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590B1 -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관 구조물에 적용되는 앵커 두부 보호체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관 구조물에 적용되는 앵커 두부 보호체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590B1
KR101812590B1 KR1020170074573A KR20170074573A KR101812590B1 KR 101812590 B1 KR101812590 B1 KR 101812590B1 KR 1020170074573 A KR1020170074573 A KR 1020170074573A KR 20170074573 A KR20170074573 A KR 20170074573A KR 101812590 B1 KR101812590 B1 KR 101812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rotective cap
shotcrete composition
groove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용
김가연
이찬우
조영종
Original Assignee
대상이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상이앤씨(주) filed Critical 대상이앤씨(주)
Priority to KR1020170074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5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7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eans incorporating sheet piles or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관 구조물에 적용되는 앵커 두부 보호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면 안정화를 위해 경사지나 사면 등에 설치되는 앵커 두부를 보호하기 위한 앵커 두부 보호체의 보호캡에 인공 경관 구조물을 형성하는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이 형성됨으로써 사면 안정화 지역 전체가 자연스런 미관을 가지는 경관 구조물이 되고, 앵커 두부를 보호하는 앵커 두부 보호체의 하우징을 지압판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하여 시공성을 우수하게 하며, 앵커 두부 보호체의 보호캡을 유지 관리를 위하여 필요시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관 구조물에 적용되는 앵커 두부 보호체 및 이의 시공방법이다.

Description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관 구조물에 적용되는 앵커 두부 보호체 및 이의 시공방법{Head protector of an anchor of the scenery structure using high-performance shotcre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경관 구조물에 적용되는 앵커 두부 보호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면 안정화를 위해 경사지나 사면 등에 설치되는 앵커 두부를 보호하기 위한 앵커 두부 보호체를 구성하는 보호캡에도 인공 경관 구조물을 형성하는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이 형성됨으로써 사면 안정화 지역 전체가 자연스런 미관을 가지는 경관 구조물이 될 뿐만 아니라 앵커 두부를 보호하는 앵커 두부 보호체를 지압판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하여 시공성을 우수하게 하며, 앵커 두부 보호체를 형성하는 보호캡을 필요 시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관 구조물에 적용되는 앵커 두부 보호체 및 이의 시공방법이다.
일반적으로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관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먼저 시공하려는 절토면 또는 성토면을 락볼트, 어스앵커 등 사면안정용 부재를 사용하여 시공면을 안정화시킨 후 상기 시공면에 부착성 및 결속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철근이나 와이어메쉬 등을 설치한 후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포설하여 자연암석 모양의 윤곽이 나타나게 조각 및 표면 착색과 코팅을 통하여 자연암석의 표면 질감을 나타내는 경관 구조물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특허등록 제1157874호로 "고성능 습식 숏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경관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특허등록 제1466351호로 "고성능 습식 숏크리트와 생태그물망을 이용한 사면 경관식생 시공방법"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특허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절토면이나 성토면에 형성된 사면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사면안정용 부재인 락볼트, 어스 앵커를 설치하고, 상기 설치되는 락볼트나 어스 앵커가 설치되는 지표면 외부로 표출되는 앵커의 두부에는 보호캡을 설치하여 앵커 두부를 보호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17332호는 "체결부재 및 차단부를 구비한 락볼트 및 너트 보호캡"에 관하는 것으로, 사면에 설치되는 락볼트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지표면 외부로 돌출되는 락볼트의 두부에 해당하는 앵커 두부에 덮개부를 형성한 것이 공개된 바가 있다. 그러나 선 공개된 특허는 단지 사면에 설치되는 락볼트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지압판에 해당하는 사면지지부재 상면에 돌출되는 락볼트의 나사산에 덮개부를 형성한 것이고 이렇게 설치되는 사면에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포설하여 자연암석 모양의 윤곽이 나타나게 조각 및 표면 착색과 코팅를 하려고 할 경우에는 상기 설치되는 락볼트의 유지 관리를 위하여 락볼트 두부에 해당하는 앵커 두부를 제외하고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 포설하여야 하는 시공의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사면 모두가 일체적으로 자연암석 모양이 형성되지 아니하여 자연스런 미관을 형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51089호는 "보호캡을 이용한 앵커 두부 보강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암사면에 설치되는 앵커 두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게 함으로써 주위 경관과 조화되면서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암사면 표면에 소정 깊이로 장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장작홈에 지압판 및 앵커 두부가 