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071B1 -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ensor having flexible property - Google Patents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ensor having flexible proper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071B1
KR101815071B1 KR1020160060189A KR20160060189A KR101815071B1 KR 101815071 B1 KR101815071 B1 KR 101815071B1 KR 1020160060189 A KR1020160060189 A KR 1020160060189A KR 20160060189 A KR20160060189 A KR 20160060189A KR 101815071 B1 KR101815071 B1 KR 101815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film
monitoring sensor
ceramic
health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1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29994A (en
Inventor
윤지선
조정호
정영훈
백종후
지상현
Original Assignee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세라믹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060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071B1/en
Publication of KR20170129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9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0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6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 G01H11/08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using piezoelectr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5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fillers only, e.g. particles, powder, beads, flakes, spheres
    • H01L41/18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3Ceramic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12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containing fluorine
    • B29K2027/16PVDF, i.e. polyvinylidene flu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509/00Use of 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503/00 - B29K2507/00, as filler
    • B29K2509/02Cera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31Refractory metal oxides, their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04B2235/3232Titanium oxides or titanates, e.g. rutile or anata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플렉서블한 특성으로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에 바로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센싱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에 대하여 개시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를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energy harvesting system) 또는 발전기 시스템(generator system) 기능으로 활용할 시, 구조물의 안전 진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무전원 자가발전 세라믹 모듈로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는 제1 전극을 구비하는 제1 전극 필름; 상기 제1 전극 필름 하부에 배치되며, 제2 전극을 구비하는 제2 전극 필름; 상기 제1 및 제2 전극 필름 사이에 배치된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 및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외부 연결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tructure health monitoring sensor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capable of maximizing sensing efficiency by being designed so that it can be directly attached to various types of structures with flexible characteristics.
In this case, when the health monitoring sensor of the structure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tilized as an energy harvesting system or a generator system function, a non-power self- As shown in FIG.
To this end, the health monitoring sensor of the structure having the flexibl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electrode film having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film disposed under the first electrode film and having a second electrode; A ceramic-polymer nanofiber film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films; And first and second external connection wir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Description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ENSOR HAVING FLEXIBLE PROPERTY}[0001]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ENSOR HAVING FLEXIBLE PROPERTY [0002]

본 발명은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렉서블한 특성으로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에 바로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센싱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 for monitoring the integrity of a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nsor for monitoring the integrity of a structure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capable of maximizing sensing efficiency by being attached to various structures, To a monitoring sensor.

압전 세라믹은 전자산업과 메카트로닉스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초음파 송수신용, 비파괴용 초음파 트랜스듀스, 어군 탐지기, 광세트, 광변조기 컬러필터, 연소가스 조정용 액추에이터를 비롯한 특수용 압전체에 이용된다.Piezoelectric ceramic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lectronics industry and mechatronics, and is used in special piezoelectric materials including ultrasound transducers, non-destructive ultrasonic transducers, fish finders, optical sets, optical modulator color filters, and flue gas adjusting actuators.

Pb(Zr,Ti)O3(이하, 'PZT'라고 함.)는 압전 특성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면서 제조 공정기술이 잘 알려져 있는 압전 재료로서 많은 응용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PbTiO3와 PbZrO3의 고용체에 있어서 정방정계-삼방정계의 상경계에서 강한 압전성을 가지면서 390℃의 퀴리(Curie) 온도를 가지는 PZT 고용체가 발견되었다.Pb (Zr, Ti) O 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ZT") has been used in many applications as a piezoelectric material having excellent piezoelectric properties, low cost, and well-known manufacturing process. In the tetragonal solid solutions of PbTiO 3 and PbZrO 3 - the PZT solid solution phase boundary while having a strong piezoelectricity in the trigonal crystal system having a Curie (Curie) temperature of 390 ℃ was found.

이에 따라, 이러한 세라믹스를 이용해서 압전효과를 이용한 액츄에이터(actuator), 주파수 출력형 센서(frequency output sensor), 압전 트랜스듀서(piezoelectric transducer), 진동자(resonator) 등의 여러 전자소자로서 압전 세라믹스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져 왔다.Accordingly, the use of piezoelectric ceramics as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n actuator, a frequency output sensor, a piezoelectric transducer, and a resonator using a piezoelectric effect using such ceramics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이러한 PZT는 우수한 압전 및 유전 특성을 가지고 있어 여러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세라믹의 약한 강도와 곡선형상의 어려움, 벌크 형태로 인한 디바이스 내의 일정 공간을 차지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압전 나노섬유를 제조할 시, 뛰어난 압전 성능과 휘거나 구부렸을 때 박막에 비해 구조적 손상이 훨씬 덜 하고, 압전 섬유를 연신이 가능한 기판(substrate)에 받아서 소자를 만들 경우 펼 수 있는(stretchable) 소자 제작도 가능하여 이와 관련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Such PZT has excellent piezoelectric and dielectric properties and is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but it has disadvantages such as weak strength of ceramics, difficulty of curved shape, and a space in device due to bulk shape. Therefore, when manufacturing piezoelectric nanofibers, excellent piezoelectric performance, much less structural damage compared to a thin film when bent or curved, and the ability to stretch the piezoelectric fiber on a stretchable substrate, ) Devices, and many researches have been made on this.

