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380B1 - 부표식 레벨계 - Google Patents

부표식 레벨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380B1
KR101814380B1 KR1020170069009A KR20170069009A KR101814380B1 KR 101814380 B1 KR101814380 B1 KR 101814380B1 KR 1020170069009 A KR1020170069009 A KR 1020170069009A KR 20170069009 A KR20170069009 A KR 20170069009A KR 101814380 B1 KR101814380 B1 KR 101814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valve
level
level measur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에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에이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에이이
Priority to KR1020170069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3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5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6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표식 레벨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회로가 내장되어 있지 않고 기계적인 구성품만으로 배치하여 노이즈 영향이 없어 정확한 레벨 계측이 가능하고, 점성물질은 물론 부유물이 있는 오폐수, 유독성 화합물, 스팀 탱크를 포함한 압력용기, 밀폐가 필요한 유해물질의 탱크 등에서 안전하고 안정적인 레벨 검출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부표식 레벨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표식 레벨계{Floating type level meter}
본 발명은 부표식 레벨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회로가 내장되어 있지 않고 기계적인 구성품만으로 배치하여 노이즈 영향이 없어 정확한 레벨 계측이 가능하고, 점성물질은 물론 부유물이 있는 오폐수, 유독성 화합물, 스팀 탱크를 포함한 압력용기, 밀폐가 필요한 유해물질의 탱크 등에서 안전하고 안정적인 레벨 검출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부표식 레벨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벨계는 어떤 물리량의 레벨을 측정하는 계기(計器)의 총칭이며, 측정원리나 구조의 차이에 따라 또는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형식이 있다.
그 중에서도 용기 내에 수용된 유체(액체, 분체, 괴체 등)의 량을 측정하는 레벨계는 계측 방식에 따라 직독식, 플로트식, 중량식, 압력식, 전자식, 진동식, 초음파식, 레이다식, 방사선식 등으로 구분되고, 주로 수처리, 전력산업 및 철강금속 분야 등 다양한 기계산업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특히, 플로트방식인 부표식 레벨계는 액체가 부피에 해당하는 부력을 갖는다는 점에 착안하여 액속에 디스플레이서(Displacer)를 넣어 액위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 방식은 차동변압기 등을 이용한 전기적 신호 변환 구조나 혹은 전자회로가 내장된 센서를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노이즈 영향을 크게 받아 레벨 계측 불량이 자주 발생하고, 정확한 계측이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점성이 강한 물질이나 혹은 부유물이 있는 오폐수, 유독성 화합물 탱크나 거품이 많은 탱크, 스팀 탱크 등의 압력용기, 밀폐가 필요한 유해물질 탱크 등에서는 레벨 계측상 제약이 많이 따르고, 안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고번호 제1994-0002192호(1994.03.18.) '액면 레벨계'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00-0014354호(2000.07.25.) '액위치 측정용 레벨계의 구동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전기회로가 내장되어 있지 않고 기계적인 구성품만으로 배치하여 노이즈 영향이 없어 정확한 레벨 계측이 가능하고, 점성물질은 물론 부유물이 있는 오폐수, 유독성 화합물, 스팀 탱크를 포함한 압력용기, 밀폐가 필요한 유해물질의 탱크 등에서 안전하고 안정적인 레벨 검출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부표식 레벨계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액체탱크(T)의 상단부와, 액체탱크(T)의 하단부에 마련된 드레인관(DR)을 연결하여 'ㄱ' 형상을 갖도록 배관된 레벨계측관(100);
상기 레벨계측관(100)의 내부에 장입된 자석을 내장한 부력추(110);
상기 레벨계측관(100)의 외주면에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부력추(110)에 내장된 자석에 의해 온/오프되는 다수의 리드스위치(120);
상기 액체탱크(T)의 표면에 길이방향을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서브제어기(140);
