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470B1 - 애완동물용 쿨링 침대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쿨링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470B1
KR101817470B1 KR1020170072900A KR20170072900A KR101817470B1 KR 101817470 B1 KR101817470 B1 KR 101817470B1 KR 1020170072900 A KR1020170072900 A KR 1020170072900A KR 20170072900 A KR20170072900 A KR 20170072900A KR 101817470 B1 KR101817470 B1 KR 101817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frame
pet
cooling
cooling member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식
Original Assignee
박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식 filed Critical 박용식
Priority to KR1020170072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01K1/0353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애완동물용 쿨링 침대가 개시되며, 상기 애완동물용 쿨링 침대는, 전방을 향하는 전면, 후방을 향하는 후면, 좌측을 향하는 좌측면 및 우측을 향하는 우측면을 갖는 외곽부 및 상기 외곽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쿨링 부재의 배치가 가능한 수납실을 포함하는 지지 구조체; 및 대리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실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곽부의 상부에 거치되는 매트를 포함하되, 상기 수납실은 상기 쿨링 부재가 전후 방향을 따라 2 개의 영역 각각에 배치되도록, 전후 방향을 따라 2 개 형성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쿨링 침대{COOLING BED FOR PET ANIMAL}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쿨링 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핵가족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많은 가정에서 식구의 일원으로 애완동물을 키우는 경우가 많다. 즉, 최근에는 동물을 사람과 같은 가족의 일원으로서 대우해주면서 기르는 경우가 많다. 이에따라, 최근에는 애완동물을 위한 각종 용도의 물품들이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2010-0007869호, 공개특허공보 제 10-2011-0065687호 등에는 애완동물을 위한 다양한 물품이 제공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주된 애완동물 중 하나인 강아지, 고양이 등은 땀구멍이 없다. 이에 따라, 강아지와 고양이를 애완동물로서 키우는 가정은 온도가 높아지는 여름에 애완동물의 체온을 낮아지게 하기 위해 여러 방안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에어컨을 사용해 애완동물이 기거하는 장소의 온도를 낮아지게 하는 방안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안에 따르면, 여러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름과 같이 온도가 높은 날, 집주인이 하루종일 집을 비워야 할 때, 뜨거운 열기로부터 애완동물을 보호하기 위해 집주인이 선택할 수 있는 방안은 에어컨을 하루 종일 켜놓는 것인데, 이에 따르면, 전기세가 증가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었다. 또한, 애완동물이 에어컨 온도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애완동물의 의사와 상관없이 계속 온도가 낮게 유지되는 단점 등이 있었다.
이에 따라, 애완동물의 자의에 의해 애완동물의 체온이 낮아지게 할 수 있는 물품의 필요가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애완동물의 자의에 의해 애완동물의 체온이 낮아지게 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쿨링 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측면에 따른 애완동물용 쿨링 침대는, 전방을 향하는 전면, 후방을 향하는 후면, 좌측을 향하는 좌측면 및 우측을 향하는 우측면을 갖는 외곽부와, 상기 외곽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쿨링 부재의 배치가 가능한 2개의 수납실을 포함하고, 상기 외곽부의 전면 및 후면 각각에는 상기 쿨링 부재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2개의 수납실 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되도록 한 지지 구조체; 및, 상기 지지 구조체는, 상기 쿨링 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각각의 수납실에 배치 가능한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는 테두리 영역보다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 턱이 형성되고, 상기 도출 턱의 상면에는 함몰 요철 및 돌출 요철이 교번하여 형성되며,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의 하부에는 외곽부 내측과 외측사이의 공기의 흐름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라운드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실의 상측에는 대리석으로 이루어진 매트가 배치되되, 상기 매트는 받침 바에 거치되고, 상기 수납실은 상기 쿨링 부재가 전후 방향을 따라 2 개의 영역 각각에 배치되도록, 전후 방향을 따라 2 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애완동물이 안착되는 매트가 대리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매트의 낮은 온도를 확보할 수 있고, 그에 더해 매트의 하측에 쿨링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매트의 온도를 더 낮아지게 하거나, 매트의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쿨링 