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402B1 -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402B1
KR101818402B1 KR1020170107840A KR20170107840A KR101818402B1 KR 101818402 B1 KR101818402 B1 KR 101818402B1 KR 1020170107840 A KR1020170107840 A KR 1020170107840A KR 20170107840 A KR20170107840 A KR 20170107840A KR 101818402 B1 KR101818402 B1 KR 101818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fixing screw
fixture
elastic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영수
정재용
Original Assignee
민영수
정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영수, 정재용 filed Critical 민영수
Priority to KR1020170107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402B1/ko
Priority to PCT/KR2018/000133 priority patent/WO201903967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에 관한 것으로, 고정 스크류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하향 절곡 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 스크류의 체결 압력에 의해 펼쳐지면서 상부면이 상기 고정 스크류의 헤드부에 밀착되게 구성되고, 하부면이 어버트먼트의 안착부에 밀착되게 구성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돌출되게 구성되는 상부 결합돌기 및 하부 결합돌기로 구성된 다수개의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Abutment loosening preventing member for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로, 픽스쳐와 고정 스크류의 결합시 어버트먼트의 내면부와 고정 스크류 사이에 구성되어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대한 마모로 인해 어버트먼트가 픽스쳐측으로 가라앉는 싱크다운 방지 및 고정 스크류의 풀림을 방지하며, 풀림 방지수단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탄성부를 이루는 경사도가 상이한 각도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접촉면으로 균일하지 않은 압력이 전달된다 하더라도 고정 스크류의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 임플란트(dental implant)는 치아의 결손이 있는 부위나 치아를 뽑은 자리의 턱뼈에 골 이식, 골 신장술 등의 부가적인 수술을 통하여, 충분히 감쌀 수 있도록 부피를 늘린 턱뼈에 생체 적합적인 임플란트 본체를 심어서 자연치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과 치료 술식으로서, 인공 치아 또는 제3의 치아라고도 한다.
치아 임플란트는 치조골 속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픽스쳐(fixture)와, 픽스쳐에 설치되는 어버트먼트(abutment) 및, 어버트먼트에 설치되는 보철물(crown)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구성요소의 구조와 역할은 이미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치아 임플란트는 구강 내의 복잡한 압축-인장 응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짐으로 써 어버트먼트 스크루로 어버트먼트와 픽스쳐를 체결하고 있는 어버트먼트 시스템이 흔들리거나 풀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0185호에는, 몸체와 고정부재가 견고하게 결합되고 몸체와 고정부재 사이의 회전이 방지되며 몸체가 픽스쳐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몸체와 픽스쳐 사이의 회전을 방지하는 몸체와 고정부재의 결합력이 향상된 어버트먼트가 게재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0606호에는, 인공 치아 고정체의 머리부와 록킹 어버트먼트를 견고하게 맞물리게 하면서 그 맞물린 부분을 결합나사로 조여 줌으로 록킹 어버트먼트의 완충역활과 동시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며, 결합나사의 머리 측면에 크라운과의 접촉면을 확대하 여 회전력을 감소시켜 나사가 가장 잘 풀리는 어버트먼트의 결점을 보완한 록킹 어버트먼트가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들에 따르면, 픽스쳐의 상부와 어버트먼트의 하부의 결합부분에 대한 마찰과 압력이 발생하면서 픽스쳐의 내측면과 어머트먼트의 외면부에 대한 마모가 발생하여 소정의 유격이 발생하게 되고, 이 유격으로 인해 어버트먼트와 픽스쳐 간의 결합력이 저하되면서 어머트먼트가 픽스쳐측으로 가라앉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0185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0606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픽스쳐와 고정 스크류의 결합시 어버트먼트의 내면부와 고정 스크류 사이에 풀림 방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픽스쳐와 어버트먼트 간의 결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대한 마모로 인해 어버트먼트가 픽스쳐측으로 가라앉는 싱크다운 방지 및 고정 스크류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풀림 방지수단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탄성부의 상부 및 하부면에 각각 결합돌기를 구성하여 픽스쳐와 어버트먼트 간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부를 이루는 경사도가 상이한 각도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접촉면으로 