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476B1 -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 - Google Patents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5476B1 KR101815476B1 KR1020170097303A KR20170097303A KR101815476B1 KR 101815476 B1 KR101815476 B1 KR 101815476B1 KR 1020170097303 A KR1020170097303 A KR 1020170097303A KR 20170097303 A KR20170097303 A KR 20170097303A KR 101815476 B1 KR101815476 B1 KR 1018154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ssil
- stratum
- plate
- present
- layer b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4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geology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lgebra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지질학적 시대의 지층 형상을 모사한 하나 이상의 지층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지층 플레이트를 다수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소정 지질학적 시대를 모사하는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층 플레이트에는 하나 이상의 화석 생물 입체 모형이 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지층 플레이트를 다수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소정 지질학적 시대를 모사하는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층 플레이트에는 하나 이상의 화석 생물 입체 모형이 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교육용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특정한 지질학적 시대의 지층 및 화석을 모사하면서도 선택적으로 화석 생물 입체 모형 거치가 가능한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취미 활동 또는 교육적인 목적으로 조립이 가능한 종이 키트 또는 종이 입체 모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건물이나 차량 또는 공룡 등을 조립할 수 있는 모델이 시판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교육적인 목적으로 지층 모형을 판매하고 있다.
이들 모델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조립되는 경우도 있으나, 통상 접착제를 사용하여 조립하고 있어, 특히 어린이들에게 위해를 가할 우려가 있고, 접착제를 잘못 다루는 경우에는 모형 자체에 손상이 가해질 우려가 있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질학적 시대 및 해당 시대의 특정 화석에 대한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종래 지질학적 시대에 대한 설명은 대개 종이에 인쇄된 상태로 제공되고 있었다.
더욱이, 화석 모형을 별도로 제공하는 경우에도 특정한 지질학적 시대에 대한 지층 관련 정보는 배제된 채로, 예컨대, 티라노사우루스와 같은 특정 공룡 한 종의 모형만 제공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지질학적 시대의 지층 및 이들 지층의 적층 구조 및/또는 구성에 대한 교육 및 해당 시대와 관련한 화석에 대한 통합적인 교육이 가능한 신규 모델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 특허 문헌 1은 사다리꼴로 형성되고 상부 지층과 하부 지층으로 이루어진 교육용 종이 단층 모형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으나, 단순히 각 지층의 움직임만을 모사하고 있을 뿐, 특정한 지질 시대에 대한 입체적인 교육을 실시하기에는 다소 미흡한 구성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을 뿐이며,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화석 생물 입체 모형 거치가 가능한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의 구성을 창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해결하는 일 과제로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교육적인 목적에 부합하는 조립할 수 있는 소정 지질학적 시대의 지층 형상을 모사한 하나 이상의 지층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결하는 다른 과제로서, 지층 플레이트를 다수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결하는 다른 과제로서, 화석 생물 입체 모형을 거치할 수 있는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 역시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통상의 기술자")라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지층 플레이트는 소정 지질학적 시대의 지층 형상을 모사한 하나 이상의 지층 플레이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지층 플레이트는 다른 지층 플레이트와 결합 가능한 슬롯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지층 플레이트는 표면에 인쇄되는 상기 소정 지질학적 시대에 대한 설명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지층 플레이트는 표면에 형성되는 화석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지층 플레이트의 표면에 매립되는 화석의 이면에는 해당 화석에 대한 설명이 더 인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지층 플레이트는 절리를 모사하는 에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지층 플레이트는 60 도 및 120 도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에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는 상술한 지층 플레이트를 다수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에 있어서, 지층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층리를 표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결합핀을 통해서 다수의 지층 플레이트가 상호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에 있어서, 다수의 지층 플레이트에는 상기 소정 지질학적 시대의 화석이 떼어낼 수 있는 부품 상태로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에 있어서, 다수의 지층 플레이트에는 소정 지질학적 시대의 특정 화석이 떼어낼 수 있는 부품 상태로 분리되어 매립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에 있어서, 지층 플레이트에는 하나 이상의 화석 생물 입체 모형이 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화석은 다수의 