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744B1 - Module Type Active Engine Mount equipped with heat structures - Google Patents
Module Type Active Engine Mount equipped with heat structur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2744B1 KR101812744B1 KR1020170040235A KR20170040235A KR101812744B1 KR 101812744 B1 KR101812744 B1 KR 101812744B1 KR 1020170040235 A KR1020170040235 A KR 1020170040235A KR 20170040235 A KR20170040235 A KR 20170040235A KR 101812744 B1 KR101812744 B1 KR 1018127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fitted
- connection part
- engine mount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91—Supports comprising stopp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능동 엔진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에 연결되는 도선을 외부로 용이하게 취출하도록 하기 위한 연결부 및 구동유닛을 구획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구동유닛의 구동력을 향상시키면서 방열구조를 가지는 모듈형 능동 엔진마운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마운트는 엔진을 지지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동시에,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승객에게 전달되어 승차감을 저해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시간 내에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Generally, the engine mount of a vehicle plays a role of supporting the engine, and at the same time, it is capable of attenuating the vibration within a short time so as to prevent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engin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passenger, .
특히 최근에는 차량의 주행 상황 또는 엔진의 작동 상태에 따라 엔진마운트의 진동을 보다 능동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도록 전기적 제어를 통해 가진체를 진동시키는 능동 엔진마운트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In recent years, active engine mounts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to vibrate an exciter through electrical control so as to more actively control the vibration of the engine mount depending on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or the operation state of the engine.
상기 능동 엔진마운트는 차량의 엔진 및 운전 상태에 대한 정보 및 가속도 신호 등을 바탕으로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주행 상황 또는 엔진의 작동 상태에 따라 엔진마운트의 특성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의 승차감 및 주행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The active engine mount is configured to apply pow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based on information on an engine and an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an acceleration signal, and the like, and can chang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gine mount according to the running state or the operation state of the engine Therefore, it has an advantage that the ride comfort and driv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can be further improved.
이와 같은 능동 엔진마운트는 가진체의 가진을 위한 마그넷 및 코일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도선이 연결된다.Such an active engine mount often includes a magnet and a coil for the excitation of the exciter, and thus a conductor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coil is connected.
다만, 종래의 능동 엔진마운트는 제품의 다양한 부품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코일에 연결되어 있는 도선을 외부 케이스 바깥쪽으로 취출시키는 과정이 매우 번거로운 것은 물론, 숙련된 작업자가 아닐 경우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제품의 수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ctive engine mount, it is very troublesome that the lead wire connected to the coil is taken out to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various parts of the product, and when the skilled engineer is not skilled, . Accordingly,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yield of the product is greatly lowered.
또한, 종래의 능동엔진마운트는 코일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하지 못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가진체의 가진을 위한 마그넷 및 코일을 포함하는 구동유닛이 구획판의 안쪽에 위치하여 다른 부품과의 저촉관계 때문에 구동유닛의 체적을 늘리는데 한계가 있어, 구동유닛의 구동력을 증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active engine mount does not effectively dissipate the heat generated from the coil, thereby decreasing durability. The drive unit including the magnet and the coil for the excitation of the exciter is located inside the partition plate, There is a limit in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drive uni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ive force of the drive unit can not be increased.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for solving such problems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제품의 조립 과정에서 코일에 연결되는 도선의 취출을 용이하게 수행하고, 안정적인 조립 구조를 가지는 능동 엔진마운트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ctive engine mount that can easily take out lead wires connected to coils during assembly of a product, I have.
또한, 본 발명은 구동유닛의 위치를 한정하여, 코일의 방열을 용이하게 하면서, 구동유닛의 구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purpose of limiting the position of the drive unit, facilitating the heat radiation of the coil, and impro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unit.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방열구조가 구비된 모듈형 능동 엔진마운트는 가진체를 포함하는 댐퍼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가진체를 가진시킴에 따라 주 액실의 압력을 제어하는 능동 엔진마운트에 있어서, 댐퍼 어셈블리는, 가진유닛 및 구동유닛 및 하부케이스가 적층된 구조를 가지되;A modular active engine mount having a heat dissipating structure includes a damper assembly including a vibrator, and the damper assembly controls the pressure of the droplet chamber according to the vibrator having the vibrator, A drive unit and a lower case are stacked;
가진유닛은 상부오리피스와 하부오리피스 사이에 외주연이 끼움결합된 제1멤브레인과,The exciting unit includes a first membrane having an outer periphery fitted between an upper orifice and a lower orifice,
하부오리피스에 결합된 상부하우징과,제1멤브레인 내주연에 형성된 홈에 끼움 결합된 가진체와, 외주연에 형성된 돌출부는 하부오리피스의 외주연 하단에 형성된 홈에 끼움결합 되고, 내주연에 형성된 돌출부는 가진체의 하단에 형성된 홈에 끼움결합된 구획판(다이어프램)과, 상단에 형성된 홈에 구획판(다이어프램)의 내주연에 형성된 돌출부가 끼움결합된 플런저로 이루어지고,A protruding portion formed at the outer periphery is fitted into a groove formed at the outer peripheral lower end of the lower orifice, and the protruding portion formed at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protruding portion, (Diaphragm) fitted in a groov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mpeller and a plunger in which a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artition plate (diaphragm) is fitted to the groove formed at the upper end thereof,
상기 구동유닛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컵형상의 하부하우징과, 중앙부분의 하면에 형성된 홈에 하부하우징의 중앙에 돌출된 돌출부가 끼움결합되고, 상면에 형성된 홈에 이너하우징의 하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끼움결합된 마그넷과, 이너하우징의 중앙 상면에 형성된 홈에 끼움결합된 스토퍼와, 플런저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외주연에 형성된 코일은 적층된 마그넷 및 이너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내,외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삽입된 보빈으로 이루어지며,The driving unit includes a cylindrical cup-shaped lower housing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housing in a groove formed in a lower surface of the center portion.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A stopper fitted into a groove formed on a central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and a coil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plunger, wherein the coil is dispos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housings and the lower housing, And a bobbin inser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the inside and outside,
상부하우징(233)에 형성된 제1연결부(134)와, 하부케이스(250)에 형성된 제2연결부(121)를 포함하고, A
제1연결부에는 상기 도선이 통과하는 제1통과홀이 형성되며, 제2연결부에는 상기 제1통과홀보다 아래쪽에 형성되어 상기 도선을 하향시키는 제2통과홀이 형성되되; 제1연결부가 상기 제2연결부 상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대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1통과홀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도선(C)을 좌우 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고정부재는, 상기 제1통과홀에 삽입되며, 상기 도선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고정홀을 포함하고, 제2통과홀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도선을 상하 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lead wire passes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below the first through hole to downward the lead wire;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re formed so that the opposing faces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re inclined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can be seated o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the lead wire is inserted into the first passing hole, Wherein the fixing member includes a fixing hole inserted in the first passage hole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n end surface of the lead wire and is insertable into the second passage hole, And a guide member for fixing the guide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하부케이스의 외주면에는 보강의 기능와 더불어 외부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열교환 면적이 넓어지는 이중의 기능을 가지는 보강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case is formed with reinforcing ribs having a dual function of widen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outside air and expanding the heat exchange area.
