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712B1 -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712B1
KR101818712B1 KR1020170105279A KR20170105279A KR101818712B1 KR 101818712 B1 KR101818712 B1 KR 101818712B1 KR 1020170105279 A KR1020170105279 A KR 1020170105279A KR 20170105279 A KR20170105279 A KR 20170105279A KR 101818712 B1 KR101818712 B1 KR 101818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ulation
information
service
user
workb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예진
서정현
전인호
이식
조금원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05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5009

Landscapes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및 시스템 에 관한 것으로, 웹 상에서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서버에 저장된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이용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및 시스템은 시뮬레이션 실행을 위한 워크벤치 웹 서비스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웹 서비스를 실행하고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성하는 단계, 시뮬레이션 조건을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조건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고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및 시스템{Simul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web-based workbench service}
본 발명은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웹 상에서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서버에 저장된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이용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뮬레이션이란 복잡한 문제나 사회 현상 따위를 해석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실제와 비슷한 모형을 만들어 모의적으로 실험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는 일을 의미한다. 실제로 모형을 만들어 하는 물리적 시뮬레이션과 수학적 모델을 컴퓨터상에서 다루는 논리적 시뮬레이션 이 일 예시일 수 있다.
인류의 진보에 있어서 과학 기술의 발전은 필수적인 것이었고, 과학 기술의 발전은 과학자들의 반복적인 실험을 통한 가설의 검증 및 검증된 이론의 적립을 통해 이뤄져 왔다.
점차 과학 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새로운 과학 기술의 개발을 위한 노력이 더해가고 있으나 많은 과학 기술이 개발된 상황에서 새로운 과학 기술의 개발이 어려워지고 있고, 새로운 과학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반복적 실험을 수행하는 것은 경제적, 시간적으로 부담스러운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실제 실험을 수행하기에 앞서 가상적 실험을 통해 결과를 예측해보는 시뮬레이션 기술이 많은 곳에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실험의 종류에 따라 개별적으로 구비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방대하기 때문에 웹 상에서 여러 종류의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기는 쉽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시뮬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워크벤치를 구성하고 외부 서버에 저장된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이용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결과 및 결과 분석을 제공할 수 있는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은 시뮬레이션 실행을 위한 워크벤치 웹 서비스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웹 서비스를 실행하고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성하는 단계, 시뮬레이션 조건을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조건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고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호출 단계는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가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 가능한 경우 시뮬레이션 실행을 위한 워크 벤치 웹 서비스를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용 가부 판단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브라우저 확인 및 서비스 지원 여부 확인 단계, 상기 사용자의 접속 정보 및 이전 시뮬레이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전 시뮬레이션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전 시뮬레이션 정보에 따른 워크벤치 구성요소 정보를 요청하고, 이전 시뮬레이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본 워크벤치 구성요소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워크벤치 웹 서비스 호출 단계는 상기 워크벤치 구성 정보 요청 단계에서 요청한 정보에 따라 워크 벤치 서비스를 구성해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시뮬레이션 실행 단계는 기 저장된 시뮬레이션 데이터에 기반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웹 서비스 실행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되는 레이아웃 정보에 따라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시뮬레이션 조건은 파일, 입력 데이터 스트럭쳐, 텍스트 및 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시뮬레이션 실행을 위한 워크벤치 웹 서비스를 호출하는 워크벤치 호출부 및 상기 웹 서비스를 실행하고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성하고, 시뮬레이션 조건을 입력 받고, 상기 조건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고 결과를 저장하는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워크벤치 호출부는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가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 가능한 경우 시뮬레이션 실행을 위한 워크 벤치 웹 서비스를 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워크벤치 호출부는 상기 사용자의 브라우저 확인 및 서비스 지원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접속 정보 및 이전 시뮬레이션 정보를 확인한 뒤 상기 이전 시뮬레이션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전 시뮬레이션 정보에 따른 워크벤치 구성요소 정보를 요청하고, 이전 시뮬레이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본 워크벤치 구성요소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워크벤치 호출부는 상기 요청한 워크벤치 구성 정보에 따라 워크 벤치 서비스를 구성해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워크벤치 서비스가 시뮬레이션 실행 시 상기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데이터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되는 레이아웃 정보에 따라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시뮬레이션 조건은 파일, 입력 데이터 스트럭쳐, 텍스트 및 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시뮬레이션 실행을 위한 워크벤치 웹 서비스를 호출하고, 상기 웹 서비스를 실행하고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성하고, 