그러나, 최근 전 세계적으로 전자산업을 중심으로 납이 함유된 소재의 사용이 규제되고 있다. 이러한 무연 압전 세라믹 소재에 대한 전세계적인 관심은 2002년 전자제품 폐기물에 포함된 유해물질에 대한 규제(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 WEEE) 및 전자제품에 유해물질 사용 자체를 제한하는 규제(restriction of the use of certain hazardous substances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 RoHS)가 유럽 연합에서 공표되면서 본격화되었다.However, in recent years, the use of lead-containing materials has been regulated mainly in the electronics industry. Worldwide interest in these lead-free piezoelectric ceramics materials has been addressed in the 2002 restrictions on the use of hazardous substances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WEEE) of certain hazardous substances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RoHS) have been published in the European Union.

또한, 최근 들어 구조물의 건전성 감시가 중요한 화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물의 결점이나 손상을 확인하기 위해, 전통적인 외관검사 및 초음파 및 와전류 스캐닝, 어쿠스틱 에미션(acoustic emission) 및 X선 검사와 같은 비파괴법을 포함하는 수많은 검사방법이 이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방법은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monitoring of soundness of structures has recently become an important topic. Numerous inspection methods have been used to identify defects or damage to these structures, including traditional visual inspection and non-destructive methods such as ultrasonic and eddy current scanning, acoustic emission and x-ray insp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requires time and money.

관련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4927호(2012.12.12.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비스무스계 무연 압전 세라믹스 및 그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A related prior art i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134927 (Dec. 12, 2012), which discloses bismuth lead-free piezoelectric ceramic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서블한 특성으로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에 바로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센싱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ensor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capable of maximizing sensing efficiency by being designed to be directly attached to various types of structures with flexible characteristic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는 제1 전극을 구비하는 제1 전극 필름; 상기 제1 전극 필름 하부에 배치되며, 제2 전극을 구비하는 제2 전극 필름; 상기 제1 및 제2 전극 필름 사이에 배치된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 및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외부 연결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lth monitoring sensor for a structure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including: a first electrode film having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film disposed under the first electrode film and having a second electrode; A ceramic-polymer nanofiber film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films; And first and second external connection wir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는 고분자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전극 필름과 PVDF의 첨가로 섬유 형상 안전화로 유연성 및 탄력성이 우수한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으로 구성되므로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져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에 바로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센싱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The health monitoring sensor of the structure having flexibl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films made of the polymer resin material and the ceramic-polymer nanofiber film excellent in flexibility and elasticity due to the fiber stabilization by the addition of PVDF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ensing efficiency because it can be attached directly to various types of structures due to its flexible characteristics.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는 플렉서블한 특성으로 구조물에 직접 부착되어 사용되며, 구조물에 충격이 가해질 시 생성되는 전압을 제1 및 제2 외부 연결배선으로 전달받아 충격이 발생한 위치를 센싱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integrity monitoring sensor of the structure having the flexibl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being directly attached to the structure with a flexible characteristic, and the voltage generated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structur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external connection wir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sense the position where the impact occur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는 제1 및 제2 전극 필름의 사이에 삽입 배치되어, 압전체로 사용되는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으로 환경 유해 규제 물질인 납이 첨가되지 않는 BNT계 무연 압전 세라믹 분말을 적용하는 것을 통해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저전압에서 높은 압전 성능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lth monitoring sensor of the structure having the flexibl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films and is a ceramic-polymer nanofiber film used as a piezoelectric material, BNT-based Pb-free ceramic powder can be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have high piezoelectric performance at low volt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는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이 전기방사법으로 제조됨에 따라 고온 소결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제조 공정 단축에 따른 원가 절감 효과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 소결 공정 후 취성(brittle) 재료의 본질적인 특성에 기인한 핸들링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eramic-polymer nano-fiber film is manufactured by the electrospinning method, the high-temperature sintering process is not necessary, so that the cost-effectiveness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reduced. , The difficulty of handling due to intrinsic properties of the brittle material after the high-temperature sintering process can be overco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전기방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를 나타낸 실측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를 나무문에 부착하여 측정한 충격 검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를 금속 파이프에 부착하여 측정한 충격 검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를 시멘트 벽에 부착하여 측정한 충격 검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를 실리콘 호스에 부착하여 측정한 충격 검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lth monitoring sensor of a structure having flexibl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lth monitoring sensor of a structure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Fig. 4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ospinning process. Fig.
5 is a photograph showing a health monitoring sensor of a structure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impact detection test conducted by attaching a health monitoring sensor of a structure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wooden door. FIG.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n impact detection test conducted by attaching a health monitoring sensor of a structure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metal pipe. FIG.
8 is a graph showing a result of an impact detection test performed by attaching a health monitoring sensor of a structure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cement wall.
9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n impact detection test conducted by attaching a health monitoring sensor of a structure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ilicone hos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health monitoring sensor of a structure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lth monitoring sensor of a structure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lth monitoring sensor of a structure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100)는 제1 전극 필름(120), 제2 전극 필름(140),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160) 및 제1 및 제2 외부 연결배선(180, 182)을 포함한다.
1 to 3, a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ensor 100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lectrode film 120, a second electrode film 140, a ceramic- A film 160, and first and second external connection wirings 180 and 182.

