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752B1 - 촉매층 내부에 열원 컬럼이 장착된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 - Google Patents

촉매층 내부에 열원 컬럼이 장착된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752B1
KR101815752B1 KR1020160021116A KR20160021116A KR101815752B1 KR 101815752 B1 KR101815752 B1 KR 101815752B1 KR 1020160021116 A KR1020160021116 A KR 1020160021116A KR 20160021116 A KR20160021116 A KR 20160021116A KR 101815752 B1 KR101815752 B1 KR 101815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or
heat source
dehydrogenation
screen
catalys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9432A (ko
Inventor
조재한
김원일
조부영
우재영
염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60021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752B1/ko
Publication of KR20170099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29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with stationary packing material in the bed, e.g. bricks, wire rings,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08Details of the reactor or of the particulate material; Processes to increase or to retard the rate of re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278Feeding reactive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285Heating or cooling the re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6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in tube reactors; the solid particles being arranged in tubes

Abstract

본 발명은 반응기 내부를 한정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촉매가 저장 및 투입되는 촉매 유입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반응기 내부로 유체 반응물을 공급하기 위한 반응기 유입구,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하우징과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내측 스크린 및 외측 스크린에 의하여 한정되며, 내부에 탈수소 촉매가 충진되어 원료가스의 탈수소 반응이 진행되는 탈수소 촉매층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반응기 내부로부터 반응물 스트림을 회수하기 위한 반응가스 배출구를 포함하는 탈수소화 반응기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스크린 및 외측 스크린과 이격되어 상기 내측 스크린과 외측 스크린 사이에 배치되며, 탈수소 촉매층 내부로 공급된 원료가스를 가열하는 다수 개의 열원 컬럼들을 포함하는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열원 컬럼에 의한 열교환을 통해 반응기 내부에 추가적인 열을 공급할 수 있어 예비가열 온도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촉매층 내부에 열원 컬럼이 장착된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Self heat supply dehydrogenation reactor with heat source column inside catalyst layer}
본 발명은 다양한 탄화수소 원료의 탈수소화에 유용한 탈수소 반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수소 촉매층 내부에 장착된 열원 컬럼을 이용하여 프로판 탈수소 공정의 흡열반응시 요구되는 에너지를 자체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프로판을 프로필렌으로, 이소부탄을 이소부텐으로 탈수소화하는 반응은 탈수소화에 이용되는 고온에서 알칸 원료보다 반응성이 강하고 코크 형성이 쉬운 올레핀을 생성한다. 탈수소화 반응기는 직경이 약 5에서 30 피트 이상, 길이는 10에서 100 피트 이상으로 매우 큰 규모의 긴 원주형 수직 구조물이다. 이러한 반응기의 일반적인 구조는 수직 반응기의 하부 중심에 위치한 입구에 반응가스를 주입할 수 있는데, 이때 가스는 환형구역을 통해 흘러 올라가, 다공성 촉매 베드 또는 다른 적절한 탈수소 촉매를 통해 방사상으로 외향하여 통과한 후 반응기 외곽부의 상부에서 배출되도록 외부 환형 구역을 통해 상향하여 통과한다. 촉매 베드를 지나는 반응가스 유동이 방사 방향이기 때문에, 이러한 반응기들은 종종 "방사(radial)"반응기로 불린다.
일반적으로, 방사 흐름 반응영역은 다양한 공칭 단면적을 가지고 있는 실린더형 구역들로 이루어지는데, 이들 구역은 수직으로 그리고 동축으로 배치되어 반응영역을 형성한다. 전형적으로 방사 흐름 반응영역은 둘 다 반응 용기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는 실린더형 외부 촉매 함유 스크린과 실린더형 내부 촉매 함유 스크린을 보유하는 실린더형 반응 용기를 포함한다. 내측 스크린은 외측 스크린보다 공칭 내부 단면적이 더 작고, 반응 용기보다 공칭 내부 단면적이 더 작다. 반응가스 스트림은 반응 용기의 내벽과 외측 스크린의 외부 표면 사이에 존재하는 환형 공간 내로 도입된다. 반응가스 스트림은 외측 스크린을 통과하여 외측 스크린과 내측 스크린 사이에 존재하는 환형 공간을 통해 방사 방향으로 흐른 후에, 내측 스크린을 통과한다. 내측 스크린 내측의 실린더형 공간 내로 수집된 스트림은 반응 용기로부터 회수한다.
