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634B1 - 액정표시장치 모듈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634B1
KR101818634B1 KR1020100104677A KR20100104677A KR101818634B1 KR 101818634 B1 KR101818634 B1 KR 101818634B1 KR 1020100104677 A KR1020100104677 A KR 1020100104677A KR 20100104677 A KR20100104677 A KR 20100104677A KR 101818634 B1 KR101818634 B1 KR 101818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panel
hook projection
cover bottom
backligh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3388A (ko
Inventor
김준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4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634B1/ko
Publication of KR20120043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베젤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체결 수단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은 커버 버툼과; 상기 커버버툼 상에 놓이며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 상에 안착되고 전면을 통해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액정패널의 측면을 둘러싸는 메인 서포트와; 상기 액정패널의 상기 전면 가장자리를 덮는 제1 내지 제4상면과, 상기 액정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1 내지 제4측면을 가지는 케이스 탑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탑의 상기 제1 및 제2측면은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1 및 제2측면의 각각은 다수의 스크류를 통해 상기 커버 버툼과 체결되고, 상기 케이스 탑의 상기 제3 및 제4측면은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3 및 제4측면의 각각은 다수의 후크를 통해 상기 커버 버툼과 체결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모듈{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젤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체결 수단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모듈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device)는 두 기판과 두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며, 액정층의 액정분자 배열을 조절함으로써 빛을 투과시켜 영상을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며, 각 화소는 박막트랜지스터와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을 포함한다. 각 화소의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에 전압을 각각 인가함으로써,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 사이에 전기장이 생성되고, 생성된 전기장에 의하여 액정층의 액정분자가 재배열됨으로써, 액정층의 투과율이 변화된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의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값을 갖도록 각 화소의 액정층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액정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자체 발광소자가 아니므로 별도로 빛을 공급해야 한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과, 액정패널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램프를 광원(light source)으로 포함하며, 램프로부터 출사된 빛의 경로에 따라 직하형(direct type)과 에지형(edg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다수의 램프를 액정패널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램프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직접적으로 액정패널에 공급하는 방식이다.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패널 하부에 도광판을 배치하고 램프를 도광판의 적어도 일측면에 배치함으로써, 도광판에서의 굴절 및 반사를 이용하여 램프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간접적으로 액정패널에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액정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은 그 테두리가 메인 서포트에 의해 둘러싸이며, 백라이트 유닛 하부에 위치하는 커버 버툼과 액정 패널 상부에 위치하는 케이스 탑의 체결에 의해 고정 및 보호되어 액정표시장치 모듈을 구성한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2는 도1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바와 같이, 케이스 탑(20)이 액정패널(10)의 전면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있으며, 케이스 탑(20)은 그 상면으로부터 액정패널(10) 하부에 위치하는 커버버툼(도시하지 않음)과 다수의 스크류, 즉, 나사(32a, 32b, 32c, 32d, 32e, 34a, 34b, 34c, 36a, 36b, 36c, 38a, 38b, 38c)를 통해 체결된다. 이때, 스크류(32a, 32b, 32c, 32d, 32e, 34a, 34b, 34c, 36a, 36b, 36c, 38a, 38b, 38c)는 케이스 탑(20)과 메인 서포트(도시하지 않음) 및 커버 버툼(도시하지 않음)을 지나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 탑(20)과 메인 서포트 및 커버 버툼은 고정되어, 액정 패널(10)과 백라이트 유닛(도시하지 않음)을 보호한다.
