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635B1 - 광섬유 수동 침식기 - Google Patents

광섬유 수동 침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635B1
KR101815635B1 KR1020170135283A KR20170135283A KR101815635B1 KR 101815635 B1 KR101815635 B1 KR 101815635B1 KR 1020170135283 A KR1020170135283 A KR 1020170135283A KR 20170135283 A KR20170135283 A KR 20170135283A KR 101815635 B1 KR101815635 B1 KR 101815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housing
optical fiber
button
ch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헌
Original Assignee
이석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헌 filed Critical 이석헌
Priority to KR1020170135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0Decorating textiles by treatment with, or fixation of, a particulate material, e.g. mica, glass b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05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버튼의 이송에 따라 이송하우징을 통해 광섬유의 일측을 안정적으로 압박 및 해제작용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여 단일의 광섬유를 조명패널에 구성된 삽입구멍에 안정적으로 삽입시키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 및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고,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조명패널에 형성된 삽입구멍에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광섬유를 침식시키기 위한 수동침식기에 있어서, 중공형상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부(210)와, 상기 하우징부(210)의 일단에 구성되는 척부(230)로 구성되는 이송하우징(20)과;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구성되어 작업자의 이송력에 따라 이송되면서 상기 이송하우징(20)을 일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지지하는 이송버튼(30)과; 상기 이송하우징(2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송버튼(30)에 의해 이송된 후 이송력이 제거되면 원위치 복귀되도록 지지하는 스프링(40)과; 상기 이송하우징(20)의 척부(230)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척부(230)에 압박력이 작용하여 광섬유의 일측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고정브라켓(50); 및 상기 몸체(10)의 일단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고정브라켓(5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토출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섬유 수동 침식기{Optical Fiber Implantable device}
본 발명은 광섬유 수동 침식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버튼의 이송에 따라 이송하우징을 통해 광섬유의 일측을 안정적으로 압박 및 해제작용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여 단일의 광섬유를 조명패널에 구성된 삽입구멍에 안정적으로 삽입시키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 및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광섬유 수동 침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등의 소재를 이용한 광섬유 조명장치는 경관조명이나 장식조명, 수영장 조명, 전시장 조명 또는 도로의 제한속도제한 표시등과 같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상기 광섬유 조명장치는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장치로부터 발생된 광을 인입구로 전달받아 각기 다른 광섬유에 광을 전송하고, 이 전송된 광은 광섬유의 사용목적과 조사특성, 길이 등의 기준에 따라 적합한 조명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광섬유 조명장치는 광원장치로부터 열을 제외하고 광만 전송할 뿐만 아니라 감전의 위험이 없어 수중 조명용으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 습기가 많아 통상의 전기제품을 활용한 조명기기를 적용하지 못하는 곳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잇으며, 사람의 유지보수가 어려운 곳에서도 사용된다.
광섬유를 이용한 기계 침식 기술은 그간 모자, 가방, 의류, 원단 등 소프트한 재질의 실내용 상품으로 제한적으로 사용해 왔으며, 실외용에 사용하는 주로 하드 한 재질의 광섬유 표현부에는 광섬유 기계장치 침직 기술이 제한적이었던 관계로 주로 실외용은 수작업으로 제작되어 왔다.
