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456B1 - 다기능 어태치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장비 - Google Patents

다기능 어태치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456B1
KR101816456B1 KR1020160160578A KR20160160578A KR101816456B1 KR 101816456 B1 KR101816456 B1 KR 101816456B1 KR 1020160160578 A KR1020160160578 A KR 1020160160578A KR 20160160578 A KR20160160578 A KR 20160160578A KR 101816456 B1 KR101816456 B1 KR 101816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ool
attachment
driving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지운
권영은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60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3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 E02F3/964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of several tools mounted on one machin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metal-cutting or concrete-crushing imp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E02F5/305Arrangements for breaking-up hard ground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는, 굴삭기의 아암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에 대해서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1부재에 대해 상기 제2부재를 상하방향인 제1방향으로 운동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좌우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제1부재에 대해서 상기 제2부재를 운동시키는 제2구동부; 상기 제2부재에 대해서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부재에 마련되는 제3부재; 및 상기 제2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제3부재를 회전시키는 제3구동부;를 포함하여, 어태치먼트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크러셔, 쉬어 및 그랩 등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어태치먼트 교체를 위해서 굴삭기를 멈출 필요가 없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태치먼트 교체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어태치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장비{MULTI-FUNCTION ATTACHMENT AND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기능 어태치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굴삭기 등 건설장비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단일의 어태치먼트에 구비된 멀티 작업 툴을 회전 구동하여 크러셔, 쉬어, 그랩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어태치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장비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건설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설장비는 굴삭기 등 기본장비에 연결된 붐 및 아암 등의 장치에 연결되어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굴삭기는 버킷(bucket)을 이용한 지반의 굴착이나 토사를 적재 및 운반하는 작업, 크러셔(crusher)를 이용한 건물 파쇄 작업, 쉬어(shear)를 이용한 철근 절단 작업, 브레이커(breaker)를 이용한 암석 및 콘크리트 파괴 작업, 그랩(grab)을 이용한 고철 및 암석 등 중량물의 운반 작업 등, 그 용도에 따라서 여러 종류의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서로 교체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종류의 어태치먼트들은 작업의 용도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굴삭기(Excavator)의 아암(Arm)에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그러나, 종래의 어태치먼트들은 작업의 용도에 따라 어태치먼트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굴삭기의 운전을 멈추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저하되고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서 어태치먼트를 교체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교체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서 다용도 어태치먼트가 제안된 바 있으나, 기존의 다용도 어태치먼트는 버킷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용도에 제한이 있었고, 크러셔, 쉬어, 그랩 등의 작업이 가능한 다용도 어태치먼트는 제안된 바가 없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크러셔, 쉬어, 그랩 등의 기능을 모두 구비하고 있는 다기능 어태치먼트에 대한 기술을 제안하게 되었다.