시뮬레이션 조건을 입력한 뒤 상기 조건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고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수행하고 싶은 시뮬레이션을 선택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시뮬레이션에 의한 결과를 분석해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을 위한 데이터와 시뮬레이션 결과의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외부 서버에서 제공되므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서의 데이터 부하를 줄이면서도 상기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기반 워크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크벤치 호출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워크 벤치 실행 처리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크벤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워크 벤치 서비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서비스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비스의 기본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기반 워크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플리케이션과 앱은 상호간에 교환 가능한 단어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기반 워크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기반 워크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100)은 웹 포털 사이트에서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워크벤치 호출부(200) 및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데이터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부는 워크벤치 시뮬레이션부(300) 및 워크벤치 실행 처리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크벤치 호출부(200)는 웹 페이지 상에서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워크벤치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워크벤치 호출부(200)는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에 대한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워크벤치를 호출해 줄 수 있다. 상기 워크벤치 호출부(200)는 클라이언트를 식별해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맞는 워크벤치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워크벤치 호출부(200)는 상기 클라이언트를 식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전 사용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최적화된 워크벤치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부의 워크벤치 시뮬레이션부(300)는 시뮬레이션 조건 데이터를 입력 받아 시뮬레이션을 수행 또는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워크벤치 시뮬레이션부(300)는 시뮬레이션을 실행한 결과를 분석해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부의 워크벤치 실행 처리부(400)는 상기 워크벤치 호출부(200)가 호출해준 정보에 따라 워크벤치를 생성해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워크벤치 실행 처리부(400)는 사이언스 앱 정보, 시뮬레이션 수행 정보, 워크벤치 레이아웃 정보를 처리할 수 있고 상기 워크벤치 시뮬레이션부(3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워크벤치 실행 처리부(400)는 외부 서버 또는 외부 시스템과 정보 교환을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기반 워크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100)은 시뮬레이션 데이터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데이터 제공부는 앱 서비스 유틸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앱 서비스 유틸은 시뮬레이션의 수행 방식, 입력 데이터의 포멧 및 결과 데이터의 포멧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자료를 상기 정보에 따를 형식으로 만들어 줄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데이터 제공부는 상기 앱 서비스 유틸이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사이언스 앱 데이터 베이스(Science App D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데이터 제공부는 시뮬레이션 서비스 유틸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시뮬레이션 서비스 유틸은 시뮬레이션 수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 정보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로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조건, 조건들이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들 간의 상호 작용 관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데이터 제공부는 상기 시뮬레이션 서비스 유틸이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시뮬레이션 데이터 베이스(Simulation D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데이터 제공부는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조건들을 시뮬레이션 실행에 적합한 구조 또는 형태로 제공되도록 하는 데이터 스트럭쳐 서비스 유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스트럭쳐 서비스 유틸은 상기 워크벤치의 레이아웃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스트럭쳐 서비스 유틸는은 상기 시뮬레이션 데이터 제공부에 포함된 레이아웃 데이터 베이스(Layout DB)에 저장된 상기 워크벤치 레이아웃 정보를 이용해 상기 워크벤치 실행 처리부(4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기반 워크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100)은 이벤트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워크벤치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발생시킨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감지한 이벤트를 해석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해석한 이벤트에 따른 포틀릿을 호출하거나 약속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웹 기반 워크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100)은 포틀릿을 이용해 웹 기반 워크벤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포틀릿은 약속된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사용자의 상기 이벤트에 대한 반응에 따라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워크벤치 호출부(200)에 특정 서비스 호출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사용자가 발생시킨 이벤트 또는 사용자가 반응한 이벤트를 해석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크벤치 호출부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크벤치 호출부(200)는 워크벤치 호출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워크벤치 호출부(200)는 사용자의 워크벤치 실행 요청이 있는 경우, 워크 벤치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워크벤치 호출(210)은 워크 벤치 타입 및 워크 벤치 실행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워크벤치 호출부(200)는 상기 워크 벤치 타입 및 워크 벤치 실행 정보에 따라 실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행 불가 판단을 내린 경우 상기 워크 벤치 타입 및 워크 벤치 실행 정보는 추가 정보 요청을 할 수 있다.
