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080B1 - 췌장소도세포 및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췌장소도세포 및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080B1
KR101815080B1 KR1020150154093A KR20150154093A KR101815080B1 KR 101815080 B1 KR101815080 B1 KR 101815080B1 KR 1020150154093 A KR1020150154093 A KR 1020150154093A KR 20150154093 A KR20150154093 A KR 20150154093A KR 101815080 B1 KR101815080 B1 KR 101815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
pancreatic islet
elastin
islet cells
extracellular matr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2094A (ko
Inventor
이경민
전원배
김정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154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080B1/ko
Priority to US15/773,496 priority patent/US10813954B2/en
Priority to PCT/KR2016/012611 priority patent/WO2017078439A1/ko
Publication of KR20170052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7Digestive system
    • A61K35/39Pancreas; Islets of Langerh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39Connective tissue peptides, e.g. collagen, elastin, laminin, fibronectin, vitronectin, cold insoluble globulin [CI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8Connective tissue peptides, e.g. collagen, elastin, laminin, fibronectin, vitronectin or cold insoluble globulin [CI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Diabet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Vi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oxic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췌장소도세포(islet) 및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REP)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췌장소도세포를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과 반응시킨 후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과 함께 투여함으로써 이식된 췌장소도세포의 생존율을 높이고 혈당을 정상 수준으로 빠르게 회복시키면서 이를 오랫동안 유지하여 당뇨병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췌장소도세포 및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diabetes comprising islet and artificial extracellular matrix of elastin like polypeptide}
본 발명은 췌장소도세포(islet) 및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REP)를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췌장소도세포를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과 반응시킨 후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과 함께 투여함으로써 이식된 췌장소도세포의 생존율을 높이고 혈당을 정상 수준으로 빠르게 회복시키면서 이를 오랫동안 유지하여 당뇨병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diabetes)은 인슐린의 분비 결함 또는 인슐린 작용의 결함에서 기인한 만성 고혈당증(hyperglycemia)의 특징을 나타내는 다중적 병인의 대사장애를 말하며, 혈중의 포도당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가 장기간 지속될 경우 만성적인 대사장애와 이에 따른 만성적 혈관손상으로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한다.
당뇨병은 대표적인 성인성 대사질환으로 세계인구의 약 5%가 앓고 있으며, 그로 인한 인명적, 경제적 손실은 실로 막대하다. 당뇨병 환자의 대부분은 경구용 치료제를 복용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안전한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이 가장 중요한 기전적 원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정확한 기전은 아직 확실하지 않으며, 다만 유전적인 소인과 환경의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인슐린 분비장애가 수반되는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제 1형 당뇨병) 환자의 치료를 위해 인슐린 치료법을 시행하고 있으나 신부전증, 신경병변, 실명, 심근경색등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하여 치료의 한계점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제 1 형의 당뇨병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췌장이식이나 췌장소도세포 이식 수술이 시행되어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도 뇌사자로부터의 췌장 및 췌장소도세포 이식 수술이 시행되고 있으나, 서구에 비해 뒤쳐져 있고 공여 뇌사자의 절대적 부족과 췌장, 췌도 이식에 관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췌장이식은 이식수술 후 면역억제를 투여해야 하고 수술적 부작용, 합병증 및 이식 거부반응 등의 문제점이 있으나, 상대적으로 췌장소도세포의 이식은 시술이 간편하고 이식 후 면역 거부반응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췌장소도세포 이식 과정에서도 췌장으로부터 췌장소도세포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세포외 기질이 파괴되어 세포의 활성이 감소되고 췌장소도세포 이식 후 세포 정착률 및 생존력의 감소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은 약 100년 전 처음 발견되었고 초기에는 단순한 세포간 연결체로서 구조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Pathol Biol. (2005) 53, 369-371). 그러나 이를 넘어서 세포의 분열과 분화 그리고 사멸 등 여러 세포생리 조절 인자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세포외 기질은 배아줄기세포나 성체줄기세포와 접목된 세포치료와 재생의학(regenerative medicine)을 위해서 최근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또한 세포외 기질을 모방한 생체재료(biomaterials) 내에 세포를 배양하여 조직을 만들어 내고자 하는 조직공학(tissue engineering) 연구를 위해서도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세포외 기질은 각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들이 필요에 의해서 만들어낸 산물이다. 따라서 조직에 따라 서로 다른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수한 물리적 성질을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세포외 기질은 콜라겐(collagen)이나 엘라스틴(elastin) 같은 구조 단백질(structural proteins)이 주를 이루며,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 GAG)이라는 다당류(polysaccharides), 그리고 세포의 부착을 돕는 부착 단백질(adhesive proteins)이 고정되어 있으며, 성장인자(growth factors) 등 다양한 생화학적 인자들이 이동하며 분포되어 있다(J Cell Physiol. (2004) 199, 174-80).
