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053B1 -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3053B1 KR101813053B1 KR1020170072490A KR20170072490A KR101813053B1 KR 101813053 B1 KR101813053 B1 KR 101813053B1 KR 1020170072490 A KR1020170072490 A KR 1020170072490A KR 20170072490 A KR20170072490 A KR 20170072490A KR 101813053 B1 KR101813053 B1 KR 1018130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ch
- wire rope
- buoyant body
- anchors
- power gener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5628 Chlor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5/00—Teth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 B63B2708/00—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은 수면 위에 부상하는 부력체;와 부력체 위에 마련되어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판유닛;과, 부력체의 수상 위치를 안정화하기 위한 계류유닛;을 포함하는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계류유닛은 수중 바닥에 고정되는 네 개의 앵커와, 부력체 위에 마련되는 제1윈치 및 제2윈치와, 네 개의 앵커 중 부력체의 일측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두 개의 앵커를 연결하며 제1윈치와 결합되는 제1와이어로프와, 네 개의 앵커 중 부력체의 타측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두 개의 앵커를 연결하며 제2윈치와 결합되는 제2와이어로프를 포함하여, 수위가 낮아질 경우 제1윈치와 제2윈치를 동작시켜 제1와이어로프와 제2와이어로프를 동시에 감고, 수위가 높아질 경우 제1윈치와 제2윈치를 동작시켜 제1와이어로프와 제2와이어로프를 동시에 풀어내며, 부력체를 회전시킬 경우 제1윈치는 제1와이어로프를 감고 제2윈치는 제2와이어로프를 풀며 또는 제1윈치는 제1와이어로프를 풀고 제2윈치는 제2와이어로프를 감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상에 설치되어 태양을 추적하면서 회전할 수 있는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점점 악화되어 가는 환경 문제 대응과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 확보의 목적으로 친환경 또는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 발전시설의 개발에 많은 연구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친환경 발전시설은 구체적으로 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 지열 발전, 조력 발전 등이 있으며, 이들 발전시설은 소량의 전기를 수득하는 수준을 넘어서 종래의 발전시설이 생산하던 전기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 태양광 발전시설이 최근 널리 보급되고 있는데,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넓은 면적의 부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경우 설치 면적의 확보를 위해 산림과 농지를 훼손할 수 밖에 없어 종국에는 더 큰 환경 재앙을 가져올 우려가 있다.
최근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일조량이 풍부하고 개방된 설치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천, 호수, 저수지, 댐 등의 수면에 태양 전지판을 설치하는 수상 태양광 발전시설이 제안되고 있다.
수상 태양광 발전시설은 육상에 비해 주위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발전출력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광 차단 효과로 인해 수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녹조류 발생 억제는 물론 어란 번식에 유리한 환경을 만들어 어족 자원을 보호하는 등 생태계 보존을 도모할 수 있는 기술로도 인정받고 있다.