또한, 상부하우징에는 방열공(23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upper housing is provided with a radiating hole 233a.
또힌. 가진유닛(230)은 외주연에 형성된 홈에 상부하부징(233)의 돌출부가 끼움결합되고, 내주연에 형성된 홈에 플런저(270)의 외주연에 형성된 돌출부가 끼움 결합되는 제2멤브레인(232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gain.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upper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일 도선 연결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능동 엔진마운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modular active engine mount including the coil wire connec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각 구성요소의 조립 과정 중 코일에 연결된 도선을 매우 용이하게 외부로 취출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난이도를 크게 낮추고 제품의 제조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since the lead wire connected to the coil can be easily taken out to the outside during the assembly process of each component,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work difficulty and shorten the manufacturing time of the product.
둘째, 이에 따라 수율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으며, 비숙련자도 용이하게 제품의 조립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Secondly, the yield can be greatly increased, and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product easily even for the unskilled person.
셋째,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의 연결 구조에 의해 안정적인 결합 구조를 형성하는 동시에 도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r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table connection structure can be formed by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damage of the wire can be prevented.
넷째, 상부 오리피스, 가진유닛, 구동유닛 및 하부 오리피스를 결합한 형태의 댐퍼 어셈블리는, 종래의 하이드로 마운트의 구조로 이루어진 바디 어셈블리에 적용함에 따라 능동 엔진마운트로의 구조 변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ourthly, the damper assembly in which the upper orifice, the engaging unit, the driving unit, and the lower orifice are combined is applicable to a body assembly having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hydro-mount,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structure of the active engine mount .
다섯째, 구동유닛의 위치를 구획판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위치를 한정하고 있으므로, 구동유닛이 주변부품과의 저촉되는 것에서 해방되어, 체적을 늘릴 수 있으므로, 구동유닛의 구동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fth, since the position of the drive unit is provided outside the partition plate and the position is limited, the drive unit can be freed from being in contact with peripheral components and the volume can be increased, .
여섯째, 구동유닛에 형성된 코일을 외기와 접촉시킴으로써, 방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코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x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durability of the coil can be improved by making the coil formed in the driving unit come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thereby achieving efficient heat dissipation.
일곱째, 하부케이스의 외주연에 형성된 보강리브는 보강의 효과와 열교환면적을 넓혀 방열의 효과를 높이는 이중의 효과를 갖는 장점이 있다.Seventh, the reinforcing rib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case have the advantage of double effect of enhancing the effect of reinforcing and enlarging the heat exchange area to enhance the heat radiation effect.
여덟째, 구동유닛의 위치를 구획판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함으로써, 구동유닛이 액실 내부에 위치하지 않게 되어, 구동유닛이 실링문제에서 해방되는 장점이 있다.Eighth, by limiting the position of the drive unit to the outside of the partition pla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rive unit is not located inside the liquid chamber, and the drive unit is released from the sealing problem.
아홉째, 제2멤브레인의 구성을 채택하고 있어, 능동 엔진마운트의 측방향 진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감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Ninth, the construction of the second membrane is adopted, which has the advantage that the lateral vibration of the active engine mount can be more effectively attenuated.
