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714B1 - 적외선 송신 장치 - Google Patents

적외선 송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714B1
KR101813714B1 KR1020110048367A KR20110048367A KR101813714B1 KR 101813714 B1 KR101813714 B1 KR 101813714B1 KR 1020110048367 A KR1020110048367 A KR 1020110048367A KR 20110048367 A KR20110048367 A KR 20110048367A KR 101813714 B1 KR101813714 B1 KR 101813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witch
pulse
infrared ligh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0444A (ko
Inventor
김성원
박동원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8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714B1/ko
Publication of KR20120130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60Receivers
    • H04B10/66Non-coherent receivers, e.g. using direct detection
    • H04B10/69Electrical arrangements in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14Calling by using pul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외선 송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효 신호 송출 구간을 정의하는 마스크 신호를 출력하는 마스크 펄스 발생부; 상기 마스크 신호에 응답하여 전원 전압을 스위칭하는 트랜지스터; 상기 유효 신호 송출 구간 내에서 리딩신호의 펄스를 출력하는 리딩신호 발생부; 상기 리딩 신호에 이어서 테일링신호의 펄스를 출력하는 테일링신호 발생부; 상기 트랜지스터와 적외선 광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리딩 신호와 상기 테일링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적외선 광원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전류 조절부; 및 버튼의 온/오프에 의해 논리가 반전되는 버튼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리딩신호의 펄스와 테일링신호의 펄스를 상기 전류 조절부에 전달하는 제어신호 선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외선 송신 장치{INFRARED RAY TRANSMISSION DEVICE}
본 발명은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의 송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외선 송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는 사람(사용자)과 각종 전기, 전자 기기 등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기기를 쉽게 자신이 원하는 대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대표적인 예로는 키패드, 키보드, 마우스,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OSD), 적외선 통신 혹은 고주파(RF) 통신 기능을 갖는 원격 제어기(Remote controller) 등이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기술은 사용자 감성과 조작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최근, 유저 인터페이스는 터치 UI, 음성 인식 UI, 3D UI 등으로 진화되고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버튼 타입의 원격 제어기로 표시기기를 제어할 때, 사용자는 표시기기에 내장된 트리 구조의 메뉴에 접근(access)하기 위하여 원격 제어기의 버튼을 반복 조작하여야 한다.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할 때마다 원격 제어기는 버튼 신호를 인코딩하여 적외선 광원을 통해 송출하면, 표시기기에 설치된 적외선 수신기에서 수광신호를 디코딩한다. 따라서, 기존의 원격 제어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은 버튼 조작을 반복하게 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반영하거나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구현에 한계가 있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smart/IP(Internet Protocol) TV와 같이 쌍방향 대화형(interactive type)의 정보기기에서는 대화형 콘텐츠가 가능하고 나아가, 직관적인 제어가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 기술이 필요하다. 기존의 원격 제어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 입력을 반복하여야 하므로 쌍방향 대화형 정보기기의 유저 인터페이스로 적용되기가 곤란하다.
고주파 통신 모듈을 원격 제어기에 내장하거나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동작 감지 센서를 원격 제어기에 내장하여 그 원격 제어기의 자세나 동작 변위에 기초하여 게임기나 표시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고가의 고주파 통신 모듈이나 동작 감지 센서로 인하여 원격 제어기의 가격이 상승되며, 직관성이 떨어지는 단점들이 있다.
본 발명은 직관적인 원격 제어와 사용자의 동작을 반영하고 저 비용으로 구현 가능한 적외선 송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 장치는 유효 신호 송출 구간을 정의하는 마스크 신호를 출력하는 마스크 펄스 발생부, 마스크 펄스 발생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마스크 신호에 응답하여 전원 전압을 스위칭하는 트랜지스터, 상기 유효 신호 송출 구간 내에서 리딩신호의 펄스를 출력하는 리딩신호 발생부, 상기 유효 신호 송출 구간 내에서 상기 리딩 신호 후에 테일링신호의 펄스를 출력하는 테일링신호 발생부, 상기 트랜지스터와 적외선 광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리딩 신호와 상기 테일링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적외선 광원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전류 조절부, 및 상기 리딩 신호 발생부, 상기 테일링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전류 조절부 사이에 연결되어 버튼의 온/오프에 따라 논리가 반전되는 버튼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리딩신호의 펄스와 테일링신호의 펄스를 상기 전류 조절부에 전달하는 제어신호 선택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송신 장치를 보여 주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신호 선택부와 전류 조절부의 제1 실시예를 보여 주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어신호 선택부와 전류 조절부의 제2 실시예를 보여 주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마스크 신호, 리딩신호, 테일링신호, 및 송신신호를 보여 주는 파형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으로, 실제 제품과는 상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는 적외선 송신 기능을 갖는 적외선 송신 장치(100)와, 적외선을 감지하는 표시장치(200)를 포함한다.