지층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어 화석 생물 입체 모형으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에 있어서, 지층 플레이트에는 화석 생물 입체 모형의 크기를 지시할 수 있는 스케일 미터가 더 형성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화석 생물 입체 모형은 지지대 또는 보조 결합핀을 통해서 상기 지층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는 이하의 각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위 및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 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위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교육적인 효과가 극대화된 소정 지질학적 시대의 지층 형상을 모사한 하나 이상의 지층 플레이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지층 플레이트를 다수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에 화석 생물의 입체 모형이 추가로 거치될 수 있어 입체적인 교육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석 생물 입체 모형 거치가 가능한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각 지층 플레이트 및 지층 플레이트군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석 생물 입체 모형 거치가 가능한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각 지층 플레이트군, 및 최상단 지층 플레이트군에 거치되는 화석 생물 입체 모형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석 생물 입체 모형 거치가 가능한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석 생물 입체 모형 거치가 가능한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석 생물 입체 모형 거치가 가능한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각 지층 플레이트군, 및 최상단 지층 플레이트군에 거치되는 화석 생물 입체 모형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석 생물 입체 모형 거치가 가능한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석 생물 입체 모형 거치가 가능한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단수의 의미만을 가지는 것으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더욱이,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임의의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거나,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때 제 3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이 제 3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에 이웃하는"과 "~ 에 직접 이웃하는" 등의 표현도 동일한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관련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각 구성 요소의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구성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첨부 도면에 나타낸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에 의해서 지시하고 있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 방법의 단계에 있어 식별 부호(도면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일 뿐이며, 이들 식별 부호는 각 단계의 순서를 확정적으로 지정하여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문맥상 각 단계의 특정 순서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는 이상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단계의 순서와 상이하게 발생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각 단계는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순서대로 발생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필요하다면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이와 정반대로 역방향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일부 단계를 생략한 채로 수행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기타 통상의 기술자라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구성, 및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구성 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일 뿐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하의 설명에 의해서 본 발명 또는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석 생물 입체 모형 거치가 가능한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각 지층 플레이트 및 지층 플레이트군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다수의 지층 플레이트(100, 200, 300)는 각각 소정 지질학적 시대의 지층 형상을 모사하고 있으며, 완전하게 평평할 수도 있고, 일부 불규칙한 두께의 표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여기에서, 다수의 지층 플레이트(100, 200, 300)는, 예컨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합지 스티로폼 패널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소재로는 종이나 플라스틱, 또는 철재와 같은 기타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잘 알 것이다.
