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894B1 -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액세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액세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894B1
KR101814894B1 KR1020157035180A KR20157035180A KR101814894B1 KR 101814894 B1 KR101814894 B1 KR 101814894B1 KR 1020157035180 A KR1020157035180 A KR 1020157035180A KR 20157035180 A KR20157035180 A KR 20157035180A KR 101814894 B1 KR101814894 B1 KR 101814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ction set
memory
unit
storage unit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7621A (ko
Inventor
유-웨이 챤
지윤-웨이 린
Original Assignee
실리콘 모션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310743143.7A external-priority patent/CN104240756B/zh
Application filed by 실리콘 모션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실리콘 모션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14/079594 external-priority patent/WO2014201961A1/en
Publication of KR20160007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06F13/28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using burst mode transfer, e.g. direct memory access DMA, cycle ste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223User address space allocation, e.g. contiguous or non contiguous base addressing
    • G06F12/023Free address space management
    • G06F12/0238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 G06F12/0246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in block erasable memory, e.g. flash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8Concurrent instruction execution, e.g. pipeline or look a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제1 메모리와 제2 메모리 사이에 결합되고 실행 유닛, 제1 저장 유닛, 제2 저장 유닛, 선택 유닛 및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는 제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실행 유닛은 제1 및 제2 메모리에 액세스하도록 특정 명령어 세트를 실행한다. 제1 저장 유닛은 제1 명령어 세트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제2 저장 유닛은 제2 명령어 세트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유닛은 제어 신호에 따라 특정 명령어 세트로서 역할하도록 제1 및 제2 명령어 세트 중 하나를 출력한다. 프로세싱 유닛은 실행 유닛의 실행 상태에 따라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Description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액세스 시스템{CONTROL DEVICE AND ACCESS SYSTEM UTILIZING THE SAM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3년 6월 2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837,525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 기초 출원은 참고로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본 출원은 2013년 11월 11일자로 출원된 대만 특허 출원 제10214082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기초 출원의 전문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제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2개의 메모리 사이에서 액세스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장 매체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휘발성 메모리는 거기에 저장된 데이터가 메모리에 제공된 전력이 인터럽트될 때 소거되는 메모리이다. 반대로, 비-휘발성 메모리는 거기에 저장된 데이터가 메모리에 제공된 전력이 인터럽트될 때 소거되지 않는 메모리이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휘발성 메모리는 RAM(random access memory),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및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 디바이스는 제1 메모리와 제2 메모리 사이에 결합되고, 실행 유닛, 제1 저장 유닛, 제2 저장 유닛, 선택 유닛 및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한다. 실행 유닛은 제1 및 제2 메모리에 액세스하도록 특정 명령어 세트를 실행한다. 제1 저장 유닛은 제1 명령어 세트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제2 저장 유닛은 제2 명령어 세트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유닛은 제어 신호에 따라 특정 명령어 세트로서 역할하도록 제1 또는 제2 명령어 세트를 출력한다. 프로세싱 유닛은 실행 유닛의 실행 상태에 따라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액세스 시스템은 제1 메모리, 제2 메모리 및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제어 디바이스는 제1 메모리와 제2 메모리 사이에 결합되고, 실행 유닛, 제1 저장 유닛, 제2 저장 유닛, 선택 유닛 및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한다. 실행 유닛은 제1 및 제2 메모리에 액세스하도록 특정 명령어 세트를 실행한다. 제1 저장 유닛은 제1 명령어 세트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제2 저장 유닛은 제2 명령어 세트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유닛은 제어 신호에 따라 특정 명령어 세트로서 역할하도록 제1 및 제2 명령어 세트 중 하나를 출력한다. 프로세싱 유닛은 실행 유닛의 실행 상태에 따라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세한 설명은 수반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에서 주어진다.
본 발명은 수반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예를 참조함으로써 더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액세스 시스템의 대표적 실시예의 개략 선도.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작 및 사용이 아래에서 상세하게 논의된다. 그렇지만, 그 실시예는 광범위한 각종 특정 맥락에서 구체화될 수 있는 많은 적용가능한 진보적 개념을 제공한다고 인식되어야 한다. 논의되는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액세스 시스템의 일례의 실시예의 개략 선도이다. 액세스 시스템(100)은 메모리(110, 120) 및 제어 디바이스(130)를 포함한다. 제어 디바이스(130)는 메모리(110, 12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메모리(110, 120)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110)는 다양한 셀을 포함한다. 셀은 매트릭스로 배열된다.