적외선 송신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한 키패드, 버튼 신호에 응답하여 펄스를 코딩하는 인코더, 인코더의 출력에 따라 적외선 송신 신호를 발신하는 적외선 광원 등을 포함한다. 인코더는 도 2에서 마스크 펄스 발생부(12), 트랜지스터(Q), 리딩신호 발생부(14), 테일링신호 발생부(16), 제어신호 선택부(18), 전류 조절부(20) 등을 포함한다. 적외선 송신 장치(100)에는 푸쉬 버튼 이외에 트랙볼, 조이스틱 등 다른 입력 장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적외선 송신 장치(100)는 도 5와 같이 버튼 조작 여부에 관계없이 적외선 신호에 강약 신호를 인코딩하여 송출한다. 따라서, 적외선 송신 장치(100)는 표시장치(200)에서 적외선 송신 장치(100)의 위치를 항상 인지할 수 있도록 버튼 온(button On)과 버튼 오프(button Off)에서 항상 강약 신호를 송출한다.
표시장치(200)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OLED)와 같은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평판 표시장치의 표시패널로 구현된다. 액정표시장치는 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등을 포함한다. 투과형 액정표시장치와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에서는 표시패널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이 필요하다. 백라이트 유닛은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 또는 직하형(direct type)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장치(200)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의 픽셀들에 비디오 데이터를 기입하는 표시패널 구동회로, 하나 이상의 적외선 수신기,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디코딩하여 적외선 송신 장치(100)의 xy 좌표 또는 xyz 좌표값을 계산하는 좌표 계산부, 좌표값에 따라 표시패널에 표시된 포인터나 커서를 이동시키는 포인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좌표 계산부는 수신된 전외선 신호에서 강약 신호를 검출하고 강약 신호의 차이에 기초하여 표시장치(200)와 적외선 송신 장치(100) 사이의 거리(z 좌표값)를 계산하고, 삼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xy 평면 상에서 적외선 송신 장치(100)의 위치(xy 좌표값)를 계산할 수 있다.
표시장치(200)에 내장된 적외선 수신기는 표시장치(200)의 디자인 및 심미적 설계에 제약을 주지 않도록 표시장치(200)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적외선 수신기는 사용자의 반대측인 표시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거나 표시패널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외장 케이스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송신 장치(100)를 보여 주는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버튼(Button, BT), 마스크 펄스 발생부(12), 트랜지스터(Q), 리딩신호 발생부(14), 테일링신호 발생부(16), 제어신호 선택부(18), 전류 조절부(20), 적외선 광원(IRS)을 포함한다.
버튼(BT)은 전원 전압원(Vcc)과 제어신호 선택부(18)의 제어 단자 사이에 접속된다. 저항(R)은 버튼(BT)과 제어신호 선택부(18) 사이의 노드와, 기저전압원(GND) 사이에 접속된다. 버튼(BT)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거나 눌려질 때(Button On), 전원 전압(Vcc)의 하이 논리 신호를 버튼 신호로서 제어신호 선택부(18)에 공급한다. 버튼(BT)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지 않거나 눌려지지 않으면(Button Off), 버튼(BT)은 전원 전압원(Vcc)과 제어신호 선택부(18)의 제어 단자 사이의 전류 패스를 차단한다. 이 버튼 오프에서, 저항(R)을 통해 공급되는 기저전압(GND)의 로우 논리 신호가 버튼 신호로서 제어신호 선택부(18)의 제어단자에 공급된다.
적외선 광원(IRS)은 전류 조절부(2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비례하는 광양으로 발광되어 도 5와 같은 송출 신호(Tx1, Tx2) 형태의 적외선 송출 신호를 발생한다. 적외선 광원(IRS)은 적외선 다이오드로 구현될 수 있다. 적외선 다이오드의 애노드는 전류 조절부(20)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적외선 다이오드의 캐소드는 기저전압원(GND)에 접속된다.
