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072B1 -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072B1
KR101814072B1 KR1020170086153A KR20170086153A KR101814072B1 KR 101814072 B1 KR101814072 B1 KR 101814072B1 KR 1020170086153 A KR1020170086153 A KR 1020170086153A KR 20170086153 A KR20170086153 A KR 20170086153A KR 101814072 B1 KR101814072 B1 KR 101814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oller
contact
pair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진
Original Assignee
박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진 filed Critical 박태진
Priority to KR1020170086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6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align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의 일측에 결합하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의 후방에 벨트(A)의 하부면에 밀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되 양측에 차단부(121)를 구비하여 벨트(A)가 측면으로 이동할 경우 맞닿아 편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편기 방지롤러(120); 상기 몸체부(110)의 전방에 벨트(A)의 상부면에 밀착하여 만곡현상으로 휘어진 벨트(A)의 양측면을 평편한 상태로 펼칠 수 있도록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후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지도록 형성하고 정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하부를 향하도록 기울어지도록 형성하는 한 쌍의 밀착롤러(130); 상기 몸체부(110)의 중간에 벨트(A)의 상부면을 밀착하되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후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지도록 형성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는 벨트(A)가 점차 중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한 쌍의 사행 방지롤러(140);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만곡현상으로 휘어진 벨트를 평편한 상태로 펼쳐서 롤러와 벨트가 서로 맞닿는 표면적을 향상시킴으로써 이동하는 벨트를 자연스럽게 중앙으로 유도하여 벨트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벨트의 사행 및 편기를 방지하여 운송물의 낙광 및 낙탄은 물론 벨트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기존에 사용중인 벨트 컨베이어를 개조하지 않고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Serpentine movement adjusting and deviation apparatus for belt coneveyor}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의 만곡현상을 해소하고 롤러와 벨트가 서로 밀착하는 표면적을 증대시켜 벨트의 사행 및 편기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는 제철소 또는 발전소 등에서 사용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하여 벨트의 사행 및 편기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벨트의 사행을 최소화할 수는 있으나, 전체적인 작동과정이 복잡하여 사용효율이 극히 제한될 뿐만 아니라 기계적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 및 설치비용이 가중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벨트의 사행상태에 따라서 작업자가 롤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식이므로 작업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또한, 벨트의 사행상태를 작업자가 확인한 후 조절하는 방식이므로 신속하게 벨트의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없으므로 기능상의 한계를 갖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아울러 벨트의 사행으로 발생하는 운송물의 낙광 또는 낙탄으로 원가상승 및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됨은 물론 우천시 빗물과 함께 그대로 배출되어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심각한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편,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자가 국내특허공개 제10-2012-0135942호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를 안출한 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A)가 케리어롤러와 리턴롤러를 장시간 동안 순환하면서 벨트(A)의 중앙 및 양측이 상부방향으로 휘어지는 만곡(반곡)현상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사행방지롤러(10)의 표면에 벨트(A)가 긴밀하게 밀착할 수 없으므로 표면적(접촉면적)을 축소시켜 벨트(A)의 사행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를 갖게 되었다.
