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905B1 -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 - Google Patents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905B1
KR101815905B1 KR1020170107553A KR20170107553A KR101815905B1 KR 101815905 B1 KR101815905 B1 KR 101815905B1 KR 1020170107553 A KR1020170107553 A KR 1020170107553A KR 20170107553 A KR20170107553 A KR 20170107553A KR 101815905 B1 KR101815905 B1 KR 101815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pring
round pin
outlet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혁수
강대성
김은이
Original Assignee
최혁수
강대성
김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혁수, 강대성, 김은이 filed Critical 최혁수
Priority to KR1020170107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9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관통구를 통해 플러그가 접속될 수 있는 콘센트 덮개, 상기 관통구에 상하로 움직이며 플러그 라운드 핀이 꽂아지도록 하는 콘센트 몸체, 상기 콘센트 몸체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콘센트 몸체를 탄성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원형의 스프링, 상기 스프링 내부에 관통되도록 연결되어 플러그에 있는 플러그 라운드 핀에 전원을 연결시키는 접지원통으로 이루어지되, 플러그 라운드 핀이 꽂아진 상기 콘센트 몸체가 회전함으로써 플러그 라운드 핀 말단이 상기 접지원통 내부의 플러그 접속부 또는 플러그 비접속부로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 {Outlet to be turned on / off according to rotation}
본 발명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는 전기의 옥내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하는 기구이다.
일반 콘센트의 경우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기기는 연결을 유지시키기 위해 계속해서 꽂아 두어야 하고, 그로인해 대기전력의 손실이 발생한다. 이러한 손실을 막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콘센트에 꽂혀 있는 플러그를 외출 시 혹은 사용이 끝났을 경우 매번 연결을 해제해야 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이러한 번거로움 때문에 플러그를 계속해서 그대로 꽂아둔다.
또한 규격이 큰 플러그 제품이 나오면서 다수의 콘센트에 꽂을 수 있는 플러그의 수가 한정되어 공간 활용에 불편함을 느낀다.
또한 야간에 플러그를 콘센트의 방향을 맞추는 것 뿐 아니라 위치 찾기에 어려움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569717호, 한국공개특허 제2017-0025915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혀 있을 때 대기전력의 손실을 막아주는 동시에 큰 규격의 플러그가 서로 방해하지 않고 꽂을 수 있는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관통구를 통해 플러그가 접속될 수 있는 콘센트 덮개, 상기 관통구에 상하로 움직이며 플러그 라운드 핀이 꽂아지도록 하는 콘센트 몸체, 상기 콘센트 몸체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콘센트 몸체를 탄성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원형의 스프링, 상기 스프링 내부에 관통되도록 연결되어 플러그에 있는 플러그 라운드 핀에 전원을 연결시키는 접지원통으로 이루어지되, 플러그 라운드 핀이 꽂아진 상기 콘센트 몸체가 회전함으로써 플러그 라운드 핀 말단이 상기 접지원통 내부의 플러그 접속부 또는 플러그 비접속부로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콘센트 덮개의 관통구 하단에는 플러그 라운드 핀이 꽂혀 있는 플러그 접합부를 포함하는 콘센트 몸체가 탄성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고, 콘센트 몸체를 회전시킬 때 콘센트 몸체를 콘센트 덮개에 고정시켜 주도록 일정간격의 홈부가 있으며, 콘센트 몸체의 측면에는 돌기형태의 고정부가 있어 상기 콘센트 덮개의 관통구 하단에 있는 홈부에 결합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홈부 말단에는 초음파 센서가 내장되어 고정부의 위치에 따라 LED 조명이 점등 또는 소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LED등은 플러그 라운드 핀에 전원이 연결되었을 때 녹색등이 켜지고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적색등이 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콘센트 덮개의 관통구 하단에 있는 홈과 상기 고정부가 맞닿는 곳에 내구성을 높여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홈부 고무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직경의 내경 크기는 접지원통 지름보다 커서 상기 접지원통이 스프링의 내부에 들어가고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콘센트 몸체를 복원시키고, 스프링 상단은 콘센트 몸체 하단에 있는 스프링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며, 스프링하단은 접지원통 외부에 있는 스프링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지원통은 전원이 공급되는 플러그 접속부, 전원이 차단되는 플러그 비접속부로 등간격의 8분할로 나누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플러그 접속부 내에 금속전도체를 부착시킴으로써 플러그 라운드 핀과 닿았을 때 전원을 공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는 규격화 되지 않은 콘센트 방향임에도 불구하고 플러그를 꽂을 수 있다. 온오프 기능이 탑재된 콘센트로 인하여 전기기기를 꽂아 발생되는 대기전력 손실을 막을 수 있다. 