한편, 등록특허 제10-1265493호에 게시된 광섬유 자동 침직기계 장치는 조명패널에 광섬유를 침직시키며, 침직 시 니들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공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침직장치부와, 상기 침직장치부가 디자인된 대로 인쇄부에 광섬유를 침직할 수 있게 컴퓨터에 의해 수치제어되어 상기 침직장치부를 X축, Y축, Z축 어느 방향으로도 제어할 수 있는 CNC장치부와, 상기 침직장치부로 침직할 수 있게 상기 조명패널을 올려놓는 고정지그를 포함하며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역할과 상기 CNC장치부가 설치되는 프레임장치부와, 원하는 위치와 침직 시퀀스로 침직할 수 있게 상기 침직장치부와 CNC장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낚시줄과 같이 얇은 플라스틱 광섬유를 포멕스, 플렉스, 아크릴, 원단 등 얇고, 신축성 있는 소재에 광섬유를 쉽게 자동으로 침직할 수 있게 한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다품종 소량 생산에 적합한 수작업으로 광섬유를 조명패널에 침식시키기 위한 별도의 제품이 제공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작업자가 얇은 광섬유의 끝단을 핀셋 등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조명패널에 형성된 삽입공에 일일이 침식하는 공정이 난해하고, 어려워, 단위시간당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광섬유를 핀셋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해 파지할 경우, 작업자의 강,약조절이 작업자마다 다르고, 동일 작업자라 하더라도 당일 컨디션에 따라 다름에 따라 광섬유의 끝단이 손상됨에 따라 균등한 빛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상술한 문제점과 같이, 제품생산성 저하 및 균등한 품질을 유지할 수 없어, 수작업을 통한 광섬유 침식에 대한 제품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265493호(2013.05.16.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481637호(2015.01.15.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버튼의 이송에 따라 이송하우징을 통해 광섬유의 일측을 안정적으로 압박 및 해제작용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여 단일의 광섬유를 조명패널에 구성된 삽입구멍에 안정적으로 삽입시키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 및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광섬유 수동 침식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명패널에 형성된 삽입구멍에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광섬유를 침식시키기 위한 수동침식기에 있어서, 중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일단에 구성되는 척부로 구성되는 이송하우징과;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성되어 작업자의 이송력에 따라 이송되면서 상기 이송하우징을 일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지지하는 이송버튼과; 상기 이송하우징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송버튼에 의해 이송된 후 이송력이 제거되면 원위치 복귀되도록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이송하우징의 척부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척부에 압박력이 작용하여 광섬유의 일측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몸체의 일단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하우징의 척부는 소경구와; 상기 소경구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대경구; 및 상기 소경구와 대경구 사이에 자체 탄성작용이 원활하게 수행되어 고정브라켓에 의해 압박되지 않을 경우 광섬유의 자유로운 진입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선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토출구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척부의 대경구가 이송하우징의 이송에 따라 압박 또는 해제되도록 지지하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동침식기는 이송식과 누름식으로 구분되고; 상기 이송식 수동침식기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이송버튼의 일단이 삽입된 후 안정적으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일정크기의 삽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버튼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에 의해 안정적인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버튼돌기, 및 상기 버튼돌기의 타측에 일정높이 돌출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이송버튼의 이송에 따라 동반 이송되도록 지지하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이송식 수동침식기는 이송하우징의 하우징부 상단에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작업자의 눌림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둘림편을 포함하며; 상기 누름식 수동침식기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이송버튼의 일단이 삽입된 후 안정적으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일정크기의 삽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버튼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에 의해 안정적인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버튼돌기, 및 상기 버튼돌기의 타측에 일정높이 돌출되고 래칫형상의 돌기가 형성되는 밀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밀림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버튼의 누름작용에 따라 엇나가게 이송되도록 지지하는 이송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송하우징은, 하우징부와 척부 사이에 원만한 기울기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광섬유가 일단까지 간섭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삽입되는 상태를 지지하는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브라켓의 고정링에는, 상기 토출구에 의해 고정위치가 고정될 때 간격을 유지시켜 이송하우징의 원활한 이송과 함께 고정브라켓에 의한 광섬유의 압박 및 해제 공정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일정폭 돌출되는 고정단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동침식기에는 구동력에 의해 광섬유를 몸체로 안정적으로 진입시키도록 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광섬유를 이송시키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롤; 및 상기 모터에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작동관계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송버튼의 이송에 따라 이송하우징을 통해 광섬유의 일측을 안정적으로 압박 및 해제작용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여 단일의 광섬유를 조명패널에 구성된 삽입구멍에 안정적으로 삽입시키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 및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동 침식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동침식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동침식기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수동침식기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수동침식기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수동침식기의 작동상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
제1실시 예의 수동 침식기(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와, 이송하우징(20)과, 이송버튼(30)과, 스프링(40)과, 고정브라켓(50) 및 토출구(6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전체적으로 외형을 형성하여, 작업작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의 피로도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몸체(10)는 내부가 빈 중공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이송버튼(30)이 삽입되어 이송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삽입공(1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12)은 이송버튼(30)의 안정적인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고, 이 경우,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일단에는 토출구(60)의 일단이 체결, 고정되도록 지지함으로써, 상기 토출구(60)의 안정적인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체결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이송하우징(20)은 상기 몸체(1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이송버튼(30)에 의해 이송됨에 따라 광섬유가 토출구(60)를 통해 인출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송하우징(20)은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속이 빈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부(210)와, 상기 하우징부(210)의 일단에 형성되는 테이퍼부(220), 및 상기 테이퍼부(220)의 일단에서 형성되는 척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부(210)는 내측에 광섬유가 자유롭게 출입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210)의 일측에는 이송버튼(30)의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이송하우징(20)이 몸체(10)의 내부에서 이송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삽입홈(212)이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삽입홈(212)은 일정깊이의 홈형상 또는 천공된 삽입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물론,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이송버튼(30)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버튼(30)의 이송에 따라 함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할 수 있는 형상 또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테이퍼부(220)는 상기 하우징부(210)에서 척부(230)로 광섬유가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일정각도 기울어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부(210)에서 척부(230)로 광섬유의 안정적인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형상 또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 상기 테이퍼부(220)는 생략 가능하다.
