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139B1 - 다중-인터페이스 트래픽 오프로딩에 대한 캡티브 포털 상태 검출 및 회피 - Google Patents

다중-인터페이스 트래픽 오프로딩에 대한 캡티브 포털 상태 검출 및 회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139B1
KR101812139B1 KR1020147020241A KR20147020241A KR101812139B1 KR 101812139 B1 KR101812139 B1 KR 101812139B1 KR 1020147020241 A KR1020147020241 A KR 1020147020241A KR 20147020241 A KR20147020241 A KR 20147020241A KR 101812139 B1 KR101812139 B1 KR 101812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ing device
wlan
wireless connection
connection
cell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0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9444A (ko
Inventor
에이드리언 파트라
모히트 탈웨어
Original Assignee
페이스북,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이스북, 인크. filed Critical 페이스북, 인크.
Publication of KR20140109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8Timers or timing mechanisms used i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8Authentication using credential vaults, e.g. password manager applications or one time password [OTP]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6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etworks is unlicen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3Data redirection of data network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6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simulated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2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 H04W36/125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involving different types of service backb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082Mobility data transfer for traffic bypassing of mobility servers, e.g. location registers, home PLMNs or home ag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일실시예로, Wi-Fi 핫스팟에 연결중인 모바일 장치는 먼저 연결성 체크 메시지를 공중 IP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외부 종단점으로 전송하여 무선 연결이 캡티브 포털의 월드 가든에서 트랩되는지를 판단하도록 연결성 체크를 수행한다. 어떤 응답도 수신되지 않으면, 모바일 장치는 모바일 장치가 캡티브 포털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고, 캡티브 포털용 포털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장치의 Wi-Fi 상태 추적기로 바운딩되는 브라우저 윈도우를 생성한다. 이런 방식으로, 모바일 장치는 Wi-Fi 인터페이스가 공중 IP 네트워크에 접속할 있음이 확실할 때까지 무선 셀룰러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어떤 트래픽도 Wi-Fi 인터페이스로 오프로딩하지 않으며, 이로써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 중단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다중-인터페이스 트래픽 오프로딩에 대한 캡티브 포털 상태 검출 및 회피{CAPTIVE PORTAL STATE DETECTION AND AVOIDANCE FOR MULTIPLE-INTERFACE TRAFFIC OFFLOADING}
본 명세서는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장치에는, 가령 하나 이상의 셀룰러 네트워크(예컨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2 및 CDMA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기뿐 아니라, 가령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Wi-Fi) 및 IEEE 802.16(WiMAX) 네트워크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s)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기와 같이, 다수의 통신 인터페이스가 탑재될 수 있다. 대역폭, 신호 강도, 데이터 차지 회피(data charge avoidance), 배터리 수명 보존 및 다른 고려사항으로 인해, 많은 모바일 장치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모든 데이터와 자동 연결하고 모든 데이터를 라우팅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모든 WLAN들이 무료는 아니다. 많은 WLAN들은 통상 결제 정보나 로그인이나 패스워드 크리덴셜을 입력하거나 제공자의 서비스 조건에 동의하여,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가 인증을 수행할 때까지, 인터넷(또는 다른 네트워크)으로의 접속을 막는 디폴트 게이트웨이나 서버에 웹 포털(또한 "캡티브 포털(captive portals)"이라고도 함)을 호스팅한다.
캡티브-포털 기술은 종종 네트워크상의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클라이언트가 보통 인터넷을 사용하기 전에 (흔히 인증의 목적으로) 특수 웹페이지를 볼 수 있게 한다. 캡티브 포털은 웹 브라우저를 인증 장치로 변환한다. 이는 주소나 포트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열고 인터넷에 접속하고자 할 때까지 모든 패킷을 차단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이때, 브라우저는 인증이나 결제를 필요로 하거나 사용자가 동의해야 하는 허용 사용자 정책을 디스플레이하는 웹페이지로 재지정될 수 있다. 성공적으로 인증될 때까지, 사용자 장치는 포털의 "월드 가든(walled garden)"에 "트랩(trapped)"될 수 있다. 캡티브 포털은 종종 Wi-Fi 핫스팟에서 사용되며, (예컨대, 아파트 집안, 호텔 방, 비즈니스 센터 또는 "오픈" 이더넷 잿에서) 유선 접속을 제어하는데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캡티브 포털은 가령 HTTP 재지정(HTTP Redirect), IP 재지정 및 도메인 네임 서버(DNS) 재지정과 같은 광범위한 패킷-차단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실시예로, Wi-Fi 핫스팟에 연결중인 모바일 장치는 먼저 연결성 체크 메시지를 공중 IP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외부 종단점으로 전송하여 무선 연결이 캡티브 포털의 월드 가든에서 트랩되는지를 판단하도록 연결성 체크를 수행한다. 어떤 응답도 수신되지 않으면, 모바일 장치는 모바일 장치가 캡티브 포털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고, 캡티브 포털용 포털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장치의 Wi-Fi 상태 추적기로 바운딩되는 브라우저 윈도우를 생성한다. 이런 방식으로, 모바일 장치는 Wi-Fi 인터페이스가 공중 IP 네트워크에 접속할 있음이 확실할 때까지 무선 셀룰러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어떤 트래픽도 Wi-Fi 인터페이스로 오프로딩하지 않으며, 이로써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 중단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다.
