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687B1 -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687B1
KR101813687B1 KR1020160106754A KR20160106754A KR101813687B1 KR 101813687 B1 KR101813687 B1 KR 101813687B1 KR 1020160106754 A KR1020160106754 A KR 1020160106754A KR 20160106754 A KR20160106754 A KR 20160106754A KR 101813687 B1 KR101813687 B1 KR 101813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us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administrator
administra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스
Priority to KR1020160106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6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버나 스토리지등의 항상 구동되어야 하는 정보화 시스템의 이상 발생시에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해당 정보화 시스템의 제조사 엔지니어에게 경보 신호를 전송하여 필요한 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한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태별 임계치를 기준으로 하여 임계치를 넘어가는 상태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임계치를 넘어가는 상태가 발생되면 해당 상태 경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정보화 장치; 상기 정보화 장치에서 전송되는 상태 경보 메시지를 전송받아 제1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제1 관리자 단말; 및 상기 정보화 장치에서 전송되는 상태 경보 메시지를 전송받아 제2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제2 관리자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버나 스토리지등의 항상 구동되어야 하는 정보화 시스템의 이상 발생시에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해당 정보화 시스템의 제조사 엔지니어에게 경보 신호를 전송하여 필요한 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한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시스템중에서는 서버나 스토리지처럼 24시간 항상 구동되어야 하는 장치가 있다.
이와 같은 항상 구동되어야 하는 장치는 중요한 업무시스템이므로 장애가 발생하거나 정전시에, 즉 서비스를 제대로 대응하지 못할 경우 대민서비스, 금융서비스 등에 막대한 피해를 감수할 수 밖에 없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해당 장치를 운영해야 할 책임을 맡고 있는 기관이나 기업은 24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하지만 현재 운영되는 모니터링 시스템은 모든 솔루션의 장애 상황을 제한된 인원으로 모니터링 하기 때문에 결국 외부 전문가(제조사 엔지니어)를 불러서 서비스 정상화를 시도할 수 밖에 없다.
이 경우에 장애 상황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해 다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서비스가 정상화되는데 많은 시간의 소요가 불가피하다.
이와 같은 해당 장치의 복구 지연은 피해액의 증가로 이어진다.
국내특허공개번호 10-2008-0079343호 국내특허공개번호 10-2001-009238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버나 스토리지등의 항상 구동되어야 하는 정보화 시스템의 이상 발생시에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해당 정보화 시스템의 제조사 엔지니어에게 경보 신호를 전송하여 신속하게 필요한 조치를 받을 수 있어 복구되도록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태별 임계치를 기준으로 하여 임계치를 넘어가는 상태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임계치를 넘어가는 상태가 발생되면 해당 상태 경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정보화 장치; 상기 정보화 장치에서 전송되는 상태 경보 메시지를 전송받아 제1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제1 관리자 단말; 및 상기 정보화 장치에서 전송되는 상태 경보 메시지를 전송받아 제2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제2 관리자 단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상기 정보화 장치는 서버, 스토리지, 보안 솔루션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중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상기 정보화 장치는 상태별 임계치를 제2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임계치 설정 모듈; 상태별 경보 메시지 전송 대상을 제2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대상 설정 모듈; 상기 제1 관리자 단말 및 제2 관리자 단말로 상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신 모듈; 및 상태별 임계치를 기준으로 하여 임계치를 넘어가는 상태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임계치를 넘어가는 상태가 발생되면 해당 상태 경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제1 관리자 단말 및 제2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상기 제1 관리자 단말은 제1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정보화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정보화 장치로부터 해당 상태를 전송받아 제1 관리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정보화 장치는 상기 제1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제1 관리자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상기 제1 관리자 단말은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축약된 명령어로 전송하며, 상기 정보화 장치는 상기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의 축약된 명령어에 대한 비축약된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는 축약어 데이터베이스; 상기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의 축약된 명령어에 대한 비축약된 명령어를 상기 축약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축약어 검색 모듈; 및 상기 제1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축약된 명령어에 대한 비축약된 명령어를 상기 축약어 검색 모듈을 통하여 검색하여 