열째, 구동유닛의 위치를 구획판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위치를 한정함으로써, 종래와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가지면서도, 구동유닛의 폭을 줄여, 결과적으로 차체의 폭을 일정부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tenth, since the position of the drive unit is provided outside the partition plate and the position is limited, the width and the width of the drive unit can be reduced and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can be reduced by a certain amount hav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엔진마운트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엔진마운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엔진마운트에 있어서, 댐퍼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엔진마운트에 있어서, 댐퍼 어셈블리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엔진마운트에 있어서, 댐퍼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 및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엔진마운트에 있어서, 가진유닛과 구동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엔진마운트에 있어서, 상부하우징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엔진마운트에 있어서, 고정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엔진마운트에 있어서, 하부 오리피스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엔진마운트에 있어서, 상부하우징과 하부 오리피스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엔진마운트에 있어서, 바디 어셈블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엔진마운트에 있어서, 커버부의 개구홀 형상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엔진마운트에 있어서, 바디 어셈블리와 댐퍼 어셈블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인 댐퍼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18(b)는 댐퍼어셈블리의 분해도 및 상부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댐퍼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ctive engine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n internal structure of an active engine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the components of a damper assembly in an active engine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4 and 5 are views showing an appearance of a damper assembly in an active engine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etailed view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a damper assembly in an active engine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 and 8 are views showing an excitation unit and a drive unit in an active engine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illustrating an upper housing of an active engine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and FIG. 11 are views showing a state of a fixing member in an active engine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views of a lower orifice in an active engine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housing and a lower orifice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n active engine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view showing a body assembly of an active engine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etailed view of the shape of an opening of a cover portion of an active engine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17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body assembly and a damper assembly are combined in an active engine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dampe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b) is an exploded view of a damper assembly and a top view of an upper housin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ampe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엔진마운트(1)는 댐퍼 어셈블리(100)와, 상기 댐퍼 어셈블리(100)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바디 어셈블리(10)를 포함한다.1, an
그리고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바디 어셈블리(10)는 상기 댐퍼 어셈블리(100)를 감싸는 상부 케이스(12)와, 상기 상부 케이스(12) 내에 구비된 코어(20) 및 탄성체(30)를 포함한다.2, the
상기 코어(20)는 차량의 엔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케이스(12)의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탄성체(30)와 연결된다. 상기 탄성체(3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절연성을 가지는 고무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다.The
그리고 상기 댐퍼 어셈블리(100)는 상부 오리피스(110)와, 하부 오리피스(120)와, 가진유닛(130)과, 구동유닛(140)과, 구획판(160)을 포함한다.Th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오리피스(110)는 상기 댐퍼 어셈블리(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코어(20) 및 탄성체(30) 사이에 주 액실을 형성하며, 상기 주 액실에 수용된 유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유동홀(112)이 형성된다.2 and 3, the
상기 가진유닛(130)은 상기 상부 오리피스(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가진체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140)은 상기 가진유닛(13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진체를 가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The vibrating
그리고 상기 구획판(160)은 상기 구동유닛(14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유닛(140)과의 사이에 보조 액실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하부 오리피스(120)는 상기 주 액실과 상기 보조 액실을 서로 연통시키는 유동 경로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유체는 상기 주 액실과 상기 보조 액실 사이에 유동하며 엔진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오리피스(120)의 내부에는 상기 가진유닛(130) 및 상기 구동유닛(140)이 수용되며, 유체는 상기 하부 오리피스(120)의 둘레를 통해 유동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가진유닛(130) 및 상기 구동유닛(14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진유닛(130)과 상기 구동유닛(140) 사이에는 실링부재(170)가 구비될 수 있다.Als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ibrating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획판(160)의 하부에는, 하부 케이스(150)가 결합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150)는 상기 하부 오리피스(120)와 상기 구획판(160)을 지지하며, 상기 구획판(160)이 다소 유동될 수 있는 유격을 제공하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상부 오리피스(110), 상기 가진유닛(130), 상기 구동유닛(140) 및 상기 하부 오리피스(120)를 모두 결합한 상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state in which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진유닛(130)은 상기 하부 오리피스(120) 내측으로 완전히 인입되며, 상기 구동유닛(140)은 상부 일부가 상기 하부 오리피스(120) 내측으로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오리피스는 상기 하부 오리피스(120)에 완전히 결합되어 상기 하부 오리피스(120)의 상부 개구부를 차폐하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또한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오리피스(120)는 하부 케이스(150) 상에 안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하부 오리피스(120)의 하부 개구부 역시 차폐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하부 케이스(150) 및 구획판(160)을 제외하고 상기 상부 오리피스(110), 상기 가진유닛(130), 상기 구동유닛(140) 및 상기 하부 오리피스(120)를 결합한 형태로 형성된 댐퍼 어셈블리는, 전체가 하나의 모듈로서 사용될 수 있다.The
즉 상기 상부 오리피스(110), 상기 가진유닛(130), 상기 구동유닛(140) 및 상기 하부 오리피스(120)를 결합한 형태의 댐퍼 어셈블리는, 종래의 하이드로 마운트의 구조로 이루어진 바디 어셈블리에 적용함에 따라 능동 엔진마운트로의 구조 변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damper assembly in which the