도 1a는 다중-인터페이스 모바일 장치를 위한 예시적인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을 도시한다.
도 1b는 예시적인 모바일-IP 핸드오프를 도시한다.
도 2는 캡티브-포털 상태로 인한 예시적인 데이터-연결 문제를 도시한다.
도 3은 예시적인 캡티브-포털-상태 검출 및 회피 기능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모바일 장치의 예시적인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도시한다.
도 4는 캡티브-포털 상태를 검출하고 회피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5는 캡티브-포털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은 예시적인 캡티브-포털-상태 검출 및 회피를 구현하는 모바일 장치에 대한 예시적인 상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7은 예시적인 모바일 장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8은 예시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다.
도 9는 예시적인 컴퓨터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0은 예시적인 모바일 장치를 도시한다.
특정 실시예로, 다중-인터페이스 모바일 장치 또는 다른 클라이언트 장치는 특정 WLAN으로 연결할 때 공중 IP 네트워크의 종단점으로 연결성 체크를 전송하고, 장치가 WLAN을 통해 완전 인터넷 접속(full Internet access)을 가진다고 표시하는 종단점으로부터의 확인응답(ACK)을 수신한 후, 트래픽을 무선 셀룰러 인터페이스로부터 WLAN 인터페이스로 단지 오프로딩(offload)한다. 특정 실시예로, 모바일 장치가 캡티브 포털의 월드 가든에 트랩된다고 검출하자마자, 모바일 장치는 무선 셀룰러 무선 인터페이스(wireless cellular radio interface)를 통해 인터넷으로의 데이터 연결을 동시에 유지하면서 포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장치의 WLAN 인터페이스로 바운딩된 브라우저 윈도우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인기가 증가함에 따라, 웹 브라우저는 더 이상 모바일 장치가 인터넷에 접속하는 수단만은 아니다.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날씨, 교통, 주식 업데이트, 지도, 인스턴트 메시지 등을 수신하기 위한 목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서버로의 TCP/IP 연결을 오픈할 수 있다. 전용 (비-브라우저 기반) 소셜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이 주된 관심사이다. 현대의 사용자의 생활에 소셜 네트워킹이 만연해짐에 따라, 많은 사용자는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으로부터의 뉴스, 이벤트, 관심 포인트, 메시징 및 다른 소셜 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에 배타적으로 의존한다; 사용자는 인터넷으로의 그들의 포털뿐 아니라 그들 자신의 개인 생활의 관리로서 소셜 네트워크에 의존한다. 특정한 구현으로, 소셜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은 VPN 터널 또는 "상시접속(always on)" TCP/IP 연결을 통해 알림 채널을 유지하여 사용자가 즉시 관련 소셜 데이터를 통보받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예컨대 소셜 네트워킹 웹사이트로서 구현되는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은 통신을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장치로 푸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셜 네트워크는 가령 친구관계, 혈연관계, 공통 관심사, 재정적 교환, 반감(dislike) 또는 믿음 관계와 같은 하나 이상의 상호의존 또는 관계 유형, 지식, 명성(prestige)으로 연결되는, 가령 개인들 또는 단체들과 같은 엔티티들로 구성된 사회적 구조이다. 최근 수년 이상 동안, 소셜 네트워크는 인터넷을 이용해왔다. 소셜 네트워킹 웹사이트의 형태로 인터넷에 존재하는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들이 있다. 이런 소셜 네트워킹 웹사이트는 통상 웹사이트 사용자들로 불리는 회원들이 다양한 소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www.facebook.com에서 페이스북(Facebook, Inc.)에 의해 운영되는 소셜 네트워킹 웹사이트는 사용자들이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또는 블로그 게시를 통해 친구들과 통신하거나, 소셜 이벤트를 준비하거나, 사진을 공유하거나, 친구들의 소식이나 관심 이벤트를 수신하거나, 게임을 하는 것 등을 가능하게 한다.