상기 척부(230)는 상기 테이퍼부(230)이 일단에서 일정길이 연장되고 광섬유의 일단을 압박 또는 해제가 이송버튼(30)의 이송 위치에 따라 작용함으로써, 광섬유가 토출구(60)를 통해 외부로 인출이 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척부(230)는 내측에 단일의 광섬유가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내경이 형성되는 소경구(232), 및 상기 소경구(232)의 일단에서 일정폭 형성되고 상기 소경구(232)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대경구(23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척부(230)에는 상기 소경구(232)와 대경구(234)를 등간격으로 균등 분할되도록 하는 절개선(236)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선(236)은 120°등간격으로 3분할 된다. 이 경우, 상기 절개선(236)은 소경구(232)에서 대경구(234)까지 형성되거나 또는 대경구(234)에서 송경구(232)의 일부만 절개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절개선(236)의 갯수 및 절개길이는 대경구(234)가 고정브라켓(50)에서 벗어날 경우 자체 탄성에 의해 용이하게 벌어지는 작용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정도이면 어느 형상 또는 구조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이송버튼(30)은 몸체(10)와 이송하우징(20) 사이에 구성되어, 작업자에서 제공되는 이송력에 의해 상기 이송하우징(20)을 이송시키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송버튼(30)은 상기 몸체(10)의 삽입공(12)에 삽입되어 외부에서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이송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출되는 버튼돌기(32)와, 상기 버튼돌기(32)에서 일정길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10)에서 임의로 이송버튼(30)에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력을 발휘하는 지지대(34) 및 상기 지지대(34)에서 일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이송하우징(20)의 하우징부(210)에 형성된 삽입홈(212)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6)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이송하우징(20)과 고정브라켓(50) 또는 토출구(60) 사이에 구성되어, 이송버튼(30)을 통해 이송하우징(20)이 이송된 후 작업자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송하우징(20)이 원위치 복귀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브라켓(50)은 상기 토출구(60)의 내측에서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이송하우징(20)의 이송을 따라 척부(230)를 압박 또는 해제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브라켓(50)은 고정링(52) 및 상기 고정링(52)의 외주연 일측 또는 일단에서 일정폭 형성되어 토출구(60)의 내측에 위치될 때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고정단턱(54)이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단턱(54)은 고정링(52)의 크기에 의해 토출구(60)의 내측에서 안정적인 고정상태가 유지될 경우 생략 가능하다.
상기 토출구(60)는 상기 몸체(10)의 체결부(14)에 일단이 체결,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내측에 상기 고정브라켓(50)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광섬유 수동 침식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광섬유 롤에 권취된 단일의 광섬유를 인출시켜 끝단을 몸체(10)의 내부에 구성된 이송하우징(20)의 내측으로 삽입시켜, 상기 광섬유의 일단이 몸체(10)의 일단에 고정된 토출구(60)의 일단으로 광섬유가 일정길이 돌출되게 한다.
예컨대,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구성된 이송버튼(30)을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밀림력을 작용시키면, 상기 이송버튼(30)의 일방향 이송에 따라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구성된 이송하우징(20)이 일방향으로 이송되고, 이때, 상기 이송하우징(20)의 척부(230) 중 대경구(234)가 고정브라켓(50)의 고정링(52)에서 벗어나게 됨에 따라, 상기 대경구(234)가 절개선(236)을 기준으로 자체 탄성으로 벌어지는 작용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하우징(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광섬유를 몸체(10)의 일단에 구성된 토출구(60)를 통해 용이하게 일정길이 돌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하우징(20)에 구성된 테이퍼부(220)에 의해 하우징부(210)에서 척부(230)의 일부까지 안정적으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한다.