구체적으로 종래의 하이드로 마운트에서, 바디 어셈블리는 그대로 남겨 둔 상태에서 하부 케이스를 개방한 뒤 상기와 같은 모듈화된 댐퍼 어셈블리를 내부에 장착할 경우, 하이드로 마운트를 능동 엔진마운트로 변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pecifically, in the conventional hydro mount, when the modular damper assembly is installed inside the lower case after the body assembly is left as it is, the hydro mount can be changed to the active engine moun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하이드로 마운트에도 적용하여 능동 엔진마운트로의 구조 변경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conventional hydro-mount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active engine moun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엔진마운트에 있어서, 댐퍼 어셈블리(100)의 내부 구조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며, 이를 통해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FIG. 6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진유닛(130)은 가진체(131)와, 멤브레인(132)을 포함한다. 상기 가진체(131)는 구동유닛(140)에 의해 상하로 가진될 수 있으며, 상기 멤브레인(132)은 상기 가진체(131)를 고정시키되,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가진체(131)의 유동을 저해하지 않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140)은 하부하우징(141)과 이너하우징(142)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하우징(141)과 상기 이너하우징(142) 사이에는 마그넷(146)이 구비된다.The driving
또한 상기 마그넷(146)의 외측에는 스토핑부재(145)에 의해 상기 이너하우징(142)에 고정된 보빈(143)에 권선된 코일(144)이 구비되어, 상기 코일(144)에 전류를 공급할 경우 자기장에 의해 상기 가진체(131)가 가진될 수 있다.A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진유닛(130)은 상기 가진체(131)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코일(144)에 연결되는 도선(C)이 통과하는 제1연결부(134)가 형성된 상부하우징(133)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오리피스(120)는 상기 제1연결부(134)와 연결되어 상기 도선(C)을 외부로 연장시키는 제2연결부(121)를 포함한다. 즉 상기 도선(C)은 상기 상부하우징(133)의 제1연결부와 상기 하부 오리피스(120)의 제2연결부(121)를 통해 상기 코일(144)에서부터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하에서는 상기 상부하우징(133) 및 상기 하부 오리피스(120)의 연결 구조와, 상기 도선(C)의 취출 경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엔진마운트에 있어서, 가진유닛(130)과 구동유닛(140)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상기 가진유닛(130)의 상부하우징(133)을 나타낸 도면이다.7 and 8 are views showing a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144)은 보빈(143)의 둘레에 권선된 상태로 구비되며, 이때 도선(C)은 상기 코일(144)과 연결되어 일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133)은 상기 보빈(143) 및 코일(144)을 덮어 감싸도록 구비되며, 일측에 제1연결부(134)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7, the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선(C)은 상기 제1연결부(134)를 통해 상기 상부하우징(133)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상부하우징(133)의 제1연결부(134)는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도선(C)이 통과하는 제1통과홀(135)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제1연결부(134)는 전체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연결부(134)는 상부 돌출부(134a)가 하부 돌출부(134b)에 비해 보다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따라서 상기 제1연결부(134)의 끝단면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8, the conductor C extends outwardly of the
이때 상기 제1연결부(134)에는, 고정부재(1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80)는 상기 제1통과홀(135)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도선(C)을 좌우 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구성요소이며,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하우징(133)의 제1통과홀(135)에 삽입되는 삽입부(181)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고정부재(180)는 상기 제1연결부(134)와 마찬가지로, 상기 삽입부(181)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하부 돌출부(182b)와, 상기 하부 돌출부(182a)에 비해 길게 돌출된 상부 돌출부(182a)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180)의 끝단면은 상기 제1연결부(134)와 같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The fixing
이때 상기 상부 돌출부(182a)와 상기 하부 돌출부(182a) 사이에는 도선(C)이 통과하는 보조통과홀(183)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181)에는 도 11과 같이 상기 보조통과홀(183)과 연통되는 고정홀(18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184)은 상기 도선(C)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도선(C)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상기 도선(C)이 불필요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an
또한 상기 고정부재(180)는, 고무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통과홀(135)을 실링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Further, the fixing
이상과 같이 상기 제1연결부(134) 및 상기 고정부재(180)의 끝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은, 후술할 하부 오리피스(120)의 제2연결부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도선(C)이 손상되지 않고 안전하게 외부로 취출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하부 오리피스(120)의 제2연결부를 설명하며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The inclination of the ends of the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엔진마운트에 있어서, 하부 오리피스(12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2 and 13 are views showing a state of a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오리피스(120)는 전술한 상기 제1연결부(134)와 연결되어 상기 도선(C)을 외부로 연장시키는 제2연결부(121)를 포함한다.12 and 13, the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연결부(121)는 상기 제1연결부(134)가 상기 제2연결부(121) 상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결부(134)와의 대향면(121a)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도선(C)이 통과하는 제2통과홀(122)이 형성된다.The
이때 상기 제2통과홀(122)은 상기 하부 오리피스(120)와 상기 상부하우징(133)을 결합했을 경우 상기 제1통과홀(135)보다 아래쪽에 형성되어, 상기 도선(C)을 하향시키도록 형성된다.The second through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코일(144)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도선은 상기 제1통과홀(135)을 통과한 뒤, 상기 제2통과홀(122)로 진입하며 하향되도록 연장 방향이 변경된다.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ductor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도선(C)이 후술할 상부 케이스(12, 도 15 참조)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사이에 끼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최대한 하부로 도선(C)을 이동시켜 상기 상부 케이스(12)를 결합 시 도선(C)의 취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The reason for doing this is to prevent the conductor C from being damaged during the process of coupling the upper case 12 (see FIG. 15) to be described later, 12) of the conductor (C).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이와 같이 제2연결부(121)는 상기 상부하우징(133)의 제1연결부(13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134)를 상기 제2연결부(121)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통과홀(135) 및 제2통과홀(122)을 용이하게 연통시킬 수 있다.14,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에 도선(C)을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번거로운 과정을 간단하게 만들 수 있음은 물론, 도선(C)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troublesome process for taking out the conductor C to the outside and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conductor C.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오리피스(120)에는 상기 제2연결부(121)의 양측에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1연결부(134)의 횡 이동을 제한하는 한 쌍의 스토퍼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연결부(134)를 상기 한 쌍의 스토퍼부(123) 사이에 안정적으로 삽입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연결부(134)가 상기 제2연결부(121)로부터 어긋나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합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12, the
또한 상기 제2통과홀(122)의 내측에는, 상기 도선(C)을 상하 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안내부재(190, 도 6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190)는 상기 도선(C)이 상기 제2통과홀(122) 내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도선(C)의 연장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Also, a guide member 190 (see FIG. 6) for fixing the lead wire C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second through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부재(190)는 돌출부(192, 도 6 참조)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192)는 상부 케이스(12, 도 15 참조)와 댐퍼 어셈블리(100)의 결합 과정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12)의 결합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부하우징(133)에 제1연결부(134)가 형성되고, 하부 오리피스(120)에 제2연결부(121)가 형성됨에 따라 코일(144)로부터 연장되는 도선(C)을 안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부(121)의 상기 제2통과홀(122)은 상기 하부 오리피스(120)와 상기 상부하우징(133)을 결합했을 경우 상기 제1연결부(134)의 제1통과홀(135)보다 아래쪽에 형성되어, 상기 도선(C)을 하향시키도록 형성되며, 이는 상부 케이스(12)와의 결합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When the