본 발명은 메모리(110, 120)의 유형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110)의 유형은 메모리(120)의 유형과 동일하거나 다르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130)와 메모리(120)는 메모리 디바이스로 집적된다. 그래서, 제어 디바이스(130)에 대해 메모리(120)는 내부 메모리라고 지칭되고 메모리(110)는 외부 메모리라고 지칭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110)는 제어 디바이스(130)를 통하여 메모리(120)에 액세스한다. 유사하게, 메모리(120)는 제어 디바이스(130)를 통하여 메모리(110)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130)는 실행 유닛(131), 저장 유닛(132) 및 프로세싱 유닛(133)을 포함한다. 실행 유닛(131)은 메모리(110, 120)에 액세스하도록 저장 유닛(132)에 저장된 명령어 세트(CMD)를 실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 유닛(130)은 다양한 기록 명령어 및 판독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다양한 레지스터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싱 유닛(133)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실행 결과를 발생시키고 그 후 실행 결과에 따라 저장 유닛(132)에 대응하는 명령어 세트를 기록하도록 사용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싱 유닛(133)은 실행 유닛(131)을 트리거링하도록 트리거 신호(STRG)를 보낸다. 그래서, 실행 유닛(131)은 명령어 세트(CMD)를 실행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실행 유닛(131)이 저장 유닛(132)에 저장된 명령어 세트(CMD)를 판독할 때, 프로세싱 유닛(133)은 저장 유닛(132)에 새로운 명령어 세트를 기록할 수 없다. 프로세싱 유닛(133)이 명령어 세트(CMD)를 완료한 후에, 프로세싱 유닛(133)은 우선 저장 유닛(132)에 새로운 명령어 세트를 기록하고 그 후 실행 유닛(131)은 저장 유닛(132)에 저장된 새로운 명령어 세트를 판독 및 실행한다. 그래서, 액세스 시스템(100)의 액세스 시간은 더 길다. 액세스 시간을 감축하기 위하여,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액세스 시스템의 다른 일례의 실시예의 개략 선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시스템(200)은 메모리(210, 220) 및 제어 디바이스(230)를 포함한다. 제어 디바이스(230)는 메모리(210, 22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메모리(210, 220)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은 메모리(210, 220)의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210)의 종류는 메모리(220)의 종류와 동일하거나 다르다.
예를 들어, 메모리(210)는 다양한 셀을 포함한다. 셀은 매트릭스로 배열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210)는 DDR(double data rate) NAND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NAND 플래시 메모리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220)는 SRAM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230)는 실행 유닛(231), 선택 유닛(232), 저장 유닛(233, 234) 및 프로세싱 유닛(235)을 포함한다. 실행 유닛(231)은 메모리(210, 220)에 액세스하도록 특정 명령어 세트(CMDS)를 실행한다. 본 발명은 실행 유닛(231)의 회로 구조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어느 회로라도, 그 회로가 메모리에 액세스할 수 있는 한, 실행 유닛(231)으로서 역할할 수 있다.
더욱, 메모리(210)가 DDR 메모리일 때, 실행 유닛(231)은 메모리(210)에 액세스하도록 DDR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실행 유닛(231)은 메모리(220)에 액세스하도록 DMA(direct memory access) 유닛을 더 포함한다.
선택 유닛(232)은 제어 신호(SC)에 따라 특정 명령어 세트(CMDS)로서 역할하도록 명령어 세트(CMD1 또는 CMD2)를 출력한다. 실행 유닛(231)은 특정 명령어 세트(CMDS)를 수신한다. 본 발명은 선택 유닛(232)의 회로 구조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어느 회로라도, 그 회로가 선택적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한, 선택 회로(232)로서 역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 회로(232)는 MUX(multiplexer)이다.
저장 유닛(233)은 명령어 세트(CMD1)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저장 유닛(234)은 명령어 세트(CMD2)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저장 유닛은 다양한 기록 명령어 및 다양한 판독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다양한 레지스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저장 유닛 내 레지스터의 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 유닛(233) 내 레지스터의 수는 저장 유닛(234) 내 레지스터의 수와 동일하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 유닛(233) 내 레지스터의 수는 저장 유닛(234)의 레지스터의 수와는 다르다.