동물 조직으로부터 직접 추출된 세포외 기질은 살아있는 세포를 미소서식 환경 내의 조직 배양 플레이트 상에서 반복적으로 배양하기 위한 최선의 선택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쥐 육종이나 인간 양막 세포들로부터 획득된 매트리젤(Matrigel) 또는 암젤(Amgel)은 다양한 세포 활동을 분석하기 위해서 폭넓게 개발되어 왔으며, 또한 종양 세포의 행동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도 일정 부분 기여해 왔다. 그러나 자연적으로 파생된 ECM의 표본은 복잡하고, 고산출량과 대량 생산에서는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세포외 기질의 물리적 환경을 적절히 모방한 인공적인 세포외 기질(artifical ECM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엘라스틴 유사 폴리펩타이드(Elistin-like polypeptide; ELP) 중의 하나인 엘라스틴 VGVPG(Valine-Glycine-Valine-Proline-Glycine) 펜타 펩타이드(pentapeptides) 및 RGD(Arginine-Glycine-Aspartate) 리간드의 반복적인 융합을 통해 이루어진 TGPG[VGRGD(VGVPG)6]20WPC 다중블록 바이오폴리머(REP)가 조직재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eon et al., J. Biomed. Mater Res. A, 97:152, 2011; 한국등록특허 제1350900호). REP의 이점 중에 하나는 온도변화에 대한 대응으로 특정 전이온도(Tt) 이상에서, 가용화된 REP는 코아세르베이트(coacervates)를 소수성으로 붕괴시킨다.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9346호는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 상세하게는 아르기닌-글리신-아스파르트산(Arginine-Glycine-Aspartate; RGD)-엘라스틴 유사 폴리펩타이드(elastin like polypeptide; ELP)를 플레이트에 코팅하여 췌장세포를 배양하는 인공췌장소도 배양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RGD-ELP는 췌장세포배양에만 사용되었을 뿐, 분리된 췌장소도세포를 RGD-ELP와 반응시킨 후 다시 RGD-ELP와 함께 당뇨병 환자에게 투여하였을 때의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췌장소도세포의 분리 후 나타나는 감소된 세포 활성 및 이식 후 세포 정착률과 생존력을 높이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REP의 메트릭스의 가능성을 연구하였으며, 분리된 췌장소도세포를 REP와 반응시키고 다시 REP 및 췌장소도세포를 당뇨병 환자에게 함께 투여함으로써 이식된 췌장소도세포의 생존력 및 활성을 유지시켜 이식 성공률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췌장소도세포(islet); 및 엘라스틴 유사 폴리펩타이드와 리간드의 반복적인 융합을 통해 이루어진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REP)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췌장소도세포(islet); 및 엘라스틴 유사 폴리펩타이드와 리간드의 반복적인 융합을 통해 이루어진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REP)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췌장소도세포는 인간, 마우스, 랫트, 돼지, 토끼, 기니아피그, 햄스터, 개, 고양이, 소 및 염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한 개체의 췌장으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엘라스틴 유사 폴리펩타이드는 엘라스틴 VGVPG(Valine-Glycine-Valine-Proline-Glycine) 펩타이드(polypeptides)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간드는 RGD(Arginine-Glycine-Aspartat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은 [VGRGD(VGVPG)6]n(n= 10, 12, 15, 2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은 800개내지 2000개의 췌장소도세포; 및 0.5μM 내지 10μM 농도의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당뇨병은 제1형 당뇨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췌장소도세포(islet); 및 엘라스틴 유사 폴리펩티드와 리간드의 반복적인 융합을 통해 이루어진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REP)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이식 후 췌장소도세포의 생존률을 높여주고, 혈당을 정상수준으로 빠르게 회복하고 이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을 활용하여 췌장소도세포를 이식하는 방법은 제1형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한 이식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다중블록 바이오폴리머(REP)의 특성을 확인한 것으로, REP의 흡광도(A), 코아세르베이트 상태에서 REP의 응집정도 확인(B), Fam-REP의 역상전이 정도 측정(C) 및 Fam-REP 파장에 따른 흡광도 변화(D)를 측정한 데이터이다.