상기 워크벤치 호출부(200)가 실행 가능 판단을 내린 경우, 사용자의 브라우저 및 시뮬레이션 정보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워크벤치 호출부(200)는 상기 사용자의 브라우저 및 시뮬레이션 정보 요청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면, 워크벤치 구성 정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정보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워크벤치 호출부(200)는 사용자의 브라우저 및 시뮬레이션 정보 요청시 사용자 식별(220)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 과정(220)은 먼저 사용자 브라우저 확인 및 사용자 서비스 지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워크벤치 호출부(200)는 상기 사용자의 브라우저 확인 및 서비스 지원 여부 확인을 할 수 있다. 상기 워크벤치 호출부(200)는 상기 사용자의 브라우저가 서비스가 지원 가능한지 여부,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우저의 서비스 지원 가능 여부는, 상기 브라우저의 종류, 버전 및 어플리케이션 등 지원 프로그램의 설치 여부를 이용해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서비스 지원 가능 여부는 상기 사용자의 권한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과정(220)은 지원 불가 판단을 내린 경우 접속 변경 요청을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 과정(220)은 지원 가능 판단을 내린 경우 사용자의 접속 정보 및 이전 시뮬레이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접속 정보와 일치하는 접속 정보가 이전에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기록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 과정(220)은 상기 이전 시뮬레이션 정보의 존재 확인 결과 이전 시뮬레이션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전 시뮬레이션 정보에 따른 워크벤치 구성요소 정보를 요청하고, 이전 시뮬레이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본 워크벤치 구성요소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 과정(220)은 상기 이전 시뮬레이션 정보의 존재 확인 결과 이전 시뮬레이션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시뮬레이션 시행 내역 정보를 요정하고, 상기 시뮬레이션 시행 내역에 따른 워크벤치 구성 요소 정보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워크벤치 호출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의 브라우저 및 시뮬레이션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식별 과정을 통해 요청된 워크벤치 구성요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워크벤치 구성요소 정보는 이용해 상기 워크벤치 호출 과정에서 워크벤치 구성 정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 정보 요청을 통해 사용자에 워크 벤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크벤치 시뮬레이션부(300)는 시뮬레이션 데이터 입력부(310), 시뮬레이션 실행부(320) 및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데이터 입력부(310)는 입력 받은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시스템에서 인식 가능하도록 데이터 포맷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데이터 입력부(310)는 사이언스 앱 입력 포트 라이브러리 호출부(310B) 및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 라이브러리 호출부(310C)를 포함할 수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입력 포트 라이브러리 호출부(310B)와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 라이브러리 호출부(310C)는 사이언스 어플리케이션 입력 정보(310A)를 구성하는 정보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어플리케이션 입력 정보(310A)는 사이언스 앱 입력 정보와 사이언스 앱 데이터 스트럭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기 사이언스 앱 입력 정보는 상기 사이언스 앱 입력 포트 라이브러리 호출부(310B)가 호출한 입력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포트 정보는 템플릿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포트 정보는 시뮬레이션을 위해 입력 받아야 하는 정보의 종류 및 형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입력 정보는 상기 사이언스 앱에서 정의한 데이터 형태 정보 또는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데이터 스트럭쳐 정보는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 라이브러리 호출부(310C)가 호출한 데이터 구조 정보일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구성된 앱 입력 스트럭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데이터 스트럭쳐 정보는 입력 데이터의 입력 형식, 구조 및 입력 방식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데이터 스트럭쳐 정보는 입력받은 정보,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실제 입력 또는 조건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어플리케이션 입력 정보(310A)는 상기 시뮬레이션 실행부(320)에서 시뮬레이션 실행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실행부(320)는 상기 시뮬레이션 실행을 위해 사이언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320A)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사이언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320A)를 이용해 시뮬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실행부(320)는 현재 실행중인 사이언스 앱의 실행 정보, 시뮬레이션 잡 정보, 시뮬레이션 잡의 데이터 스트럭쳐 정보가 입력되어 사이언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320A)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실행 정보는 상기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코어수, 병렬처리 방식 및 기타 서버 시스템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잡 수행 정보에서 상기 시뮬레이션 잡은 현재 실행되는 시뮬레이션을 지칭할 수 있고 잡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잡 수행 정보는 잡이 생성된 시기, 실행되는 시간, 잡이 실행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잡 데이터 스트럭쳐 수행 정보는 상기 시뮬레이션 데이터 입력부(310)에서 입력된 정보가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형태로 변환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320A)를 토대로 시뮬레이션 실행 라이브러리 호출부(320B)가 시뮬레이션 실행 라이브러리를 호출해 시뮬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부(330)는 상기 시뮬레이션이 실행되고 해당 결과가 계산되면 상기 결과를 사용자가 이해하기 위한 형태로 변환 하여 