가령, 예로서 제한 없이, 시스템 업데이트 메시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메시지, 광고, 경보, 사용자 계정 알림, 소셜 네트워킹 메시지, 서비스 동의 업데이트 또는 다른 타입의 통신의 조합과 같이, 클라이언트 장치로 푸싱될 수 있는 다양한 타입의 통신이 있다. 각각의 알림의 컨텐츠는 변할 수 있다. 종종 알림의 컨텐츠는 사람 또는 비-인격 엔티티(예컨대, 단체, 위치, 제품,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영화, 주제 등)일 수 있는 엔티티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알림은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예컨대, 소셜 정보나 소셜 연결에 대한 알림)으로부터 또는 제3자(예컨대, 제3자의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알림)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알림 채널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위해서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전체로서 통합되고 2011년 4월 28일에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Managing Notifications Pushed to User Devices"인 공유의 미국특허출원번호 13/096,184를 참조하자.
가령 소셜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과 상술한 소셜 네트워킹 알림 채널과 같은 다양한 비-브라우저-기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종종 그들이 캡티브 포털의 월드 가든에 트랩되어 있는지를 인지하지 못한다. 그 결과, 사용자들은 가령 알림 채널을 통한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으로부터 알림과 같이 비-브라우저-기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중요한 정보를 놓칠 수 있다.
도 1a는 다중-인터페이스 모바일 장치(105)를 위한 예시적인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을 도시한다. 모바일 장치(105)는 RF 송수신기 타워(104)를 통해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102)와 통신하고, 무선 접속점, 라우터 또는 리피터(미도시)를 통해 무선 LAN(103)으로 통신하기 위한 다중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102)는 GSM 기반 네트워크(예컨대, GPRS, EDGE, UMTS, HDSPA/HSUPA, LTE, 3GPP, 3GPP2), CDMA-기반 네트워크(CDMA2000, WCDMA, EVDO, LTE 등) 또는 임의의 적절한 셀룰러 데이터 연결일 수 있다. WLAN(103)은 IEEE 802.11, Wi-Fi LAN, 802.16 WiMAX LAN 또는 임의의 적절한 WLAN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모바일 장치(105)는 가령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초광대역(Ultrawideband) 개인 영역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다른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모바일 장치(105)는 다양한 대도시권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고려한다.
모바일 장치(105)는 인터넷(101) 및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102)나 무선 LAN(103) 중 하나를 통해 각 서비스에 대한 로컬 브라우저나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다양한 제3자 서버(100A-100D)와의 연결을 유지한다. 예컨대, 정상 동작하에서, 모바일 장치(105)는 그 캐리어의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102)와 인터넷(101)을 통해 모바일 장치에 상주하는 소셜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에서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 서버(100A)로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대로, 이런 연결은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으로부터 중요한 업데이트와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상시접속 알림 채널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바일 장치(105)는 예컨대 Pandora, YouTube, Spotify 또는 Slacker Radio과 같은 스트리밍 오디오 애플리케이션 사이에 동일한 경로를 통해 스트리밍 음악이나 비디오를 수신하는 스트리밍 컨텐츠 서버(100B)로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모바일 장치(105)는 모바일 장치(105)상에 상주하는 채팅 클라이언트와 가령 Google Talk, AOL Instant Messenger, Jabber, ICQ, Yahoo! Messenger 등과 같은 메시징 서버(100C) 사이의 연결을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102)를 통해 유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인터넷(101)을 통해 모바일 장치(105)로의 패킷을 전송하고 수신하는 임의의 적절한 서버(100D)를 고려한다.
특정한 상황으로, 모바일 장치(105)는 (물리적 매체(104a)를 통해)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104)에서 (물리적 매체(103a)를 통해) 무선 LAN(103)으로 전환(switch over)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모바일 장치(105)는 사정거리 내에서 임의의 무선 네트워크와 자동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로, 모바일 장치(105)는 다수의 성능 인자(performance factors)를 기초로 무선 LAN(103)으로 전환한다. 예컨대, 모바일 장치(105)는 신호 강도가 기결정된 임계치 초과인 경우에만 또는 WLAN이 특정 대역폭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WLAN(103)과 연결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모바일 장치(105)는 배터리 수명을 보존하기 위해 또는 데이터 과잉 청구를 회피하기 위해 WLAN(103)과 자동 연결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모바일 장치(105)는 단지 명시적인 사용자 지시 이후에만 WLAN(103)과 연결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이용가능한 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고려한다.