도 2A는 REP에 반응시킨 췌장소도의 세포활성을 보여주는 형광현미경 사진이고, 도 2B는 CCK-8 assay를 통해 REP용액에서 반응시킨 췌장소도세포의 성장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C와 2D는 정량 실시간 PCR(Quantitative real time PCR)을 통해 REP에 반응시킨 췌장소도의 인슐린 유전자 발현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2E와 2F는 Insulin ELISA kit을 사용하여 인슐린 분비 및 당부하에 따른 인슐린 분비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A, 3B 및 3D는 REP에 반응시킨 췌장소도의 인슐린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인 PDX-1, BETA2 및 Glut2의 유전자 발현을 각각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3C와 3E는 세포성장마커인 Ki67과 PCNA의 유전자 발현을 각각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3F와 3G는 PDX-1, BETA2, Glut2, PCNA 및 Ki67의 단백질 발현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췌장베타세포주 및 췌장소도세포에서 REP에 의해 유도되는 Akt 및 foxo1의 인산화 활성을 확인한 것으로, 도 4A는 췌장베타세포주에서 REP, 피브로넥틴(fibronectin, FN) 및 라미닌(laminin, LN)에 의해 Akt의 인산화 활성화를 확인한 그래프이며, 도 4B는 췌장소도세포에서 REP에 의해 Akt 및 foxo1의 인산화 활성화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4C는 췌장소도세포에서 REP에 의해 유도되는 Akt 와 foxo1의 세포 내 이동을 보여주는 형광현미경 사진이고, 도 4D 및 4E는 Akt 인산화 억제제인 워트마닌(wortmannin)에 의해 조절되는 Akt와 foxo1의 인산화 및 인슐린 분비 변화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췌장베타세포주 및 췌장소도세포에서 REP에 의해 유도되는 ERK의 인산화 활성을 확인한 것으로, 도 5A 와 5B는 췌장베타세포주 및 췌장소도 세포에서 REP에 의해 ERK의 인산화 활성화를 확인한 그래프이고, 도 5C는 ERK 인산화 억제제인 PD98059에 의해 ERK의 인산화가 억제됨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5D 및 5E는 ERK 인산화 억제제에 의해 세포의 성장률 및 세포의 부착이 조절되는 것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6A 및 6B는 스트렙토조토신으로 당뇨병이 유발된 마우스에 엘라스틴 인공 세포외 기질과 함께 췌장소도세포를 이식했을 때 몸무게와 혈당 변화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는 스트렙토조토신으로 당뇨병이 유발된 마우스에 DiR로 염색한 췌장소도세포 이식 후 실시간 췌장소도세포의 생존율 보여주는 형광이미지 사진이고, 도 7B는 평균발광효율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췌장소도세포 이식 과정에서도 췌장으로부터 췌장소도세포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세포외 기질이 파괴되어 세포의 활성이 감소되고 췌장소도세포 이식 후 세포 정착률 및 생존력의 감소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췌장의 세포외 기질과 유사한 환경으로 만들어 줄 수 있는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을 이용하여 상술한 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발명의 췌장소도세포(islet); 및 엘라스틴 유사 폴리펩티드와 리간드의 반복적인 융합을 통해 이루어진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REP)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췌장소도세포의 분리 및 이식과정에서 세포의 생존력 및 활성을 유지시켜 이식 성공률의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췌장소도세포(islet); 및 엘라스틴 유사 폴리펩티드와 리간드의 반복적인 융합을 통해 이루어진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REP)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췌장소도세포와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REP)을 반응시킨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추가의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REP)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췌장소도세포(islet)는 인간, 마우스, 랫트, 돼지, 토끼, 기니아피그, 햄스터, 개, 고양이, 소 및 염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한 어느 하나의 개체의 췌장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상기 개체들의 췌장으로부터 췌장소도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이식에 사용하기 위해 췌장소도세포를 분리하는 공지된 방법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콜라게나아제 소화 기법(collagenase digestion)으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틴 유사 폴리펩타이드는 엘라스틴 VGVPG(Valine-Glycine-Valine-Proline-Glycine)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s)이며, 상기 리간드는 RGD(Arginine-Glycine-Aspartate)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이하 'REP'로 표기)은 VGVPG 폴리펩타이드 및 RGD가 반복적인 융합을 통해 이루어진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TGPG[VGRGD(VGVPG)6]nWPC(n = 10, 12, 15, 20), 더 바람직하게는 [VGRGD(VGVPG)6]n(n = 10, 12,15, 2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서, REP는 공지된 방법(Jeon WB et al., J. Biomed. Mater. Res. A, 97:152, 2011)으로 준비하였으며, Fam이 라벨된 REP(Fam-REP)를 제조하여 그 특성을 확인하였다. DTT 존재하에 REP의 역상전이 정도를 측정한 결과, 25℃ 이상에서 흡광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도 1A), 35℃, 코아세르베이트 상태에서 농도에 따른 REP의 응집정도를 확인하였다 (도 1B). 또한, 도 1C 및 1D에 나타난 바와 같이, Fam-REP는 30℃ 이상에서 흡광도가 증가하였으며, 500nm 범위에서 피크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REP 및 Fam-REP의 특정 전이온도(Tt)는 쥐의 체온보다 낮기 때문에 상처 안에서 코아세르베이트 상태로 응집될 수 있다.
