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742B1 -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 기기 및 그 파노라마 촬영 방법 - Google Patents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 기기 및 그 파노라마 촬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742B1
KR101814742B1 KR1020170040937A KR20170040937A KR101814742B1 KR 101814742 B1 KR101814742 B1 KR 101814742B1 KR 1020170040937 A KR1020170040937 A KR 1020170040937A KR 20170040937 A KR20170040937 A KR 20170040937A KR 101814742 B1 KR101814742 B1 KR 101814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hotographing
visual element
touch display
panor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633A (ko
Inventor
박용국
한상준
엄주일
차상옥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0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742B1/ko
Publication of KR20170039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5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 H04N23/951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by using two or more images to influence resolution, frame rate or aspect rat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40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 H04N25/41Extracting pixel data from a plurality of image sensors simultaneously picking up an image, e.g. for increasing the field of view by combining the outputs of a plurality of sensors
    • H04N5/23232
    • H04N5/23258
    • H04N5/232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2Signal amplitude transition in the zone between image portions, e.g. soft ed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4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whole input images, e.g. splitscreen
    • H04N5/341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촬영기기가 개시된다. 본 촬영기기는, 촬영부, 촬영부로 입사되는 광에 대응되는 화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촬영기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 파노라마 촬영을 위한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 및 촬영 포커스를 생성하여 화면 이미지상에 표시하고, 촬영기기의 움직임에 따라 촬영 포커스의 위치를 변경하는 그래픽 처리부, 촬영 포커스가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 중 하나와 일치하면, 자동으로 촬영을 수행하도록 촬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 기기 및 그 파노라마 촬영 방법{PHOTOGRAPH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 PANORAMA IMAG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 기기 및 그 파노라마 촬영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를 제공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촬영 기기 및 그 파노라마 촬영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갖춘 소형 휴대형 기기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휴대형 기기에는 기존 카메라와 같이 촬영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된 영상은 각종 웹 사이트나 자신의 개인 블로그 등에 업로드시켜, 타인과 공유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영상들은, 로드 뷰 이미지로 활용될 수 있다. 로드 뷰 이미지로 활용하는 경우, 하나의 시각에서 촬영된 하나의 사진 보다는, 여러 개의 사진을 연결한 파노라마 이미지가 좀 더 유용할 수 있다. 즉, 한 장의 사진에 담을 수 있는 이미지의 크기는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장의 정지 이미지를 각각 촬영하여 촬영된 정지영상들을 조합하여, 넓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영기법을 파노라마 영상 촬영이라 한다.
하지만, 파노라마 이미지는 촬영 기기의 촬영 방향을 다양한 각도로 변경하면서 촬영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파노라마 기능을 제공하는 촬영 기기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일반 사용자가 촬영 각도를 정확하게 변경하면서,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은 결코 용이하지 않은 일이었다.
따라서, 파노라마 촬영을 좀 더 용이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를 제공하여 파노라마 촬영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촬영 기기 및 그 파노라마 촬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촬영기기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로 입사되는 광에 대응되는 화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촬영 기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 파노라마 촬영을 위한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 및 촬영 포커스를 생성하여 상기 화면 이미지상에 표시하고, 상기 촬영 기기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촬영 포커스의 위치를 변경하는 그래픽 처리부, 상기 촬영 포커스가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 중 하나와 일치하면, 자동으로 촬영을 수행하도록 상기 촬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이 수행되면,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 중 상기 촬영 포커스와 일치된 가이드 이미지를 삭제하도록 상기 그래픽 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이 수행되면,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 중 상기 촬영 포커스와 일치된 가이드 이미지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도록 상기 그래픽 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 모두와 상기 촬영 포커스가 순차적으로 일치되어 촬영이 이루어지거나, 촬영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촬영 완료된 이미지 데이터들을 연결하여 파노라마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포커스가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 중 하나와 일치되면 상기 촬영부를 제어하여 상기 촬영을 수행하면서, 상기 촬영 상황임을 알리기 위한 시각 효과 및 음향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는, 360도 구면 파노라마 이미지를 구성하기 위한 촬영 방향에 따라 구분되며, 상기 화면 이미지 상에서 복수 개의 라인으로 정렬되어 표시되고, 각 라인 별 가이드 이미지 개수는 중간 라인에서 최대이고, 상기 중간 라인을 기준으로 외곽 라인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파노라마 촬영 모드로 전환되면, 