특히 벨트의 만곡현상을 해소할 수 없으므로 원료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편적에 의해서 벨트가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편기 현상이 발생하여 벨트의 마모 및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497482호(2005.07.0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8-094546호(2008.04.24)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858182호(2008.09.10)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4403호(2012.02.17)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1709호(2012.04.04)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3476호(2012.04.09)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5942호(2012.12.18)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5944호(2012.12.18)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48227호(2014.01.07)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0342호(2014.12.09)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83362호(2016.01.08)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6221호(2016.06.30)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1816호(2016.11.16)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04594호(2017.02.0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만곡현상으로 휘어진 벨트를 평편한 상태로 펼쳐서 롤러와 벨트가 서로 맞닿는 표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벨트의 사행 및 편기를 방지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행 방지롤러와 벨트의 표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벨트가 이동하면서 자연스럽게 중앙으로 모이도록 유도하여 벨트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벨트가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편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100)는,
벨트 컨베이어의 일측에 결합하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의 후방에 벨트(A)의 하부면에 밀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되 양측에 차단부(121)를 구비하여 벨트(A)가 측면으로 이동할 경우 맞닿아 편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편기 방지롤러(120); 상기 몸체부(110)의 전방에 벨트(A)의 상부면에 밀착하여 만곡현상으로 휘어진 벨트(A)의 양측면을 평편한 상태로 펼칠 수 있도록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후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지도록 형성하고 정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하부를 향하도록 기울어지도록 형성하는 한 쌍의 밀착롤러(130); 상기 몸체부(110)의 중간에 벨트(A)의 상부면을 밀착하되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후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지도록 형성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는 벨트(A)가 점차 중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한 쌍의 사행 방지롤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10)는 후방에 상기 편기 방지롤러(120)의 양축을 고정하는 한 쌍의 후방몸체(111); 전방에 상기 밀착롤러(130)의 양축을 고정하는 한 쌍의 전방몸체(112); 상기 한 쌍의 후방몸체(111)를 서로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회동축(113); 상기 한 쌍의 전방몸체(112)를 서로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회동축(114); 상기 후방몸체(111)와 전방몸체(112)를 서로 연결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연결구(115); 중간에 상기 사행 방지롤러(140)의 양축을 고정하는 한 쌍의 중간몸체(116);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후방몸체(111)는 중간을 수평방향으로 양분하여 체결구(111a)를 이용하여 서로 조립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밀착롤러(130) 및 사행 방지롤러(140)는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후방을 향하도록 1 내지 1.5°의 각도(a)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착롤러(130)는 정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하부를 향하도록 1 내지 1.5°의 각도(b)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밀착롤러(130)의 내측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구(131); 상기 한 쌍의 사행 방지롤러(140)의 내측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구(1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만곡현상으로 휘어진 벨트를 평편한 상태로 펼쳐서 롤러와 벨트가 서로 맞닿는 표면적을 향상시킴으로써 이동하는 벨트를 자연스럽게 중앙으로 유도하여 벨트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벨트의 사행 및 편기를 방지하여 운송물의 낙광 및 낙탄은 물론 벨트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기존에 사용중인 벨트 컨베이어를 개조하지 않고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6은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100)에 있어서,
벨트 컨베이어의 일측에 결합하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의 후방에 벨트(A)의 하부면에 밀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되 양측에 차단부(121)를 구비하여 벨트(A)가 측면으로 이동할 경우 맞닿아 편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편기 방지롤러(120); 상기 몸체부(110)의 전방에 벨트(A)의 상부면에 밀착하여 만곡현상으로 휘어진 벨트(A)의 양측면을 평편한 상태로 펼칠 수 있도록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후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지도록 형성하고 정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하부를 향하도록 기울어지도록 형성하는 한 쌍의 밀착롤러(130); 상기 몸체부(110)의 중간에 벨트(A)의 상부면을 밀착하되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후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지도록 형성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는 벨트(A)가 점차 중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한 쌍의 사행 방지롤러(14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벨트 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하여 벨트(A)는 물론 상기 편기 방지롤러(120) 및 밀착롤러(130), 사행 방지롤러(140)의 하중을 지지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10)는 후방에 상기 편기 방지롤러(120)의 양축을 고정하는 한 쌍의 후방몸체(111); 전방에 상기 밀착롤러(130)의 양축을 고정하는 한 쌍의 전방몸체(112); 상기 한 쌍의 후방몸체(111)를 서로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회동축(113); 상기 한 쌍의 전방몸체(112)를 서로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회동축(114); 상기 후방몸체(111)와 전방몸체(112)를 서로 연결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연결구(115); 중간에 상기 사행 방지롤러(140)의 양축을 고정하는 한 쌍의 중간몸체(116);로 구성한다.