다수의 지층 플레이트(100, 200, 300)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지질학적 시대 또는 연대를 지시하고 있으므로, 그 표면 상에 이들 시대 또는 연대에 대한 설명이 추가로 인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인쇄되는 내용은 해당 시대 또는 연대의 이름만 나타내는 단순한 표기일 수도 있고, 해당 시대 또는 연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일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지층 플레이트(100, 200, 300)는, 서로 다른 지층 플레이트(100 또는 200 또는 3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슬롯(slot)(130, 230, 및 330)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슬롯(130)은, 지층 플레이트(100, 200, 및 300) 간의 결합을 위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지층 플레이트(100, 200, 또는 300)에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보다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층 플레이트(100)에 형성되는 슬롯(130)과 지층 플레이트(200)에 형성되는 슬롯(230)이 위치가 서로 동일하고, 유사하게 지층 플레이트(200)에 형성되는 슬롯(230)과 지층 플레이트(300)에 형성되는 슬롯(330)이 위치가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하여, 향후 이들 지층 플레이트(100, 200, 및 300)의 조립시, 상호 간섭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순히 슬롯(130, 230, 및 330)만 형성되어 있어서는 지층 플레이트(100, 200, 및 300) 간의 결합이 불가능하며, 지층 플레이트(100, 200, 및 300) 간의 결합을 위해서는 결합핀(545, 660 등; 도 2 참조)이 필요한 바, 이 결합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지층 플레이트(100)에는 에지(10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에지(102)는 도면 부호로 지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지층 플레이트(200 및 300)에도 유사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지(102)는, 예컨대, 특정한 지질학적 시대의 지층이 나타내는 비교적 규칙적인 흔적인 절리, 예컨대, 중생대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절리를 모사하여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절리를 모사하는 패턴으로서의 에지(102)는 예를 들면 60 도 및 120 도의 각도를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각도의 에지(102) 형상은 실제 지층을 지표면에서 분리할 때 발견되는 특징적인 패턴을 형상화한 것으로, 일 지층 플레이트(예컨대, 100)의 에지(102)와 또 다른 지층 플레이트(예컨대, 200)의 에지는 서로 다른 패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지층 플레이트(100, 200, 및 300)는 도 1의 하단에서 도면 부호 400으로 지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적층하였을 때, 그 단면 형상이 모두 동일한 것이 아니라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특정한 지질학적 시대를 더욱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지층 플레이트(100, 200, 및 300)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인쇄 패턴이 형성되어, 각각의 특정한 지질학적 시대를 구분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해당 지질학적 시대를 반영하는 광물 입자를 분말 상태로 도포하여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촉각으로 해당 지질학적 시대를 느낄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한 지질학적 시대라는 것은, 고생대, 중생대, 및 신생대와 같은 지질 연대를 의미할 수 있고, 이 중에서도 더욱 특정하여, 중생대 중에서도 트라이아스기, 쥬라기, 또는 백악기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시대 구분은 필요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구분되거나 오히려 통합하여 표현되어질 수도 있다는 점만 언급하기로 하고, 이와 같은 상세한 구분은 본 발명의 범위를 넘어가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각각의 지층 플레이트(100, 200, 및 300)는, 바람직하게는, 지질학적 시대를 특정할 수 있는 다수의 화석(110, 120; 210, 220; 및 310, 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화석(110, 120; 210, 220; 및 310, 320)은, 지층 플레이트(100, 200, 및 300)의 표면에 인쇄되거나, 표면에 입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이들 화석(110, 120; 210, 220; 및 310, 320)은 지층 플레이트(100, 200, 또는 300) 중의 하나의 지층 플레이트에 따로 집합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지층 플레이트에 떼어낼 수 있는 부품 상태로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는, 실제 화석 발굴시의 모습을 재현한 것으로 지층 학습 또는 화석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르게는, 이들 화석(110, 120; 210, 220; 및 310, 320)은 지층 플레이트(100, 200, 및 300)의 표면에 매립되어 있을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시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화석(110, 120; 210, 220; 및 310, 320)이 매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학습을 위해서 이를 분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화석(110, 120; 210, 220; 및 310, 320)의 이면에는 해당 화석에 대한 설명이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화석(110, 120; 210, 220; 및 310, 320)에는, 필요에 따라서, 해당 화석의 골격 구조가 표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표현된 골격 구조에 의해서 해당 화석(110, 120; 210, 220; 및 310, 320)의 내골격 또는 외골격 구조를 관찰할 수 있는 바, 이는, 예컨대, 기존의 공룡 화석 모형이 외피(즉, 피부)만 묘사하고 있는 것과 대비되며, 구체적으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화석에는 공룡과 같이 널리 알려진 동물 화석도 있지만, 기타, 발자국 화석이나 알 화석 등도 있음을 잘 알 것이다.
이와 같은 화석은 분리하여 조립하는 용도라기 보다는 지층 플레이트(100, 200, 및 300)의 표면에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거나, 이들 지층 플레이트(100, 200, 및 300)에 함몰하여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더욱이, 지층 플레이트(100, 200, 및 300)를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지층 플레이트(100, 200, 및 300)의 상하부에 동시에 돌출하여 형성되어, 삼차원적 형상을 나타낼 수도 있다.
각각의 지층 플레이트(100, 200, 및 300)에는 이들 화석(110, 120; 210, 220; 및 310, 320)을 설명하는 내용이 더 인쇄될 수도 있으며, 이들 화석(110, 120; 210, 220; 및 310, 320)의 이름만 표기하거나, 해당 화석(110, 120; 210, 220; 및 310, 320)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이 인쇄될 수도 있다.
한편, 각각의 지층 플레이트(100, 200, 및 300)는, 상술한 슬롯(130, 230, 및 330)에 의해서, 또한 후술하는 결합핀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적층될 수 있는데, 도 1에서 도면 부호 400으로 지시하는 바와 같을 수 있다.