상기 서브제어기(140)가 접속되어 리드스위치(120)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레벨계측관(100)에 충전된 액체의 레벨을 판독하는 메인제어기(130);를 포함하되,
상기 리드스위치(120)는 5개 내지 10개 묶음 단위로 각 서브제어기(140)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제어기(130)는 리드스위치(120)별 높이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특정 리드스위치(120)가 검출신호를 보냈을 때 그 지점의 높이를 즉시 판독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부력추(110)는 리드스위치(120)들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도우넛형 혹은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제어기(130)에는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되어 판독된 레벨 정보를 등록된 현장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현장에서도 액체 레벨이 즉시 확인되게 구성되며;
상기 레벨계측관(100)은 내압성을 가지면서 내부식성과 내열성, 내화학성을 갖도록 SUS(스테인레스스틸)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SUS관의 내,외주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는데 상기 코팅층은 제1내열성 혼합물 60중량%와, 제2내열성 혼합물 40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액에 딥핑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내열성 혼합물은 포졸란(Pozzolan) 4.5중량%, 2-3cm의 길이를 갖는 글래스파이버 14중량%, 모노글리세라이드(monoglyceride) 4.5중량%, 인슐래드 분말(Insuladd powder) 6.5중량%, 콜로이드성 실리카 3중량%, 알루미늄 알콕사이드 4중량%, 알파-아미노아세토페논 2중량%, 산화지르코늄 미분 5중량%, CZ(N-cyclohexybenzothiazole-2-sulfenamide) 2중량% 및 나머지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내열성 혼합물은 팽창흑연 8중량%, 뮬라이트 6중량%,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5중량%, 트리글리세라이드 2중량%, 규산소다 2중량%, 테르븀 2중량%, 티오시안구리 2중량%, MEHEC(methylethylhydroxyethylcelluloe) 2중량%, 알킬렌 아마이드 2중량% 및 나머지 에폭시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벨계측관(100)의 최하단부인 드레인관(DR)의 직상방 위치에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상부조립공(102)과 하부조립공(104)이 형성되고, 이들에는 각각 상부밸브(150)와 하부밸브(160)가 조립되며, 상부밸브(150)와 하부밸브(160)는 레벨계측관(100)의 직경과 대응되는 삽입길이를 갖고 삽입되고, 각 밸브의 삽입된 길이 일부에는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관통된 통공(H1,H2)이 각각 형성되어 내부의 액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밸브(150)의 내부에는 상기 메인제어기(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152)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밸브(160)의 내부에는 레벨계측관(100) 쪽으로만 개방되는 일방향 개폐밸브인 체크밸브(162)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밸브(150)의 바깥단과 상기 하부밸브(160)의 바깥단은 투명관(170)에 의해 연결되고, 투명관(170)의 일부에는 개폐밸브(172)를 갖는 샘플링관(174)이 더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식 레벨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회로가 내장되어 있지 않고 기계적인 구성품만으로 배치하여 노이즈 영향이 없어 정확한 레벨 계측이 가능하고, 점성물질은 물론 부유물이 있는 오폐수, 유독성 화합물, 스팀 탱크를 포함한 압력용기, 밀폐가 필요한 유해물질의 탱크 등에서 안전하고 안정적인 레벨 검출이 가능하도록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표식 레벨계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표식 레벨계의 부분 확대도 및 플로터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표식 레벨계의 다른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표식 레벨계에서 샘플 채취가 가능토록 구현된 배관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표식 레벨계는 액체탱크(T)의 상단부와, 액체탱크(T)의 하단부에 마련된 드레인관(DR)을 연결하여 대략 'ㄱ' 형상을 갖도록 배관된 레벨계측관(1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레벨계측관(100)의 내부에는 자석을 내장한 부력추(110)가 장입된다.
따라서, 액체탱크(T)의 상단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하단부를 향해 인출 접속된 레벨계측관(100) 내부에는 상기 액체탱크(T)와 동일 성분의 액체가 채워지게 되므로 상기 부력추(110)는 그 액체 위에 떠 있는 상태가 되며, 액체탱크(T)의 내부에 채워진 액체의 수위에 따라 위 아래로 오르내리게 된다.