KR 10-0892921 B1 (공고일: 2009.04.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어태치먼트의 교체 작업 없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어태치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장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회전 구동하는 다기능 작업 툴(tool)을 이용하여 크러셔, 쉬어 및 그랩 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어태치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장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작업 툴의 작동 범위를 2중으로 조정할 수 있는 다기능 어태치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장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는, 굴삭기의 아암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에 대해서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1부재에 대해 상기 제2부재를 상하방향인 제1방향으로 운동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좌우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제1부재에 대해서 상기 제2부재를 운동시키는 제2구동부; 상기 제2부재에 대해서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부재에 마련되는 제3부재; 및 상기 제2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제3부재를 회전시키는 제3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아암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의 중앙에서부터 상기 아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아암과 마주 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1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피벗 운동 또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2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2구동부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구동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2연결부 보다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2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에 의해서 상기 제2부재 사이의 간격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대한 상기 제2부재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서로 마주 보는 일단이 개구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3부재는 상기 제1연결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의 개구된 일단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3부재는, 상기 제2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 형성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툴부;를 포함하며, 상기 툴부는 상기 본체의 외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툴부는, 크러셔 툴, 쉬어 툴 또는 그랩 툴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부는 상기 동력전달부를 통해 상기 제3부재를 회전시키되 동일한 툴부가 마주 보도록 한 쌍의 상기 본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는 유압 실린더 및 상기 유압 실린더에 연결되어 선형 운동하는 구동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구동부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다기능 어태치먼트; 및 상기 다기능 어태치먼트가 장착되는 굴삭기를 포함하는 건설 장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장비는, 어태치먼트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크러셔, 쉬어 및 그랩 등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어태치먼트를 교체하기 위해서 굴삭기를 멈출 필요가 없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태치먼트 교체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장비는, 복수개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 툴의 작동 범위를 확장할 수 있고 작업 툴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장비는, 다양한 작업이 가능한 멀티 작업 툴이 회전 구동에 의해서 해당 작업 툴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건설장비의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한 상태에서 손쉽게 해당 작업 툴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장비는,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를 이용하여 작업 툴의 작동 범위를 2중으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작업 효율 및 작업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설장비의 어태치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를 도시한 내부 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의 제2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의 제3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를 도시한 내부 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의 제2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의 제3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는 굴삭기 등 다양한 건설장비에 사용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가 굴삭기의 아암(arm)에 연결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100)는, 굴삭기의 아암(도 1의 장치 참조)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부재(101), 제1부재(101)에 대해서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부재(120), 제1부재(101)와 제2부재(120)를 서로 연결하며 제1부재(101)에 대해 제2부재(120)를 상하방향인 제1방향으로 운동시키는 제1구동부(110), 제1부재(101)와 제2부재(120)를 서로 연결하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좌우방향인 제2방향으로 제1부재(101)에 대해서 제2부재(120)를 운동시키는 제2구동부(130), 제2부재(120)에 대해서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제2부재(120)에 마련되는 제3부재(150) 및 제2부재(120)에 마련되어 제3부재(150)를 회전시키는 제3구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부재(150)의 외면에 크러셔(crusher), 쉬어(shear), 그랩(grab) 등의 기능을 하는 툴(tool)을 형성하고, 제3부재(150)를 회전시킴으로써 다양한 툴을 이용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어태치먼트를 교체하거나 제3부재(150)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100)의 제1구동부(110), 제2부재(120), 제3부재(150) 및 제3구동부(140)는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부재(101)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다기능 어태치먼트(100)의 제1부재(101)는, 굴삭기의 아암에 직접 연결되는 부분이다. 제1부재(101)는, 굴삭기의 아암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프레임(102) 및 제1프레임(102)의 중앙에서부터 상기 아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아암과 마주 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프레임(10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부재(101)는 대략 T자 형태를 가지는 부재로서, 가로방향(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프레임(102) 및 제1프레임(102)과 직교하는 방향(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프레임(1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프레임(104)은 제1프레임(102)에 대해서 어느 일방향으로만 연장 형성되는데, 굴삭기의 아암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2)의 일면 중 제2프레임(104)과 대향하는 일면에는 굴삭기의 아암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10)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재(10)는 아암의 일단에 마련되는 클램프(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10)는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부재(10)의 하단은 원판부재(11)에 연결될 수 있다. 원판부재(11)는 제1프레임(102)의 일면에 장착되는 부재로서 제1프레임(10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원판부재(11)로 인해서 굴삭기의 아암에 대해서 어태치먼트(100)가 회전할 수 있다. 즉, 어태치먼트(100)는 아암의 길이방향 중심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다.
제1프레임(102)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각각 제1구동부(11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구동부(110)는 제1프레임(102)의 양단에 각각 피벗 운동 또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프레임(102)에 대해서 제1구동부(110)는 회전할 수 있다.