제1 전극 필름(120)은 제1 수지층(122), 제1 전극(124) 및 제1 전극 단자(126)를 갖는다. 이러한 제1 전극 필름(120)은 0.1 ~ 0.5c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전극 필름(120)의 두께가 0.1cm 미만일 경우에는 그 두께가 너무 얇아 외부 충격이나 스크래치에 의해 제1 전극 필름(120)에 손상이 가해질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1 전극 필름(120)의 두께가 0.5cm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두께 설계로 인하여 플렉서블한 특성을 발휘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film 120 has a first resin layer 122, a first electrode 124, and a first electrode terminal 126. The first electrode film 120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0.1 to 0.5 cm. 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film 120 is less than 0.1 cm,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film 120 may be too small to damage the first electrode film 120 due to external impact or scratches. Conversely, if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film 120 exceeds 0.5 cm, it may be difficult to exhibit flexible characteristics due to an excessive thickness design.

제1 수지층(122)은 플렉서블한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고분자 수지 재질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제1 수지층(122)으로는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수지(cyanate ester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및 폴리비닐 부티랄(polyvinyl butyral)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The first resin layer 122 is made of a polymer resin material to realize a flexible characteristic. Specifically, the first resin layer 122 may include a polyimide resin, a cyanate ester resin, an epoxy resin, a polyvinyl alcohol, and a polyvinyl butyral polyvinyl butyral) may be used.

제1 전극(124)은 제1 수지층(122)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 전극(124)은 제1 수지층(122)의 상면 상에 배치되거나, 제1 수지층(122)의 내부에 일부가 매립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124)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electrode 124 is disposed on the first resin layer 122. The first electrode 124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sin layer 122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first resin layer 122. 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s 124 may be arranged in a matrix for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전극 단자(126)는 제1 전극(1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수지층(122)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이때, 제1 전극 단자(126)가 제1 수지층(122)의 네 모서리에 각각 배치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그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12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24 and disposed at one side edge of the first resin layer 122. Although the first electrode terminals 126 are disposed at four corners of the first resin layer 122, the positions and the number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s 126 may be variously changed.

제2 전극 필름(140)은 제2 수지층(142), 제2 전극(144) 및 제2 전극 단자(146)를 갖는다. 이러한 제2 전극 필름(140)은 제1 전극 필름(120) 하부에 배치된다. 제2 전극 필름(140)은, 제1 전극 필름(120)과 마찬가지로, 0.1 ~ 0.5c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electrode film 140 has a second resin layer 142, a second electrode 144,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146. The second electrode film 140 is disposed under the first electrode film 120. Like the first electrode film 120, the second electrode film 140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0.1 to 0.5 cm.

제2 수지층(142)은, 제1 수지층(122)과 마찬가지로, 플렉서블한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고분자 수지 재질이 이용된다. 이를 위해, 제2 수지층(142)으로는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수지(cyanate ester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및 폴리비닐 부티랄(polyvinyl butyral)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The second resin layer 142, like the first resin layer 122, is made of a polymer resin material in order to realize flexible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the second resin layer 142 may include a polyimide resin, a cyanate ester resin, an epoxy resin, a polyvinyl alcohol, and a polyvinyl butyral polyvinyl butyral) may be used.

제2 전극(144)은 제2 수지층(142)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 전극(144)은 제2 수지층(142)의 상면 상에 배치되거나, 제2 수지층(142)의 내부에 일부가 매립될 수 있다. 이때, 제2 전극(144)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electrode 144 is disposed on the second resin layer 142. The second electrode 144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esin layer 142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second resin layer 142. At this time, the second electrodes 144 may be arranged in a matrix for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2 전극 단자(146)는 제2 전극(14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수지층(142)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이때, 제2 전극 단자(146)가 제2 수지층(142)의 네 모서리에 각각 배치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그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14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144 and disposed at one side edge of the second resin layer 142. Although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s 146 are illustrated as being dispos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second resin layer 142, the positions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s 146 may be variously changed.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160)은 제1 및 제2 전극 필름(120, 14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160)은 PVDF 를 용매에 첨가하여 교반하고, 무연 압전 세라믹 분말을 첨가하여 세라믹-고분자 복합 용액을 형성한 후, 세라믹-고분자 복합 용액을 토출시켜 기재 상에 전기방사한 후, 건조하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The ceramic-polymer nanofiber film 16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films 120 and 140. The ceramic-polymer nanofiber film 160 is prepared by adding PVDF to a solvent and stirring the mixture, forming a ceramic-polymer composite solution by adding a lead-free piezoelectric ceramic powder, discharging a ceramic-polymer composite solution, , Followed by drying.

