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877B1 -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 - Google Patents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877B1
KR101817877B1 KR1020160145564A KR20160145564A KR101817877B1 KR 101817877 B1 KR101817877 B1 KR 101817877B1 KR 1020160145564 A KR1020160145564 A KR 1020160145564A KR 20160145564 A KR20160145564 A KR 20160145564A KR 101817877 B1 KR101817877 B1 KR 101817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fitting
housing
leg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정숙
김경환
Original Assignee
허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정숙 filed Critical 허정숙
Priority to KR1020160145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크기의 숯(4)과 지지망(10,20)과, 구이망(3)과, 이들을 수용하는 측벽(1)의 전후측벽에 끼움공(1-1)을 가진 하우징(2); 전후 측벽(1)의 바닥과의 절곡부 위치에 나란하게 설치한 보강철사(108,109); 각 측벽(1) 양측 2개소에 이격 형성하고, 보강철사(108,109)의 상단면과 같거나 낮은 위치에 오도록 형성한 끼움공(1-2); 및 끼움공(1-2)을 거쳐 보강철사(108,109)를 지나 중앙을 향해 위로 경사진 끼움바(103)와, 끼움공(1-2) 외부에 노출되고 끼움바(103) 외부 아래로 절곡된 제 1절곡바(101)와, 제 1절곡바(101)로부터 절곡되어 평소에는 하우징 바닥면과 접하지 않고 다리를 접고 펼칠때만 접촉하며 초기 끼움시에는 이격거리를 두고 폭방향으로 바닥면과 수평으로 절곡된 받침바(105)와, 제 1절곡바(101)와 절곡으로 이어지는 받침바(105)에서 바닥까지 절곡된 높이바(106a) 하단은 상호 이어져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폭연결부(106)를 가지는 다리부(10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다리부(100)의 정면에서의 높이바(106a) 상단은 절곡된 받침바(105)에서 제 1절곡바(101)는 하우징 중앙을 향하는 높이바(106a) 연장선(L2)과 제 1예각으로 절곡되고, 제 1절곡바(101) 상단과 끼움바(103)는 제 1예각보다 작고 제 1절곡바(101) 상단에서 높이바(106a) 연장선(L2)과 나란한 연장선(L3)과 제 2예각으로 절곡되도록 구성한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이다.

Description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Packge coal assembly}
본 발명은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인류의 문명이 발달함에 따라 우리 일상생활에 쓰이는 요리기구 또한 다양하게 발전하여서 최초에는 나무나 숯 을 사용하다가 가스나 석유, 석탄, 전기 등을 열원을 사용하게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가스나 석유, 석탄, 전기 등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요리기구는 사용상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요리된 음식의 맛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야외나 옥외 등지에서 사용하려면 전기를 가설하거나 별도의 석유나 가스 등의 연소연료를 준비하여야 하며, 항상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는 것은 물론 특히 가스나 전기를 사용하여 익힌 고기는 그 맛이 숯불구이에 따라가지 못하므로 많은 사람이 숯불구이를 선호하게 되었다.
숯불구이를 위한 종래의 수단들은 크게 가열수단 즉 숯을 사용 여부에 따라 구이기에 직접 넣어 사용하는 휴대용과 알루미늄 용기에 숯이 개재된 채로 판매 사용하는 일회용이 있다.
일회용 숯불 구이기는 도 1 및 도 2 와 같이 측벽이 상향으로 넓어지도록 경사진 하우징(2)과, 하우징(2)의 측벽에 지지되는 측벽 지지망(13)과 바닥면에서 숯(4)을 지지하는 바닥 지지망(11)을 가지는 내부 지지망(10)과,
바닥 지지망(11) 위에 안치된 숯(4)을 덮도록 안치되는 숯 고정망(5)과, 측면 지지망(13) 상단에 안치되며 숯고정망(5)과 공간을 두고 안치되는 구이망(3)으로 구성한다. 하우징(2)의 측벽(1) 상단에는 구이망(3)의 모서리를 지탱하도록 절곡된 절곡띠(9)를 가진다. 바닥 지지망(11)과 하우징(2)의 내부 바닥면 사이에는 숯(4)의 착화를 위한 착화제(12)를 안치시킨다. 또한, 숯 고정망(5)과 내부 지지망(10)은 상호 연결구로 연결하여 고정한다. (6)은 공기주입공이고, (7)은 공기주입공(6)을 이루도록 하우징(2)의 일부를 개방하는 도어이다.
