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345B1 -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345B1
KR101817345B1 KR1020160046981A KR20160046981A KR101817345B1 KR 101817345 B1 KR101817345 B1 KR 101817345B1 KR 1020160046981 A KR1020160046981 A KR 1020160046981A KR 20160046981 A KR20160046981 A KR 20160046981A KR 101817345 B1 KR101817345 B1 KR 101817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oor
main plate
bent
elevator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160A (ko
Inventor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주) 상일종합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상일종합건설 filed Critical (주) 상일종합건설
Priority to KR1020160046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345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8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ar or cage and w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8Details of seals and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1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Abstract

간단한 시공으로 엘리베이터 도어와 벽체 사이에 손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만들기 쉽고 부착하여 설치하기가 편하고, 기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에도 쉽게 시공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 손 끼임 방지구가 개시된다.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는 띠상의 주판부, 상기 주판부의 제1측변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주판부의 배면 쪽으로 꺾인 제1꺾임부와 상기 제1꺾임부에서 상기 제1측변 반대편의 상기 주판부의 제2측변 쪽으로 꺾여 상기 주판부의 배면에 제1단을 형성하는 제2꺾임부를 구비하는 띠부재 및 상기 띠부재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측변 바깥으로 돌출되어 상기 틈의 입구를 막아줄 수 있고 유연재질로 된 유연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Device for protecting hand jamming in the elevator door and jamb}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에 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 도어와 문설주가 설치된 벽체 사이의 틈새로 사람의 손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의 벽체에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에 타거나 내릴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에는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지에도 사람이 타거나 내릴 때 개방되는 도어가 케이지의 적어도 한쪽 벽체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에서, 사람이 탑승하거나 내리고자 하는 층에 엘리베이터의 케이지가 도착하면 승강장에 설치된 도어가 승강장 벽체 안쪽으로 설치된 도어레일(Door rail)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케이지에 설치된 도어와 동시에 열리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엘리베이터 도어가 원활하게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도어를 벽체와 충분히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이에 따라 탑승자가 무심결에 손을 엘리베이터 도어에 대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가 열리면, 도어와 벽체 사이의 틈으로 손이 끌려 들어가 손이 틈에 끼이는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고, 특히, 주의력이 부족한 어린이의 손이 끼는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도어에 의해 사람의 손이 끼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미 설치된 엘리베이터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만들기 쉽고 설치하기 쉬운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벽체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상기 벽체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벽체와 틈을 두고 좌우 이동 가능케 설치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 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와 상기 벽체 사이의 틈으로 사람의 손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에 있어서, 띠상의 주판부, 상기 주판부의 제1측변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주판부의 배면 쪽으로 꺾인 제1꺾임부와 상기 제1꺾임부에서 상기 제1측변 반대편의 상기 주판부의 제2측변 쪽으로 꺾여 상기 주판부의 배면에 제1단을 형성하는 제2꺾임부를 구비하는 띠부재; 및 상기 띠부재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측변 바깥으로 돌출되어 상기 틈의 입구를 막아줄 수 있고 유연재질로 된 유연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상기 주판부의 배면에 제1양면접착테이프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유연부재는 상기 제1양면접착테이프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유연부재 표면에 부착되고 외부 표면에는 이형지가 부착된 제2양면접착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판부의 제2측변에서 상기 제1측변 쪽으로 꺾여 상기 주판부의 배면과 제2단을 형성하는 제3꺾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단은 상기 제1단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연부재는 연질 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양면접착테이프와 상기 제2양면접착테이프는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쿠션재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꺾임부는 예각으로 꺾여서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꺾임부는 둔각으로 꺾여 상기 주판부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띠부재는 스테인리스 스틸판을 벤딩하여서 만든 것이 좋다.
때에 따라, 상기 띠부재는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것일 수 있다.