프로판 탈수소 반응은 프로판에서 수소 일부를 분리하여 프로필렌을 생산하는 공정이다. 이 공정은 흡열반응(ΔH0 298 = +124 kJ/mole)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적절하게 반응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반응공정 중 충분한 에너지가 공급되어야 한다. 프로판의 이론 평형 전환율은 반응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특성을 보인다. 평형 전환율을 높이기 위하여 반응가스는 650℃이상까지 가열되고 흡열반응이 진행된다.
프로판 탈수소 공정의 에너지원으로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실제로 적용되고 있으며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가열로(fired heater)가 있다. 가열로는 흡열반응의 탈수소 공정을 진행하기 위하여 반응기 전단에 설치되어 일정량의 에너지를 공급한다. 주 반응가스인 프로판은 촉매 반응기로 투입되기 이전에 수소와 함께 고온의 가열로 내부로 주입되고 열 교환과정을 거쳐 적정 온도까지 가열된다.
도 1은 가열로를 사용하여 열을 공급받는 종래의 탈수소 시스템의 일반적인 모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응가스인 프로판 및 수소가 가열로 내부를 통과하여 열 교환 및 가열과정을 거친 후 탈수소 촉매 반응기로 주입된다. 종래 예열 장치로 사용되는 가열로는 U자 형태의 배관에 공급기체를 흘려주고 배관 주변으로 여러 대의 버너(burner)를 배치하여 가열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구조의 가열로는 600 내지 700℃이상의 고온으로 가열이 가능하므로 탈수소 공정의 예열 장치로 적합하지만 온도 조절이 어렵고 가연성 가스를 사용하는 공정에서는 높은 위험성을 동반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반응기 위치 및 구간에 따른 선택적인 가열이 불가능하며 프로판 배관 외부와 내부간의 온도 구배가 발생하고 국부적으로 가열되는 부분이 생성되어 가열 장치 내부에서 700℃ 이상의 과열점(hot spot)이 생성되는데, 이에 따른 열 깨짐 현상(thermal cracking)이 부반응으로 나타난다. 프로판과 프로필렌의 열 깨짐 현상에 의해 메탄, 에탄, 에틸렌 등이 생성된다. 이러한 부반응은 프로필렌 수율을 감소시켜 공정 성능 저감의 주원인이 되므로 가열로의 가열 조건 제어가 매우 중요한 변수가 된다.
따라서, 가열로의 가열온도가 증가할수록 프로판의 전환율은 증가하지만 동시에 열 깨짐 현상에 의해 선택도가 감소되어 프로필렌의 수율이 감소하고 공정의 원단위가 증가된다. 또한, 가열로와 반응기를 연결하는 배관의 단열처리를 위한 막대한 초기투자 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촉매 반응이 진행되는 촉매층 내부에 열원 컬럼이 장착되어 프로판 탈수소 공정의 흡열반응시 요구되는 에너지를 자체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예비가열 온도를 낮추고 전체 공정이 등온반응이 되도록 유지하여 공정 수율을 향상시키고 운전 및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탈수소 반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반응기 내부를 한정하는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촉매가 저장 및 투입되는 촉매 유입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반응기 내부로 유체 반응물을 공급하기 위한 반응기 유입구,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하우징과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내측 스크린 및 외측 스크린에 의하여 한정되며, 내부에 탈수소 촉매가 충진되어 원료가스의 탈수소 반응이 진행되는 탈수소 촉매층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반응기 내부로부터 반응물 스트림을 회수하기 위한 반응가스 배출구를 포함하는 탈수소화 반응기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스크린 및 외측 스크린과 이격되어 상기 내측 스크린과 외측 스크린 사이에 배치되며, 탈수소 촉매층 내부로 공급된 원료가스를 가열하는 다수 개의 열원 컬럼(heat source column)들을 포함하는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는, 열원 컬럼에 의한 열교환을 통해 반응기 내부에 추가적인 열을 공급할 수 있어 예비가열 온도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또한, 반응기에 국부적으로 가열되는 지점이 발생하지 않고 반응기 상/하, 내/외부간의 온도 구배가 적게 나타나므로 프로판의 열 깨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반응공정 중 흡열반응에 의해 소실된 열을 반응기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추가 공급하여 탈수소 공정 수율 및 