물론, 액체탱크(T)에 채워진 액체가 만충일 경우라면 부력추(110)는 최상단에 위치하게 될 것이며, 액체가 바닥이라면 부력추(110)는 레벨계측관(100)의 최하단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레벨계측관(100)의 외주면에는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리드스위치(120)가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리드스위치(120)는 AC, DC 전원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24-50V 범위의 DC 전원을 사용하는 것이 제어용이성 및 정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리드스위치(120)는 레벨계측관(100)의 높이 방향으로 10cm의 간격을 두고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레벨계측관(100)의 높이가 10m 이상 높을 경우에는 50cm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도 있고, 각 리드스위치(120)의 출력단은 메인제어기(130)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제어기(130)는 연결된 리드스위치(120)별 높이정보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어떤 리드스위치가 검출신호를 보냈을 때 그 지점이 얼마의 높이인지 즉시 인식되며, 이는 메인제어기(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별도 구비된 디스플레이(도시 생략)를 통해 표시될 수도 있다.
물론, 메인제어기(130)에 관리자 스마트폰 정보를 입력하고, 등록 승인을 받을 경우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현장에 있는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도 직접 실시간 전송토록 하여 현장에서도 실시간으로 액체탱크(T)의 액체 레벨을 즉시 확인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리드스위치(120)는 자력에 의해 온/오프되는 공지의 스위치로서, 자성체의 리드접점을 유리관속에 봉입해 넣고 외부에서 자력이 형성되면 리드접점이 서로 붙으면서 온(on)되고, 자력이 소멸되면 리드접점이 떨어지면서 오프(off)되는 스위치이다.
때문에, 액체의 레벨에 따라 자석을 내장한 부력추(110)가 오르내리면서 일정위치에 머물때 그와 대등한 위치에 있는 리드스위치(120)가 자력을 받아 온되면서 통전되어 스위칭하는 신호를 메인제어기(130)가 받아 리드스위치(120)의 위치별 레벨을 자동으로 검출하게 된다.
이 경우, 검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부력추(110)는 두께가 얇은 도우넛 형태 혹은 원반 형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즉, 리드스위치(120)들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두께를 가져야 한다.
이에 더하여, 도 3의 예시와 같이, 설치 및 관리 제어상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액체탱크(T)의 표면에 길이방향을 간격을 두고 다수의 서브제어기(140)를 설치하고, 리드스위치(120) 5개 내지 10개 묶음 단위로 각 서브제어기(140)에 연결하며, 각 서브제어기(140)는 메인제어기(130)에 접속되게 설치하면 더욱 더 효율적인 관리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벨계측관(100)은 액체탱크(T)가 압력용기일 때는 물론 유독성 화합물을 충전하고 있는 경우에도 부식없이 장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내압성을 가지면서 내부식성과 내열성, 내화학성을 갖도록 SUS(스테인레스스틸)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SUS관의 내,외주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코팅층은 제1내열성 혼합물 60중량%와, 제2내열성 혼합물 40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액에 딥핑하여 형성된다.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액중 상기 제1내열성 혼합물은 포졸란(Pozzolan) 4.5중량%, 2-3cm의 길이를 갖는 글래스파이버 14중량%, 모노글리세라이드(monoglyceride) 4.5중량%, 인슐래드 분말(Insuladd powder) 6.5중량%, 콜로이드성 실리카 3중량%, 알루미늄 알콕사이드 4중량%, 알파-아미노아세토페논 2중량%, 산화지르코늄 미분 5중량%, CZ(N-cyclohexybenzothiazole-2-sulfenamide) 2중량% 및 나머지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포졸란(Pozzolan)은 주로 콘크리트 혼화재로 많이 사용되지만, 이것은 인공 포졸란이고 본 발명에서는 내산성, 내부식성, 내구성 및 방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화산회, 화산암의 풍화물에서 채취된 천연 포졸란을 사용하며, 입도는 0.1-0.2mm가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글래스파이버는 인장강도 증대시켜 보호코팅층의 부착성과 고정안정성 및 미소 크랙 발생 억제를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모노글리세라이드는 유화를 촉진하여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므로 방오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인슐래드 분말은 알루미늄 실리케이트를 주성분으로 한 30~100 마이크론 크기의 미세중공체(microscopic hollow sphere) 분말로서 폐쇄 공기층의 세라믹 피막을 형성하여 탁월한 열반사와 열저항 효과를 발휘하며, 8대 유해 중금속은 물론 휘발성유기화합물(VOC) 및 독성이 전혀 없는 환경 친화적인 소재로서, 용융점이 약 1,800℃인 불연소재이며, 피막의 압축강도가 3,000N/㎤ 정도로서 매우 단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내구성이 뛰어나므로 본 발명에서는 방염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콜로이드성 실리카는 5-50nm의 입경을 갖는 무정형의 실리카 졸이 바람직하며, 상기 