도 1b는 모바일 장치(105)가 모바일 IP를 이용하는 예외를 가지는 도 1a와 동일한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1에서, 모바일 장치(105)는 무선 연결들(104a 및 103a)을 별도로 관리했다; 모바일 장치(105)는 2개의 개별 IP 주소와 인터넷(101)으로의 연결을 획득한다. 따라서, 모바일 장치(105)가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102)에서 무선 LAN(103)으로 전환할 때, 데이터의 "핸드오프(handoff)"는 없다; 애플리케이션은 서버(100A-100D)와 재-인증해야한다. 특정 실시예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균일하게 사용자 상호작용 없이 이런 재-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소셜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은 WLAN(103)과의 연결 후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 서버(100A)와의 초기 통신으로, 가령 소셜 네트워킹 사용자 식별자 및 패스워드와 같은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 서버(100A)는 MAC 인증을 수행한다; 착신 패킷이 모바일 장치에서 비롯되는 한, IP 주소와 관계없이,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은 모바일 장치(105)에 의한 요청에 응답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의 구성에서, IP 주소의 변화는 모바일 장치(105)상에 상주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다루어진다; 모바일 장치(105)가 WLAN(103)과 연결하는 경우 데이터의 "핸드오프"는 없다.
도 1b는 WLAN(103)과 연결할 때 트래픽 오프로딩을 위해 모바일 IP를 이용하는 모바일 장치를 도시한다. 도 1b가 모바일 IP 핸드오프를 기술하지만, 다른 IP-기반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예컨대, SIP-기반 이동성 관리)이 유사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동성 서비스 제공자(106)는 예컨대 셀룰러 서비스 제공자, 홈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와 같은 모바일 장치(105)의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임의의 엔티티일 수 있다. 셀룰러 네트워크(102)는 표준 IP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직접 이동성 서비스 제공자(106)와 연결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모바일 장치(105)가 셀룰러 네트워크(102)에서 WLAN(103)으로 이동할 때, 모바일 장치(105)는 모바일 장치가 새로운 네트워크로부터 IP 패킷을 수신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로컬 IP 주소를 획득한다. 모바일 장치(105)는 모바일 IP 보조 주소(care of address, CoA)로서 새로운 로컬 IP 주소를 사용하며, 모바일 IP를 사용하여 모바일 IP 홈 에이전트(107)에 새로운 CoA를 등록한다. 이를 통해 모바일 장치(105)는 모바일 장치(105)의 이동성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106)로 패킷을 송신할 수 있는 임의의 이동단 또는 고정단에 의해 송신된 모바일 IP 홈 주소로 어드레싱된 IP 패킷을 계속하여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5)의 홈 주소로 어드레싱된 사용자 IP 패킷은 이런 패킷을 모바일 장치(105)의 현재 CoA로 터널링(tunnel)하는 모바일 IP 홈 에이전트(107)로 라우팅될 수 있다. 3GPP Release 8은 3G와 Wi-Fi 사이의 균일한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는 DSMIP(dual stack mobile IP)를 도입한다. 이런 기술은 해당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더 논의하지 않는다.
모바일 장치(105)가 (도 1a에서와 같은) 균일한 핸드오프 또는 (도 1a에서와 같은) 2개의 별개의 연결을 이용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WLAN(103)을 통한 인터넷(101)으로의 실질적으로 즉각적인 연결이 가령 핸드오프를 통해 기능하는 소셜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 및 채팅 클라이언트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에게 요구된다. 캡티브 포털에 의한 패킷 재지정으로 인한 중단(즉, 월드 가든에 트랩되는 것)은 종종 모바일 장치(105)의 사용자가 핸드오프의 시점에 브라우저를 통해 웹 서핑중이지 않다는 사실로 인해 그들이 모르는 사이에, 사용자에 대한 연결의 전체 손실로 이어진다.
도 2는 캡티브 포털(본 명세서에서는 "캡티브 포털 상태"(208)라고 함)의 월드 가든에 트랩된 모바일 장치(105)로 인해 데이터 연결의 손실로 이어지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단계 201에서, 모바일 장치(105)는 범위 내에 Wi-Fi 네트워크가 없는 곳에서만 셀룰러 데이터 모드로 동작한다. 단계 202에서, 모바일 장치(105)를 동작하는 사용자는 예컨대 호텔, 공항 터미널, 커피점 등과 같은 Wi-Fi 핫스팟의 커버리지로 진입한다.