마스크 펄스 발생부(12)는 도 5와 같이 유효 신호 송출 구간(t1)을 정의하는 마스크 신호(MSK)를 발생하여 트랜지스터(Q)를 제어한다. 트랜지스터(Q)는 마스크 신호(MSK)에 응답하여 전원 전압(Vcc)을 스위칭하여 그 전원 전압(Vcc)을 전류 조절부(20)에 공급한다.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또는 게이트) 단자에는 마스크 신호(MSK)가 공급된다. 트랜지스터(Q)의 컬렉터(또는 드레인) 단자에는 전원 전압(Vcc)이 공급되고, 트랜지스터(Q)의 에미터(또는 소스) 단자는 전류 조절부(20)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전원 전압(Vcc)은 3.3 V의 하이 논리 전압(High logic voltage)으로서, 적외선 광원(IRS), 마스크 펄스 발생부(12), 리딩신호 발생부(14), 테일링신호 발생부(16), 제어신호 선택부(18), 전류 조절부(20) 등 적외선 송신 장치의 구동 전원이다.
리딩신호 발생부(14)는 유효 신호 송출 구간(t1) 내에서 도 5와 같은 펄스 형태의 리딩신호(Leading signal, LS)를 출력한다. 리딩신호 발생부(14)는 유효 신호 송출 구간(t1)의 초기(또는 전반부)에 리딩신호(LS)의 펄스를 출력할 수 있다. 테일링신호 발생부(16)는 리딩 신호(LS)에 이어서, 도 5와 같은 펄스 형태의 테일링신호(Tailing signal, TS)를 출력한다. 테일링신호 발생부(16)는 유효 신호 송출 구간(t1)의 후기(또는 후반부)에 테일링신호(TS)의 펄스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신호 선택부(18)는 버튼 신호(BT)에 응답하여 리딩신호(LS)와 테일링신호(TS)를 제어신호로서 전류 조절부(20)에 공급한다. 전류 조절부(20)는 제어신호 선택부(18)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저항값을 조절하여 적외선 광원(IRS)에 공급되는 전류(i)를 조절한다. 버튼 신호가 하이 논리일 때, 하이 논리 신호가 제어신호 선택부(18)의 제어단자에 입력되고, 전류 조절부(20)는 적외선 광원(IRS)에 도 5와 같은 제1 송신 신호(Tx1)를 공급한다. 버튼 신호가 로우 논리일 때, 로우 논리 신호가 제어신호 선택부(18)의 제어단자에 입력되고, 전류 조절부(20)는 적외선 광원(IRS)에 도 5와 같은 제2 송신 신호(Tx2)를 공급한다. 한편, 버튼 신호가 하이 논리일 때 전류 조절부(20)는 적외선 광원(IRS)에 제2 송신 신호(Tx2)를 공급하고, 버튼 신호가 로우 논리일 때 적외선 광원(IRS)에 제1 송신 신호(Tx2)를 공급할 수 있다. 제1 송신 신호(Tx1)는 도 5와 같이 유효 신호 송출 구간(t1)에서 먼저 발생되는 강 신호와, 그 강 신호에 이어서 발생되는 약 신호를 포함한다. 제2 송신 신호(Tx2)는 제1 송신 신호(Tx1)의 역 위상 신호로 발생된다. 이 경우, 제2 송신 신호(Tx2)는 도 5와 같이 유효 신호 송출 구간(t1)에서 먼저 발생되는 약 신호와, 그 약 신호에 이어서 발생되는 강 신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 장치(100)는 버튼 온/오프를 구별하기 위하여 송신 신호(Tx1, Tx2)에서 강 신호와 약 신호의 순서를 다르게 하고, 그 송신 신호(Tx1, Tx2)에 따라 적외선 광원(IRS)을 발광시켜 버튼 온/오프에 관계없이 항상 적외선을 송출하고 한다. 표시장치(200)는 강신호와 약신호가 연속되는 적외선을 수신하고 강 신호와 약 신호를 검출하여 적외선 송신 장치(100)의 위치 변화를 실시간 계산할 수 있고, 버튼 온/오프를 식별할 수 있다.
강 신호와 양 신호는 전류 조절부(20)의 저항값에 따라 그 전류값이 조절되고, 각각 유효 신호 송출 구간(t1)의 대략 1/2 기간에 해당하는 t2 동안 발생될 수 있다. t2는 대략 1~3 msec 사이의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약 신호의 전류는 강 신호의 전류에 비하여 1/2 정도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 신호의 전류는 대략 100mA로 설정될 수 있고, 약 신호의 전류는 대략 50mA로 설정될 수 있다. 도 5에서 "T"는 송신 신호의 멀티 스탭(Multi-step) 펄스의 주기로서, 표시장치(200)의 1 프레임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표시장치(200)의 입력 프레임 주파수는 PAL(Phase Alternate Line) 방식에서 50Hz이고 NTSC(National Television Standards Committee) 방식에서 60Hz이다. 따라서, 도 5에서 T는 PAL 방식에서 20 msec로 설정되고, NTSC 방식에서 대략 16.67 msec 로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신호 선택부(18)와 전류 조절부(20)의 제1 실시예를 보여 주는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신호 선택부(18)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SW1~SW4), 제1 및 제2 인버터(INV1, INV2) 등을 포함한다. 전류 조절부(20)는 제5 내지 제8 스위치(SW5~SW8), 제1 내지 제4 저항들(Ra, Rb, Rb', Ra') 등을 포함한다.
