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682B1 - Glove for finger protection - Google Patents

Glove for finger prot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682B1
KR101814682B1 KR1020170034402A KR20170034402A KR101814682B1 KR 101814682 B1 KR101814682 B1 KR 101814682B1 KR 1020170034402 A KR1020170034402 A KR 1020170034402A KR 20170034402 A KR20170034402 A KR 20170034402A KR 101814682 B1 KR101814682 B1 KR 101814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support member
glove
hollow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4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찬익
금병엽
Original Assignee
(주)한터사랑기술투자
정찬익
금병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터사랑기술투자, 정찬익, 금병엽 filed Critical (주)한터사랑기술투자
Priority to KR1020170034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6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6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05Protective gloves resistant to mechanical aggressions, e.g. cutting. pierc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06Gloves made of several layers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Li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ing glove for protecting fingers. To this end, the working glove for protecting fingers comprises: a body part which is hollow while both sides are opened; and a plurality of finger insertion parts which are hollow and connected to opened one side of the body part and also to the body part. The finger insertion part further includes: an outer skin opened toward the body part and forming the glove along with the body part, as the opened side is connected to an aperture part at one side of the body part; an inner skin hollow, inserted into the outer skin, and made of a flexible sheet-like material; and a protection member hollow to protect fingers inserted into the inner skin from external shock, made of metal or a synthetic resin capable of maintaining a shape, and provided between the inner skin and the outer skin.

Description

손가락 보호용 작업 장갑{Glove for finger protection}{Glove for finger protection}

본 발명은 손가락 보호용 작업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가 간단하며, 착용시 손가락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손가락 보호용 작업 장갑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glove for finger prote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rk glove for finger protection which is simple to manufacture and frees the movement of a finger when worn.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음식을 만들기 위해서는 식칼을 이용하여 음식재료를 써는 동작 전에 식칼을 잡고 있지 않은 다른 손의 손가락 단부로 음식재료를 파지하여 압압한 상태에서 식칼로 음식재료를 썰어 조리하는 것이 통상적이다.Generally, in order to make food in the kitchen, it is common to cut and grind the food material with a knife while holding the food material by holding the food material with the end of the finger of the other hand, which does not hold the knife before operating the food material using the knife .

이때, 피대상물인 음식재료를 파지하는 손가락 부위에 별도의 손가락 보호구가 착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칼질을 할 경우, 조금만 부주의하거나 한눈을 파는 사이에 오동작으로 인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베일 뿐만 아니라 심하게는 손가락 마디가 절단되어 장애를 입게 될 우려가 있었다.In this case, when the finger is not worn by the finger protector on the finger portion to grip the food material, the user's fingers are not only bent, There is a fear that the breakage may be caused and the breakage may be caus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작업용 보호장갑(100)은 몸체부(110)와 손가락 삽입부(13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protective glove for work 100 includes a body 110 and a finger insertion unit 130.

몸체부(110)는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몸체부(110)는 일측으로 개구되고, 타측은 복수의 손가락 삽입부(130)가 연결된다. 상기 몸체부(110)의 일측면에는 착용시 엄지손가락이 삽입될 홀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10)의 일측면에 형성된 홀에는 엄지손가락이 삽입될 손가락 삽입부(130)가 연결된다.The body portion 110 is provided as a hollow body. The body 110 is open at one side and a plurality of finger insertion units 130 are connected at the other side. One side of the body 110 is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a thumb can be inserted when worn. A finger insertion part 130 to which a thumb is to be inserted is connected to a hole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body part 110.

상기 손가락 삽입부(130)는 상기 몸체부(110) 내로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손가락 삽입부(130)는 일측이 개구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손가락 삽입부(130)는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엄지손가락이 삽입될 손가락 삽입부(130)는 상기 몸체부(110)에 형성된 홀에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손가락 삽입부(130)의 개구된 측이 상기 몸체부(110)에 연결된다.The finger insertion unit 130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body 110. The finger insertion unit 130 is provided as a hollow body having one side opened. The plurality of finger insertion units 130 are provided. The finger insertion portion 130 to which the thumb is to be inserted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a hole formed in the body 110. The opened side of the finger insertion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body 110.

상기 손가락 삽입부(130)는 제1 지지부(131)와, 제2 지지부(135)와, 굴곡부(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지지부(131)는 착용시 손가락 단부가 삽입되고, 굴곡부(133)는 손가락 관절에 위치되며, 제2 지지부(135)는 손가락 관절 사이와 상기 관절과 몸체부(110) 사이에 위치된다.The finger insertion portion 130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131, a second support portion 135, and a bent portion 133. The first supporting part 131 is inserted in the finger end, the bending part 133 is located in the finger joint, and the second supporting part 135 is located between the finger joints and between the joint and the body part 110 .

상기 제1 지지부(131)는 오목한 형태로서 일측으로 개구된다. 상기 제1 지지부(131)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The first support portion 131 has a concave shape and opens to one side. The first support part 131 is made of metal such as aluminum or stainless steel.