단계 203에서, 모바일 장치는 Wi-Fi 핫스팟에 자동으로 연결한다. 자동 연결은 대부분 캡티브 포털 상태(208)로 이어지지만, 모바일 장치(105)는 또한 심지어 사용자가 Wi-Fi 핫스팟에 연결하는 지시를 명시적으로 내는 경우에도 캡티브 포털 상태(208)로 종료할 수 있다. 예컨대, 캡티브 포털을 구현하는 Wi-Fi 네트워크는 거의 배타적인 공중 비암호화된 WLAN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WLAN이 완전 인터넷 접속을 제공한다는 신뢰하에 WLAN에 연결할 수 있는 반면, 사용자의 장치는 실제로 캡티브 포털 상태(208)로 트랩된다.
단계 204-205에서, 모바일 장치(105)는 캡티브 포털 상태(208)로 여전히 트랩되어 있다. 모바일 장치(105)에서 인터넷으로 어드레싱된 패킷은 WLAN에 의해 포워딩되지 않는데, 그 디폴트 게이트웨이 또는 웹 서버는 모바일 장치(105)에 포털 웹 페이지에 대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HTTP 응답을 계속하여 퍼붓는다. 비-브라우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런 HTTP 응답을 예상하지 못하거나 렌더링할 수 없기 때문에, 이들은 통상 패킷을 드롭(drop)하고, 사용자는 무한정 캡티브 포털 상태(208)에 남아있을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장치(105)의 사용자가 브라우저 윈도우를 오픈하고 포털 페이지로 향하지 않거나 그들의 다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것도 업데이트를 수신중이 아니라고 알아채지 않으면, 사용자는 그들이 캡티브 포털 상태(208)로 트랩되어 있음을 결코 인식할 수 없다.
사용자가 결국 알아채서 모바일 장치(105)의 웹 브라우저를 오픈하면, 단계 206에서 사용자는 가령 사용자 이름, 패스워드, 결제 정보, 홍보 코드, 서비스 조건에의 동의 등과 같은 인증 크리덴셜(authentication credentials)을 캡티브 포털에 제공하며, 단계 207에서 데이터 연결이 Wi-Fi 연결을 통해 회복된다.
도 3은 특정 실시예의 캡티브-포털-상태 검출 및 회피 기능을 구현하는 모바일 장치상에 상주하는 예시적인 소프트웨어 모듈을 도시한다. 모바일 장치(300)는 연결 관리자 애플리케이션(301) 및 인터넷 연결이 필요한 다양한 사용자 애플리케이션(307)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대로, 애플리케이션(307)은: 웹 브라우저(308), 소셜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309), (소셜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309)의 구성요소일 수 있는) 소셜 네트워킹 알림 채널(309a), VoIP(voice-over-IP) 애플리케이션(310) 또는 스트리밍 비디오 애플리케이션(311)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애플리케이션(312)을 고려한다.
연결 관리자(301)는 제3자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거나, 더 일반적으로는 모바일 장치(300)의 운영 시스템에 내장될 수 있다. 연결 관리자(301)는 이용가능한 Wi-Fi 네트워크를 활발히 탐색하는 Wi-Fi 리스너 모듈(listener module)(302)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로, Wi-Fi 리스너 모듈(302)은 기결정된 간격으로 탐색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기결정된 간격은 모바일 장치(300)의 위치, 배터리 수명 및 다른 인자를 기초로 조정된다.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Wi-Fi 리스너 모듈(302)을 고려한다.
연결 관리자(301)는 2개의 연결 상태 추적기, 셀룰러 데이터 연결 상태 추적기(303) 및 Wi-Fi 연결 상태 추적기(304)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관련 무선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를 각각 관리한다. 연결 관리자(301)는 가령 Bluetooth, WiMax 등과 같이 다양한 무선 인터페이스에 대한 임의의 수의 연결 상태 추적기를 구비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Wi-Fi 연결 상태 관리자(304)는 WPA 서브시스템(305) 및 설정 파이프라인(Configuration pipeline)(306)을 포함한다. WPA 서브시스템(305)은 암호화, 인증 등을 포함하는 소정의 Wi-Fi 네트워크의 물리적 무선 매체와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특정 실시예로, WPA 서브시스템(305)은 모바일 장치(300)용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에 포함될 수 있다. 설정 파이프라인(306)은 사용을 위해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여러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로, WLAN은 설정 파이프라인(306)의 모든 프로세스(306a-306c)가 성공적으로 실행을 완료할 때까지 "사용 준비(ready for use)"로 간주되지 않는다.