워크벤치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부(330)는 시뮬레이션 모니터링 라이브러리 호출부(330A), 시뮬레이션 실행 결과 라이브러리 호출부(330B) 및 시뮬레이션 결과 해석 라이브러리 호출부(330C)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성을 통해 사이언스 앱 실험 결과 정보(330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모니터링 라이브러리 호출부(330A)는 시뮬레이션이 제대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상기 시뮬레이션이 현재 수행되고 있는지 끝났는지 또는 에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결과 시뮬레이션이 정상 작동 하는 경우 상기 시뮬레이션 실행 결과 라이브러리 호출부(330B)는 시뮬레이션 잡이 끝나면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결과는 특정 폴더에 기록될 수 있고, 상기 시뮬레이션 실행 결과 라이브러리 호출부(330B)가 상기 특정 폴더에 기록된 상기 결과를 호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해석 라이브러리 호출부(330C)는 상기 결과에 대한 값이 가지는 특정 형태가 어떤 형태인지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특정 형태는 그림, 텍스트,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부(330)는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정보 또는 사이언스 앱 실험 결과 정보(330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실험 결과 정보(330D)는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포함하고, 이를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기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기는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분석기이다.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기는 상기 결과가 그림인 경우 그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좌표 정보인 경우 그래프를 도시해 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워크 벤치 실행 처리부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크벤치 실행 처리부(400)는 사이언스 앱 정보(410), 시뮬레이션 수행 정보(420) 및 워크벤치 레이아웃 정보(430)를 처리해 워크벤치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워크벤치 실행 처리부(400)는 워크벤치에서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정보(410)는 입력 파일이나 데이터의 종류, 형식, 구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정보(410)는 결과 파일의 종류, 형식, 구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정보(410)는 사이언스 앱 구성 정보(41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정보(410)는 사이언스 앱 기본정보, 사이언스 앱 입력 포트 정보, 사이언스 앱 로그 포트 정보 및 사이언스 앱 출력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기본정보는 상기 사이언스 앱의 이름, 설명, 요약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입력 포트 정보는 상기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입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입력 포트 정보는 입력 정보의 형태 별로 입력 받을 수 있는 포트를 정의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로그 포트 정보는 상기 시뮬레이션이 실행 중 모니터링을 위한 정보를 위한 포트이다. 상기 사이언스 앱 로그는 상기 시뮬레이션의 실행 중 모니터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로그는 상기 시뮬레이션의 진행 정도,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이언스 앱 로그 포트 정보는 상기 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출력 포트 정보는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가 어떤 형태를 가지는 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태는 그림, 텍스트 및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크벤치 실행 처리부(400)는 사이언스 앱 정보 서비스 라이브러리 호출부(410B) 및 사이언스 앱 포트 정보 서비스 라이브러 호출부(41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정보 서비스 라이브러리 호출부(410B)는 상기 사이언스 앱 구성 정보(410A)에 포함되는 상기 사이언스 앱 기본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포트 정보 서비스 라이브러 호출부(410C)는 상기 사이언스 앱 구성 정보(410A)에 포함되는 사이언스 앱의 포트 정보들을 가져올 수 있다. 상기 포트 정보는 입력 포트, 로그 포트 및 출력 포트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 정보(420)는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정보로 상기 워크벤치 시뮬레이션부(3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 정보(420)는 시뮬레이션 구성 정보(41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구성 정보(410A)는 상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시뮬레이션 실행부(32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구성 정보(410A)는 시뮬레이션 수행 정보, 시뮬레이션 잡 수행 정보, 시뮬레이션 잡 데이터 정보 및 시뮬레이션 잡 스트럭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 정보는 상기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코어 수, 병렬 처리 방식 및 기타 서버 시스템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잡 수행 정보는 기본적으로 실행되는 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적으로 실행되는 잡에 대한 정보는 상기 잡이 생성된 시기, 상기 잡의 수행 시간 및 상기 실행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잡 데이터 정보는 시스템이 입력 받은 시뮬레이션 잡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잡 데이터 정보는 상기 시뮬레이션을 위한 입력 또는 조건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잡 스트럭쳐 정보는 입력 받은 잡 입력 또는 조건 정보를 시뮬레이션 실행을 위한 형태로 변형하기 위한 형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크벤치 실행 처리부(400)는 사이언스 앱 정보 서비스 라이브러리 호출부(420B) 및 시뮬레이션 서비스 라이브러리 호출부(42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정보 서비스 라이브러리 호출부(420B)는 상기 사이언스 앱에서 입력되는 데이터의 형태 및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데이터의 형태에 관한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서비스 라이브러리 호출부(420C) 상기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워크벤치 레이아웃 정보(430)는 상기 워크 벤치의 디스플레이 되는 구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크벤치 실행 처리부(400)는 