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659B1 -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광시스템 - Google Patents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659B1
KR101815659B1 KR1020150139064A KR20150139064A KR101815659B1 KR 101815659 B1 KR101815659 B1 KR 101815659B1 KR 1020150139064 A KR1020150139064 A KR 1020150139064A KR 20150139064 A KR20150139064 A KR 20150139064A KR 101815659 B1 KR101815659 B1 KR 101815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wind power
led
power generator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909A (ko
Inventor
정원수
Original Assignee
벤토글로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벤토글로벌(주) filed Critical 벤토글로벌(주)
Priority to KR1020150139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659B1/ko
Publication of KR20170039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30Wind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02E10/7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전기의 공급이 원할하지 않는 고속도로, 일반도로, 산악, 도서지역, 농어촌 등에 설치되어 주의, 경고, 정보 등의 문구를 알려주는 전광시스템에 풍력발전기의 풍력을 이용하여 전원을 원할히 공급하도록 하기 위해,
풍력발전기를 상부에 결속하는 나사공을 상면에 형성한 승강대를 고정구에 의해 고정대에서 승강가능케 하며 상기 고정대의 외주연을 수용하는 고정공을 형성하고 양측으로 고정판을 연장시킨 고정고리를 마련하고 상기 고정판을 수용하는 맞춤홈을 후면에 형성한 LED판과 콘트롤러를 고정나사로 고정대에 콘트롤러를 고정하게 하여, 전기의 공급이 원할하지 않는 고속도로, 일반도로, 산악, 도서지역, 농어촌 등에 설치되어 주의, 경고, 정보 등의 문구를 알려주는 LED등과 풍력발전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위치로 맞게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광시스템{An electric light system using wind power generator}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전기의 공급이 원할하지 않는 고속도로, 일반도로, 산악, 도서지역, 농어촌 등에 설치되어 주의, 경고, 정보 등의 문구를 알려주는 전광시스템에 풍력발전기의 풍력을 이용하여 전원을 원할히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력발전기는 자연 상태의 무공해 에너지원으로 바람의 힘을 회전력으로 전환시켜 발생되는 전력을 전력계통이나 수요자에 직접 공급하는 기술로써, 풍력발전기는 다양한 형태의 풍차를 이용하여 바람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 기계적 에너지로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력을 얻어내는 시스템이다.
그리고, 전광시스템은 최근에 LED를 사용하며 LED Matrix를 이용하여 문자를 표출하는 시스템으로, 고정된 기존의 전광판과는 다르게 다양하게 변경되는 문자 및 그래픽을 표출할 수 있어 광고 및 홍보, 상황판, 정보전달매체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LED(Light Emitting Diode)는 전기 신호를 빛의 신호로 변환하여 빛을 발하는 반도체 소자 발광다이오드로, 이전에는 blue 색상 제조상의 어려움으로 다른방식의 발광부품을 사용하기도 했으나 기술의 발전으로 green, red, blue, yellow의 다양한 발광색상이 제작 활용되고 있다.
또한, 픽셀은 LED램프를 여러개 모아 구성한 전광판의 기본단위로써 R, G, B 발광다이오드의 3색의 조합된 1개의 부품을 말하며, 픽셀을 일정 수량으로 조합하여 가로 16개, 세로 16개를 넣을수 있도록 만들어 정사각형을 이룬 것을 모듈(Module)이라 한다. 한 모듈안에 자음, 모음이 결합된 한글 1자를 완벽하게 표현할수 있어 그림이나 애니메이션 표출이 가능하고 이러한 모듈이 조합되어 화면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국내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143225호(2013. 12. 31일 공개)에는 풍력발전기와, 상기 풍력발전기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전지판과, 상기 풍력발전기 및 상기 태양광전지판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와, 상기 축전기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LCD판넬 또는 LED판넬로 된 전광판을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아니하고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하여 전광판을 구동시킬 수 있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광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풍력발전기를 이용하여 전광판을 마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쉽게 전광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없는 구성으로 풍력발전기의 높이와 전광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어려움으로 불편하였다.