상기 띠부재에는 간격을 두고 나사부재 결합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시공으로 엘리베이터 도어와 벽체 사이에 손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면접착테이프를 이용하므로, 만들기 쉽고 부착하여 설치하기가 편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에도 쉽게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체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양면접착테이프의 쿠션재가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나사가 풀리지 않고, 장착 상태가 안정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 드러나는 부분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돌출된 모서리를 형성하지 않으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고, 깔끔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의 부분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부분 파단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의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100)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벽체에 설치되는 것으로, 엘리베이터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벽체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벽체와 틈을 두고 좌우 이동 가능케 설치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 시 엘리베이터 도어와 벽체 사이의 틈으로 사람의 손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100)는 띠부재(110)를 갖춘다. 띠부재(110)는 띠상의 스테인리스 스틸판을 벤딩하여 만든 것이 좋다. 때에 따라, 띠부재(110)는 스테인리스 스틸 대신 알루미늄 등 여타의 금속재나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다이캐스팅, 사출, 압출 등의 여타의 성형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띠부재(110)는 띠상의 주판부(112)를 가지며, 주판부(112)의 제1측변(fs)을 따라서는 배면 쪽으로 꺾인 제1꺾임부(114)와 제1꺾임부(114)에서 제1측변(fs) 반대편의 제2측변(ss) 쪽으로 꺾여 주판부(112)의 배면에 제1단(S1)을 형성하는 제2꺾임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제1꺾임부(114)는 바람직하게 주판부(112)에 대해 예각으로 꺾여서 경사면(114a)을 형성한다. 이 경사면(114a)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벽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바깥쪽에 벽체에서 돌출된 모서리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부딪혀 다치는 것을 방지하고, 미관상으로도 보기 좋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제2꺾임부(116)는 바람직하게 제1꺾임부(114)에서 둔각으로 꺾여 주판부(112)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주판부(112)의 제2측변(ss)에는 제3꺾임부(118)가 설치되어 있다. 제3꺾임부(118)은 주판부(112)의 제2측변(ss)에서 제1측변(fs) 쪽으로 꺾여 주판부(112)의 배면에 제2단(S2)을 형성한다. 이 제3꺾임부(118)는 주판부(112)의 배면에 밀착되게 하여 제1단(S1)보다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3꺾임부(118)는 뒤에서 설명되는 제1양면접착테이프(12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고, 띠부재(110)의 가장자리에서 띠부재(110)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주판부(112)의 배면에 제1양면접착테이프(120)가 부착되어 있다. 이 제1양면접착테이프(120)는 제3꺾임부(118)가 형성하는 제2단(S2) 안쪽으로 설치되며 제3꺾임부(118)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 제1양면접착테이프(120)는 주판부(112), 제1꺾임부(114) 및 제2꺾임부(116)가 형성하는 홈부(G) 내부까지 진입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된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 제1양면접착테이프(120)는 홈부(G) 내부로 진입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도 4를 참고하면 알 수 있다. 이 제1양면접착테이프(120)로는 3M사 제품 등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띠상의 쿠션재(122)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띠상의 쿠션재(122) 양면에는 이형지가 접착제에 부착되어 있는 데, 부착 시 이 이형지를 떼어 낸다. 제3꺾임부(118)를 형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양면접착테이프(120) 대신 접착제를 주판부(112)와 유연부재(130)의 접착면에 도포하여 접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깨끗한 상태로 부착하기가 쉽지가 않고, 외부에 제1양면접착테이프(120)가 보일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제1양면접착테이프(12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안쪽으로 이동시켜 부착하는 경우, 띠부재(110)의 가장자리에서 유연부재(130)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서 고품질의 외관을 유지하기 어렵고, 이물질이 끼일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고, 유연부재(130)의 부착강도도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100)는 제1양면접착테이프(120)의 표면에 부착된 유연부재(130)를 구비한다. 이 유연부재(130)는 제1양면접착테이프(120)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2측변(ss) 바깥으로 돌출되어 엘리베이터 도어와 벽체 사이에 형성되는 틈의 입구를 막아주기 위한 부분으로 조금 딱딱하면서도 측방으로 힘을 가하면 조금 옆으로 휘는 유연재질로 만들어진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유연부재(130)로는 연질 플라스틱이 바람직하다. 연질 플라스틱은 플라스틱과 생고무를 35:65~45:55 정도의 중량비로, 바람직하게 40:60 정도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만든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어느 정도 강도를 가지면서도 힘을 가하는 쪽으로 조금 구부러질 수 있어서, 엘리베이터 도어와 벽체 사이에 형성되는 틈의 입구를 충분한 강도로 막아주면서도 사람의 손이나 이물질이 부딪힐 때 다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질 플라스틱은 다양한 색깔의 것을 쉽게 만들 수 있어서 건물의 특성에 맞는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 등 다양한 색깔의 유연부재(130)를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유연부재(130) 표면에는 외부 표면에 이형지(141)가 부착된 제2양면접착테이프(1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양면접착테이프(140) 역시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쿠션재(142)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2양면접착테이프(140)의 높이는 이형지(142)를 떼어 내었을 때 제2꺾임부(116)의 높이와 같게 하거나 제2꺾임부(116)보다 조금 높게 배치되도록 한다.
