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153B1 -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 - Google Patents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5153B1 KR101815153B1 KR1020140027710A KR20140027710A KR101815153B1 KR 101815153 B1 KR101815153 B1 KR 101815153B1 KR 1020140027710 A KR1020140027710 A KR 1020140027710A KR 20140027710 A KR20140027710 A KR 20140027710A KR 101815153 B1 KR101815153 B1 KR 1018151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on element
- common
- extracting
- extracted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4—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 G06V10/457—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by analysing connectivity, e.g. edge linking, connected component analysis or sl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1—Design or setup of recognition systems or techniques; Extraction of features in feature space; Blind source separation
- G06F18/213—Feature extraction, e.g. by transforming the feature space; Summarisation; Mappings, e.g. subspace methods
- G06F18/2135—Feature extraction, e.g. by transforming the feature space; Summarisation; Mappings, e.g. subspace methods based on approximation criteria, e.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Analysi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은 입력된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연결요소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연결요소 중 공통요소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공통요소의 위치정보 및 상기 객체의 규격정보를 이용하여 비공통요소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한 비공통요소의 위치와 상기 추출한 연결요소 중 공통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연결요소의 위치를 비교하여 비공통요소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공통요소 및 비공통요소를 기초로 객체에 포함된 기호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문자 및 숫자 등과 같은 정보를 가지는 기호의 위치를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호 인식 기술은 시각 정보를 통하여 기호를 인식하고 의미를 이해하는 패턴인식의 한 분야로서, 기호를 포함하는 객체를 카메라로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 속의 기호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처리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기호 인식 기술은 기호를 포함하는 객체의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영역으로부터 기호의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기호에 대해 문자 인식(Character Recognition) 기술을 적용하여 각 기호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객체의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에서는 객체의 색상 정보나 수직, 수평의 에지 성분을 분석하여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이 주로 적용된다. 또한, 기호의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에서는 추출된 영역의 명암비나 사전에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된 영역과 비교하여 기호의 위치를 추출하는 방법이 주로 적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객체의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에서 색상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객체를 비추는 주변의 조명 상황에 따라 색상 정보가 달라지므로, 주변 조명에 의해 객체의 영역이 오검출 되거나 어두운 환경에서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며, 에지 성분을 이용하는 방법은 객체의 일부가 아닌 부분도 객체의 일부로 추출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종래의 기호의 위치를 추출하는 방법은 잡영 또한 기호의 일부로 추출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의 방법은 영역 정보와 기호의 위치 정보를 각각 추출하기 때문에 개별 단계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오차가 누적되어 최종 결과값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38014호(발명의 명칭: 입력영상에서 대상 물체의 특징패턴을 이용한 특정영역 추출방법)는 픽셀값을 이용하여 유사도 상관계를 조사하고, 임계값이 넘는 픽셀들을 특정점으로 결정하여 상기 특징점에 따라 대상물체의 영역을 검색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38014호(발명의 명칭: 입력영상에서 대상 물체의 특징패턴을 이용한 특정영역 추출방법)는 픽셀값을 이용하여 유사도 상관계를 조사하고, 임계값이 넘는 픽셀들을 특정점으로 결정하여 상기 특징점에 따라 대상물체의 영역을 검색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객체에 포함된 기호를 공통요소와 비공통요소로 구분하고 객체의 연결요소 및 규격정보를 이용하여 기호의 위치를 추출함으로써, 영역 추출 및 기호의 위치 추출을 하나의 과정으로 수행하는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은 입력된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연결요소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연결요소 중 공통요소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공통요소의 위치정보 및 상기 객체의 규격정보를 이용하여 비공통요소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한 비공통요소의 위치와 상기 추출한 연결요소 중 공통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연결요소의 위치를 비교하여 비공통요소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공통요소 및 비공통요소를 기초로 객체에 포함된 기호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역 정보와 기호의 위치 정보를 하나의 과정으로 추출함으로써 고속으로 전체 기호의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추정값과 근접한 영역에 위치한 연결요소를 기호로 추출함으로써, 난반사로 인해 지워진 기호도 추출가능하며, 추출대상이 아닌 추가된 기호와 같은 잡영 또한 거를 수 있어 기호 추출 결과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이 공통요소를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이 비공통요소를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이 자동차 번호판에서 기호의 위치를 추출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이 공통요소를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이 비공통요소를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이 자동차 번호판에서 기호의 위치를 추출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하여 진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호의 위치를 추출하는 방법은 추출하고자 하는 기호가 포함된 객체를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S110) 수신한 영상정보에 포함된 객체의 연결요소를 추출한다(S120). 여기서, 기호의 연결요소란 기호의 구조를 분석하고 분석된 기호의 형태학적 윤곽선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객체에 포함된 기호를 공통요소와 비공통요소로 구분하고 기호의 위치를 추출하는 방법으로써, 공통요소란 객체가 가지는 다양한 규격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정보를 가지는 기호를 의미하고 비공통요소란 공통요소를 제외한 그 외의 기호를 의미한다.