침대가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실내 및(또는) 실외 온도가 높은 상황에서, 에어컨 작동 등이 이루어지지 않아도, 애완동물이 매트 상에 안착하는 것만으로도 애완동물의 체온이 적정 수준에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애완동물이 자의로 이동하거나 행동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애완동물이 필요할 때 매트 상에 자의로 올라갈 수 있고, 매트로부터 자의로 내려올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의 자의에 따라 애완동물의 온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쿨링 침대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쿨링 침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쿨링 침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쿨링 침대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쿨링 침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상부, 상면, 전방, 전측, 전면, 전방부, 후방, 후측, 후면, 후방부, 하측, 하부, 하면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상부,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상면, 전반적으로 8시 방향이 전방 또는 전측, 전반적으로 8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전면, 전반적으로 8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전방부, 전반적으로 2시 방향이 후방 또는 후측, 전반적으로 2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후면, 전반적으로 2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후방부,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하부,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하면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쿨링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쿨링 침대(이하 '본 쿨링 침대'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쿨링 침대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애완동물용 쿨링 침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쿨링 침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애완동물용 쿨링 침대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쿨링 침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쿨링 침대는 지지 구조체(1)를 포함한다. 지지 구조체(1)는 외곽부(11)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외곽부(11)는 전방을 향하는 전면(111), 후방을 향하는 후면(112), 좌측을 향하는 좌측면(113) 및 우측을 향하는 우측면(114)를 갖는다. 지지 구조체(1)는 원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지지 구조체(1)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목 외에, 합판 등과 같은 섬유성 재질, 플라스틱과 같은 화합물, 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지지 구조체(1)가 후술할 매트의 무게를 지지하면서 이동의 용이성을 위해 가벼워야 하므로 지지 구조체(1)는 섬유성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지지 구조체(1)에는 수분(습기)의 침투에 따른 손상 방지를 위해 친환경 바니쉬 도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구조체(1)에는 두 차례에 걸쳐 친환경 바니쉬 도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지지 구조체(1)는 외곽부(11)의 내측에 형성되어 쿨링 부재(9)의 배치가 가능한 수납실(12)을 포함한다.
또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쿨링 침대는 매트(2)를 포함한다. 매트(2)에는 애완동물이 안착(앉거나 눕는 등의 행위)할 수 있다. 매트(2)는 외곽부(11)의 상부에 거치된다. 또한, 매트(2)는 수납실(12)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외곽부(11)의 상부에 거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외곽부(11)의 전면(111)의 후측부, 후면(112)의 전측부, 좌측면(113)의 우측부 및 우측면(114)의 좌측부 각각에는 매트(2)가 거치되는 받침바(119)가 구비될 수 있다. 매트(2)는 받침바(119) 상에 거치됨으로써, 외곽부(11)의 상부에 거치될 수 있다.
또한, 매트(2)와 외곽부(11)의 결합력이 확보되도록 매트(2)와 받침바(119)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결합제에 의해 본딩될 수 있다. 또한, 매트(2)가 수납실(12)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외곽부(11)의 상부에 거치됨으로써, 수납실(12) 내에 쿨링 부재(9)가 배치된 경우, 쿨링 부재(9)의 냉기(쿨링 부재(9)에 의한 차가운 공기) 및 쿨링 부재(9)의 열흡수 중 하나 이상이 매트(2)를 쿨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쿨링 부재(9)의 냉기 및 쿨링 부재(9)의 열흡수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매트(2)의 온도가 낮아지거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
즉, 본 쿨링 침대에 의하면, 애완동물이 안착하는 매트(2)의 온도가 쿨링 부재(9)에 의해 감소되거나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가 높은 날 수납실(12)에 쿨링 부재(9)가 배치되면 애완동물은 쿨링 부재(9)에 의해 온도가 감소되거나 온도가 유지되는 매트(2) 상에 안착함으로써 체온을 낮추거나 유지시킬 수 있다.