도면 부호 400으로 지시되는 구성은 다르게는 지층 플레이트군으로 부를 수 있으며, 이는 지층 플레이트(100, 200, 및/또는 300)를 적층하여 군(群)으로 형성하였음을 의미한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층 플레이트군(400)은 각각의 지층 플레이트(100, 200, 및 300)가 적층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들 지층 플레이트(100, 200, 및 300)가 서로 중첩되지 않고 적층되어 있을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지질학적 시대상 가장 오래된 지층을 모사하는 지층 플레이트(100)가 가장 아래에, 그 위에 또는 그 상부에 지층 플레이트(200)가, 마지막으로 가장 최근의 지층을 모사하는 지층 플레이트(300)가 최상부 또는 최상층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각각의 지층 플레이트(100, 200, 또는 300)의 크기는 사전에 주의깊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지층 플레이트(100, 200, 또는 300)는 어린이 등이 취급하다가 다칠 우려가 있으므로 날카로운 모서리는 미리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석 생물 입체 모형 거치가 가능한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석 생물 입체 모형 거치가 가능한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각 지층 플레이트군, 및 최상단 지층 플레이트군에 거치되는 화석 생물 입체 모형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로부터, 하나 이상의 지층 플레이트군(500, 600, 및 700)은 도 1에 나타낸 각각의 지층 플레이트(100, 200, 및 300)가 적층되어, 이들 중 하나의 지층 플레이트군(예를 들면, 5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요컨대, 도 2에 나타낸 하나 이상의 지층 플레이트군(500, 600, 및 700)은 도 1에 나타낸 각각의 지층 플레이트(100, 200, 및 300)를 다수개 적층하여 특정한 시대를 나타내는, 예컨대, 제 1 시대층, 제 2 시대층, 또는 제 n 시대층을 나타낼 수 있으며, 표현해야 할 시대의 갯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지층 플레이트군의 숫자는 늘어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적층함에 있어서, 상술한 지질학적인 시대 또는 연대를 더욱 세분화하여, 예컨대, 백악기를 전기와 후기로 분리하거나, 더욱 작은 시대 단위인 '절'로 나눌 수도 있고, 임의적으로 만년 단위로 나눌 수도 있으며, 다르게는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와 같이 하나의 큰 지질 시대 단위로 분할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지층 플레이트군(500, 600, 또는 700)은, 예를 들어, 다수 개의 지층 플레이트(100 내지 300 등)를 적층하여 퇴적 구조가 바뀔 때 생성되는 층리를 모사하여 퇴적암이 퇴적될 때의 퇴적 구조를 보여줄 수도 있다.
층리의 모사에 있어서, 각 지층 플레이트군(500, 600, 또는 700)을 이루는 에지(502, 및 602 등)에 해당 지질 시대의 특징적인 단면 패턴을 추가하여 표현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해당 지질 시대의 지층 단면 구조에 대한 학습까지 자연스럽게 유도되는 부가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지층 플레이트군(500, 600, 또는 700)은 결합핀(545 및 660 등)을 슬롯(540, 640; 740, 760 등)에 삽입하는 결합에 의해서 상호 조립될 수 있다.
이는 도 1에서의 각 지층 플레이트(100, 200, 또는 300)가 슬롯(130, 230, 및 330)을 통해서 결합된다고 언급하였는 바, 실제로 각 지층 플레이트(100, 200, 또는 300)의 결합은 상술한 결합핀(545, 660 등)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여기에서, 이와 유사한 구조라는 것은, 예컨대, 각 지층 플레이트(100, 200, 및 300)의 일부 모서리에 형성되는 꺽쇠(예를 들면, '[', ']', '「' 또는 ' 」'의 형상을 가질 수 있음; 미도시.)의 형상을 포함한다.
꺽쇠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조립시에, 이 꺽쇠 구조를 하방으로 꺽어서 아래쪽의 지층 플레이트에 결합하거나, 또는 상방으로 꺽어서 위쪽의 지층 플레이트에 결합할 수 있다.
물론이지만, 이와 같은 꺽쇠 구조는, 도 2에 나타낸 지층 플레이트군(500, 600, 또는 700)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꺽쇠 구조는 각 지층 플레이트군(500, 600, 또는 700)의 최하단 플레이트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최상단 플레이트에만 형성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2에 나타낸 결합핀(545, 660 등)은 도면 부호로 일일이 지시하지는 않았으나, 다수 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결합핀(545, 660 등)을 통해서 각각의 지층 플레이트군(500, 600, 또는 700)을 결합할 수 있다.
다수의 결합핀(545, 660, 및 기타 도면 부호로 지시하지 않은 결합핀 포함)은, 바람직하게는, 도 2에서 적색으로 표시한 직선 화살표를 따라서 다른 지층 플레이트군(500, 600, 또는 700)에 조립되어 결합될 수 있으나, 이 조립 방향은 화살표 방향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수의 결합핀(545, 660 등)은 그 단면이 "|"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이 "†"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지층 플레이트(예컨대, 100, 200, 또는 300) 사이에서 상호 밀착을 방지하는 스페이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고, 더 나아가서는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이 "‡"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 지층 플레이트(예컨대, 200)와 하부 지층 플레이트(예컨대, 100) 사이에 상술한 스페이서 보다는 더 넓게 일정한 간격을 부여하도록 하여, 예를 들면, 돌출형 화석이 이들 상부/하부 지층 플레이트(200/1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에지(502, 602, 및 702 등)와 화석(510, 520; 610, 620, 650; 710, 720 등)은 도 1에 나타낸 에지와 화석과 사실상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2의 지층 플레이트군(600)에는, 예컨대, 화석 매립부(680)가 형성되고, 이 화석 매립부(680)에 매립 화석(685)이 매립되어 있다.