예컨대, 자동차 번호판은 자동차의 고유 등록 번호, 차종, 용도, 소속 지명 등의 정보를 문자 및 숫자와 같은 기호로 나타내어 표시한다. 또한, 국내 자동차 번호판의 종류는 10개 이상으로 다양하지만, 4자리의 숫자를 가진다는 공통점이 있다. 따라서, 자동차 번호판의 경우 공통요소는 4자리의 숫자를 의미하고, 그 외의 기호(문자 또는 숫자)는 비공통요소를 의미한다.
추출한 연결요소 중에서 객체의 규격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정보를 가지는 기호인 공통요소를 추출하고(S130), 추출한 공통요소의 위치정보 및 기저장된 객체의 규격정보를 이용하여 비공통요소의 위치를 추정한다(S140). 여기서, 규격정보란 객체에 포함된 기호의 자리 수, 모양 및 위치 등을 정의하는 표준정보를 의미한다. 예컨대, 자동차 번호판의 종류가 10개라면 규격정보는 10개의 번호판 각각에 해당하는 기호의 표준정보를 의미한다.
추정한 비공통요소의 위치와 추출한 연결요소 중 공통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연결요소를 비교하고(S150), 추정한 비공통요소의 위치와 가장 근접한 영역에 위치한 연결요소를 비공통요소로 추출한다(S160). 추출한 공통요소 및 비공통요소를 기초로 객체에 포함된 기호의 위치를 검출한다(S170).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공통요소와 비공통요소를 추출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이 공통요소를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이 공통요소를 추출하는 과정은 기호가 포함된 객체를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영상정보로부터 객체의 연결요소를 추출하여 추출한 연결요소 중에서 기저장된 공통요소의 크기, 비율, 추출 방향 등의 사전정보를 기반으로 1개의 공통요소를 추출한다(S210).
추출한 공통요소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다음 공통요소의 위치를 추정하고(S220), 추정한 위치에 근접한 연결요소의 존재여부를 판단한다(S230).
추정한 위치에 연결요소가 존재하면 이 연결요소를 공통요소로 추출하고(S240), 추정한 위치에 연결요소가 존재하지 않으면 수신된 영상에는 관심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공통요소의 추출과정을 중단한다(S250).
객체마다 정해진 공통요소의 개수가 있으므로(예컨대, 자동차 번호판이면 번호판의 숫자 4자리), 기지정된 개수의 모든 공통요소를 추출하면(S260) 공통요소 추출과정을 완료한다(S270).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이 비공통요소를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이 비공통요소를 추출하는 과정은 수신한 영상정보로부터 객체의 연결요소를 추출하고 추출한 연결요소 중에서 공통요소를 추출하는 과정이 완료되면(S310), 추출한 공통요소의 위치정보와 기저장된 객체의 규격정보를 이용하여 비공통요소의 위치를 추정한다(S320). 이때, 비공통요소의 위치 추정값은 기저장된 객체의 규격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다. 예컨대, 객체가 자동차 번호판이고 자동차 번호판의 규격이 10개 존재할 경우, 이에 따라 10개의 비공통요소의 위치 추정값이 산출된다.