한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3-0143225호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광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와 같이 전기의 공급이 원할하지 않는 고속도로, 일반도로, 산악, 도서지역, 농어촌 등에 설치되어 주의, 경고, 정보 등의 문구를 알려주는 전광판과 풍력발전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풍력발전기를 상부에 결속하는 나사공을 상면에 형성한 승강대를 고정구에 의해 고정대에서 승강가능케 하며 상기 고정대의 외주연을 수용하는 고정공을 형성하고 양측으로 고정판을 연장시킨 고정고리를 마련하고 상기 고정판을 수용하는 맞춤홈을 후면에 형성한 LED판을 마련하여 고정나사로 LED판과 고정하고 상기 고정고리의 일측에 고정나사로 고정대에 LED판을 고정하게 하며, 상기 LED판의 하부에는 고정대의 외주연을 수용하는 고정공을 형성하고 양측으로 고정판을 연장시킨 고정고리를 마련하고 상기 고정판을 수용하는 맞춤홈을 후면에 형성한 콘트롤러를 마련하여 고정나사로 콘트롤러와 고정하고 상기 고정고리의 일측에 고정나사로 고정대에 콘트롤러를 고정하게 하는 것을 발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에 날개(11)를 다수개 형성하고 하부에는 나사(14)를 돌출형성하고 나사(14)와 결속하는 나사공(13)을 상면에 형성한 승강대(12)를 고정구(21)에 의해 고정대(20)에서 승강가능케 한 풍력발전기(10)의 풍력으로 LED판(30)을 작동가능케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20)의 외주연을 수용하는 고정공(46)을 형성하고 양측으로 고정판(49)을 연장시킨 고정고리(45)를 마련하고 상기 고정판(49)을 수용하는 맞춤홈(33)과 고정나사공(34)을 후면에 형성한 LED판(30)을 마련하여 고정나사(47)로 LED판(30)과 고정하고 상기 고정고리(45)의 일측에 볼트(48)로 고정대(20)에 LED판(30)을 고정하게 하며,
상기 LED판(30)의 하부에는 고정대(20)의 외주연을 수용하는 고정공(46)을 형성하고 양측으로 고정판(49)을 연장시킨 고정고리(45)를 마련하고 상기 고정판(49)을 수용하는 맞춤홈(33)과 고정나사공(34)을 후면에 형성한 콘트롤러(40)를 마련하여 고정나사(47)로 콘트롤러(40)와 고정하고 상기 고정고리(45)의 일측에 볼트(48)로 고정대(20)에 콘트롤러(40)를 고정하되,
상기 콘트롤러(40)는 풍력발전기(10)에서 발생한 전력을 LED등(31)의 사용전압에 맞게 바꿔주는 전압제어구(42)를 통해 구동가능케 하고, 풍력발전기(10)의 풍속에 의한 전압이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사용전압의 입력값 범위에 들어가면 풍속의 입력값에 의해 LED판(30)으로 경고문구를 표시할 수 있는 제어부(41)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풍력발전기를 상부에 결속하는 나사공을 상면에 형성한 승강대를 고정구에 의해 고정대에서 승강가능케 하며 상기 고정대의 외주연을 수용하는 고정공을 형성하고 양측으로 고정판을 연장시킨 고정고리를 마련하고 상기 고정판을 수용하는 맞춤홈을 후면에 형성한 LED판과 콘트롤러를 고정나사로 고정대에 콘트롤러를 고정하게 하여,
전기의 공급이 원할하지 않는 고속도로, 일반도로, 산악, 도서지역, 농어촌 등에 설치되어 주의, 경고, 정보 등의 문구를 알려주는 LED등과 풍력발전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위치로 맞게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LED판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면에 날개(11)를 다수개 형성하고 하부에는 나사(14)를 돌출형성하고 나사(14)와 결속하는 나사공(13)을 상면에 형성한 승강대(12)를 고정구(21)에 의해 고정대(20)에서 승강가능케 한 풍력발전기(10)의 풍력으로 LED판(30)을 작동가능케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20)의 외주연을 수용하는 고정공(46)을 형성하고 양측으로 고정판(49)을 연장시킨 고정고리(45)를 마련하고 상기 고정판(49)을 수용하는 맞춤홈(33)과 고정나사공(34)을 후면에 형성한 LED판(30)을 마련하여 고정나사(47)로 LED판(30)과 고정하고 상기 고정고리(45)의 일측에 볼트(48)로 고정대(20)에 LED판(30)을 고정하게 하며,
상기 LED판(30)의 하부에는 고정대(20)의 외주연을 수용하는 고정공(46)을 형성하고 양측으로 고정판(49)을 연장시킨 고정고리(45)를 마련하고 상기 고정판(49)을 수용하는 맞춤홈(33)과 고정나사공(34)을 후면에 형성한 콘트롤러(40)를 마련하여 고정나사(47)로 콘트롤러(40)와 고정하고 상기 고정고리(45)의 일측에 볼트(48)로 고정대(20)에 콘트롤러(40)를 고정하되,