매번 플러그를 탈착할 필요가 없어 플러그의 손상을 방지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는 복수의 콘센트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콘센트가 회전됨으로써 다소 큰 플러그를 콘센트에 이용하더라도 콘센트의 수만큼 플러그를 꽂을 수 있어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는 콘센트에 LED등이 탑재되어 있어 어두운 공간에서 콘센트를 좀 더 쉬운 방법으로 찾아 꽂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하부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중 접지원통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하부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중 접지원통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관통구를 통해 플러그가 콘센트에 접속될 수 있는 콘센트 덮개(110), 상기 관통구에 상하로 움직이며 플러그의 플러그 라운드 핀이 꽂아지도록 하는 콘센트 몸체(120), 상기 플러그 접합부(121)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콘센트 몸체(120)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원형의 스프링(130), 상기 스프링(130) 내부에 관통되도록 연결되어 플러그에 있는 플러그 라운드 핀에 전원을 연결시키는 접지원통(140)으로 이루어지되, 플러그 라운드 핀이 꽂혀진 상기 콘센트 몸체(120)는 회전에 의해 플러그에 있는 플러그 라운드 핀 말단이 상기 접지 원통(140) 내부의 플러그 접속부(141) 또는 플러그 비접속부(142)로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콘센트 덮개(110)의 관통구가 있으며, 상기 관통구 하단에는 플러그에 있는 플러그 라운드 핀이 꽂혀지는 플러그 접합부(121)를 포함하는 콘센트 몸체(120)가 형성된다. 상기 콘센트 몸체(120)는 플러그의 플러그 라운드 핀이 꽂아진 상태로 좌우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콘센트 몸체(120) 하부에는 스프링(130)이 위치하는 데, 상기 스프링(130)은 스프링 고정부(124)와 스프링 지지대(143)에 의해 스프링의 끝이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콘센트 몸체(120)가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콘센트 덮개(110)의 관통구 하단에 있는 콘센트 몸체(120)는 회전이 가능한 데, 상기 콘센트 몸체(120)를 회전 시킨 후 이를 다시 고정시킬 때 콘센트 몸체(120)를 콘센트 덮개(110)에 고정시켜주기 위해서 콘센트 덮개(110)의 하단에 일정간격으로 8개의 홈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콘센트 몸체(120)의 측면 하단에는 돌기형태의 일정간격으로 4개의 고정부(122)가 있는 데, 상기 고정부(122)는 상기 콘센트 덮개(110)의 관통구 하단에 있는 홈부(111)에 45도 간격으로 회전을 시킨 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홈부(111) 말단에는 초음파 센서(114)가 내장되어 콘센트 몸체(120)에 있는 고정부(122)의 위치에 따라 LED 조명이 점등 또는 소등 된다. 말단에 있는 홈부(111) 8개 중 초음파 센서(114)가 각 홈부(111)마다 내장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90도 간격인 두 개의 홈부(111)에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콘센트 접합부에 플러그 라운드 핀이 45도 간격으로 회전할 때마다 초음파센서가 고정부(122)를 인식하거나 인식하지 못하여 LED등(113)의 색이 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시각적으로 전원이 들어왔는지에 대해서 쉽게 알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인 데, 전원이 연결되었을 때 녹색등이 켜지고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적색등이 켜지게 한다.
예를 들면, 초음파 센서(114)가 고정부(112)를 인식하게 되면 전원이 연결된 경우로 녹색등이 켜지고, 초음파 센서(114)가 고정부(112)를 인식하지 못하게 되면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적색등이 켜진다. 즉, 상기 LED등(113)은 플러그의 있는 플러그 라운드 핀에 전원이 연결되었을 때 녹색등이 켜지고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적색등이 켜지게 된다. 이는 개념 양립성을 적용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녹색이 의미하는 것은 가능, 적색이 의미하는 것은 불가능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효과를 적용하였다.
상기 콘센트 덮개(110)의 관통구 하단에 있는 홈부(111)와 상기 고정부 (122)가 맞닿는 곳은 플러그를 회전시킬 때마다 맞닿는 부분이다. 지속적으로 맞닿게 되면 각 면이 마모되면서 기능을 잃기 쉽다. 이에 따라 홈부(111)와 상기 고정부(122)가 맞닿는 곳에 홈부 고무(112)를 형성시킴으로써, 맞닿아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부분을 줄일 수 있다.
스프링(130)의 내경크기는 접지 원통(140)의 외부지름보다 커서 상기 접지 원통(140)을 스프링(130)이 감싸고 있다. 콘센트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위하여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콘센트에 압력을 가한 후 회전을 시키는데, 이는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방향을 바꾸기 위해 압력을 가했던 콘센트 몸체(120)를 복원시킬 수 있다. 스프링(130) 상단은 콘센트 몸체(120) 하단에 있는 스프링 고정부(124)에 고정되어 콘센트 몸체(120)가 움직이는 데로 따라 스프링(130)이 움직이며, 스프링(130) 하단은 접지 원통(140) 외부에 있는 스프링 지지대(143)에 의해 지지되면서 스프링(130) 하단에 압력을 가해도 그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접지 원통(140)은 내주면에 2쌍의 플러그 접속부(141)와 플러그 비접속부(142)가 각각 번갈아가며 같은 간격으로 8분할이 되어있다. 각 플러그 접속부(141)에는 플러그 라운드 핀과 닿았을 때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금속전도체가 있으며, 각 플러그 비접속부(142)에는 부도체의 성질을 가져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이는 콘센트의 방향에 따라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는 이유이다.