비공통요소의 위치 추정값과 공통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연결요소를 비교하여(S330) 비공통요소의 위치 추정값과 가장 근접한 영역에 위치한 연결요소를 비공통요소로 추출한다(S340).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자동차 번호판에서 기호의 위치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는 자동차 번호판에서 추출한 연결요소 중 공통요소를 추출하는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기호를 추출하고자 하는 번호판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영상에 포함된 번호판의 연결요소를 추출하고, 추출한 연결요소 중에서 공통요소로 '1'(401)과 '2'(402)를 추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자동차 번호판의 경우, 공통요소인 4자리의 숫자는 번호판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비공통요소를 공통요소로 잘못 추출하는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공통요소의 추출방향은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세 번째 공통요소를 추출하기 위해 추출한 공통요소 '1'(401)과 '2'(402)의 위치정보를 이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추출된 공통요소 '1'(401)과 '2'(402)의 위치정보 및 기저장된 공통요소의 크기, 비율, 추출 방향 등의 사전정보를 이용하여 세 번째 공통요소의 위치 추정값(403)을 산출하고, 산출한 위치 추정값(403)과 근접한 주변의 연결요소를 비교한다.
여기서는, 연결요소 404, 405 및 406 중에서 연결요소 405가 위치 추정값(403)에 가장 근접하므로 연결요소 405를 세 번째 공통요소로 추출한다. 이후, 추출한 세 개의 공통요소 401, 402 및 403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네 번째 공통요소를 추출한다.
도 5는 자동차 번호판에서 공통요소 추출 후 비공통요소의 위치를 추정하는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공통요소 '1'(501), '2'(502), '3'(503) 및 '4'(504)를 모두 추출 완료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공통요소의 추출과정을 완료한 이후, 추출한 공통요소의 위치정보 및 기저장된 객체의 규격정보를 이용하여 비공통요소의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비공통요소의 위치를 이용하여 비공통요소를 추출한다.
예컨대, 비공통요소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공통요소의 위치정보로 공통요소의 중심점간의 간격정보인 505, 506 및 507과 공통요소의 상단(top)값정보 508, 509, 510 및 511를 이용하는 경우, 비공통요소의 수평 위치 추정값은 공통요소의 중심점간의 간격정보를 통해 계산하며 비공통요소의 수직 위치 추정값은 공통요소의 상단값정보를 통해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공통요소의 수평 위치 및 수직 위치는 아래와 같은 함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수평 위치 추정값= f(h)((505),(506),(507))
수직 위치 추정값= f(v)((508),(509),(510),(511))
수평 위치 추정값 및 수직 위치 추정값을 통해 계산된 비공통요소의 전체 위치 추정값인 512, 513 및 514의 집합은 기저장된 번호판 규격의 종류만큼 산출되며 산출된 다수의 추정값과 가장 근접한 영역에 위치한 연결요소를 비공통요소로 추출한다.
도 6a 및 도 6b는 자동차 번호판의 규격이 2가지일때, 각각의 규격정보를 이용하여 비공통요소를 추출하는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번호판의 숫자 4자리인 공통요소 4, 3, 2, 1(601)을 모두 추출 완료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공통요소 4, 3, 2, 1(601)을 모두 추출하고 추출한 공통요소(601)의 위치정보 및 기저장된 2개의 번호판의 규격정보를 이용하여 비공통요소의 위치를 추정한 결과, 각각의 규격정보에 따라 비공통요소의 위치 추정값이 602 및 609로 산출되었다.