사이언스 앱 정보 서비스 라이브러리 호출부(430A), 시뮬레이션 정보 서비스 라이브러리 호출부(430B) 및 로그인 사용자 정보 호출부(430C)를 포함할 수 있고, 레이아웃 구성정보(430D)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정보 서비스 라이브러리 호출부(430A)는 상기 사이언스 앱의 형태에 관한 정보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상기 사이언스 앱의 형태는 입력, 출력, 및 로그 포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정보 서비스 라이브러리 호출부(430B)는 상기 시뮬레이션의 형태에 관한 정보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의 형태는 상기 시뮬레이션이 동작하는 방식, 서버 환경 및 병렬처리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그인 사용자 정보 호출부(430C)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선호 레이아웃 정보, 사용자의 히스토리 정보에 의한 기 사용 레이아웃 정보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워크벤치 실행 처리부(400)는 상기 사이언스 앱 정보 서비스 라이브러리 호출부(430A), 상기 시뮬레이션 정보 서비스 라이브러리 호출부(430B) 및 상기 로그인 사용자 정보 호출부(430C)에서 호출한 정보를 이용해 상기 레이아웃 구성정보(430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레이아웃 구성정보(430D)는 레이아웃 정보 및 수행 부분 포틀릿 정보를 이용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이아웃 정보는 웹 페이지에서 워크벤치가 표시되는 컬럼 및 포틀릿의 배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행 부분 포틀릿 정보는 상기 포틀릿의 구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틀릿의 구성에 관한 정보는 OSGi(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에 기반할 수 있다. 상기 OSGi에 기반한 포틀릿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크벤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워크 벤치 서비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서비스는 워크벤치를 실행하면 시뮬레이션을 추가하거나, 시뮬레이션 잡을 추가하거나, 기존 실행된 시뮬레이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추가는 다른 종류의 시뮬레이션을 추가하는 작업을 의미할 수 있다. 외부 서버 등에 저장된 새로운 시뮬레이션 정보를 이용해 새로운 시뮬레이션을 추가하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잡 추가는 워크벤치에서 실행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에 새로운 조건에 따른 시뮬레이션 잡을 추가하는 작업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잡 추가는 입력 포트를 통해 입력 정보 또는 조건 정보를 받을 수 있고 상기 입력 정보 또는 조건 정보는 입력 덱(deck)을 이용하거나 파일 셀렉터를 통해 파일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잡 추가는 시뮬레이션 실행을 할 수 있고 시뮬레이션 중단을 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잡 추가는 아웃풋 포트를 통해 상기 시뮬레이션에 의한 결과를 받을 수 있다. 상기 아웃풋 포트를 통해 상기 결과 값을 받을 수 있고 분석기 선택을 통해 상기 결과를 적절한 분석기에 연결해 결과 분석 후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존 시뮬레이션 정보는 입력 포트를 통해 입력 정보 또는 조건 정보를 받을 수 있고 상기 입력 정보 또는 조건 정보는 입력 덱(deck)을 이용하거나 파일 셀렉터를 통해 파일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기존 시뮬레이션 정보는 기존 조건을 적용해 시뮬레이션 재실행을 할 수 있고 시뮬레이션 중단을 할 수 있다.
상기 기존 시뮬레이션 정보는 아웃풋 포트를 통해 상기 시뮬레이션에 의한 결과를 받을 수 있다. 상기 아웃풋 포트를 통해 상기 결과 값을 받을 수 있고 분석기 선택을 통해 상기 결과를 적절한 분석기에 연결해 결과 분석 후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서비스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서비스는 입력 포트 별로 개별적 시뮬레이션에 관한 조건, 설정 등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면 사이언스 앱이 상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각각 입력 포트와 연결된 출력 포트를 통해 결과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비스의 기본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서비스는 좌측에 기 실행된 시뮬레이션의 정보를 표시하고 선택할 수 있고, 그 아래에는 선택된 시뮬레이션에서 수행된 시뮬레이션 잡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잡 정보 아래에는 입력, 로그 및 출력 포트 정보가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출력 포트 아래에는 시뮬레이션 추가, 시뮬레이션 잡 추가, 시뮬레이션 실행을 위한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중간 부분에는 입력 받을 조건을 표시하고, 빈칸에 조건을 입력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우측에는 시뮬레이션에 의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에서 표시하는 결과는 그래프를 예시로 들고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그래프에 한정되지 않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표시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기반 워크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기반 워크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은 시뮬레이션 실행을 위한 워크벤치 웹 서비스를 호출하는 단계(S8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801 단계는 웹 페이지 상에서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워크벤치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S801 단계는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에 대한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워크벤치를 호출해 줄 수 있다. 상기 S801 단계는 클라이언트를 식별해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맞는 워크벤치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S801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를 식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전 사용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최적화된 워크벤치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S801 단계는 사용자의 워크벤치 실행 요청이 있는 경우, 워크 벤치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워크벤치 호출 단계는 워크 벤치 타입 및 워크 벤치 실행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S801 단계는 상기 워크 벤치 타입 및 워크 벤치 실행 정보에 따라 실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행 불가 판단을 내린 경우 상기 워크 벤치 타입 및 워크 벤치 실행 정보는 추가 정보 요청을 할 수 있다.
