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327B1 -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327B1
KR101819327B1 KR1020160038465A KR20160038465A KR101819327B1 KR 101819327 B1 KR101819327 B1 KR 101819327B1 KR 1020160038465 A KR1020160038465 A KR 1020160038465A KR 20160038465 A KR20160038465 A KR 20160038465A KR 101819327 B1 KR101819327 B1 KR 101819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rous material
fibrous
image data
counted
sub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3970A (ko
Inventor
김현욱
이종일
김창규
최성원
장광명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38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327B1/ko
Publication of KR20170113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6Textiles
    • G01N33/367Fabric or woven text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9Transmissivity
    • G01N21/5907Densitometers
    • G01N2021/5976Image projected and scanning projected im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021/8444Fibrous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릿에 부착된 석면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섬유상 물질로 선정하는 장치가, 공기 중의 섬유상 물질의 검출을 위해, 마커가 구비된 슬릿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섬유상 물질의 크기 값이 기설정된 기준 임계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섬유상 물질의 크기 값이 기설정된 기준 임계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섬유상 물질의 크기 값이 기설정된 기준 임계 범위 내에 포함되면, 해당 섬유상 물질을 카운트 대상 섬유상 물질로 선정하는 단계 및 선정된 카운트 대상 섬유상 물질을 카운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방법 및 장치{Real-time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of the fibrous material in the air}
본 발명은 공기 등의 일정한 환경에 존재하는 비산 석면 농도의 계산을 위하여, 석면 섬유를 검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촬영 장치를 통해 슬릿에 붙은 석면 섬유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석면 섬유를 검출하고, 검출된 석면 섬유를 계수하여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석면(Asbestos)은 높은 내열성의 특성에 의해 빌딩 등의 건축물의 내장재료 및 자동차의 브레이크 패드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석면이 공기 중에 비산되는 경우, 인체 내의 흡입 시 폐암 등의 원인이 되어, 석면에 의한 피해가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는 특히, 건축물 등의 해체 작업 또는 건축물에 대한 신축 작업 시, 주위에 석면이 비산되는 것을 피할 수 없는 데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공기 등의 일정한 환경 내에 석면의 농도를 계산하는 기술은, 상기의 문제에 대한 대처 및 예방을 위하여 중요한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9년 2월 6일 건축물 등의 석면해체 및 제거 시 근로자를 석면노출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산업안전보건법 일부개정법률이 공포되어 2009년 8월 7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따라서, 2009년 5월 현재 노동부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백석면 및 백석면을 1 중량% 초과 함유하는 물질을 허가대상물질로, 갈석면, 청석면, 안소필라이트석면, 트레모라이트석면, 악티노라이트석면 및 이들 석면을 1 중량% 초과함유하는 물질을 제조 등 금지물질로 규제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2009년 8월 7일 : 일정면적 이상의 건축물 등 해체, 제거 시 사전에 지정된 석면조사기관을 통한 석면조사를 의무화하고, 일정면적 또는 양 이상의 석면제거 시 등록된 석면해체 및 제거 전문업체를 이용토록 하며, 작업완료 후 석면의 공기 중 농도 측정을 의무화(산업안전보건법 일부 개정법률, 2009년 2. 6. 공포)하고 있다.