상기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800개 내지 2000개의 췌장소도세포; 및 0.5μM 내지 10μM 농도의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0개 내지 1000개의 췌장소도세포; 및 0.5μM 내지 1μM 농도의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범위보다 낮은 농도의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 및 낮은 개수의 췌장소도세포가 포함되면 당뇨병 치료 효능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보다 더 높은 농도의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 또는 더 많은 개수의 췌장소도세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범위로도 충분한 당뇨병 치료 촉진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의 농도가 10μM 이상이 되는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월등한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으며, 10μM 이상 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농축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췌장소도세포 역시 상기 범위 보다 더 많은 양의 세포를 투여하여도 농도 의존적으로 성체줄기세포 이식 효과가 월등하게 증가하는 결과는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과 함께 투여되는 추가의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REP)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사용된 REP와 동일한 농도의 REP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인 제1형 당뇨병을 치료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고하면, REP와 반응시킨 췌장소도세포의 세포활성도와 성장률이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췌장소도세포(대조군)와 피브로넥틴 또는 라미닌과 반응시킨 췌장소도세포에 비해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도 2B), 죽은 세포를 나타내는 붉은색 형광이 REP를 처리한 췌장소도세포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아 REP가 췌장소도세포의 활성 및 성장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2A). 또한 REP와 반응시킨 췌장소도에서 인슐린 유전자의 발현 및 당부하에 의한 인슐린 분비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도 2C, 2D, 2E 및 2F).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췌장소도세포에 비해 REP를 처리한 췌장소도세포는 PDX-1, BETA2 및 Glut2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도 3A, 3B, 3D 및 3F), 또한 세포성장마커인 PCNA와 Ki67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도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3C, 3E, 3F 및 3G). 이를 통해 REP에 반응시킨 후 REP와 함께 이식된 췌장소도세포는 이식된 환자에서 인슐린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고, 세포성장을 촉진하여 이식된 췌장소도세포의 생존율과 활성을 유지시켜 이식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는 췌장소도세포에서 REP에 의해 유도된 Akt 및 foxo1의 인산화 활성을 측정한 것으로, 양성대조군으로 인슐린 분비세포인 췌장베타세포(RIN-m 세포)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거나, REP, 피브로넥틴(FN) 또는 라미닌(LN)을 처리한 뒤 Akt의 인산화 활성을 측정하였고(도 4A), 췌장소도세포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거나 REP를 반응시켜 Akt 및 foxo1의 인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도 4B). 그 결과, 췌장베타세포(RIN-m 세포)는 REP, FN 및 LN에 의해 Akt 인산화 활성이 증가되었으며, 이들의 인산화 활성은 서로 비슷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췌장소도세포(대조군)에 비해 REP와 반응시킨 췌장소도세포에서의 Akt 및 foxo1의 인산화가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REP의 처리가 인슐린 유전자 조절에 관여하는 인자인 Akt와 foxo1의 인산화를 유도하여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REP에 의해 인산화가 유도된 Akt와 foxo1의 세포 내 이동을 형광염색을 통해 확인한 결과, REP에 의해 Akt의 인산화가 유도되면 foxo1의 인산화를 유도하게 되고 핵 내에 발현되던 foxo1이 세포질에서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4C). 나아가, Akt 인산화 억제제인 워트마닌(Wort)처리 실험을 통해서 REP는 핵 내에서 인슐린 유전자를 조절하는 전사인자인 PDX-1과 결합하여 이의 활성을 억제하고 있는 foxo1을 인산화시키고 세포질로의 이동을 유도함으로써 인슐린의 분비를 유도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D 및 4E).
도 5는 췌장베타세포 및 췌장소도세포에서 REP에 의해 유도되는 ERK의 인산화 활성을 측정한 것으로, 인슐린 분비세포인 췌장베타세포(RIN-m 세포)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거나, REP, 피브로넥틴(FN) 또는 라미닌(LN)을 처리한 뒤 ERK의 인산화 활성을 측정하였고, 췌장소도세포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거나 REP를 반응시킨 것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췌장베타세포에 비해 REP, FN 또는 LN를 처리한 췌장베타세포는 ERK 인산화 활성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췌장소도세포에 비해 REP와 반응시킨 췌장소도세포의 ERK의 인산화 활성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5A 및 5B). REP에 의한 ERK인산화 활성화에 따른 세포생존율 및 세포 부착능력의 증가를 확인하기 위해 ERK 인산화 억제제인 PD98059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적절한 ERK인산화 억제 농도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 50μM 농도에서 효과적으로 ERK의 인산화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도 5C).
도 5D 및 도 5E는 췌장베타세포에서 PD98059를 처리하여 ERK의 인산화를 저해시킨 뒤, 다시 REP를 처리하여 REP에 의해 증가된 ERK 인산화가 세포 생존율 및 세포 부착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췌장베타세포에 비해 REP를 반응시킨 췌장베타세포는 세포 생존율 및 세포 부착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이식된 환자에서 췌장베타세포의 생존율과 활성을 유지하여 이식 성공률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A와 6B는 스트렙토조토신으로 당뇨병이 유발된 마우스에 REP와 함께 췌장소도세포를 이식했을 때 몸무게와 혈당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REP에 반응시킨 후 REP와 함께 췌장소도세포를 이식하였을 때 초기 혈당 감소가 더 우수하게 나타났고 감소된 혈당이 더 오랫동안 유지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당뇨병 유도로 인해 감소된 몸무게도 계속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도 7A와 7B는 이식한 췌장소도세포의 실시간 생존율을 나타낸 것으로, 당뇨병이 유발된 쥐에 단독으로 췌장소도세포를 이식했을 때와 비교해 REP를 처리한 췌장소도세포는 이식 후 7일간 생존률이 더 높게 유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7일 이후 이식된 췌장소도세포의 생존률이 감소하나 췌장소도세포를 단독으로 이식했을 때 보다 REP 처리 후 함께 이식한 세포의 생존률이 높게 유지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도 6A, 6B, 7A 및 7B에 나타난 결과를 통해 REP와 함께 이식된 췌장소도세포는 생존율이 높아지고 혈당도 정상 수준으로 빠르고 오랫동안 유지되어 췌장소도세포를 단독으로 이식했을 때 보다 효과적으로 당뇨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이용하는 당뇨병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 분야에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제화할 수 있고, 구조체 자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과 혼합하여 통상의 다양한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이나 상태의 정도, 약물형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0.5μM 내지 10μM, 바람직하게는 0.5μM 내지 1μM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REP) 준비 및 특성 확인
REP의 정제 및 특정 전이온도(Tt)의 확인은 논문 Stimulation of fibroblasts and neuroblasts on a biomimetic extracellular matrix consisting of tandem repeats of the elastic VGVPG domain and RGD motif(Jeon WB et al., J. Biomed . Mater. Res. A, 97:152, 2011)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된 REP는 REP의 N-말단에 5-카르복시플루오레신 (carboxyfluorescein; Fam)을 콘쥬게이트(conjucate) 시키기 위해 580㎕ DMSO에 5-카르복시플루오레신 N-석시니미들 에스테르(5-carboxyfluorescein N-succinimidyl ester; sigma, 미국)가 5μmol이 되도록 녹인 다음, 0.97mol의 REP가 포함된 20㎖의 PBS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켜 Fam이 라벨된 REP(Fam-REP)를 제조하였다. Fam-REP는 역상전이(inverse phase transition)에 의해 정제하였다. 라벨링의 정도는 AnaTag™ 단백질 라벨링 키트(AnaSpec, 미국)을 키트에 포함된 프로토콜에 따라 측정하였다.