상기 제2 지지부(135)는 양측이 개구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지지부(135)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지지부(135) 중 1개는 굴곡부(133) 사이에 연결되고, 나머지 1개는 일측이 굴곡부(133)에 연결되고 타측이 몸체부(110)에 연결된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135 is provided as a hollow body having both open sides. The second support part 135 is made of metal such as aluminum or stainless steel. On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s 135 is connected between the bent portions 133 and on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s 135 is connected to the bending portion 133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11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곡부(133)는 양측이 개구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굴곡부(133)는 상기 제1 지지부(131)의 개구된 측에 연결되거나, 제2 지지부(135) 사이에 연결 구비된다. 상기 굴곡부(133)는 내층(132)과, 외층(134)과, 손가락 보호층(13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굴곡부(133)는 내층(132), 외층(134), 손가락 보호층(136) 순으로 적층되어 구비된다.As shown in FIG. 2, the bent portion 133 is provided as a hollow body having both open sides. The bent portion 133 may be connected to the open sid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31 or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portions 135. The bending portion 133 includes an inner layer 132, an outer layer 134, and a finger protection layer 136. The bent portion 133 is formed by laminating the inner layer 132, the outer layer 134, and the finger protection layer 136 in this order.

상기 내층(132)과 외층(134)은 섬유로 이루어진다. 착용시 손가락은 내층(132) 내로 삽입된다. 상기 외층(134)은 상기 내층(132)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외층(134)은 손가락 보호층(136) 상부에 적층되어 구비된다.The inner layer 132 and the outer layer 134 are made of fibers. When worn, the fingers are inserted into the inner layer 132. The outer layer 134 is spaced outwardly from the inner layer 132. The outer layer 134 is stacked on the finger protection layer 136.

상기 손가락 보호층(136)은 복수의 고리부재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손가락 보호층(136)은 상기 내층(132)과 외층(134) 사이에 구비된다.The finger protection layer 136 is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loop members. The finger protection layer 136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layer 132 and the outer layer 134.

상기 고리부재는 양측이 개구된 중공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리부재는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고리부재는 금속 등의 재질로 구비된다. 상기 고리부재는 제1 고리(1331)와, 제2 고리(1332)와, 연결부(133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리부재의 단면 일측은 "∽"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ring member is composed of a hollow body having openings on both sides. The plurality of ring members are provided. The ring member is made of a metal or the like. The ring member includes a first ring 1331, a second ring 1332, and a connecting portion 1333. One sid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annular member is in the form of "∽".

상기 제1 고리(1331)는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되고, 제2 고리(1332)는 내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고리(1331)와 제2 고리(1332)는 상기 연결부(1333)로 연결된다. 상기 제1 고리(1331)와 제2 고리(1332)의 단부는 상기 연결부(1333)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고리부재는 상기 제1 고리(1331)와 이웃하는 제2 고리(1332)가 서로 삽입되며 연결된다.The first ring 1331 is bent toward the outside and the second ring 1332 is bent toward the inside. The first ring 1331 and the second ring 1332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333. End portions of the first ring 1331 and the second ring 1332 are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ng portion 1333. The first ring 1331 and the second ring 1332 adjacent to each other are insert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종래의 작업용 보호장갑(100)은 고리부재가 제조하기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복수의 고리부재를 연결하기 어려워 제조가 어려우며, 보호장갑 착용시 손가락의 움직임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The conventional protective glove for work 100 has a complicated structure for manufacturing the loop member, making it difficult to connect a plurality of loop members, making it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discomforting movement of fingers when wearing protective glove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129194호(2016.11.0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29194 (2016.11.09)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보호부재의 제조가 간단하여 장갑 제조가 용이하며, 착용시 손가락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손가락 보호용 작업 장갑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tective glove for protecting fingers, which can easily manufacture gloves,

본 발명의 손가락 보호용 작업 장갑은 양측으로 개구된 중공체인 몸체부와, 중공체로서 몸체부의 개구된 일측에 연결되어 몸체부와 연통된 복수의 손가락 삽입부로 이루어지며;The glove for protecting fing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llow body portion opened to both sides and a plurality of finger insertion portion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s a hollow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body portion,

상기 손가락 삽입부는 상기 몸체부를 향하여 개구되며 개구된 측이 몸체부의 일측 개구부에 연결되어 몸체부와 함께 장갑을 형성하는 외피와, 플렉시블한 시트상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외피의 내로 삽입되는 중공체인 내피와,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구비되며 형태가 유지되는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이루어져 외부 충격으로부터 내피 내로 삽입된 손가락을 보호하는 중공체인 보호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호용 작업 장갑을 제공한다.Wherein the finger insertion portion is open toward the body portion and the opened side is connected to one opening of the body portion to form a glove together with the body portion, an inner skin made of a flexible sheet material and inserted into the outer skin, And a protective member made of a synthetic resin or metal that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kin and the outer skin to protect the finger inserted into the inner skin from external impact.