한편, 다른 구조의 숯불구이기는 도 3 과 같이 하우징의 바닥에 내부 지지망을 깔고 그 위에 숯을 안치시키는 휴대용 숯불구이기로, 내부지지망(20), 착화제 받침망(70) 구성과;
숯(4)을 덮으며 숯(4) 사이의 이격 공간이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향 절곡된 간격유지부(35)를 가지는 숯고정망(30); 및
상기 숯고정망(30)위에 구이망(3)이 안치되어 하우징의 높이를 낮추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의 측벽(1)에는 수직하중 지탱용으로 일정 간격으로 절곡홈(8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내부지지망(20)의 일예로는 숯(4)의 측면을 막도록 수직 절곡된 측면지지부(23)와, 측면지지부(23)상단에서 하우징(2)의 측벽(1)이나 다른 측 측면지지부와 당접하도록 지지되는 간격유지부(22)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지지망(20)의 숯(4)을 지지하는 측의 단부와 측면지지부(23) 사이에는 착화제(12)를 끼움 지지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공간다리(24)를 두고, 공간다리(24) 사이의 중앙 내부지지망(20) 부위에는 착화제(12)를 눌러 고정시켜주는 누름구(25)를 하향절곡시켜 형성한다. (4-1)은 숯(4)의 산소 공급용 수직구멍이다.
또 다른 구이기는 도 4 와 같이, 하우징의 바닥에 내부 지지망을 깔고 그 위에 숯을 안치시키는 휴대용 숯불구이기 기본 골격은 도 3 과 동일하고,
숯(4)을 받치며 숯(4) 사이의 이격 공간이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향 절곡된 상향 간격유지부(36)를 가지는 숯고정망(30) 만 달리 구성한다.
한편, 숯불구이기를 거치하기 위한 받침대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향의 제 1 받침부재(110) 2개와 단 방향의 제2 받침부재(120) 2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받침부재(110)(120)의 각 가장자리 부근에 일정 각도로 벤딩된 절곡부(110a)(120a)에 의해 절곡단(110b)(120b)이 형성된다.
위의 상태에서 4각형의 틀과 같은 형상으로 제 1 받침부재(110)와 제 2 받침부재(120)의 절곡단(110b)(120b)을 서로 대향 되게 맞댄 다음 마주하는 접합부(130)에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일체로 된 구조를 갖는다(국내공개실용 20-2001-0000071, 20-2000-0018860, 공개특허10-2003-0010219, 공개특허10-2001-0090112).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일정 형태로 고정되어 있고, 숯불구이기와 별도로 포장 및 운송하여야 하므로 운송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보강다리를 접었다 폈다 하도록 개발하여 보관 공간을 줄이고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킨 기술이 국내등록특허10-1077421호로 개발되었는바,
도 6 은 보강다리를 펼친 상태의 측단면도, 도 7 은 도 6의 정면상의 요부확대 단면도로, 휴대용 숯불구이기의 하우징(2) 내부 바닥면 전후 모서리에 설치한 보강철사(98,99);
보강철사(98,99) 상면 위치의 하우징(2) 폭을 이루는 전후 측벽(1)에 좌우 일조로 형성한 끼움공(1-1); 및
각 조의 끼움공(1-1)에 끼워 보관하고 펼쳐 지지다리 기능을 하는 다리부(90)를 포함하고;
다리부(90)는 각 조의 끼움공(1-1)을 통해서 하우징(2) 내부로 삽입되는 끼움바(93);
다리부(90)를 접은 상태에서 끼움바(93)의 하우징(2) 외측에서 수직으로 끼움공(1-1)에 수직면 안쪽으로 경사진 제 1 절곡바(91);
제 1절곡바(91) 하단에서 숯불구이기의 폭 방향으로 절곡되어 하우징(2)의 외부 바닥에 오고 펼쳤을 때 하우징(2) 외부 바닥에 받침 기능을 하는 받침바(95);
받침바(95)의 단부에서 폭방향으로 절곡되고 하단은 서로 연결되어 다리 기능을 하는 폭 연결부(9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보강철사(98,99)는 측벽(1)에 끼움공(1-1)을 가지는 하우징(2) 내부 바닥면의 길이와 일치된 길이를 갖도록 구성한 것이 좋다.