해당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제1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상기 정보화 장치는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암호화 모듈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A) 정보화 장치가 상태별 임계치를 기준으로 하여 임계치를 넘어가는 상태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B) 상기 정보화 장치가 임계치를 넘어가는 상태가 발생되면 해당 상태 경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C) 제1 관리자 단말이 상기 정보화 장치에서 전송되는 상태 경보 메시지를 전송받아 제1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D) 제2 관리자 단말이 상기 정보화 장치에서 전송되는 상태 경보 메시지를 전송받아 제2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상기 정보화 장치는 서버, 스토리지, 보안 솔루션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중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A) 단계 이전에 (E) 상기 정보화 장치가 상태별 임계치를 제2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및 (F) 상기 정보화 장치가 상태별 경보 메시지 전송 대상을 제2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G) 상기 제1 관리자 단말이 제1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정보화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H) 상기 정보화 장치가 상기 제1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제1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I) 상기 제1 관리자 단말이 상기 정보화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태를 제1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상기 제1 관리자 단말은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축약된 명령어로 전송하며, 상기 정보화 장치는 축약된 명령어에 대한 비축약된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어 상기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의 축약된 명령어에 대한 비축약된 명령어에 따라 해당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제1 관리자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사 엔지니어에 의해 관리되어져야 하는 대상 장치(서버, 스토리지, 보안솔루션 등)들이 서비스 불가 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하여 가동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 장치의 문제 발생의 인지에서부터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제조사 엔지니어의 조기 접근을 보장하여 커뮤니케이션 손실(시간, 미스 커뮤니케이션 등)을 최소화함에 따라 신속한 복구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보화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정보화 장치와 제1 관리자 단말 및 제2 관리자 단말의 정보 전송을 카카오톡 형식으로 수행하는 하나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보화 장치에 구비되는 축약어 검색부와 축약어 데이터베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5는 정보화 장치와 제1 관리자 단말 및 제2 관리자 단말의 정보 전송을 카카오톡 형식으로 수행하는 다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정보화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정보화 장치(100), 제1 관리자용 단말(200) 및 제2 관리자용 단말(30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화 장치(100)는 도 2를 참조하면 임계치 설정 모듈(110), 대상 설정 모듈(120), 제어 모듈(130), 암호화 모듈(140), 통신 모듈(150), 축약어 검색 모듈(160) 및 축약어 데이터베이스(170)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화 장치(100)는 24시간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는 서버, 스토리지, 보안 솔루션 장비, 네트워크 장비 등을 포함하며, 기업체의 전산실에 배치되고 설비 관리자에 의해 관리된다.
이와 같은 정보화 장치(100)는 각 상태별로 설정해 놓는 임계치를 저장하고 있다.
일예로, 정보화 장치(100)는 CPU 상태와 관련해서 CPU 사용율이 84%를 넘는 경우에 경보 메시지를 발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정보화 장치(100)는 임계치 설정 모듈(110)을 구비하여 설비 관리자에게 각 상태별로 임계치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정보화 장치(100)는 각 상태별로 설정해 놓은 임계치를 넘어가는 경우에 각 상태에 따라 경보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는 관리자 단말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일예로, 정보화 장치(100)는 서버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A제조사 엔지니어에게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고, 스토리지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 B 제조사 엔지니어에게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며, 보안 솔루션 장비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 C 제조사 엔지니어에게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조사 엔지니어 단말은 제1 관리자 단말(200)로 대표해서 표현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보화 장치(100)는 대상 설정 모듈(120)을 구비하여 설비 관리자로부터 각 상태별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는 관리자 단말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다.
물론, 정보화 장치(100)는 정보화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 동시에 전송되도록 하거나 차후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정보화 장치(100)의 관리자 단말은 제2 관리자 단말(300)로 대표해서 나타냈다.
또한, 정보화 장치(100)는 각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각 상태에 따른 설정된 임계치를 넘어가는 이상 상황이 발생되면 경보 메시지를 발생시켜 제1 관리자 단말(200)과 제2 관리자 단말(300)로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130)을 구비하고 있다.