상기에서, 착용시 검지, 약지, 중지, 단지가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상기 보호부재는 중공체이며 양측이 개구된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와, 제3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며;In the above, the protective member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index finger, the finger, the stop, and the finger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complex is inserted is a hollow member, a first support member having both open sides, a second support member, A support member;

상기 몸체부에서 손가락 삽입부의 단부로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와, 제3 지지부재가 차례로 구비되며;A first support member, a second support member, and a third support member are sequentially disposed at an end of the finger insertion unit in the body portion;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제2 지지부재 쪽 단부의 하부에는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양단부의 하부에는 하향 경사진 제2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지지부재의 제2 지지부재 쪽 단부의 하부에는 하향 경사진 제3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an end portion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towar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A second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ly is formed at lower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a downwardly inclined third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end of the third support member on the sid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상기에서, 착용시 엄지가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에 구비되는 상기 보호부재는 중공체이며 양측이 개구된 제1 지지부재와, 제3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며;In this case, the protective member provided in the finger insertion unit to which the thumb is inserted when worn is composed of a first supporting member having a hollow body and open on both sides, and a third supporting member;

상기 몸체부에서 손가락 삽입부의 단부로 제1 지지부재와, 제3 지지부재가 차례로 구비되며;A first support member and a third support member are provided in order from the body portion to the end of the finger insertion portion;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제3 지지부재 쪽 단부의 하부에는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지지부재의 제1 지지부재 쪽 단부의 하부에는 하향 경사진 제3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end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toward the third supporting member; And a third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end of the third supporting member on the side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상기에서, 제3 지지부재의 손가락 끝쪽 단부는 하향 경사진 제4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end portion of the fingertip of the third support member is formed as a fourth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상기에서, 상기 제3 지지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제3 경사면과 제4 경사면 사이에 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structure, a hole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hird support member between the third inclined surface and the fourth inclined surface.

상기에서, 내피의 외면에는 손가락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걸림부재가 더 구비되며;In the above,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kin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내피로부터 외향 돌출 형성되며,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 제2 지지부재와 제3 지지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atching member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inner skin, and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between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상기에서, 내피의 외면에는 걸림부재가 더 구비되며;In the above,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kin is further provided with a latching member;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내피로부터 외향 돌출 형성되며, 제1 지지부재와 제3 지지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latching member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inner skin and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third support members.

상기에서, 보호부재와 외피 사이에는 섬유로 이루어진 중피가 더 포함되며; In the above, the protective member and the sheath further include a sheath made of fibers;

상기 중피는 적어도 몸체부 쪽으로 개구된 중공체이며;Wherein the heavy body is a hollow body at least opened to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상기 중피의 내면에는 손가락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걸림부재가 구비되며;A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vy blood;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중피로부터 내향 돌출 형성되며,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 제2 지지부재와 제3 지지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atching member is formed to protrude inwardly from the heavy body and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between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상기에서, 보호부재와 외피 사이에는 섬유로 이루어진 중피가 더 포함되며; In the above, the protective member and the sheath further include a sheath made of fibers;

상기 중피는 적어도 몸체부 쪽으로 개구된 중공체이며;Wherein the heavy body is a hollow body at least opened to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상기 중피의 내면에는 걸림부재가 구비되며;An engag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vy body;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중피로부터 내향 돌출 형성되며, 제1 지지부재와 제3 지지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atching member is formed to protrude inwardly from the heavy body, and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third support members.

상기에서, 상기 보호부재와 외피 사이에는 섬유로 이루어진 중피가 더 포함되며;In the above, the protective member and the sheath further include a sheath made of fibers;

상기 내피의 외면과 중피의 내면 중 적어도 일면은 상기 보호부재와 접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ki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eavy body is adhered to the protective member.

상기에서, 내피는 손가락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내피부재로 이루어지며;In the above, the endothelium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endothelial members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

상기 내피부재 사이에는 걸림부재가 구비되며;An engag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member and the inner member;

상기 걸림부재는 양단이 각각 서로 이웃하는 내피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내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atch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adjacent end-piece members at both ends, and is protruded outward from the endothelium.

상기에서, 보호부재와 외피 사이에는 섬유로 이루어진 중피가 더 포함되며; In the above, the protective member and the sheath further include a sheath made of fibers;

상기 중피는 적어도 몸체부 쪽으로 개구된 중공체이며;Wherein the heavy body is a hollow body at least opened to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상기 중피는 손가락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중피부재로 이루어지며;Wherein the heavy finger is made of a plurality of heavy skin materials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

기 중피부재 사이에는 걸림부재가 구비되며;And an engag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skin members;

상기 걸림부재는 양단이 각각 서로 이웃하는 중피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중피로부터 내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atch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adjacent skin members at both ends, and is protruded inward from the heavy fat.

본 발명에 따르는 손가락 보호용 작업 장갑은 보호부재의 제조가 간단하여 장갑 제조가 용이하며, 장갑 착용시 손가락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효과가 있다.The protective glove for finger pro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manufacture because of the simple manufacture of the protective member, and has the effect of free movement of the finger when wearing gloves.