프로필렌 선택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배관 및 반응기의 열 손실에 따른 반응온도 저감 문제와 단열처리 비용을 감소시킴으로써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가열로를 사용하여 열을 공급받는 종래의 탈수소 시스템의 일반적인 모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반응기의 스크린 내부에 배치된 열원 컬럼을 도시한 반응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반응기의 스크린 내부에 배치된 열원 컬럼을 도시한 반응기의 일부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면들이 본 발명의 탈수소화 반응기의 특정 형상을 기술하고 있다 하더라도, 이러한 탈수소화 반응기는 특별한 응용에서 행해지는 특정 환경에 적합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후에 설명되는 구체적 실시예로 본 발명의 광범위한 적용을 제한하지 않는다. 더욱이, 도면의 숫자는 본 발명의 탈수소화 반응기의 간단한 개략도를 나타낸 것으로 주요 구성요소만 나타내었다. 기타 펌프, 가동관, 밸브, 헤치, 엑세스 출구 및 다른 유사한 구성 요소들은 생략하였다.
설명된 탈수소화 반응기를 변경하기 위해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이용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및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다.
본원에서 용어 "유체"는 기체, 액체, 또는 분산된 고체를 함유하는 기체 또는 액체이거나 이들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유체는 분산된 액적(droplet)을 함유하는 기체 형태일 수 있다.
본원에서 용어 "반응영역"은, 반응가스가 촉매 베드 상의 촉매와 접촉하는 탈수소화 반응기 내의 공간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하부, 하향 또는 중력 방향, 즉 직교류 가스에 의한 장치를 통한 고체의 흐름 방향이 배향되고, 이에 따라 '하부', '하향', '상부' 및 '상향'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중력 방향에 대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본원에서 "내측" 또는 "내부"는, 환형 반응기를 중력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인 원의 방사상 중심 방향을 향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외측" 또는 "외부"는, 환형 반응기를 중력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인 원의 방사상 원주 방향을 향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스크린"이란 용어는 촉매 베드를 가로지르는 반응가스 스트림의 유동은 허용하면서 촉매 베드에 촉매를 한정시키는데 적합한 수단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의미를 갖고 있다.
도면의 숫자는 본 발명에 따른 탈수소 반응기의 간단한 개략도를 나타낸 것으로 주요 구성요소만 나타내었다. 기타 펌프, 가동관, 밸브, 해치, 엑세스 출구, 및 다른 유사한 구성 요소들은 생략하였다. 설명된 탈수소 반응기를 변경하기 위해 이러한 부속품들을 이용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및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100)는 반응기 내부를 한정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촉매가 저장 및 투입되는 촉매 유입부(20),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반응기 내부로 유체 반응물을 공급하기 위한 반응기 유입구(11),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하우징(10)과 동축상으로 배치되며, 그 내부에 탈수소 촉매(35)가 충진되어 원료가스의 탈수소 반응이 진행되는 탈수소 촉매층(30), 상기 하우징(1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반응기 내부로부터 반응물 스트림을 회수하기 위한 반응가스 배출구(12)를 포함하되, 상기 탈수소 촉매층(30)은 내측 스크린(31) 및 외측 스크린(32)에 의하여 한정되고, 다수 개의 열원 컬럼(heat source column)(40)들이 상기 내측 스크린(31)과 외측 스크린(32) 사이의 공간에 방사상으로 상기 내측 스크린(31) 및 외측 스크린(32)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열원 컬럼(40)들은 열원 컬럼(40)들의 상단에 열원(미도시)이 연결되어 열원에서 발생하는 열이 열원 컬럼(40)에 전해지고 열원 컬럼(40)의 외벽 또는 내부에 전달된 열에 의해 탈수소 촉매층(30) 내부로 공급되는 원료가스가 가열된다. 즉, 원료가스가 열원 컬럼(40)의 외부 표면에 접촉하여 열을 공급받는다.