제1구동부(110)의 연결을 위해서 제1프레임(102)의 양단에는 제1장착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장착부(103)에는 제1구동부(110)의 일단과 제1프레임(102)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핀(미도시)이 삽입되는 삽입공(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프레임(104)의 일단에는 제2구동부(130)가 형성되어 제1프레임(102)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2구동부(130)는 제1프레임(102)과 나란한 방향으로 제2프레임(104)의 일단에 마련될 수 있다. 제2프레임(104)의 일단 즉, 하단에는 제2구동부(130)의 장착을 위한 제2장착부(10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장착부(105)에는 제2구동부(130)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구동부(130)는 제1프레임(102)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구동원(130)으로 인해서 제2프레임(104)과 제2부재(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제1부재(101)의 제1프레임(102)은 양단 보다 제2프레임(104)이 연장되는 부분이 더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제2구동부(1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제2부재(120)는, 제2프레임(104)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몸체(121), 몸체(121)에 형성되며 제2구동부(130)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126) 및 몸체(121)에 형성되며 제1구동부(110)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126)는 제2연결부(122) 보다 상부에 형성되고 제2프레임(104)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부재(120)는 제2프레임(104)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제1구동부(110) 및 제2구동부(130)에 의해서 제2부재(121) 사이의 간격 또는 제2프레임(104)에 대한 제2부재(12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2부재(120)는 제1부재(101)의 제2프레임(104)을 기준으로 그 양측에 각각 마련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부재(120)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제1구동부(110) 및 제2구동부(130)에 의해서 한 쌍으로 마련된 제2부재(120) 사이의 간격 또는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제2부재(120)는 다기능 어태치먼트(100)의 메인 툴(main tool) 또는 메인 블레이드(main blade)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면, 몸체(121)는 서로 마주 보는 일단이 개구된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21)는 제1부재(101)의 두께방향으로 마련되는 2개의 판재(121a) 및 판재(121a)의 일단을 연결하는 곡면부재(121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곡면부재(121b)는 판재(121a)의 일단만 연결하고 타단은 연결하지 않기 때문에 곡면부재(121b)가 연결되지 않은 판재(121a)의 타단은 개구단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곡면부재(121b)의 하단은 2개의 판재(121a)의 하단과 거의 일치하는 위치까지 형성되는 반면에, 곡면부재(121b)의 상단은 판재(121a)의 상단 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재(120)의 상부는 판재(121a)의 판면 방향으로 양측에 모두 개구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제1구동부(110)와 제2부재(120)가 서로 부딪히거나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개의 판재(121a) 사이에는 제3부재(150) 및 제3구동부(140)가 마련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3부재(150)는 제2부재(1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데, 제3부재(150)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단지지부(123), 제3부재(150)의 상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단지지부(124)가 제2부재(120)의 판재(121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구동부(140)는 제3부재(150)의 상단 일측에 마련되는데, 제3구동부(140)는 상단지지부(124)에 장착될 수 있다. 제3구동부(140)가 상단지지부(124) 상에서 장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보강부(12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단지지부(123), 상단지지부(124) 및 보강부(125)는 모두 2개의 판재(121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3부재(150) 및 제3구동부(140)의 상측에는 제1연결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126)는 제2구동부(130)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2개의 판재(121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부재(150)는 제1연결부(126)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제2부재(120)의 몸체(121)의 개구된 일단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부재(120)는 하단지지부(123)의 하부에 형성된 쐐기부(12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쐐기부(127)는 작업현장에서 틈새를 벌리고자 하는 경우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곡면부재(121b)의 외면에는 제1구동부(110)가 연결되는 제2연결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부(122)는 제1연결부(126) 보다 아래쪽에 형성되며, 제2프레임(104)에 대해서 제1연결부(126) 보다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100)는 제2부재(1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3부재(150)에 의해서 다양한 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제3부재(15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부재(150)는, 제2프레임(104)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본체(159), 본체(159)의 길이방향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 형성되는 동력전달부(152) 및 본체(159)의 