제1 스위치(SW1)는 리딩신호 발생부(14)의 출력 단자와 제5 스위치(SW5)의 제어 단자 사이에 접속된다. 제1 스위치(SW1)는 제1 인버터(INV1)에 의해 반전된 버튼 신호의 로우 논리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turn-on)되어 리딩신호(LS)의 펄스를 제5 스위치(SW5)의 제어단자에 공급한다. 제2 스위치(SW2)는 리딩신호 발생부(14)의 출력 단자와 제7 스위치(SW7)의 제어 단자 사이에 접속된다. 제2 스위치(SW2)는 비반전된 버튼 신호의 하이 논리 신호에 따라 턴-온되어 리딩신호(LS)의 펄스를 제7 스위치(SW7)의 제어단자에 공급한다.
제3 스위치(SW3)는 테일링신호 발생부(16)의 출력 단자와 제6 스위치(SW6)의 제어 단자 사이에 접속된다. 제3 스위치(SW3)는 제2 인버터(INV2)에 의해 반전된 버튼 신호의 로우 논리 신호에 따라 턴-온되어 테일링신호(TS)의 펄스를 제6 스위치(SW6)의 제어단자에 공급한다. 제4 스위치(SW4)는 테일링신호 발생부(16)의 출력 단자와 제8 스위치(SW8)의 제어 단자 사이에 접속된다. 제4 스위치(SW4)는 비반전된 버튼 신호의 하이 논리 신호에 따라 턴-온되어 테일링신호(TS)의 펄스를 제8 스위치(SW8)의 제어단자에 공급한다.
제1 인버터(INV1)는 버튼(BT)과 제1 스위치(SW1)의 제어 단자 사이에 접속된다. 제1 인버터(INV1)는 버튼 신호를 반전시켜 제1 스위치(SW1)를 제어한다. 제2 인버터(INV2)는 버튼(BT)과 제3 스위치(SW3)의 제어 단자 사이에 접속된다. 제2 인버터(INV2)는 버튼 신호를 반전시켜 제3 스위치(SW3)를 제어한다.
제5 스위치(SW5)는 트랜지스터(Q)의 에미터 단자와 제1 저항(Ra) 사이에 접속된다. 제5 스위치(SW5)는 버튼 신호가 로우 논리 신호일 때 제1 스위치(SW1)로부터의 리딩신호(LS)에 응답하여 전원 전압원(Vcc)으로부터의 전류를 제1 저항(Ra)에 공급한다. 제6 스위치(SW6)는 트랜지스터(Q)의 에미터 단자와 제2 저항(Rb) 사이에 접속된다. 제6 스위치(SW6)는 버튼 신호가 로우 논리 신호일 때 제3 스위치(SW3)로부터의 테일링신호(TS)에 응답하여 전원 전압원(Vcc)으로부터의 전류를 제2 저항(Rb)에 공급한다.
제7 스위치(SW7)는 트랜지스터(Q)의 에미터 단자와 제3 저항(Rb') 사이에 접속된다. 제7 스위치(SW7)는 버튼 신호가 하이 논리 신호일 때 제 제2 스위치(SW2)로부터의 리딩신호(LS)에 응답하여 전원 전압원(Vcc)으로부터의 전류를 제3 저항(Rb')에 공급한다. 제8 스위치(SW8)는 트랜지스터(Q)의 에미터 단자와 제4 저항(Ra') 사이에 접속된다. 제8 스위치(SW8)는 버튼 신호가 하이 논리 신호일 때 제4 스위치(SW4)로부터의 테일링신호(TS)에 응답하여 전원 전압원(Vcc)으로부터의 전류를 제4 저항(Ra')에 공급한다.
제1 및 제4 저항(Ra, Ra')의 저항값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2 및 제3 저항(Rb, Rb')의 저항값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1 및 제4 저항(Ra, Ra')을 통과하는 전류가 제2 및 제3 저항(Rb, Rb')을 통과한 전류보다 높도록 제1 및 제4 저항(Ra, Ra')의 저항값은 제2 및 제3 저항(Rb, Rb')의 그 것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된다. 제1 내지 제4 저항들(Ra, Rb, Rb', Ra')은 트랜지스터(Q)와 적외선 광원(IRS) 사이에 병렬 접속된다.