일반적으로, 액정패널의 전면 및 측면을 덮도록, 케이스 탑은 상면과 측면으로 구성되어 그 단면이 "ㄱ"자 형태를 가지며, 액정패널에서 구현되는 화상이 외부로 표시될 수 있도록 케이스 탑의 상면은 개구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 탑은, 금속플레이트를 사각형 형상의 일정크기로 절단하고, 절단된 금속플레이트의 내측에 사각형 형상의 개구부를 형성한 후, 단면이"ㄱ"자 모양을 이루도록 드로잉(drawing) 및 벤딩(bending) 가공을 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개구부는 펀칭공정(Punching process)에 의한 절단 작업을 통해 형성되는데,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절단된 금속플레이트는 불필요한 재료로 남게 되어, 공정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케이스 탑을 분리 가능한 여러 부분으로 형성하여 조립하는 구조가 제시되었으며, 이 경우, 케이스 탑의 제조공정 시 절단되어 버려지는 금속플레이트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공정 비용의 절감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 탑을 분리형으로 구성할 경우, 케이스 탑의 분리된 부분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결합 부분에 반드시 스크류가 필요하다.
그런데, 최근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가장자리로부터 화상 영역까지의 거리인 베젤(bezel) 길이의 감소를 통해, 액정표시장치의 부피와 무게 감소 및 화면이 보다 넓어 보이는 효과를 가져오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베젤 길이가 감소될 경우, 스크류를 사용한 체결에 제약을 받는다.
또한, 스크류를 이용한 체결은 스크류의 소모로 인한 재료비 증가 및 이물질의 발생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즉, 스크류를 케이스 탑 및 커버 버툼과 결합할 때, 스크류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일일이 체결해야 하므로, 조립 및 분해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요구된다.
게다가, 스크류를 케이스 탑 및 커버 버툼과 결합할 때, 스크류와 커버 버툼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 이물질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이물질은 액정표시장치의 화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앞서 언급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베젤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으면서 체결 강도가 높은 액정표시장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크류의 사용을 줄여 비용 절감 및 공정 시간을 단축하며, 화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 모듈은 커버 버툼과; 상기 커버버툼 상에 놓이며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 상에 안착되고 전면을 통해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액정패널의 측면을 둘러싸는 메인 서포트와; 상기 액정패널의 상기 전면 가장자리를 덮는 제1 내지 제4상면과, 상기 액정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1 내지 제4측면을 가지는 케이스 탑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탑의 상기 제1 및 제2측면은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1 및 제2측면의 각각은 다수의 스크류를 통해 상기 커버 버툼과 체결되고, 상기 케이스 탑의 상기 제3 및 제4측면은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3 및 제4측면의 각각은 다수의 후크를 통해 상기 커버 버툼과 체결된다.
상기 케이스 탑은 분리되는 제1 내지 제4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1상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2측면과 상기 제2상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부분은 상기 제3측면과 상기 제3상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부분은 상기 제4측면과 상기 제4상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부분과 상기 제4부분의 각각은 "ㄷ"자 모양을 가진다.
상기 제1부분의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부분의 상기 제2측면 각각은 양끝에제1 및 제2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장부는 상기 제3부분과 중첩하고,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제4부분과 중첩하여, 스크류를 통해 고정된다.
상기 제3부분과 상기 제4부분의 각각은 각 모서리의 양측에 결합홀을 가지며, 상기 메인 서포트는 상기 결합홀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결합홀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결합홀은 상기 제3상면과 상기 제3측면이 만나는 부분 및 상기 제4상면과 상기 제4측면이 만나는 부분에 각각 위치한다.
상기 스크류는 상기 케이스 탑과 상기 커버버툼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 서포트에 고정된다.
상기 후크의 각각은 상기 케이스 탑에 형성되는 제1후크돌기와 상기 커버 버툼에 형성되는 제2후크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후크돌기와 상기 제2후크돌기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베젤의 길이가 감소된 액정표시장치 모듈에 있어서, 상하측면에서만 스크류를 사용하여 체결하고, 좌우측면은 후크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스크류의 사용을 줄여 비용 절감 및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물질에 의한 화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탑을 분리형으로 형성하여 비용을 절감하는데 있어서, 좌우측면의 후크를 이용한 체결과 함께, 분리되는 부분을 스크류로 고정시키고, 케이스 탑에 결합홀을 형성하여 메인 서포트의 돌출부를 관통시킴으로써, 분리형 케이스 탑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2는 도1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을 도시한 상부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상하 측면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좌우 측면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C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a와 도 10b는 도 9에서 X-X선을 따라 자른 단면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 모듈은 커버버툼(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메인 서포트(130), 액정패널(140) 및 케이스 탑(160)를 포함한다.