도 15는 바디 어셈블리(10)를 구성하는 상부 케이스(12)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상부 케이스(12)는 내측에 코어(20, 도 2 참조) 및 탄성체(30)가 구비되며, 댐퍼 어셈블리(100)의 외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커버부(14)를 포함한다.15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그리고 상기 커버부(14)는, 코일(144)에 연결되는 도선(C)이 통과하며, 하부가 개구된 개구홀(15)을 포함한다. 즉 상기 개구홀(15)은 상기 커버부(14)의 하단에 타공된 형태로 형성되어, 전술한 하부 오리피스(120)의 제2통과홀(122)을 통과한 도선(C)을 취출하게 된다.The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14)와 상기 댐퍼 어셈블리(1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홀(15)은 상단의 높이(d1)가 상기 제1통과홀(135)의 하단 높이(d2) 이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개구홀(15)의 상단은 상기 제1통과홀(135)의 하단보다 높지 않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개구홀(15)의 높이가 너무 높아질 경우, 타공 영역이 확대되어 상기 커버부(14)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16, when the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구홀(15)을 최소한의 면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커버부(14)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상기 도선(C)의 연장 방향이 상기 제2통과홀(122)에 의해 하향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그리고 상기 개구홀(15)은 하부가 개구된 상태를 가지므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 어셈블리(100)와 바디 어셈블리(1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도선(C)에 의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댐퍼 어셈블리(100)와 상기 바디 어셈블리(10)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17, the
종래의 경우 이와 같은 개구홀(15)을 커버부(14)의 중앙 부분에 타공하였으며, 이에 따라 상기 댐퍼 어셈블리(100)와 바디 어셈블리(10)를 결합 시에는 도선(C)을 상기 개구홀(15)에 맞춰 삽입하여야만 하였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개구홀(15)을 통해 상기 도선(C)을 취출시키는 과정을 수행하여야만 하였으며, 이는 작업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The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상기 개구홀(15)의 하부가 개구된 상태이므로, 도선(C)의 여부에 관계 없이 상기 바디 어셈블리(10)를 상기 댐퍼 어셈블리(100)의 상부로부터 하향시켜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하다.In contra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wer portion of the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커버부(14)는 상기 댐퍼 어셈블리(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홀(15)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2통과홀(122)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겹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2통과홀(122)을 통과한 도선(C)이 상기 개구홀(15)을 통해 바로 취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 a state where 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2)의 커버부(14)와 댐퍼 어셈블리(100)의 결합 과정에서는, 댐퍼 어셈블리(100)의 하부 오리피스(120)에 구비되는 안내부재(190, 도 6 참조)에 형성된 돌출부(192, 도 6 참조)가 상기 상부 케이스(12)의 결합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6, when the
상기 돌출부(192)는 상기 안내부재(19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14)를 상기 댐퍼 어셈블리(100)에 결합 시 상기 개구홀(15)와 상기 돌출부(192)의 위치를 정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돌출부(192)에 의해 상기 커버부(14)가 걸려 결합을 진행할 수 없게 된다.The
따라서 상기 커버부(14)를 상기 댐퍼 어셈블리(100)에 결합 시에는 상기 개구홀(15)의 방향을 상기 돌출부(192)에 맞춘 상태로 결합하게 되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개구홀(15)의 개구된 하부를 통해 상기 돌출부(192)가 삽입되어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도 1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인 댐퍼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18(b)는 댐퍼어셈블리의 분해도 및 상부하우징의 평면도이며, 도19는 댐퍼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18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dampe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b) is an exploded view of a damper assembly and a top view of an upper housing, and FIG. 19 is a sectional view of a damper assembly.
본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능동 엔진마운트의 구조에서, 제1연결부(134)는 상부하우징(233)에 형성되어 있는 점과 제2연결부(121)는 하부케이스(250)에 형성되어 있는 점 및 댐퍼어셈블리(200)의 구조만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이 되는 댐퍼어셈블리 등의 구성만을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embodiment, in th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active engine mount, the first connecting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댐퍼어셈블리(200)는 상부오리피스(210), 하부오리피스(220), 상부하우징(233), 하부하우징(241), 하부케이스(250)가 적층되어 있는 것으로 대별된다. 도면부호 211은 관통공이다.18, the
상기 하부케이스(250)의 외주면에는 보강리브(25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강의 효과와 더불어 외부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열교환 면적이 넓어지는 이중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므로, 후술하는 코일(244)에서 전달되어 온도가 상승된 하부케이스(250)의 냉각을 빠르게 진행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Since the
도 19에 도시된 댐퍼어셈블리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 예인 댐퍼어셈블리(200)는 가진유닛(230)과 구동유닛(240)으로 대별되는데, 본 실시 예의 주요특징부 중의 하나는 구동유닛(240)의 위치를 구획판(260.다이어프램)의 하측에 설치되도록 위치를 특정한 것에 있다.Referring to the sectional view of the damper assembly shown in FIG. 19, the
가진유닛(230)의 구체적 구성을 살펴보면, 하부오리피스(220)의 위주연 상단에 형성된 단턱에 상부오리피스(210)가 끼움결합되어 있고, 하부오리피스(220)의 외주연 하단에 형성된 홈에 구획판(260.다이어프램)이 끼움 결합되며, 상기 하부오리피스(220)는 상부하우징(233)과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의 적층구조를 가지고 있다.The
상기 상부하우징(233)의 외주연에는 방열공(239)이 형성되어(도 18참조) 외부 공기와 연통되어 있어, 후술하는 구동유닛(240)에 구비된 코일(244)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 기능을 한다.A
상기 상부오리피스(210)의 내부 중앙에는 후술하는 구동유닛(240)과 연동하여 상,하로 진동하는 가진체(231)가 구비되는데, The
상기 가진체(231)는 제1멤브레인(232a)에 결합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멤브레인(232a)은 외주연이 상부오리피스(210)와 하부오리피스(220) 사이에 끼움결합되고, 내주연에 홈이 형성된 탄성재질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가진체(231)는 제1멤브레인(232a) 내주연에 형성된 홈에 끼움 결합된다.Specifically, the outer membrane of the
상기 가진체(231)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면서, 중앙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하측으로 절곡된 부분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구획판(260.다이어프램)의 돌출부가 끼움결합된다.The
상기 구획판(260.다이어프램)은 탄성재질의 중공의 주름진 원판형상의 구조이며, 구획판(260.다이어프램)의 외주연은 하부오리피스(220)의 외주연 하단에 형성된 홈에 끼움결합 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주연에도 돌출부가 형성되어 가진체(231)의 하단에 형성된 홈에 끼움결합된다.The
플런저(270)는 구동유닛(240)의 진동을 가진유닛(230)에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플런저(270)의 상단 외주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 구획판(260.다이어프램)의 내주연에 형성된 돌출부가 끼움결합된다.The
또한, 상기 플런저(270)는 제2멤브레인(232b)과 결합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외주연 하단에 형성된 돌출부가 제2멤브레인(232b)의 내연에 형성된 홈에 끼움결합되어 있고, 제2멤브레인(232b)의 외연에 형성된 홈에는 상부하부징(233)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끼움결합된다.The
상기 플런저(270)의 상단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271)가 체결되는데, 상기 볼트(271) 머리는 가진체(231)의 중앙부분을 눌러 가진체(231) 및 구획판(260.다이어프램) 및 플런저(270)를 결합,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A
상기 볼트 및 나사공은 공지의 체결수단으로 치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Needless to say, the bolts and screw holes can be replaced with known fastening means.