명확성을 위해, 명령어 세트(CMD1)는 기록 명령어(W1~W3) 및 판독 명령어(R1~R4)를 포함하고, 명령어 세트(CMD2)는 기록 명령어(W4~W7) 및 판독 명령어(R5~R7)를 포함하지만, 본 개시는 거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명령어 세트(CMD1, CMD2)의 각각은 다른 수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234)은 실행 유닛(231)의 실행 상태에 따라 제어 신호(SC)를 발생시킨다. 선택 유닛(232)은 제어 신호(SC)에 따라 실행 유닛(231)에 명령어 세트(CMD1 또는 CMD2)를 출력한다. 선택 유닛(232)이 우선 실행 유닛(231)에 명령어 세트(CMD1)를 출력한다고 상정한다. 실행 유닛(231)은 기록 명령어(W1~W3) 및 판독 명령어(R1~R4)를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실행 유닛(231)은 명령어 세트(CMD1)를 실행하고 동시에 프로세싱 유닛(235)은 저장 유닛(234)에 명령어 세트(CMD2)를 기록한다. 실행 유닛(231)이 명령어 세트(CMD1)를 완료할 때, 프로세싱 유닛(235)은 제어 신호(SC)를 보낸다. 선택 유닛(232)은 제어 신호(SC)에 따라 실행 유닛(231)에 명령어 세트(CMD2)를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싱 유닛(235)은 명령어 세트(CMD2)를 실행하기 위해 실행 유닛(231)을 활성화시키도록 트리거 신호(STRG)를 보낸다. 실행 유닛(231)은 명령어 세트(CMD2)를 실행하고 동시에 프로세싱 유닛(235)은 저장 유닛(233)에 명령어 세트(CMD3)를 기록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령어 세트(CMD3)는 기록 명령어(W8~W12) 및 판독 명령어(R8~R11)를 포함한다. 실행 유닛(231)이 명령어 세트(CMD2)를 완료할 때, 프로세싱 유닛(235)은 제어 신호(SC)를 보낸다. 선택 유닛(232)은 제어 신호(SC)에 따라 특정 명령어 세트(CMDS)로서 역할하도록 명령어 세트(CMD3)를 출력한다. 실행 유닛(231)은 명령어 세트(CMD3)를 실행한다.
실행 유닛(231)은 명령어 세트(CMD3)를 실행하고 동시에 프로세싱 유닛(235)은 저장 유닛(234)에 명령어 세트(CMD4)를 기록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령어 세트(CMD4)는 기록 명령어(W13~W15) 및 판독 명령어(R12~R14)를 포함한다. 실행 유닛(231)이 명령어 세트(CMD3)를 완료할 때, 프로세싱 유닛(235)은 제어 신호(SC)를 보낸다. 선택 유닛(232)은 제어 신호(SC)에 따라 특정 명령어 세트(CMDS)로서 역할하도록 명령어 세트(CMD4)를 출력한다. 실행 유닛(231)은 명령어 세트(CMD4)를 실행한다.
실행 유닛(231)이 순차적으로 다수의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고, 저장 유닛(233 또는 234)에 명령어 세트를 기록하는 프로세싱 유닛(235)을 기다리지 않으므로, 액세스 시스템(200)의 액세스 시간이 감축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저장 유닛의 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 유닛의 수는 3보다 더 크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보통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더욱,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것들과 같은 용어는 관련 있는 분야의 맥락에서 그들 의미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화되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본 명세서에서 명확히 정의되지 않는 한 그렇게 해석되지는 않을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이 예에 의해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의 관점에서 설명되었기는 하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고 이해되는 것이다. 반대로, (당업자에게 명백할 바와 같은) 다양한 수정 및 유사한 배열을 망라하려는 의도이다. 그래서, 첨부 청구범위의 범위는 모든 그러한 수정 및 유사한 배열을 망라하도록 가장 넓은 해석에 따라야 한다.

Claims (19)

  1. 제1 메모리와 제2 메모리 사이에 결합된 제어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1 메모리 및 상기 제2 메모리에 액세스하도록 특정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는 실행 유닛;
    제1 명령어 세트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1 저장 유닛;
    제2 명령어 세트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2 저장 유닛;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특정 명령어 세트로서 역할하도록 상기 제1 명령어 세트 또는 상기 제2 명령어 세트를 출력하는 선택 유닛; 및
    상기 실행 유닛의 실행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명령어 세트가 상기 특정 명령어 세트로서 역할하고 이어서 상기 실행 유닛이 상기 특정 명령어 세트를 실행할 때,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제2 저장 유닛에 상기 제2 명령어 세트를 저장하는, 제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제1 저장 유닛에 상기 제1 명령어 세트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저장 유닛에 상기 제2 명령어 세트를 저장하는, 제어 디바이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 유닛은 복수의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복수의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는 상기 제1 명령어 세트를 이루는, 제어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는 NAND 플래시 메모리인, 제어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는 DDR(double data rate) NAND 플래시 메모리인, 제어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모리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인, 제어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유닛은 MUX(multiplexer)인, 제어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유닛은 상기 제2 메모리에 액세스하도록 DMA(direct memory access) 유닛을 포함하는, 제어 디바이스.