액정 패널(140)은 하부 기판(142)과 상부 기판(144)을 포함하며, 두 기판(142, 144) 사이에는 액정층(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부 기판(142)은 내면에 다수의 게이트 및 데이터 배선을 포함하며, 게이트 및 데이터 배선은 교차하여 다수의 화소영역을 정의한다. 각 화소영역에는 게이트 및 데이터 배선과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이 위치한다. 이러한 하부 기판(142)은 어레이 기판이라 일컬어진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부 기판(144)은 내면에 블랙매트릭스와 컬러필터층 및 공통 전극을 포함한다. 블랙매트릭스는 화소영역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블랙매트릭스의 개구부에 대응하여 컬러필터층의 적, 녹, 청 컬러필터패턴이 순차적으로 위치한다. 공통 전극이 블랙매트릭스와 컬러필터층을 덮고 있으며, 공통 전극은 화소 전극과 함께 액정 커패시터를 이룬다. 이러한 상부 기판(144)은 컬러필터 기판이라 일컬어진다.
여기서, 상부 기판(144)의 면적이 하부 기판(142)보다 작아, 하부 기판(142)을 부분적으로 노출한다.
액정 패널(140)은 하부 기판(142)과 상부 기판(144)의 바깥쪽 면에 위치하는 하부 편광판(도시하지 않음)과 상부 편광판(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한다.
액정 패널(140)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154)이 연결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154)은 연성회로기판과 같은 연결부재(152)를 통해 액정 패널(140)의 하부 기판(142)에 연결되는데, 인쇄회로기판(154)는 게이트 배선에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PCB와 데이터 배선에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PCB로 나뉘어 액정 패널(140)의 인접한 두 가장자리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 PCB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게이트 배선에 인가되는 신호는 데이터 PCB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액정 패널(140)의 하부에는 백라이트 유닛(120)이 위치하여, 액정 패널(140)에 빛을 공급한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반사시트(122)와, 반사시트(122) 상부에 일정하게 배열된 다수개의 램프(124), 그리고 램프(124)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램프(124)의 양단을 가로지르는 한 쌍의 사이드 서포트(128)를 포함한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120)은 램프(124)와 사이드 서포트(128) 상부에 배치된 다수의 광학시트(126)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사이드 서포트(128)는 서포트 사이드라고 불리기도 한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광학시트(126)의 가운데 부분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램프(124)와 광학시트(126)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고, 충격에 의한 램프(124)의 흔들림과 파손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램프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램프(124)는 광원으로서,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나 외부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와 같은 형광램프가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형광램프 이외에 발광다이오드 램프(light-emitting diode lamp)가 램프(124)로 이용될 수도 있다.
반사시트(122)는 램프(124)의 하부에 위치하여, 램프(124)의 하부로 방출되는 빛을 액정 패널(140) 쪽으로 반사시킴으로써, 빛의 휘도를 향상시킨다. 램프(124) 상부의 광학시트(126)는 확산시트와 적어도 하나의 집광시트를 포함하여, 램프(124)로부터의 빛을 확산 또는 집광한다.
여기서는 램프(124)가 액정패널(140) 하부에 배치되어 직접 빛을 공급하는 직하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액정패널(140) 하부에 도광판을 배치하고 램프를 도광판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하여 빛을 간접적으로 공급하는 에지형이 적용될 수도 있다.
케이스 탑(160)은 상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지는데, 케이스 탑(160)의 상면은 액정 패널(140)의 전면(front surface) 가장자리를 덮으며, 액정 패널(140)의 전면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가진다. 또한, 케이스 탑(160)은 분리된 부분들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하여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메인 서포트(130)는 백라이트 유닛(120)과 액정패널(140)의 측면을 둘러싼다. 도시한 것처럼, 메인 서포트(130)는 사각틀 형태를 가지나, 메인 서포트(130)의 모양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측이 개구된 사각틀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때, 커버 버툼(110)은 메인 서포트(130)의 개구된 부분에 대응하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커버 버툼(110)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배면에 위치하며, 케이스 탑(160)과 결합하여 액정패널(14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을 고정, 지지 및 보호한다.