일예로, 정보화 장치(100)는 CPU 사용율이 84% 이상인 경우에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CPU 상태 임계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CPU 사용율을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84%를 넘게 되면 지체없이 경보 메시지를 제1 관리자 단말(200)과 제2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이때, 정보화 장치(100)는 암호화 모듈(140)을 구비하여 경보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전송하여 정보 보안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정보화 장치(100)는 통신 모듈(150)을 구비하여, 경보 메시지를 카카오톡 형식으로 또는 문자 메시지 형식으로 제1 관리자 단말(200) 또는 제2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정보화 장치(100)는 제1 관리자 단말(200)과 제2 관리자 단말(300)이 카카오톡 형식으로 대화방을 개설하여 경보 메시지가 수신되는 상태를 서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관리자 단말(200)은 제조사 엔지니어가 소지하는 단말로 이동통신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관리자 단말(300)은 설비 관리자가 소지하는 단말로 이동통신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제1 관리자 단말(200)과 제2 관리자 단말(300)은 카카오톡 형식으로 서로 대화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관리자 단말(200)을 사용하여 제1 관리자는 정보화 장치(100)간에 대화를 사람들간의 대화처럼 자유롭게 하지는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미리 약속된 언어로만 대화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정보화 장치(100)는 축약어 데이터베이스(160)를 구비하여 축약된 명령어와 그에 해당하는 비축약된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으며, 축약어 검색부(170)를 구비하여 제1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축약어로 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포함된 축약어에 해당하는 비축약어를 축약어 데이터베이스(160)에서 검색하여 제어 모듈(130)로 전송하고, 제어 모듈(130)은 비축약된 명령어에 해당하는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제1 관리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이처럼 각 솔루션마다 상이하겠지만, 비상상황에 정보화 장치(100)의 여러가지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명령어(Command)를 축약어로 미리 정의(Define)하여 정보화 장치(100)가 축약어 데이터베이스(160)에 가지고 있다면 그 약속된 축약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보화 장치(100)는 축약어 검색부(170)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정보화 장치(100)의 제어 모듈(130)은 각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각 상태별로 설정해 놓은 임계치에 이르는 상황이 발생되면 경보 메시지를 발생시켜 등록된 제1 관리자 단말(200)과 제2 관리자 단말(300)로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경보 메시지를 통신 모듈(150)을 통하여 전송한다.
이때, 정보화 장치(100)는 암호화 모듈(140)을 사용하여 경보 메시지를 암호화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정보화 장치(100)의 제어 모듈(130)은 임계치 설정 모듈(110)을 통하여 CPU 사용율의 임계치가 84%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그리고 대상 설정 모듈(120)을 통하여 제1 관리자 단말(200)과 제2 관리자 단말(300)이 경보 메시지의 전송 대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도 3을 보면 CPU 사용율이 84% 이상이 되면, 경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카카오톡 방식으로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통신 모듈(150)을 통하여 제1 관리자 단말(200)과 제2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물론, 정보화 장치(100)는 암호화 모듈(140)을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제1 관리자 단말(200)과 제2 관리자 단말(300)에서 복호화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관리자 단말(200)을 통해 경보 메시지를 전송받은 제1 관리자는 마치 카카오톡으로 대화하듯이 정보화 장치(100)로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일예로, 제1 관리자는 제1 관리자 단말(200)을 통해 'CPU 72H'라는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정보화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정보화 장치(100)의 제어 모듈(130)은 통신 모듈(150)과 암호화 모듈(140)을 경유하여 'CPU 72H'라는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CPU의 73시간의 사용량 정보를 생성하여 제1 관리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물론, 정보화 장치(100)의 제어 모듈(130)은 이와 같은 상태 정보를 제2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관리자는 제1 관리자 단말(200)을 통해 정보화 장치(100)에 필요한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관리자는 제2 관리자를 초청하여 같이 정보화 장치(100)의 상황을 보면서 상황을 공유할 수 있다.