상기, 끼움공(1-1)은 보강철사(98,99)의 상면에는 다리부(90) 끼움바(93)의 저면이 닿도록 하는 전후 측벽(1) 위치에 형성한다.
상기, 다리부(90)의 끼움바(93)는 보강철사(98,99) 상면에서 직교한 구조를 이루고, 펼친 다리부(90)의 폭연결부(96)와 제 1 절곡바(91)는 받침바(95)를 중심으로 받침바(95)의 수직선 외부에 오도록 둔각을 이룬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보강다리는 기존의 숯불구이기의 전후 측벽의 하단 모서리인 하우징(2) 내부바닥 모서리 전후면에 하우징의 바닥 길이와 같은 보강철사(98,99)를 본드로 고정하고, 보강철사(98,99)의 수평 상 상면과 일치하는 하우징(2)의 전후 측벽에(1)에 끼움공(1-1)을 형성하고, 끼움공(1-1)에 끼움바(93)를 끼워넣는다. 그러면 끼움바(93)의 저면이 보강철사(98,99) 위에 올라탄 형상이기에 힌지 역할을 하면서 지지되고, 이 상태에서 보관시에는 도 7의 점선 상태와 같이 받침바(95)가 하우징(2)의 외부 바닥에 오도록 하되, 일조의 다리부(90)가 상호 겹치지 않게 접은 상태를 유지시키므로 하우징(2)의 높이 외에 추가되는 부분이 없어서 보관에 유리하고 이동시 다리를 보관하는 추가 공간을 요하지 않아 물류비가 절감된다. 아울러 단순히 끼움공(1-1)에 끼움바(93)만 끼움 결합하여도 힌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편리하다.
한편, 사용시에는 폭 연결부(96) 부분을 잡고 점선 상태에서 도 7 과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끼움바(93)를 회전축으로 회전하면 다리부(90)가 펼쳐진다. 이 경우 펼침을 고정하는 수단으로 도 6 과 같이 받침바(95)가 하우징(2)의 폭 방향 중앙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기에 고정 가능토록 작용한다. 이에 더하여 도 7의 실선과 같이 펼친 경우 하우징(2)을 이루는 알루미늄판보다는 훨씬 강도가 강한 보강철사(98,99)와 하우징 바닥을 합한 두께를 중심으로 끼움바(93)와 받침바(95)가 수직이 아닌 상호 반대편 위치에서 누름 작용을 하므로,
단순히 하우징(2) 바닥면만을 이용할 때보다 보강철사(98,99) 강도만큼 하우징 강도가 증가된다. 따라서 하우징(2)의 형태 변형이 없게 되고, 이는 숯불구이기의 표면에 구이용 후리이팬 등을 올려놓거나 중량이 무거운 구이를 할 때도 형태가 유지되는 요인이 된다.
물론 보관시에도 역시 보강철사(98,99)와 하우징 바닥을 합한 강도는 변함이 없으므로 끼움바(93)를 중심으로 받침바(95)가 상기 펼친 상태와 반대로 점선 상태로 보관되고, 운송중에도 역시 형태의 변형이 없도록 하는 강도를 갖추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보강다리는 끼움바와 제 1절곡바가 수직 상태를 이루고, 받침바가 하우징 바닥에 근접하도록 이루어져, 접거나 펼칠 때 끼움공의 파손이 심하고,
보강철사와의 힌지점도 끼움바의 끝 부분에서 이루어져 다리의 보강 지지력이 약한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측면에서 볼 때 받침바와 끼움바가 수평을 이루어 초기 끼움 결합시, 정면상에서 폭연결부가 하우징의 중앙 측으로 기울어지지 않아 조립시 손으로 안쪽으로 당기면서 조립하여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보강철사가 하우징 바닥에서 폭방향으로 이동하기도 하여 끼움바와의 지지력을 상실하여 보강다리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기도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 바닥과 측벽사이의 절곡부 바닥에 보강철사를 설치하고 하우징의 끼움공에 다리부의 끼움바가 보강철사위에 오도록 끼워 받침다리 기능의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에서, 끼움바가 위로 경사지게 하고 끼움공의 하단이 보강철사의 상단면레벨보다 낮도록 하여, 끼움이 용이하고 끼움공의 파손이 없도록 하는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 바닥과 측벽사이의 절곡부 바닥에 보강철사를 설치하고 하우징의 끼움공에 다리부의 끼움바가 보강철사 위에 오도록 끼워 받침다리 