이후, 작업자의 요구에 맞춰 상기 토출구(60)로 광섬유의 일정길이 돌출이 이루어지면, 작업자는 몸체(10)의 일측에 구성된 이송버튼(30)에 작용하였던 밀림력을 해제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구성된 고정브라켓(50)과 이송하우징(20) 사이에 구성된 스프링(40)에서 탄성 복귀력이 작용함에 따라, 토출구(6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브라켓(50)를 기준으로 이송하우징(20)이 원위치 복귀하면서, 상기 이송하우징(20)의 척부(230)에 구성된 대경구(234)가 상기 고정브라켓(50)의 고정링(52)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링(52)에 의해 상기 대경구(234)가 압박됨에 따라 상기 대경구(234)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광섬유의 일측을 압박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고정링(52)에 의해 대경구(234)가 압박되어 토출구(60)의 일단에 일정길이 돌출되게 광섬유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작업자가 수동 침식기(1)를 파지한 상태에서 조명패널에 형성된 삽입구멍으로 광섬유를 삽입시키는 수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된다.
또한, 상기 조명패널에 형성된 삽입구멍에 광섬유의 일단을 삽입시킨 후 상기 조명패널에 일정길이를 가지도록 광섬유를 유지시키고자 할 경우에, 작업자가 파지한 수동 침식기(1)의 몸체(10) 일측에 구성된 이송버튼(30)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면, 광섬유의 일측을 압박하였던 척부(230)의 대경구(234)가 고정링(52)에서 이탈됨에 다라 상기 척부(230)의 자체 탄성에 의해 절개선(236)에 의해 절개된 대경구(234)가 확관되는 작용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대경구(234)에 의해 압박되었던 광섬유는 압박이 해제됨에 따라 광섬유롤에 권취되는 광섬유를 계속적으로 이송시키면, 수동침식기(1)의 몸체(10) 내부를 통해 토출구(60)로 안정적으로 이송이 이루어짐으로써, 원하는 길이만큼 광섬유의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조명패널에 광섬유의 안정적인 삽입 및 일정길이 연장된 상태가 유지되면 수동침식기(1)와 조명패널 사이의 광섬유를 절단시켜, 상기 수동침식기(1)를 통해 다음 공정을 준비한다.
<제2실시 예>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 예의 수동침식기(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내부에 삽입된 광섬유를 구동력에 의해 삽입시키도록 지지하는 구동수단(70)이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70)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72)와, 상기 모터(72)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롤(74)과, 상기 구동롤(74)와 대칭되게 구성되어 광섬유가 구동롤(74)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아이들롤(76), 및 상기 모터(72)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작동유무를 제어하는 스위치(78)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72)는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광섬유의 삽입 또는 인출이 되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모터(72)는 한 방향 회전만 이루어져 상기 광섬유가 몸체(1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진입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롤(74)은 상기 모터(72)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72)에서 제공되는 회전력를 회전하면서, 일측에 구성되는 아이들롤(76)과의 면접촉 구름작용에 의해 광섬유가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구동롤(74) 및 아이들롤(76)의 외주연에는 일정두께 또는 전체가 연질의 실린콘 또는 고무 등으로 이루어져 광섬유가 면접촉에 의해 이송될 때 손상 또는 파손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78)는 상기 모터(72)에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버튼(3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버튼(30)이 이송되면 이에 따른 센싱신호를 상기 모터(72)에 전달시켜 상기 이송버튼(30)의 이송으로 이송하우징(20)의 척부(230)에서 광섬유의 압박을 해제한 상태임에 따라 상기 모터(72)의 회전력에 의해 광섬유가 원활하게 이송하우징(20)의 내부로 안정적으로 진입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구동수단(70)을 통해 광섬유의 이송이 완료되면, 이송된 이송버튼(30)이 원위치 복귀됨에 따라 상기 이송버튼(30)과의 접촉으로 센싱신호를 발생했던 스위치(78)에서 센싱신호가 중지됨에 따라, 결국 모터(72)의 구동이 정지되어 광섬유 이송이 정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구동수단(70)에 의해 광섬유를 수동침식기(1)를 통해 안정적으로 인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70)의 스위치(78)는 이송버튼(30)의 일측에 구성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몸체(10)의 일측 또는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이는 작업의 편리성 또는 작업자의 환경을 고려하여 다양한 구조 또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70)은 몸체(10)의 일측에 구성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별도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작업자의 편리성 또는 구조개선 및 작업환경 등을 고려하여 구동수단(70)을 통해 광섬유가 안정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 또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제3실시 예>
제1 및 제2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 예의 이송버튼(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돌기(32)와, 지지대(34) 및 상기 지지대(34)에서 일정높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한 방향으로 이송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밀림돌기(38)로 구성된다.