화면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방향에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그래픽 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 각각 및 상기 촬영 포커스의 형태는, 상기 화면 이미지의 형태를 그대로 축소시킨 축소 화면 이미지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촬영기기의 파노라마 촬영 방법은,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에 대응되는 화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파노라마 촬영을 위한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 및 촬영 포커스를 생성하여 상기 화면 이미지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촬영기기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촬영 기기의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상기 촬영 포커스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포커스가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 중 하나와 일치되면 자동으로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방법은,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 모두와 상기 촬영 포커스가 순차적으로 일치되어 촬영이 이루어지거나, 촬영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촬영 완료된 이미지 데이터들을 연결하여 파노라마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방법은, 상기 촬영이 수행되면,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 중 상기 촬영 포커스와 일치된 가이드 이미지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방법은, 상기 촬영이 수행되면,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 중 상기 촬영 포커스와 일치된 가이드 이미지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방법은, 상기 촬영을 수행될 때, 촬영 상황임을 알리기 위한 시각 효과 및 음향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는, 360도 구면 파노라마 이미지를 구성하기 위한 촬영 방향에 따라 구분되며, 상기 화면 이미지 상에서 복수 개의 라인으로 정렬되어 표시되고, 각 라인 별 가이드 이미지 개수는 중간 라인에서 최대이고, 상기 중간 라인을 기준으로 외곽 라인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감소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 및 상기 촬영 포커스를 생성하여 상기 화면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파노라마 촬영 모드로 전환되면, 화면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방향에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하며,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 각각 및 상기 촬영 포커스의 형태는, 상기 화면 이미지의 형태를 그대로 축소시킨 축소 화면 이미지가 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에 따라 촬영을 수행하여, 파노라마 촬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촬영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구면 파노라마 이미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 중에서 촬영 완료된 가이드 이미지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일반 파노라마 촬영을 위한 가이드 이미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촬영 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촬영 기기(100)란, 피사체(被寫體)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렌즈를 통해 촬상 소자가 수광하여 이미지를 만들고, 그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해서 자기 테이프나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기록 매체에 기록하거나, 외부로 전송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 1의 촬영 장치는 캠코더와 같이 동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는 동영상 촬영 기기가 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정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그 밖에 촬영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PDA, 태블릿 PC 등의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촬영 기기(100)는 촬영부(110), 제어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저장부(140), 감지부(150), 그래픽 처리부(160)를 포함한다.
촬영부(110)는 촬영 대상, 즉,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광하여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이미지 데이터란 단순한 정지 영상 데이터 뿐만 아니라, 동영상 데이터도 포함한다. 촬영부(110)는 촬상 소자, 렌즈, 조리개 등의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촬상 소자로는 CCD나 CMOS 이미지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촬영부(110)는 어레이 이미지 센서 (이차원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촬영을 수행한다. 촬상 소자가 CCD가 사용되었는지 CMOS가 사용되었는지에 따라서, 이미지 센서는 CCD 이미지 센서, 시모스 이미지 센서로 불릴 수 있다.
CCD는 Charge-Coupled Device의 약자로 빛을 전하로 변환시켜 화상(畵像)을 얻어내는 센서이다. 전하결합소자라고도 부른다. CCD는 여러 개의 축전기(Condenser)가 쌍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CMOS는 P 채널과 N 채널의 MOSFET를 전원 전압 간에 직렬로 구성하고 입력은 두가지 MOSFET의 게이트에 같이 연결하고 출력은 두가지 MOSFET 드레인 사이에 연결한 집적 회로의 구조로 이루어진 센서이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촬영부(110)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촬영부(110)는 촬영 장치의 전원이 온되거나, 촬영 메뉴가 선택된 시점부터 반사광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출력하므로, 디스플레이부(120)는 촬영 대기 상태에서도 촬영부로 입사되는 광에 대응되는 화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통상의 휴대형 기기들과 같이 LCD 패널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을 직접 터치하거나, 촬영 기기(100) 본체에 구비된 각종 키(미도시)를 선택하여 촬영 명령과 같은 다양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촬영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촬영 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120)는 촬영부(110)를 제어하여 촬영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촬영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의 화면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되어, 저장부(140)에 기록된다.
감지부(150)는 촬영 기기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여기서의 움직임이란 촬영 기기가 회전하여 촬영 각도 자체가 변경되는 움직임, 촬영 각도는 유지하면서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움직임 등과 같이 촬영 기기의 본체 자체의 움직임을 의미한다.