DTT의 존재하에서 REP의 역상전이 정도를 REP 농도(20, 50, 100μM) 및 온도 변화에 따라 측정하였다 온도는 1℃/min의 속도로 증가하였다. 그 결과, 25℃ 이상에서 흡광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도 1A), 35℃에서 코아세르베이트 상태에서 REP의 응집을 농도에 따라 측정하였다 (도 1B).
또한, DTT의 존재 하에서 Fam-REP의 역상전이 정도를 측정한 결과, 30℃ 이상에서 흡광도가 증가하였으며(도 1C), Fam-REP 파장에 따른 흡광도 변화를 UV-visible spectrum 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도 1D), 500nm 범위에서 피크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췌장소도세포분리 및 엘라스틴 인공 세포외 기질 처리
췌장소도세포는 콜라게나아제 소화(collagenase digestion)기법으로 10주령 백서의 췌장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분리하였다.
콜라게나아제 제 5형(collagenase type V)을 1mg/ml의 농도로 Hank's balanced salts solution (HBSS)에 녹인 후 차가운 상태로 유지한다. 실험동물을 마취하고 복부를 절개한 후 콜라게나아제를 쓸개관(common bile duct)을 통해 췌관(pancreatic duct)으로 주입한다. 췌장을 분리하여 37 항온수조에서 10분간 반응시켜 췌장을 소화시킨다. 소화된 췌장을 HBSS로 세척 후 현미경을 보면서 췌장소도세포만 분리한다. 분리된 췌장소도세포는 10% fetal bovine serum (FBS) 100U/ml 페니실린과 100㎍/ml 스트렙토마이신을 추가한 RPMI-1640 배지에서 16시간 배양한다. 1μM REP 1ml에 췌장소도세포를 1000개 넣고 4℃에서 교반하며 1시간 동안 반응시켜 이식에 사용하였다.
1. 세포 활성도와 성장 측정
REP처리가 췌장소도세포의 세포 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췌장소도세포를 REP용액에 반응시킨 후 REP가 코팅된 플레이트에서 배양하였다.
세포활성도 측정을 위해 Molecular Probe 사에서 구입한 LIVE/DEAD reagent를 이용하였다. 플레이트 상에서 배양된 인공췌장소도를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3회 씻어내고 2μM calcein AM과 4μM EthD-1이 포함되어있는 LIVE/DEAD reagent를 처리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형광현미경을 관찰하였다. 세포의 성장은 cell counting kit-8 (CCK-8)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췌장소도세포를 RGD-ELP 반응 후 1μM REP로 코팅한 96 웰 플레이트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10μL의 CCK-8 용액을 처리한 후 37에서 3시간 반응시킨 뒤 OD 450 nm로 microplate reader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브로넥틴 또는 라미닌과 같은 다른 종류의 세포외 기질에 비해 REP를 처리했을 때 세포의 활성도가 좋고 (calcein AM, 녹색형광, 살아있는 세포에 염색) 죽은 세포 (EthD-1, 붉은색 형광, 죽은 세포에 염색)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CCK-8 assay를 통해 REP용액에서 반응시킨 췌장소도세포 성장률이 피브로넥틴과 라미닌 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인슐린 유전자 발현과 인슐린 분비능 측정
REP처리가 인슐린의 유전자 발현과 인슐린 분비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췌장소도세포를 REP용액에 반응시키고 REP가 코팅된 플레이트에서 배양한 뒤 인슐린의 유전자 발현 및 분비능을 측정하였다.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정량 실시간 PCR(Quantitative real time PCR; qRT-PCR) 방법을 이용하였다. RGD-ELP에 의해 형성된 인공췌장소도로부터 RNA를 분리하기 위해 Invitrogen사의 트리졸(Trizol) 시약을 이용하였고, Applied Biosystem사의 High-Capacity cDNA Reverse Transcrition Kit을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SYBR Green PCR master mix kit을 이용하여 qRT-PCR를 수행하였고, PCR 사이클의 조건은 50℃에서 2분, 95℃에서 10분 반응 후, 95℃에서 15초, 60℃에서 1분 반응을 40회 반복하는 것이었다. qRT-PCR 방법으로 인슐린-1과 인슐린-2의 유전자 발현 변화를 분석하였다.