  10. 액세스 시스템으로서,
    제1 메모리;
    제2 메모리; 및
    상기 제1 메모리와 상기 제2 메모리 사이에 결합된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메모리 및 상기 제2 메모리에 액세스하도록 특정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는 실행 유닛;
    제1 명령어 세트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1 저장 유닛;
    제2 명령어 세트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2 저장 유닛;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특정 명령어 세트로서 역할하도록 상기 제1 명령어 세트 또는 상기 제2 명령어 세트를 출력하는 선택 유닛; 및
    상기 실행 유닛의 실행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명령어 세트가 상기 특정 명령어 세트로서 역할하고 이어서 상기 실행 유닛이 상기 특정 명령어 세트를 실행할 때,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제2 저장 유닛에 상기 제2 명령어 세트를 저장하는 액세스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메모리는 메모리 디바이스로 집적되는, 액세스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제1 저장 유닛에 상기 제1 명령어 세트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저장 유닛에 상기 제2 명령어 세트를 저장하는, 액세스 시스템.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 유닛은 복수의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복수의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는 상기 제1 명령어 세트를 이루는, 액세스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는 NAND 플래시 메모리인, 액세스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는 DDR NAND 플래시 메모리인, 액세스 시스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모리는 SRAM인, 액세스 시스템.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유닛은 MUX인, 액세스 시스템.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유닛은 상기 제2 메모리에 액세스하도록 DMA 유닛을 포함하는, 액세스 시스템.
KR1020157035180A 2013-06-20 2014-06-10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액세스 시스템 KR101814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37525P 2013-06-20 2013-06-20
US61/837,525 2013-06-20
CN201310743143.7A CN104240756B (zh) 2013-06-20 2013-12-30 控制装置及存取系统
CN201310743143.7 2013-12-30
PCT/CN2014/079594 WO2014201961A1 (en) 2013-06-20 2014-06-10 Control device and access system utiliz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621A KR20160007621A (ko) 2016-01-20
KR101814894B1 true KR101814894B1 (ko) 2018-01-04

Family

ID=52718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180A KR101814894B1 (ko) 2013-06-20 2014-06-10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액세스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14894B1 (ko)
TW (1) TWI5348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8306664B2 (en) * 2017-07-23 2024-03-28 Terahertz Group Ltd. A system and method for non-invasively determining egg properti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981B1 (ko) 2005-08-01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인터페이스 컨트롤러, 상기 멀티-인터페이스컨트롤러를 구비하는 메모리 카드, 및 인터페이스 설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981B1 (ko) 2005-08-01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인터페이스 컨트롤러, 상기 멀티-인터페이스컨트롤러를 구비하는 메모리 카드, 및 인터페이스 설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34830B (zh) 2016-05-21
KR20160007621A (ko) 2016-01-20
TW201501134A (zh) 2015-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6378B2 (en) Nonvolatile memory system using control signals to transmit varied signals via data pins
JP6142081B2 (ja) 不揮発性メモリデバイスにおける揮発性メモリアーキテクチャ及び関連コントローラ
TWI770218B (zh) 記憶體系統及其操作方法
US9760433B2 (en) Flash memory control apparatus utilizing buffer to temporarily storing valid data stored in storage plane, and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189215A1 (en) Memory modules and memory systems
US10459635B2 (en) Window based mapping
US11513723B2 (en) Read handling in zoned namespace devices
US20090204748A1 (en) Multi-channel flash memory system and access method
CN111796759B (zh) 多平面上的片段数据读取的计算机可读取存储介质及方法
US20140173173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including configurable bit-per-cell capability
US8423707B2 (en) Data access method for flash memory and storage system and controller using the same
TW201915739A (zh) 資料儲存裝置以及資料儲存方法
US112948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ed latency of read-modify-write operations
KR101814894B1 (ko)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액세스 시스템
TW201947403A (zh) 資料儲存裝置及系統資訊的編程方法
JP5464527B2 (ja) 不揮発性メモリの読み出し動作変更
JP2011222057A (ja) メモリシステム
KR102388746B1 (ko) 세이프 어드레스 매핑을 이용한 메모리 셀 액세스 제어 방법
US9804799B2 (en) Memory storag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40009996A1 (en) Storage control device, storage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080062173A (ko) 복수의 메모리를 갖는 메모리 시스템 그것의 메모리 억세스방법
JP2013168204A (ja) 半導体装置
US20160140034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linked list array hardware implementation
US20210208808A1 (en) Host Supported Partitions in Storage Device
US9405674B2 (en) Address generating circuit and address genera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