움직임 감지를 위해서, 감지부(150)는 중력 가속도 센서나,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플럭스게이트를 이용하는 플럭스게이트 지자기 센서로 구현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감지부(150)는 퍼말로이(permalloy)와 같은 고투자율 재료로 이루어진 플럭스게이트 코어, 코어를 권선한 구동코일, 및, 검출코일로 구성된 플럭스게이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플럭스게이트 코어의 개수는 2개 또는 3개가 될 수 있다. 각 플럭스게이트 코어는 상호 직교하는 형태로 제작된다. 즉, 2축 플럭스게이트 센서의 경우, X축 및 Y축 플럭스게이트로 구현되며, 3축 플럭스게이트 센서의 경우에는 X축, Y축, 및, Z축 플럭스게이트로 구현된다. 이에 따라, 각 플럭스게이트 코어를 권선한 각 구동코일에 구동신호를 인가한 후, 코어에 의해 자기가 유도되면 검출코일을 이용하여 외부자장에 비례하는 2차 고조파 성분을 검출함으로써, 외부 자장의 크기 및 방향을 측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전에 측정된 자장의 방향과, 현재 측정된 자장의 방향을 비교하여 회전 각도 및 회전 방향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감지부(150)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자이로 센서란, 1초 동안에 각도가 얼마나 움직이는지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즉, 물체가 운동을 하면 코리올리의 힘이 발생하게 되는데, 자이로센서는 이 코리올리의 힘에 대한 공식을 이용하여 관성계에 작용하는 각속도를 감지한다. 이에 따라, 회전 각도 및 회전 방향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촬영기기(100)는 기울어진 정도에 따른 영향을 보상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를 추가로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감지부(150)는 가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피치각이나 롤각과 같은 경사각까지 고려하여, 회전 각도 및 회전 방향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감지부(150)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의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래픽 처리부(160)는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 상에, 파노라마 촬영을 위한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 및 촬영 포커스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란 파노라마 이미지를 구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촬영 각도로 움직이도록 유도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가이드 이미지의 개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이미지의 개수와 동일하게 맞추어진다.
파노라마 이미지가 수평한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일반 파노라마 이미지라면,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는 하나의 라인으로 배열되어 화면 이미지 상에 표시된다. 반면, 파노라마 이미지가 하나의 구면을 이루는 360도 구면 파노라마 이미지라면,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는 복수의 라인으로 배열되어 화면 이미지 상에 표시된다. 이러한 가이드 이미지들은 화면 이미지 상에서 고정적인 위치에 표시된다. 가이드 이미지의 배열 방식 및 형태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다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촬영 포커스란 현재의 촬영 방향에 대응되는 포커스 가이드 이미지를 의미한다. 촬영 포커스는 촬영 기기(100)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되면서 표시된다. 즉, 사용자가 촬영 기기(100)를 왼쪽으로 돌리게 되면, 촬영 포커스도 왼쪽으로 이동되면서 표시된다. 반대로 위쪽으로 들어 올리게 되면, 촬영 포커스도 위쪽으로 이동되면서 표시된다. 이와 같이, 촬영 포커스는 화면 이미지상에서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촬영 기기(100)를 움직이면서 촬영 포커스가 가이드 이미지에 겹쳐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가이드 이미지와 촬영 포커스가 일치하게 되면, 제어부(120)는 그 시점에서 촬영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촬영부(1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게임을 즐기듯이 촬영 포커스를 이동시키면서 가이드 이미지에 맞추기만 하면, 파노라마 이미지에 적합한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제어부(120)는 각 가이드 이미지에 따라 촬영이 완료되면, 그 때까지 촬영되어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파노라마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20)는 각 가이드 이미지에 대해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의 특징부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에 따라, 추출된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부분을 판단한다. 이후에, 매칭되는 부분을 서로 연결한 후, 연결된 부분을 블렌딩 처리하여 하나의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파노라마 이미지는 저장부(140)에 다시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촬영 기기(100) 자체에 마련된 내부 메모리일 수도 있으며, 촬영 기기(100)에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한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스틱 등이 될 수도 있다. 또는, 촬영 기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외부 저장 유닛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촬영 화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와 같이 촬영 기기의 화면(10) 상에는 촬영 범위 내에 들어가 있는 각 피사체들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 이미지가 표시된다. 이 경우, 화면 이미지 상에는 촬영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영역(11)이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영역을 터치(12)하여 촬영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2의 (a)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므로, 터치 스크린이 아닌 본체 키로 촬영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영역(11) 표시는 생략될 수 있다.