제1 및 제4 저항(Ra, Ra')을 통과하여 적외선 광원(IRS)에 공급되는 전류는 도 5에서 송신신호(Tx1, Tx2)의 강 신호 전류이다. 제2 및 제3 저항(Rb, Rb')을 통과하여 적외선 광원(IRS)에 공급되는 전류는 도 5에서 송신신호(Tx1, Tx2)의 약 신호 전류이다.
버튼 신호가 하이 논리일 때, 제2 및 제4 스위치(SW2, SW4)는 턴-온되는 반면에, 제1 및 제3 스위치(SW1, SW3)는 턴-오프된다. 버튼 신호가 하이 논리일 때, 제7 스위치(SW7)가 리딩신호(LS)에 응답하여 턴-온된 후에 제8 스위치(SW8)가 테일링신호(TS)에 응답하여 턴-온된다. 따라서, 버튼 신호가 하이 논리일 때, 제7 스위치(SW7)와 제3 저항(Rb')을 통해 흐르는 약 신호 전류가 적외선 광원(IRS)에 공급된 후에, 제8 스위치(SW8)와 제4 저항(Ra')을 통해 흐르는 강 신호 전류가 적외선 광원(IRS)에 공급된다. 따라서, 버튼 신호가 하이 논리일 때 송신 신호는 도 5에서 제2 송신 신호(Tx2) 형태로 발생된다.
버튼 신호가 로우 논리일 때, 제1 및 제3 스위치(SW1, SW3)는 턴-온되는 반면에, 제2 및 제4 스위치(SW2, SW4)는 턴-오프된다. 버튼 신호가 로우 논리일 때, 제5 스위치(SW5)가 리딩신호(LS)에 응답하여 턴-온된 후에 제6 스위치(SW6)가 테일링신호(TS)에 응답하여 턴-온된다. 따라서, 버튼 신호가 로우 논리일 때, 제5 스위치(SW5)와 제1 저항(Ra)을 통해 흐르는 강 신호 전류가 적외선 광원(IRS)에 공급된 후에, 제6 스위치(SW8)와 제2 저항(Rb)을 통해 흐르는 약 신호 전류가 적외선 광원(IRS)에 공급된다. 따라서, 버튼 신호가 로우 논리일 때 송신 신호는 도 5에서 제1 송신 신호(Tx1) 형태로 발생된다.
한편, 인버터들(INV1, INV2)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제1 인버터(INV1)는 제2 스위치(SW2)와 버튼(BT) 사이에 연결되어 버튼 신호를 반전시켜 제2 스위치(SW2)를 제어할 수 있고, 제2 인버터(INV2)는 제4 스위치(SW4)와 버튼(BT) 사이에 연결되어 버튼 신호를 반전시켜 제4 스위치(SW4)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버튼 신호가 하이 논리일 때 송신 신호는 도 5에서 제1 송신 신호(Tx1) 형태로 발생된다. 그리고 버튼 신호가 로우 논리일 때 송신 신호는 도 5에서 제2 송신 신호(Tx2) 형태로 발생된다.
송신 신호(Tx1, Tx2)는 도 5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버튼의 개수가 증가하면, 송신 신호(Tx1, Tx1)의 멀티 스탭 파형에서 강 신호와 약 신호 사이의 중간 레벨 전류가 포함되어 스텝 수가 증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버튼의 개수가 증가하면, 멀티 스탭 파형에서 강 신호와 약 신호에 이어서 다른 강 신호(또는 약 신호)가 발생되어 멀티 스탭 파형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어신호 선택부(18)와 전류 조절부(20)의 제2 실시예를 보여 주는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신호 선택부(18)는 제1 및 제2 스위치(SW10, SW20), 인버터(INV) 등을 포함한다. 전류 조절부(20)는 제3 스위치(SW30), 제1 및 제2 저항(Ra, Rb) 등을 포함한다.
제1 스위치(SW10)는 리딩신호 발생부(14)의 출력 단자와 제3 스위치(SW30)의 제어 단자 사이에 접속된다. 제1 스위치(SW10)는 인버터(INV)에 의해 반전된 버튼 신호의 로우 논리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리딩신호(LS)의 펄스를 제3 스위치(SW30)의 제어단자에 공급한다.