다만, 수상 태양광 발전시설은 수면에 부유할 수 있도록 한 부력체에 다수의 태양전지 모듈을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있어서 수면에 설치되는 모든 부유체가 그러하듯이 파도에 의해 흔들리는 경우가 많다. 또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광을 받아들이는 위치와 각도가 중요한데, 수면에서는 태양광을 받아들이는 위치와 각도의 고정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수위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어려우며, 또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태양광 추적을 위한 복잡한 추적설비를 필요로 하는 등 여전히 개선되어야 할 점들이 많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보다 간편한 구조로 수상에 설치 가능하며 태양을 추적하면서 회전할 수 있는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면 위에 부상하는 부력체;와 부력체 위에 마련되어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판유닛;과, 부력체의 수상 위치를 안정화하기 위한 계류유닛;을 포함하는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계류유닛은 수중 바닥에 고정되는 네 개의 앵커와, 부력체 위에 마련되는 제1윈치 및 제2윈치와, 네 개의 앵커 중 부력체의 일측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두 개의 앵커를 연결하며 제1윈치와 결합되는 제1와이어로프와, 네 개의 앵커 중 부력체의 타측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두 개의 앵커를 연결하며 제2윈치와 결합되는 제2와이어로프를 포함하는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와이어로프는 부력체의 상부에서 앵커와 연결되고, 상기 제2와이어로프는 부력체의 측면 또는 하부에서 앵커와 연결되어 부력체의 회전 시 상호 비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체는 대각선 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모서리 중 하나에 돌출 마련되는 코너부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체 위에서 교차하는 제1와이어로프와 제2와이어로프가 비접촉하도록 상기 제1윈치와 제2윈치는 서로 다른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수면 위에 부상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 위에 마련되어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판유닛;과, 상기 부력체의 수상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수중 바닥에 고정되는 네 개의 앵커와, 상기 부력체 위에 마련되는 제1윈치 및 제2윈치와, 상기 네 개의 앵커 중 부력체의 일측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두 개의 앵커를 연결하며 제1윈치와 결합되는 제1와이어로프와, 상기 네 개의 앵커 중 부력체의 타측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두 개의 앵커를 연결하며 제2윈치와 결합되는 제2와이어로프를 포함하는 계류유닛;을 포함하는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계류유닛은 수위가 낮아질 경우 제1윈치와 제2윈치를 동작시켜 제1와이어로프와 제2와이어로프를 동시에 감고, 수위가 높아질 경우 제1윈치와 제2윈치를 동작시켜 제1와이어로프와 제2와이어로프를 동시에 풀어내는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의 제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류유닛은 부력체를 회전시킬 경우 제1윈치는 제1와이어로프를 감고 제2윈치는 제2와이어로프를 풀거나 또는 제1윈치는 제1와이어로프를 풀고 제2윈치는 제2와이어로프를 감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는 부력체를 수위에 따라 승강시키거나 태양의 위치에 따라 부력체를 회전시키는데 두 개의 윈치(제1윈치 및 제2윈치)와, 부력체에 대각선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와이어로프(제1와이어로프와 제2와이어로프)가 필요하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 관리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은 통상 부력체를 수중 고정시키거나 수위에 따라 승강시키는데 사용되는 윈치 및 와이어로프를 활용하여 부력체가 태양 위치를 추적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태양광 발전장치의 시공 및 운영 비용은 절감하고 발전 효율은 크게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를 수상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의 부력체 및 계류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의 부력체 및 계류유닛을 도시한 일부 확대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의 계류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의 계류유닛을 이용한 태양 추적을 위한 회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의 부력체 및 계류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의 부력체 및 계류유닛을 도시한 일부 확대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의 계류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의 계류유닛을 이용한 태양 추적을 위한 회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소개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형태로도 구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가 수상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의 측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의 회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는 수면 위에 부상하는 부력체(10)와, 부력체(10) 위에 마련되어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판유닛(20)과, 부력체(10)를 수면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계류유닛(30)을 포함한다.
부력체(10)는 부력에 의해 하천, 호수, 저수지, 댐 등의 수면 상부에 부상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구조체와 부력체가 분리되어 있는 프레임형, 구조체와 부력체가 일체화된 포툰형, 부유식 패널형의 세 가지가 있다.
프레임형(또는 트러스형)은 트러스나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고, 연결부에는 구조물 손상 방지를 위해 힌지 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프레임형은 각각의 부재가 별도로 제작되고 현장에서 연결되기 때문에 시공이 복잡하고 건설비용이 높다. 하지만 설치 지역의 풍하중에 맞게 최적화할 수 있으며 시공 후에는 별개로 마련된 부력체와 구조체를 각각 보수 및 보강할 수 있어 교체 시공이 편리하다. 프레임형은 주로 댐이나 저수 면적이 넓은 저수지 등에 설치된다.