삽입되고 보호캡에 의해 앵커 두부가 암사면에 노출되지 않게 한 것이나, 상기 선 공개된 특허는 암사면 표면 밖으로 앵커 두부를 도출되는 않게 이루어진 것일 뿐만 아니라 격벽을 설치하고 보호캡을 지압판에 나사 결합하는 등 설치가 복잡하고 이렇게 설치되는 사면에 자연암석 모양을 형성하기 위하여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포설할 경우에도 보호캡 부위는 제외해야 함으로 인하여 암사면 모두가 자연스런 자연암석 모양이 형성되지 아니하여 자연스런 미관을 형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733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1089호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면 안정화를 위해 경사지나 사면 등에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포설하여 자연암석 모양의 윤곽이 나타나게 조각 및 표면 착색과 코팅을 통하여 자연암석의 표면 질감을 나타내는 경관 구조물을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경사지나 사면에 설치되는 앵커의 앵커 두부에 앵커 두부 보호체를 형성하고 앵커 두부 보호체를 구성하는 보호캡에도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이 포설됨으로써 포설면 전체가 자연스런 미관을 가지는 경관 구조물을 형성하는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관 구조물에 적용되는 앵커 두부 보호체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다른 목적은, 설치되는 앵커가 경사지나 사면에 설치됨에 따라 앵커 두부의 앵커 블록을 지지하는 지압판과 앵커 두부 보호체의 설치 및 분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관 구조물에 적용되는 앵커 두부 보호체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앵커 두부 보호체의 보호캡 수용부에 스터드나 격자망을 설치하여 포설되는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이 보호캡에 견고히 고착될 수 있는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관 구조물에 적용되는 앵커 두부 보호체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관 구조물에 적용되는 앵커 두부 보호체로서, 경사지나 사면에 설치되는 앵커 두부에 설치되는 앵커 블록을 지지하면서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하여 지지돌기와 홈부가 형성된 지압판; 상기 지지돌기 사이에 형성된 홈부에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과의 결합을 위하여 스터드가 구비되며 상부 내주면에는 보호캡과의 결합을 위해 나사산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나사산과의 결합을 위하여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 둘레에는 보호캡 체결 및 분리 공구의 다리를 수용할 수 있는 체결홈이 형성된 보호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을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관 구조물에 적용되는 앵커 두부 보호체의 시공 방법으로서, 경사지나 사면에 설치되는 앵커 두부에 설치되는 앵커 블록을 지지하면서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하여 지지돌기와 홈부가 형성된 지압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압판 상면에 앵커 두부를 형성하는 단계: 외주면에는 스터드가 구비되며 상부 내주면에는 보호캡과의 결합을 위해 나사산을 형성한 하우징을 지압판의 지지돌기 사이에 형성된 홈부에 결합하는 단계;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스터드나 격자망이 설치된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 둘레에는 보호캡 체결 및 분리 공구의 다리를 수용할 수 있는 체결홈으로 이루어진 보호캡을 상기 하우징의 나사산과의 결합하는 단계; 상기 보호캡의 수용부를 포함하여 조성된 경사지나 사면 전체에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포설 후 양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사면 안정화를 위해 경사지나 사면 등에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포설하여 경관 구조물을 형성하는 경우 앵커 두부에 앵커 두부 보호체를 형성하고 앵커 두부 보호체를 구성하는 보호캡에도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이 포설됨으로써 포설면 전체가 자연스런 미관을 가져 심미감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앵커 두부의 앵커 블록을 지지하는 지압판과 앵커 두부 보호체의 설치 및 분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하여 시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앵커 두부 보호체의 보호캡 수용부에 스터드나 격자망을 설치하여 포설되는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이 보호캡에 견고히 고착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보호캡 체결 및 분리 공구를 이용하여 보호캡의 체결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보호캡 체결 및 분리 공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지압판과 하우징 결합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지압판과 하우징 결합의 다른 실시예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보호캡의 수용부에 격자망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 상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사지나 사면에 지반 안정화를 위하여 앵커를 설치하는데 상기 앵커의 설치 방법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앵커에 대한 구체적인 설치 방법은 생략하기로 하고, 본 발명은 경사지나 사면에 설치되는 지압판(200)을 관통하는 강선(320)은 앵커 두부(300)를 구성하고 있는 앵커 블록(310)을 통과한 후 일정의 인장력이 가해진 후 쐐기(330)로 고정되는 어스 앵커에 대한 것을 설명하고 있고 있는데, 상기 어스 앵커와 같이 사면 안정화에 적용되는 락 볼트의 경우에 있어서도 지표면 밖에 표출되는 락 볼트의 두부에 해당하는 앵커 두부를 보호하기 위한 앵커 두부 보호체 역시 아래에서 설명하고 있는 앵커 두부 보호체와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 앵커 두부(300)를 보호하기 위하여 지압판(200) 상부에는 앵커 두부 보호체(100)가 위치하는데, 상기 앵커 두부 보호체(100)는 지압판(200)의 상면에 위치한 지지돌기(220) 사이에 형성된 홈부(210)에 결합되는 하우징(120)과 상기 하우징(120)의 상단부를 폐쇄시키면서 결합되는 보호캡(1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압판(200)의 지지돌기(220) 사이에 형성된 홈부(210)에는 탄성재질의 패킹(130)을 설치한 후 하우징(120)을 결합하는 경우 하우징(120)과 지압판(200)의 수밀성을 더욱 증대시키는 효과 있다. 