사용자가 파노라마 촬영 모드를 선택하여 모드 전환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사진 촬영이 이루어지면, 도 2의 (b)와 같이 화면 이미지(10) 상에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50-1 ~ 50-12)와, 촬영 포커스(60)가 디스플레이된다.
이 경우, 화면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좌우 방향으로 가이드 이미지(50-1 ~ 50-12)가 배열된다. 이때, 최초 촬영이 이미 이루어진 상태라면 중심 부에는 가이드 이미지 표시가 생략되고, 도 2의 (b)와 같이 촬영 포커스(60)가 중심 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최초 촬영 없이 파노라마 촬영 모드 전환 시에 바로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구현된 경우라면, 최 중심부에도 가이드 이미지(미도시)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촬영 포커스(60)의 초기 위치는 최 중심부의 가이드 이미지와 겹쳐서 표시될 수 있으며, 다른 곳에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최초 촬영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중심 라인에는 가장 많은 수의 가이드 이미지(50-1, 50-2, 50-3, 50-4)가 표시되고, 그 상 하측 라인에는 그보다 작은 개수의 가이드 이미지가 표시된다. 가장 외곽 라인, 즉, 최상위 라인과 최하위 라인에는 가장 작은 수의 가이드 이미지(50-8, 50-12)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의 (b)에 따르면, 중심 라인에는 4개의 가이드 이미지가 표시되고, 그 상하측 라인에는 각각 3개의 가이드 이미지가 표시되며, 최상위 라인 및 최하위 라인에는 각각 1개 씩의 가이드 이미지가 표시된다.
전체 가이드 이미지의 개수는 촬영 기기(100)의 스펙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촬영 각도가 큰 촬영 기기라면 360도 방향의 각 피사체들을 상대적으로 적은 개수의 이미지에 담을 수 있으므로, 가이드 이미지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한번에 60도 범위 내의 피사체들을 한번에 촬영할 수 있다면, 중심 라인에는 6개 정도의 가이드 이미지만이 표시될 수 있다. 반면, 촬영 각도가 작은 촬영 기기라면, 더 많은 개수의 이미지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 이미지의 개수도 더 증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번에 30도 범위 정도의 피사체들을 촬영할 수 있다면, 중심 라인에는 최소 12개의 가이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촬영 기기(100)를 움직여서 촬영 포커스(60)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도 2의 (c)와 같이 촬영 포커스(60)가 우측 가이드 이미지(50-3)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2의 (d)와 같이 일치하게 되면, 일치되는 순간 촬영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도 2의 (d)와 같이, 촬영 상황임을 알리기 위한 시각 효과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면 상에서 플래시가 터지는 듯한 그래픽 효과를 출력하여, 자동 촬영이 이루어졌음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d)에서는 시각 효과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시각 효과 대신 음향 효과가 출력될 수도 있다. 즉, 촬영 기기(100)에 스피커와 같은 음향 출력 소자가 구비된 경우라면, 촬영 포커스(60) 및 가이드 이미지(50-3)가 일치하는 순간에, "찰칵"과 같은 음향 효과를 출력하면서 자동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효과 및 음향 효과는 함께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자동 촬영이 이루어지면, 해당 가이드 이미지(50-3)의 표시는 삭제되거나, 그 표시 상태가 변경될 수도 있다. 표시 상태의 변경이란 구체적으로는 가이드 이미지의 컬러가 변화되거나, 가이드 이미지가 비활성화 상태로 흐릿하게 변하게 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촬영이 이루어진 가이드 이미지에 대해서는, 전체 가이드 이미지들의 정렬 상태로부터 튕겨져나가는 듯한 에니메이션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화면(10)의 일 부분에 마련된 별도의 영역(미도시)으로 이동하는 듯한 에니메이션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구성하기 위한 하나의 이미지가 생성되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하나의 가이드 이미지(50-3)에 따른 촬영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촬영 기기(100)를 다시 움직여서 다음 가이드 이미지(50-3) 방향으로 촬영 포커스(6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의 (e)에 따르면, 촬영 포커스(60)가 상위 라인의 가이드 이미지(50-7) 방향으로 이동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파노라마 이미지 생성을 위한 촬영 방향과 촬영 순서를 임의로 정할 수 있게 되어, 선택의 자유도가 크게 증가하게 된다. 또한, 전체 대상물 중에서 현재 어떠한 부분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졌는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는 전체 가이드 이미지들에 대해서 촬영 포커스를 순차적으로 일치시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 가이드 이미지에 따른 촬영이 전부 완료되면, 각 이미지 데이터를 결합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b) 내지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상의 일 부분에는 촬영 종료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메뉴(13)가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전체 가이드 이미지들에 따른 촬영이 전부 완료되기 이전이라도 사용자가 촬영 종료 명령을 입력하면, 촬영이 종료되고, 그때까지 촬영 완료된 이미지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이 아닌 경우에는, 촬영 종료 명령은 촬영 기기(100)의 본체 키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 및 촬영 포커스의 형태는, 화면 이미지의 형태를 본 따서 그대로 축소시킨 축소 화면 이미지 형태가 될 수 있다.