탈수소화 반응기(100)는 중력 스트림에 의해 환형 촉매 베드로 이동 가능한 촉매 입자들과 반응가스 스트림을 방사상 스트림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탈수소화 반응기(100)는 외부의 원통형 하우징(10)으로 구성되고 이에 수용되는 촉매 베드가 포함된 탈수소 촉매층(30)은 환상의 반응영역으로서, 서로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으며 중앙의 반응가스 유동 통로(50)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다. 하우징(10)은 수직의 실린더 형상으로서 상부 일 측면에는 원료가스 유입구(11)가 형성되어 프로판과 수소 등을 포함하는 원료가스가 유입되며, 아래쪽 바닥면에는 반응가스 배출구(12)가 형성되어 반응이 완료된 반응가스가 배출된다.
탈수소 촉매층(30) 내부에 배치되는 열원 컬럼(40)은 열원에서 전달된 열을 탈수소 촉매층(30) 내부의 원료가스에 공급한다. 열원 컬럼(40)의 상부에 연결된 열원에 의해 열원 컬럼(40)에 전달된 열은 반응가스가 탈수소 흡열반응에 의해 손실된 열만큼 추가적으로 열에너지를 보충해 주는 역할을 하여 탈수소 촉매층(30)의 내부 온도를 최적화된 흡열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수준까지 증가시킨다. 상기 열원 컬럼(40)에 의한 열 교환 방식은 기존의 반응기에 장착된 가열로에 의한 직접적인 열 교환 방식과 달리 열원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열이 교환되는 방식이다. 즉, 열원 컬럼(40)의 상단부에 연결된 열원에 의하여 발생된 열이 열원 컬럼(40)의 외벽으로 전달되고, 열원 컬럼(40)의 외벽 또는 내부에 전달된 열이 탈수소 촉매층(30) 내부로 공급된 열원 컬럼(40) 주변의 반응가스를 가열함으로써 탈수소화 흡열반응에 의해 소실된 열을 추가로 보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접 열 교환 방식에 의해, 가열로에 의한 예비가열 온도를 현저히 낮출 수 있으며, 감소된 예비가열 온도만큼 열원 컬럼(40)에서 반응기 내부에 추가적으로 열을 공급하여 반응열을 보충한다. 즉, 탈수소 촉매층(30)에서 발생하는 흡열반응에 의해 소실된 열이 반응기(100) 내부에서 추가적으로 자가 공급되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열원으로는, 불연성 고온 가스(inert hot gas), 스팀(steam), 전기히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불연성 고온 가스나 스팀은 반응장치 외부에서 생성되어 단열배관을 통해 열원 컬럼(40)의 상부에 연결되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전기히터는 반응기 내부에 전기히터를 삽입하고 전기히터의 전기 공급선은 방폭형 배관을 통해 외부로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반응기(100)는 가열로에 의한 예비가열 온도와 열원 컬럼(40)에 의한 내부 가열온도 조건을 조절하여 최고 수율을 달성할 수 있는 최적의 반응온도가 전체 공정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열원 컬럼(40) 외벽의 온도는 600 내지 650℃이다. 상기 온도가 600℃ 미만이면, 탈수소 흡열반응에 의해 손실된 열에너지를 보충하기 어렵고, 650℃를 초과하는 경우 반응가스의 열 깨짐 현상이 발생하여 수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반응기의 스크린 내부에 배치된 열원 컬럼을 도시한 반응기의 일부 횡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열원 컬럼(40)은 내측 스크린(31)과 외측 스크린(32)으로 한정된 환형의 반응 공간 내의 중심부에 상호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내측 스크린(31) 및 외측 스크린(32)과도 이격되어 배치된다. 열원 컬럼(40)이 스크린(31,32)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구성에 의해 열원에서 공급되는 열량이 적어도 높은 발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3에 의하면, 열원 컬럼(40)들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열원 컬럼(40)들이 상호 이격되는 간격(d)은 1 내지 20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d)이 1cm 미만인 경우 반응가스 및 촉매의 원활한 이동이 어렵고, 20cm를 초과하면 탈수소 흡열반응에 의해 손실된 열에너지를 보충하기 어렵다. 또한, 열원 컬럼(40)의 직경(r)은 1 내지 20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경(r)이 1cm 미만인 경우 촉매의 이동에 방해가 되거나 탈수소 흡열반응에 의해 손실된 열에너지를 보충하기 어렵고, 20cm를 초과하면 열 추가 공급 에너지 대비 열 보충 효율이 떨어 진다.