알루미늄 알콕사이드는 경화 촉매 및 가교 결합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첨가되며, 부수적으로 내마모성이 높은 경도의 피막을 구현하는데 기여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알파-아미노아세토페논은 경화반응을 촉진하는 광개시제로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산화지르코늄 분말은 무정형 백색 분말로서 융점이 2.677℃, 밀도가 5.6g/cm3, 모스경도 7에 이르는 일종의 세라믹스로서 경도를 높여 내마모도를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CZ(N-cyclohexybenzothiazole-2-sulfenamide)는 표면 슬립성을 증대시켜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2염기산과 디아민을 축합시켜 생긴 아미드 결합으로 만들어진 수지로서 내열성,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알킬트리알콕시실란은 발수성 뿐만 아니라 발유성을 강화시켜 표면 슬립성을 증대시킴으로써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제2내열성 혼합물은 팽창흑연 8중량%, 뮬라이트 6중량%,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5중량%, 트리글리세라이드 2중량%, 규산소다 2중량%, 테르븀 2중량%, 티오시안구리 2중량%, MEHEC(methylethylhydroxyethylcelluloe) 2중량%, 알킬렌 아마이드 2중량% 및 나머지 에폭시수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팽창흑연(Exandable Graphite)은 그라파이트의 층상 구조를 갖기 때문에 그 층상 사이에 원자나 작은 분자를 집어 넣고 열을 가할 경우 아코디언처럼 분리가 되면서 입자가 수 백배 팽창하게 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난연성, 방염성을 강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상기 뮬라이트는 1500℃ 부근까지 고융점화시켜 방염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는 접착성을 강화시켜 부착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고,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는 리시놀레인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제로서 특히 외면과 내면 각각의 표면 평활도를 높여 방오성을 높이고 내침식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그리고 규산소다(Sodium Silicates)는 표면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테르븀은 란탄족에 속하는 희토류 금속으로서 내마모를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티오시안구리는 구리계 방오제이고, 상기 MEHEC(methylethylhydroxyethylcelluloe)는 무수 글루코오즈 단량체 사슬로 이루어진 셀룰로오즈 유도체로서 보수기능 강화, 표면활성, 화학저항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알킬렌 아마이드는 윤활성 및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혼합을 원활하게 하고, 혼합 후 부서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에폭시수지는 내화학성, 내약품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이와 같은 코팅액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게 되면 SUS 재질의 관체 특성에 의해 내압성이 우수하여 압력용기에도 사용가능하며, 또한 내화학성과 내약품성은 물론 내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고온 고압의 스팀은 물론 유해성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탱크에도 적용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는 액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 4의 예시와 같이, 바이패스 유로를 더 갖출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따르면 레벨계측관(100)의 최하단부, 즉 드레인관(DR, 도 1 참조)의 직상방 위치에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상부조립공(102)과 하부조립공(104)이 형성되고, 이들에는 각각 상부밸브(150)와 하부밸브(160)가 조립된다.
이때, 상부밸브(150)와 하부밸브(160)는 레벨계측관(100)의 직경과 대응되는 삽입길이를 갖고 삽입되며, 각 밸브의 삽입된 길이 일부에는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관통된 통공(H1,H2)이 각각 형성되어 내부의 액체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상부밸브(150)의 삽입된 길이부는 부력추(110)가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일종의 스토퍼 기능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밸브(150)의 내부에는 상기 메인제어기(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152)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밸브(160)의 내부에는 레벨계측관(100) 쪽으로만 개방되는 일방향 개폐밸브인 체크밸브(16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밸브(150)의 바깥단과 상기 하부밸브(160)의 바깥단은 투명관(170)에 의해 연결되며, 투명관(170)의 일부에는 개폐밸브(172)를 갖는 샘플링관(174)이 더 연결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밸브(152)가 열리게 되면 레벨계측관(100) 내부의 액체 중 일부는 상부밸브(150)로 인출된 후 투명관(170)과 하부밸브(160)를 거쳐 다시 레벨계측관(100)으로 공급되는 순환을 반복하게 되고, 솔레노이드밸브(152)가 닫히면 액체 일부가 투명관(170)에 남게 된다.