또는,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화면 이미지를 촬영 각도 변경에 대응되도록 쉬프트시킨 이미지가 해당 가이드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즉, 현재 촬영된 이미지가 정 중앙에 배치될 것이라면, 우측 가이드 이미지(50-3)는 60도 정도 우측으로 회전시킨 이미지 형상이 될 수 있고, 그 우측 가이드 이미지(50-4)는 120도 정도 우측으로 회전시킨 이미지 형상이 될 수 있다. 상측 가이드 이미지(50-6)는 위측으로 45도 정도 들어올린 이미지 형상이 될 수 있으며, 하측 가이드 이미지(50-10)는 하측으로 45도 정도 내린 이미지 형상이 될 수도 있다.
또는, 가이드 이미지 및 촬영 포커스는 각각 테두리 부분만 표시되는 빈 박스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3은 구면 파노라마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촬영 기기(100)는 복수 개의 이미지(1, 2 ~ n, n+1 ~ n+m, n+m+1 ~ n+m+p, n+m+p+1)들을 생성한 후, 이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구면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촬영 기기(100)는 도 3의 구의 중심에 위치한 상태에서, 가이드 이미지에 따라, 상하전후좌우 방향으로 촬영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는, 촬영 기기(100)를 움직여서 촬영 포커스(60)를 이동시키면서 각 가이드 이미지에 일치시켜, 각 이미지들을 촬영할 수 있다. 도 3의 구면 파노라마 이미지를 이루는 각 이미지에 대응되는 가이드 이미지들을 평면 화면 상에 펼친 것이 바로 도 2의 (b)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 이미지이다. 이와 같이, 중심 지름이 가장 큰 구의 특성 상, 중심 라인에 배치될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가이드 이미지의 개수가 최대가 되고, 상측, 하측 방향으로 먼 라인일 수록 필요한 이미지의 수가 작아지므로, 그에 대한 가이드 이미지의 개수도 순차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의 최상위 및 최하위에 배치될 이미지(n+m+1, n+m+p+1)에 대한 가이드 이미지는 한 개 정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촬영이 이루어진 가이드 이미지는 삭제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가이드 이미지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여 다른 가이드 이미지와 차별화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도 4는 가이드 이미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화면 중심부에도 가이드 이미지(70-3)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심 라인에는 5개의 가이드 이미지(70-1 ~ 70-5)가 표시되고, 그 상하측 라인에는 각각 3개 씩의 가이드 이미지(70-6 ~ 70-8, 70-10 ~ 70-12)가 표시되며, 최상위 및 최하위 라인에는 각각 하나 씩의 가이드 이미지(70-9, 70-13)이 표시된다. 촬영 포커스(60)는 화면 상에서 정해진 영역(예를 들어, 화면 중심부 또는 화면 모서리 중 하나 등)에서 최초 표시된 후, 촬영 기기(100)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 이미지와 일치하게 되면, 자동 촬영이 수행되고 해당 가이드 이미지의 표시 상태가 변경된다. 도 4에 따르면, 촬영이 수행된 가이드 이미지(70-3, 70-4, 70-7, 70-8)는 비활성화 형태로 변경 표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활성화 상태로 남아 있는 나머지 가이드 이미지들 방향으로 촬영 포커스(60)를 이동시키면서 파노라마 촬영을 계속 할 수 있다.