열원 컬럼(40)이 스크린 내부에 장착되는 개수는 10 내지 100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되는 개수가 10개 미만인 경우 탈수소 흡열반응에 의해 손실된 열에너지를 보충하기 어렵고, 100개를 초과하면 반응가스 및 촉매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고 열원의 전력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비가열 온도에 따라 탈수소 흡열반응이 일부 진행된 열원 컬럼 전단의 온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추가로 공급되어야 하는 열원의 양이 변동될 수 있다. 열원의 양에 따라 필요로 하는 열원 컬럼(40)의 직경, 이격 간격, 장착 개수가 결정되는데, 이 때 열원 컬럼(40)의 장착에 따라 반응압력과 촉매 이동속도가 영향을 받기 때문에 반응기(100)의 성능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반응기(100)를 설계하여야 한다.
열원 컬럼(40)은 800℃ 이상의 고온에서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스틸(steel)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 허용되는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원 컬럼(40)은 관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어, 도 3에는 횡단면이 원형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횡단면이 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만곡진 사각형(curved-rectangle)일 수 있다. 또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반응기의 상부에서는 단면적이 아래 부분의 단면적보다 적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열원 컬럼(40)은 스크린 내부에 장착되어 촉매 충진 층 내부에서 간접적인 열 교환을 통해 반응가스에 추가의 열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탈수소 촉매층(30) 내에서 탈수소 반응이 진행되는 원료가스가 탈수소화되는 흡열반응에 의해 소실된 열을 추가로 보충할 수 있어 반응기(100)가 전체적으로 등온반응이 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열원 컬럼(40)에서 반응기 내부에 추가적으로 열을 공급하여 반응열을 보충하기 때문에 가열로에 의한 예비가열 온도를 현저히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종래의 가열로를 사용한 반응기에 의한 열 깨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부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탈수소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응기(100) 내부에 도입된 원료가스는 열 손실이 최소화된 조건으로 탈수소 반응이 진행될 수 있으며 전체 원료가스가 균등하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100)에 의하면, 원료가스는 유입구(11)로 주입되어 스크린으로 둘러싸인 탈수소 촉매층(30)을 통과하고 생산물은 탈수소 촉매층(30)의 중심부에서 혼합되어 최종적으로 배출구(12)로 배출된다. 이 때, 원료가스 유입구(11)를 통하여 환형의 탈수소 반응기(100)로 유입된 프로판과 수소 등의 원료가스는 외측스크린(32)을 통과하여 탈수소 촉매층(30)으로 유입되어 촉매와 접촉하여 탈수소 반응이 진행된다.