매립 화석(685)은 도 1에 나타낸 화석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조립 시에 필요에 따라서 이 매립 화석을 지층 플레이트(100 등) 또는 지층 플레이트군(500 등)으로부터 분리되어 화석 생물 입체 모형으로 조립될 수 있다.
특히, 도 2에 있어서, 이들 매립 화석(예컨대, 685)은 지층 플레이트군(500, 600, 또는 700)의 소정 지질학적 시대를 특정할 수 있는 화석이 각각의 지층 플레이트군(500, 600, 또는 700)을 이루는 지층 플레이트(예컨대, 100, 200, 또는 300)에 떼어낼 수 있는 부품 상태로 분리되어 매립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의 머리부는 지층 플레이트(100)에 위치하고, 몸통부는 지층 플레이트(200)에 위치하고, 목뼈부는 지층 플레이트(300)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실제 화석의 발굴시에 발견되는 현상을 재현한 것이며, 더욱 더 많은 화석의 구성 요소(머리, 목, 몸통, 다리, 꼬리 등)가 더 많은 지층 플레이트(100, 200, 또는 300)에 떼어낼 수 있는 부품 상태로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조립시의 주의력 저하를 감안하여 분리되어 형성되는 화석의 조각 갯수는 최대 20 개를 넘지 않게 분할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각 지층 플레이트군(500, 600, 또는 700)의 최상층에는 화석 생물 입체 모형부(800)가 위치할 수 있다.
화석 생물 입체 모형부(800)는, 예컨대, 두 개의 화석 생물 입체 모형(820, 8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지질학적 시대는, 예컨대, 신생대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를 반영하여, 화석 생물 입체 모형(820)은, 예를 들어, 사슴의 형상을 취할 수 있고, 화석 생물 입체 모형(840)은, 예를 들어, 사냥하는 사람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화석 생물 입체 모형(820)은, 예컨대, 지지대(825)를 통해서, 최상층에 있는 지층 플레이트군(7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지지대(825)의 하단은 슬롯(76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이 지지대(825)의 하단은, 최상층 지층 플레이트군(700)에만 결합되어도 좋지만, 최상층 지층 플레이트(700)의 하부에 위치하는 다음 지층 플레이트군(600)까지에도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지지대(825)의 하단이, 결합핀(545, 660 등)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화석 생물 입체 모형(840)은 그 하단에 보조 결합핀(84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보조 결합핀(845) 역시 상술한 지지대(825)의 하단과 마찬가지로 슬롯(도면 번호 미부여)에 조립될 수 있으며, 동일한 방식으로 최상층 지층 플레이트(700)의 하부에 위치하는 다음 지층 플레이트군(600)까지에도 결합될 수도 있다.
화석 생물 입체 모형부(800)는 필요에 따라서 두 개의 화석 생물 입체 모형(예컨대, 820 및 840)만 거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필요하다면, 더 많은 수의 화석 생물 입체 모형이 배치될 수도 있고, 반대로 화석 생물 입체 모형이 아예 배치되지 않아도 된다.
더욱이 화석 생물 입체 모형부(800)를 이루는 화석 생물 입체 모형(820 또는 840)은 최상층 지층 플레이트(700)에만 거치되는 것이 아니라, 그 하부에 위치하는 지층 플레이트(600)에, 또는 그 보다도 더 하부에 위치하는 지층 플레이트(500)에 거치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 경우, 해당 화석 생물 입체 모형(예컨대, 820 또는 840)은 각 지층 플레이트에 적합한 화석 생물 입체 모형이 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석 생물 입체 모형 거치가 가능한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석 생물 입체 모형 거치가 가능한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3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는 사실상 도 2에 나타낸 구성 요소와 동일하며, 따라서 대부분 동일한 도면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화석 생물 입체 모형 거치가 가능한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의 조립 후 상황을 나타낸 것으로, 예시적으로, 지층 플레이트군(500)을 최하단에 위치시키고, 그 상부에 지층 플레이트군(600)을 배치하고, 다시 그 위 상부에 지층 플레이트군(700)을 배치한 다음, 최상층이 되는 상부 지층 플레이트군(700)의 상부에 화석 생물 입체 모형부(800)를 이루는 화석 생물 입체 모형(820 또는 840)을 거치한, 화석 생물 입체 모형이 거치된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900)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화석(910, 920, 및 930)은 매립 화석(685, 도 2 참조)의 일종으로, 도면에서는 단순하게 도시하였지만, 화석(910)은 지층 플레이트군(500)에서 떼어낸 고생물 화석일 수 있고, 화석(920)은 지층 플레이트군(600)에서 떼어낸 고생물 화석일 수 있으며, 화석(930)은 지층 플레이트군(700)에서 떼어낸 고생물 화석일 수 있다.