기능의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로, 보강철사와 접하는 측벽에는 보강철사를 띠상으로 감싸며 바닥면 절곡부위와 이어지는 고정띠와, 바닥면을 제외한 고정띠를 측벽에서 절단하여 보조통기공 역할을 히는 보조구멍을 더 형성하여, 보강철사의 흔들림 없이 내구성과 지지력을 제공하고, 보조구멍을 통한 공기 공급량 증대로 발화시 발화시간을 단축시키는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 바닥과 측벽사이의 절곡부 바닥에 보강철사를 설치하고 하우징의 끼움공에 다리부의 끼움바가 보강철사 위에 오도록 끼워 받침다리 기능의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에서, 끼움바가 제 1절곡바와 정면에서 둔각(α20)을 이루도록 받침바 방향으로 절곡하여 초기 끼움 결합시 높이바가 하우징 중앙을 향하도록 기울어짐으로 인해 접어 보관이 용이하고, 단순히 높이바 부분을 눌러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 바닥과 측벽사이의 절곡부 바닥에 보강철사를 설치하고 하우징의 끼움공에 다리부의 끼움바가 보강철사 위에 오도록 끼워 받침다리 기능의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에서, 끼움바가 제 1절곡바와 정면에서 둔각(α20)을 이루도록 받침바 방향으로 절곡하여, 펼쳐 사용할 때 끼움바가 둔각(α20)으로 기울어진만큼 끼움바와 받침바의 길이가 길어지고, 이는 다리부 높이바의 벌어짐 각도가 상대적으로 커져서 구이로 사용시 접히지 않고, 버팀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기능하는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 바닥과 측벽사이의 절곡부 바닥에 보강철사를 설치하고 하우징의 끼움공에 다리부의 끼움바가 보강철사 위에 오도록 끼워 받침다리 기능의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에서, 끼움바가 제 1절곡바와 정면에서 둔각(α20)을 이루도록 받침바 방향으로 절곡하고, 끼움바가 제 1절곡바와 측면에서 둔각(α3)을 이루도록 받침바 방향으로 절곡하고, 제 1절곡바와 받침바 역시 둔각을 이루도록 절곡하여, 결합시 제 1절곡바가 하우징 측벽에 근접하여 제 1절곡바와 측벽과의 이격거리는 줄이고, 제 1절곡바의 길이를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길게 절곡하여 제 1절곡바와 절곡형태로 이어지는 받침바가 하우징의 바닥면과는 떨어지도록 하여 다리를 접고 펼치는 기능을 수행할 때, 끼움공과 하우징 손상 없이 편리하게 접고 펼칠 수 있도록 하는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일정 크기의 숯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망과, 구이망과, 이들을 수용하도록 측벽으로 둘러쌓이고 전후측벽에 끼움공을 가진 하우징을 포함하는 숯불구이기;
숯불구이기의 전후 측벽의 바닥과의 절곡부 바닥 위치에[ 나란하게 설치한 보강철사;
측벽에서 각 측벽 마다 양측 2개소에 이격 형성하고, 보강철사의 상단면과 같거나 낮은 위치에 하단이 오도록 형성한 끼움공; 및
전후 측벽에 형성한 끼움공을 거쳐 보강철사를 지나서 중앙을 향해 위로 경사지게 끼워지도록 측벽에서 하우징 내부의 중앙을 향하여 위로 경사진 끼움바와, 끼움공 외부에 노출되고 끼움바 외부에서 아래방향으로 하우징 바닥면보다 길게 절곡된 제 1절곡바와, 제 1절곡바로부터 이어지도록 절곡되어 평소에는 하우징 바닥면과 접하지 않고 있다가 다리를 접고 펼칠때에만 접촉하도록 하며 초기 끼움시에는 이격거리를 두고 폭방향으로 바닥면과 수평으로 절곡된 받침바와, 제1절곡바와 절곡으로 이어지는 받침바에서 바닥까지 절곡된 높이바 하단은 상호 이어져 받침다리 기능을 하도록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폭연결부를 가지는 보강다리 기능의 다리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다리부의 정면에서의 높이바 상단은 절곡된 받침바에서 제 1절곡바는 하우징 중앙을 향하는 높이바 연장선(L2)과 제 1예각으로 절곡되고,