한편, 인쇄회로기판(154)은 케이스 탑(160)과 커버 버툼(110)의 결합시 커버 버툼(110)의 배면 쪽으로 접혀 커버 버툼(110)의 배면에 안착된다.
여기서, 케이스 탑(160)은 탑 케이스 또는 탑 커버라 일컬어지기도 하고, 메인 서포트(130)는 서포트 메인이라 일컬어지기도 하며, 커버 버툼(110)은 버텀 커버라 일컬어지기도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케이스 탑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을 도시한 상부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탑(160)이 액정패널(140)의 전면 가장자리를 덮고 있으며, 케이스 탑(160)은 메인 서포트(도 3의 130) 및 커버 버툼(도 3의 110)과 체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케이스 탑(160)은 분리되는 제1 내지 제4부분(162, 164, 166, 168)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부분(162, 164, 166, 168)의 각각은 직각으로 만나는 상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져, 그 단면이 "ㄱ"자 모양을 가진다. 여기서, 상면은 액정패널(140)의 전면 가장자리에 대응하고, 측면은 액정패널(140)의 측면에 대응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1부분(162)은 제1상면과 제1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제2부분(164)은 제2상면과 제2측면으로 이루어지며, 제3부분(166)은 제3상면과 제3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제4부분(168)은 제4상면과 제4측면으로 이루어진다.
제1부분(162)과 제2부분(164)은 서로 마주보며, 제1방향에 평행한 액정패널(140)의 장변에 대응하고, 제3부분(166)과 제4부분(168)은 서로 마주보며,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에 평행한 액정패널(140)의 단변에 대응한다. 제3부분(166)과 제4부분(168)의 각각은 양단이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평면에서 볼 때 "ㄷ"자 모양을 가진다. 제3부분(166)과 제4부분(168)은 각 모서리에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결합홀(167a, 167b)을 포함한다. 이러한 결합홀(167a, 167b)은 제3상면과 제3측면이 만나는 부분, 또는 제4상면과 제4측면이 만나는 부분에 위치한다.
메인 서포트(도 3의 130)는 결합홀(167a, 167b)에 대응하는 돌출부(132a, 132b)를 가지고 있으며, 돌출부(132a, 132b)가 결합홀(167a, 167b)을 통해 돌출되어, 메인 서포트(도 3의 130)와 케이스 탑(160)은 고정함으로써,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제1부분(162)은 제2부분(164)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제3부분(166)은 제4부분(168)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체결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로,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상측면과 좌측면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상하 측면에 대응하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좌우 측면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C영역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0a와 도 10b는 도 9에서 X-X선을 따라 자른 단면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탑(160)의 제1부분(162)은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상측면에 대응하고, 제3부분(166)은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좌측면에 대응한다. 한편, 케이스 탑(160)의 제2부분(도 4의 164)은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하측면에 대응하고, 제4부분(도 4의 168)은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우측면에 대응한다.
제1부분(162)은 직각으로 만나는 제1상면(162a)과 제1측면(162b)으로 이루어지며, 제3부분(166)은 직각으로 만나는 제3상면(166a)과 제3측면(166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3부분(166)의 일끝은 제1부분(162) 쪽으로 굽어져 연장되며, 제3부분(166)의 제3측면(166b)은 제1부분(162)의 제1측면(162b)에서 이어진 연장부와 중첩하여 스크류(172)를 통해 체결된다. 이때, 스크류(172)는 제3부분(166)의 제3측면(166b)과 제1부분(162)의 제1측면(162b)을 관통하여 커버 버툼(도 3의 110)과 결합하며, 메인 서포트(도 3의 130)와 더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제2부분(도 4의 164)과 결합되는 제3부분(166)의 타끝도 이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부분(162) 및 제2부분(도 4의 164)과 각각 결합되는 제4부분(도 4의 168)의 양끝도 이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부분(162)의 제1측면(162b)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가 더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스크류는 제1부분(162)의 제1측면(162b) 및 커버 버툼(도 3의 110)을 지나며, 메인 서포트(도 3의 130)와 더 결합될 수 있다.