외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툴부(153,154,155)를 포함하며, 툴부(153,154,155)는 본체(159)의 외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부재(150)는 그 외면에 다양한 작업 툴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멀티 작업 툴(multi work tool)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3부재(150)의 외면에 3개의 작업 툴이 형성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형성되는 작업 툴의 개수는 제3부재(150)의 크기 등에 따라서 결정되거나 작업 현장의 조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즉, 2개의 작업 툴만 형성되거나 4개 이상의 작업 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3부재(150)의 본체(159)를 대략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59)의 상단에는 제2부재(120)의 상단지지부(124)에 연결되는 상단연결부(15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단지지부(123)에 연결되는 하단지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59)의 길이방향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는 동력전달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동력전달부(152)가 본체(159)의 상단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본체(159)의 하단에만 형성되거나 본체(159)의 상단 및 하단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동력전달부(152)는 제3구동부(1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본체(159)를 회전시키는 부분이다. 동력전달부(152)는 기어(gear), 스프로켓(sprocket), 풀리(pulley)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152)가 기어로 형성되는 경우 제3구동부(140)는 동력전달부(152)와 직결되거나 맞물리는 기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력전달부(152)가 스프로켓 또는 풀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3구동부(140)도 스프로켓 또는 풀리를 구비하며 동력(회전력)을 전달하는 체인 또는 벨트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3부재(150)의 본체(159) 외면에 형성되는 툴부(tool part)는 어태치먼트(100)가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형성되거나 선택될 수 있다.
제3부재(150)의 본체(159) 외면에 형성되는 툴부는, 크러셔 툴(153), 쉬어 툴(155) 또는 그랩 툴(154)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a)~(d)에는 본체(159)의 외면에 3개의 툴부(153,154,155)가 형성된 제3부재(150)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개의 툴부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a)는 본체(159)의 외면에 형성된 크러셔 툴(crusher tool, 153)을 보여 주고 있다. 크러셔 툴은 작업 대상물을 파쇄하거나 분쇄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b)는 본체(159)의 외면에 형성된 그랩 툴(grab tool, 154)을 보여 주고 있다. 그랩 툴은 작업 대상물을 가압하여 집을 수 있도록 충분한 면적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c)는 본체(159)의 외면에 형성된 쉬어 툴(shear tool, 155)을 보여 주고 있다. 쉬어 툴은 작업 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툴이 본체(159)의 외면에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툴은 120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d) 참조).
한편, 제3부재(150)는 제2프레임(104)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한 쌍이 마련된다. 따라서, 동일한 툴이 서로 마주 보도록 한 쌍의 제3부재(150)가 회전한 상태에서 해당 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구동부(140)는 제3부재(150)의 동력전달부(152)를 통해 제3부재(150)를 회전시키되 동일한 툴부가 마주 보도록 한 쌍의 본체(159)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100)에서, 제1구동부(110) 및 제2구동부(130)는 유압에 의해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구동부(110)는 제2부재(120)의 메인 작동 범위를 조정하는 구동부이고, 제2구동부(130)는 제2부재(120)의 서브 작동 범위를 조정하는 구동부이다. 예를 들면, 제1구동부(110)에 의해서 제2부재(120) 사이의 간격이 작업이 가능할 정도로 벌어진 상태에서 제2구동부(120)에 의해서 제2부재(120) 사이의 각도 또는 범위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제1구동부(110) 및 제2구동부(130)가 각각 형성되는 대신 2개의 구동부가 통합된 하나의 구동부가 제1부재(101)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구동부(110)는 유압 실린더(111) 및 유압 실린더(111)에 연결되어 선형 운동하는 구동로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압 실린더(111)의 내부에는 구동로드(112)와 연결되는 피스톤(115)이 마련될 수 있다. 구동로드(112)와 마주 보는 유압 실린더(111)의 일단에는 제1부재(10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연결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로드(112)의 하단에는 제2부재(120)의 제2연결부(1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로드 연결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구동부(130)는 유압 실린더(131) 및 유압 실린더(131)에 연결되어 선형 구동하는 가동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부(132)에는 제2부재(120)의 제1연결부(126)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3구동부(140)는 모터(미도시) 및 상기 모터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는 출력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142)는 제3부재(150)의 동력전달부(152)와 직접 맞물리거나 체인 또는 벨트 등으로 연결되어 제3부재(150)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100)는 굴삭기의 아암에 대해서 R2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부재(101)에 대해서 제1구동부(110)는 R1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회전하거나 피벗(pivot) 운동할 수 있다.