제 1절곡바 상단과 끼움바는 제 1예각 보다 작고 제 1절곡바 상단에서 높이바 연장선(L2)과 나란한 연장선(L3)과 제 2예각으로 절곡되도록 구성한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 바닥과 측벽사이의 절곡부 바닥에 보강철사를 설치하고 하우징의 끼움공에 다리부의 끼움바가 보강철사위에 오도록 끼워 무게받침다리 기능의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로, 끼움바가 위로 경사지게 하고 끼움공의 하단이 보강철사의 상단면레벨과 같거나 낮도록 하여, 끼움이 용이하고 끼움공의 파손이 없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 바닥과 측벽사이의 절곡부 바닥에 보강철사를 설치하고 하우징의 끼움공에 다리부의 끼움바가 보강철사위에 오도록 끼워 무게받침다리 기능의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로, 보강철사와 접하는 측벽에는 보강철사를 띠상으로 감싸며 바닥면 절곡부위와 이어지는 고정띠와, 바닥면을 제외한 고정띠를 측벽에서 절단하여 보조통기공 역할을 하는 보조공기구멍을 더 형성하여, 보강철사의 흔들림 없이 내구성과 지지력을 제공하고, 보조공기구멍을 통한 공기 공급량의 증대로 초기발화시 발화시간을 단축시킨다.
본 발명은 하우징 바닥과 측벽사이의 절곡부 바닥에 보강철사를 설치하고 하우징의 끼움공에 다리부의 끼움바가 보강철사 위에 오도록 끼워 받침다리 기능의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에서, 끼움바가 제 1절곡바와 정면에서 둔각(α20)을 이루도록 받침바 방향으로 절곡하여 초기 끼움 결합시 높이바가 하우징 중앙을 향하도록 기울어져 접이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 바닥과 측벽사이의 절곡부 바닥에 보강철사를 설치하고 하우징의 끼움공에 다리부의 끼움바가 보강철사 위에 오도록 끼워 받침다리 기능의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에서, 끼움바가 제 1절곡바와 정면에서 둔각(α20)을 이루도록 받침바 방향으로 절곡하여, 펼쳐 사용할 때 끼움바가 둔각(α20)으로 기울어진만큼 끼움바와 받침바의 길이가 길어지고, 이는 다리부 높이바의 벌어짐 각도가 상대적으로 커져서 구이기로 사용시 접히지 않고, 버팀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기능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 바닥과 측벽사이의 절곡부 바닥에 보강철사를 설치하고 하우징의 끼움공에 다리부의 끼움바가 보강철사 위에 오도록 끼워 받침다리 기능의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에서, 끼움바가 제 1절곡바와 정면에서 둔각(α20)을 이루도록 받침바 방향으로 절곡하고, 끼움바가 제 1절곡바와 측면에서 둔각(α3)을 이루도록 받침바 방향으로 절곡하고, 제 1절곡바와 받침바 역시 둔각을 이루도록 절곡하여, 결합시 제 1절곡바가 하우징 측벽에 근접하여 제 1절곡바와 측벽의 이격거리를 줄여주도록 하여 접힘 및 펼침 기능의 수행시, 끼움공과 하우징의 손상 없이 접고 펼칠 수 있도록 내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제 1절곡바의 길이를 하우징의 바닥면 보다 길게 절곡하여 다리를 초기 결합시 받침바가 하우징 바닥면과 접하지 않도록 하여 다리의 접힘 및 펼침 기능 수행시 원활한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숯불구이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예의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숯불구이기용 받침다리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숯불구이기의 펼친 상태 측면도,
도 7은 도 6의 정면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측면확대도,
도 9는 숯과 망을 생략한 상태로 보인 도 8 의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정면도,
도 11은 도 8의 요부확대도,
도 12는 도 10의 요부확대도,
도 13은 도 9의 B-B선 확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리부 절곡 경사 각도를 보인 요부 확대도 이다.