제3부분(166)은, 모서리에 인접하여 모서리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적어도 두 개의 결합홀(167a, 167b)을 가지며, 메인 서포트(도 3의 130)의 돌출부(132a, 132b)가 결합홀(167a, 167b)을 통해 각각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홀(167a, 167b)은 제3상면(166a)과 제3측면(166b)이 만나는 부분에 위치한다.
한편, 제3부분(166)의 제3측면(166b)과 커버 버툼(도 3의 110)은 제1후크돌기(167c)와 제2후크돌기(112)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통해 체결된다.
도 9와 도 10a 및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탑(160)의 제3부분(166)의 제3측면(166b)은 내측으로 오목한 제1후크돌기(167c)를 포함하고, 커버 버툼(110)은 제1후크돌기(167c)에 대응하여 외측으로 볼록한 제2후크돌기(112)를 포함한다. 또한, 커버 버툼(110)과 제3측면(166b)은 제1후크돌기(167c)와 제2후크돌기(112)에 대응하는 관통홀을 각각 포함하며, 케이스 탑(160)과 커버 버툼(110)이 체결되었을 때, 제2후크돌기(112)가 제1후크돌기(167c) 상부에 어긋나게 배치되어 액정패널(140)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에서는, 케이스 탑(160)과 커버 버툼(110)을 측면에서 체결하는데, 도 4의 평면을 기준으로 상하측면은 스크류를 이용하여 체결하며, 좌우측면은 후크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이러한 스크류의 수 및 후크의 수는 액정표시장치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47인치의 경우, 상측면, 즉, 케이스 탑(160)의 제1부분(162)과 커버 버툼(110)은 5개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측면에서 체결될 수 있으며, 하측면, 즉, 케이스 탑(160)의 제2부분(162)과 커버버툼(110)은 3개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측면에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좌우측면, 즉, 케이스 탑(160)의 제3부분(166) 및 제4부분(168)의 각각과 커버버툼(110)은 3개의 후크를 이용하여 측면에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하측면 각각의 양측에 위치하는 스크류는 케이스 탑(160)의 분리된 부분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이상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하다.
140: 액정패널 162: 케이스 탑의 제1부분
166: 케이스 탑의 제2부분 167a, 167b: 결합홀
132a, 132b: 메인 서포트의 돌출부 167c: 제1후크돌기
112: 제2후크돌기 172: 스크류

Claims (8)

  1. 커버 버툼과;
    상기 커버버툼 상에 놓이며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 상에 안착되고 전면을 통해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액정패널의 측면을 둘러싸는 메인 서포트와;
    상기 액정패널의 상기 전면 가장자리를 덮는 제1 내지 제4상면과, 상기 제1 내지 제4상면에 수직하며 상기 액정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1 내지 제4측면을 가지는 케이스 탑
    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탑의 상기 제1 및 제2측면은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1 및 제2측면의 각각은 다수의 스크류를 통해 상기 커버 버툼과 체결되고, 상기 케이스 탑의 상기 제3 및 제4측면은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3 및 제4측면의 각각은 다수의 후크를 통해 상기 커버 버툼과 체결되고,
    상기 다수의 스크류 각각의 헤드는 상기 제1측면 또는 상기 제2측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후크의 각각은 상기 케이스 탑의 제3 또는 제4측면에 형성되는 제1후크돌기와 상기 커버 버툼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후크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후크돌기와 상기 제2후크돌기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후크돌기의 내면 및 외면은 상기 제2후크돌기의 내면 및 외면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후크돌기의 외면과 상기 제2후크돌기의 내면은 서로 마주대하며,
    상기 케이스 탑의 상기 제3측면과 상기 제4측면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액정패널의 상기 전면 방향의 너비가 상기 액정패널의 배면 방향의 너비보다 큰 액정표시장치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탑은 분리되는 제1 내지 제4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1상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2측면과 상기 제2상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부분은 상기 제3측면과 상기 제3상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부분은 상기 제4측면과 상기 제4상면으로 이루어지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부분과 상기 제4부분의 각각은 "ㄷ"자 모양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의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부분의 상기 제2측면 각각은 양끝에 제1 및 제2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장부는 상기 제3부분과 중첩하고,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제4부분과 중첩하여, 스크류를 통해 고정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부분과 상기 제4부분의 각각은 각 모서리의 양측에 결합홀을 가지며, 상기 메인 서포트는 상기 결합홀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결합홀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6. 커버 버툼과;