DHCP 프로세스(306a)는 동적 호스트 설정 프로토콜(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을 구현하고 WLAN으로부터 IP 주소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DHCP는 해당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더 기술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로, 설정 파이프라인(306)은 WISPr(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er roaming)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WISPr은 셀룰러폰 사용자가 캐리어 사이를 로밍하게 하는데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사이를 로밍하게 한다. RADIUS 서버는 가입자의 크리덴셜을 인증하는데 사용된다. 특정 실시예로, WISPr은 XML-기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에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핫스팟의 RADIUS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캡티브 포털과 상호작용할 필요가 없도록 해준다. 그러나, 이런 실시예에서, WLAN 그 자체와의 연결 문제가 심지어 WLAN이 모바일 장치를 인증한 후에도 서비스 중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설정 파이프라인(306)은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다른 프로세스를 지원한다. 예컨대, 파이프라인(306)은 이전에 사용된 인증 크리덴셜 또는 쿠키를 저장하는 스마트 클라이언트(smart client)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파이프라인(306)은 IRAP(International Roaming Access Protocols)를 구현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설정 파이프라인(306)에서의 실행을 위한 임의의 수의 적절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를 고려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 파이프라인(306)은 Wi-Fi 연결 상태 추적기(304)가 "완전 연결(fully connected)" 무선 연결을 고려하기 전에 성공적으로 실행되어야 하는 순차적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예컨대, 통상 모바일 장치가 Wi-Fi 네트워크에 연결할 때, 모바일 장치는 DHCP 프로세스(306a)를 통해 IP 주소를 획득하고, WISPr을 통해 필요한 임의의 인증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특정 실시예로, 캡티브 포털 체크 프로세스(306c)는 설정 파이프라인(306)의 말단에 첨부된다. 하기에 더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캡티브 포털 체크 프로세스(306c)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이 캡티브 포털 상태에 있는지를 검출한다. Wi-Fi 연결 상태 추적기(304)는 캡티브 포털 체크 프로세스(306c)가 캡티브 포털 상태를 검출한다면 장치를 WLAN으로 "완전 연결"로 간주하지 않는다.
도 4는 듀얼-인터페이스 모바일 장치(300)에 대해 캡티브 포털 상태를 검출하고 회피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이 방법은 단계 401에서 시작할 수 있는데, 여기서 모바일 장치(300)는 가령 네트워크(102)와 같은 그 캐리어의 셀룰러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과 연결한다. 단계 402에서, Wi-Fi 리스너(302)는 상술한 바대로 이용가능한 Wi-Fi 네트워크를 활발히 탐색한다. 네트워크가 발견되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기결정된 시간 후에 또는 Wi-Fi 리스너(302)의 정책에 따라 402로 루프백한다. Wi-Fi 네트워크가 검출되면, 프로세스는 단계 403으로 진행한다.
단계 403에서, 모바일 장치(300)는 설정 파이프라인(306)에서 개별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검출된 Wi-Fi 네트워크 중 하나와 연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300)는 검출된 Wi-Fi 네트워크와 자동으로 또는 명시적인 사용자 지시에 응답하여 연결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모바일 장치는 이용가능한 Wi-Fi 네트워크를 순위화 또는 점수화하고, 모바일 장치가 "최상"의 네트워크로 간주하는 네트워크와 자동 연결한다. 특정 실시예로, 모바일 장치는 이용가능한 Wi-Fi 네트워크를 순위화 또는 점수화하고, 사용자가 명시적인 연결 지시를 내리도록 분류된 네트워크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로, 모바일 장치(300)는 셀룰러 데이터 연결(102a)을 통해 외부 노드로부터 Wi-Fi 네트워크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장치(300)는 요청을 이용가능한 네트워크의 SSID들과 그 물리적 위치를 가진 제3자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제3자 서버는 다른 사용자의 보고된 경험을 기초로 각각의 식별된 Wi-Fi 네트워크에 대한 점수를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바일 장치(300)가 특정 Wi-Fi 네트워크와 연결할 때, 모바일 장치(300)는 가령 대역폭, 지연시간, 네트워크상의 장치의 수 등과 같은 성능 지표 또는 네트워크 품질의 사용자가 기재한 설문조사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런 실시예에서, Wi-Fi 네트워크의 평가 및 차후 순위화는 크라우드-소싱 데이터(crowd-sourced data)를 기초로 한다. 본 명세서는 Wi-Fi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그와 연결하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고려한다. 단계 403에서, 모바일 장치(300)는 DHCP 프로세스(306a)를 통한 IP 주소의 획득 및 WISPr 프로세스(306b)를 통한 임의의 일체형 인증을 포함하는 설정 파이프라인(306)의 거의 최종 단계를 실행한다. 단계 403-406 중에, 모바일 장치(300)는 셀룰러 데이터 네트워크(102)를 통해 공중 IP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연결을 유지한다.