이하 본원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일정 크기의 숯(4)과 이를 지지화는 지지망(10,20)과, 구이망(3)과, 이들을 수용하도록 측벽(1)으로 둘러쌓이고 전후측벽에 끼움공(1-1)을 가진 하우징(2)을 포함하는 숯불구이기;
숯불구이기의 전후측벽(1)의 바닥과의 절곡부 바닥 위치에 나란하게 설치한 보강철사(108,109);
측벽(1)에서 각 측벽(1) 마다 양측 2개소에 이격 형성하고, 보강철사(108,109)의 상단면과 같거나 낮은 위치에 하단이 오도록 형성한 끼움공(1-2); 및
전후 측벽(1)에 형성한 끼움공(1-2)을 거쳐 보강철사(108,109)를 지나서 중앙을 향해 위로 경사지게 끼워지도록 경사진 끼움바(103)와, 끼움공(1-2) 외부에 노출되고 끼움바(103) 외부에서 아래방향으로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길게 절곡된 제 1절곡바(101)와, 제 1절곡바(101)로부터 이어지도록 절곡되어 평소에는 하우징 바닥면과 접하지 않고 있다가 다리를 접고 펼칠때에만 접촉하도록 하며 초기 끼움시에는 이격거리를 두고 폭방향으로 바닥면과 수평으로 절곡된 받침바(105)와, 제 1절곡바(101)와 절곡으로 이어지는 받침바(105)에서 바닥까지 절곡된 높이바(106a) 하단은 상호 이어져 무게받침다리 기능을 하도록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폭연결부(106)를 가지는 보강다리 기능의 다리부(1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 1절곡바(101)의 길이는 끼움바(103)와 보강철사(108,109)의 접촉점을 힌지점으로 하여 접힘 및 펼침시 하우징 바닥면에 닿아 바닥면에 놓여진 보강철사(108,109)의 지지력을 받을 수 있는 회전반경을 제공하도록, 초기 끼움공(1-2)에 끼움결합시에는 끼움공(1-2)에서 하우징 바닥면과의 거리에 하우징 바닥면과 받침바와의 이격거리를 합한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한 것이 좋다.
상기, 보강철사(108,109)와 접하는 측벽(1)에는 보강철사(108,109)를 띠상으로 감싸도록 기능하는 바닥선을 제외한 절곡부위로 이어지는 면형태의 고정띠(1-4)와, 바닥면을 제외한 절곡부위를 측벽(1)에서 절단하여 보조통기공 역할을 하는 보조공기구멍(1-3)을 더 형성한 것이 좋다.
상기, 다리부(100)의 정면에서의 높이바(106a) 상단은 절곡된 받침바(105)에서 제 1절곡바(101)는 하우징 중앙을 향하는 높이바(106a)의 연장선(L2)과 제 1예각(α1)으로 절곡되고,
제 1절곡바(101)상단과 끼움바(103)는 제 1예각(α1)보다 작고 제 1절곡바(101) 상단에서 높이바(106a) 연장선(L2)과 나란한 연장선(L3)과 제 2예각(α2)으로 절곡되도록 구성한다. 도 14에서와 같이 끼움바(103)와 재 1절곡바(101)는 예각(α2)을 포함하는 둔각(α20)을 이루고, 높이바(106a)와 끼움바(103)는 제 1절곡바(101)의 양단에서 높이바(106)와 제 1절곡바(101)와의 절곡각(α21)보다 제 1절곡바(101)와 끼움바(103)와의 둔각((α20)이 더 크도록 절곡하며, 이는 도 12 및 도 14와 같이 결합시에는 높이바(106)가 하우징의 중앙측으로 제 2예각(α2)만큼 끼움바(103)보다 더 기울어져 결합되어 누름조립시 자연스레 도 12의 점선 상태로 접히도록 조립되고, 펼침시에는 펼침 각도를 제 2예각(α2)만큼 상대적으로 늘려서 지지력을 증가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도 9의 접힘 상태에서 받침바(105)가 펼침상태로 되면, 보강철사(108,109) 상면은 끼움바(103)가 아래로 눌러주고, 하면부위(하우징(2) 바닥 저면)는 받침바(105)가 위로 밀어주도록 작용하므로, 하우징(2)에는 하중이 전달되지 않고, 보강철사(108,109)에 의하여 지지력을 제공받아, 받침바(105)와 다리부(100)가 숯과 지지망과 구이용 고기를 더한 중량을 안정적으로 지탱하도록 하여 손상되기 쉬운 박판 형태의 금속재질을 사용한 하우징의 손상 없이 무게를 떠받치는 받침다리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다리부(100)의 측면에서의 끼움바(103)는 도 11과 같이 제 1절곡바(101)와 둔각(α3)으로 절곡되고,
제 1절곡바(101)와 받침바(105)도 둔각(α4)으로 절곡되고,
제 1절곡바(101)와 끼움바(103)의 내측절곡부와 접하는 끼움공(1-2)의 하단은 보강철사(108,109) 상단의 상단면레벨(L1)과 같거나 아래에 오도록 형성한 것이 좋다.