상기 플런저(270)의 하단은 보빈(243)과 결합된다.The lower end of the
상기 제2멤브레인(232b)이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위와 같은 구성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구동유닛(240)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플런저(270)에 전달되고, 플런저(270)와 연결되어 있는 가진체(231)가 진동됨으로써, 차체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능동적으로 감쇄시킨다.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구동유닛(240)은 하부케이스(250)에 삽입되어 있으며, 하부케이스(250)의 외주연에는 보강리브(251)가 형성되어 있다.(도18 참조)The
상기 구동유닛(240)은 하부하우징(241), 마그넷(246), 이너하우징(242), 보빈(243)이 아래에서부터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The
상기 하부하우징(241)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컵형상의 구조로, 내부에 적층된 마그넷(246) 및 이너하우징(242)이 원주방향으로 하부하우징(241)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층 및 결합되어 있다.The
상기 마그넷(246)은 중앙부분의 상,하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에 형성된 홈에는 하부하우징(241)의 중앙에 돌출된 돌출부가 끼움결합되고, 상면에 형성된 홈에는 이너하우징(242)의 하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끼움결합되어 적층된다.The
상기 이너하우징(242)은 중앙 상면에 홈이 형성되어 스토퍼(245)가 끼움결합되어 있다.The
상기 보빈(243)은 플런저(270)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보빈(243)의 외주연에 형성된 코일(244)은 적층된 마그넷(246) 및 이너하우징(242)과 하부하우징(24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내,외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삽입되어 있다.The
위와 같은 구동유닛(240)의 코일(244)에 전류가 인가되면, 보빈(243)이 진동하게 된다.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구동유닛(240)의 설치위치를 구획판(260.다이어프램)의 외측으로 한정하고 있으므로, 아래와 같은 효과가 발생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즉 구동유닛(240)의 구동력를 상승시키려면 구동유닛의 크기 즉 체적을 늘려야 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종래 구동유닛이 구획판(260.다이어프램)의 내부에 있을 때는 상,하오리피스의 내측 공간에 위치할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주변부품 간의 저촉관계로 인하여 구동유닛의 체적을 늘릴 수 없었던 것을 본 실시 예와 같이 구동유닛(240)의 위치를 구획판(260.다이어프램)의 외측에 설치된 것으로 한정함으로써, 주변부품과 저촉되는 것에서 해방되어 구동유닛(240)의 체적을 늘릴 수 있게 되어 구동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That is, in order to raise the driving force of the
또한, 종래 구동유닛이 구획판(260.다이어프램)의 내부에 있을 때는 구동유닛이 외기와 차단되어 있어, 코일(244)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없는 구조인 것에 반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구동유닛(240)의 위치를 구획판(260.다이어프램)의 외측으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코일(244)은 상부하우징(233)에 형성된 방열공(239)에 의하여 외부의 공기와 접촉하고 있어, 코일(244)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여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코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contrast, when the conventional drive unit is inside the partition plate (diaphragm), the drive unit is blocked from the outside air and the heat generated in the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채택된 하부케이스(250)의 외연에 형성된 보강리브(251)는 보강의 효과와 더불어 외부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열교환 면적이 넓어지는 이중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므로, 코일(244)에서 전달되어 온도가 상승된 하부케이스(250)의 냉각을 빠르게 진행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Since the reinforcing
또한, 종래 구동유닛이 구획판(260.다이어프램)의 내부에 있을 때는 구동유닛의 진동함으로써, 주액실 및 보조액실의 압력이 증가되는 것이므로, 액실 내에서 압력을 받은 유체가 구동유닛에 유입되는 것과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견고하고 기밀이 유지될 수 있는 특별한 실링구조가 필요한 것에 반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구동유닛(240)이 구동판(260.다이어프램)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이어서, 액실 내부에서 유체를 가압하는 구조가 아니므로, 구동유닛(240)은 실링문제에서 해방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when the conventional driving unit is inside the partition plate (diaphragm), the pressure of the main liquid chamber and the auxiliary liquid chamber is increased by the vibration of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fluid that has been pressurized in the liquid chamber flows into the driving unit The driving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제2맴브레인(232b)의 구성을 채택하고 있어, 능동 엔진마운트의 측면방향의 진동을 감쇄할 수 있는 상승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또한, 차량의 내부에는 여러 구성부품이 서로 연동되어 설치되어 있는데, 차량의 차체는 도로환경상 좌,우로 폭이 넓으면, 주행하는 다른 차량과 접촉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주차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폭이 너무 넓지 않게 할 필요성이 있어, 차체의 폭을 도로환경 또는 주차환경에 맞추어 줄일 필요성이 있다.In addition,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various components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However, if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of the vehicle is wide in the road environmen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n accident occurs with another vehicle traveling.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to match the road environment or the parking environment.