균일하지 않은 압력이 전달된다 하더라도 고정 스크류의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스크류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하향 절곡 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 스크류의 체결 압력에 의해 펼쳐지면서 상부면이 상기 고정 스크류의 헤드부에 밀착되게 구성되고, 하부면이 어버트먼트의 안착부에 밀착되게 구성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돌출되게 구성되는 상부 결합돌기 및 하부 결합돌기로 구성된 다수개의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는 상기 본체부의 원주면을 따라 동일한 경사각(a)으로 하향 절곡 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부에 대한 경사각(b1)과, 타측부에 대한 경사각(b2)이 서로 다른 각도로 구성되되, 상기 경사각(b1)이 상기 경사각(b2)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및 하부 결합돌기는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탄성부로 향할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고정 스크류와 픽스쳐의 체결시 상기 헤드부와 안착부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픽스쳐와 고정 스크류의 결합시 어버트먼트의 내면부와 고정 스크류 사이에 풀림 방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픽스쳐와 어버트먼트 간의 결합력을 극대화하고, 풀림 방지수단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탄성부의 상부 및 하부면에 각각 결합돌기를 구성하여 픽스쳐와 어버트먼트 간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대한 마모로 인해 어버트먼트가 픽스쳐측으로 가라앉는 싱크다운 방지 및 고정 스크류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를 이루는 경사도가 상이한 각도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접촉면으로 균일하지 않은 압력이 전달된다 하더라도 고정 스크류의 견고한 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200)는 어버트먼트(120)를 픽스쳐(110)에 고정시키는 고정 스크류(130)에 구비되는 것으로, 체결시 그 상부면이 고정 스크류(130)의 헤드부(132)에 밀착되게 구성되며, 하부면이 어버트먼트(120)의 안착부(122)에 밀착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풀림방지 부재(200)는 중앙부에 고정 스크류(130)가 관통하면서 픽스쳐(110)와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관통홀(212)이 형성된 본체부(210)가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210)의 외측 원주면에는 고정 스크류(130)의 체결시 고정 스크류(130)의 헤드부(132)와 어버트먼트(120)의 안착부(122)와 밀착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탄성부(220)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은 본체부(210)가 풀림방지 부재(200)의 내주면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고, 탄성부(220)가 풀림방지 부재(200)의 외주면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그 대략적인 형상이 와셔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탄성부(220)는 본체부(2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본체부(210)의 외측 선단부로부터 일정 각도만큼 하향 절곡되게 형성되며,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부(220)는 고정 스크류(130)의 체결시 상기 고정 스크류(130)로부터 전달되는 체결 압력에 의해 본체부(210)와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펼쳐지면서 그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각각 고정 스크류(130)의 헤드부(132)의 저면부와, 어버트먼트(120)에 형성된 안착부(122)에 각각 완전하게 밀착을 이루면서 어버트먼트(120)와 픽스쳐(11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상기 고정 스크류(11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부(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10)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대한 탄성부(220)의 경사각(a)이 동일한 각도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고정 스크류(130)의 체결에 의해 발생하는 체결 압력으로 인해 상기 경사각(a) 만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탄성부(220)가 펼쳐지면서 상부면이 헤드부(132)의 저면과 밀착을 이루게 되고, 이와 동시에 하부면이 어버트먼트(120)의 안착부(122)와 밀착을 이루면서 고정 스크류(130)와 어버트먼트(120) 간의 긴밀한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어버트먼트(120)와 픽스쳐(110)의 접하는 부분에 마모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어버트먼트(120)의 싱크다운 방지 및 고정 스크류(130)의 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부(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220)의 경사각은 본체부(210)의 일측부에 대한 경사각(b1)과, 타측부에 대한 경사각(b2)이 서로 다른 각도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탄성부(220)의 일측부를 이루는 