제2양면접착테이프(140)를 사용하지 않고, 나사부재 등 여타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100)를 벽체 등에 고정할 수도 있으나, 제2양면접착테이프(140)를 이용하는 경우, 원하는 위치에 부착하기가 쉽고, 나사부재를 이용한 고정작업을 더 하는 경우에도, 제2양면접착테이프(140)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100)를 벽체에 바른 자세로 부착한 상태에서 고정작업을 할 수 있어서 작업자 혼자서도 설치하기가 쉽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때에 따라, 제1양면접착테이프(120)는 앞 실시 예와는 달리 일부가 주판부(112)와 제2꺾임부(116) 사이의 홈부(G) 내부로 진입한 상태로 제1꺾임부(114)와 제3꺾임부(118) 사이의 주판부(112) 배면 전체 폭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유연부재(130) 역시 그 폭방향의 일측 가장자리가 주판부(112)와 제2꺾임부(116) 사이의 홈부(G)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제1양면접착테이프(12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고, 그 상태에서 제2꺾임부(116)에 의해 주판부(112) 배면 쪽으로 압착력을 받아서 더욱 견고한 상태로 띠부재(110)에 고정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양면접착테이프(140) 역시 쿠션재(142)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한쪽 이형지를 떼어내고 유연부재(130)의 표면에 부착하여 설치하면 된다. 엘리베이터 승강장 입구의 벽체 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벽체에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제2양면접착테이프의 바깥쪽 표면에 부착된 이형지를 떼어내고 벽체에 부착하는 작업을 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100)는 벽체에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띠부재(110)에 간격을 두고 나사부재 결합공(119)을 형성하여 나사부재를 이용하여 한 번 더 벽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양면접착테이프(140)의 쿠션재(142)가 제3꺾임부(118)보다 뒤쪽으로 더 돌출되게 하여 나사부재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는 압축된 상태에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와셔의 기능을 하여 나사부재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3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100)는 엘리베이터 도어(10) 양쪽의 벽체(20)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벽체(20)는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벽체(20)의 일부를 구성하는 문설주(jamb)를 가진다.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100)가 이러한 벽체(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유연부재(130)는 엘리베이터 도어(10)와 약 1~3㎜ 정도, 바람직하게 약 2㎜ 정도 간격을 두도록 설치된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체(20)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100)을 설치하면 엘리베이터 도어(10)와 유연부재(130) 사이에 약 2㎜ 안팎의 틈만 생기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도어(10)를 열 때 손이 벽체(20)와 엘리베이터 도어(10) 사이의 틈으로 끌려들어 가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엘리베이터 도어(10)를 손으로 짚고 있다가 열리는 도어와 함께 이동하던 손이 유연부재(130)에 부딪히더라도 유연부재(130)는 플렉시블하기 때문에 다칠 우려가 적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장 입구의 양측 벽체(20)와 케이지(30)의 도어(32) 양쪽 벽체(34)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100)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서는 총 4곳에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100)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100)의 유연부재(130)의 끝과 엘리베이터의 도어(10, 32) 표면과의 간격은 바람직하게 약 2㎜ 정도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와 벽체 사이의 틈새로 사람의 손 등이 끼는 것을 방지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를 만드는 데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10, 32: 도어 20, 34: 벽체
30: 케이지
100: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 110: 띠부재
112: 주판부 114: 제1꺾임부
114a: 경사면 116: 제2꺾임부
118: 제3꺾임부 120: 제1양면접착테이프
122, 142: 쿠션재 130: 유연부재
140: 제2양면접착테이프

Claims (9)

  1. 엘리베이터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벽체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벽체와 틈을 두고 좌우 이동 가능케 설치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 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와 상기 벽체 사이의 틈으로 사람의 손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에 있어서,
    띠상의 주판부, 상기 주판부의 제1측변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주판부의 배면 쪽으로 꺾인 제1꺾임부와 상기 제1꺾임부에서 상기 제1측변 반대편의 상기 주판부의 제2측변 쪽으로 꺾여 상기 주판부의 배면에 제1단을 형성하는 제2꺾임부를 구비하는 띠부재; 및