상기 콘트롤러(4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풍력발전기(10)에서 발생한 전력을 LED등(31)의 사용전압에 맞게 바꿔주는 전압제어구(42)를 통해 구동가능케 하고, 풍력발전기(10)의 풍속에 의한 전압이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사용전압의 입력값 범위에 들어가면 풍속의 입력값에 의해 LED판(30)으로 경고문구를 표시할 수 있는 제어부(41)를 마련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상기 LED판(30)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면에 LED등(31)을 다수개로 연결하여 주의, 경고, 정보 등의 문구를 원할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고리(45)의 고정공(46) 내부에 고정대(20)의 외주연을 밀착시키고 상기 고정고리(45)의 외주연으로 고정나사(47)를 연결하여 상기 고정고리(45)를 고정대(20)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콘트롤러(40)의 상세한 실시예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풍력발전기(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콘트롤러(43)를 통해 충전배터리(44)로 충전가능케 하는 제어부(41)와,
상기 충전배터리(44)의 전압을 12V에서 5V의 전압으로 다운시켜 조정하는 전압제어구(42)를 마련하고,
상기 5V의 전압을 전압제어구(42)에서 LED판(30)의 기계부(32)로 전송하여 기계부에서 원하는 주의, 경고, 정보 등의 문구를 LED등에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LED판(30)의 후면과 콘트롤러(40)의 후면에는 맞춤홈(33)을 형성하여 맞춤홈(33) 내부에는 고정나사공(34)을 형성하여 상기 LED판(30)과 콘트롤러(40)를 고정대(20)에 걸어 고정하는 고정고리(45)를 걸어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풍력발전기(10)는 콘트롤러(40)의 제어부(41)를 통해 풍력발전기(10)와 연결하여 충전콘트롤러(43)와 충전배터리(44) 또는 제어부(41)와 전압제어구(42)를 연결하고 상기 전압제어구(42)에서 LED판(30)의 기계부(32)와 LED등(31)으로 연결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고속도로, 일반도로, 산악, 도서지역, 농어촌 등에 설치되어 주의, 경고, 정보 등의 문구를 알려주는 LED판(30)에 풍력발전기(10)의 풍력을 이용하여 전원을 원할히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부에 풍력발전기(10)의 풍속감지로 인해 발생한 전력을 제어부(41)에서 충전배터리(44)에 충전시 충전콘트롤러(43)에서 과충전 걸리지 않도록 하며, 충전배터리(44)에서 충전된 15V의 직류전력을 LED등(31)의 사용전압에 맞게 5V의 전력으로 바꿔주는 전압제어구(42)를 통해 구동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41)는 풍력발전기(10)에서 발생한 전력을 충전배터리(44)에 저장하였다가 충전배터리(44)의 직류전력을 교류로 변환하여 교류전력의 고조파를 제거한 교류전력을 상용전력으로 변환시켜 동작을 컨트롤하여 구성요소 및 각 부하로 전송되는 전력품질 등을 진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LED판(30)에 풍력발전기의 전력을 이용하여 전원을 원할히 공급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부에 풍력발전기(10)의 나사(14)를 승강대(12)의 상부 나사공(13)에 결속하고 풍력발전기(10)의 높이를 승강대(12)로 조절한 후 고정구(21)로 풍력발전기(10)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한 후, 상기 풍력발전기(10)의 하부에는 LED판(30)과 콘트롤러(40)를 고정대(20)에 부착하기 위해서,
고정대(20)의 전면에 LED판(30)과 콘트롤러(40)의 후면을 밀착시킨 후 고정고리(45)를 내부 고정공(46)에 고정대(20)를 마련하도록 하여 LED판(30)과 콘트롤러(40)의 맞춤홈(33)에 삽입시키게 하여 고정나사(47)로 LED판(30)과 콘트롤러(40)과 고정고리(45)를 고정하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LED판(30)과 콘트롤러(40)의 맞춤홈(33)에 고정고리(45)를 고정시킨 후 고정고리(45)의 일측에 외부로 고정고리(45)와 고정대(20)를 고정하는 볼트(48)를 통해 LED판(30)과 콘트롤러(40)를 고정대(20)에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고정대(20)에 고정된 LED판(30)과 콘트롤러(4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고정고리(45)와 고정대(20)를 고정하는 볼트(48)를 풀어 원하는 위치로 LED판(30)과 콘트롤러(40)를 위치를 이동시킨 후 다시 볼트(48)를 고정하도록 하여 원하는 위치로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10 : 풍력발전기 11 : 날개
12 : 승강대 13 : 나사공
14 : 나사 20 : 고정대
21 : 고정구 30 : LED판
31 : LED등 32 : 기계부
33 : 맞춤홈 34 : 고정나사공
40 : 콘트롤러 41 : 제어부
42 : 전압제어구 43 : 충전콘트롤러
44 : 충전배터리 45 : 고정고리
46 : 고정공 47 : 고정나사
48 : 볼트 49 : 고정판

Claims (2)