제2 스위치(SW20)는 테일링신호 발생부(16)의 출력 단자와 제3 스위치(SW3)의 제어 단자 사이에 접속된다. 제2 스위치(SW20)는 비반전된 버튼 신호의 하이 논리 신호에 따라 턴-온되어 테일링신호(TS)의 펄스를 제3 스위치(SW30)의 제어단자에 공급한다.
인버터(INV)는 버튼(BT)과 제1 스위치(SW10)의 제어 단자 사이에 접속된다. 인버터(INV)는 버튼 신호를 반전시켜 제1 스위치(SW10)를 제어한다.
제1 및 제2 저항(Ra, Rb)은 동일한 저항값의 저항들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저항(Ra, Rb)은 서로 다른 저항값의 저항들로 선택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Q)와 적외선 광원(IRS) 사이에서 제1 및 제2 저항(Ra, Rb)이 직렬로 연결될 때의 저항값은 Ra + Rb로서, 도 5에서 송신 신호(Tx1, Tx2)의 약 신호를 설정한다. 트랜지스터(Q)와 적외선 광원(IRS) 사이에서 제1 저항(Ra) 만이 연결될 때의 저항값은 도 5에서 송신 신호(Tx1, Tx2)의 강 신호를 설정한다.
제3 스위치(SW30)는 제2 저항(Rb)과 병렬 접속될 수 있도록 제2 저항(Rb)의 양단에 접속된다. 제3 스위치(SW30)는 버튼 신호가 로우 논리 신호일 때 리딩신호(LS)에 응답하여 제2 저항(Rb)의 양단을 단락(short ciruit)시킨다. 반면에, 제3 스위치(SW30)는 버튼 신호가 하이 논리 신호일 때 테일링신호(TS)에 응답하여 제2 저항(Rb)의 양단을 단락시킨다.
버튼 신호가 로우 논리 신호이면, 그 신호는 인버터(INV)에 의해 반전되어 제1 스위치(SW10)를 턴-온시킨다. 버튼 신호가 로우 논리 신호일 때, 제2 스위치(SW20)는 턴-오프된다. 버튼 신호가 로우 논리 신호일 때, 도 5와 같은 하이 논리 펄스의 리딩신호(LS)에 의해 제3 스위치(SW30)가 턴-온되어 적외선 광원(IRS)의 전류는 제1 저항(Ra) 만으로 조절된다. 이 때, 적외선 광원(IRS)으로부터 강 신호가 송출된다. 이어서, 리딩신호(LS)가 로우 논리로 반전되면 제3 스위치(SW30)는 턴-오프된다. 이 때, 적외선 광원(IRS)의 전류는 제1 및 제2 저항(Ra, Rb)의 직렬 합성 저항 Ra + Rb으로 조절되어 적외선 광원(IRS)으로부터 약 신호가 송출된다. 따라서, 버튼 신호가 로우 논리 신호일 때, 송출 신호는 도 5에서 제1 송출 신호(Tx1) 형태로 발생된다.
버튼 신호가 하이 논리 신호로 발생되면, 제2 스위치(SW20)는 턴-온되는 반면, 제1 스위치(SW10)는 턴-오프된다. 제3 스위치(SW30)가 오프 상태를 유지할 때, 적외선 광원(IRS)의 전류는 제1 및 제2 저항(Ra, Rb)의 직렬 합성 저항 Ra + Rb으로 조절되어 적외선 광원(IRS)으로부터 약 신호가 송출된다. 이어서, 버튼 신호가 하이 논리 신호로 반전되면, 제3 스위치(SW30)는 하이 논리 펄스의 테일링 신호(TS)에 응답하여 턴-온된다. 이 때, 적외선 광원(IRS)의 전류는 제1 저항(Ra) 만으로 조절되어 적외선 광원(IRS)으로부터 강 신호가 송출된다. 따라서, 버튼 신호가 하이 논리 신호일 때, 송출 신호는 도 5에서 제2 송출 신호(Tx2) 형태로 발생된다.