이 때, 화석(910, 920, 및 930)은 전면은 화석의 특징적 모습이 인쇄되어 있을 수 있고, 후면은 해당 화석에 대한 화석 이름이나 화석의 특징 등에 대한 정보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르게는, 화석(910, 920, 및 930)은, 예컨대, 지층 플레이트군 중의 하나의 지층 플레이트군(예컨대, 500)을 이루는 지층 플레이트(100, 200, 또는 300 등) 중의 하나의 지층 플레이트에서 떼어내서 분리한 고생물 화석일 수 있고, 이와는 달리 각각의 지층 플레이트(100, 200, 또는 300)에 떼어낼 수 있는 부품 상태로 분리되어 매립된 고생물 화석의 일부일 수 있다.
각 지층 플레이트(100, 200, 또는 300)에 떼어낼 수 있는 부품 상태로 분리되어 매립된 화석의 경우, 나중에 이들을 조립하여, 도 3의 화석 생물 입체 모형부(800)를 이룰 수 있다.
즉, 매립된 화석(910, 920, 및 930 등)을 각각의 지층 플레이트(100, 200, 또는 300)로부터 떼어내어 퍼즐식으로 조립하여, 조립의 효과 또는 학습 효과를 배가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때, 각 화석(910, 920, 및 930)에는 꺽쇠 구조(미도시) 및 슬롯 구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 지층 플레이트군(500 등)을 조립할 때와 마찬가지로 접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도 퍼즐식으로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이들 화석(910, 920, 및 930)에는 해당 고생물 화석의 해부학적인 골격 형상이 표현되어 있어, 최종 조립시에 이들 고생물 화석의 골격을 한 눈에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석 생물 입체 모형 거치가 가능한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석 생물 입체 모형 거치가 가능한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1000)의 개략도이다.
도 4로부터, 각각의 지층 베이스(1200, 1400, 및 1600)에는 각 지층 베이스에 해당하는 지질학적인 시대를 나타내는, 예를 들면, 트라이아스기, 쥬라기, 및 백악기와 같은 해당 시대를 표시하는 내용이 프린트(인쇄)되어 있어 지질학적인 시대 중에서도 중생대를 이루는 세 가지 시대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의 지층 베이스(1200, 1400, 및 1600)는 도 2에 있어서의 지층 플레이트군(400, 500, 600, 및 700)과 도 3에 있어서의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900)를 예시적으로 매우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지층 플레이트(100, 200, 및 300 등)를 적층한 지층 플레이트군(400, 500, 600, 및 700 등)을 적층한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면으로부터 지층 베이스(1200)에는 트라이아스기를 대표하는 고생물 화석으로서의 코엘로피시스가 프린트되어 있고, 또한 지층 베이스(1400)의 프린트(1604)(인쇄부)에는 쥬라기를 대표하는 고생물 화석으로서의 스테고사우루스 등이 프린트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선택적으로 이들 명칭 주변에는 이들 고생물 화석에 대한 설명이 추가로 더 프린트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지층 베이스(1600)에는 화석 생물 입체 모형(1620) 및 화석 생물 입체 모형(1640)이 상부에 거치되어 있으며, 화석 생물 입체 모형(1620)은 티라노사우루스의 입체 모형을 나타내고, 화석 생물 입체 모형(1640)은 에드몬토니아의 입체 모형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화석 생물 입체 모형(예컨대, 1620 및 1640)은 지층 베이스(1600)의 상부에 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지층 베이스(1400)의 상부 또는 지층 베이스(1200)의 상부에 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지층 베이스(1400 또는 1200)의 평면이 그 상부의 지층 베이스(1600 또는 1400)에 비해서 확대되어 있을 수 있으며, 예컨대, 화석 생물 입체 모형(1640)으로서 스테고사우루스 또는 코엘로피시스의 입체 모형이 거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입체 모형이 더 거치될 수도 있다.
특히, 화석 생물 입체 모형(1620)에 있어서, 도면 부호 1622로 지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해당 화석 생물 입체 모형(1620)의 골격을 나타내고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 골격 패턴은 화석 생물 입체 모형(1640)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도면에는 이들 골격에 대해서 별도로 도면 부호를 부여하지는 않았음을 알아야 한다.
도면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화석 생물 입체 모형(1640)에 대한 네임 택(1040), 및 화석 생물 입체 모형(1620)에 대한 네임 택(1042)이 더 거치될 수 있다.