도 1은 종래의 작업용 보호장갑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보호용 작업 장갑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보호용 작업 장갑의 보호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보호용 작업 장갑의 제3 지지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보호용 작업 장갑의 보호부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rotective glove for work,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A portion of FIG. 1,
3 is a plan view showing a glove for finger pro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A portion of FIG. 3,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ective member of a work glove for finger pro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 third supporting member of the work glove for finger pro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protective member of a work glove for finger pro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손가락 보호용 작업 장갑(200)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nger protecting work glove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보호용 작업 장갑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보호용 작업 장갑의 보호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보호용 작업 장갑의 제3 지지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보호용 작업 장갑의 보호부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finger protecting work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A in FIG. 3,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ective member of a finger protecting work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third support member of the finger protection protective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tection member of the finger protection protective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에서 손바닥이 향하는 방향을 "하향"으로 하고, 내피(233)로부터 외피(237)를 향하는 방향을 "외향" 또는 "외측"으로 하며, 외피(237)로부터 내피(233)를 향하는 방향을 "내향" 또는 "내측"으로 하여 설명한다.The direction in which the palm is directed downward in FIGS. 3 and 4 is referred to as "downward" and the direction from the inner skin 233 toward the outer skin 237 is referred to as "outward" or "outer", and the inner skin 233 Quot; inward "or" inward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보호용 작업 장갑(200)은 몸체부(210)와 복수의 손가락 삽입부(23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3, the protective glove 200 for protecting fing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210 and a plurality of finger insertion units 230.

상기 몸체부(210)는 양측으로 개구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몸체부(210)는 일측으로 개구되고, 타측은 복수의 손가락 삽입부(230)가 연결된다. 상기 몸체부(210)는 면과 같은 섬유나 유연한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body portion 210 is provided as a hollow body opened to both sides. The body portion 210 is open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with a plurality of finger insertion portions 230. The body portion 210 is made of fibers such as cotton or a flexible rubber.

상기 손가락 삽입부(230)는 일측이 개구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손가락 삽입부(230)는 개구된 측이 상기 몸체부(210)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손가락 삽입부(230)는 상기 몸체부(210)의 개구된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210)와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착용시 상기 손가락 삽입부(230)에 손가락이 삽입된다.The finger insertion portion 230 is provided as a hollow body having one side opened. The finger insertion unit 230 is connected to the body 210 on an opened side thereof. The finger inserting unit 23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210 and communicates with the body 210. A finger is inserted into the finger insertion portion 230 when worn.

상기 손가락 삽입부(230)는 외피(237)와, 내피(233)와, 보호부재(231)로 이루어지고, 중피(235)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finger insertion unit 230 may include a skin 237, an inner skin 233, and a protective member 231, and may further include a skin 235.

상기 외피(237)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섬유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피(237)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외피(237)는 상기 몸체부(210)를 향하여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외피(237)는 개구된 측이 상기 몸체부(210)의 일측 개구부에 연결되어 몸체부(210)와 함께 장갑 형태로 형성된다.The sheath 237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e outer cover 237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The cover 237 is formed to open toward the body 210. The opening 237 of the outer shell 237 is connected to one opening of the body 210 and is formed as a glove together with the body 210.

상기 내피(233)는 플렉시블한 시트상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피(233)는 섬유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피(233)는 적어도 일측이 개구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내피(233)는 양측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피(233)는 상기 외피(237)의 내로 삽입 구비된다. 착용시 손가락은 상기 내피(233) 내로 삽입된다.The inner film 233 is made of a flexible sheet-like material. The inner membrane 233 is made of fibers. The inner skin 233 is provided with a hollow body having at least one side thereof opened. The inner surface 233 may be formed with both open sides. The inner skin 233 is inserted into the outer skin 237. The fingers are inserted into the inner skin 233 when worn.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부재(231)는 양측이 개구된 관체인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보호부재(231a)의 단면은 타원형으로 형성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바닥 방향의 타원의 일부가 직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protective member 231 is provided as a hollow body, which is a tube having both open sides. The cross section of the protective member 231a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or a part of the ellipse in the palm direction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as shown in FIG.

상기 보호부재(231)의 손바닥 방향의 타원의 일부가 직선인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보호부재(231)의 상부는 원호상인 원호부(231a)로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원호부(231a)의 단부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직선인 바닥부(231c)로 형성된다. 상기 원호부(231a)와 바닥부(231c) 사이에는 원호부(231a)의 양단부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굴곡부(231b)가 형성된다. 상기 보호부재(231)는 손바닥 방향이 직선인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착용감이 향상되고, 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protection member 231 is formed as an arc portion 231a which is an arc shap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ection member 231 is formed by the circular arc portion 231a of the arc portion 231a And is formed as a straight bottom portion 231c that is b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d portions face each other. Bending portions 231b are formed between the circular arc portion 231a and the bottom portion 231c such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circular arc portion 231a are bent toward each other. The protective member 231 is formed in a linear shape in the direction of the palm, so that the feeling of fit is improved and the operation is facilitated.

상기 보호부재(231)는 형태가 유지되는 합성수지,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보호부재(231)는 PA6, PA66, PA66에 유리섬유로 보강한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호부재(231)는 내피(233)와 외피(235)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보호부재(231)의 내면은 상기 내피(233)와 접착(A)되어 고정될 수 있고, 외면은 중피(235)와 접착(A)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protective member 231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metal, or the like. For example, the protective member 231 is made of a material reinforced with glass fiber for PA6, PA66, PA66 or the like. The protection member 231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kin 233 and the outer skin 235.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member 231 may be fixed to the inner skin 233 and fixed to the inner skin 233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ective member 231 may be fixed to the inner skin 235 by adhesion.

장갑(200) 착용시 상기 보호부재(231)는 상기 내피(233) 내로 삽입된 손가락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When the glove 200 is worn, the protective member 231 protects the finger inserted into the inner skin 233 from an external impact.