도 4는 전기방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기방사는 세라믹-고분자 복합 용액(S)을 시린지(210)에 투입한 후, 제어부(22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하는 시린지 펌프를 이용하여 기재(P) 상에 0.5 ~ 3.0ml/hr의 속도로 토출시키는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FIG. 4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electrospinning process. Referring to FIG. 4, the electrospinning is performed by injecting the ceramic-polymer composite solution S into the syringe 210, And discharging it onto the base material P at a rate of 0.5 to 3.0 ml / hr by using a syringe pump driven by a syringe pump.

이때, 전기방사는 방사 전압 : 10 ~ 15kV 및 방사 거리 : 5 ~ 15cm 조건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노즐 팁의 직경은 20 ~ 30G인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방사 거리는 방사 대상물인 기재(P)와 노즐 팁 간의 이격 거리를 의미한다.The electrospinning is preferably performed under conditions of a radiation voltage of 10 to 15 kV and a radiation distance of 5 to 15 cm, and a diameter of the nozzle tip of 20 to 30 G may be used. Here, the emission distance means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ubstrate P, which is the object to be irradiated, and the nozzle tip.

방사 전압이 10kV 미만일 경우에는 제조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어 제조 비용을 상승시킬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균일한 막질 형성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방사 전압이 15kV를 초과할 경우에는 효과 상승 대비 비용만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또한, 방사 거리가 5cm 미만일 경우에는 노즐에 의한 간섭으로 막질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방사 거리가 15cm를 초과할 경우에는 균일한 막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When the radiation voltage is less than 10 kV, the manufacturing time is excessively increased, which may increase the manufacturing cost, and it may be difficult to form a uniform film quality. Conversely, when the radiation voltage exceeds 15 kV, it can not be economical because it can only cause a rise in the cost of effect increase. When the spinning distance is less than 5 cm,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ilm quality characteristic is deteriorated due to interference by the nozzles. Conversely, if the spinning distance exceeds 15 cm, it may be difficult to obtain a uniform film.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전기방사 후에 실시되는 건조 과정에서 용매가 휘발되어 제거된다. 이에 따라,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160)은 PVDF(polyvinyleden floride) : 80 ~ 20 중량% 및 무연 압전 세라믹 분말 : 20 ~ 80 중량%로 조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무연 압전 세라믹 분말은 55 ~ 65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좋다.Referring again to Figs. 1 to 3, the solvent is volatilized and removed in the drying process performed after electrospinning. Accordingly, the ceramic-polymer nanofiber film 160 is composed of 80 to 20% by weight of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nd 20 to 80% by weight of a lead-free piezoelectric ceramic powder. More preferably, the lead-free piezoelectric ceramics powder is added at a content ratio of 55 to 65% by weight.

PVDF(polyvinyleden floride)의 첨가량이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160) 전체 중량의 2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전기방사시 농도가 낮아 방울형태로 축적되어 구슬 형태의 섬유상이 형성될 우려가 크다. 반대로, PVDF(polyvinyleden floride)의 첨가량이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160) 전체 중량의 8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수축으로 인해 나노섬유 필름의 형성시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When the addition amount of PVDF (polyvinylene fluoride) is less than 20%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ceramic-polymer nanofiber film 160,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 bead-shaped fibrous phase is formed due to a low concentration in the electrospinning state. In contrast, when the amount of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dded exceeds 80%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ceramic-polymer nanofiber film 160, stability during formation of the nanofiber film is deteriorated due to excessive shrinkage.

특히, 무연 압전 세라믹 분말의 첨가량이 세라믹-고분자 필름(160) 전체 중량의 2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유연성 확보에는 유리하나, 압전 성능 확보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무연 압전 세라믹 분말의 첨가량이 세라믹-고분자 복합 필름(160) 전체 중량의 8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압전 성능 측면에서는 유리하나, 섬유 형태의 성질에 따라 취성이 증가하여 취급성에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유연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를 유발한다.Particularly, when the amount of the lead-free piezoelectric ceramic powder added is less than 20%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ceramic-polymer film 160, it is advantageous in securing flexibility but it may be difficult to secure the piezoelectric performance. Conversely, when the amount of the Pb-free piezoelectric ceramics powder added exceeds 80%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ceramic-polymer composite film 160, it is advantageous from the viewpoint of piezoelectric performance, but the brittleness increase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fiber shape, In addition, it causes a problem in which flexibility is rapidly lowered.

이때, 무연 압전 세라믹 분말은 환경 유해 규제 물질인 납이 첨가되지 않는 BNT계 무연 압전 세라믹 분말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BNT계 무연 압전 세라믹 분말을 이용하는 것을 통해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저전압에서 높은 압전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apply BNT-free lead-free piezoelectric ceramics powder in which lead is not added, which is an environmental harmful substance, as the lead-free piezoelectric ceramic powder.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high piezoelectric performance at a low voltage while being harmless to the human body through the use of the BNT-based lead-free piezoelectric ceramics powder.