상기 S801 단계가 실행 가능 판단을 내린 경우, 사용자의 브라우저 및 시뮬레이션 정보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801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브라우저 및 시뮬레이션 정보 요청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면, 워크벤치 구성 정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정보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801 단계는 사용자의 브라우저 및 시뮬레이션 정보 요청시 사용자 식별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 단계는 먼저 사용자 브라우저 확인 및 사용자 서비스 지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S801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브라우저가 서비스가 지원 가능한지 여부,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우저의 서비스 지원 가능 여부는, 상기 브라우저의 종류, 버전 및 어플리케이션 등 지원 프로그램의 설치 여부를 이용해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서비스 지원 가능 여부는 상기 사용자의 권한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 단계는 지원 불가 판단을 내린 경우 접속 변경 요청을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 단계는 지원 가능 판단을 내린 경우 사용자의 접속 정보 및 이전 시뮬레이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접속 정보와 일치하는 접속 정보가 이전에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기록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 단계는 상기 이전 시뮬레이션 정보의 존재 확인 결과 이전 시뮬레이션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전 시뮬레이션 정보에 따른 워크벤치 구성요소 정보를 요청하고, 이전 시뮬레이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본 워크벤치 구성요소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워크벤치 호출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브라우저 및 시뮬레이션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식별 과정을 통해 요청된 워크벤치 구성요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워크벤치 구성요소 정보는 이용해 상기 워크벤치 호출 과정에서 워크벤치 구성 정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 정보 요청을 통해 사용자에 워크 벤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기반 워크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은 상기 웹 서비스를 실행하고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성하는 단계(S8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802 단계는, 상기 S801 단계에서 호출한 정보에 따라 워크벤치를 생성해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S802 단계는 사이언스 앱 정보, 시뮬레이션 수행 정보, 워크벤치 레이아웃 정보를 처리할 수 있고 후술할 S803 단계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S802 단계는 외부 서버 또는 외부 시스템과 정보 교환을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기반 워크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100)은 시뮬레이션 데이터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802 단계는 상기 시뮬레이션 데이터 제공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S802 단계는 사이언스 앱 정보(410), 시뮬레이션 수행 정보(420) 및 워크벤치 레이아웃 정보(430)를 처리해 워크벤치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워크벤치 실행 처리부(400)는 워크벤치에서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정보(410)는 입력 파일이나 데이터의 종류, 형식, 구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정보(410)는 결과 파일의 종류, 형식, 구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정보(410)는 사이언스 앱 구성 정보(41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정보(410)는 사이언스 앱 기본정보, 사이언스 앱 입력 포트 정보, 사이언스 앱 로그 포트 정보 및 사이언스 앱 출력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기본정보는 상기 사이언스 앱의 이름, 설명, 요약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입력 포트 정보는 상기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입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입력 포트 정보는 입력 정보의 형태 별로 입력 받을 수 있는 포트를 정의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로그 포트 정보는 상기 시뮬레이션이 실행 중 모니터링을 위한 정보를 위한 포트이다. 상기 사이언스 앱 로그는 상기 시뮬레이션의 실행 중 모니터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로그는 상기 시뮬레이션의 진행 정도,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이언스 앱 로그 포트 정보는 상기 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출력 포트 정보는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가 어떤 형태를 가지는 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태는 그림, 텍스트 및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802 단계는 사이언스 앱 정보 서비스 라이브러리 호출 단계 및 사이언스 앱 포트 정보 서비스 라이브러 호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정보 서비스 라이브러리 호출 단계는 상기 사이언스 앱 구성 정보(410A)에 포함되는 상기 사이언스 앱 기본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포트 정보 서비스 라이브러 호출 단계는 상기 사이언스 앱 구성 정보(410A)에 포함되는 사이언스 앱의 포트 정보들을 가져올 수 있다. 상기 포트 정보는 입력 포트, 로그 포트 및 출력 포트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 정보(420)는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정보로 후술할 S803 단계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 정보(420)는 시뮬레이션 구성 정보(41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구성 정보(410A)는 상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S803 단계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구성 정보(410A)는 시뮬레이션 수행 정보, 시뮬레이션 잡 수행 정보, 시뮬레이션 잡 데이터 정보 및 시뮬레이션 잡 스트럭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 정보는 상기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코어 수, 병렬 처리 방식 및 기타 서버 시스템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잡 수행 정보는 기본적으로 실행되는 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적으로 실행되는 잡에 대한 정보는 상기 잡이 생성된 시기, 상기 잡의 수행 시간 및 상기 실행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잡 데이터 정보는 시스템이 입력 받은 시뮬레이션 잡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잡 데이터 정보는 상기 시뮬레이션을 위한 입력 또는 조건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잡 스트럭쳐 정보는 입력 받은 잡 입력 또는 조건 정보를 시뮬레이션 실행을 위한 형태로 변형하기 위한 형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802 단계는 사이언스 앱 정보 서비스 라이브러리 호출 단계 및 시뮬레이션 서비스 라이브러리 호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정보 서비스 라이브러리 호출 단계는 상기 사이언스 앱에서 입력되는 데이터의 형태 및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데이터의 형태에 관한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서비스 라이브러리 호출 단계는 상기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워크벤치 레이아웃 정보(430)는 상기 워크 벤치의 디스플레이 되는 구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802 단계는 사이언스 앱 정보 서비스 라이브러리 호출 단계, 시뮬레이션 정보 서비스 라이브러리 호출 단계 및 로그인 사용자 정보 호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레이아웃 구성정보(430D)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정보 서비스 라이브러리 호출 단계는 상기 사이언스 앱의 형태에 관한 정보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상기 사이언스 앱의 형태는 입력, 출력, 및 로그 포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정보 서비스 라이브러리 호출 단계는 상기 시뮬레이션의 형태에 관한 정보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의 형태는 상기 시뮬레이션이 동작하는 방식, 서버 환경 및 병렬처리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그인 사용자 정보 호출 단계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선호 레이아웃 정보, 사용자의 히스토리 정보에 의한 기 사용 레이아웃 정보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S802 단계는 상기 사이언스 앱 정보 서비스 라이브러리 호출 단계, 상기 시뮬레이션 정보 서비스 라이브러리 호출 단계 및 상기 로그인 사용자 정보 호출 단계에서 호출한 정보를 이용해 상기 레이아웃 구성정보(430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레이아웃 구성정보(430D)는 레이아웃 정보 및 수행 부분 포틀릿 정보를 이용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이아웃 정보는 웹 페이지에서 워크벤치가 표시되는 컬럼 및 포틀릿의 배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행 부분 포틀릿 정보는 상기 포틀릿의 구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틀릿의 구성에 관한 정보는 OSGi(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에 기반할 수 있다. 상기 OSGi에 기반한 포틀릿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기반 워크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은 시뮬레이션 조건을 입력하는 단계(S803) 및 상기 조건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고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S8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803 단계는 입력 받은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시스템에서 인식 가능하도록 데이터 포맷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S803 단계는 사이언스 앱 입력 포트 라이브러리 호출 단계 및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 라이브러리 호출 단계를 포함할 수있다.