탈수소 촉매층(30)은 상부에 촉매 분배관(33)이 형성되고 하부에 촉매 배출관(34)이 형성되어 탈수소 촉매 입자들(35)은 이동상(moving bed)으로 충진된다. 탈수소 촉매층(30)은 내측 스크린(31) 및 외측 스크린(32)에 의하여 환형의 반응 영역이 한정된다. 촉매 베드의 내외측에 형성되는 내부 및 외측 스크린(31, 32)은 유동 저항이나 큰 압력강하 없이 반응가스 스트림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크나 이에 수용된 탈수소 촉매 입자(35)는 통과하지 못하고 수용된 상태에 놓일 수 있을 정도로 작은 메쉬 크기를 갖는 스크린 또는 다공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많은 스크린들 또는 다공체들은 공지되어 있으며, 대안적으로, 스크린들은 펀치판, 다공판 또는 다공 파이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공의 크기는 스크린을 통해 반응가스의 스트림을 용이하게 하면서, 촉매 입자들의 통행을 억제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어야 한다. 다공판의 구멍은 원형, 정방형, 직사각형, 3각형, 좁은 수평 또는 수직 슬로트 등의 형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크린들은 원통형 스크린들로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스크린들은 원통형과 같은 촉매 입자 보유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된 일군의 평면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원료 가스의 이동 방향이 반응기(100)의 상부에서 유입되어 하부로 배출되는 것으로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원료 가스는 반응기(100)의 하부 일측에 배치된 유입구(미도시)로 유입되어 일련의 탈수소 반응을 거친 후 반응기(100)의 상부 일측에 배치된 배출구(미도시)로 배출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반응기(100) 내부로 유입된 반응가스는 스크린과 촉매 베드를 통해 흘러 탈수소 촉매와 반응을 일으켜 생성물 유체, 또한 통상적으로 가스를 생성한다. 반응기는 가스가 통과하여 흐르는 스크린을 사용하여 촉매를 내부에 유지한다. 상부의 촉매 분배관(33)에서 공급되는 탈수소 촉매 입자(35)는 중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여 촉매 배출관(34)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취출되며, 취출된 촉매는 재생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한편, 탈수소 촉매층(30)의 내측 스크린(31)의 내측 공간에는 반응가스 포집영역(50)이 형성된다. 탈수소 촉매층(30)을 통과하며 탈수소 반응이 종료된 반응가스는 반응가스 포집영역(50)에서 포집되어 반응가스 배출구(12)를 통하여 추가 공정을 위해 하류측으로 보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는, 탈수소화 반응이 진행되는 스크린 내부에 열원 컬럼을 적용하여 국부적으로 가열되는 지점이 발생하지 않고 반응기 상/하, 내/외부간의 온도 구배가 적게 나타나므로 프로판의 열 깨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의 수율을 증가 시킬 수 있으며, 배관 및 반응기의 열 손실에 따른 반응온도 저감 문제와 단열처리 비용 등을 감소시킴으로써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각종의 상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의 각종 변형이 명세서를 읽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원에 기술된 발명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의 영역 내에 속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10 : 하우징 11 : 원료가스 유입구
12 : 반응가스 배출구 20 : 촉매 유입부
30 : 탈수소 촉매층 31 : 내측 스크린
32 : 외측 스크린 33 : 촉매 분배관
34 : 촉매 배출관 35 : 탈수소 촉매 입자
40 : 열원 컬럼 50 : 반응가스 포집 영역

Claims (12)

  1. 반응기 내부를 한정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촉매가 저장 및 투입되는 촉매 유입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반응기 내부로 유체 반응물을 공급하기 위한 반응기 유입구,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하우징과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내측 스크린 및 외측 스크린에 의하여 한정되며, 내부에 탈수소 촉매가 충진되어 원료가스의 탈수소 반응이 진행되는 탈수소 촉매층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반응기 내부로부터 반응물 스트림을 회수하기 위한 반응가스 배출구를 포함하는 탈수소화 반응기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스크린 및 외측 스크린과 이격되어 상기 내측 스크린과 외측 스크린 사이의 공간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탈수소 촉매층 내부로 공급된 원료가스를 가열하는 다수 개의 열원 컬럼들을 포함하는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컬럼들의 상부에 열원이 연결되고 상기 열원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열원 컬럼들의 외벽 또는 내부로 이동하여, 열원 컬럼들의 외벽 또는 내부에 존재하는 열에 의해 상기 탈수소 촉매층 내부로 공급된 원료가스가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은 불연성 고온 가스(inert hot gas), 스팀(steam) 또는 전기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컬럼의 외벽 온도는 600 내지 6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컬럼들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격되는 간격(d)는 1 내지 