단계 404에서, 모바일 장치(300)는 설정 파이프라인(306)에서 캡티브 포털 체크(306c)를 실행한다. 캡티브 포털 체크(306c)는 도 5를 참조로 더 상세히 기술된다. 모바일 장치(300)가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캡티브 포털로 연결된다고 캡티브 포털 체크 프로세스(306c)가 판단하면, 프로세스는 단계 405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단계 406으로 이동하는데, 여기서 모바일 장치(300)는 연결된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공중 IP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시작한다. 모바일 장치(300)가 모바일 IP를 이용하는 실시예에서, 이런 핸드오버는 Wi-Fi 네트워크(103)를 통해 새로운 CoA를 홈 에이전트(107)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 405에서, Wi-Fi 연결이 캡티브 포털 상태에 있다(즉, 캡티브 포털의 월드 가든에 트랩되어 있다)고 검출하면, 모바일 장치(300)는 브라우저 윈도우를 생성하고 캡티브 포털로부터 포털 페이지를 다운로드한다. 특정 실시예로, 모바일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모든 비-캡티브 포털 트래픽은 모바일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계속하여 전송되고 수신되며 중단되지 않는다. 예컨대, 사용자가 WiFi 연결 부재 영역에서 WiFi 커버리지를 가진 WiFi 영역으로 이동할 때 채팅 세션에서 참여하고 있다면, 데이터는 트래픽이 오프로딩될 때까지 모바일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장치와 채팅 서버 사이에서 계속 이동한다. 특정 실시예로, 모바일 장치(300)에 의해 생성된 브라우저 윈도우는 추가의 커스텀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생성된 브라우저 윈도우는 도 7을 참조로 더 상세히 기술된다. 단계 405에서 모바일 장치(300)는 2개의 동시의 무선 연결 및 2개의 IP 주소(하나는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102)용이고 하나는 Wi-Fi 네트워크(103)용)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모바일 장치(300)는 부정확한 전달을 방지하기 위해 생성된 브라우저 윈도우를 Wi-Fi 인터페이스로 바인딩한다. 따라서, 브라우저 윈도우에 의해 생성된 모든 HTTP 요청, HTTP 응답, DNS 요청/응답 또는 다른 오픈-소켓 연결은 Wi-F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도록 강제된다. 특정 실시예로, 이런 바인딩은 생성된 브라우저 윈도우의 브라우저 스택을 수정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생성된 브라우저 윈도우에서 Wi-Fi 인터페이스로 모든 트래픽을 인도하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고려한다.
단계 406에서, 사용자는 인증 크리덴셜을 입력하도록 생성된 브라우저 윈도우와 상호작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증 크리덴셜은 사용자명/패스워드, 결제 정보 및 홍보 코드로부터 단지 Wi-Fi 네트워크 제공자의 서비스 조건에의 동의까지 다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캡티브 포털 컨텐츠에서 "제출(submit)" 또는 "들어가기(go)" 버튼을 클릭할 때, 인증 크리덴셜은 확인을 위해 캡티브 포털로 제출된다. 인증 크리덴셜이 유효하다면, 캡티브 포털은 구현에 따라 ACK를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른 구현으로, 캡티브 포털은 단순히 모바일 장치(300)에 인터넷 접속을 승인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제출된 인증 크리덴셜이 유효하다는 확인응답을 수신하자마자, 모바일 장치(300)는 단계 408로 진행하고 트래픽을 Wi-Fi 연결로 오프로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실시예에서, 공중 IP 네트워크로의 캡티브 포털의 연결이 오작동한다면 사용자 서비스 중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로, 유효한 인증 크리덴셜을 제출한 후, 프로세스는 단계 404의 캡티브 포털 상태 체크로 되돌아가서 Wi-Fi 연결이 공중 IP 네트워크에 이를 수 있음을 보장한다.