이들 네임 택(1040 및 1042)은 해당 화석 생물 입체 모형(1640 및 1620)의 이름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해당 화석 생물 입체 모형(1640 및 1620)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더 부기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에지(1201, 1402, 및 1602 등)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에지의 구성과 사실상 동일함을 언급하고,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있어서, 스케일 미터(1610)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스케일 미터(1610)는, 예컨대, 화석 생물 입체 모형(1620 및 1640)의 실제 크기를 지시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예를 들어, 스케일 미터(1610)에 나타낸 사람 모습의 키가 170 cm로 지시되어 있으며, 따라서, 화석 생물 입체 모형(1620)의 키는 스케일 미터(1610)의 두 배 정도를 나타내고, 화석 생물 입체 모형(1640)의 키는 스케일 미터(1610)의 높이와 대략 비슷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화석 생물 입체 모형(1620)의 발자국을 의미하는 화석(1608)이 더 표시될 수 있으며, 이 화석(1608)은, 상술한 바와 같이, 코엘로피시스와 스테고사우루스와 같이 단순히 인쇄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돌출형 또는 함몰형으로 형성되어 촉각적으로도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 하겠다.
돌출형 또는 함몰형의 경우, 필요에 따라서는, 하나의 지층 베이스에만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지층 베이스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면 부호로 지시하지는 않았지만, 화석 생물 입체 모형(164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발자국 화석이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화석 생물 입체 모형(1620 및 1640)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끼워 맞춤식으로 조립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더 나아가서는 이들 화석 생물 입체 모형(1620 및 1640)의 관절 부위를 링크(link)로 형성하여, 예컨대, 화석 생물 입체 모형(1620)이 화석 생물 입체 모형(1640)을 사냥하는 모습을 대략적으로도 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명패(1020)를 더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 명패에는, 예컨대, 본 발명자가 소속하는 있는 기관인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이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명패(1020)에는, 필요에 따라서, 다른 명칭, 문구 또는 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음은 잘 알 것이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내용을 갖는 실시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 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위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100 : 지층 플레이트 102 : 에지
110 : 화석 120 : 화석
130 : 슬롯
200 : 지층 플레이트 210 : 화석
220 : 화석 230 : 슬롯
300 : 지층 플레이트 310 : 화석
320 : 화석 330 : 슬롯
400 : 지층 플레이트군
500 : 지층 플레이트군 502 : 에지
510 : 화석 520 : 화석
540 : 슬롯 545 : 결합핀
600 : 지층 플레이트군 602 : 에지
610 : 화석 620 : 화석
640 : 슬롯 650 : 화석
660 : 결합핀 680 : 화석 매립부
685 : 매립 화석
700 : 지층 플레이트군 702 : 에지
710 : 화석 720 : 화석
740 : 슬롯 760 : 슬롯
800 : 화석 생물 입체 모형부 820 : 화석 생물 입체 모형
825 : 지지대 840 : 화석 생물 입체 모형
845 : 보조 결합핀
900 :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 910 : 화석
920 : 화석 930 : 화석
1000 : 화석 생물 입체 모형 거치가 가능한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
1020 : 명패 1040 : 네임 택
1042 : 네임 택 1200 : 지층 베이스
1202 : 에지 1400 : 지층 베이스
1402 : 에지 1600 : 지층 베이스
1602 : 에지 1604 : 프린트(인쇄부)
1608 : 화석 1610 : 스케일 미터
1620, 1640 : 화석 생물 입체 모형 1622 : 골격
110 : 화석 120 : 화석
130 : 슬롯
200 : 지층 플레이트 210 : 화석
220 : 화석 230 : 슬롯
300 : 지층 플레이트 310 : 화석
320 : 화석 330 : 슬롯
400 : 지층 플레이트군
500 : 지층 플레이트군 502 : 에지
510 : 화석 520 : 화석
540 : 슬롯 545 : 결합핀
600 : 지층 플레이트군 602 : 에지
610 : 화석 620 : 화석
640 : 슬롯 650 : 화석
660 : 결합핀 680 : 화석 매립부
685 : 매립 화석
700 : 지층 플레이트군 702 : 에지
710 : 화석 720 : 화석
740 : 슬롯 760 : 슬롯
800 : 화석 생물 입체 모형부 820 : 화석 생물 입체 모형
825 : 지지대 840 : 화석 생물 입체 모형
845 : 보조 결합핀
900 :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 910 : 화석
920 : 화석 930 : 화석
1000 : 화석 생물 입체 모형 거치가 가능한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
1020 : 명패 1040 : 네임 택
1042 : 네임 택 1200 : 지층 베이스
1202 : 에지 1400 : 지층 베이스
1402 : 에지 1600 : 지층 베이스
1602 : 에지 1604 : 프린트(인쇄부)
1608 : 화석 1610 : 스케일 미터
1620, 1640 : 화석 생물 입체 모형 1622 : 골격
Claims (18)
- 패널로 형성되고, 소정 지질학적 시대의 지층 형상을 모사하며, 적층 가능한 하나 이상의 지층 플레이트;