2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컬럼의 직경(r)은 1 내지 2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컬럼들이 스크린 내부에 장착되는 개수는 10 내지 10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소 촉매층은 상부에 촉매 분배관이 형성되고 하부에 촉매 배출관이 형성되어 상부에서 공급되는 탈수소 촉매는 중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여 배출되며, 내측 스크린 및 외측 스크린에 의하여 환형의 반응 영역이 한정되고, 내측 스크린의 내측 공간에는 반응가스 포집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컬럼은 스틸(steel)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컬럼은 관형이고, 횡단면이 원형 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또는 만곡진 사각형(curved-rectang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컬럼은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컬럼은 반응기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
KR1020160021116A 2016-02-23 2016-02-23 촉매층 내부에 열원 컬럼이 장착된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 KR101815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116A KR101815752B1 (ko) 2016-02-23 2016-02-23 촉매층 내부에 열원 컬럼이 장착된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116A KR101815752B1 (ko) 2016-02-23 2016-02-23 촉매층 내부에 열원 컬럼이 장착된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432A KR20170099432A (ko) 2017-09-01
KR101815752B1 true KR101815752B1 (ko) 2018-01-09

Family

ID=59923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116A KR101815752B1 (ko) 2016-02-23 2016-02-23 촉매층 내부에 열원 컬럼이 장착된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7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34484B1 (en) * 2019-03-29 2019-10-08 Emerging Fuels Technology, Inc. Stacked zone vertical tubular reactor
CN115106049B (zh) * 2022-06-21 2023-07-18 福州大学 一种具有氨气预加热功能的氨分解反应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5123B2 (ja) 1998-07-09 2011-01-19 ストーン アンド ウエブスター,インク. 半径流反応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5123B2 (ja) 1998-07-09 2011-01-19 ストーン アンド ウエブスター,インク. 半径流反応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432A (ko)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3285B2 (en) Counter-current fluidized bed reactor for the dehydrogenation of olefins
US20140142362A1 (en) Counter-Current Fluidized Bed Reactor for the Dehydrogenation of Olefins
CN103908931B (zh) 一种液化气芳构化制备芳烃的流化床反应装置及使用方法
CN104190332B (zh) 一种多分区的气固流化床反应器及系统
WO2014081545A1 (en) Counter-current fluidized bed reactor for the dehydrogenation of olefins
KR101815752B1 (ko) 촉매층 내부에 열원 컬럼이 장착된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
Mazidi et al. Optimization of Fischer‐Tropsch process in a fixed‐bed reactor using non‐uniform catalysts
US4101376A (en) Tubular heater for cracking hydrocarbons
KR101831507B1 (ko) 등온반응 유도용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
US2554435A (en) Apparatus for effecting contact between a gas and a downwardly flowing contiguous mass of pebbles
KR101693114B1 (ko) 자가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
KR101815753B1 (ko) 촉매층 내부에 열원 플레이트가 장착된 자체 열공급 탈수소 반응기
US2548519A (en) Apparatus for conducting high-temperature reactions
KR101672601B1 (ko) 탈수소화 반응기
KR20170091224A (ko) 탈수소 공정용 고정층 반응기
TW201622818A (zh) 用於不同操作條件下再生觸媒之再生器
KR101670144B1 (ko) 탈수소화 반응기용 가스분산장치
RU2674950C1 (ru) Каталитический реактор
KR101651756B1 (ko) 보강 와이어를 구비한 촉매 스크린
KR101652597B1 (ko) 보강판을 구비한 촉매 스크린
KR101921430B1 (ko) 탈수소화 반응기
RU2417834C1 (ru) Конвектор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газофазных каталитических процессов
KR101651755B1 (ko) 탈수소화 반응기
RU2752598C2 (ru) Секционированный реактор с небольшой производительностью
KR102497094B1 (ko) 감소된 두께의 촉매 베드들을 포함하는 반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