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307B1 - 유연성이 뛰어난 카펫 타일 - Google Patents

유연성이 뛰어난 카펫 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307B1
KR101817307B1 KR1020110023936A KR20110023936A KR101817307B1 KR 101817307 B1 KR101817307 B1 KR 101817307B1 KR 1020110023936 A KR1020110023936 A KR 1020110023936A KR 20110023936 A KR20110023936 A KR 20110023936A KR 101817307 B1 KR101817307 B1 KR 101817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arpet tile
nonwoven fabric
polymer coat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6078A (ko
Inventor
이인회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3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307B1/ko
Publication of KR20120106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10Fibres of continuous length
    • B32B2305/20Fibres of continuous length in the form of a non-woven m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32B2471/02Carp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arp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킹층 및 플로킹 매트층을 포함하는 카펫 타일로서, 상기 백킹층의 상부에 폴리머 코팅층, 부직포, 접착층 및 단섬유가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의 플로킹 매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펫 타일을 제공한다. 유리 섬유 직물을 사용하는 종래의 카펫 타일에 비해, 부직포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카펫 타일은 제조 비용이 적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폐기 후에 완전 연소가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며, 플로킹 매트층과 백킹층은 결합력이 뛰어나 층간이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유연성이 뛰어난 카펫 타일{Carpet Tile With Excellent Flexibility}
본 발명은 유연성이 뛰어난 카펫 타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텔이나 사무실, 매장, 자동차 등의 실내 바닥재로 사용되는 카펫 타일은 열이나 수분에 대하여 치수 안정성이 부여되도록 비발포 폴리염화비닐(PVC)층에 유리섬유 시트나 목재판, 합성수지판 등의 변형방지층이 적층된 다층구조로 제공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카펫 타일은 비발포 폴리염화비닐층(11), 변형방지층(12) 및 비발포 폴리염화비닐층(13)으로 이루어진 백킹층(10)과 상기 백킹층(10)의 상부에 유리 섬유 직물(21), 플로킹 접착층(22) 및 나일론 66(23)으로 이루어진 플로킹 매트(20)가 적층된 구조로 제공되었다.
그런데, 상기에서 사용된 유리 섬유 직물(21)은 유연성이 좋지 못하고 무극성이어서 극성 고분자 재료들로 이루어진 백킹층과의 접착력이 좋지 못하여 층간이 벌어지는 현상이 야기하였고, 가격이 비싸서 카펫 타일의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상기 유리 섬유 직물이 포함된 카펫 타일은 폐기된 후에 약 1000℃의 온도에서 완전 연소가 되지 않아서 처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유리 섬유 직물을 대신할 수 있는 기재(substrate)를 사용하여 유연성이 우수하면서도 백킹층과 플로킹 매트층 간의 결합력이 우수한 카펫 타일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유연성이 뛰어나면서도 백킹층과 플로킹 매트층간의 결합력이 우수한 카펫 타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백킹층; 및 상기 백킹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폴리머 코팅층, 부직포, 접착층 및 단섬유가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 플로킹 매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펫 타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카펫 타일은 종래의 카펫 타일에 비해 제조 비용이 적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폐기 후에 완전 연소가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카펫 타일의 플로킹 매트층과 백킹층은 결합력이 뛰어나 층간이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카펫 타일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카펫 타일의 단면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의 카펫 타일의 폴리머 코팅층의 두께에 따른 치수 안정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백킹층(backing layer) 및 플로킹 매트층(flocking mat layer)을 포함하는 카펫 타일로서, 상기 플로킹 매트층은 백킹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플로킹 매트층은 (백킹층과 접촉하게 되는) 폴리머 코팅층, 부직포, 접착층 및 단섬유가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카펫 타일은 비발포 폴리염화비닐층(111), 변형방지층(112) 및 비발포 폴리염화비닐층(113)으로 이루어진 백킹층(100)과 상기 백킹층(100)의 상부에 폴리머 코팅층(220), 부직포(221), 접착층(222) 및 나일론 66(223)으로 이루어진 플로킹 매트(200)가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의 단면도를 도 2에 나타냈다.
종래의 카펫 타일에서 유리 섬유 직물을 기재(substrate)로 사용한 것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폴리머 코팅층이 형성된 부직포를 기재로 사용한다. 고가의 유리 직물 섬유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저가의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원료비 절감을 기대할 수 있고 유연성 또한 훨씬 뛰어나다. 또한, 상기 부직포가 포함된 카펫 타일은 폐기 후 약 1000℃의 온도에서 완전 연소가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며, 극성을 띄는 폴리머 코팅층이 형성된 부직포는 백킹층과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백킹층과의 층간이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폴리머로서 점착성을 갖는 액상의 모든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알키드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우레탄 수지는 제조되는 카펫 타일의 유연성과 접착력을 고려할 때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머 코팅층은 부직포의 한쪽 면, 즉 윗면에만 형성된다. 상기 폴리머 코팅층은 부직포 두께의 30% 이상을 차지하며, 바람직하게 30 내지 52%를 차지한다. 상기 폴리머 코팅층의 두께가 부직포 두께의 30% 미만인 경우에는 경화 또는 건조 후 부직포와 폴리머 코팅층 사이에 박리가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부직포는 70 내지 300 g/m2의 단위면적당 중량을 가지며, 바람직하게 100 내지 200 g/m2의 단위면적당 중량을 갖는다. 상기 단위면적당 중량과 관련하여, 70 g/m2 미만인 경우에는 장력이나 열에 의해 찢어지거나 주름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300 g/m2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카펫 타일의 유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도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카펫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의 카펫 타일을 제조할 수 있다. 먼저, 부직포를 액상의 폴리머로 1차 코팅 또는 함침한 후에 건조 및 경화하여 부직포의 한쪽면(아랫면)에 폴리머 코팅층을 형성한다. 그 후 상기에서 사용한 액상의 폴리머를 접착제로 사용하여 부직포 위에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한다. 그 후 상기 접착층 위에 단섬유를 정전기를 이용하여 식모한 후 건조 및 경화하여 본 발명의 플로킹 매트층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플로킹 매트층과 백킹층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플로킹 매트층과 적정 두께의 폴리염화비닐 졸(PVC sol), 즉 백킹층을 합지한 후 히팅 챔버(heating chamber)에 일정 시간동안 체류시키거나 통과시키는 공정, 또는 상기 플로킹 매트층과 쉬트 형태의 백킹층 사이에 접착제(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릭 수지 등)를 코팅하여 합지하는 공정을 적용하여 카펫 타일을 완성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카펫 타일은 유연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백킹층과 플로킹 매트층과의 결합력이 뛰어나서 분리되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평균적 기술자는 아래 실시예에 기재된 실시 태양 외에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할 따름이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아래 실시예 범위로 한정하기 위한 의도라고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 치수 안정성 평가
본 발명에 따라 도 2의 구조를 갖는 카펫 타일을 제조하되, 폴리머 코팅층의 두께를 다양하게 하였다. 제조된 카펫 타일에 대하여, 폴리머 코팅층의 두께에 따른 치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60 ± 2℃의 순환 오븐(circulation oven)에서 2시간 동안 카펫 타일을 체류시킨 후, 카펫 타일의 가로축과 세로축의 치수 변화율(수축 또는 팽창)을 측정하였다. 치수 변화율이 ±0.5% 이하일 때 치수 안정성 평가에서 합격한 것으로 본다.
치수 안정성 평가 결과를 도 3에 나타냈으며, 도 3의 결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폴리머 코팅층의 두께가 부직포 두께의 30% 이상일 때 카펫 타일이 치수 안정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면에 사용된 부호가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 10, 100 : 백킹층
* 11, 13, 111, 113 : 비발포 폴리염화비닐층
* 12, 112 : 변형방지층
* 20, 200 : 플로킹 매트
* 21 : 유리 섬유 직물
* 22 : 플로킹 접착층
* 23, 223 : 나일론 66
* 220 : 폴리머 코팅층
* 221 : 부직포
* 222 : 접착층