참고로, 도 2를 참조하면, 전면(111) 및 후면(112) 각각의 좌우 방향으로의 길이(b)는 365 mm 내지 405 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85 mm일 수 있다. 또한, 좌측면(113) 및 우측면(114) 각각의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 (a)는 555 mm 내지 595 m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75 mm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길이 범위 값은 본원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지지 구조체(1)의 높이(c)(지지 구조체(1)의 최하측으로부터 매트(2) 상면까지의 높이)는 100 mm 내지 140 mm일 수 있다. 다만 높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높이는 120 mm일 수 있다. 이러한 높이 값에 의하면 개,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이 매트(2) 상으로 용이하게 올라갈 수 있고, 매트(2)로부터 용이하게 내려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참고로, 전면(111), 후면(112), 좌측면(113) 및 우측면(114)을 이루는 부재의 두께는 1.5 cm일 수 있다. 다만 두께 값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참고로, 도 2를 참조하면, 수납실(12)의 너비(d)(좌우 방향으로의 간격)는 55 mm 내지 95 mm일 수 있다. 다만 값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수납실(12)의 너비(d)는 75 mm일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전면(111)에 구비된 받침바(119)와 후면(112)에 구비된 받침바(119) 사이의 간격(h)은 490 mm 내지 530 mm일 수 있다. 다만 값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간격(h)은 510 mm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재된 치수 범위에 의하면, 일반적인 애완동물의 안착에 적합한 사이즈의 쿨링 침대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트(2)는 대리석으로 이루어진다. 대리석은 그 자체 만으로 냉기가 있는데, 본 쿨링 침대에 따르면, 매트(2)가 대리석으로 이루어져 매트(2) 자체의 온도가 낮을 수 있고, 그에 더해 쿨링 부재(9)를 이용해 매트(2)의 온도를 더 낮추거나, 매트(2)의 온도를 유지시킴으로써, 쿨링 침대로서의 역할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쿨링 부재(9)는 아이스팩 등과 같이 가정에서 흔히 사용되며, 얼음, 냉매제 등이 봉입된 것일 수 있다. 특히, 쿨링 부재(9)는 아이스팩이 바람직한데, 일반적으로 아이스팩은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아이스팩이 수납실(12)에 배치되어 열을 흡수하면, 아이스팩의 온도가 높아져 녹은 상태가 될 수 있는데, 그러한 상태가 된 아이스팩은 온도가 낮은 냉동실과 같은 곳에 보관됨으로써 재사용 가능 상태가 되어 재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교체의 용이성 및 재사용의 용이성을 위해 아이스팩이 쿨링 부재(9)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수납실(12)은 쿨링 부재(9)가 전후 방향을 따라 2개의 영역 각각에 배치되도록, 전후 방향을 따라 2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쿨링 부재(9)는 2개의 수납실(12) 각각에 구비됨으로써, 매트(2)의 전방을 향하는 부분 및 매트(2)의 후방을 향하는 부분 각각에 냉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외곽부(11)의 전면(111) 및 후면(112) 각각에는 2개의 수납실(12) 각각에 대한 쿨링 부재(9)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입구(1111, 1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2개의 수납실(12) 중 전방에 형성된 수납실(12)에 대해, 쿨링 부재(9)는 외곽부(11)의 전면(111)에 형성된 입구(1111)를 통해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고, 2개의 수납실(12) 중 후방에 형성된 수납실(12)에 대해, 쿨링 부재(9)는 외곽부(11)의 후면(112)에 형성된 입구(1121)를 통해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다.
또한, 전면(111) 및 후면(112) 각각에 형성된 입구(1111, 1121)는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쿨링 침대의 이동이 용이해질 수 있어 이동 자유도가 확보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를 참조하면 입구(1111, 1121)의 너비(T)(좌우 방향으로의 길이)는 153 mm 내지 193 mm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173 mm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입구(1111, 1121)에 대한 손잡이로서의 역할 확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2개의 수납실(12) 사이에는 격벽(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2개의 수납실(12) 중 전방에 형성된 수납실(12)에 위치하는 쿨링 부재(9)가 후방에 형성된 수납실(12)로 위치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수납실(12) 중 후방에 형성된 수납실(12)에 배치되는 쿨링 부재(9)가 전방에 형성된 수납실(12)로 위치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전면(111)에 구비된 받침바(119)(또는 후면(112)에 구비된 받침바(119))와 격벽(121) 사이의 간격(e)은 225 mm 내지 265 mm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면(111)에 구비된 받침바(119)(또는 후면(112)에 구비된 받침바(119))와 격벽(121) 사이의 간격(e)은 245 mm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수납실(12)에는 입구(1111, 1121)로부터 인입되거나 입구(1111, 1121)로 인출되는 케이스(19)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122)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22) 사이의 간격은 55 mm 내지 95 mm일 수 있다. 