장갑(200) 착용시 검지, 약지, 중지, 단지가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230)의 보호부재(231)는 제1 지지부재(231-1)와, 제2 지지부재(231-2)와, 제3 지지부재(23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지지부재(231-1), 제2 지지부재(231-2), 제3 지지부재(231-3)는 양측이 개구된 관체인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보호부재(231)는 몸체부(210)로부터 손가락 삽입부(230)의 단부를 항하며 제1 지지부재(231-1), 제2 지지부재(231-2), 제3 지지부재(231-3)가 차례로 구비된다.The protective member 231 of the finger inserting portion 230 into which the finger, the finger, the stop and the complex are inserted when the glove 200 is worn is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31-1 and 231-2 , And a third support member 231-3.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31-1,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31-2, and the third supporting member 231-3 are provided as a hollow body, which is a tube having both open sides. The protective member 231 protrudes from the body 210 toward the end of the finger insertion unit 230 and supports the first support member 231-1, the second support member 231-2, the third support member 231 -3).

상기 제1 지지부재(231-1)는 양측이 개구된 관체인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부재(231-1)의 제2 지지부재(231-2) 쪽 단부에는 제1 경사면(231-1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경사면(231-1a)은 상기 제2 지지부재(231-2) 쪽 단부의 하부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first support member 231-1 is provided as a hollow body, which is a tube having both open sides. A first inclined surface 231-1a is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31-1 toward the second support member 231-2. The first inclined surface 231-1a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31-2.

상기 제2 지지부재(231-2)는 양측이 개구된 관체인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지지부재(231-2)의 양단부에는 제2 경사면(231-2a)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경사면(231-2a)은 제2 지지부재(231-2)의 양단부의 하부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측 단부의 제2 경사면(231-2a)은 상기 제1 경사면(231-1a)과 마주하도록 형성되고, 타측 단부의 제2 경사면(231-2a)은 제3 지지부재(231-3)의 제3 경사면(231-3a)과 마주하도록 형성된다.The second support member 231-2 is provided as a hollow body, which is a tube having both open sides. At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31-2, a second inclined surface 231-2a is forme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31-2a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31-2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31-2a at one end is formed so as to face the first inclined surface 231-1a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31-2a at the other end is formed so as to face the first inclined surface 231-2a of the third support member 231-3 3 inclined plane 231-3a.

상기 제3 지지부재(231-3)는 양측이 개구된 관체인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3 지지부재(231-3)의 일측 단부에는 제3 경사면(231-3a)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제4 경사면(231-3b)이 형성된다. 상기 제3 경사면(231-3a)은 상기 제2 지지부재(231-2) 쪽 단부의 하부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3 경사면(231-3a)은 상기 제2 경사면(231-2a)과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4 경사면(231-3b)은 손가락 끝쪽 단부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third support member 231-3 is provided as a hollow body, which is a tube having both open sides. A third inclined surface 231-3a is formed at one end of the third support member 231-3 and a fourth inclined surface 231-3b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support member 231-3. The third inclined surface 231-3a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t a lower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31-2. The third inclined surface 231-3a is formed to face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31-2a. The fourth inclined surface 231-3b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t the end of the fingertip.

상기 제3 지지부재(231-3)의 하부에는 홀(231-3c)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홀(231-3c)은 상기 제3 경사면(231-3a)과 제4 경사면(231-3b)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홀(231-3c)이 형성됨으로써 물체를 파지할 때 용이하게 할 수 있다.A hole 231-3c is forme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third support member 231-3. The holes 231-3c are formed between the third inclined surface 231-3a and the fourth inclined surface 231-3b. By forming the holes 231-3c, the object can be easily gripped.

착용시 엄지가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230)에 보호부재(231)는 제1 지지부재(231-1)와 제3 지지부재(23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지지부재(231-1)와 제3 지지부재(231-3)는 양측이 개구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보호부재(231)는 몸체부(210)에서 손가락 삽입부(230)의 단부로 제1 지지부재(231-1), 제3 지지부재(231-3)가 차례로 구비된다.The protective member 231 is composed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31-1 and the third supporting member 231-3 in the finger inserting portion 230 where the thumb is inserted when worn. The first support member 231-1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231-3 are provided as a hollow body having both open sides. The protective member 231 is provided with a first support member 231-1 and a third support member 231-3 sequentially from the body portion 210 to the end of the finger insertion unit 230. [

상기 제1 지지부재(231-1)는 양측이 개구된 관체인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부재(231-1)의 제3 지지부재(231-3) 쪽 단부에는 제1 경사면(231-1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경사면(231-1a)은 상기 제3 지지부재(231-3) 쪽 단부의 하부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first support member 231-1 is provided as a hollow body, which is a tube having both open sides. A first inclined surface 231-1a is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31-1 toward the third support member 231-3. The first inclined surface 231-1a is inclined downward at the lower end of the third supporting member 231-3.