구체적으로, 무연 압전 세라믹 분말은 BiNaTiO3(BNT)계, Bi(Na, K)TiO3(BNKT)계 및 BiKTiO3(BKT)계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BNT계 무연 압전 세라믹이라 함은 BNT, BNKT, BKT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통용되어 사용된다.Specifically, the Pb free ceramic ceramic powder may includ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iNaTiO 3 (BNT), Bi (Na, K) TiO 3 (BNKT), and BiKTiO 3 (BKT). At this time, the BNT-based lead-free piezoelectric ceramic is commonly used including BNT, BNKT, and BKT.

또한,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160)은 100 ~ 500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160)의 두께가 100㎛ 미만일 경우에는 그 두께가 너무 얇은 관계로 압전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160)의 두께가 5000㎛를 초과할 경우에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100)의 두께를 증가시켜 실용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한 특성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In addition, the ceramic-polymer nanofiber film 160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100 to 5000 탆. When the thickness of the ceramic-polymer nanofiber film 160 is less than 100 탆, the thickness of the ceramic-polymer nanofiber film 160 is too thin, so that it is difficult to exhibit the piezoelectric performance properly. On the contrary, when the thickness of the ceramic-polymer nanofiber film 160 exceeds 5000 m, the thickness of the structure health monitoring sensor 100 may be increased to decrease the practicality, and the flexible characteristics may be reduced Which is undesirable.

제1 및 제2 외부 연결배선(180, 182)은 제1 전극(124) 및 제2 전극(144)에 각각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외부 연결배선(180, 182)은 제1 전극(1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 단자(126)에 접지되고, 제2 외부 연결배선(182)은 제2 전극(1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극 단자(146)에 접지된다.The first and second external connection wirings 180 and 182 ar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24 and the second electrode 144, respectively. The first external connection wiring 180 and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wiring 182 are grounded to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126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24 and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wiring 182 is grounded to the second electrode 144 To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146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146. [

이러한 제1 및 제2 외부 연결배선(180, 182)은 모니터링 센서(100)를 구조물에 직접 부착하여 사용할 시, 구조물에 발생하는 충격에 의한 진동으로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160)으로부터 생성되는 전압을 외부 기기(미도시)에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하게 된다.
The first and second external connection wirings 180 and 182 are formed from the ceramic-polymer nanofiber film 160 by the vibration caused by the impact generated in the structure when the monitoring sensor 100 is directly attached to the structure. For the purpose of delivering the voltage to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100)는 제1 접착제층(190) 및 제2 접착제층(192)을 더 포함할 수 있다.3, the structure health monitoring sensor 100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adhesive layer 190 and a second adhesive layer 192 .

제1 접착제층(190)은 제1 전극 필름(120)과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16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접착제층(192)은 제2 전극 필름(140)과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160) 사이에 배치된다.The first adhesive layer 19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film 120 and the ceramic-polymer nanofiber film 16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192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film 140 and the ceramic-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iber films 160.

이러한 제1 및 제2 접착제층(190, 192)에 의해, 제1 및 제2 전극 필름(120, 140)과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160)이 물리적으로 합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접착제층(190, 192)의 재질로는 열경화성 에폭시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films 120 and 140 and the ceramic-polymer nanofiber film 160 can be physically attached together by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190 and 192. At this time, a thermosetting epoxy adhesive is preferably used as the material of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190 and 19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를 나타낸 실측 사진이다.5 is a photograph showing a health monitoring sensor of a structure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100)는 고분자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전극 필름과 PVDF의 첨가로 섬유 형상 안전화로 유연성 및 탄력성이 우수한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으로 구성되어 구부리거나 펼 수 있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5, the health monitoring sensor 100 of a structure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nd a second electrode film made of a polymer resin material, And a flexible polymer nanofiber film having excellent elasticity, and can be bent or unfolded.

이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100)는 구부리거나 펼 수 있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므로 곡면을 갖거나, 울퉁불퉁한 표면을 갖는 구조물에 자유자재로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센싱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integrity monitoring sensor 100 of a structure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lexibl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bent or unfolded, so that it can be freely adhered to a structure having a curved surface or a rugged surfac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ensing efficiency.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를 나무문에 부착하여 측정한 충격 검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Meanwhile,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impact detection test performed by attaching a health monitoring sensor of a structure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wooden door.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를 나무문에 직접 부착한 후, 모니터링 센서로부터 5cm 및 10cm의 간격으로 각각 이격된 위치에서 망치로 충격을 가하는 방식으로 충격 검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As shown in FIG. 6, the health monitoring sensors of the structures having flexibl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rectly attached to the wooden doors, and then, with a hammer at a distance of 5 cm and 10 cm from the monitoring sensor, The impact detection test was performed.