특히 상기 후방몸체(111)는 중간을 수평방향으로 양분하여 체결구(111a)를 이용하여 서로 조립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협소한 공간에 상기 편기 방지롤러(120)를 쉽게 설치 및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구(111a)는 볼트 또는 핀 등과 같이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양분상태의 상기 후방몸체(111)를 서로 조립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서 상기 편기 방지롤러(120)는 벨트(A)의 하부면을 밀착하여 지지한 상태로 벨트(A)가 한쪽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차단부(121)가 벨트(A)의 측면에 맞닿아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부(121)는 상기 편기 방지롤러(120)의 지름 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벨트(A)가 한쪽 방향으로 더 이상이 이동하지 않도록 차단하여 편기 현상은 물론 벨트(A)의 측면손상과 함께 화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부(121)는 벨트(A)와 마찰로 인한 마모현상 및 화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내연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밀착롤러(130)는 종래와 같이 벨트(A)의 하부면에 밀착할 경우 벨트(A)의 양측이 상부방향으로 휘어지는 만곡현상으로 인해 롤러와 벨트가 밀착하는 표면적이 저하되면서 벨트의 사행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없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벨트(A)의 상부면에 밀착시켜 양측이 휘어진 만곡현상을 해소하여 벨트(A)의 사행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착롤러(1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후방을 향하도록 1 내지 1.5°의 각도(a)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하여 벨트(A)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중앙으로 모일 수 있도록 유도하여 사행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밀착롤러(13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하부를 향하도록 1 내지 1.5°의 각도(b)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하여 벨트(A)의 상부면과 밀착하여 만곡현상으로 휘어진 양측면을 평편한 상태로 펼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밀착롤러(130)가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후방을 향하는 각도가 1°미만일 경우 벨트(A)의 사행을 조절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반대로 1.5°이상일 경우 벨트(A)가 이동하면서 밀착롤러(130)와 심한 저항이 발생하여 마모 및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착롤러(130)가 정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하부를 향하는 각도가 1°미만일 경우 만곡현상이 발생한 벨트(A)를 평편한 상태로 펼치기 위한 효과가 미미하고, 반대로 1.5°이상일 경우 벨트(A)의 양측면에 밀착되면서 마모 및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밀착롤러(130)의 내측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구(131)를 설치하는데, 이러한 고정구(131)는 작업자가 상기 밀착롤러(130)의 각도를 조절한 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클램프 또는 볼트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행 방지롤러(140)는 벨트가 서로 밀착하는 표면적을 증대시켜 후방으로 이동하는 벨트(A)가 점차 중앙으로 유도하여 사행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상기 밀착롤러(130)를 통과하는 벨트(A)가 만곡현상으로 인해서 사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없는 상태에서 다시 한번 사행을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정확한 사행을 조절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사행 방지롤러(1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후방을 향하도록 1 내지 1.5°의 각도(a)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하여 벨트(A)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중앙으로 모일 수 있도록 유도하여 사행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사행 방지롤러(14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벨트(A)의 상부면과 수평상태로 밀착하여 서로 맞닿는 표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벨트의 사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사행 방지롤러(140)가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후방을 향하는 각도가 1°미만일 경우 벨트(A)의 사행을 조절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반대로 1.5°이상일 경우 벨트(A)가 이동하면서 밀착롤러(130)와 심한 저항이 발생하여 마모 및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사행 방지롤러(140)의 내측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구(1431)를 설치하는데, 이러한 고정구(141)는 작업자가 상기 사행 방지롤러(140)의 각도를 조절한 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클램프 또는 볼트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롤러(130)가 만곡현상으로 휘어진 벨트(A)의 양측면에 밀착하여 평편한 상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벨트(A)와 맞닿는 표면적을 증대시킨 상태에서 상기 밀착롤러(130)의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서 벨트(A)의 사행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벨트(A)가 평편한 상태로 펼쳐진 상태로 상기 사행 방지롤러(140)를 통과하면서 사행 방지롤러(140)와 벨트(A)가 서로 맞닿는 표면적을 향상시킴으로써 다시 한번 벨트(A)의 사행을 정확하게 조절하고, 동시에 상기 편기 방지롤러(120)에 의해서 벨트(A)의 하부면을 밀착한 상태로 벨트(A)가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여 편기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10: 사행 방지롤러