상기, 제 1절곡바(101)는 측면상에서 받침바(105)로 갈수록 하우징(2)의 폭방향 중앙을 향하도록 경사진 것이 좋다.
이는 도 11과 같이 끼움공(1-2)의 하단이 상단면레벨(L1)과 같거나 아래에 오도록하고, 끼움바(103)와 제 1절곡바(101)의 절곡부가 끼움공(1-2)에 접하도록 조립하므로 보강철사(108,109)와 끼움바(103)의 지지결합으로 끼움공(1-2)의 손상이 없고, 끼움바(103)가 하우징(2) 중앙부 측으로 상향 경사지므로 끼움공(1-2)의 하단이 보강철사(108)의 상단면레벨(L1)과 같거나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여 끼움바(103) 결합시 끼움공(1-2)의 손상 없이 보강철사(108,109)의 상부 표면을 미끄러지듯 통과하여 결합하고, 다리부(100)의 접힘 및 풀림을 용이하게 한다. 아울러 끼움바(103)와 제 1절곡바(101)는 둔각(α3), 제 1절곡바(101)와 받침바(105)도 둔각(α4)을 이루도록 절곡되므로, 끼움바(103)는 끝 부분이 하우징 중앙 위로 향하도록 경사지고도, 제 1절곡바는 측벽(1)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고 접힘 및 펼침을 가능토록 작용한다.
1;측벽 1-1;끼움공 1-2;끼움공 1-3;보조공기구멍 1-4;고정띠 100;다리부 101;제1절곡바 103;끼움바 105;받침바 106;폭연결부 106a;높이바 108,109;보강철사 L1;상단면레벨 L2;연장선 L3;연장선 α1;제1예각 α2;제2예각 α3,α4;둔각

Claims (6)

  1. 일정 크기의 숯(4)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망(10,20)과, 구이망(3)과, 이들을 수용하도록 측벽(1)으로 둘러쌓이고 전후측벽에 끼움공(1-2)을 가진 하우징(2)을 포함하는 숯불구이기;
    숯불구이기의 전후측벽(1)의 바닥과의 절곡부 바닥 위치에 나란하게 설치한 보강철사(108,109);
    측벽(1)에서 각 측벽(1) 마다 양측 2개소에 이격 형성하고, 보강철사(108,109)의 상단면과 같거나 낮은 위치에 하단이 오도록 형성한 끼움공(1-2); 및
    전후 측벽(1)에 형성한 끼움공(1-2)을 거쳐 보강철사(108,109) 표면을 지나서 중앙을 향해 위로 경사지게 끼워지도록 경사진 끼움바(103)와, 끼움공(1-2) 외부에 노출되고 끼움바(103) 외부에서 아래방향으로 절곡된 제 1절곡바(101)와, 제 1절곡바(101)로부터 이어지도록 절곡되어 평소에는 하우징 바닥면과 접하지 않고 있다가 다리를 접고 펼칠때에만 접촉하도록 하며 초기 끼움시에는 이격거리를 두고 폭방향으로 바닥면과 수평으로 절곡된 받침바(105)와, 제 1절곡바(101)와 절곡으로 이어지는 받침바(105)에서 바닥까지 절곡된 높이바(106a) 하단은 상호 이어져 무게받침다리 기능을 하도록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폭연결부(106)를 가지는 보강다리 기능의 다리부(10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다리부(100)의 정면에서의 높이바(106a) 상단은 절곡된 받침바(105)에서 제 1절곡바(101)는 하우징 중앙을 향하는 높이바(106a) 연장선(L2)과 제 1예각(α1)으로 절곡되고,
    제 1절곡바(101) 상단과 끼움바(103)는 제 1예각(α1) 보다 작고 제 1절곡바(101) 상단에서 높이바(106a) 연장선(L2)과 나란한 연장선(L3)과 제 2예각(α2)으로 절곡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
  2. 제 1항에 있어서, 보강철사(108,109)와 접하는 측벽(1)에는 보강철사(108,109)를 띠상으로 감싸도록 기능하는 바닥선을 제외한 절곡부위로 이어지는 면 형태의 고정띠(1-4)와, 바닥면을 제외한 절곡부위를 측벽(1)에서 절단하여 보조통기공 역할을 하는 보조공기구멍(1-3)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다리부(100)의 측면에서의 끼움바(103)는 제 1절곡바(101)와 둔각(α3)으로 절곡되고,
    제 1절곡바(101)와 받침바(105)도 둔각(α4)으로 절곡되고,
    제 1절곡바(101)와 끼움바(103)의 내측절곡부와 접하는 끼움공(1-2)의 하단은 보강철사(108,109) 상단의 상단면레벨(L1)과 같거나 아래에 오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
  5. 제 4항에 있어서, 제 1절곡바(101)는 받침바(105)로 갈수록 하우징(2)의 폭방향 중앙을 향하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