이때, 망치로 충격을 가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Vpp = 0.50mV로 측정되었다.At this time, Vpp = 0.50 mV was measured in a normal state without impact with a hammer.

반면, 모니터링 센서로부터 5cm 이격된 위치에서 망치로 충격을 가했을 경우에는 대략 16.00mV의 전압이 생성되었고, 모니터링 센서로부터 10cm 이격된 위치에서 망치로 충격을 가했을 경우에는 대략 11.00mV의 전압이 생성되었다.
On the other hand, a voltage of about 16.00 mV was generated when the hammer was impacted at a distance of 5 cm from the monitoring sensor, and a voltage of 11.00 mV was generated when the hammer was impacted at a distance of 10 cm from the monitoring sensor.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를 금속 파이프에 부착하여 측정한 충격 검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7 is a graph showing a result of an impact detection test performed by attaching a health monitoring sensor of a structure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metal pip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를 금속 파이프에 직접 부착한 후, 모니터링 센서로부터 5cm 및 10cm의 간격으로 각각 이격된 위치에서 망치로 충격을 가하는 방식으로 충격 검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As shown in FIG. 7, after the integrity monitoring sensors of the structures having the flexibl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directly attached to the metal pipe, the impact sensors were mounted on the metal pipes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monitoring sensors by 5 cm and 10 cm, The impact detection test was performed.

이때, 망치로 충격을 가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Vpp = 0.30mV로 측정되었다.At this time, Vpp = 0.30 mV was measured in a normal state without a hammer impact.

반면, 모니터링 센서로부터 5cm 이격된 위치에서 망치로 충격을 가했을 경우에는 대략 8.00mV의 전압이 생성되었고, 모니터링 센서로부터 10cm 이격된 위치에서 망치로 충격을 가했을 경우에는 대략 1.15 mV의 전압이 생성되었다.
On the other hand, a voltage of about 8.00 mV was generated when the hammer was impacted at a distance of 5 cm from the monitoring sensor, and a voltage of about 1.15 mV was generated when the hammer was impacted at a distance of 10 cm from the monitoring sensor.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를 시멘트 벽에 부착하여 측정한 충격 검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8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impact detection test performed by attaching a health monitoring sensor of a structure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cement wall.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를 시멘트 벽에 직접 부착한 후, 모니터링 센서로부터 5cm 및 10cm의 간격으로 각각 이격된 위치에서 망치로 충격을 가하는 방식으로 충격 검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As shown in FIG. 8, after the health monitoring sensors of the structures having the flexibl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rectly attached to the cement wall, they are impacted by a hammer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monitoring sensors by 5 cm and 10 cm, The impact detection test was performed.

이때, 망치로 충격을 가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Vpp = 0.10mV로 측정되었다.At this time, Vpp = 0.10 mV was measured in a normal state without a hammer impact.

반면, 모니터링 센서로부터 5cm 이격된 위치에서 망치로 충격을 가했을 경우에는 대략 16.00mV의 전압이 생성되었고, 모니터링 센서로부터 10cm 이격된 위치에서 망치로 충격을 가했을 경우에는 대략 4.00mV의 전압이 생성되었다.On the other hand, a voltage of about 16.00 mV was generated when the hammer was impacted at a distance of 5 cm from the monitoring sensor, and a voltage of 4.00 mV was generated when the hammer was impacted at a distance of 10 cm from the monitoring sensor.

위의 실험 결과들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충격 위치가 가까울수록 생성 전압이 크며, 구조물의 재질에 따라 잔류 파동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 generated voltage is larger as the impact position is closer, and the residual wave exists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structure.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를 실리콘 호스에 부착하여 측정한 충격 검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길이 20cm 및 직경 9mm를 갖는 실리콘 호수 2개를 준비하였으며, 모니터링 센서는 2개의 실리콘 호스의 최 하단으로부터 5cm 이격된 위쪽에 각각 부착하였다. 이때, 하나의 실리콘 호스의 경우, 모니터링 센서의 최 상단에서 3cm 이격된 위치에 직경 0.3cm의 구멍을 뚫었다.Meanwhile, FIG. 9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impact detection test performed by attaching a health monitoring sensor of a structure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ilicone hose. At this time, two silicon lakes having a length of 20 cm and a diameter of 9 mm were prepared, and the monitoring sensors were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the two silicone hoses spaced 5 cm apart from the lowermost end thereof. At this time, in the case of one silicone hose, a hole 0.3 cm in diameter was drilled at a position 3 cm apart from the uppermost end of the monitoring sensor.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흐르지 않는 정상 실리콘 호스의 경우에는 최대 2.21mV의 전압 값이 측정되었고, 물이 흐르는 정상적인 실리콘 호스의 경우에는 최대 4.01mV의 전압 값이 측정되었다.As shown in Fig. 9, a voltage value of 2.21 mV was measured for a normal silicone hose in which no water flows, and a voltage value of 4.01 mV in a case of a normal silicone hose in which water is flowing was measured.