    상기 커버버툼 상에 놓이며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 상에 안착되고 전면을 통해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액정패널의 측면을 둘러싸는 메인 서포트와;
    상기 액정패널의 상기 전면 가장자리를 덮는 제1 내지 제4상면과, 상기 제1 내지 제4상면에 수직하며 상기 액정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1 내지 제4측면을 가지며 분리되는 케이스 탑
    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탑의 상기 제1 및 제2측면은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1 및 제2측면의 각각은 다수의 스크류를 통해 상기 커버 버툼과 체결되고, 상기 케이스 탑의 상기 제3 및 제4측면은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3 및 제4측면의 각각은 다수의 후크를 통해 상기 커버 버툼과 체결되고,
    상기 다수의 스크류 각각의 헤드는 상기 제1측면 또는 상기 제2측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후크의 각각은 상기 케이스 탑의 제3 또는 제4측면에 형성되는 제1후크돌기와 상기 커버 버툼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후크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후크돌기와 상기 제2후크돌기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후크돌기의 내면 및 외면은 상기 제2후크돌기의 내면 및 외면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후크돌기의 외면과 상기 제2후크돌기의 내면은 서로 마주대하며,
    상기 다수의 스크류는 상기 메인 서포트와 더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 탑은 상기 제3상면과 상기 제3측면이 만나는 부분 및 상기 제4상면과 상기 제4측면이 만나는 부분에 각각 위치하는 결합홀을 가지며, 상기 메인 서포트는 상기 결합홀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결합홀에 각각 삽입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상기 케이스 탑과 상기 커버버툼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 서포트에 고정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8. 삭제
KR1020100104677A 2010-10-26 2010-10-26 액정표시장치 모듈 KR101818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677A KR101818634B1 (ko) 2010-10-26 2010-10-26 액정표시장치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677A KR101818634B1 (ko) 2010-10-26 2010-10-26 액정표시장치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388A KR20120043388A (ko) 2012-05-04
KR101818634B1 true KR101818634B1 (ko) 2018-01-15

Family

ID=46263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677A KR101818634B1 (ko) 2010-10-26 2010-10-26 액정표시장치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6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50218A (ja) 2005-06-20 2006-12-28 Funai Electric Co Ltd 液晶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50218A (ja) 2005-06-20 2006-12-28 Funai Electric Co Ltd 液晶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388A (ko) 201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0711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using the same
KR10129474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36367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8045128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00078296A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70002144A (ko) 액정표시장치용 반사시트 및 이를 이용한백라이트어셈블리와 액정표시장치모듈
US7889286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1792103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00120407A (ko) 액정표시장치
KR101203520B1 (ko) 액정표시장치의 체결구조
US930434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00384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860032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218132B1 (ko) 액정표시장치 모듈
KR102263404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201303B1 (ko)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
KR101803911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30026071A (ko) 액정표시장치
KR20110029752A (ko) 액정표시장치
KR10171927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785340B1 (ko) 커버버툼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00072652A (ko) 액정표시장치
KR101818634B1 (ko) 액정표시장치 모듈
KR20120049705A (ko) 액정표시장치
KR20140089267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