이때, 투명관(170)을 통해 액체의 상태를 목측하여 확인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개폐밸브(172)를 열어 샘플링관(174)을 통해 액체 샘플을 채취함으로써 분석도 가능하다.
물론, 체크밸브(162)는 한쪽 방향으로만 열리기 때문에 레벨계측관(100)에서 역류하는 일은 없게 되어 안전하며, 높은 압력으로 유지되는 압력탱크에 설치된 경우라도 솔레노이드밸브(152)가 개방된 경우 액체가 계속 순환하기 때문에 압력을 크게 받지는 않으며, 또한 솔레노이드밸브(152)는 사실상 아주 짧은 시간에 개폐되어 샘플링하도록 제어될 것이므로 전혀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정확한 액체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100: 레벨계측관 110: 부력추
120: 리드스위치 130: 메인제어기
140: 서브제어기 150: 상부밸브
160: 하부밸브 170: 투명관

Claims (1)

  1. 액체탱크(T)의 상단부와, 액체탱크(T)의 하단부에 마련된 드레인관(DR)을 연결하여 'ㄱ' 형상을 갖도록 배관된 레벨계측관(100);
    상기 레벨계측관(100)의 내부에 장입된 자석을 내장한 부력추(110);
    상기 레벨계측관(100)의 외주면에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부력추(110)에 내장된 자석에 의해 온/오프되는 다수의 리드스위치(120);
    상기 액체탱크(T)의 표면에 길이방향을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서브제어기(140);
    상기 서브제어기(140)가 접속되어 리드스위치(120)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레벨계측관(100)에 충전된 액체의 레벨을 판독하는 메인제어기(130);를 포함하되,
    상기 리드스위치(120)는 5개 내지 10개 묶음 단위로 각 서브제어기(140)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제어기(130)는 리드스위치(120)별 높이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특정 리드스위치(120)가 검출신호를 보냈을 때 그 지점의 높이를 즉시 판독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부력추(110)는 리드스위치(120)들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도우넛형 혹은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제어기(130)에는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되어 판독된 레벨 정보를 등록된 현장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현장에서도 액체 레벨이 즉시 확인되게 구성되며;
    상기 레벨계측관(100)은 내압성을 가지면서 내부식성과 내열성, 내화학성을 갖도록 SUS(스테인레스스틸)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SUS관의 내,외주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는데 상기 코팅층은 제1내열성 혼합물 60중량%와, 제2내열성 혼합물 40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액에 딥핑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내열성 혼합물은 포졸란(Pozzolan) 4.5중량%, 2-3cm의 길이를 갖는 글래스파이버 14중량%, 모노글리세라이드(monoglyceride) 4.5중량%, 인슐래드 분말(Insuladd powder) 6.5중량%, 콜로이드성 실리카 3중량%, 알루미늄 알콕사이드 4중량%, 알파-아미노아세토페논 2중량%, 산화지르코늄 미분 5중량%, CZ(N-cyclohexybenzothiazole-2-sulfenamide) 2중량% 및 나머지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내열성 혼합물은 팽창흑연 8중량%, 뮬라이트 6중량%,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5중량%, 트리글리세라이드 2중량%, 규산소다 2중량%, 테르븀 2중량%, 티오시안구리 2중량%, MEHEC(methylethylhydroxyethylcelluloe) 2중량%, 알킬렌 아마이드 2중량% 및 나머지 에폭시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벨계측관(100)의 최하단부인 드레인관(DR)의 직상방 위치에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상부조립공(102)과 하부조립공(104)이 형성되고, 이들에는 각각 상부밸브(150)와 하부밸브(160)가 조립되며, 상부밸브(150)와 하부밸브(160)는 레벨계측관(100)의 직경과 대응되는 삽입길이를 갖고 삽입되고, 각 밸브의 삽입된 길이 일부에는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관통된 통공(H1,H2)이 각각 형성되어 내부의 액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밸브(150)의 내부에는 상기 메인제어기(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152)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밸브(160)의 내부에는 레벨계측관(100) 쪽으로만 개방되는 일방향 개폐밸브인 체크밸브(162)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밸브(150)의 바깥단과 상기 하부밸브(160)의 바깥단은 투명관(170)에 의해 연결되고, 투명관(170)의 일부에는 개폐밸브(172)를 갖는 샘플링관(174)이 더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식 레벨계.