상기 제3 지지부재(231-3)는 양측이 개구된 관체인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3 지지부재(231-3)의 일측 단부에는 제3 경사면(231-3a)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제4 경사면(231-3b)이 형성된다. 상기 제3 경사면(231-3a)은 상기 제1 지지부재(231-2) 쪽 단부의 하부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3 경사면(231-3a)은 상기 제1 경사면(231-2a)과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4 경사면(231-3b)은 손가락 끝쪽 단부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third support member 231-3 is provided as a hollow body, which is a tube having both open sides. A third inclined surface 231-3a is formed at one end of the third support member 231-3 and a fourth inclined surface 231-3b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support member 231-3. The third inclined surface 231-3a is inclined downwar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31-2. The third inclined surface 231-3a is formed to face the first inclined surface 231-2a. The fourth inclined surface 231-3b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t the end of the fingertip.

상기 제3 지지부재(231-3)의 하부에는 홀(231-3c)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홀(231-3c)은 상기 제3 경사면(231-3a)과 제4 경사면(231-3b)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홀(231-3c)이 형성됨으로써 물체를 파지할 때 용이하게 할 수 있다.A hole 231-3c is forme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third support member 231-3. The holes 231-3c are formed between the third inclined surface 231-3a and the fourth inclined surface 231-3b. By forming the holes 231-3c, the object can be easily gripped.

상기 중피(235)는 플렉시블한 시트상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피(235)는 섬유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피(235)는 일측이 개구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중피(235)는 개구된 측이 상기 몸체부(210)에 연결 구비된다. 상기 중피(235)는 양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중피(235)는 상기 외피(237)의 내로 삽입 구비된다. 상기 중피(235)는 상기 외피(237)와 보호부재(231) 사이에 구비된다. 사이 중피(235)는 상기 보호부재(231)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중피(235)는 상기 보호부재(231)와 접착(A)되어 고정 구비될 수 있다.The dirt 235 is made of a flexible sheet-like material. The dirt 235 is made of fibers. The dirt 235 is provided as a hollow body having one side opened. The open side of the dirt 235 is connected to the body 210. The dirt 235 may be formed to open on both sides. The sheath 235 is inserted into the sheath 237. The sheath 235 is provided between the sheath 237 and the protective member 231. The protrusion 235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ection member 231. The sheath 235 may be fixedly attached to the protective member 231 by adhesion.

상기 내피(233)와 중피(235)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C)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재(C)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부재(C)는 링 형태이거나 도트(dot)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내피(233)에 구비된 걸림부재(C)는 상기 내피(233)의 외면에 코팅되어 외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피(235)에 구비된 걸림부재(C)는 중피(235)의 내면에 코팅되어 내향으로 돌출 형성된다.At least one latching member (C) is provided on the inner skin (233) and the skin (235). The latching member (C)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The latching member C is provided in a ring shape or a dot shape. The engaging member C provided on the inner skin 233 is co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kin 233 and protrudes outwardly. And is protruded inwardly.

착용시 검지, 약지, 중지, 단지가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230)의 내피(233)와 중피(235)에 구비되는 상기 걸림부재(C)는 손가락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재(C)는 제1 지지부재(231-1)와 제2 지지부재(231-2) 사이 및 제2 지지부재(231-2)와 제3 지지부재(231-3) 사이에 위치한다. The engaging member C provided on the inner skin 233 and the skin 235 of the finger inserting portion 230 into which the detecting finger, the finger ring, the stop and the complex are inserted when worn is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 do. The engaging member C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31-1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31-2 and between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31-2 and the third supporting member 231-3 do.

상기 내피(233)에 구비된 걸림부재(C)는 몸체부(210) 쪽의 내피(233)의 단부, 손가락 삽입부(230)의 단부 쪽의 내피(233)의 단부에 더 구비될 수 있다.The engaging member C provided on the inner skin 233 may further be provided on an end of the inner skin 233 on the side of the body 210 and an end of the inner skin 233 on the end of the finger insertion portion 230 .

상기 중피(235)에 구비된 걸림부재(C)는 몸체부(210) 쪽의 중피(235)의 단부, 손가락 삽입부(230)의 단부 쪽의 중피(235)의 단부에 더 구비될 수 있다.The engaging member C provided on the protrusion 235 may be further provided on an end of the protrusion 235 on the side of the body 210 and an end of the protrusion 235 on the end of the finger insertion portion 230 .

착용시 엄지가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230)의 내피(233)와 중피(235)에 구비되는 상기 걸림부재(C)는 손가락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재(C)는 제1 지지부재(231-1)와 제3 지지부재(231-3) 사이에 위치한다.The inner skin 233 of the finger inserting portion 230 and the engaging member C provided on the inserting portion 235 to which the thumb is inserted are provid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 The engaging member C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31-1 and the third supporting member 231-3.

상기 내피(233)에 구비된 걸림부재(C)는 몸체부(210) 쪽의 내피(233)의 단부, 손가락 삽입부(230)의 단부 쪽의 내피(233)의 단부에 더 구비될 수 있다.The engaging member C provided on the inner skin 233 may further be provided on an end of the inner skin 233 on the side of the body 210 and an end of the inner skin 233 on the end of the finger insertion portion 230 .

상기 중피(235)에 구비된 걸림부재(C)는 몸체부(210) 쪽의 중피(235)의 단부, 손가락 삽입부(230)의 단부 쪽의 중피(235)의 단부에 더 구비될 수 있다.The engaging member C provided on the protrusion 235 may be further provided on an end of the protrusion 235 on the side of the body 210 and an end of the protrusion 235 on the end of the finger insertion portion 230 .