도 5는 일반 파노라마 촬영을 위한 가이드 이미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 파노라마 촬영을 위해서는 상하측 이미지는 불필요하므로, 화면(10) 상에는 가이드 이미지(80-1, 80-2, 80-3, 80-4)들이 하나의 라인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촬영 포커스(60)가 이동하다가 가이드 이미지와 일치하게 되면, 해당 가이드 이미지는 삭제되거나 또는 표시 상태가 변경되면서 촬영이 수행된다.
이상과 같이, 가이드 이미지를 이용하여 촬영을 하게 되면 사용자는 전체 파노라마 이미지 중에서 촬영한 부분과 촬영하지 않은 부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되며, 촬영 순서도 자신이 편한 대로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따르면, 화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고(S610), 그 화면 이미지 상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 및 촬영 포커스가 디스플레이된다(S620).
이러한 상태에서 촬영 기기가 움직이게 되면, 그 움직임에 따라 촬영 포커스가 이동 표시된다(S630). 이동 중이던 촬영 포커스가 가이드 이미지 중 하나와 일치하게 되면(S640), 촬영을 수행한다(S650).
촬영 포커스 및 가이드 이미지의 일치 여부는, 화면 상에서의 좌표 값을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다. 즉, 전체 화면을 가로축 및 세로축 기준으로 구분하면, 촬영 포커스 및 가이드 이미지의 각 모서리들은 (x, y) 좌표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촬영 기기는 이러한 좌표값을 직접적으로 비교하여 완전 일치하거나, 기 설정된 허용 범위 이내까지 근접하면 일치한 것으로 간주하여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촬영 포커스 및 가이드 이미지가 일치하였을 경우, 자동 촬영을 하는 대신, 사용자에게 촬영 시점임을 알리는 음향 또는 시각 메시지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직접 촬영 명령을 입력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또는, 촬영 포커스가 가이드 이미지와 일정 부분 이상 일치하면, 촬영 시점이 도래하고 있음을 알려주어 사용자가 촬영 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준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촬영 기기에서의 이미지 촬영은 반드시 자동으로 이루어져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수동 촬영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방법의 세부 구성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노라마 촬영 모드로 전환하면(S710), 화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S715), 복수 개의 가이드 이미지 및 촬영 포커스를 디스플레이한다(S720). 사용자는 촬영 기기의 메뉴 항목 중에서 모드 전환 메뉴를 선택하여, 파노라마 촬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촬영 기기의 움직임이 감지되면(S725), 그 움직임에 따라 촬영 포커스를 이동시킨다(S730). 이에 따라, 촬영 포커스 및 가이드 이미지가 일치하게 되면(S735), 촬영을 수행한다(S740).
촬영이 수행되면, 해당 가이드 이미지의 표시 상태를 변경한다(S745). 여기서, 표시 상태의 변경이란 가이드 이미지의 컬러 변경, 점멸 상태 변경, 선명도 변경, 크기 변경 등과 같은 다양한 상태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실시 예에 따라서는, 가이드 이미지 표시 자체를 삭제할 수도 있다.
한편, 하나의 가이드 이미지에 따른 촬영이 완료되면, 모든 가이드 이미지에 대한 촬영이 수행되었는지, 즉, 잔존하는 가이드 이미지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50). 판단 결과 모든 가이드 이미지에 따른 촬영이 완료되었다면, 그 때까지 생성된 이미지들을 결합하여 파노라마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파노라마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S765).
반면, 모든 가이드 이미지에 따른 촬영이 수행된 경우가 아니라면, 사용자가 촬영을 중단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760). 즉, 사용자가 촬영 종료 명령을 입력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촬영 종료 명령이 입력되었다면, 그 때까지 촬영된 이미지들을 결합하여 파노라마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파노라마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S765). 반대로 촬영 종료 명령이 입력된 경우가 아니라면, 다시 상술한 단계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즉, 화면 이미지 상에 남은 가이드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촬영 기기의 움직임에 따라 촬영 포커스를 이동시키고 일치하면 촬영을 수행한다.