그러나, 물이 흐르며, 구멍이 뚫린 실리콘 호스의 경우에는 최대 6.78mV의 전압 값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실리콘 호스에 구멍이 생기면서 물이 일정하게 흐르다가 구멍이 생긴 곳으로 일부분 빠져나가면서 구멍을 뚫지 않은 실리콘 호스보다 진동 값이 더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측정되는 전압 값이 확연하게 변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However, in the case of a silicone hose with water flowing through it, it can be seen that the voltage increases to a maximum of 6.78 mV. This is because the silicon hose has a hole, the water flows constantly, and a part of the water escapes into the hole, and the vibration value becomes larger than the silicone hose that is not punched, Respectively.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는 고분자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전극 필름과 PVDF의 첨가로 섬유 형상 안전화로 유연성 및 탄력성이 우수한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으로 구성되므로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져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에 바로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센싱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health monitoring sensor of a structure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films made of a polymer resin material and PVDF are added, Ceramic-polymer nano-fiber film.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ensing efficiency since it is flexible and can be directly attached to various types of structures.

이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는 플렉서블한 특성으로 구조물에 직접 부착되어 사용되며, 구조물에 충격이 가해질 시 생성되는 전압을 제1 및 제2 외부 연결배선으로 전달받아 충격이 발생한 위치를 센싱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health monitoring sensor of the structure having the flexibl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being directly attached to the structure with a flexible characteristic, and the voltage generated when the structure is impacted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xternal connection It is possible to sense the position where the impact is received by the wir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는 제1 및 제2 전극 필름의 사이에 삽입 배치되어, 압전체로 사용되는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으로 환경 유해 규제 물질인 납이 첨가되지 않는 BNT계 무연 압전 세라믹 분말을 적용하는 것을 통해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저전압에서 높은 압전 성능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lth monitoring sensor of a structure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eramic-polymer nanofiber film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films and used as a piezoelectric body, It is possible to obtain a high piezoelectric performance at a low voltage while being harmless to the human body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BNT-based lead-free piezoelectric ceramic powder to which no additive is ad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는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이 전기방사법으로 제조됨에 따라 고온 소결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제조 공정 단축에 따른 원가 절감 효과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 소결 공정 후 취성(brittle) 재료의 본질적인 특성에 기인한 핸들링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eramic-polymer nanofiber film is manufactured by the electrospinning method, the high-temperature sintering process is not necessary, so that the cost-effectiveness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reduced. As well as the difficulty of handling due to the intrinsic properties of the brittle material after the high temperature sintering proces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These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 모니터링 센서 120 : 제1 전극 필름
122 : 제1 수지층 124 : 제1 전극
126 : 제1 전극 단자 140 : 제2 전극 필름
142 : 제2 수지층 144 : 제2 전극
146 : 제2 전극 단자 160 :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
180 : 제1 외부 연결배선 182 : 제2 외부 연결배선
190 : 제1 접착제층 192 : 제2 접착제층
100: Monitoring sensor 120: First electrode film
122: first resin layer 124: first electrode
126: first electrode terminal 140: second electrode film
142: second resin layer 144: second electrode
146: Second electrode terminal 160: Ceramic-polymer nanofiber film
180: first external connection wiring 182: second external connection wiring
190: first adhesive layer 192: second adhesive layer

Claims (11)