도 4의 실시예는 도 3의 실시예에 비하여, 스위치, 인버터 그리고 저항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저항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4의 실시예는 도 3의 실시예에 비하여 회로 구성 부품 수를 줄여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인버터(INV)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인버터(INV)는 제2 스위치(SW20)와 버튼(BT) 사이에 연결되어 버튼 신호를 반전시켜 제2 스위치(SW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버튼 신호가 하이 논리일 때 송신 신호는 도 5에서 제1 송신 신호(Tx1) 형태로 발생된다. 그리고 버튼 신호가 로우 논리일 때 송신 신호는 도 5에서 제2 송신 신호(Tx2) 형태로 발생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2 : 마스크 펄스 발생부 14 : 리딩신호 발생부
16 : 테일링신호 발생부 18 : 제어신호 선택부
20 : 전류 조절부 BT : 버튼
Q : 트랜지스터 IRS : 적외선 광원
100 : 적외선 송신 장치 200 : 표시장치

Claims (7)

  1. 유효 신호 송출 구간(t1)을 정의하는 마스크 신호(MSK)를 출력하는 마스크 펄스 발생부(12);
    마스크 펄스 발생부(12)로부터 수신된 상기 마스크 신호(MSK)에 응답하여 전원 전압(Vcc)을 스위칭하는 트랜지스터(Q);
    상기 유효 신호 송출 구간(t1) 내에서 리딩신호(LS)의 펄스를 출력하는 리딩신호 발생부(14);
    상기 유효 신호 송출 구간(t1) 내에서 상기 리딩 신호(LS) 후에 테일링신호(TS)의 펄스를 출력하는 테일링신호 발생부(16);
    상기 트랜지스터(Q)와 적외선 광원(IR)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리딩 신호(LS)와 상기 테일링 신호(TS)에 응답하여 상기 적외선 광원(IR)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전류 조절부(20); 및
    상기 리딩 신호 발생부(14), 상기 테일링 신호 발생부(16) 및 상기 전류 조절부(20) 사이에 연결되어 버튼(BT)의 온/오프에 따라 논리가 반전되는 버튼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리딩신호(LS)의 펄스와 테일링신호(TS)의 펄스를 상기 전류 조절부(20)에 전달하는 제어신호 선택부(18)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는 상기 마스크 펄스 발생부로부터 마스크 신호(MSK)가 수신되는 베이스(또는 게이트), 상기 전원 전압이 공급되는 컬렉터(또는 드레인), 및 상기 전류 조절부(20)에 연결된 에미터(또는 소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송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광원은,
    상기 버튼 신호가 하이 논리일 때 약 신호에 이어서 강 신호를 발생하는 반면에,
    상기 버튼 신호가 로우 논리일 때 상기 강 신호에 이어서 상기 약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송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광원은,
    상기 버튼 신호가 하이 논리일 때 강 신호에 이어서 약 신호를 발생하는 반면에,
    상기 버튼 신호가 로우 논리일 때 상기 약 신호에 이어서 상기 강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송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선택부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와, 제1 및 제2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 조절부는 제5 내지 제8 스위치와, 제1 내지 제4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4 저항의 저항값은 제2 및 제3 저항의 그 것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상기 트랜지스터와 상기 적외선 광원 사이에 병렬 접속되며,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1 인버터에 의해 반전된 상기 버튼 신호의 로우 논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리딩신호의 펄스를 상기 제5 스위치의 제어단자에 공급하여 상기 제5 스위치를 턴-온시킴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와 상기 적외선 광원 사이에 상기 제1 저항을 연결하고,
    제3 스위치는 상기 제2 인버터에 의해 반전된 상기 버튼 신호의 로우 논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테일링신호의 펄스를 상기 제6 스위치의 제어단자에 공급하여 상기 제6 스위치를 턴-온시킴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와 상기 적외선 광원 사이에 제2 저항을 연결하고,
    제2 스위치는 상기 버튼 신호의 하이 논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리딩신호의 펄스를 제7 스위치의 제어단자에 공급하여 상기 제7 스위치를 턴-온시킴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와 상기 적외선 광원 사이에 제3 저항을 연결하고,
    제4 스위치는 상기 버튼 신호의 하이 논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테일링신호의 펄스를 제8 스위치의 제어단자에 공급하여 상기 제8 스위치를 턴-온시킴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와 상기 적외선 광원 사이에 상기 제4 저항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송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선택부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와, 제1 및 제2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 조절부는 제5 내지 제8 스위치와, 제1 내지 제4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4 저항의 저항값은 제2 및 제3 저항의 그 것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상기 트랜지스터와 상기 적외선 광원 사이에 병렬 접속되며,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버튼 신호의 하이 논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리딩신호의 펄스를 제5 스위치의 제어단자에 공급하여 상기 제5 스위치를 턴-온시킴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와 상기 적외선 광원 사이에 상기 제1 저항을 연결하고,
    제3 스위치는 상기 버튼 신호의 하이 논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테일링신호의 펄스를 제6 스위치의 제어단자에 공급하여 상기 제6 스위치를 턴-온시킴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와 상기 적외선 광원 사이에 제2 저항을 연결하고,
    제2 스위치는 상기 제1 인버터에 의해 반전된 상기 버튼 신호의 로우 논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리딩신호의 펄스를 상기 제7 스위치의 제어단자에 공급하여 상기 제7 스위치를 턴-온시킴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와 상기 적외선 광원 사이에 제3 저항을 연결하고,