상기 밀림돌기(38)는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버튼(30)을 누름작용에 의해 상기 이송하우징(20)이 일방향으로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이송하우징(20)의 하우징부(210) 일측에는 상기 밀림돌기(38)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호 교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이송돌기(214)가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이송버튼(30)을 누르면, 밀림돌기(38)의 눌림작용으로 상호 엇나가는 작용으로 이송하우징(20)이 일방향으로 이송되고, 눌림작용을 해제하면 스프링(40)의 탄성작용으로 상기 이송하우징(20)이 원위치 복귀되면서 상기 이송버튼(30)을 원위치 복귀시킨다.
즉, 제1실시 예는 이송버튼이 한 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식 수동 침식기이고, 제3실시 예는 이송버튼이 눌림작동되는 누름식 수동 침식기로 구별될 수 있다.
<제4실시 예>
제1 내지 제3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 예의 하우징부(210)의 상단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돌출편(212)이 구성된다.
상기 돌출편(212)은 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작업자의 눌림력이 원활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이송하우징(20)의 작용으로 광섬유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것으로서, 이송버튼(30)의 기능을 대체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돌출편(212)은 이송버튼(30)과 함께 구성되어,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돌출편(212) 또는 이송버튼(30)을 통해 광섬유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이송버튼(30)을 생략하고, 돌출편(212)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광섬유 수동 침식기를 이용한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수동침식기 10: 몸체
12:삽입공 14: 체결부
20: 이송하우징 210: 하우징부
212: 삽입홈 220: 테이퍼부
230: 척부 232: 소경부
234: 대경부 236: 절개선
30: 이송버튼 32: 버튼돌기
34: 지지대 36: 삽입돌기
40: 스프링 50: 고정브라켓
52: 고정링 54: 고정단턱
60: 토출구 70: 구동수단
72: 모터 74: 구동롤
76: 아이들롤 78: 스위치

Claims (5)

  1. 조명패널에 형성된 삽입구멍에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광섬유를 침식시키기 위한 수동침식기에 있어서,
    중공형상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부(210)와, 상기 하우징부(210)의 일단에 구성되는 척부(230)로 구성되는 이송하우징(20)과;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구성되어 작업자의 이송력에 따라 이송되면서 상기 이송하우징(20)을 일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지지하는 이송버튼(30)과;
    상기 이송하우징(2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송버튼(30)에 의해 이송된 후 이송력이 제거되면 원위치 복귀되도록 지지하는 스프링(40)과;
    상기 이송하우징(20)의 척부(230)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척부(230)에 압박력이 작용하여 광섬유의 일측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고정브라켓(50); 및
    상기 몸체(10)의 일단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고정브라켓(5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토출구(60)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하우징(20)의 척부(230)는 소경구(232)와;
    상기 소경구(232)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대경구(234); 및
    상기 소경구(232)와 대경구(234) 사이에 자체 탄성작용이 원활하게 수행되어 고정브라켓(50)에 의해 압박되지 않을 경우 광섬유의 자유로운 진입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선(236)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라켓(50)은 상기 토출구(6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척부(230)의 대경구(234)가 이송하우징(20)의 이송에 따라 압박 또는 해제되도록 지지하는 고정링(5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수동 침식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동침식기(1)는 이송식과 누름식으로 구분되고;
    상기 이송식 수동침식기(1)는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이송버튼(30)의 일단이 삽입된 후 안정적으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일정크기의 삽입공(12)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버튼(30)은 상기 삽입공(12)에 삽입되어 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에 의해 안정적인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버튼돌기(32), 및 상기 버튼돌기(32)의 타측에 일정높이 돌출되는 삽입돌기(36)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하우징(20)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돌기(36)가 삽입되어 상기 이송버튼(30)의 이송에 따라 동반 이송되도록 지지하는 삽입홈(212)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이송식 수동침식기(1)는 이송하우징(20)의 하우징부(210) 상단에 상기 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작업자의 눌림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둘림편(212)을 포함하며;
    상기 누름식 수동침식기(1)는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이송버튼(30)의 일단이 삽입된 후 안정적으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일정크기의 삽입공(12)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버튼(30)은 상기 삽입공(12)에 삽입되어 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에 의해 안정적인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버튼돌기(32), 및 상기 버튼돌기(32)의 타측에 일정높이 돌출되고 래칫형상의 돌기가 형성되는 밀림돌기(38)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하우징(20)의 일측에는 상기 밀림돌기(38)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버튼(30)의 누름작용에 따라 엇나가게 이송되도록 지지하는 이송돌기(2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수동 침식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하우징(20)은,
    하우징부(210)와 척부(230) 사이에 원만한 기울기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2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광섬유가 일단까지 간섭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삽입되는 상태를 지지하는 테이퍼부(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수동 침식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50)의 고정링(52)에는,
    상기 토출구(60)에 의해 고정위치가 고정될 때 간격을 유지시켜 이송하우징(20)의 원활한 이송과 함께 고정브라켓(50)에 의한 광섬유의 압박 및 해제 공정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일정폭 돌출되는 고정단턱(5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수동 침식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수동침식기(1)에는 구동력에 의해 광섬유를 몸체(10)로 안정적으로 진입시키도록 하는 구동수단(70)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70)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72)와;
    상기 모터(72)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광섬유를 이송시키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롤(74); 및
    상기 모터(72)에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작동관계를 제어하는 스위치(7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수동 침식기.