상기 지압판(200)은 앵커블록에 의하여 강한 압축력을 받기 때문에 이를 견디기 위하여 강재로 구성되고 이에 결합되는 하우징(120)이나 보호캡(110)도 강재로 구성되나 지압판(200)과 달리 외부 응력이 크게 작용하지 않으므로 비용적인면을 고려하여 강재질의 합성 플라스틱으로도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서 앵커 두부(300)를 지지하는 지압판(200)의 상면에는 하우징(120)과의 결합을 위하여 지지돌기(22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220) 사이에는 하우징(120)의 하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일정 깊이의 홈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압판(200)의 지지돌기(220) 사이에 형성된 홈부(210)와 이에 결합되는 하우징(120) 사이에는 수밀성 증대를 위하여 탄성 재질의 패킹(13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220) 사이에 형성된 홈부(210)에 결합되는 하우징(120)의 외주면에는 스터드(121)가 구비되며 상부 내주면에는 보호캡(110)과의 결합을 위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하우징(120)의 외주면에 설치된 스터드(121)는 경사지나 사면에 포설되는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면서 앵커 두부 보호체(100)를 경사지나 사면에서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에 의하여 견고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20)과 결합되는 보호캡(110)은 하우징(120)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체결되기 위하여 보호캡(110)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었으며, 또한 포설되는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114)에는 포설되는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과의 결합력 증대를 위해 스터드(112) 또는 격자망(115)이 설치되며, 상기 수용부(114) 둘레에는 보호캡 분리 및 체결 공구(400)의 다리(410)를 수용하여 회전되게 할 수 있는 체결홈(111)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앵커 두부 보호체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를 보여 주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경사지나 사면에 앵커 두부 보호체(100)를 설치한 후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포설한 후 양생한다.
본 발명인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관 구조물에 적용되는 앵커 두부 보호체(100)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경사지나 사면에 설치되는 앵커 두부(300)의 앵커 블록(310)을 지지하면서 하우징(120)과의 결합을 위하여 지지돌기(220)와 홈부(210)가 형성된 지압판(200)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지압판 상면에 앵커 두부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지압판(200)의 지지돌기(220) 사이에 형성된 홈부(210)에는 하우징(120)을 억지 끼움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도 5, 6과 같이 하우징(120)의 외주면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22)를 두개의 내,외측 지지돌기(220) 중 외측 지지돌기(220)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 안내홈(221)에 끼운 후 회전하여 하우징(120)과 지압판(200)을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외주면에는 스터드(121)가 구비되며 상부 내주면에는 보호캡(110)과의 결합을 위해 나사산을 형성한 하우징(120)을 지압판(200)의 지지돌기(220) 사이에 형성된 홈부(210)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지압판(200)의 홈부(210)와 이에 결합되는 하우징(120) 사이에는 수밀성 증대를 위하여 탄성 재질의 패킹(130)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하우징(120)과 보호캡(110)을 결합하는 단계로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수용부(114)에는 스터드(112)나 격자망(115)이 설치된 보호캡(110)을 하우징(120)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위치시킨 후 보호캡(110) 상부에 형성된 요홈(113)에 보호캡 체결 및 분리 공구(400)의 다리(410)를 끼운 후 회전시켜 보호캡(110)을 하우징(120)에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보호캡(110)의 수용부(114)를 포함하여 조성된 경사지나 사면 전체에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포설 후 양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보호캡(110)을 상기 하우징(120)의 나사산과 결합하는 단계 전이나 후에 상기 보호캡(110)의 수용부(114)에 포설되는 숏크리트 조성물과 보호캡(110) 외측부의 경사지나 사면에 포설되는 숏크리트 조성물을 구분하면서 체결 후 유지 보수시 보호캡(110)의 분리가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보호캡(110)의 상단 외측부에 형성된 요홈(113)에 박리재를 설치한 후 경사지나 사면 전체에 숏크리트 조성물을 포설 후 박리재를 요홈(113)에서 분리시킨다. 상기 박리재는 단지 숏크리트 조성물이 요홈(113)에 채워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 연질의 고무 재질이나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보호캡 체결 및 분리 공구 사시도의 일 실시예를 보여 주는 것으로, 상기 보호캡 체결 및 분리 공구(400)의 다리(410)를 보호캡(110)의 체결홈(111)에 안착시킨 후 좌우로 회전시켜 보호캡(110)을 하우징(120)에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데, 상기 실시예 외에도 보호캡(110)의 요홈(113)과 체결홈(111)에 수용될 수 있도록 중앙이 비어 있고 요홈(113)에 맞추어지는 원통형의 내주면에는 체결홈(1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도출된 도출부를 가지는 원통형 렌치를 형성하여 보호캡(110)을 좌우로 회전시켜 보호캡(110)을 하우징(120)에서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도 있다(미도시).