그리고 환경부는 유해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백석면 및 백석면을 1% 이상 함유한 물질을 취급제한물질로, 나머지 다섯 가지 각섬석계 석면 및 각섬석계 석면을 1% 이상 함유한 물질을 취급금지물질로 규제하고 있으며,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석면을 1%이상 함유하는 물질을 지정폐기물로서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
또한, 현재 노동부 산업안전보건법의 작업환경에서는 공기 중 석면노출에 대한 8시간 시간가중평균(TWA) 노출기준인 0.1 개/㎤와 사무실 실내공기질 관리지침 및 환경부 다중이용시설법의 권고기준인 0.01 개/㎤를 권고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작업완료 후 석면의 공기 중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시료채취펌프로 셀롤로스막여과지(MCE)에 일정 부피의 공기를 여과 포집한 후, 시료 채취한 여과지를 아세톤 증기를 이용하여 투명화된 슬라이드로 전처리하고, 위상차현미경으로 정해진 계수법에 따라 길이가 5㎛ 이상이며, 길이 대 지름의 비가 3:1 이상인 섬유를 계수하고, 이를 개/㎠(채취된 섬유수/채취한 공기의 부피)로 표현하는 위상차현미경법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 위상차현미경법은 작업환경에서 시료를 채취한 후 채취한 시료를 위상차현미경이 있는 작업실까지 옮겨 온 후 이를 분석하고, 사람이 수작업을 통해 섬유을 계수하는 방법이 이용되기 때문에 시료 채취부터 결과 산출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위상차현미경법의 경우,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석면의 미세성에 의하여, 고배율 광학렌즈를 통해 확대하더라도 희미하고 분절되기 쉽고, 검사자가 육안으로 직접 판별해야 하기 때문에, 검사자의 상태 및 주관성에 따라서 부정확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외에 다른 방법은, 고가의 장비를 사용해야 하고, 시간과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 현장에서 비산되어 부유중인 석면 농도를 작업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제공해 줄 수 있는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공기 중의 석면 섬유의 검출 속도 및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방법은 슬릿에 부착된 석면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섬유상 물질로 선정하는 장치가, 공기 중의 섬유상 물질의 검출을 위해, 마커가 구비된 슬릿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섬유상 물질의 크기 값이 기설정된 기준 임계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섬유상 물질의 크기 값이 기설정된 기준 임계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섬유상 물질의 크기 값이 기설정된 기준 임계 범위 내에 포함되면, 해당 섬유상 물질을 카운트 대상 섬유상 물질로 선정하는 단계 및 선정된 카운트 대상 섬유상 물질을 카운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장치는 마커가 구비된 슬릿에 부착된 석면을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섬유상 물질의 크기 값이 기설정된 기준 임계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여, 섬유상 물질의 크기 값이 기설정된 기준 임계 범위 내에 포함되면, 해당 섬유상 물질을 카운트 대상 섬유상 물질로 선정하는 섬유상 물질 선정부; 및 선정된 카운트 대상 섬유상 물질을 카운팅하는 섬유상 물질 계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중의 섬유상 물질의 검출을 통해 석면 섬유의 농도를 연산하는 데 있어서, 상기 언급한 종래의 석면 섬유 검출 기술이 갖는 문제점으로서, 수작업에 의해 전문가가 판단해야 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실시 장소의 한계 및 주관성에 의한 정확도의 감소의 문제점을,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석면 섬유를 자동으로 검출함에 따라서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 중에 비산된 섬유상 물질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어, 섬유상 물질을 통해 분석되는 석면 섬유 개체의 정확한 인식을 실시간으로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장치의 기능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섬유상 물질 선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을 위한 단계가 더 포함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마커가 구비된 슬릿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장치(이하 장치라 함)는, 측정대상 유입블럭(100), 슬릿(101), 이미지 획득부(200), 섬유상 물질 선정부(300) 및 섬유상 물질 계수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측정대상 유입블럭(100)은 슬릿(101)과의 사이에 상기 섬유상 물질을 수용시킬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시키며, 수용공간 측으로 상기 섬유상 물질을 포함한 공기의 유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슬릇(101)은 투명한 재질이 이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유리, 플라스틱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슬릿(101)은 측정대상 유입블럭(100) 내에 구비되며, 측정대상 유입블럭(100)의 수용공간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섬유상 물질이 묻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슬릿(101)에는 적어도 복수개의 마커(10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미지 획득부(200)는 상기 슬릿(101)을 촬영하여, 섬유상 물질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또한, 섬유상 물질 선정부(300)는 이미지 획득부(200)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섬유상 물질 중 카운트 대상 섬유상 물질을 선정한다.