제2구동부(130)는 제2프레임(104)에 대해서 A2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으며, 제1구동부(110)의 구동로드(112)는 유압 실린더(111)에 대해서 A1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이 때, A1 방향과 A2 방향은 교차한다. 또한, 제3부재(150)는 R2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2와 같이 한 쌍의 제2부재(120)가 서로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제2부재(120) 사이가 벌어져야 한다. 제2구동부(130)가 A2' 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하게 되면 한 쌍의 제2부재(120)는 서로 분리되고 그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부재(101)에 대해서 제1구동부(110)도 A2'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1구동부(110)의 구동로드(112)가 A1' 방향으로 확장하게 되면 제2부재(120)는 제1연결부(126)를 중심으로 해서 하단이 양쪽으로 더 벌어지게 되고 제2부재(120)에 장착되어 있는 제3부재(150) 및 제3구동부(140)도 서로 벌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3구동부(140)에 의해 제3부재(150)를 회전시켜서 해당 작업에 적합한 툴이 서로 마주 보게 한다. 이어서, 한 쌍의 제3부재(150) 사이에 작업 대상이 위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제1구동부(110)의 구동로드(112)가 A1' 반대 방향으로 수축하고 제2구동부(130)가 A2' 반대방향으로 직선 운동하게 되면, 한 쌍의 제3부재(150)의 툴부 사이에 작업 대상물이 단단히 물리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다기능 어태치먼트(100) 및 다기능 어태치먼트(100)가 장착되는 굴삭기를 포함하는 건설 장비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다기능 어태치먼트 101: 제1부재
102: 제1프레임 104: 제2프레임
110: 제1구동부 111: 유압 실린더
112: 구동로드 120: 제2부재
121: 몸체 122: 제2연결부
123: 하단지지부 124: 상단지지부
126: 제1연결부 130: 제2구동부
140: 제3구동부 142: 출력부
150: 제3부재 152: 동력전달부
153: 크러셔 툴 154: 그랩 툴
155: 쉬어 툴 159: 본체

Claims (11)

  1. 굴삭기의 아암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에 대해서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1부재에 대해 상기 제2부재를 상하방향인 제1방향으로 운동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좌우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제1부재에 대해서 상기 제2부재를 운동시키는 제2구동부;
    상기 제2부재에 대해서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부재에 마련되는 제3부재; 및
    상기 제2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제3부재를 회전시키는 제3구동부;
    를 포함하는, 다기능 어태치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아암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의 중앙에서부터 상기 아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아암과 마주 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다기능 어태치먼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1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피벗 운동 또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다기능 어태치먼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2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2구동부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구동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2연결부 보다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다기능 어태치먼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2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에 의해서 상기 제2부재 사이의 간격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대한 상기 제2부재의 각도가 조절되는, 다기능 어태치먼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서로 마주 보는 일단이 개구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3부재는 상기 제1연결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의 개구된 일단의 내측에 마련되는, 다기능 어태치먼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부재는,
    상기 제2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 형성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툴부;를 포함하며,
    상기 툴부는 상기 본체의 외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되는, 다기능 어태치먼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툴부는, 크러셔 툴, 쉬어 툴 또는 그랩 툴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하는, 다기능 어태치먼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구동부는 상기 동력전달부를 통해 상기 제3부재를 회전시키되 동일한 툴부가 마주 보도록 한 쌍의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다기능 어태치먼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는 유압 실린더 및 상기 유압 실린더에 연결되어 선형 운동하는 구동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구동부는 모터를 포함하는, 다기능 어태치먼트.