경사각(b1)은, 타측부를 이루는 경사각(b2)의 경사각도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각(b1)과 경사각(b2)의 크기는 고정 스크류(130)의 체결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고정 스크류(130)를 픽스쳐(110)에 체결할 때, 동일한 체결 압력으로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고, 고정 스크류(130)의 어느 한 지점으로 편향되게 체결 압력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고정 스크류(130)와 픽스쳐(110)가 동축선상에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편향된 체결 압력으로 고정 스크류(130)가 체결이 이루어지는 경우, 고정 스크류(130)의 헤드부(132) 저면이 탄성부(220)의 일측부와 가장 먼저 접하게 되면서 상기 탄성부(220)의 일측부에 대해서만 펼쳐지도록 하면서 체결을 위하여 고정 스크류(130)의 체결부(134)가 픽스쳐(110)측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220)의 일측부가 펼쳐지면서 상기 경사각(b1)이 점차 탄성부(220)의 타측부를 이루는 경사각(b2)와 동일한 경사각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220)의 일측부 및 타측부는 모두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게 되면서 어느 한 지점으로 편향된 고정 스크류(130)의 위치를 픽스쳐(110)의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고정 스크류(130)와 픽스쳐(110) 간의 긴밀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탄성부(220)는 경사각의 크기에 따라 고정 스크류(130)측으로 제공되는 탄성력의 크기가 결정되도록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탄성부(220)의 내부에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과 같은 구성요소가 내장되는 형태로 더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풀림방지 부재(200)에는 탄성부(22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향, 또는 하향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230)가 더 구성된다.
결합돌기(230)는 고정 스크류(130)의 체결시 탄성부(220)측으로 소정의 강성을 부여하는 한편, 어버트먼트(120)와 고정 스크류(130) 간의 결합력을 더욱 극대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결합돌기(230)는 상기 헤드부(132)의 저면에 밀착되는 상부 결합돌기(232)와, 어버트먼트(120)의 안착부(122)에 밀착되는 하부 결합돌기(234)로 구성된다.
상부 및 하부 결합돌기(232, 234)는 탄성부(220)의 원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구성되며, 본체부(210)에서 탄성부(220)로 향할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즉, 본체부(210)의 내측 끝단부(관통홀(212)의 외주면)으로부터 탄성부(220)의 끝단부로 향할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결합돌기(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스크류(130)와 픽스쳐(110) 간의 체결이 완료된 이후에는 고정 스크류(130)의 헤드부(132)의 저면부와 어버트먼트(120)의 안착부(122)에 각각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부(132) 및 안착부(122)에는 상기 결합돌기(2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홈이 원주면을 따라 다수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림방지 부재(200)가 구비된 상태의 고정 스크류(130)를 픽스쳐(110)에 체결하는 경우, 풀림방지 부재(200)를 이루는 본체부(210)의 상부면이 고정 스크류(130)의 헤드부(132)의 하부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후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스크류(130)가 픽스쳐(110)에 체결이 이루어지면서 발생하는 체결 압력에 의해 본체부(210)의 원주면에 형성된 탄성부(220)가 상기 고정 스크류(130) 및 픽스쳐(110)의 축방향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탄성부(220)의 상부 및 하부면이 각각 고정 스크류(130)를 이루는 헤드부(132)의 하부면과 어버트먼트(120)의 안착부(122)와 접하면서 물어주게 되어 고정 스크류(130)와 어버트먼트(120)가 서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어버트먼트(120)가 픽스쳐(1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픽스쳐 120: 어버트먼트
130: 고정 스크류 200: 풀림방지 부재
210: 본체부 220: 탄성부
230: 결합돌기

Claims (5)

  1. 고정 스크류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하향 절곡 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 스크류의 체결 압력에 의해 펼쳐지면서 상부면이 상기 고정 스크류의 헤드부에 밀착되게 구성되고, 하부면이 어버트먼트의 안착부에 밀착되게 구성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돌출되게 구성되는 상부 결합돌기 및 하부 결합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탄성부로 향할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부에 대한 경사각(b1)과, 타측부에 대한 경사각(b2)이 서로 다른 각도로 구성되되, 상기 경사각(b1)이 상기 경사각(b2)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 스크류가 동일한 체결 압력으로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고 어느 한 지점으로 편향되게 체결 압력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상기 고정 스크류와 픽스쳐가 동축선상에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본체부의 원주면을 따라 동일한 경사각(a)으로 하향 절곡 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고정 스크류와 픽스쳐의 체결시 상기 헤드부와 안착부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