제1 전극을 구비하는 제1 전극 필름;
상기 제1 전극 필름 하부에 배치되며, 제2 전극을 구비하는 제2 전극 필름;
상기 제1 및 제2 전극 필름 사이에 배치된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 및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외부 연결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 필름은 플렉서블한 제1 수지층과, 상기 제1 수지층의 상면 상에 배치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수지층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전극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 필름은 제2 수지층과, 상기 제2 수지층의 상면 상에 배치된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수지층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전극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상기 제1 및 제2 수지층의 내부에 일부가 각각 매립되고,
플렉서블한 특성으로 구조물에 부착되어 사용되며, 상기 구조물에 충격이 가해질 시 생성되는 전압을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연결배선으로 전달받아 충격이 발생한 위치를 센싱하여, 상기 구조물의 건전성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
A first electrode film having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film disposed under the first electrode film and having a second electrode;
A ceramic-polymer nanofiber film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films; And
And first and second external connection wir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Wherein the first electrode film comprises a flexible first resin layer, the first electrod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first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Wherein the second electrode film includes a second resin layer, the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esin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disposed at one side edge of the second resin lay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a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re partially embedded in the first and second resin layers,
The structure is used by attaching to a structure with a flexible characteristic and a voltage generated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structur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external connection wirings to sense a position where an impact is generated to discriminate the integrity of the structure A health monitoring sensor for a structure having flexible characteristic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 필름 각각은
0.1 ~ 0.5c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films
Wherein the sensor has a thickness of 0.1 to 0.5 c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지층은 각각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수지(cyanate ester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및 폴리비닐 부티랄(polyvinyl butyral)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resin layers
Polyvinyl butyral, polyimide resin, cyanate ester resin, epoxy resin, polyvinyl alcohol, and polyvinyl butyral. The polyvinyl butyral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imide resin, cyanate ester resin, epoxy resin, polyvinyl alcohol, and polyvinyl butyral. A health monitoring sensor for a structure having flexible characteristic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은
PVDF(polyvinyleden floride) : 80 ~ 20 중량% 및 무연 압전 세라믹 분말 : 20 ~ 80 중량%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eramic-polymer nanofiber film
Wherein the composition is composed of 80 to 20 wt% of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nd 20 to 80 wt% of a lead-free piezoelectric ceramic powd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연 압전 세라믹 분말은
55 ~ 65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lead-free piezoelectric ceramic powder
Wherein the composition is added at a content ratio of 55 to 65% by weigh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연 압전 세라믹 분말은
BiNaTiO3(BNT)계, Bi(Na, K)TiO3(BNKT)계 및 BiKTiO3(BKT)계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lead-free piezoelectric ceramic powder
Wherein the sensor comprise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iNaTiO 3 (BNT), Bi (Na, K) TiO 3 (BNKT) and BiKTiO 3 (BK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은
100 ~ 5000㎛의 두께를 갖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eramic-polymer nanofiber film
A health monitoring sensor of a structure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with a thickness of 100 to 5000 μ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센서는
상기 제1 전극 필름과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 사이에 배치된 제1 접착제층과,
상기 제2 전극 필름과 세라믹-고분자 나노섬유 필름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nitoring sensor
A first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film and the ceramic-polymer nanofiber film,
Further comprising a second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film and the ceramic-polymer nanofiber film.
삭제delete
KR1020160060189A 2016-05-17 2016-05-17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ensor having flexible property KR1018150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189A KR101815071B1 (en) 2016-05-17 2016-05-17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ensor having flexible proper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189A KR101815071B1 (en) 2016-05-17 2016-05-17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ensor having flexible proper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994A KR20170129994A (en) 2017-11-28
KR101815071B1 true KR101815071B1 (en) 2018-01-05

Family

ID=60811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189A KR101815071B1 (en) 2016-05-17 2016-05-17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ensor having flexible proper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07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472B1 (en) * 2018-01-30 2019-07-04 한국세라믹기술원 Flexible piezoelectric fiber module
KR102280875B1 (en) * 2019-05-13 2021-07-23 한국세라믹기술원 Flexible multi piezoelectric module for monitoring sensor for structural diagnosis and energy harvester having excellent output voltage characteristics through electrode array and module connection structure optimiz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346B1 (en) * 2013-11-12 2014-12-16 한국세라믹기술원 Piezoelectric fiber composi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346B1 (en) * 2013-11-12 2014-12-16 한국세라믹기술원 Piezoelectric fiber composi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994A (en)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6171B2 (en) Polymer composite piezoelectric body and piezoelectric element using the same
US5951908A (en) Piezoelectrics and related devices from ceramics dispersed in polymers
Jain et al. Dielectric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of PVDF/PZT composites: A review
US8946974B2 (en) Piezoelectric polymer fibers
Kakimoto et al. Fabrication of fibrous BaTiO3-reinforced PVDF composite sheet for transducer application
US20190252599A1 (en) Piezoelectric nanoparticle-polymer composite structure
JP2011181866A (en) Laminated structure and piezoelectric device using the same
JP2014066876A5 (en)
Liu et al.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and charging performance of Pb (Zn1/3Nb2/3) O3–Pb (Zr0. 5Ti0. 5) O3 nanoparticle-embedded P (VDF-TrFE) nanofiber composite sheets
US11968904B2 (en) Flexible piezoceramic composite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KR101815071B1 (en)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ensor having flexible property
Scheffler et al. Piezoelectric fibers: processing and challenges
US9362481B2 (en) Continuous piezoelectric film including polar polymer fibers
Liu et al. A flexible and lead-free BCZT thin film nanogenerator for biocompatible energy harvesting
Jayalakshmy et al. Enhancement in pyroelectric detection sensitivity for flexible LiNbO 3/PVDF nanocomposite films by inclusion content control
KR101890259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nanofiber composite film and structural monitoring sensor having the nanofiber composite film
Dias et al. Recent advances in ceramic-polymer composite electrets
Feenstra et al. Enhanced active piezoelectric 0-3 nanocomposites fabricated through electrospun nanowires
Kabakov et al. The Versatility of Piezoelectric Composites
KR101748858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nanofiber composite film using lead-free piezoelectric ceramic
Ji et al. Poling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a lead-free piezoelectric nanofiber in a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ensor
Kerimov et al. Matrix active micro-and nanocomposites based on the polymer, semiconductive and ferropiezoceramic materials
KR101683727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lead zirconate titanate-polyvinylidene fluoride nanofiber composite film
Öğüt et al. Poly (vinylidene fluoride)/zinc oxide smart composite material
Rodrigues-Marinho et al. Introduction to piezoelectricity and electrospun piezoelectric materials and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