본 실시 예에서 구동유닛(240)의 위치를 구획판(260.다이어프램)의 외측으로 한정하는 것으로 인하여 능동 엔진마운트의 직경(폭)을 적게 설계할 수 있는 기능이 생기는 것이다. 즉 결과적으로 차량 내부 공간에서 차지하는 능동 엔진마운트의 직경이 작아지게 되어, 능동 엔진마운트의 기능은 종래와 동일하게 그대로 유지하면서, 차체의 폭을 일정부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position of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 능동 엔진마운트 10: 바디 어셈블리
12: 상부 케이스 14: 커버부
15: 개구홀 20: 코어
30: 탄성체 100,200: 댐퍼 어셈블리
110,210: 상부 오리피스 120,220: 하부 오리피스
121: 제2연결부 122: 제2통과홀
130,230: 가진유닛 131,231: 가진체
132: 멤브레인 133,233: 상부하우징
134: 제1연결부 135: 제1통과홀
140,240: 구동유닛 141,241: 하부 하우징
142,242: 이너 하우징 143,243: 보빈
144,244: 코일 145: 스토핑부재
146,246: 마그넷 150,250: 하부 케이스
160,260: 구획판 180: 고정부재
190: 안내부재 270: 플런저
232a: 제1멤브레인 232b: 제2멤브레인
270: 플런저1: Active engine mount 10: Body assembly
12: upper case 14: cover part
15: aperture hole 20: core
30: elastic body 100,200: damper assembly
110, 210:
121: second connecting portion 122: second through hole
130, 230:
132:
134: first connection part 135: first through hole
140, 240:
142, 242:
144, 244: Coil 145: Stopping member
146, 246:
160,260: partition plate 180: fixing member
190: guide member 270: plunger
232a:
270: plunger
Claims (4)
상기 댐퍼 어셈블리(200)는, 가진유닛(230) 및 구동유닛(240) 및 하부케이스(250)가 적층된 구조를 가지되;
상기 가진유닛(230)은
상부오리피스(210)와 하부오리피스(220) 사이에 외주연이 끼움결합된 제1멤브레인(232a)과,
하부오리피스(220)에 결합된 상부하우징(233)과,
제1멤브레인(232a) 내주연에 형성된 홈에 끼움 결합된 가진체(231)와,
외주연에 형성된 돌출부는 하부오리피스(220)의 외주연 하단에 형성된 홈에 끼움결합 되고, 내주연에 형성된 돌출부는 가진체(231)의 하단에 형성된 홈에 끼움결합된 구획판(260.다이어프램)과,
상단에 형성된 홈에 구획판(260.다이어프램)의 내주연에 형성된 돌출부가 끼움결합된 플런저(270)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유닛(24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컵형상의 하부하우징(241)과,
중앙부분의 하면에 형성된 홈에 하부하우징(241)의 중앙에 돌출된 돌출부가 끼움결합되고, 상면에 형성된 홈에 이너하우징(242)의 하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끼움결합된 마그넷(246)과,
이너하우징(242)의 중앙 상면에 형성된 홈에 끼움결합된 스토퍼(245)와,
플런저(270)의 하단에 결합되며, 외주연에 형성된 코일(244)은 적층된 마그넷(246) 및 이너하우징(242)과 하부하우징(24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내,외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삽입된 보빈(24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하우징(233)에 형성된 제1연결부(134)와, 하부케이스(250)에 형성된 제2연결부(121)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134)에는 도선(C)이 통과하는 제1통과홀(135)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부(121)에는 상기 제1통과홀(135)보다 아래쪽에 형성되어 상기 도선(C)을 하향시키는 제2통과홀(122)이 형성되되;
상기 제1연결부(134)가 상기 제2연결부(121) 상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결부(134)와 상기 제2연결부(121)의 대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과홀(135)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도선(C)을 좌우 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180)는, 상기 제1통과홀(135)에 삽입되며, 상기 도선(C)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고정홀(184)을 포함하고,
상기 제2통과홀(122)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도선(C)을 상하 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안내부재(1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구조가 구비된 모듈형 능동 엔진마운트.
And a damper assembly (200) including a vibrating body (231), wherein the pressure of the main liquid chamber is controlled by having the vibrating body (231)
The damper assembly 200 has a structure in which a vibrating unit 230, a drive unit 240 and a lower case 250 are stacked;
The excitation unit 230
A first membrane 232a having an outer periphery fitted between the upper orifice 210 and the lower orifice 220,
An upper housing 233 coupled to the lower orifice 220,
A vibrating body 231 fit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first membrane 232a,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is fitted into a groov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bottom of the lower orifice 220 and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is fit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vibrating body 231. The partition plate and,
And a plunger (270) fitted in and engaged with a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partition plate (260. diaphragm) in the groove formed at the upper end,
The drive unit 240
A lower cup-shaped lower housing 241 having an open top,
A magnet 246 having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housing 241 and fitted into a groov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enter portion and having a protrusion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242 fitted into a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 stopper 245 fit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central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242,
The coil 244 form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plunger 270 is spaced at a certain interval inward and outward from the stacked magnet 246 and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housing 242 and the lower housing 241 And a bobbin 243 inserted into the bobbin 243,
A first connection part 134 formed in the upper housing 233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121 formed in the lower case 250,
The first connection part 134 is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135 through which a conductor C passes,
A second through hole 122 is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1 below the first through hole 135 to downward the conductive line C;
The first connection part 134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1 are formed to have an opposite surface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part 134 can be seated on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1,
Further comprising a fixing member (180) formed to be insertable into the first through hole (135) and fixing the lead wire (C)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fixing member 180 includes a fixing hole 184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135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lead C,
Further comprising a guide member (190) formed to be insertable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122) and fixing the lead wire (C)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하부케이스(250)의 외주면에는 보강의 기능과 더불어 외부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열교환 면적이 넓어지는 이중의 기능을 가지는 보강리브(25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구조가 구비된 모듈형 능동 엔진마운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einforcing rib (251) having a double function of expanding a contact area with outside air and widening a heat exchange area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case (250) Active engine mount.