도 5, 6은 본 발명에서 지압판(200)과 하우징 결합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로서, 도 1, 2는 하우징(120) 외주면 하단부를 지압판(200)의 지지돌기(220) 사이에 형성된 홈부(210)에 억지끼움으로 결합하는 반면, 도 5는 하우징(120)의 외주면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22)를 지지돌기(220)에 형성된 결합 안내홈(221)에 끼운 후 회전하여 하우징(120)과 지압판(200)을 신속하고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7은 보호캡의 수용부에 격자망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도 1과 달리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과의 결합력 증대를 위하여 보호캡(110)의 수용부(114)에 스터드(112)를 설치하는 대신 격자망(115)이 설치된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앵커 두부 보호체 110: 보호캡
120: 하우징 130: 패킹
200: 지압판 210: 홈부
220: 지지돌기 300: 앵커 두부
310: 앵커 블록 320: 강선
330: 쐐기 400: 보호캡 체결 및 분리 공구

Claims (10)

  1. 경사지나 사면에 설치되는 앵커 두부에 설치되는 앵커 블록을 지지하면서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하여 지지돌기와 홈부가 형성된 지압판;
    상기 지지돌기 사이에 형성된 홈부에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과의 결합을 위하여 스터드가 구비되며 상부 내주면에는 보호캡과의 결합을 위해 나사산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나사산과의 결합을 위하여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캡의 수용부에는 포설되는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과의 결합력 증대를 위해 스터드 또는 격자망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 둘레에는 보호캡 체결 및 분리 공구의 다리를 수용할 수 있는 체결홈이 형성된 보호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캡의 수용부에 포설되는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과 보호캡 외측부의 경사지나 사면에 포설되는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구분하면서 보호캡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보호캡의 상단 외측부에 요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을 하는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관 구조물에 적용되는 앵커 두부 보호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압판의 지지돌기 사이에 형성된 홈부와 이에 결합되는 하우징 사이에는 수밀성 증대를 위하여 패킹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관 구조물에 적용되는 앵커 두부 보호체.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 사이에 형성된 홈부에 하우징은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관 구조물에 적용되는 앵커 두부 보호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의 외주면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지지돌기에 형성된 결합 안내홈에 끼운 후 회전하여 하우징과 지압판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관 구조물에 적용되는 앵커 두부 보호체.
  7. 경사지나 사면에 설치되는 앵커 두부에 설치되는 앵커 블록을 지지하면서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하여 지지돌기와 홈부가 형성된 지압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압판 상면에 앵커 두부를 형성하는 단계:
    외주면에는 스터드가 구비되며 상부 내주면에는 보호캡과의 결합을 위해 나사산을 형성한 하우징을 지압판의 지지돌기 사이에 형성된 홈부에 결합하는 단계;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스터드나 격자망이 설치된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 둘레에는 보호캡 체결 및 분리 공구의 다리를 수용할 수 있는 체결홈으로 이루어진 보호캡을 상기 하우징의 나사산과의 결합하는 단계;
    상기 보호캡의 수용부를 포함하여 조성된 경사지나 사면 전체에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포설 후 양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캡을 상기 하우징의 나사산과 결합하는 단계 전이나 후에 상기 보호캡의 수용부에 포설되는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과 보호캡 외측부의 경사지나 사면에 포설되는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구분하면서 체결 후 보호캡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보호캡의 상단 외측부에 형성된 요홈에 박리재를 설치한 후 조성된 경사지나 사면 전체에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포설 후 박리재를 요홈에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관 구조물에 적용되는 앵커 두부 보호체의 시공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압판의 홈부와 이에 결합되는 하우징 사이에는 수밀성 증대를 위하여 패킹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관 구조물에 적용되는 앵커 두부 보호체의 시공 방법.