제2 관리자는 상황을 공유하면서 필요한 의사결정을 하고, 결정된 사항을 제2 관리자 단말(300)을 통해 제1 관리자에게 제1 관리자 단말(200)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3과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관리자가 제1 관리자 단말(200)을 통해 CPU 72H라는 축약어로 된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를 던졌을 때, 정보화 장치(100)의 축약어 검색부(170)는 축약어 데이터베이스(160)에 CPU 72H라는 축약된 명령어에 해당하는 비축약된 명령어, 일예로 이전 72시간 CPU 사용률 상태 전송 요청이라는 비축약어를 검색하여 이를 제어 모듈(130)로 전송하면, 제어 모듈(130)은 비축약된 명령어에 해당하는 이전 72시간 CPU 사용률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제1 관리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한편, 도 4와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관리자가 제1 관리자 단말(200)을 통해 process GABBAG라는 축약어로 된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를 던졌을 때, 정보화 장치(100)의 축약어 검색부(170)는 축약어 데이터베이스(160)에 process GABBGA라는 축약된 명령어에 해당하는 비축약된 명령어, 일예로 GABBGA에 해당하는 사용율 집합의 상태 전송 요청이라는 비축약어된 명령어를 검색하여 이를 제어 모듈(130)로 전송하면, 제어 모듈(130)은 비축약된 명령어에 해당하는 GABBGA 사용율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제1 관리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관리자가 제1 관리자 단말(200)을 통해 kill 456668과 kill 453667이라는 축약어로 된 동작 요청 메시지를 던졌을 때, 정보화 장치(100)의 축약어 검색부(170)는 축약어 데이터베이스(160)에 kill이라는 축약된 명령어에 해당하는 비축약된 명령어, 일예로 해당 코어의 가동을 중지하라는 비축약어된 명령어를 검색하여 이를 제어모듈(130)로 전송하면, 제어 모듈(130)은 kill 이후의 번호에 해당하는 코어의 가동을 중단한다.
이후에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관리자는 제1 관리자 단말(200)을 통해 process GABBAG라는 축약어로 된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kill 명령어에 따른 수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모든 정보화 장치(100)는 실제 명령어가 다르기 때문에 각 제조사별로 명령어 집합을 만들어 미리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한편, 정보화 장치(100)와 제1 관리자 단말(200) 그리고 제2 관리자 단말(300)은 암화화 모듈(140)을 사용하여 상호 주고 받는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상호 전달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정보화 장치(100)는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많은 예산과 노력을 들여 보호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대상인 경보 메시지와 전송 요청 메시지 그리고 응답 메시지는 전송전에 암호화를 하고, 이후 복호화를 함으로써 있을 수 있는 보안사고를 방지한다.
특히나 공공기관, 금융기관 등은 이러한 정보화 장치(100)를 보호하기 위해 내부 업무망과 인터넷망을 물리적 혹은 논리적으로 분리하여 운영하기도 한다.
그렇게 때문에 상기 예시의 제1 관리자가 외부에서 인터넷을 타고 접속할 수 없는 망 환경에서는 상기와 같은 정보화 장치(100)와의 대화는 있을 수 없다.
이러한 망분리 환경에서는 외부 인터넷간의 데이터 연동을 위한 중계 서버를 별도로 마련하여 중계 서버를 통해서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은 먼저 정보화 장치가 각 상태별로 임계치를 제2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여 관리한다(S100).
일예로, 정보화 장치는 CPU 상태와 관련해서 CPU 사용율이 84%를 넘는 경우에 경보 메시지를 발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보화 장치는 각 상태별로 설정해 놓은 임계치를 넘어가는 경우에 각 상태에 따라 경보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는 관리자 단말 정보를 제2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여 관리한다(S110).
일예로, 정보화 장치는 서버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A제조사 엔지니어에게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고, 스토리지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 B 제조사 엔지니어에게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며, 보안 솔루션 장치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 C 제조사 엔지니어에게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정보화 장치는 각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있으며(S120), 각 상태에 따른 설정된 임계치를 넘어가는 이상 상황이 발생되면(S130) 경보 메시지를 발생시켜 제1 관리자 단말과 제2 관리자 단말로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경보 메시지를 전송한다(S140).
일예로, 정보화 장치는 CPU 사용율이 84% 이상인 경우에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CPU 상태 임계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CPU 사용율을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84%를 넘게 되면 지체없이 경보 메시지를 제1 관리자 단말과 제2 관리자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정보화 장치는 암호화 모듈을 구비하여 경보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전송하여 정보 보안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정보화 장치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경보 메시지를 카카오톡 형식으로 또는 문자 메시지 형식으로 제1 관리자 단말 또는 제2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정보화 장치는 제1 관리자 단말과 제2 관리자 단말이 카카오톡 형식으로 대화방을 개설하여 경보 메시지가 수신되는 상태를 서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관리자 단말을 통해 경보 메시지를 전송받은 제1 관리자는 마치 카카오톡으로 대화하듯이 정보화 장치로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일예로, 제1 관리자는 제1 관리자 단말을 통해 'CPU 72H'라는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정보화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정보화 장치의 제어 모듈은 통신 모듈과 암호화 모듈을 경유하여 'CPU 72H'라는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S150).