푼툰형(또는 부력 일체형)은 폴리에틸렌(PE) 재질로 마련되는 유닛으로 구분된 단일 모듈화 및 표준화가 가능하여 제작 및 시공이 매우 편리하다. 하지만, 해당 지역뿐만 아니라 넓은 범위에 걸쳐 표준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과대 설계가 되며, 또한 부력체 손상 시 구조물 전체가 부력을 상실하여 침몰될 수 있으며 손상 보수를 위해서는 모듈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부유식 패널형(또는 매트형)은 박막 태양 전지 패널을 활용하는 기술로, 박막형으로 제작되어 가벼우면서도 유연한 태양전지 모듈 측면에 소형 부유체를 달아 수면 위에 부유하는 방식이다. 박막 태양전지는 태양 전지의 두께를 아주 얇게 만든 것으로 사용되는 재료의 양이 적어 가격이 저렴하지만 상대적으로 발전효율이 낮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의 부력체(10)는 상기한 다양형 방식의 부력체들을 적절한 변형 및 수정을 통해 채용할 수 있다.
집광판유닛(20)은 통상적인 태양전지 모듈을 지칭하는 것으로, 크게 일정 각도롤 고정되어 있는 고정식과 태양광이 모듈면에 직각으로 받도록 태양의 방위와 고도를 추적하는 추적식이 있다.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의 경우 일반적으로 고정식이 주로 사용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는 집광판유닛(20)이 실시간으로 태양을 추적하기 위한 제어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유닛은 태양센서(미도시)가 유효 태양광의 유무를 판단하여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고, 구름이나 우천 시에도 프로그램 방식에 의해 태양을 정밀 추적하도록 하는 트랙커(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유닛은 현재 일방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계류유닛(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수, 저수지, 하천, 댐 등의 수중 바닥에 고정 마련되는 앵커(31)와, 앵커(31)와 부력체(10)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W1 ~ W2) 및 롤러(33)와, 와이어로프(W1 ~ W2)를 권취 또는 권출하기 위한 윈치(40)를 포함한다.
앵커(31)는 수중 바닥에서 와이어로프(W1 ~ W2)의 일단을 고정한다. 앵커(31)는 네 개가 수중에 넓게 이격 마련되어 와이어로프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부력체(10)의 수상 위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후술하겠지만 장방형 부력체(10)의 동일 측면의 각 모서리에서 연결되는 두 개의 앵커(31)는 부력체(10)의 상하 유동이나 회전 이동시 와이어로프가 상호 걸리지 않도록 부력체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로프(W1 ~ W2)는 장방형의 부력체(10) 모서리를 대각선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와이어로프(W1 ~ W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상에서 우하로 부력체(10) 위를 통과하는 제1와이어(W1-1) 및 제2와이어(W1-2)와, 좌하에서 우상으로 부력체(10)를 통과하는 제3와이어(W2-1) 및 제4와이어(W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서는 와이어로프를 네 개의 와이어로 분리 예시하였으나, 제1와이어(W1-1)와 제2와이어(W1-2), 제3와이어(W2-1)와 제4와이어(W2-2)는 각각 하나의 와이어로프(W1 ~ W2)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1와이어로프(W1)와 제2와이어로프(W2)로 설명한다.
부력체(10)의 각 모서리에는 와이어로프(W1 ~ W2)의 제어 시 마찰 감소 및 길이방향 이동이 용이하도록 롤러(33)가 마련될 수 있다. 롤러(33)는 윈치의 동작 시 종동 회전하는 아이들 롤러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롤러(33)는 장방형 부력체(10)의 대각선 모서리 기준으로 적어도 어느 한 쌍은 부력체(10)로부터 외부로 돌출 마련되는 코너부(12) 상부에 마련되며, 다른 한 쌍은 부력체(10)의 모서리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부력체(10)는 윈치 동작 시 회전각을 더욱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장방형의 부력체(10)에 있어서 상호 이웃하는 부력체의 일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와이어(W1-1 ~ W2-2)들은 어느 하나가 부력체(10)의 상부에서 앵커(31)로 연결되었다면, 이웃하는 타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다른 와이어는 부력체(10)의 측벽 또는 하부에서 앵커(31)로 연결된다. 부력체(10)의 측벽에는 연통관(14)이 마련되어 와이어를 부력체의 상부에서 하부로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는 태양을 추적하며 부력체(1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한 쌍의 와이어로프(W1, W2)가 서로 접촉하여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윈치(40)는 제1와이어로프(W1)를 권취 및 권출하는 제1윈치(40A)와, 제2와이어로프(W2)를 권취 및 권출하는 제2윈치(40B)를 포함한다.