그리고 섬유상 물질 계수부(400)는 선정된 섬유상 물질을 카운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장치에 따르면, 공기 중의 섬유상 물질의 검출을 통해 석면 섬유의 농도를 연산하는 데 있어서, 상기 언급한 종래의 석면 섬유 검출 기술이 갖는 문제점으로서, 수작업에 의해 전문가가 판단해야 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실시 장소의 한계 및 주관성에 의한 정확도의 감소 문제점을,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석면 섬유를 자동으로 검출함에 따라서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장치의 각 기능은,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장치의 각 구성이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나, 이 외에 다른 단말 및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방법은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장치가 공기 중의 섬유상 물질의 검출을 위해, 먼저 마커가 구비된 슬릿(101)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S100). 상기 단계(S100)에서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101) 상에 묻은 섬유상 물질(100-1 내지 100-6)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커(102) 정보가 포함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마커(102)는 슬릿(101)의 양측에 2개 구비되고, 색상이 상이한 복수개의 사각형이 내부에 수용된 형상이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마커의 형상, 위치 및 개수를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는 마커의 개수를 4개로 설정하고 마커의 위치를 슬릿(101)의 모서리에 각각 구비함으로써, 일 실시예에서의 채용된 마커(102)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S100 단계를 통해, 슬릿(101)을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게 되되, 본 발명에서 슬릿(101)을 촬영하는 이미지 획득부(200)는 고속카메라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미경 등 미세 환경 내의 섬유상 물질로 선정하기 위한 미세 환경 촬영기기 등 슬릿을 촬영할 수 있는 다양한 촬영 기기가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후, 상기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섬유상 물질을 선정한다(S200).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각 섬유상 물질 크기 값이 섬유상 물질의 크기 값이 기설정된 기준 임계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S210).
만약, 상기 섬유상 물질의 크기 값이 기설정된 기준 임계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10)에서 섬유상 물질의 크기 값이 기설정된 기준 임계 범위 내에 포함되면(YES), 해당 섬유상 물질을 카운트 대상 섬유상 물질로 선정한다(S2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기설정된 기준 임계 범위는 5 ㎛이고, 선과 길이 대 지름의 비 3:1임을 의미한다. 다만, 기준 임계 범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정된 기준 임계 범위와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섬유상 물질의 크기 값이 기설정된 기준 임계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10)에서 상기 섬유상 물질의 크기 값이 기준 임계 범위를 초과한 경우(NO), 섬유상 물질이 서로 중복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기준 임계 범위를 위치 변경함으로써, 기준 임계 범위를 초과한 섬유상 물질을 비교하기 위한 중복 처리를 수행하는, 상기 기준 임계 범위를 중복 처리한다(S230).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준 임계 범위가 1:3의 비율이기 때문에 이를 +, ∨, ∧, =, 등과 같은 형상으로 위치 변경함으로써 상기 비교를 위해, 중복하여 처리한다.
이어서, 중복 처리된 기준 임계 범위와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섬유상 물질을 비교하여 섬유상 물질의 중복 여부를 판단한다(S240).
만약, 상기 섬유상 물질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40)에서 섬유상 물질이 서로 중복된 것으로 판단되면(YES), 상기 중복된 것으로 판단된 섬유상 물질을 복수의 섬유상 물질로 선정한다(S250).
종래에는 현미경 시야 중심부위에 시야 상 지름이 100 ㎛인 원으로 계수면적을 정의하고, 원의 지름 선상에 각각 3 ㎛와 5 ㎛의 스케일이 있어 섬유 크기를 쉽게 가늠하도록 하고, 계수면적을 정의한 원의 주위에 가는 섬유의 길이 가늠을 위한 5, 10, 20 ㎛ 길이의 선과 길이 대 지름의 비 3:1인 섬유 형태 분석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이를 수작업을 통해 판단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자동으로 섬유상 물질을 판단하고 계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섬유상 물질의 크기 값이 기설정된 기준 임계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섬유상 물질의 선정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후, 상기에서와 같이 선정된 카운트 대상 섬유상 물질을 카운팅한다(S300).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길이가 5 ㎛ 이고, 길이 대 지름의 비가 3:1 이상인 섬유가 계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정된 카운트 대상 섬유상 물질을 카운팅(S300)하는 단계 후, 카운팅된 섬유상 물질을 이용하여 섬유상 물질의 농도 중 기설정된 비율의 농도를 상기 작업 환경 내에 비산된 석면의 농도로 연산한다(S310).