이처럼 정보화 장치는 제1 관리자가 제1 관리자 단말을 통해 CPU 72H라는 축약어로 된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면 이를 수신하여 정보화 장치의 축약어 검색 모듈은 축약어 데이터베이스에 CPU 72H라는 축약된 명령어에 해당하는 비축약된 명령어, 일예로 이전 72시간 CPU 사용율 전송 요청이라는 비축약된 명령어를 검색하여 이를 제어 모듈로 전송하면(S160), 제어 모듈은 비축약된 명령어에 해당하는 이전 72시간 CPU 사용율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제1 관리자 단말로 전송한다(S170).
한편, 제1 관리자가 제1 관리자 단말을 통해 process GABBAG라는 축약어로 된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를 던졌을 때, 정보화 장치는 단계 S160 내지 S170을 반복하여 축약어 검색 모듈이 축약어 데이터베이스에서 process GABBGA라는 축약된 명령어에 해당하는 비축약된 명령어, 일예로 GABBGA에 해당하는 사용율 집합의 상태 전송 요청이라는 비축약된 명령어를 검색하여 이를 제어 모듈로 전송하면, 제어 모듈은 비축약된 명령어에 해당하는 GABBGA 사용율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제1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에 따라, 제1 관리자가 제1 관리자 단말을 통해 kill 456668과 kill 453667이라는 축약어로 된 동작 요청 메시지를 전송했을 때, 정보화 장치의 축약어 검색 모듈은 단계 S160 내지 S170을 반복하여 축약어 데이터베이스에 kill이라는 축약된 명령어에 해당하는 비축약된 명령어, 일예로 해당 코어의 가동을 중지하라는 비축약된 명령어를 검색하여 이를 제어모듈로 전송하면, 제어 모듈은 kill 이후의 번호에 해당하는 코어의 가동을 중단한다.
이후에 제1 관리자는 제1 관리자 단말을 통해 process GABBAG라는 축약어로 된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kill 명령어에 따른 수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사 엔지니어에 의해 관리되어져야 하는 대상 장치(서버, 스토리지, 보안솔루션 등)들이 서비스 불가 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하여 가동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 장치의 문제 발생의 인지에서부터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제조사 엔지니어의 조기 접근을 보장하여 커뮤니케이션 손실(시간, 미스 커뮤니케이션 등)을 최소화함에 따라 신속한 복구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정보화 장치 110 : 임계치 설정 모듈
120 : 대상 설정 모듈 130 : 제어 모듈
140 : 암호화 모듈 150 : 통신 모듈
160 : 축약어 데이터베이스 170 : 축약어 검색 모듈
200 : 제1 관리자 단말 300 : 제2 관리자 단말

Claims (11)

  1. 상태별 임계치를 기준으로 하여 임계치를 넘어가는 상태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임계치를 넘어가는 상태가 발생되면 해당 상태 경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정보화 장치;
    상기 정보화 장치에서 전송되는 상태 경보 메시지를 전송받아 제1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제조사 엔지니어 단말인 제1 관리자 단말; 및
    상기 정보화 장치에서 전송되는 상태 경보 메시지를 전송받아 제2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상기 정보화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인 제2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화 장치는
    상태별 임계치를 제2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임계치 설정 모듈;
    각 상태별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는 제조사 엔지니어 단말의 정보를 제2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대상 설정 모듈;
    상기 제1 관리자 단말 및 제2 관리자 단말로 상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신 모듈; 및
    상태별 임계치를 기준으로 하여 임계치를 넘어가는 상태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임계치를 넘어가는 상태가 발생되면 해당 상태 경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대상 설정 모듈을 통하여 해당 상태 경보 메시지를 전송받을 대상인 제조사 엔지니어 단말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제조사 엔지니어 단말인 상기 제1 관리자 단말과 정보화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인 제2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관리자 단말은 제1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정보화 장치로 축약된 명령어로 전송하며, 상기 정보화 장치로부터 해당 상태를 전송받아 제1 관리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정보화 장치는 상기 제1 관리자 단말로부터 축약된 명령어인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축약된 명령어에 대한 비축약된 명령어를 이용하여 해당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제1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화 장치는 서버, 스토리지, 보안 솔루션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중 하나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리자 단말은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축약된 명령어로 전송하며,
    상기 정보화 장치는
    상기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의 축약된 명령어에 대한 비축약된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는 축약어 데이터베이스;
    상기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의 축약된 명령어에 대한 비축약된 명령어를 상기 축약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축약어 검색 모듈; 및