인슐린 분비능을 확인하기 위해 REP를 처리한 췌장소도세포를 3mM 포도당과 2% FBS가 포함되어 있는 크렙스 링거 바이카보네이트 완충액(Krebs Ringer bicarbonate buffer; KRBB) 용액에서 37℃ 항온항습기를 이용하여 5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그 후 3 mM 포도당 또는 16.7 mM 포도당을 1시간 동안 처리 후 상등액을 회수하고, 상등액의 10μl를 ALPCO사의 Rat Ultrasenstive Insulin ELISA kit을 사용하여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 분석하였다.
도 2C와 2D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 인슐린-1과 인슐린-2의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2E와 2F에 나타난 바와 같이 REP처리에 의해 시간에 따른 인슐린 분비가 증가하였고, 당부하(16.7mM D-glucose 처리)에 따른 인슐린 분비능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슐린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활성인자 세포성장마커의 발현 측정
REP처리가 인슐린 분비와 세포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췌장소도세포를 REP용액에 반응시키고 REP가 코팅된 플레이트에서 배양한 뒤 췌장소도세포의 인슐린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활성인자인 PDX-1, BETA2 및 Glut2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과 세포성장마커인 PCNA, Ki67의 유전자 발현 및 단백질 발현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3에서와 같이 정량 실시간 PCR (Quantitative real time PCR; qRT-PCR) 방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웨스턴 블랏 (Western blot anlaysis) 방법을 이용하였다. REP를 처리한 췌장소도세포에서 프로테아제 억제인자(protease inhibitor)와 포스파타제 억제제(phosphatase inhibitor)가 포함된 RIPA 버퍼를 이용하여 세포용해물을 추출하였다. 세포용해물을 SDS-PAGE gel에 로딩 후 PVDF 멤브레인으로 이동시켜 항-PDX-1 항체, 항-BETA2 항체, 항-Glut2 항체, 항-PCNA 항체와 항-PCNA항체를 사용하여 단백질 발현변화를 확인하였다. Ki67의 단백질 발현은 MyBioSource사의 Ki67 ELISA kit을 사용하여 제조사의 메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A, 3B, 3D 및 3F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췌장소도세포에 비해 REP를 처리한 췌장소도세포는 PDX-1, BETA2 및 Glut2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C, 3E, 3F 및 3G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성장마커인 PCNA와 Ki67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도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REP에 반응시킨 후 REP와 함께 이식된 췌장소도세포는 이식된 환자에서 인슐린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고, 세포성장을 촉진하여 이식된 췌장소도세포의 생존율과 활성을 유지시켜 이식 성공률을 현저히 높일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췌장소도세포에서 REP에 의해 유도되는 Akt foxo1의 인산화
REP 처리가 췌장소도세포의 인슐린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췌장소도세포를 REP용액에 반응시키고 REP가 코팅된 플레이트에서 배양한 뒤 췌장소도세포의 인슐린 유전자 조절에 관여하는 인자를 조절하는 Akt와 foxo1의 인산화 활성을 항-p-Akt-항체와 항-p-foxo1항체를 사용하여 웨스턴 블랏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인산화된 Akt와 foxo-1의 세포 내 이동은 형광염색법으로 측정하였다.
REP에 반응시킨 췌장소도세포를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 용액에서 24시간 고정시킨 후 동결절편기를 이용하여 4μm의 두께로 잘라 절편을 슬라이드에 부착시켰다. 슬라이드에 부착시킨 절편을 차단 버퍼(blocking buffer)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p-Akt 및 p-foxo1항체 (Abcam)와 48시간 반응시키고, PBS로 세척 후 AlexaFluor 488 anti-rabbit IgG 이차항체 (Invitrogen)로 2시간 반응시킨 뒤 PBS로 세척하였다. DAPI로 핵을 염색 후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다.
양성대조군으로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베타세포인 RIN-m 세포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거나, REP, 피브로넥틴(FN) 또는 라미닌(LN)을 처리한 뒤 Akt의 인산화 활성을 측정하였고, 췌장소도세포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거나 REP를 반응시킨 것과 비교하였다(도 4A 및 4B). 그 결과, 췌장베타세포(RIN-m 세포)는 REP, FN 및 LN에 의해 Akt 인산화 활성이 증가되었으며, 이들의 인산화 활성은 서로 비슷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췌장소도세포(대조군)에 비해 REP와 반응시킨 췌장소도세포에서의 Akt 및 foxo1의 인산화가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췌장소도세포에서 REP에 의해 인산화된 Akt와 foxo1의 세포 내 이동을 확인한 결과, REP처리에 의해 핵 내의 인산화된 Akt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세포질에서의 인산화된 foxo1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C). REP에 의한 Akt의 인산화가 인슐린 발현의 조절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Akt 인산화 저해제인 워트마닌을 처리하여 Akt와 foxo1의 인산화, PDX-1의 발현 및 당부하에 따른 인슐린 분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워트마닌 처리로 인해 REP에 의해 증가한 Akt와 foxo1의 인산화 및 PDX-1의 발현이 감소하였고, 당부하에 따라 증가된 인슐린 분비능 또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D 및 4E). 이는 REP의 처리가 인슐린 유전자 조절에 관여하는 전사활성 인자인 PDX-1을 Akt와 foxo1의 인산화를 유도를 통하여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췌장베타세포 및 소도세포에서 REP에 의해 유도되는 ERK의 인산화
REP 처리가 췌장소도세포의 성장 및 생존력을 증가시키는 신호경로인 ERK의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췌장소도세포를 REP용액에 반응시키고 REP가 코팅된 플레이트에서 배양한 뒤 ERK의 인산화 활성을 웨스턴 블랏 방법으로 항-p-ERK-항체를 사용하여 단백질 변화를 확인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인슐린 분비세포인 췌장베타세포(RIN-m 세포)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거나, REP, 피브로넥틴(FN) 또는 라미닌(LN)을 처리한 뒤 ERK의 인산화 활성을 측정하였고, 췌장소도세포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거나 REP를 반응시킨 것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췌장베타세포에 비해 REP, FN 또는 LN를 처리한 췌장베타세포는 ERK 인산화 활성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췌장소도세포에 비해 REP와 반응시킨 췌장소도세포의 ERK의 인산화 활성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5A 및 5B). ERK인산화 저해제PD98059 의 적정 농도를 찾기 위해 농도별로 처리하였고 50μM 농도에서 효과적으로 ERK의 인산화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도 5C).