이와 같이, 카운팅된 섬유상 물질을 이용하여 섬유상 물질의 농도를 연산하여, 개/㎤(채취된 섬유수/채취한 공기의 부피)로 표현하되 이를 디스플레이장치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섬유상 물질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채용된 상기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섬유상 물질을 선정(S200)하는 단계는 마크(102)를 기준으로 픽셀의 x, y 변화량 및 마커(102)의 방향을 추적하여 현재 프레임(P2)과 이전 프레임(P1) 간의 위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마커(102)의 위치 정보 등을 통해 서브 픽셀단위로 보정을 함으로써, 이미지 획득부(200)가 흔들리거나, 외부 환경이 흔들리더라도 정확한 섬유상 물질의 선정이 가능해 지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프레임(P2)과 이전 프레임의 마커(102)를 비교하여 마커(102)의 위치 변화량이 x축으로 -1.99 픽셀 이동한 경우, 이를 다시 현재 프레임(P2)의 위치를 마커(102)의 위치 변화량 만큼 대칭, 수평, 수직으로 이동시켜 보정 후 수행함으로써 섬유상 물질을 정확하게 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을 위한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음에 따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일 실시예의 단계(S100 내지 S30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단계(S100 내지 S30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프레임(P1) 이미지 데이터에서 카운팅된 섬유상 물질(100-1 내지 100-6)들이 포함된 대상 이미지 영역(110)을 설정한다(S4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대상 이미지 영역(110)은 일 예로 이미지 데이터 상에서 카운트 대상으로 선정된 섬유상 물질(100-1 내지 100-6)의 영역을 의미하고 있는 것으로, 일 실시예에서는 그 개수는 상이할 수 있다.
이후, 마커(102)가 구비된 슬릿(101)을 촬영한 다음 프레임(P2)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S500).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마커(102)를 기준으로, 이전 프레임(P1) 이미지 데이터의 대상 이미지 영역(110)을 현재 프레임(P2) 이미지 데이터의 대상 이미지 영역(110)이 포함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600).
상기 판단 단계(S600)에서 이전 프레임(P1) 이미지 데이터의 대상 이미지 영역(110)을 현재 프레임(P2) 이미지 데이터의 대상 이미지 영역(110)이 포함하면(YES),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프레임(P1)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획득한 대상 이미지 영역(110)을 현재 프레임(P2)의 이미지 데이터에서 제거한다(S700).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프레임(P1) 이미지 데이터의 대상 이미지 영역(110)이 제거된, 현재 프레임(P2) 이미지 데이터에서 카운트 대상 섬유상 물질(100-7, 100-8)로 선정한다(S800). 이와 같이 이전 프레임(P1) 이미지 데이터에서 연산된 카운트 대상 섬유상 물질을 선정하는 작업을 하지 않음에 따라 연산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어서, 현재 프레임(P2) 이미지 데이터에서 선정된 카운트 대상 섬유상 물질(100-7, 100-8)을 카운팅한 후 이전에 카운팅된 섬유상 물질(100-1 내지 100-6)에 포함시켜 섬유상 물질을 최종 카운팅한다(S90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카운팅된 섬유상 물질은 카운팅된 섬유상 물질을 이용하여 섬유상 물질의 농도 중 기설정된 비율의 농도를 상기 작업 환경 내에 비산된 석면의 농도로 연산(S310)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렇게 연산된 석면의 농도는 연동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작업장에 직관적이면서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환경 내의 공기 중에 비산된 섬유상 물질을 슬릿(101)을 통해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카운트 대상 섬유상 물질을 자동으로 검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석면 섬유의 농도를 직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자동으로 석면 섬유를 검출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방법의 기능은, 사용자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을 통한 공기 중 섬유의 실시간 검출방법의 기능은 사용자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사용자 단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방법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방법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방법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방법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 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측정대상 유입블럭 101 : 슬릿