제1윈치(40A)와 제2윈치(40B)는 부력체(10)의 중심 부근에 마련되어 하나의 윈치로 두 개의 와이어를 제어 즉, 제1윈치(40A)는 제1와이어(W1-1)와 제2와이어(W1-2)를 동시에 감거나 풀 수 있으며, 제2윈치(40B)는 제3와이어(W2-1)와 제4와이어(W2-2)를 동시에 감거나 풀 수 있다. 이러한 윈치 구조를 통해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체 시공비는 크게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제1윈치(40A)와 제2윈치(40B)는 부력체(10) 위를 대각선으로 통과하는 제1와이어로프(W1)와 제2와이어로프(W2)의 대각선 길이가 최소 길이를 가지도록 와이어로프의 경로 상에 마련된다. 즉, 제1윈치(40A)와 제2윈치(40B)에 의해 제1와이어로프(W1)와 제2와이어로프(W2)는 장방형 부력체(10)의 모서리를 잇는 대각선 경로 상을 최대한 벗어나지 않도록 하며, 이를 통해 보다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부력체(10)의 회전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제1윈치(40A)와 제2윈치(40B)는 권취된 제1와이어로프(W1)와 제2와이어로프(W2)가 부력체(10) 위에서 교차 시 상호 겹쳐지지 않도록 서로 다른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윈치(40A)와 제2윈치(40B)는 실질적으로 높이만 다를 뿐 내부 구조는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윈치(40A)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예컨대, 도 3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윈치(40A)는 제1와이어로프(W1)의 제1와이어(W1-1)와 제2와이어(W1-2)를 동시에 와인딩 및 디와인딩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보빈부(41)와, 보빈부(41)에 회전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동부(43)를 포함한다.
보빈부(41)에는 제1와이어(W1-1)와 제2와이어(W1-2)가 한 방향으로 권취되어 있어서 일방향으로 회전 시 와이어를 동시에 감아서 권취하고 타방향으로 회전 시 와이어를 동시에 풀어서 권출할 수 있다.
구동부(43)는 보빈부(41)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로, 본 실시 예에서는 제1윈치(40A)의 구동부(43)를 보빈부(41)의 수직 하부에 마련되는 원통형의 하우징(45) 내부에 마련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빈부(41)를 회전 구동할 수 있다면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례로, 구동부(41)를 보빈부(41)의 측면에 마련하고 기어 트레인(미도시)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제2윈치(40B)는 제1윈치(40A)에 대해 보빈부의 높이를 달리하거나 또는 구동부(43)에 별도의 지지체를 마련함으로써 제1윈치(40A)와 높이를 차별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를 이용하여 부력체의 위치를 조정하는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4는 네 개의 앵커(L1 ~ L4)에 의해 수면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부력체(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와이어로프(W1)의 양 끝단을 수중 지지하는 앵커(L1, L2)에 대해 제2와이어로프(W2)의 양 끝단을 수중 지지하는 앵커(L3, L4)를 부력체(10)로부터 좀 더 떨어지게 배치함으로써, 부력체(10)가 회전하더라도 제1와이어로프(W1)와 제2와이어로프(W2)는 수중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제1와이어로프(W1)는 부력체(10)로부터 돌출된 코너부(12) 상부를 통해 앵커(L1, L2)와 제1윈치(40A)를 연결하고, 제2와이어로프(W2)는 부력체의 측벽 및 하부를 통해 앵커(L3, L4)와 제2윈치(40B)를 연결함으로써, 부력체(10)의 회전각은 커질 수 있으며 나아가 회전 시 제1와이어로프(W1)와 제2와이어로프(W2)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부력체(10)가 설치된 물의 수위가 높아지거나 낮아질 때를 제어유닛이 감지하면, 제어유닛은 제1윈치(40A)와 제2윈치(40B)를 동시에 감거나 풀어냄으로써 수위에 따른 부력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수위가 높아지면 제1윈치(40A)와 제2윈치(40B)는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2와이어로프(W1, W2)를 동시에 풀며, 수위가 낮아지면 제1윈치(40A)와 제2윈치(40B)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2와이어로프(W1, W2)를 동시에 감는다. 