상기 상부하우징(233)에는 방열공(23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구조가 구비된 모듈형 능동 엔진마운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heat dissipation hole (239) is formed in the upper housing (233).
상기 가진유닛(230)은,
외주연에 형성된 홈에 상부하부징(233)의 돌출부가 끼움결합되고, 내주연에 형성된 홈에 플런저(270)의 외주연에 형성된 돌출부가 끼움 결합되는 제2멤브레인(232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구조가 구비된 모듈형 능동 엔진마운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citation unit (230)
And a second membrane 232b in which a protrusion of the upper lowering ring 233 is fitted to the groove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ce and a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lunger 270 is fitted to the groove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groove, A modular active engine mount having a heat dissipating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0235A KR101812744B1 (en) | 2017-03-29 | 2017-03-29 | Module Type Active Engine Mount equipped with heat structur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0235A KR101812744B1 (en) | 2017-03-29 | 2017-03-29 | Module Type Active Engine Mount equipped with heat structur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2744B1 true KR101812744B1 (en) | 2018-01-30 |
Family
ID=61070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0235A KR101812744B1 (en) | 2017-03-29 | 2017-03-29 | Module Type Active Engine Mount equipped with heat structur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2744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55109A (en) | 1998-08-04 | 2000-02-22 | Nissan Motor Co Ltd | Vibration isolating device |
JP2001227581A (en) | 2000-02-14 | 2001-08-24 | Tokai Rubber Ind Ltd | Vibration control device, and actuator therefor |
US6435488B1 (en) | 1999-02-24 | 2002-08-20 | Firma Carl Freudenberg | Switchable, hydraulically damping bearing |
JP2006308054A (en) | 2005-05-02 | 2006-11-09 | Tokai Rubber Ind Ltd | Vibration isolation actuator and active vibration isolation device using same |
US20090256294A1 (en) | 2008-04-14 | 2009-10-15 | Hyundai Motor Company | Electromagnetic Active Engine Mount |
CN104088955A (en) | 2014-07-03 | 2014-10-08 | 重庆大学 | Engine magneto-rheological hydraulic mount based on mixed mode |
-
2017
- 2017-03-29 KR KR1020170040235A patent/KR10181274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55109A (en) | 1998-08-04 | 2000-02-22 | Nissan Motor Co Ltd | Vibration isolating device |
US6435488B1 (en) | 1999-02-24 | 2002-08-20 | Firma Carl Freudenberg | Switchable, hydraulically damping bearing |
JP2001227581A (en) | 2000-02-14 | 2001-08-24 | Tokai Rubber Ind Ltd | Vibration control device, and actuator therefor |
JP2006308054A (en) | 2005-05-02 | 2006-11-09 | Tokai Rubber Ind Ltd | Vibration isolation actuator and active vibration isolation device using same |
US20090256294A1 (en) | 2008-04-14 | 2009-10-15 | Hyundai Motor Company | Electromagnetic Active Engine Mount |
CN104088955A (en) | 2014-07-03 | 2014-10-08 | 重庆大学 | Engine magneto-rheological hydraulic mount based on mixed mod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6393B1 (en) | Engine mount for vehicle | |
US8270660B2 (en) | Speaker device and speaker unit | |
EP1803961B1 (en) | MR-fluid hydraulic mount | |
US8100388B2 (en) | Electromagnetic active engine mount apparatus | |
US20080060894A1 (en) | Active vibration damper | |
US20090256294A1 (en) | Electromagnetic Active Engine Mount | |
KR101804804B1 (en) | Slim Speaker | |
CN111963627B (en) | Combined vibration damper, compressor, pump and fan | |
KR101812744B1 (en) | Module Type Active Engine Mount equipped with heat structures | |
KR101519265B1 (en) | Sound generator for vehicle | |
KR101610481B1 (en) | Semi active engine mount for vehicle | |
US20170292582A1 (en) | Active engine mount having vent hole | |
US5987148A (en) | Driver for a horn radiator | |
EP2495990B1 (en) | Speaker device | |
JP2018098300A (en) | Reactor | |
KR101783350B1 (en) | Active Engine Mount Having Case Having Opened Hole for Electric Wire Connecting | |
KR101791522B1 (en) | Module Type Active Engine Mount Having Electric Wire Connecting Part | |
JP2010043702A (en) | Liquid-sealed vibration control device | |
JP2012107734A (en) | Active liquid-sealed vibration damper | |
WO2023189254A1 (en) | Electroacoustic transducer for vehicles | |
WO2023189253A1 (en) | Electroacoustic transducer for vehicle | |
WO2023189252A1 (en) | Electroacoustic transducer for vehicles | |
JP5148725B2 (en) | Liquid-filled vibration isolator | |
JP2006308054A (en) | Vibration isolation actuator and active vibration isolation device using same | |
JP4212624B2 (en) | Liquid-filled vibration isol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