상기 걸림부재(C)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손가락을 굽힐 때 형태가 변형되었다가 손가락을 폈을 때 원래 상태로 복원되어 착용시 손가락 움직임이 자유롭게 된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231)를 이루는 제1 지지부재(231-1), 제2 지지부재(231-2), 제3 지지부재(231-3)는 상기 걸림부재(C)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손가락의 길이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latching member (C)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When the finger is bent, the latching member (C) is deformed. When the finger is opened, the latching member (C)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31-1,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31-2 and the third supporting member 231-3 constituting the protective member 231 are positioned between the engaging members C The finger is prevented from fall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

상기 내피(233)는 복수의 내피부재(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피부재는 손가락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구비된다. 착용시 검지, 약지, 중지, 단지가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230)의 내피부재는 3개의 링 형태로 구비된다. 착용시 엄지가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230)의 내피부재는 2개의 링 형태로 구비된다.The inner skin 233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inner skin members (not shown). The endothelium material is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 The endothelium member of the finger insertion unit 230 into which the index finger, the finger ring, the stop finger, and the jug is inserted when worn is provided in the form of three rings. The endothelium member of the finger insertion unit 230 into which the thumb is inserted is provided in the form of two rings.

복수의 내피부재가 구비된 경우, 상기 걸림부재(C)는 손가락의 길이 방향 양측이 각각 서로 이웃하는 내피부재에 연결 구비된다. 상기 내피부재는 걸림부재(C)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내피(233)를 이룬다.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endothelium members are provided, the engaging member (C) is connected to the adjacent end-face members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s. The endothelium material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engaging member (C) to form an inner skin (233).

상기 중피(235)는 복수의 중피부재(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피부재는 손가락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구비된다. 착용시 검지, 약지, 중지, 단지가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230)의 중피부재는 3개의 링 형태로 구비된다. 착용시 엄지가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230)의 중피부재는 2개의 링 형태로 구비된다.The dirt 235 may consist of a plurality of dermal materials (not shown). The skin material is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 The inner skin of the finger inserting part 230 into which the index finger, the finger ring, the stop finger, and the jug is inserted when the finger is worn is provided in the form of three rings. The middle skin of the finger inserting part 230 into which the thumb is inserted when worn is provided in the form of two rings.

복수의 중피부재로 구비된 경우, 상기 걸림부재(C)는 손가락의 길이 방향 양측이 각각 서로 이웃하는 중피부재에 연결 구비된다. 상기 중피부재는 걸림부재(C)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중피(235)를 이룬다.In the case of a plurality of middle skin members, the engaging member (C) is connected to the middle skin member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s. The skin materia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latching member (C) to form a skin (235).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보호용 작업 장갑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finger protection work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200 : 손가락 보호용 작업 장갑
210 : 몸체부 230 : 손가락 삽입부
231 : 보호부재 231-1 : 제1 지지부재
231-2 : 제2 지지부재 231-3 : 제3 지지부재
233 : 내피 235 : 중피
237 : 외피
200: finger protection work gloves
210: body portion 230: finger insertion portion
231: protective member 231-1: first supporting member
231-2: second support member 231-3: third support member
233: endothelium 235:
237: envelope

Claims (7)