비공통요소의 위치 추정값(602, 609)과 공통요소로 추출한 연결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연결요소인 603, 604, 605, 606 및 607의 근접여부를 비교하면, 도 6a의 비공통요소의 위치 추정값(602)은 연결요소 603, 604와 근접하며, 도 6b의 비공통요소의 위치 추정값(609)은 연결요소 612, 613, 614와 근접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도 6a의 비공통요소의 위치 추정값(602)과 연결요소 603, 604의 일치성보다 6b의 비공통요소의 위치 추정값(609)과 연결요소 612, 613, 614의 일치성이 더 크므로, 예시한 상황에서는 적용할 수 있는 번호판의 규격정보는 도 6b로 판단할 수 있으며 연결요소 612, 613, 614를 비공통요소로 추출할 수 있다.
도 7은 자동차 번호판에서 난반사에 의해 지워진 영상정보로부터 기호의 위치를 추출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의 난반사에 의해 번호판 앞자리의 '4'가 일부 지워진 영상(701)을 수신하여 수신한 영상을 이진영상으로 변환하고 연결요소를 추출하는 경우, 난반사에 의해 추출한 연결요소 '4'가 세분화되어 추출(702의 '4' 위치의 복수개의 박스)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와는 달리 본 발명은 공통요소(703의 박스 내 기호)를 먼저 추출한 후, 추출한 공통요소의 위치정보 및 번호판의 규격정보를 이용하여 비공통요소의 위치 추정값을 산출하고(704의 앞 3개의 박스), 산출된 위치 추정값과 근접한 영역에 위치한 연결요소를 비공통요소로 추출하는 방법이므로 난반사로 인해 분리된 연결요소가 포함되어 있어도 분리된 연결요소 또한 비공통요소의 위치 추정값과 근접한 영역에 위치한다면 비공통요소로 추출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705에는 추출된 비공통요소의 위치가 박스로 표시되어 있다.
도 8은 자동차 번호판에서 잡영이 추가된 영상정보로부터 기호의 위치를 추출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번호판의 비공통요소 '83우'와 공통요소 '2780' 사이에 추출하고자 하는 대상이 아닌 잡영이 추가된 번호판을 촬영한 영상(801)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을 이진영상으로 변환한 결과(802) 잡영이 숫자 '0'과 구분하기 어려움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와는 달리 본 발명은 번호판의 규격정보와 공통요소 및 비공통요소의 위치 추정값을 이용한 기호 추출 방법으로서, 추가된 잡영을 번호판에 포함되지 않는 정보로 인식하기 때문에 기호의 위치를 추출한 최종 결과값(803)에는 추가된 잡영이 배제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0 내지 S34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호의 위치 추정 방법은 컴퓨터(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0 내지 S34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호의 위치 추정 방법은 컴퓨터(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 입력된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연결요소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연결요소 중 공통요소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공통요소의 위치정보 및 상기 객체의 규격정보를 이용하여 비공통요소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한 비공통요소의 위치와 상기 추출한 연결요소 중 공통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연결요소의 위치를 비교하여 비공통요소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공통요소 및 비공통요소를 기초로 객체에 포함된 기호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공통요소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한 연결요소 중 1개 이상의 공통요소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1개 이상의 공통요소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공통요소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한 위치에 연결요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연결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연결요소를 공통요소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공통요소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한 연결요소 중에서 기저장된 공통요소의 크기, 비율 및 추출 방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1개 이상의 공통요소를 추출하는 것인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연결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된 영상에 관심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공통요소 추출을 종료하는 것인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연결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연결요소를 공통요소로 추출하는 단계 이후에,
기저장된 개수의 공통요소를 모두 추출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기저장된 개수의 공통요소를 모두 추출한 경우, 상기 공통요소 추출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공통요소의 위치정보는 상기 공통요소의 중심점간 간격정보 및 상기 공통요소의 상단값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비공통요소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공통요소의 중심점간 간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공통요소의 수평 위치 추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상기 공통요소의 상단값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공통요소의 수직 위치 추정값을 산출하며, 상기 수평 위치 추정값 및 상기 수직 위치 추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비공통요소의 전체 위치 추정값을 산출하는 