  9. 삭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압판의 지지돌기 사이에 형성된 홈부에 하우징을 억지 끼움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하우징의 외주면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지지돌기에 형성된 결합 안내홈에 끼운 후 회전하여 하우징과 지압판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관 구조물에 적용되는 앵커 두부 보호체의 시공 방법.
KR1020170074573A 2017-06-14 2017-06-14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관 구조물에 적용되는 앵커 두부 보호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12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573A KR101812590B1 (ko) 2017-06-14 2017-06-14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관 구조물에 적용되는 앵커 두부 보호체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573A KR101812590B1 (ko) 2017-06-14 2017-06-14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관 구조물에 적용되는 앵커 두부 보호체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590B1 true KR101812590B1 (ko) 2017-12-27

Family

ID=60938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573A KR101812590B1 (ko) 2017-06-14 2017-06-14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관 구조물에 적용되는 앵커 두부 보호체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59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553A (ja) * 1998-12-02 2000-06-13 Nippon Mentekku Kk シース付き支圧板の形成方法とその支圧板
JP2002275903A (ja) * 2001-03-14 2002-09-25 Toko Corp 分離型支圧板
JP2004121210A (ja) * 2002-08-08 2004-04-22 Nippon Chiko Co Ltd 緑化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施工方法
JP2007009641A (ja) * 2005-07-04 2007-01-18 Ps Mitsubishi Construction Co Ltd Pc鋼棒定着端部における鋼棒抜出防止構造
KR101051089B1 (ko) * 2010-05-28 2011-07-2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보호캡을 이용한 앵커두부 보강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694652B1 (ko) * 2016-03-04 2017-01-09 공학봉 패널식 절토부 옹벽용 앵커 헤드 착, 탈식 보호커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553A (ja) * 1998-12-02 2000-06-13 Nippon Mentekku Kk シース付き支圧板の形成方法とその支圧板
JP2002275903A (ja) * 2001-03-14 2002-09-25 Toko Corp 分離型支圧板
JP2004121210A (ja) * 2002-08-08 2004-04-22 Nippon Chiko Co Ltd 緑化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施工方法
JP2007009641A (ja) * 2005-07-04 2007-01-18 Ps Mitsubishi Construction Co Ltd Pc鋼棒定着端部における鋼棒抜出防止構造
KR101051089B1 (ko) * 2010-05-28 2011-07-2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보호캡을 이용한 앵커두부 보강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694652B1 (ko) * 2016-03-04 2017-01-09 공학봉 패널식 절토부 옹벽용 앵커 헤드 착, 탈식 보호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8792A (en) Prefabricated retaining-wall elements for protection, consolidation and/or facing of excavations, ground anchor and assembly devices, and procedure for application of these elements and devices
KR100930829B1 (ko) 락볼트 연결용 커플러를 갖는 판넬
KR101009489B1 (ko) 합벽지지대용 앵커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합벽의 시공방법
JP5909019B1 (ja) アンカーボルト取付用金具及びこの金具を用いたアンカーボルト取付方法
KR20050110603A (ko) 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294565B1 (ko) 매입형 앵커의 시공방법
KR101370954B1 (ko) 소일네일과 연계시공되는 지표면 압박 보강 구조 및 공법
KR101652346B1 (ko) 석재가 일체로 성형된 판넬을 갖는 옹벽 판넬
KR101812590B1 (ko)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관 구조물에 적용되는 앵커 두부 보호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60180B1 (ko) 소일네일링 공법용 이종 철근 연결구
KR101683455B1 (ko) 인장재 제거 가능한 지반 고정 부재
JP4815520B2 (ja) 定着金物及びそれを用いた法面安定化構造並びに法面安定化工法
KR100773042B1 (ko) 풀림방지 볼트 너트 보호캡
KR20140057791A (ko) 덮개 및 앵커부재가 구비된 옹벽구조물
KR101098530B1 (ko) 콘크리트 기초석의 배선공 성형용 튜브 어셈블리
KR101715132B1 (ko) 상하수도용 분절형 맨홀의 조립식 시공방법
KR100912805B1 (ko) 폐 합성수지를 이용한 지주 기초대
KR20110015041A (ko) 기초볼트커버
KR20190023250A (ko) 회수식 앵커 조립체
KR102612246B1 (ko) 영구식 사면 보강용 쏘일 네일링 구조
JPH06136841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接合工法及び該工法に用い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並びに該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接合凹部を形成する型装置
JP3225394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に化粧ブロックを取付ける装置
KR930000935Y1 (ko) 경사면 보호용 합성수지제 블럭
KR200292891Y1 (ko) 보강철근용 라이너스크류
JP2818814B2 (ja) マンホールの蓋高さ調整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