상기 하나 이상의 지층 플레이트를 관통 재단하여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화석 부품 매립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화석 부품 매립부에 이탈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호 결합되어 하나 이상의 화석 생물 입체 모형으로 조립되는 판재 형상의 복수개의 입체 모형 조립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입체 모형 조립 부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지층 플레이트의 최상층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층 플레이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지층 플레이트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롯과, 상기 하나 이상의 슬롯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핀의 결합에 의해서 상호 조립되어 적층되는,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층 플레이트 중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인쇄되는 상기 소정 지질학적 시대에 대한 설명을 더 포함하는,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석의 이면에는 해당 화석에 대한 설명이 더 인쇄되어 있는,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층 플레이트에는 절리를 모사하는 에지가 더 형성되어 있는,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에지는 60 도 및 120 도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층 플레이트는 적층되어 층리를 표현하고 있는,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입체 모형 조립 부품은 상기 하나 이상의 지층 플레이트의 서로 다른 지층 플레이트에 떼어낼 수 있는 부품 상태로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는,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층 플레이트에는 상기 화석 생물 입체 모형의 크기를 지시할 수 있는 스케일 미터가 더 형성되는,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층 플레이트와 그에 형성된 화석 부품 매립부에 수납되는 상기 복수개의 입체 모형 조립 부품은 두께가 동일한,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7303A KR101815476B1 (ko) | 2017-07-31 | 2017-07-31 |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7303A KR101815476B1 (ko) | 2017-07-31 | 2017-07-31 |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5476B1 true KR101815476B1 (ko) | 2018-01-05 |
Family
ID=61001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7303A KR101815476B1 (ko) | 2017-07-31 | 2017-07-31 |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547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415595A (zh) * | 2019-06-06 | 2019-11-05 | 甘肃工业职业技术学院 | 一种教学用地质剖面实训模型 |
-
2017
- 2017-07-31 KR KR1020170097303A patent/KR101815476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415595A (zh) * | 2019-06-06 | 2019-11-05 | 甘肃工业职业技术学院 | 一种教学用地质剖面实训模型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185861A (zh) | 建模组合件 | |
Bañón et al. | 3D printing architecture: workflows, applications, and trends | |
Amoroso | Representing landscapes: A visual collection of landscape architectural drawings | |
KR101815476B1 (ko) |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 | |
Djavaherpour et al. | Physical visualization of geospatial datasets | |
Łątka et al. | The Obverse/Reverse Pavilion: An Example of a Form-Finding Design of Temporary, Low-Cost, and Eco-Friendly Structure | |
Soulier | Real objects and models | |
CN205827788U (zh) | Diy地形沙盘 | |
Obodo et al. | Visual Metaphor: Ekene Anikpe's Sculptural Essays | |
Kucker | Recognizing a (Fertile) gap | |
Amoroso | Representing Landscapes: Hybrid | |
Guth | Modeling, models, and knowledge exchange in early modern Japan | |
Incerti et al. | Ubaldo Castagnoli. Dal Gruppo 7 alle architetture per le telecomunicazioni [Ubaldo Castagnoli. From Gruppo 7 to architectures for telecommunications] | |
Barberio et al. | Stereotomy, sustainable construction and didactics. case study: a new museum for matera, European Capital of culture 2019 | |
Jackson et al. | Cardboard City: A whole-school integrative engineering experience. | |
Carbonari et al. | Progetto e memoria. Connessioni e trame grafiche per il Museo di Scienze Naturali di La Plata | |
Pino Suárez et al. | XV Congreso Internacional de Expresión Gráfica Aplicada a la Edificación· APEGA 2021: libro de resúmenes | |
Barker | Support your local dinosaur!—a survey of dinosaur teaching resources | |
Jiya | Extensions of Origami Principles in Designing Pavilions for Relaxation in Tertiary Institutions in Minna, Niger State | |
Balzani et al. | Il transitare della memoria. Quando il tempo trasforma gli oggetti per un nuovo spazio | |
JP2017075978A (ja) | 間取り模型作成キット | |
KR101357662B1 (ko) | 인체 학습용 도구 | |
Salerno | New urban design tools between representation and environment simulation | |
Gidwani | BioMatters/BioFabrication | |
Riether | The digital design build studi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