이 경우, 부력체(10)는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태양의 이동에 따라 부력체(1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해야 할 경우 제어유닛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윈치(40A)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와이어로프(W1)를 감고 감고 제2윈치(40B)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와이어로프(W2)를 풀어준다. 이때, 제1윈치(40A)와 제2윈치(40B)는 부력체(10)가 회전 중에도 수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개별 또는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태양을 추적하기 위해 부력체(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해야 할 경우 제어유닛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윈치(40B)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와이어로프(W2)를 감고 제1윈치(40A)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와이어로프(W1)를 풀어준다. 이때, 제1윈치(40A)와 제2윈치(40B)는 부력체(10)가 회전 중에도 수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개별 또는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10..부력체 12..코너부
20..집광판유닛 30..계류유닛
31..앵커 33..롤러
40..윈치 40A,40B..제1,2윈치
41..보빈부 43..구동부
W1..제1와이어로프 W2..제2와이어로프
20..집광판유닛 30..계류유닛
31..앵커 33..롤러
40..윈치 40A,40B..제1,2윈치
41..보빈부 43..구동부
W1..제1와이어로프 W2..제2와이어로프
Claims (6)
- 삭제
- 삭제
- 수면 위에 부상하는 부력체(10);와 상기 부력체(10) 위에 마련되어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판유닛(20);과, 상기 부력체(10)의 수상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계류유닛(30);을 포함하는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류유닛(30)은
수중 바닥에 고정되는 네 개의 앵커(31)와,
상기 부력체(10) 위에 마련되는 제1윈치(40A) 및 제2윈치(40B)와,
상기 네 개의 앵커(31) 중 부력체(10)의 일측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두 개의 앵커를 연결하며 제1윈치(40A)와 결합되는 제1와이어로프(W1)와,
상기 네 개의 앵커(31) 중 부력체(10)의 타측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두 개의 앵커를 연결하며 제2윈치(40B)와 결합되는 제2와이어로프(W2)를 포함하되,
상기 부력체(10)는 대각선 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모서리 중 하나에 돌출 마련되는 코너부(12)를 마련하는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 수면 위에 부상하는 부력체(10);와 상기 부력체(10) 위에 마련되어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판유닛(20);과, 상기 부력체(10)의 수상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계류유닛(30);을 포함하는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류유닛(30)은
수중 바닥에 고정되는 네 개의 앵커(31)와,
상기 부력체(10) 위에 마련되는 제1윈치(40A) 및 제2윈치(40B)와,
상기 네 개의 앵커(31) 중 부력체(10)의 일측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두 개의 앵커를 연결하며 제1윈치(40A)와 결합되는 제1와이어로프(W1)와,
상기 네 개의 앵커(31) 중 부력체(10)의 타측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두 개의 앵커를 연결하며 제2윈치(40B)와 결합되는 제2와이어로프(W2)를 포함하되,
상기 부력체(10) 위에서 교차하는 제1와이어로프(W1)와 제2와이어로프(W2)가 비접촉하도록 상기 제1윈치(40A)와 제2윈치(40B)는 서로 다른 높이로 마련되는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2490A KR101813053B1 (ko) | 2017-06-09 | 2017-06-09 |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2490A KR101813053B1 (ko) | 2017-06-09 | 2017-06-09 |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3053B1 true KR101813053B1 (ko) | 2017-12-29 |
Family
ID=60939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2490A KR101813053B1 (ko) | 2017-06-09 | 2017-06-09 |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305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7774B1 (ko) * | 2018-03-16 | 2018-07-13 | 주식회사 위더스이엔씨 | 부유식 수상구조물의 자동 계선계류 시스템 |