Claims (4)

  1. 백킹층 및
    상기 백킹층의 상부에, 폴리머 코팅층, 부직포, 접착층 및 단섬유가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 플로킹 매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 코팅층은 부직포 두께의 30%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펫 타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알키드 수지 및 우레탄 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펫 타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70 내지 300 g/m2의 단위면적당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펫 타일.
KR1020110023936A 2011-03-17 2011-03-17 유연성이 뛰어난 카펫 타일 KR101817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936A KR101817307B1 (ko) 2011-03-17 2011-03-17 유연성이 뛰어난 카펫 타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936A KR101817307B1 (ko) 2011-03-17 2011-03-17 유연성이 뛰어난 카펫 타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078A KR20120106078A (ko) 2012-09-26
KR101817307B1 true KR101817307B1 (ko) 2018-01-10

Family

ID=47112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936A KR101817307B1 (ko) 2011-03-17 2011-03-17 유연성이 뛰어난 카펫 타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3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963B1 (ko) 2016-07-04 2017-04-06 주식회사 무등기업 자동차의 카매트 백킹재용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자동차 카매트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4459A (ja) 2006-08-11 2008-02-28 Scientex Polymer Japan Co Ltd 自動車用吸音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4459A (ja) 2006-08-11 2008-02-28 Scientex Polymer Japan Co Ltd 自動車用吸音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078A (ko)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70309A1 (en)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KR101664776B1 (ko) 기능성 초배지
US9415563B2 (en) Anti-skid roof underlayment
KR101489998B1 (ko) 압전소자를 이용한 자체 열발생 바닥장식재
CN110546337A (zh) 用于生产地板覆盖物的声学镶板
DK3055130T3 (en) Elastic floor plate
EP3230536B1 (en) Vertically lapped fibrous flooring
JP6030381B2 (ja) メルトブローン不織布を含む吸音材
JP2006057444A (ja) コンクリート防水処理用透湿性複合シート
RU2691030C1 (ru) Напольная плитка, включающая тканев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817307B1 (ko) 유연성이 뛰어난 카펫 타일
DK2650119T3 (en) Coatings with structural sound insulating properties, especially for surfaces made of wood materials
WO2020075111A1 (en) Underlayment
KR101852627B1 (ko) 바닥재
JP6669746B2 (ja) 熱硬化性の多孔性マトリックスを持つ複合パネル、製造方法、及びパネルの集合体から形成される壁を覆うための構造体
WO2012053036A1 (ja) 床材
US20030036323A1 (en) Shelf liner/table top assembly
KR20060062090A (ko) 고강도 천연무늬목 온돌마루
KR100962012B1 (ko) 층간소음 저감형 바닥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09228417A5 (ko)
KR101557528B1 (ko) 바닥 타일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1323B1 (ko) 온열매트용 부직포 합지 장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10874A (ko) Pvc 복합방수시트
KR100803909B1 (ko) 친환경 투명시트를 포함하여 표면층을 구성한 개량형종이상재
JPS632895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