마지막으로 췌장베타세포에 PD98059를 처리하여 ERK의 인산화를 저해시킨 뒤, 다시 REP를 처리하여 REP에 의해 증가된 ERK 인산화가 세포 생존율 및 세포 부착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5D 및 도 5E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췌장소도세포에 비해 REP를 반응시킨 췌장소도세포는 세포 생존율 및 세포 부착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이식된 환자에서 췌장소도세포의 생존율과 활성을 유지하여 이식 성공률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당뇨병 실험동물 모델 제작
10주령의 C57BL6 마우스에 250mg/kg의 스트렙토조토신 (streptozotocin)을 복강으로 단일 투여한다. 스트렙토조토신 투여 4-5일 후 꼬리의 혈액을 취해 혈당을 측정했을 때, 360mg/dL 가 넘은 쥐를 당뇨병이 유발된 것으로 분류하여 이식실험에 사용했다.
2. 췌장소도세포 DiR 형광염색 및 이식
이식에 사용할 췌장소도세포는 320μg/mL의 DiR 버퍼와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4℃, 1000rpm, 3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 펠릿을 모은다. 염색된 세포는 PBS로 2번 세척하고 이식을 위해 PE 튜브에 모은다. 당뇨병이 유발된 마우스를 마취한 후 신장의 피막아래에 실시예 2에서 제조한 REP와 반응시킨 췌장소도세포 및 췌장소도세포와 반응시키지 않은 추가의 REP를 함께 이식하고 일별로 혈당 및 몸무게를 측정하였다.
3. 췌장소도를 이식한 당뇨병 유발 쥐의 혈당 및 몸무게 변화
스트렙토조토신을 처리하여 당뇨병이 유발된 쥐의 경우 혈당이 500 ~ 600 mg/dL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몸무게 또한 계속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당뇨병이 유발된 쥐에 췌장소도세포 단독으로 이식한 경우 혈당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7일째 정상혈당에 가깝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REP에 반응시킨 후 REP와 함께 췌장소도세포를 이식하였을 때 초기 혈당 감소가 더 우수하게 나타났고 감소된 혈당이 더 오랫동안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당뇨병 유도로 인해 감소된 몸무게도 계속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췌장소도세포 실시간 생존률분석
이식한 췌장소도세포의 실시간 생존률을 확인하기 위하여 DiR로 형광염색한 췌장소도세포가 이식된 마우스를 소동물광학이미징시스템 (IVIS system, Perkinelmer)을 이용하여 1, 5, 7, 10, 14일 연속으로 형광이미지를 측정하였다. 또한, 리빙 이미지(Living Image)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형광시그널을 분석하여 발광효율성(total radiant efficiency)을 계산하였다.
도 7A 및 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당뇨병이 유발된 쥐에 단독으로 췌장소도세포를 이식했을 때와 비교해 REP를 처리한 췌장소도세포는 이식 후 7일간 생존률이 더 높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7일 이후 이식된 췌장소도세포의 생존률이 감소하나 췌장소도세포를 단독으로 이식했을 때 보다 REP 처리 후 함께 이식한 세포의 생존률이 높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계학적 처리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의 실험 결과들은 평균 ± 표준오차로 표시하고, 변수들의 분석들은 Duncna's test를 사용하였다. P값이 0.05 미만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판정을 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독립적으로 3회 이상 실시하여 통계 처리를 하였다.

Claims (13)

  1. 췌장소도세포(islet); 및
    엘라스틴 VGVPG(Valine-Glycine-Valine-Proline-Glycine) 펩타이드(polypeptides)와 RGD(Arginine-Glycine-Aspartate) 리간드의 반복적인 융합을 통해 이루어진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REP); 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췌장소도세포는 인간, 마우스, 랫트, 돼지, 토끼, 기니아피그, 햄스터, 개, 고양이, 소 및 염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한 어느 하나의 개체로부터 분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은 [VGRGD(VGVPG)6]n(n= 10, 12, 15,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800개 내지 2000개의 췌장소도세포; 및 0.5μM 내지 10μM 농도의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병은 제1형 당뇨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당뇨병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엘라스틴 VGVPG(Valine-Glycine-Valine-Proline-Glycine) 펩타이드(polypeptides)와 RGD(Arginine-Glycine-Aspartate) 리간드의 반복적인 융합을 통해 이루어진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REP)의 사용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은 [VGRGD(VGVPG)6]n (n= 10, 12, 15,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REP)의 사용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병은 제1형 당뇨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REP)의 사용방법.