  1. 전면에 날개(11)를 다수개 형성하고 하부에는 나사(14)를 돌출형성하고 나사(14)와 결속하는 나사공(13)을 상면에 형성한 승강대(12)를 고정구(21)에 의해 고정대(20)에서 승강가능케 한 풍력발전기(10)의 풍력으로 LED판(30)을 작동가능케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20)의 외주연을 수용하는 고정공(46)을 형성하고 양측으로 고정판(49)을 연장시킨 고정고리(45)를 마련하고 상기 고정판(49)을 수용하는 맞춤홈(33)과 고정나사공(34)을 후면에 형성한 LED판(30)을 마련하여 고정나사(47)로 LED판(30)과 고정하고 상기 고정고리(45)의 일측에 볼트(48)로 고정대(20)에 LED판(30)을 고정하게 하며,
    상기 LED판(30)의 하부에는 고정대(20)의 외주연을 수용하는 고정공(46)을 형성하고 양측으로 고정판(49)을 연장시킨 고정고리(45)를 마련하고 상기 고정판(49)을 수용하는 맞춤홈(33)과 고정나사공(34)을 후면에 형성한 콘트롤러(40)를 마련하여 고정나사(47)로 콘트롤러(40)와 고정하고 상기 고정고리(45)의 일측에 볼트(48)로 고정대(20)에 콘트롤러(40)를 고정하되,
    상기 콘트롤러(40)는 풍력발전기(10)에서 발생한 전력을 LED등(31)의 사용전압에 맞게 바꿔주는 전압제어구(42)를 통해 구동가능케 하고, 풍력발전기(10)의 풍속에 의한 전압이 입력되어 미리 저장된 사용전압의 입력값 범위에 들어가면 풍속의 입력값에 의해 LED판(30)으로 경고문구를 표시할 수 있는 제어부(41)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광시스템.
  2. 삭제
KR1020150139064A 2015-10-02 2015-10-02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광시스템 KR101815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064A KR101815659B1 (ko) 2015-10-02 2015-10-02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064A KR101815659B1 (ko) 2015-10-02 2015-10-02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광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909A KR20170039909A (ko) 2017-04-12
KR101815659B1 true KR101815659B1 (ko) 2018-01-30

Family

ID=5858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064A KR101815659B1 (ko) 2015-10-02 2015-10-02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6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69929A (zh) * 2019-12-13 2020-04-07 广州市白云区钟落潭家立美塑料制品厂 一种立柱式标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3225A (ko) 2012-06-21 2013-12-31 (주)미래테크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광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909A (ko)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825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문자 부착식 도로표지판
CA2491104A1 (en) Us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in landscape lighting applications
KR101350773B1 (ko) 태양광 및 led를 이용한 자가충전식 led 간판
CN103150969A (zh) 一种led广告灯箱
CN204420844U (zh) 带电子指示牌太阳能路灯
CN203102774U (zh) 一种快速拼接户外防水压铸显示箱体及其显示屏
KR101009603B1 (ko) 발광형 표지판
KR101815659B1 (ko)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광시스템
KR101285608B1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이용한 간판
KR20090005798U (ko) 광고용 현수대의 태양열 흡수식 광고장치
KR101433718B1 (ko) 가로등주를 이용한 광고장치
KR100939977B1 (ko) 다색 변환 led 표지판
CN209928898U (zh) 一种道路交通标志牌
KR101510802B1 (ko) 수상용 태양광발전설비에 장착되는 엘이디 전광판
KR20080041166A (ko) 옥외 조명간판
CN210766530U (zh) 一种太阳能亮化照明立柱帽
KR100934081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이발관용 표시등
KR20110082349A (ko) 풍력발전장치가 구비된 광고안내판
CN203242251U (zh) 一种led广告灯箱
AU2018101279A4 (en) Mobile solar-powered RGB, RGBY full-color LED sign
KR200316409Y1 (ko)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회전전광판
KR20000004096A (ko) 전자식 교통안내 표시장치
KR200467898Y1 (ko) 광섬유 표시장치
CN215489474U (zh) 一种灯具
CN206115906U (zh) 一种发光标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