KR1020170069009A 2017-06-02 2017-06-02 부표식 레벨계 KR101814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009A KR101814380B1 (ko) 2017-06-02 2017-06-02 부표식 레벨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009A KR101814380B1 (ko) 2017-06-02 2017-06-02 부표식 레벨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380B1 true KR101814380B1 (ko) 2018-01-04

Family

ID=60997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009A KR101814380B1 (ko) 2017-06-02 2017-06-02 부표식 레벨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3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7441A (zh) * 2018-06-07 2018-08-21 北京能源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机械式浮球液位控制装置
KR20210008658A (ko) 2019-07-15 2021-01-25 주식회사 유니온이엔지 오폐수 저장조의 수위인식 기구
CN116528186A (zh) * 2023-06-29 2023-08-01 中交广州航道局有限公司 一种河道水位监测系统及测量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8907A1 (en) 2008-05-29 2011-06-16 Illinois Tool Works Inc Multi-level liquid level magnetic sens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8907A1 (en) 2008-05-29 2011-06-16 Illinois Tool Works Inc Multi-level liquid level magnetic sens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7441A (zh) * 2018-06-07 2018-08-21 北京能源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机械式浮球液位控制装置
KR20210008658A (ko) 2019-07-15 2021-01-25 주식회사 유니온이엔지 오폐수 저장조의 수위인식 기구
CN116528186A (zh) * 2023-06-29 2023-08-01 中交广州航道局有限公司 一种河道水位监测系统及测量设备
CN116528186B (zh) * 2023-06-29 2024-02-02 中交广州航道局有限公司 一种河道水位监测系统及测量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380B1 (ko) 부표식 레벨계
CN100514007C (zh) 流量计
CN110579249B (zh) 一种基于掺钴多模光纤光栅的热线式流量传感器及制造方法
CN102645256A (zh) 游标显示的浮子式液位计
Love Flow measurement
JP2008026173A (ja) 液位計
CN203443643U (zh) 用于测量双相界面液位的液位计及化学容器
CN102103003A (zh) 直接液位界位测量仪
CN213902554U (zh) 用于模块钻机计量罐的外置式液位读取装置
CN204177451U (zh) 游标或浮标显示的浮子式液位计
CN201355268Y (zh) 适合不同测长要求的物位测量装置
CN213397272U (zh) 一种数显式油水界面仪及储油罐
KR101192957B1 (ko) 토르크 튜브 조립체를 적용한 패들식 질량 유량계
CN208366425U (zh) 一种界面仪及储油罐
CN106323423A (zh) 干式翻板液位计
RU2793994C1 (ru) Комплект для установки в жидкости на заданной глубине измерительных датчиков, не допускающих полного погружения.
Liu et al. Flexural wave sidewall sensor for noninvasive measurement of discrete liquid levels in large storage tanks
RU227382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уровня и плотности жидкости
US20120096939A1 (en) Level Sensor And Reservoir For Housing Liquid
CN220794368U (zh) 柔性磁致伸缩液位计
CN217005990U (zh) 一种液位计
EP0301534A1 (en) Asymmetrical displacement flowmeter
US20090021016A1 (en) Double gravity/buoyancy/density energy process
CN205619999U (zh) 一种浮筒界位变送器
CN211648121U (zh) 采油井产气量计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