상기 앱 입력 포트 라이브러리 호출 단계와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 라이브러리 호출 단계는 사이언스 어플리케이션 입력 정보(310A)를 구성하는 정보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어플리케이션 입력 정보(310A)는 사이언스 앱 입력 정보와 사이언스 앱 데이터 스트럭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기 사이언스 앱 입력 정보는 상기 사이언스 앱 입력 포트 라이브러리 호출 단계가 호출한 입력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포트 정보는 템플릿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포트 정보는 시뮬레이션을 위해 입력 받아야 하는 정보의 종류 및 형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입력 정보는 상기 사이언스 앱에서 정의한 데이터 형태 정보 또는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데이터 스트럭쳐 정보는 시뮬레이션 입력 정보 라이브러리 호출 단계가 호출한 데이터 구조 정보일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구성된 앱 입력 스트럭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데이터 스트럭쳐 정보는 입력 데이터의 입력 형식, 구조 및 입력 방식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데이터 스트럭쳐 정보는 입력받은 정보,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실제 입력 또는 조건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어플리케이션 입력 정보(310A)는 상기 S804 단계에서 시뮬레이션 실행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S804 단계는 상기 시뮬레이션 실행을 위해 사이언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320A)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사이언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320A)를 이용해 시뮬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S804 단계는 현재 실행중인 사이언스 앱의 실행 정보, 시뮬레이션 잡 정보, 시뮬레이션 잡의 데이터 스트럭쳐 정보가 입력되어 사이언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320A)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실행 정보는 상기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코어수, 병렬처리 방식 및 기타 서버 시스템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잡 수행 정보에서 상기 시뮬레이션 잡은 현재 실행되는 시뮬레이션을 지칭할 수 있고 잡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잡 수행 정보는 잡이 생성된 시기, 실행되는 시간, 잡이 실행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잡 데이터 스트럭쳐 수행 정보는 상기 S803 단계에서 입력된 정보가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형태로 변환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320A)를 토대로 시뮬레이션 실행 라이브러리 호출 단계가 시뮬레이션 실행 라이브러리를 호출해 시뮬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기반 워크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은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S805) 및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 제공하는 단계(S8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805 단계는 상기 시뮬레이션이 실행되고 해당 결과가 계산되면 상기 결과를 사용자가 이해하기 위한 형태로 변환 하여 워크벤치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S805 단계는 시뮬레이션 모니터링 라이브러리 호출 단계, 시뮬레이션 실행 결과 라이브러리 호출 단계 및 시뮬레이션 결과 해석 라이브러리 호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성을 통해 사이언스 앱 실험 결과 정보(330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모니터링 라이브러리 호출 단계는 시뮬레이션이 제대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상기 시뮬레이션이 현재 수행되고 있는지 끝났는지 또는 에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결과 시뮬레이션이 정상 작동 하는 경우 상기 시뮬레이션 실행 결과 라이브러리 호출 단계는 시뮬레이션 잡이 끝나면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결과는 특정 폴더에 기록될 수 있고, 상기 시뮬레이션 실행 결과 라이브러리 호출 단계가 상기 특정 폴더에 기록된 상기 결과를 호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해석 라이브러리 호출 단계는 상기 결과에 대한 값이 가지는 특정 형태가 어떤 형태인지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특정 형태는 그림, 텍스트,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805 단계는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정보 또는 사이언스 앱 실험 결과 정보(330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이언스 앱 실험 결과 정보(330D)는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포함하고, 이를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기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기는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분석기이다.