양측으로 개구된 중공체인 몸체부(210)와, 중공체로서 몸체부(210)의 개구된 일측에 연결되어 몸체부(210)와 연통된 복수의 손가락 삽입부(2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가락 삽입부(230)는 상기 몸체부(210)를 향하여 개구되며 개구된 측이 몸체부(210)의 일측 개구부에 연결되어 몸체부(210)와 함께 장갑을 형성하는 외피(237)와, 플렉시블한 시트상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외피(237)의 내로 삽입되는 중공체인 내피(233)와, 상기 내피(233)와 외피(237) 사이에 구비되며 형태가 유지되는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이루어져 외부 충격으로부터 내피 내로 삽입된 손가락을 보호하는 중공체인 보호부재(231)로 이루어지며;
착용시 검지, 약지, 중지, 단지가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2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상기 보호부재(231)는 중공체이며 양측이 개구된 제1 지지부재(231-1)와, 제2 지지부재(231-2)와, 제3 지지부재(231-3)로 이루어져, 몸체부(210)에서 손가락 삽입부(230)의 단부로부터 제1 지지부재(231-1)와, 제2 지지부재(231-2)와, 제3 지지부재(231-3)가 차례로 구비되며;
상기 내피(233)의 외면에는 손가락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걸림부재(C)가 더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재(C)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피(233)의 외면에 코팅되어 외향 돌출 형성되며, 제1 지지부재(231-1)와 제2 지지부재(231-2), 제2 지지부재(231-2)와 제3 지지부재(231-3) 사이에 구비되어 손가락 길이 방향으로 제1 지지부재(231-1)와), 제2 지지부재(231-2)와, 제3 지지부재(231-3)의 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호용 작업 장갑.
And a plurality of finger inserting portions 23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210 as an hollow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body portion 210;
The finger inserting unit 230 includes a sheath 237 which is opened toward the body 210 and connected to one opening of the body 210 to form a glove with the body 210, A hollow chain 233 made of a flexible sheet material and inserted into the outer sheath 237 and a synthetic resin or metal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heath 233 and the outer sheath 237 and retains its shape, And a hollow chain protecting member (231) for protecting the finger inserted into the endothelium;
The protective member 231, which is provided at one or more of the finger insertion portions 230 into which the detection finger, the finger ring, the stop finger, and the finger is inserted when the finger is worn,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231-1 having a hollow body, The second support member 231-2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231-3 so that the first support member 231-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31-2 are separated from the end of the finger insertion portion 230 in the body portion 210, 2 support member 231-2, and a third support member 231-3 in this order;
A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C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 are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film 233. The engaging member C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co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film 233, And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31-1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31-2, between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31-2 and the third supporting member 231-3, The second support member 231-2,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231-3 are prevented from being displaced from each oth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231)와 외피(237) 사이에는 섬유로 이루어진 중피(235)가 더 포함되며; 상기 중피(235)는 적어도 몸체부(210) 쪽으로 개구된 중공체이며;
상기 중피(235)의 내면에는 손가락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며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걸림부재(C)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재(C)는 상기 중피(235)의 내면에 코팅되어 내향 돌출 형성되며, 제1 지지부재(231-1)와 제2 지지부재(231-2), 제2 지지부재(231-2)와 제3 지지부재(231-3)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호용 작업 장갑.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esh (235) between the protection member (231) and the sheath (237) The dirt 235 is a hollow body that is open at least toward the body portion 21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irt 235, a plurality of latching members C sp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 and made of a rubber material are provided; The engaging member C is co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me 235 and protrudes inwar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31-1 and 231-2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31-2 )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231-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에 구비되는 걸림부재(C)는 링형태 또는 도트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호용 작업 장갑.The protective glove for finger protec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atching member (C) provided on the inner skin is provided in a ring shape or a dot sha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34402A 2017-03-20 2017-03-20 Glove for finger protection KR1018146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402A KR101814682B1 (en) 2017-03-20 2017-03-20 Glove for finger prot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402A KR101814682B1 (en) 2017-03-20 2017-03-20 Glove for finger prot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682B1 true KR101814682B1 (en) 2018-01-08

Family

ID=61003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402A KR101814682B1 (en) 2017-03-20 2017-03-20 Glove for finger prot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682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6899A (en) * 2018-09-30 2018-12-07 湖南华曙高科技有限责任公司 A kind of gloves, gloves, which refer to, to be buckle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90121014A (en) 2018-04-17 2019-10-25 울산과학기술원 Self-adhesive transparent electrod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WO2020106008A1 (en) * 2018-11-21 2020-05-28 정세환 Wearable bite block
KR20220001654A (en)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아일라글로벌 Work glov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14982A1 (en) * 2003-12-01 2005-06-02 Gremmert Kurt A. Reinforced protective glove
JP2005240221A (en) * 2004-02-26 2005-09-08 Dainippon Ink & Chem Inc Working glov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14982A1 (en) * 2003-12-01 2005-06-02 Gremmert Kurt A. Reinforced protective glove
JP2005240221A (en) * 2004-02-26 2005-09-08 Dainippon Ink & Chem Inc Working glov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014A (en) 2018-04-17 2019-10-25 울산과학기술원 Self-adhesive transparent electrod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108936899A (en) * 2018-09-30 2018-12-07 湖南华曙高科技有限责任公司 A kind of gloves, gloves, which refer to, to be buckle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20106008A1 (en) * 2018-11-21 2020-05-28 정세환 Wearable bite block
KR20200059685A (en) * 2018-11-21 2020-05-29 정지환 Wearable bite block
KR102134134B1 (en) * 2018-11-21 2020-07-15 정지환 Wearable bite block
KR20220001654A (en)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아일라글로벌 Work glov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682B1 (en) Glove for finger protection
US7546644B2 (en) Protective glove
CN110602960A (en) Protective glove with impact protection
US20150181955A1 (en) Ambidextrous, anti-vibration glove with impact and pinch point protection
KR950013425A (en) Golf glove
US9420836B1 (en) Astronaut gloves with finger extensions
US9067123B1 (en) Workout glove having a wrist wrap
JP2007508469A (en) Gloves or pair of gloves
US20190364997A1 (en) Athletic Glove Strengthened by Applying a Coating Layer
JP2021165459A (en) Glove
KR102501034B1 (en) A Golf Groove with a Slip Preventing Pad
KR102023369B1 (en) A Wrist Protector
US6883639B1 (en) Stethoscope
JP6560100B2 (en) gloves
KR102028672B1 (en) Golf glove
KR101434519B1 (en) Rubber gloves for work
KR200456436Y1 (en) Winter Glove
KR101368415B1 (en) Welding safety gloves and a manufacturing method
KR20120001799U (en) Finger Guard for Cooker
CN211558912U (en) Anti-cutting gloves
CN217184974U (en) Picking glove capable of preventing hand back from being punctured
KR20200071595A (en) Rappel glove
KR101819182B1 (en) Face mask improved in wearability
KR20190003083U (en) Glove For Working
CN209788588U (en) Two-finger metal protective glo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