다만, 값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이드 부재(122) 사이의 간격은 75 mm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지지 구조체(1)는 외곽부(11)의 좌측면(113) 및 우측면(114) 각각의 전방부의 외측 및 후방부의 회측 각각에 구비되어 외곽부(11)의 지지 면적을 증가시키는 보조 지지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쿨링 침대는 배치되는 곳의 상태, 이를 테면 바닥면의 상태에 따라 접지면이 달라질 수 있다. 보조 지지부(13)에 의하면 접지면이 증가될 수 있어, 본 쿨링 침대가 안정적으로 배치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면적 및 마찰력의 증가를 위해, 보조 지지부(13)는 하측부에 수평 단면을 갖는 절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좌측면(113) 및 우측면(114) 각각의 하부에는 외곽부(11) 내측으로의 공기의 유입을 형성하는 홈(1141)이 형성될 수 있다. 홈(1141)은 좌측면(113) 및 우측면(114) 각각의 하면이 상측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홈(1141)에 의해 외곽부(11) 내측과 외측 사이의 공기의 흐름이 활성화될 수 있다. 홈(1141)의 내주면(하측을 바라보는 둘레)은 라운딩된 것일 수 있는데, 심미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지 구조체(1)는 쿨링 부재(9)를 수용하며 쿨링 부재(9)가 수납실(12)에 배치 가능하도록 수납실(12)에 배치될 수 있는 케이스(19)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쿨링 부재(9)는 케이스(19)에 수용되어 수납실(12)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19)의 저면에는 테두리 영역보다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 턱(191)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 턱(191) 상에 쿨링 부재(9)가 배치될 수 있다. 돌출 턱(191)에 의하면 쿨링 부재(9)의 위치가 돌출 턱(191)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보다 상측으로 더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쿨링 부재(9)의 냉기에 의해 원목, 합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지지 구조체(1)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돌출 턱(191)의 상면에는 함몰된 요철과 돌출된 요철이 교번하며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쿨링 부재(9)가 온도 저하로 인해 형상 변형이 용이한 가요성을 갖게되는 경우(예를 들어, 쿨링 부재(9)가 녹은 경우) 쿨링 부재(9)의 돌출 턱(191)과 접촉되는 부분은 돌출 턱(191)의 함몰된 요철(함몰 요철) 및 돌출된 요철(돌출 요철)과 맞물리는 형상으로 변형되어 맞물릴 수 있고, 이에 따라, 쿨링 부재(9)의 위치 이동(위치 변동)이 방지될 수 있다. 참고로, 함몰 요철 및 돌출 요철은 전후 방향으로 교번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본 쿨링 침대에 있어서, 각 구성은 목공용 본드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쿨링 침대는 각 구성이 목공용 본드에 의해 결합되고 타카에 의해 가결합될 수 있다. 타카는 목공용 본드의 굳음에 의한 구성간의 결합력이 확보되기 전에 각 구성을 가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쿨링 침대는 분리가 가능하다. 이에 따르면, 일부 구성이 손상되어도 부분 수리가 가능하다. 쿨링 부재(9), 지지 구조체(1), 매트(2) 등의 분리가 가능하고 각각의 별도 제조 및 각각의 별도 수리가 가능하므로, 본 쿨링 침대가 장기간 사용되거나, 일부 구성이 손상되더라도 수리가 용이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지지 구조체
11: 외곽부
111: 전면
1111: 입구
112: 후면
1121: 입구
113: 좌측면
114: 우측면
1141: 홈
119: 받침 바
12: 수납실
121: 격벽
122: 가이드 부재
13: 보조 지지부
19: 케이스
2: 매트
9: 쿨링 부재

Claims (5)

  1. 애완동물용 쿨링 침대에 있어서,
    전방을 향하는 전면, 후방을 향하는 후면, 좌측을 향하는 좌측면 및 우측을 향하는 우측면을 갖는 외곽부와,
    상기 외곽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쿨링 부재의 배치가 가능한 2개의 수납실을 포함하고, 상기 외곽부의 전면 및 후면 각각에는 상기 쿨링 부재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2개의 수납실 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된 지지 구조체; 및,
    상기 지지 구조체는, 상기 쿨링 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각각의 수납실에 배치 가능한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는 테두리 영역보다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 턱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 턱의 상면에는 함몰 요철 및 돌출 요철이 교번하여 형성되며,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의 하부에는 외곽부 내측과 외측사이의 공기의 흐름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라운드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실의 상측에는 대리석으로 이루어진 매트가 배치되되, 상기 매트는 받침 바에 거치되며,
    상기 수납실은 상기 쿨링 부재가 전후 방향을 따라 2 개의 영역 각각에 배치되도록, 전후 방향을 따라 2개 형성되는 것인, 애완동물용 쿨링 침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는, 상기 외곽부의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 각각의 전방부의 외측 및 후방부의 외측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외곽부의 지지 면적을 증가시키는 보조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애완동물용 쿨링 침대.