KR101946214B1 (ko) * | 2018-09-20 | 2019-02-08 | 이도익 |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
CN111164008A (zh) * | 2018-02-07 | 2020-05-15 | 京洛株式会社 | 浮板集合体 |
CN115225023A (zh) * | 2022-09-20 | 2022-10-21 | 宁波欧达光电有限公司 | 一种漂浮式光伏电池组件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8337B1 (ko) | 2008-04-03 | 2010-12-03 | 공종현 |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
KR101028944B1 (ko) * | 2010-10-26 | 2011-04-12 |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부유식 태양광 발전 장치 |
-
2017
- 2017-06-09 KR KR1020170072490A patent/KR10181305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8337B1 (ko) | 2008-04-03 | 2010-12-03 | 공종현 |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
KR101028944B1 (ko) * | 2010-10-26 | 2011-04-12 |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부유식 태양광 발전 장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164008A (zh) * | 2018-02-07 | 2020-05-15 | 京洛株式会社 | 浮板集合体 |
US11407480B2 (en) | 2018-02-07 | 2022-08-09 | Kyoraku Co., Ltd. | Float assembly |
KR101877774B1 (ko) * | 2018-03-16 | 2018-07-13 | 주식회사 위더스이엔씨 | 부유식 수상구조물의 자동 계선계류 시스템 |
KR101946214B1 (ko) * | 2018-09-20 | 2019-02-08 | 이도익 |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
CN115225023A (zh) * | 2022-09-20 | 2022-10-21 | 宁波欧达光电有限公司 | 一种漂浮式光伏电池组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3053B1 (ko) |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 |
KR101757206B1 (ko) | 수상태양광 발전장치 부유 구조물 및 구조물간의 연결방법 | |
KR101543727B1 (ko) | 수상에서의 균형 유지 가능한 일체형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 |
KR101028944B1 (ko) | 부유식 태양광 발전 장치 | |
KR101918970B1 (ko) |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 |
KR101946214B1 (ko) | 회전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 |
JP4845544B2 (ja) | 水上発電装置 | |
BR112018073762B1 (pt) | Usina elétrica fotovoltaica flutuante, e método de instalação | |
KR101192659B1 (ko) | 풍력발전장치용 부유식 기초 | |
KR100942904B1 (ko) | 수면부상식 태양광 발전장치 | |
KR101982802B1 (ko) | 부유식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계류 및 회전장치 | |
KR101170777B1 (ko) | 수면부상식 태양광 발전장치 | |
KR101134289B1 (ko) |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 |
US20210214056A1 (en) | Floatable array ready solar module moun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of solar energy collection | |
KR101232314B1 (ko) | 수면 부상형 태양광 발전장치 | |
JP3193799U (ja) | フレキシブル太陽光発電シートによる水上ソーラー発電機構造 | |
JP2011138997A (ja) | 太陽光発電装置 | |
KR101194783B1 (ko) | 수상 구조물 | |
KR20130117306A (ko) | 추적식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 |
CN107438562A (zh) | 平台装置 | |
WO2017118998A1 (en) | Floating solar platform | |
KR20150109947A (ko) | 수상 태양광 발전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 | |
KR20120102839A (ko) | 해상풍력발전용 해류발전장치 | |
US10458385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tidal energy conversion and electrical power generation using a rotatable drag panel | |
KR101814708B1 (ko) | 부유체 계류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