2 단부면의 중간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외경면을 구비하며, 상기 내경면은 상기 내경면으로부터 상기 요소를 향하여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순부 및 상기 제1 순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내경면으로부터 상기 요소를 향하여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순부 및 제2 순부는 상기 글랜드의 측벽과 밀봉되도록 결합하기 위해 유체 통로로부터 수용되는 유체 압력에 반응하여 활성화되며,
    상기 제1 반압출 스프링 부재는 상기 본체 제1 단부면과 인접한 상기 본체 외경면 안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반압출 스프링 부재는 상기 제2 단부면과 인접한 상기 본체 외경면 안쪽에 형성되고,
    상기 밀봉부가 조립체 안에서 압력을 받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반압출 스프링 부재는 상기 갭 내부로 상기 밀봉부 본체가 압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밀봉부의 맞은편 단부 상의 상기 갭을 밀봉하는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밀봉부 축 주위로 연장되는 환형의 제1 활성 스프링 부재 및 상기 밀봉부 축 주위로 연장되는 환형의 제2 활성 스프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활성 스프링 부재는 상기 본체 제1 순부 안쪽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 제1 순부는 상기 글랜드 측벽과 체결되도록 상기 제1 활성 스프링 부재에 의해 활성화되며,
    상기 제2 활성 스프링 부재는 상기 본체 제2 순부 안쪽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 제2 순부는 상기 유체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글랜드 측벽과 결합하도록 제2 활성 스프링 부재에 의해 활성화되는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유관 변환기이고 또한 상기 요소는 스풀인 조립체.
KR1020137018053A 2011-01-11 2011-12-16 스프링 활성 순부를 구비한 유관 변환기 KR1018197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31581P 2011-01-11 2011-01-11
US61/431,581 2011-01-11
PCT/US2011/065376 WO2012096755A1 (en) 2011-01-11 2011-12-16 Flowline divertor seal with spring-energized lip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311A KR20140043311A (ko) 2014-04-09
KR101819782B1 true KR101819782B1 (ko) 2018-01-17

Family

ID=45491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8053A KR101819782B1 (ko) 2011-01-11 2011-12-16 스프링 활성 순부를 구비한 유관 변환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15284B2 (ko)
EP (1) EP2663730B1 (ko)
KR (1) KR101819782B1 (ko)
CN (1) CN103299025A (ko)
BR (1) BR112013012353B1 (ko)
SG (1) SG189972A1 (ko)
WO (1) WO20120967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45755B2 (en) * 2013-05-02 2015-09-29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Sealing annular gaps in a well
US10077621B2 (en) 2013-06-13 2018-09-18 Vetco Gray, LLC Diverter flow line insert packer seal
US10316604B2 (en) * 2014-07-02 2019-06-11 Utex Industries, Inc. Inflatable seal with fabric expansion restriction
CA2960691A1 (en) * 2014-09-08 2016-03-17 Westport Power Inc. Piston arrangement
KR101776626B1 (ko) * 2017-03-31 2017-09-11 산동금속공업(주) 다이버터 밸브용 플로우 라인 실 구조
CN108547950A (zh) * 2018-01-01 2018-09-18 保集团有限公司 三角形环的杆密封
DE102019207167B3 (de) * 2019-05-16 2020-09-10 Glatt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Trennvorrichtung
AU2021206211A1 (en) * 2020-01-07 2022-06-16 Kinetic Pressure Control Ltd. Seals for multi-surface seal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7693A (en) * 1997-07-23 1999-02-03 Vetco Gray Inc Abb Diverter flow line seal
JP2009078864A (ja) * 2007-08-17 2009-04-16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第2の容器付きプッシュボタンフリップトップ
CA2754136A1 (en) * 2010-05-05 2011-05-24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High yielding soybean variety 90y21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37901A (en) * 1944-12-23 1948-03-16 Gen Tire & Rubber Co Sealing ring
US2736583A (en) * 1951-06-21 1956-02-28 Gen Motors Corp Fluid seal
US2751235A (en) * 1952-10-16 1956-06-19 Gray Tool Co Well head pipe suspension
US2754136A (en) * 1955-07-12 1956-07-10 Gray Tool Co Pressure actuated seal between concentric pipes
US4288083A (en) * 1980-02-07 1981-09-08 International Packings Corporation Hydrodynamic shaft seal
US4379558A (en) * 1981-05-01 1983-04-12 Utex Industries, Inc. Anti-extrusion packing member
US4858936A (en) * 1986-10-29 1989-08-22 Gen Electric Split gland seal assembly
FR2636402B1 (fr) 1988-09-09 1991-02-22 Levivier Yves Raccord pour tubes lisses
WO1991013277A1 (de) * 1990-02-26 1991-09-05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Ag Dichtungsanordnung
WO2002086356A2 (en) * 2001-04-18 2002-10-31 Bal Seal Engineering Self contained anti-blowout seal for fluids or gases
US7828300B2 (en) * 2006-09-21 2010-11-09 Nok Corporation Sealing device for reciprocating shaf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7693A (en) * 1997-07-23 1999-02-03 Vetco Gray Inc Abb Diverter flow line seal
JP2009078864A (ja) * 2007-08-17 2009-04-16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第2の容器付きプッシュボタンフリップトップ
CA2754136A1 (en) * 2010-05-05 2011-05-24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High yielding soybean variety 90y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12353B1 (pt) 2020-02-11
BR112013012353A2 (pt) 2016-08-30
CN103299025A (zh) 2013-09-11
KR20140043311A (ko) 2014-04-09
US20130234401A1 (en) 2013-09-12
US10215284B2 (en) 2019-02-26
EP2663730B1 (en) 2016-02-03
EP2663730A1 (en) 2013-11-20
SG189972A1 (en) 2013-06-28
WO2012096755A1 (en)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782B1 (ko) 스프링 활성 순부를 구비한 유관 변환기
EP2401464B1 (en) Sealing array for high temperature applications
US9512924B2 (en) Sealing structure
US20100295253A1 (en) Packing and sealing system
JP2015175522A (ja) 回転するシャフト用のダブルシール装置及び該ダブルシール装置を備えるポンプ
US9845879B2 (en) High pressure dynamic sealing arrangement
US10330170B2 (en) Shock absorber
EP2745017B1 (en) Bearing assembly for a vertical turbine pump
US20100270751A1 (en) Anti-roll ribbed seal
EP3165708A1 (en) Unitized lip seal for wash pipe stuffing box sealing system
KR102382925B1 (ko) 환형 실링 조립체
US9447878B2 (en) Piston seal assembly
US10670151B2 (en) Segmented seal with shallow groove
KR101694641B1 (ko) 실링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터빈밸브 유압액추에이터 실린더어셈블리
US8672007B2 (en) Sealing arrangement between a stationary first machine part and a second machine part that rotates around the first machine part
JP5537042B2 (ja) エンドレスタイプのシールリングおよびベルト式無段変速機
US20140175755A1 (en) Shaft seal ring with anti-rotation features
WO2017056884A1 (ja) ピストン型アキュムレータのピストンシール構造
JP2014169770A (ja) シールリング
EP3726102A1 (en) Annular sealing assembly
JP5195987B2 (ja) シーリングシステム
JP2003254443A (ja) 軸封装置
JP2014194214A (ja) 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