200 : 이미지 획득부 230 : 섬유상 물질 선정부
240 : 섬유상 물질 계수부

Claims (6)

  1. 슬릿에 부착된 석면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섬유상 물질로 선정하는 장치가,
    공기 중의 섬유상 물질의 검출을 위해, 마커가 구비된 슬릿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섬유상 물질의 크기 값이 기설정된 기준 임계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섬유상 물질의 크기 값이 기설정된 기준 임계 범위 내에 포함되면, 해당 섬유상 물질을 카운트 대상 섬유상 물질로 선정하는 단계 및
    선정된 카운트 대상 섬유상 물질을 카운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섬유상 물질의 크기 값이 기설정된 기준 임계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섬유상 물질의 크기 값이 기준 임계 범위를 초과한 경우, 섬유상 물질이 서로 중복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기준 임계 범위를 위치 변경함으로써, 기준 임계 범위를 초과한 섬유상 물질을 비교하기 위한 중복 처리를 수행하는, 상기 기준 임계 범위를 중복 처리하는 단계;
    중복 처리된 기준 임계 범위와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섬유상 물질과 비교하여 섬유상 물질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섬유상 물질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섬유상 물질이 서로 중복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중복된 것으로 판단된 섬유상 물질을 복수의 섬유상 물질로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이전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에서 카운팅된 섬유상 물질들이 포함된 대상 이미지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슬릿을 촬영한 다음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마커를 기준으로, 이전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의 대상 이미지 영역이 현재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의 대상 이미지 영역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이전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의 대상 이미지 영역이 현재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의 대상 이미지 영역에 포함되면, 이전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획득한 대상 이미지 영역을 현재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에서 제거하는 단계;
    이전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의 대상 이미지 영역이 제거된, 현재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에서 섬유상 물질로 선정하는 단계; 및
    현재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에서 선정된 카운트 대상 섬유상 물질을 카운팅한 후 이전에 카운팅된 섬유상 물질에 포함시켜 섬유상 물질을 최종 카운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카운트 대상 섬유상 물질을 카운팅하는 단계 후,
    카운팅된 섬유상 물질을 이용하여 섬유상 물질의 농도 중 기설정된 비율의 농도를 작업 환경 내에 비산된 석면의 농도로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방법.
  5. 마커가 구비된 슬릿에 부착된 석면을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섬유상 물질의 크기 값이 기설정된 기준 임계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여, 섬유상 물질의 크기 값이 기설정된 기준 임계 범위 내에 포함되면, 해당 섬유상 물질을 카운트 대상 섬유상 물질로 선정하는 섬유상 물질 선정부; 및
    선정된 카운트 대상 섬유상 물질을 카운팅하는 섬유상 물질 계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섬유상 물질 선정부는,
    상기 섬유상 물질의 크기 값이 기준 임계 범위를 초과한 경우, 섬유상 물질이 서로 중복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기준 임계 범위를 위치 변경함으로써, 기준 임계 범위를 초과한 섬유상 물질을 비교하기 위한 중복 처리를 수행하고, 중복 처리된 기준 임계 범위와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섬유상 물질과 비교하여 섬유상 물질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며, 섬유상 물질이 서로 중복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중복된 것으로 판단된 섬유상 물질을 복수의 섬유상 물질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장치.