KR1020170072900A 2017-06-12 2017-06-12 애완동물용 쿨링 침대 KR101817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900A KR101817470B1 (ko) 2017-06-12 2017-06-12 애완동물용 쿨링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900A KR101817470B1 (ko) 2017-06-12 2017-06-12 애완동물용 쿨링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470B1 true KR101817470B1 (ko) 2018-01-10

Family

ID=60998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900A KR101817470B1 (ko) 2017-06-12 2017-06-12 애완동물용 쿨링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4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346B1 (ko) * 2021-06-29 2022-06-22 (주)참조은쇼핑24 반려동물용 체온조절 매트장치
KR20220149020A (ko) 2021-04-30 2022-11-08 이설희 반려동물용 냉각 침대
KR20240000164A (ko) 2022-06-23 2024-01-02 주식회사 제이앤에스테크 애완동물용 쿨링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661Y1 (ko) 2004-01-28 2004-04-28 이호영 먹이 수납부를 갖는 애완동물 침대
KR200414215Y1 (ko) 2006-01-24 2006-04-17 진광호 전기판넬을 구비한 물침대
CN106550886A (zh) 2015-09-30 2017-04-05 郑嘉雯 宠物便盆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661Y1 (ko) 2004-01-28 2004-04-28 이호영 먹이 수납부를 갖는 애완동물 침대
KR200414215Y1 (ko) 2006-01-24 2006-04-17 진광호 전기판넬을 구비한 물침대
CN106550886A (zh) 2015-09-30 2017-04-05 郑嘉雯 宠物便盆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020A (ko) 2021-04-30 2022-11-08 이설희 반려동물용 냉각 침대
KR102569051B1 (ko) 2021-04-30 2023-08-21 이설희 반려동물용 냉각 침대
KR102407346B1 (ko) * 2021-06-29 2022-06-22 (주)참조은쇼핑24 반려동물용 체온조절 매트장치
KR20240000164A (ko) 2022-06-23 2024-01-02 주식회사 제이앤에스테크 애완동물용 쿨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470B1 (ko) 애완동물용 쿨링 침대
USD555293S1 (en) Pet house and carrier
USD531718S1 (en) Shroud floor fan
MXPA01012923A (es) Cama de mascota con caracteristicas de calentamiento y de enfriamiento.
USD926395S1 (en) Pet cooling mat
KR200489500Y1 (ko) 애완동물용 냉난방 침대
US10952407B2 (en) Rack for animal cages
KR20210111540A (ko) 애완동물용 하우스.
US20170251638A1 (en) Insulated weaning mat
KR20180009131A (ko) 애완동물용 냉난방 조절 구조물
KR101865600B1 (ko) 반려동물 집
KR101695637B1 (ko) 애완동물용 배변 유도 장치
USD507708S1 (en) Bunk bed with perpendicular bunks
KR101644803B1 (ko) 펠티어 카트리지를 이용한 냉온수 순환침대
JP3171056U (ja) ペットハウス
KR20160112631A (ko) 애견용 냉각(난방) 방석
KR102616157B1 (ko) 애완동물용 쿨매트
JP2006246799A (ja) ペット収容体及び保冷ユニットを備えたペット収容体
KR200491251Y1 (ko) 통풍성이 향상된 양봉용 벌통
KR20170000536U (ko) 반려동물용 매트
KR20210135756A (ko) 조립식 벌통
KR102551603B1 (ko) 열전소자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90001138U (ko) 돈사용 보온매트
KR102407346B1 (ko) 반려동물용 체온조절 매트장치
USD504982S1 (en) Water supply apparatus for pet anim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