KR1020170107840A 2017-08-25 2017-08-25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 KR101818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840A KR101818402B1 (ko) 2017-08-25 2017-08-25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
PCT/KR2018/000133 WO2019039675A1 (ko) 2017-08-25 2018-01-03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840A KR101818402B1 (ko) 2017-08-25 2017-08-25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8402B1 true KR101818402B1 (ko) 2018-01-15

Family

ID=61001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840A KR101818402B1 (ko) 2017-08-25 2017-08-25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18402B1 (ko)
WO (1) WO201903967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707A (ko) * 2018-02-27 2019-09-04 이석용 결합구조를 개선시킨 임플란트 구조체
KR20210124663A (ko) * 2020-04-07 2021-10-15 권우창 임플란트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969Y1 (ko) 2002-04-10 2002-07-24 주식회사 오스템 풀림이 방지된 인공치아 임플란트장치
KR200455126Y1 (ko) 2011-04-04 2011-08-19 노경선 나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임플란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2606B2 (en) * 2002-06-04 2005-08-23 Zimmer Dental Inc. Abutment screw with gold spring-washer
KR20090070982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쿠보텍 나사풀림을 방지하는 인공치아용 임플란트
KR20150067773A (ko) * 2013-11-19 2015-06-19 이세호 나사풀림방지스프링
KR20160113424A (ko) * 2015-03-19 2016-09-29 (주)탑플러스 나사풀림을 방지하는 인공치아용 임플란트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969Y1 (ko) 2002-04-10 2002-07-24 주식회사 오스템 풀림이 방지된 인공치아 임플란트장치
KR200455126Y1 (ko) 2011-04-04 2011-08-19 노경선 나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임플란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707A (ko) * 2018-02-27 2019-09-04 이석용 결합구조를 개선시킨 임플란트 구조체
KR102123803B1 (ko) 2018-02-27 2020-06-23 이석용 결합구조를 개선시킨 임플란트 구조체
KR20210124663A (ko) * 2020-04-07 2021-10-15 권우창 임플란트 시스템
KR102452129B1 (ko) * 2020-04-07 2022-10-06 권우창 임플란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9675A1 (ko)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9414B1 (en) Coupling for a multi-part dental implant system
KR101714974B1 (ko) 나사풀림방지 구조를 갖춘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2131972B1 (ko) 치과용 임플란트
US5125840A (en) Enossal single tooth implant with twisting restraint
EP2934367B1 (en) Abutment
EP2486890A2 (en) Abutment for implant
US20150342708A1 (en) Dental component with metal adapter
KR101818402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풀림방지 부재
US10729519B2 (en) Dental implant bolt fastening structure
KR101953301B1 (ko) 임플란트 구조체 및 어버트먼트
KR20200098434A (ko) 치은막의 손상 없이 보철물의 조립이 가능한 2중 분리형 어버트먼트를 갖는 임플란트
KR102039010B1 (ko) 경사 어버트먼트
KR20220052264A (ko) 교합력 완충기능을 갖는 치과 임플란트용 지대주
KR20190002056U (ko) 원바디의 기능을 하는 앵글형 임플란트
KR101662279B1 (ko) 임플란트의 풀림방지구조
US20080057477A1 (en) Dental implant screw system
MX2011012952A (es) Cabeza de tornillo mejorada.
KR20190002347U (ko) 픽스쳐 재활용 가능 치과용 임플란트
KR102467910B1 (ko) 보철결합용 스크류
KR200425051Y1 (ko) 치아용 임플란트
TWI712394B (zh) 假牙之結合組件
KR102208556B1 (ko) 임플란트 구조체 및 어버트먼트
KR102021101B1 (ko)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임플란트 모듈
KR100896355B1 (ko) 치아용 임플란트
KR20180122996A (ko) 임플란트용 픽스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