  11. 제10항에 따른 다기능 어태치먼트; 및
    상기 다기능 어태치먼트가 장착되는 굴삭기를 포함하는, 건설 장비.
KR1020160160578A 2016-11-29 2016-11-29 다기능 어태치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장비 KR101816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578A KR101816456B1 (ko) 2016-11-29 2016-11-29 다기능 어태치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578A KR101816456B1 (ko) 2016-11-29 2016-11-29 다기능 어태치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456B1 true KR101816456B1 (ko) 2018-01-10

Family

ID=60998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578A KR101816456B1 (ko) 2016-11-29 2016-11-29 다기능 어태치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4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9677A (ko) * 2022-03-02 2023-09-11 정흠 주식회사 복합 기능을 가지는 건설기계용 어태치먼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5177A (ja) 1999-06-23 2001-03-13 Sango Juki Kk 対象物に応じてアームを交換可能な破砕機
WO2012162617A2 (en) 2011-05-26 2012-11-29 Lavalley Industries, Llc An attachment for making up or breaking out pipe
US20150053450A1 (en) 2014-11-03 2015-02-26 Caterpillar Work Tools B.V Stator for a hydraulic work tool assembly
WO2016077447A1 (en) 2014-11-13 2016-05-19 Lavalley Industries, Llc An attachment for making up or breaking out pip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5177A (ja) 1999-06-23 2001-03-13 Sango Juki Kk 対象物に応じてアームを交換可能な破砕機
WO2012162617A2 (en) 2011-05-26 2012-11-29 Lavalley Industries, Llc An attachment for making up or breaking out pipe
US20150053450A1 (en) 2014-11-03 2015-02-26 Caterpillar Work Tools B.V Stator for a hydraulic work tool assembly
WO2016077447A1 (en) 2014-11-13 2016-05-19 Lavalley Industries, Llc An attachment for making up or breaking out pip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9677A (ko) * 2022-03-02 2023-09-11 정흠 주식회사 복합 기능을 가지는 건설기계용 어태치먼트
KR102647711B1 (ko) 2022-03-02 2024-03-14 정흠 주식회사 복합 기능을 가지는 건설기계용 어태치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1886A (en) Concrete crusher
KR101202535B1 (ko) 중장비용 진동 니퍼
JP5373041B2 (ja) 振動リッパー
CA2683749C (en) Ripper excavation tool
US20110247246A1 (en) Attachment cutting system having cutting heads and a cutter chain
JP6429098B2 (ja) 掘削機を用いた掘削装置
KR101816456B1 (ko) 다기능 어태치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장비
KR101816455B1 (ko) 다기능 어태치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장비
US20170036336A1 (en) Hammer assembly
KR101742006B1 (ko) 굴삭기용 복합형 어태치먼트
KR20080082043A (ko) 건설장비용 진동 파쇄기
JP2004092191A (ja) 油圧ショベル用作業装置とその旋回機構
KR101524665B1 (ko) 고형물 쇄석기
EP3545137B1 (en) Demolition device and utility machine for demolishing a concrete structure
KR20100013826A (ko) 중장비 차량용 탈부착식 작업장치
JP3153051U (ja) 切断刃付き掘削バケット
RU2233948C1 (ru) Рабочее оборудование одноковшового гидравлического экскаватора
KR20140095886A (ko) 가이드롤러가 구비된 진동 리퍼
KR200267832Y1 (ko) 굴착기의 선단장치
KR200164811Y1 (ko) 다용도 고정식 크라샤
KR102630277B1 (ko) 다중 붐 웨지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진동 암파쇄 공법
KR102615136B1 (ko) 크라샤 겸용 버켓
EP3924558B1 (en) A jaw attachment having various functions
KR20190047466A (ko) 회전식 퀵커플러
KR102529226B1 (ko) 미니 굴삭기를 위한 버켓 및 니퍼 겸용 어태치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