  11. 엘라스틴 VGVPG(Valine-Glycine-Valine-Proline-Glycine) 펩타이드 (polypeptides)와 RGD(Arginine-Glycine-Aspartate) 리간드의 반복적인 융합을 통해 이루어진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REP)을 포함하는 췌장소도세포(islet)의 이식을 위한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은 [VGRGD(VGVPG)6]n (n= 10, 12, 15,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췌장소도세포(islet)의 이식을 위한 조성물.
  13. 삭제
KR1020150154093A 2015-11-03 2015-11-03 췌장소도세포 및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15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093A KR101815080B1 (ko) 2015-11-03 2015-11-03 췌장소도세포 및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15/773,496 US10813954B2 (en) 2015-11-03 2016-11-03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diabetes, comprising pancreatic islet cells and elastin-like artificial extracellular matrix
PCT/KR2016/012611 WO2017078439A1 (ko) 2015-11-03 2016-11-03 췌장소도세포 및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093A KR101815080B1 (ko) 2015-11-03 2015-11-03 췌장소도세포 및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094A KR20170052094A (ko) 2017-05-12
KR101815080B1 true KR101815080B1 (ko) 2018-01-04

Family

ID=58662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093A KR101815080B1 (ko) 2015-11-03 2015-11-03 췌장소도세포 및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13954B2 (ko)
KR (1) KR101815080B1 (ko)
WO (1) WO20170784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0804A (zh) * 2018-08-16 2018-12-18 青岛大学 葡萄糖刺激的胰岛素分泌测定模型
ES2855228A1 (es) * 2020-03-23 2021-09-23 Univ Valladolid Procedimiento para el nanorecubrimiento celular y su inmunoaislamient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900B1 (ko) 2011-11-14 2014-01-1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조직 재생용 생체 모방 다중블록 바이오폴리머 및 이를 이용한 조직 재생 방법
BR112014012789A2 (pt) 2011-11-28 2019-09-24 Phasebio Pharmaceuticals Inc agentes terapêuticos compreendendo sequências de aminoácidos de insulina
KR101429346B1 (ko) 2012-08-30 2014-08-1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을 이용한 인공 췌장소도의 배양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ee KM, et al., Acta Biomater. 2013 Mar;9(3):5600-8. (2012.11.07. 공개)
등록특허공보 제10-1350900호 (2014.01.14.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429346호 (2014.08.12. 공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13954B2 (en) 2020-10-27
US20180318357A1 (en) 2018-11-08
WO2017078439A1 (ko) 2017-05-11
KR20170052094A (ko)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eng et al. The promotion of endothelial progenitor cells recruitment by nerve growth factors in tissue-engineered blood vessels
US201200398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rdiac tissue repair
CN101878295A (zh) 制备rpe细胞和rpe细胞的组合物的改良方法
KR101524079B1 (ko) 엑소솜을 이용한 성체 유래 세포로부터 인슐린 생산세포로의 분화 유도 방법
CN105517587A (zh) 伤口愈合与组织工程
Lee et al. RGD-containing elastin-like polypeptide improves islet transplantation outcomes in diabetic mice
CA2959957C (en) Pluripotent stem cell for treating diabetic skin ulcer
KR101885122B1 (ko) 분화촉진 및 지속형 스페로이드 형태의 편도 유래 줄기세포의 배양 방법
WO2016049867A1 (zh) 以外源性线粒体为有效成份的组合物、其用途及修复细胞的方法
US6485721B1 (en)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ecreting hybrid gel
KR101815080B1 (ko) 췌장소도세포 및 엘라스틴 유사 인공 세포외 기질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TWI263784B (en) Encapsulated cell indicator system
Jeong et al. An injectable decellularized matrix that improves mesenchymal stem cell engraftment for therapeutic angiogenesis
US9089550B2 (en) Combined islet transplantation using pancreatic islets and adipose tissue derived stem cells
KR20210024557A (ko) 인슐린 생산용 소도 세포를 확산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및 이의 치료적 용도
Hwang et al. Encapsulation of human islets using a biomimetic self-assembled nanomatrix gel for protection against cellular inflammatory responses
EP2061874B1 (en) Fused mesenchymal stem cell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and methods thereof
KR101828696B1 (ko) 인슐린분비세포 이식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20016219A1 (en) Means and Methods to Treat Diabetes
KR101735560B1 (ko) 양이온화 아텔로콜라겐, 헤파린, 췌도세포 및 중간엽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췌도세포 이식용 복합체
US20230407265A1 (en) Composition and methods for 3d culture of islet cells
Lee et al. RGD-Containing Elastin Like Polypeptide Improves Islet Transplantation Outcomes in Diabetic Mice Via Upregulation of Islet Survival and Vessel Formation
US20220323505A1 (en) Methods for making auditory progenitor cells and uses thereof
Mitrousis A Bioengineering Approach Towards Retina Regeneration
US11191808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suppressing cell transplant rej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