이렇게 제조된 콘센트는 회전에 따라 온오프 기능이 가능하여 전기기기를 꽂아 발생되는 대기전력 손실을 막을 수 있으며, 매번 플러그를 탈착할 필요가 없어 플러그의 손상을 방지 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10 : 콘센트 덮개 111 : 홈부 112 : 홈부 고무
113 : LED등 114 : 초음파 센서
120 : 콘센트 몸체 121 : 플러그 접합부 122 : 고정부
123 : 몸체 고무 124 : 스프링 고정부
130 : 스프링
140 : 접지 원통 141 : 플러그 접속부
142 : 플러그 비접속부 143 : 스프링 지지대

Claims (7)

  1. 관통구를 통해 플러그가 접속될 수 있는 콘센트 덮개,
    상기 관통구에 상하로 움직이며 플러그 라운드 핀이 꽂아지도록 하는 콘센트 몸체,
    상기 콘센트 몸체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콘센트 몸체를 탄성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원형의 스프링,
    상기 스프링 내부에 관통되도록 연결되어 플러그에 있는 플러그 라운드 핀에 전원을 연결시키는 접지원통으로 이루어지되,
    플러그 라운드 핀이 꽂아진 상기 콘센트 몸체가 회전함으로써 플러그 라운드 핀 말단이 상기 접지원통 내부의 플러그 접속부 또는 플러그 비접속부로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콘센트 덮개의 관통구 하단에는 플러그 라운드 핀이 꽂혀 있는 플러그 접합부를 포함하는 콘센트 몸체가 탄성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고,
    콘센트 몸체를 회전시킬 때 콘센트 몸체를 콘센트 덮개에 고정시켜 주도록 일정간격의 홈부가 있으며,
    콘센트 몸체의 측면에는 돌기형태의 고정부가 있어 상기 콘센트 덮개의 관통구 하단에 있는 홈부에 결합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 말단에는 초음파 센서가 내장되어 고정부의 위치에 따라 LED 조명이 점등 또는 소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LED 조명은 플러그 라운드 핀에 전원이 연결되었을 때 녹색등이 켜지고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적색등이 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덮개의 관통구 하단에 있는 홈과 상기 고정부가 맞닿는 곳에 내구성을 높여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홈부 고무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
  6.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직경의 내경 크기는 접지원통 지름보다 커서 상기 접지원통이 스프링의 내부에 들어가고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콘센트 몸체를 복원시키고,
    스프링 상단은 콘센트 몸체 하단에 있는 스프링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며, 스프링 하단은 접지원통 외부에 있는 스프링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원통은 전원이 공급되는 플러그 접속부, 전원이 차단되는 플러그 비접속부로 등간격의 8분할로 나누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플러그 접속부 내에 금속전도체를 부착시킴으로써 플러그 라운드 핀과 닿았을 때 전원을 공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
KR1020170107553A 2017-08-24 2017-08-24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 KR101815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553A KR101815905B1 (ko) 2017-08-24 2017-08-24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553A KR101815905B1 (ko) 2017-08-24 2017-08-24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905B1 true KR101815905B1 (ko) 2018-01-30

Family

ID=61070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553A KR101815905B1 (ko) 2017-08-24 2017-08-24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9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717B1 (ko) 2014-12-15 2015-11-20 이선재 절전형 회전 콘센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717B1 (ko) 2014-12-15 2015-11-20 이선재 절전형 회전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62472B (zh) 一种多功能插座
US6022237A (en) Water-resistant electrical connector
CN106415115B (zh) 照明系统
US6196851B1 (en) Reorientable electrical outlet
US5409403A (en) 360 degree connector system
US9281638B2 (en) Connectors
US20120071008A1 (en) Magnetic electrical coupling adaptor
CA2577211A1 (en) Electric distributing system
EP3051636B1 (en) Connector and method for realizing connector
NO995571L (no) Undersjoeisk skjoetekontaktenhet
GB2442426A (en) A universal power socket
CN101849330A (zh) 电连接器装置
US20100120278A1 (en) Multi-angular power adapter
US20060068608A1 (en) Rotatable outlet adaptor
US9935410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male and female connectors
CN109417241B (zh) 电气插座
US10998667B2 (en) Rotatable electric plug
KR101815905B1 (ko) 회전에 따라 온/오프 되는 콘센트
CN108199242B (zh) 一种内置轨道取电装置
CN101615751B (zh) 一种360度旋转的电源插头
KR20140065886A (ko) 전기플러그
KR200491270Y1 (ko) 전구소켓 접속형 멀티 콘센트
CN101026280A (zh) 地下电集线器
KR20130045053A (ko) 안전 콘센트
US20010018277A1 (en) Safety electrical out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