100: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
110: 몸체부 111: 후방몸체
111a: 체결구 112: 전방몸체
113: 제1회동축 114: 제2회동축
115: 연결구 116: 중간몸체
120: 편기 방지롤러 121: 차단부
130: 밀착롤러 131: 고정구
140: 사행 방지롤러 141: 고정구
A: 벨트

Claims (6)

  1. 벨트 컨베이어의 일측에 결합하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의 후방에 벨트(A)의 하부면에 밀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되 양측에 차단부(121)를 구비하여 벨트(A)가 측면으로 이동할 경우 맞닿아 편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편기 방지롤러(120); 상기 몸체부(110)의 전방에 벨트(A)의 상부면에 밀착하여 만곡현상으로 휘어진 벨트(A)의 양측면을 평편한 상태로 펼칠 수 있도록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후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지도록 형성하고 정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하부를 향하도록 기울어지도록 형성하는 한 쌍의 밀착롤러(130); 상기 몸체부(110)의 중간에 벨트(A)의 상부면을 밀착하되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후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지도록 형성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는 벨트(A)가 점차 중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한 쌍의 사행 방지롤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롤러(130) 및 사행 방지롤러(140)는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후방을 향하도록 1 내지 1.5°의 각도(a)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롤러(130)는 정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하부를 향하도록 1 내지 1.5°의 각도(b)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밀착롤러(130)의 내측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구(131); 상기 한 쌍의 사행 방지롤러(140)의 내측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구(1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
KR1020170086153A 2017-07-06 2017-07-06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 KR101814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153A KR101814072B1 (ko) 2017-07-06 2017-07-06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153A KR101814072B1 (ko) 2017-07-06 2017-07-06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072B1 true KR101814072B1 (ko) 2018-01-02

Family

ID=61004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153A KR101814072B1 (ko) 2017-07-06 2017-07-06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0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971B1 (ko) 2012-04-03 2012-11-12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JP2016030686A (ja) 2014-07-30 2016-03-07 オークラ輸送機株式会社 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971B1 (ko) 2012-04-03 2012-11-12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JP2016030686A (ja) 2014-07-30 2016-03-07 オークラ輸送機株式会社 搬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5565B2 (en) System for leveling metal strip
KR101199971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CN102161422B (zh) 一种防止皮带跑偏的皮带在线调整装置
US20160090243A1 (en) Conveying device with a braking device
KR101814072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및 편기 방지장치
CN104370062B (zh) 用于带式输送机的滚筒支撑组件以及带式输送机
CN105501805A (zh) 玻璃基板的同步带传送装置
KR200479760Y1 (ko) 엘보 모형 절단기
CN105270829A (zh) 一种输送皮带输送机
JP5068565B2 (ja) コンベヤ自動調芯装置
CN103274187B (zh) 托辊装置及具有其的圆管带式输送机
CN207158148U (zh) 自张紧式输送设备
CN106865292B (zh) 一种导板卷料定长送料装置
KR20090030288A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CN207748401U (zh) 一种防皮带跑偏装置
CN109178824B (zh) 皮带运输机防跑偏装置
US2919793A (en) Automatic self-centering pulleys for belt conveyors
CN204898251U (zh) 用于经编机的织布牵拉调节装置
KR20120041276A (ko) 롤러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벨트 컨베이어
CN103381377B (zh) 颚式破碎机排料口调整结构
CN220641448U (zh) 一种机械式传送带纠偏装置
KR200236347Y1 (ko) 강판제조및이송컨베이어의진동흡수콘트롤롤러
US20200362613A1 (en) Elevator car door apparatus
CN205441747U (zh) 纸币水平输送装置
JP7357888B1 (ja) 金属製メッシュベルトの蛇行制限機構及び金属製メッシュベルトの蛇行制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