    제4 스위치는 상기 제2 인버터에 의해 반전된 상기 버튼 신호의 로우 논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테일링신호의 펄스를 상기 제8 스위치의 제어단자에 공급하여 상기 제8 스위치를 턴-온시킴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와 상기 적외선 광원 사이에 상기 제4 저항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송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선택부는 제1 및 제2 스위치와,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 조절부는 제3 스위치와, 제1 및 제2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저항은 서로 동일한 저항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3 스위치는 상기 제2 저항의 양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3 스위치가 턴-오프될 때 상기 제1 및 제2 저항들이 상기 트랜지스터와 상기 적외선 광원 사이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3 스위치가 턴-온될 때 상기 트랜지스터와 상기 적외선 광원 사이에 상기 제1 저항이 연결되며,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인버터에 의해 반전된 상기 버튼 신호의 로우 논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리딩신호의 펄스를 상기 제3 스위치의 제어단자에 공급하여 상기 제7 스위치를 턴-온시킴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와 상기 적외선 광원 사이에 상기 제1 저항을 연결하며,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버튼 신호의 하이 논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테일링신호의 펄스를 상기 제3 스위치의 제어단자에 공급하여 상기 제3 스위치를 턴-온시킴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와 상기 적외선 광원 사이에 상기 제1 저항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송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선택부는 제1 및 제2 스위치와,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 조절부는 제3 스위치와, 제1 및 제2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저항은 서로 동일한 저항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3 스위치는 상기 제2 저항의 양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3 스위치가 턴-오프될 때 상기 제1 및 제2 저항들이 상기 트랜지스터와 상기 적외선 광원 사이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3 스위치가 턴-온될 때 상기 트랜지스터와 상기 적외선 광원 사이에 상기 제1 저항이 연결되며,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버튼 신호의 하이 논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리딩신호의 펄스를 상기 제3 스위치의 제어단자에 공급하여 상기 제3 스위치를 턴-온시킴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와 상기 적외선 광원 사이에 상기 제1 저항을 연결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인버터에 의해 반전된 상기 버튼 신호의 로우 논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테일링신호의 펄스를 상기 제3 스위치의 제어단자에 공급하여 상기 제3 스위치를 턴-온시킴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와 상기 적외선 광원 사이에 상기 제1 저항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송신 장치.
KR1020110048367A 2011-05-23 2011-05-23 적외선 송신 장치 KR101813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367A KR101813714B1 (ko) 2011-05-23 2011-05-23 적외선 송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367A KR101813714B1 (ko) 2011-05-23 2011-05-23 적외선 송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444A KR20120130444A (ko) 2012-12-03
KR101813714B1 true KR101813714B1 (ko) 2018-02-07

Family

ID=47514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367A KR101813714B1 (ko) 2011-05-23 2011-05-23 적외선 송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7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0789A (ja) 2000-05-10 2001-1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モコン送信機
KR100490206B1 (ko) 2002-10-16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WO2009054213A1 (ja) 2007-10-24 2009-04-30 Kabushiki Kaisha Audio-Technica 赤外線送信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0789A (ja) 2000-05-10 2001-1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モコン送信機
KR100490206B1 (ko) 2002-10-16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WO2009054213A1 (ja) 2007-10-24 2009-04-30 Kabushiki Kaisha Audio-Technica 赤外線送信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444A (ko) 2012-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006B1 (ko)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로 제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US8675008B2 (en) Calculation device, movement detection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
US20120146926A1 (en) Input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218115B2 (en) Input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140191996A1 (en) Touchpa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uchpad
US9201505B2 (en) Input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1316657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CN111770369A (zh) 遥控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1557098B (zh) 电子装置及其显示方法
KR20160101572A (ko) 영상표시 장치 및 그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
US1036666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contrast
US8354996B2 (en) Electronic reading apparatus and input method thereof
KR101813714B1 (ko) 적외선 송신 장치
KR102224634B1 (ko) 영상표시장치
US106924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backlight for a display panel
KR101909886B1 (ko) 적외선을 이용한 위치검출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0170646B1 (ko) 메뉴선택장치
US1199605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793281B1 (ko)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
US20230306919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20170034407A1 (en) Interacting Display Device
KR20190037898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165204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10076051A (ko)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및 그 방법, 터치 구동 장치 및 그 방법, 터치스크린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N102256064A (zh) 信号切换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