한편, 이러한 파노라마 촬영 방법에서도, 상술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가이드 이미지 및 촬영 포커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자동 촬영이 수행될 때는 시각 효과 및 음향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제공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방법은,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기록 매체가 연결되거나 탑재되는 장치에서 상술한 파노라마 촬영 방법이 실행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촬영부 120 : 제어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저장부
150 : 감지부 160 : 그래픽 처리부

Claims (18)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 디스플레이; 및
    파노라마 이미지를 위한 제1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하고,
    미리 보기 이미지, 제2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미리 보기 이미지 상에 움직이는 제1 비주얼 엘리먼트, 및 상기 제1 비주얼 엘리먼트가 움직이는 동안 지정된 위치에 남아있는 제2 비주얼 엘리먼트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1 비주얼 엘리먼트가 상기 제2 비주얼 엘리먼트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제1 비주얼 엘리먼트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에 지속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비주얼 엘리먼트가 상기 제2 비주얼 엘리먼트에 실질적으로 겹쳐질 때,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위한 제2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상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위한 다른 이미지를 추가적으로 획득하지 않고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위한 상기 제1 이미지가 획득된 이후에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는, 미리 보기 이미지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입력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전자 장치.
  5. 제1항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이미지가 획득되는 것을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위한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전자 장치의 파노라마 이미지 촬영 방법에 있어서,
    파노라마 이미지를 위한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미리보기 이미지, 제2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미리보기 이미지 상에 움직이는 제1 비주얼 엘리먼트, 및 상기 제1 비주얼 엘리먼트가 움직이는 동안 지정된 위치에 남아 있는 제2 비주얼 엘리먼트를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주얼 엘리먼트 및 상기 제2 비주얼 엘리먼트 사이의 실제적인 겹쳐짐에 기초하여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위한 상기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주얼 엘리먼트가 상기 제2 비주얼 엘리먼트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제1 비주얼 엘리먼트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지속적으로 표시하는 촬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 상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위한 다른 이미지를 추가적으로 획득하지 않고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위한 상기 제1 이미지가 획득된 이후에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촬영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는 미리 보기 이미지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입력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촬영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가 획득되는 것을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위한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방법.
  13.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파노라마 이미지를 위한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미리보기 이미지, 제2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미리보기 이미지 상에 움직이는 제1 비주얼 엘리먼트, 및 상기 제1 비주얼 엘리먼트가 움직이는 동안 지정된 위치에 남아 있는 제2 비주얼 엘리먼트를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주얼 엘리먼트 및 상기 제2 비주얼 엘리먼트 사이의 실제적인 겹쳐짐에 기초하여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위한 상기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주얼 엘리먼트가 상기 제2 비주얼 엘리먼트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제1 비주얼 엘리먼트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지속적으로 표시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 상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위한 다른 이미지를 추가적으로 획득하지 않고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위한 상기 제1 이미지가 획득된 이후에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는 미리보기 이미지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입력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가 획득되는 것을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위한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70040937A 2017-03-30 2017-03-30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 기기 및 그 파노라마 촬영 방법 KR101814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937A KR101814742B1 (ko) 2017-03-30 2017-03-30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 기기 및 그 파노라마 촬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937A KR101814742B1 (ko) 2017-03-30 2017-03-30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 기기 및 그 파노라마 촬영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786A Division KR101723642B1 (ko) 2011-01-31 2011-01-31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 기기 및 그 파노라마 촬영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397A Division KR101924509B1 (ko) 2017-12-27 2017-12-27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 기기 및 그 파노라마 촬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633A KR20170039633A (ko) 2017-04-11
KR101814742B1 true KR101814742B1 (ko) 2018-01-04

Family

ID=58581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937A KR101814742B1 (ko) 2017-03-30 2017-03-30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 기기 및 그 파노라마 촬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7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252B1 (ko) 2018-05-21 2023-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파노라마 촬영 모드 자동 전환 방법
CN115988322A (zh) * 2022-11-29 2023-04-18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生成全景图像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3698A1 (en) 2006-04-25 2007-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hotographing panoramic image
US20080192125A1 (en) 2007-02-14 200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noramic photography method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3698A1 (en) 2006-04-25 2007-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hotographing panoramic image
US20080192125A1 (en) 2007-02-14 200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noramic photography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633A (ko)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642B1 (ko)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 기기 및 그 파노라마 촬영 방법
JP4181570B2 (ja) パノラマ撮影機能を支援する撮影機器及び撮影方法
KR20180098491A (ko)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434339B2 (ja) 撮像制御装置、撮像システム、撮像方法、プログラム
CN107040718B (zh) 显示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924509B1 (ko)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 기기 및 그 파노라마 촬영 방법
KR101814742B1 (ko)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 기기 및 그 파노라마 촬영 방법
JP2019106604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RU2588261C2 (ru) Устройство фотографирования для фотографирования панорамн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и осуществляемый им способ
KR20230135513A (ko) 촬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