    상기 띠부재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측변 바깥으로 돌출되어 상기 틈의 입구를 막아줄 수 있고 유연재질로 된 유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주판부의 배면에 제1양면접착테이프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유연부재는 상기 제1양면접착테이프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유연부재 표면에 부착되고 외부 표면에는 이형지가 부착된 제2양면접착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제2측변에서 상기 제1측변 쪽으로 꺾여 상기 주판부의 배면과 제2단을 형성하는 제3꺾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단은 상기 제1단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
  4. 제1항에서, 상기 유연부재는 연질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
  5. 제3항에서, 상기 제1양면접착테이프와 상기 제2양면접착테이프는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쿠션재를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꺾임부는 예각으로 꺾여서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꺾임부는 둔각으로 꺾여 상기 주판부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
  7.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띠부재는 스테인리스 스틸판을 벤딩하여서 만든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
  8.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띠부재는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
  9.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띠부재에는 간격을 두고 나사부재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
KR1020160046981A 2016-04-18 2016-04-18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 KR101817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981A KR101817345B1 (ko) 2016-04-18 2016-04-18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981A KR101817345B1 (ko) 2016-04-18 2016-04-18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160A KR20170119160A (ko) 2017-10-26
KR101817345B1 true KR101817345B1 (ko) 2018-01-11

Family

ID=60300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981A KR101817345B1 (ko) 2016-04-18 2016-04-18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3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415U (ko) 2019-04-24 2020-11-03 김재열 엘리베이터 틈새 보완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043B1 (ko) * 2019-08-28 2021-05-14 윔코리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문 손끼임 방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9418A (ja) * 2005-10-03 2007-04-19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ドアの引き込まれ防止装置
KR100862738B1 (ko) * 2007-12-20 2008-10-10 주식회사 한테크 승강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9418A (ja) * 2005-10-03 2007-04-19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ドアの引き込まれ防止装置
KR100862738B1 (ko) * 2007-12-20 2008-10-10 주식회사 한테크 승강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415U (ko) 2019-04-24 2020-11-03 김재열 엘리베이터 틈새 보완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160A (ko)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8345B1 (en) Lineal
KR101817345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손 끼임 방지구
US7861465B1 (en) Flexible door guard
DK1373674T3 (da) Indretning med fleksibel skodde
KR100862738B1 (ko) 승강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CA2494301A1 (en) Door safety device
KR101779765B1 (ko) 도어 고장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AU652678B2 (en) Handrail guard housing shield
WO2009072202A1 (ja) エレベータ乗場ドア
JPH0626530Y2 (ja) エレベータ乗降口用引き戸装置
WO2005121014A3 (en) Elevator arrangement
KR200332674Y1 (ko) 승강기도어끼임방지장치
JP2761105B2 (ja) エレベータかご
KR200488078Y1 (ko) 승강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KR200169249Y1 (ko)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KR101445018B1 (ko) 도어 프레임의 연결구조체
KR200208560Y1 (ko) 시각장애인용 인식발판
JPH01139492A (ja) エレベータの乗場出入口装置
KR101960495B1 (ko) 손끼임 방지구
JP3116748U (ja) シャッタ案内レール保護装置
KR101981984B1 (ko) 도어 고장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KR101860772B1 (ko) 브러시 커버 플레이트
KR20180017763A (ko) 엘리베이터용 틈새끼임 방지구조
KR200300530Y1 (ko) 유리문 안전장치
JP3506849B2 (ja) エレベータ意匠品の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