  6. 슬릿에 부착된 석면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섬유상 물질로 선정하는 장치가,
    공기 중의 섬유상 물질의 검출을 위해, 마커가 구비된 슬릿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섬유상 물질의 크기 값이 기설정된 기준 임계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섬유상 물질의 크기 값이 기설정된 기준 임계 범위 내에 포함되면, 해당 섬유상 물질을 카운트 대상 섬유상 물질로 선정하는 단계 및
    선정된 카운트 대상 섬유상 물질을 카운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섬유상 물질의 크기 값이 기설정된 기준 임계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섬유상 물질의 크기 값이 기준 임계 범위를 초과한 경우, 섬유상 물질이 서로 중복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기준 임계 범위를 위치 변경함으로써, 기준 임계 범위를 초과한 섬유상 물질을 비교하기 위한 중복 처리를 수행하는, 상기 기준 임계 범위를 중복 처리하는 단계;
    중복 처리된 기준 임계 범위와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섬유상 물질과 비교하여 섬유상 물질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섬유상 물질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섬유상 물질이 서로 중복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중복된 것으로 판단된 섬유상 물질을 복수의 섬유상 물질로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60038465A 2016-03-30 2016-03-30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1819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465A KR101819327B1 (ko) 2016-03-30 2016-03-30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465A KR101819327B1 (ko) 2016-03-30 2016-03-30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970A KR20170113970A (ko) 2017-10-13
KR101819327B1 true KR101819327B1 (ko) 2018-03-02

Family

ID=60139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465A KR101819327B1 (ko) 2016-03-30 2016-03-30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3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7593A (ko) * 2020-03-26 2021-11-18 신종우 석면 채취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7668B2 (ja) 2008-09-30 2012-12-12 株式会社インテック アスベスト検出装置
KR101386460B1 (ko) 2013-11-22 2014-04-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석면 모니터링 방법
KR101605504B1 (ko) 2014-10-02 2016-03-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석면 슬레이트 파손시 손상 정도에 따른 석면 섬유 발생량 산정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7668B2 (ja) 2008-09-30 2012-12-12 株式会社インテック アスベスト検出装置
KR101386460B1 (ko) 2013-11-22 2014-04-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석면 모니터링 방법
KR101605504B1 (ko) 2014-10-02 2016-03-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석면 슬레이트 파손시 손상 정도에 따른 석면 섬유 발생량 산정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7593A (ko) * 2020-03-26 2021-11-18 신종우 석면 채취 시스템
KR102351702B1 (ko) * 2020-03-26 2022-01-17 신종우 석면 채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970A (ko) 201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85181B (zh) 使用阵列成像系统成像和分析离心分析管来执行血液学分析的方法和设备
US8165350B2 (en) Assessment of a view through the overlay of maps
US11156567B2 (en) Defect inspectio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JP3799408B1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9471984B2 (en) Method for self-calibration of a microscope apparatus
WO2017051735A1 (ja) 撮像支援システム及び装置及び方法、並びに撮像端末
JP2016090547A (ja) ひび割れ情報収集装置及びひび割れ情報を収集するためのサーバ装置
JP2020144572A (ja) 道路不具合検出装置、道路不具合検出方法及び道路不具合検出プログラム
CN116091477A (zh) 基于深度学习多模态图像融合的建筑外墙缺陷检测方法
KR101819327B1 (ko)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실시간 검출 방법 및 장치
JP5097668B2 (ja) アスベスト検出装置
CN113837159A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仪表示数识别方法和装置
JP2016522720A (ja) 複合媒質からなる試片に対するx線ct画像の最小単位に存在する各純粋媒質の体積比の測定方法
Subedi et al. Mapping datafication in construction-worker safety research to minimize injury-related disputes
CN117079082A (zh) 一种智能视觉图像目标物的检测方法、装置及dmc设备
CN105277343A (zh) 检测滤芯使用寿命的方法和装置
CN111264056B (zh) 用于实验室工作流程的视觉系统
CN113672996A (zh) 一种应用于区块链的数据处理方法、装置及设备
Belka et al. Application of image analysis method to detection and counting of glass fibers from filter samples
CN107589223B (zh) 一种定位的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KR102039666B1 (ko) 사고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CN113516120A (zh) 扬尘检测方法、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及系统
JP2008036303A (ja) 角膜内皮細胞画像処理装置及び角膜内皮細胞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14972351B (zh) 矿车矿量检测方法、装置及设备
JP740147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