    상기 제1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축약된 명령어에 대한 비축약된 명령어를 상기 축약어 검색 모듈을 통하여 검색하여 해당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제1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6. 청구항 1항, 2 및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화 장치는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암호화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7. (A) 정보화 장치가 상태별 임계치를 기준으로 하여 임계치를 넘어가는 상태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B) 상기 정보화 장치가 임계치를 넘어가는 상태가 발생되면 해당 상태 경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조사 엔지니어 단말인 제1 관리자 단말과 상기 정보화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인 제2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C) 제1 관리자 단말이 상기 정보화 장치에서 전송되는 상태 경보 메시지를 전송받아 제1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D) 제2 관리자 단말이 상기 정보화 장치에서 전송되는 상태 경보 메시지를 전송받아 제2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 이전에
    (E) 상기 정보화 장치가 상태별 임계치를 제2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및
    (F) 상기 정보화 장치가 각 상태별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는 제조사 엔지니어 단말의 정보를 제2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G) 상기 제1 관리자 단말이 제1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정보화 장치로 축약된 명령어로 전송하는 단계;
    (H) 상기 정보화 장치가 상기 제1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태 전송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축약된 명령어에 대한 비축약된 명령어를 이용하여 해당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제1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I) 상기 제1 관리자 단말이 상기 정보화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태를 제1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8.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화 장치는 서버, 스토리지, 보안 솔루션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중 하나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106754A 2016-08-23 2016-08-23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813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754A KR101813687B1 (ko) 2016-08-23 2016-08-23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754A KR101813687B1 (ko) 2016-08-23 2016-08-23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687B1 true KR101813687B1 (ko) 2018-01-02

Family

ID=61004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754A KR101813687B1 (ko) 2016-08-23 2016-08-23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6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9870A (ja) 2001-02-02 2002-08-16 E Brain Kk サーバ障害監視システム
JP2008217735A (ja) 2007-03-08 2008-09-18 Nec Corp 障害解析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9870A (ja) 2001-02-02 2002-08-16 E Brain Kk サーバ障害監視システム
JP2008217735A (ja) 2007-03-08 2008-09-18 Nec Corp 障害解析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18639A4 (en) Remote monitoring systems for monitoring medical devices vi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20050165939A1 (en) System,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CN109462655B (zh) 一种网络远程协助方法、系统、电子设备和介质
CN102821092A (zh) 物联网系统、物联网服务提供及监控方法
JP2013090167A (ja) ビル設備機器管理システム連結システム、ビル設備機器管理システム連結方法及びビル設備機器管理システム連結プログラム
EP3729773B1 (en) One-way data transfer device with onboard system detection
KR101813687B1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522139B1 (ko) DNS 서버 선별 차단 및 Proxy를 이용한 DNS 주소 변경 방법
KR102412226B1 (ko) 메시지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메시지 처리 장치
JPWO2009087885A1 (ja) サーバシステムとそのイベントメッセージ送信方法、クライアント端末とその接続方法と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10992634B2 (en) Message server and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for relaying application service message
CN109474478B (zh) 用于监测传输数据异常的方法、装置和系统
KR100959099B1 (ko)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에서 알람 전송 방법 및 제어 장치
CN106713295B (zh) 一种医学影像传输方法及其装置
CN111897681A (zh) 一种报文转发方法、装置、计算设备及存储介质
CN116436668B (zh) 信息安全管控方法、装置,计算机设备,存储介质
KR20180137827A (ko) Opc-ua기반 설비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JP5948939B2 (ja) 保守管理装置、保守システム、及び、保守方法
KR102177447B1 (ko) 홈 cctv 영상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40047239A (ko) 물리적 망분리에 기반한 자료전송장치
CN100525298C (zh) 基于igrs协议的管道通讯方法
JP2004086464A (ja) 監視システム、監視対象管理装置及び監視方法
JP2007133453A (ja) メッセージキューイングサーバ及びその監視方法
US8527638B1 (en) System management via session initiation protocol
KR101563590B1 (ko) 단방향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스케줄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