KR1020170135283A 2017-10-18 2017-10-18 광섬유 수동 침식기 KR101815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283A KR101815635B1 (ko) 2017-10-18 2017-10-18 광섬유 수동 침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283A KR101815635B1 (ko) 2017-10-18 2017-10-18 광섬유 수동 침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635B1 true KR101815635B1 (ko) 2018-01-08

Family

ID=61003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283A KR101815635B1 (ko) 2017-10-18 2017-10-18 광섬유 수동 침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6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678A (ko) * 2018-11-27 2020-06-04 (주)인프라텍 도로명판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도로명판
KR102454554B1 (ko) * 2021-09-24 2022-10-14 주식회사 하이큐 발광형 표지판의 타공에 로딩 후 보조끼움관이 삽입되는 광섬유홀더 및 이를 이용한 발광형 표지판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2699U (ja) 1998-03-27 1998-09-29 サンスター文具株式会社 シャープペンシ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2699U (ja) 1998-03-27 1998-09-29 サンスター文具株式会社 シャープペンシ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678A (ko) * 2018-11-27 2020-06-04 (주)인프라텍 도로명판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도로명판
KR102196425B1 (ko) * 2018-11-27 2020-12-30 (주)인프라텍 도로명판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도로명판
KR102454554B1 (ko) * 2021-09-24 2022-10-14 주식회사 하이큐 발광형 표지판의 타공에 로딩 후 보조끼움관이 삽입되는 광섬유홀더 및 이를 이용한 발광형 표지판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635B1 (ko) 광섬유 수동 침식기
WO2002003340A8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n article handling device
EP0909601A1 (en) Tool holding device for machine tool
SG110007A1 (en) Clamping apparatus with a clamping chuck and a work piece carrier releasably connectable thereto
CA2406906A1 (en) Cleaning article
IT1304276B1 (it) Distributore automatico di bevande in bicchiere.
MY116804A (en) Abrasive system
US5564665A (en) Candle stick receptacle adapter
US20100190130A1 (en) Dental curing tool with automatically rotating light guide
EP1083026A3 (en) Operating unit with an automatic tool changing device and transfer tool machine including the same
US7856860B1 (en) Bottle cap flattener and method for flattening bottle caps
KR101217531B1 (ko) 모티브용 장식구 부착장치
JP5139686B2 (ja) 棒状化粧料繰出容器のテスター品保持装置
DE102004016345A1 (de) Mobiler Roboter für die Ausführung unterschiedlicher Grundfunktionen
KR101549758B1 (ko) 네일용 스톤 펜슬
MXPA01002498A (es) Maquina para la elaboracion de objetos de vidrio hueco.
WO2021156408A9 (en) Hand cleansing and monitoring device
US10844320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fast manual candle wick setting
KR101318680B1 (ko) 임플란트 가공장치
US20170107046A1 (en) Devices for Depositing and Applying of Decorative Elements
KR20190060384A (ko)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접착테이프 케이스
JP2006205294A (ja) リング状部材取り出し装置
JPH0333391Y2 (ko)
CN210419918U (zh) 可固定脐带的华通氏胶剥离装置
KR20220000543U (ko) 링타입 고정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