  6. 제 1항에 있어서, 제 1절곡바(101)의 길이는 끼움바(103)와 보강철사(108,109)의 접촉점을 힌지점으로 하여 접힘 및 펼침시 하우징 바닥면에 닿아 바닥면에 놓여진 보강철사(108,109)의 지지력을 받을 수 있는 회전반경을 제공하도록, 초기 끼움공(1-2)에 끼움결합시에는 끼움공(1-2)에서 하우징 바닥면과의 거리에 하우징 바닥면과 받침바와의 이격거리를 합한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
KR1020160145564A 2016-11-03 2016-11-03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 KR101817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564A KR101817877B1 (ko) 2016-11-03 2016-11-03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564A KR101817877B1 (ko) 2016-11-03 2016-11-03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877B1 true KR101817877B1 (ko) 2018-02-21

Family

ID=61524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564A KR101817877B1 (ko) 2016-11-03 2016-11-03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8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542453U (zh) * 2009-09-22 2010-08-11 郑秀群 具有承重效果的烧烤装置
KR101012864B1 (ko) 2009-09-29 2011-02-08 한국전력공사 부흐홀쯔 계전기 휴대용 시험 장치
KR200464129Y1 (ko) 2012-08-24 2012-12-12 김용대 접이식 구이기
KR101638430B1 (ko) 2014-11-19 2016-07-21 제드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화로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542453U (zh) * 2009-09-22 2010-08-11 郑秀群 具有承重效果的烧烤装置
KR101012864B1 (ko) 2009-09-29 2011-02-08 한국전력공사 부흐홀쯔 계전기 휴대용 시험 장치
KR200464129Y1 (ko) 2012-08-24 2012-12-12 김용대 접이식 구이기
KR101638430B1 (ko) 2014-11-19 2016-07-21 제드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화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3859A (en) Grill with fuel modules
US9339145B1 (en) Flare reduction grill plate device
US7004063B1 (en) Barbeque grill assembly with a foldable side rack
US20110132347A1 (en) Portable charcoal grill
US20130312737A1 (en) Collapsible Grill
US20080216671A1 (en) Barbecue Stove
KR101817877B1 (ko) 보강다리를 가지는 숯불구이기
KR101890925B1 (ko) 캠핑용 그릴 세트
US6101931A (en) Disposable grill liner
KR101077421B1 (ko) 숯불구이기용 보강 다리장치
KR101466142B1 (ko) 접철식 바베큐 구이 장치
EP1870005A2 (fr) Appareil électroménager avec logement de rangement
KR101371137B1 (ko) 휴대용 오븐
KR20100136658A (ko) 숯불구이기용 다리장치
JP4388583B1 (ja) バーベキューグリル
US5749354A (en) Frame for a tabletop barbecue grill
KR101257629B1 (ko) 휴대용 가열기구의 안전커버
KR20130000819U (ko) 훈제 구이기
CN210784026U (zh) 一种烹饪电器的烤架固定装置
KR200494611Y1 (ko) 조립식 야외용 구이기
KR20110093205A (ko) 생선구이기
CN210654494U (zh) 一种烹饪设备中配件的包装结构
JP2724438B2 (ja) 多頭レンジ用のガスコンロガード
CA2533959C (en) Barbecue cart
KR200181341Y1 (ko) 석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