상기 S806 단계는 상기 분석 결과가 그림인 경우 그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좌표 정보인 경우 그래프를 도시해 줄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 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시뮬레이션 실행을 위한 워크벤치 웹 서비스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웹 서비스를 실행하고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성하는 단계;
    시뮬레이션 조건을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시뮬레이션 조건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실행된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호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브라우저 및 시뮬레이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브라우저 및 상기 시뮬레이션 정보의 요청에 따라서, 상기 워크벤치 웹 서비스 구성 정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브라우저 및 상기 시뮬레이션 정보의 요청에 따라서, 사용자 식별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브라우저 지원 가능 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지원 가능 여부를 식별하는,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브라우저 지원 가능 여부는 상기 브라우저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 설치 여부에 기초하는,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지원 가능 여부는 상기 사용자의 권한 유무에 기초하는,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시뮬레이션 데이터에 기반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되는 레이아웃 정보에 따라 화면을 구성하는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조건은,
    파일, 입력 데이터 스트럭쳐, 텍스트 및 수치를 포함하는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10. 시뮬레이션 실행을 위한 워크벤치 웹 서비스를 호출하는 워크벤치 호출부; 및
    상기 웹 서비스를 실행하고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성하고, 시뮬레이션 조건을 입력 받고, 상기 조건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고 결과를 저장하는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워크벤치 호출부는,
    사용자의 브라우저 및 시뮬레이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의 브라우저 및 상기 시뮬레이션 정보의 요청에 따라서, 상기 워크벤치 웹 서비스 구성 정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의 브라우저 및 상기 시뮬레이션 정보의 요청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브라우저 지원 가능 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지원 가능 여부를 식별하는,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분석하는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 제공하는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브라우저 지원 가능 여부는 상기 브라우저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 설치 여부에 기초하는,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지원 가능 여부는 상기 사용자의 권한 유무에 기초하는,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15. 삭제
  16. 제10항에 있어서,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워크벤치 서비스가 시뮬레이션 실행시 상기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데이터 제공부;
    를 포함하는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되는 레이아웃 정보에 따라 화면을 구성하는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조건은,
    파일, 입력 데이터 스트럭쳐, 텍스트 및 수치를 포함하는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19. 시뮬레이션 실행을 위한 워크벤치 웹 서비스를 호출하고, 상기 워크벤치 웹 서비스를 호출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브라우저 및 시뮬레이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의 브라우저 및 상기 시뮬레이션 정보의 요청에 따라서, 상기 워크벤치 웹 서비스 구성 정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의 브라우저 및 상기 시뮬레이션 정보의 요청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브라우저 지원 가능 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지원 가능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웹 서비스를 실행하고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성하고, 시뮬레이션 조건을 입력한 뒤 상기 조건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고 결과를 저장하는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70105279A 2017-08-21 2017-08-21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및 시스템 KR101818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279A KR101818712B1 (ko) 2017-08-21 2017-08-21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279A KR101818712B1 (ko) 2017-08-21 2017-08-21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8712B1 true KR101818712B1 (ko) 2018-02-28

Family

ID=61401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279A KR101818712B1 (ko) 2017-08-21 2017-08-21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712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계산 과학 응용을 위한 과학 워크플로우 통합 수행 환경 설계", 한국 인터넷 정보학회 13권 1호(pp. 37-44), 2012년 02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2237B2 (en) Automated testing of gesture-based applications
US9600400B1 (en) Performance testing of web application components using image differentiation
US20110125448A1 (en) Three-dimensional application program framework structure and a method for implementing an application program based on the same, and an automatic testing system based on a three-dimensional application software framework and a method therefor
US11074162B2 (en) System and a method for automated script generation for application testing
US10768906B2 (en) Multi-technology visual integrated data management and analytics development and deployment environment
CA286618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ilding a universal intelligent assistant with learning capabilities
US201200547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replaying software application events
JP4023803B2 (ja) ウェブアプリケーション開発支援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184361A1 (zh) 应用程序测试方法、服务器、终端和存储介质
JP2011002870A (ja) ウェブアプリケーションの操作性評価・改善方法およびウェブシステム
JP2011521328A (ja) リアルタイム複製を用いてソフトウェアをテスト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WO2009096322A1 (ja) プログラムテスト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3007371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1104123A (zh) 应用程序的自动部署
CN107038117B (zh) 一种基于事件处理函数间定义-引用的web自动化测试方法
US20090217259A1 (en) Building Operating System Images Based on Applications
US20150199255A1 (en) Recording external processes
US20240036829A1 (en) Providing resolution suggestions in a program development tool
JP2010102620A (ja) ユーザ操作シナリオ生成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18712B1 (ko) 웹 기반 워크 벤치 서비스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및 시스템
US20220214963A1 (en) Analysis apparatus, analysis method and program
US20230153723A1 (en) Workflow manager
Vizulis et al. Self-testing approach and testing tools
US20150295851A1 (en) Authorization review system
JP5545133B2 (ja) 静的解析処理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