것인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공통요소의 전체 위치 추정값은 상기 객체의 규격의 종류만큼 산출되는 것인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공통요소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추정한 비공통요소의 위치 추정값과 상기 추출한 연결요소 중 공통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연결요소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비공통요소의 위치 추정값과 가장 근접한 영역에 위치한 연결요소를 상기 비공통요소로 추출하는 것인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요소는 상기 객체가 가지는 다양한 규격 중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정보를 가지는 기호를 의미하고, 상기 비공통요소는 상기 다양한 규격 중 상기 공통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기호를 의미하는 것인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규격정보는 상기 객체에 포함된 기호의 자리 수, 모양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을 정의하는 표준정보를 의미하는 것인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7710A KR101815153B1 (ko) | 2014-03-10 | 2014-03-10 |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7710A KR101815153B1 (ko) | 2014-03-10 | 2014-03-10 |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5761A KR20150105761A (ko) | 2015-09-18 |
KR101815153B1 true KR101815153B1 (ko) | 2018-01-05 |
Family
ID=54244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7710A KR101815153B1 (ko) | 2014-03-10 | 2014-03-10 | 기호의 위치 추출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5153B1 (ko) |
-
2014
- 2014-03-10 KR KR1020140027710A patent/KR101815153B1/ko active IP Right Grant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김우태, 임길택, "에지 영상의 방향성분 히스토그램 특징을 이용한 자동차 번호판 영역 추출", 한국산업정보학회,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14(3), 2009.9, 1-14 (14 pages)* |
홍성은 외 2인, "영상 내 차량의 위치 및 촬영 각도에 강인한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 대한전자공학회, 전자공학회논문지 49(12), 2012.12, 113-123 (11 pag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5761A (ko) | 2015-09-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34938B2 (en) | Methods for mobile image capture of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s in a non-document | |
Wu et al. | Lane-mark extraction for automobiles under complex conditions | |
CN108364010B (zh) | 一种车牌识别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KR102058001B1 (ko) | 차선 보정 시스템, 차선 보정 장치 및 이의 차선 보정 방법 | |
CN110119741B (zh) | 一种有背景的卡证图像信息识别方法 | |
US9430704B2 (en) | Image processing system with layout analysi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
US7231288B2 (en) | System to determine distance to a lead vehicle | |
US9846823B2 (en) | Traffic lane boundary line extra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extracting traffic lane boundary line | |
KR101281260B1 (ko) | 차량 인식 방법 및 장치 | |
US9613266B2 (en) | Complex background-oriented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 |
Yoon et al. | Blob extraction based character segmentation method for automatic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 |
EP2660753B1 (en)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 |
CN108073926B (zh) | 一种车牌识别方法及装置 | |
US20150010233A1 (en) | Method Of Improving Contrast For Text Extraction And Recognition Applications | |
CN109784322B (zh) | 一种基于图像处理的vin码识别方法、设备及介质 | |
Gilly et al. | A survey on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s | |
JP2018120445A (ja) | 車番認識装置 | |
Chang et al. | An efficient method for lane-mark extraction in complex conditions | |
KR101794632B1 (ko) | 전기차 번호판 로고 패턴 인식 방법 | |
US20170161581A1 (en) | Exploiting color for license plate recognition | |
CN112837384B (zh) | 车辆标记方法、装置和电子设备 | |
CN114120309A (zh) | 一种仪表读数识别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 |
JP6375911B2 (ja) | カーブミラー検出装置 | |
US985849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egistration plate detection with aid of edge-based sliding concentric windows | |
JP2018109824A (ja) | 電子制御装置、電子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子制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