단계 408에서, 모바일 장치(300)는 데이터 트래픽을 Wi-Fi 연결(103a)로 오프로딩한다. 특정 실시예로, 모바일 장치(300)는 데이터 트래픽의 단지 일부만을 Wi-Fi 연결(103a)로 오프로딩할 수 있다. 예컨대, DSMIP는 애플리케이션-기반 오프로딩을 허용하므로, 대역폭-집약형 애플리케이션이 더 높은 대역폭 네트워크로 오프로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DSMIP는 더 적은 지연시간을 경험하는 네트워크로 지연시간에 민감한 트래픽이 아닌 트래픽만을 오프로딩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트래픽 오프로딩은 흐름-기반(flow-based)일 수 있다. 예컨대, 3GPP release 10은 단일의 HoA로 다수의 로컬 CoA들을 등록하고 다른 IP 흐름(예컨대, http, 비디오, VoIP 등)을 다른 CoA 또는 HoA로 직접 바인딩하는 능력을 도입했다. 따라서, 가령 VPN 또는 비디오 트래픽과 같은 일부 트래픽은 모바일 장치(300)의 HA(107)에 고정될 수 있는 한편, 일부 트래픽은 가령 HTTP와 같이 WLAN을 횡단할 필요없이 WLAN으로 전부 오프로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Wi-Fi 인터페이스로 모바일 장치(300)의 데이터 트래픽의 전부나 일부를 오프로딩하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고려한다.
특정 캡티브 포털은 캡티브 포털 상태로 다시 되돌아갈 수 있고 기결정된 시간 이후 연결된 장치를 월드 가든으로 강등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핫스팟으로의 1시간 패스를 구매하면, 캡티브 포털은 1시간 패스의 만료시 패킷 재지정을 다시 초기화하여, 사용자가 추가 시간을 구매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많은 사용자가 웹 브라우징과는 다른 목적으로 인터넷으로의 데이터 연결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그들의 장치가 인터넷 연결을 상실했는지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로, 모바일 장치(300)는 단계 404의 캡티브 포털 상태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404에서 캡티브 포털 상태 체크를 통과하면, 또는 대안으로 단계 408에서 트래픽을 Wi-Fi 인터페이스로 오프로딩하면, 모바일 장치(300)는 다음 캡티브 포털 상태 체크까지 시간을 표시하는 타이머를 시작한다. 타이머가 단계 409에서 만료하면, 프로세스는 단계 404로 돌아가고 캡티브 포털 상태 체크를 수행한다.
도 4의 단계는 모바일 장치(300)가 예컨대 사용자가 Wi-Fi 핫스팟의 커버리지를 벗어남으로 인해 Wi-Fi 연결을 완전히 상실하면 임의의 순간에 중단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이런 상황에서, 모바일 장치(300)는 모든 데이터 트래픽을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다시 이동시켜야 함이 동일하게 명백하다.
본 명세서가 특정한 순서로 발생하는 것으로 도 4의 방법의 특정 단계를 기술하고 도시하지만,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발생하는 도 4의 방법의 임의의 적절한 단계를 고려한다. 게다가, 본 명세서는 도 4의 방법의 특정 단계를 수행하는 특정 구성요소를 기술하고 도시하지만, 본 명세서는 도 4의 방법의 임의의 적절한 단계를 수행하는 임의의 적절한 구성요소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고려한다.
도 5는 캡티브 포털 상태를 검출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특정 실시예로, 도 5의 방법은 설정 파이프라인(306)에서 캡티브-포털-상태 검출 프로세스(306c)로 구현된다. 특정 실시예로, 모바일 장치(300)는 설정 파이프라인(306)에서 다른 불필요한 프로세스를 건너뛸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장치가 기존의 Wi-Fi 연결을 위해 (단계 409에서와 같이) 캡티브-포털-상태 체크를 주기적으로 수행할 때, DHCP 프로세스(306a) 또는 WISPr 인증(306b)을 수행할 필요는 없다. 특정 실시예로, 완전한 설정 파이프라인(306)은 단지 Wi-Fi 네트워크로의 제1 연결시에만 실행된다.
이 방법은 단계 501에서 시작할 수 있는데, 여기서 모바일 장치는 기결정된 세트의 규칙이나 내부 타이머를 기초로 모바일 장치가 캡티브 포털 상태에 있는지를 체크하도록 결정한다. 단계 502에서, 모바일 장치(300)는 인터넷의 외부 노드로 연결성 체크를 전송한다. 특정 실시예로, 연결성 체크는 가령 www.facebook.com과 같이 잘 알려진 도메인으로의 연결성 체크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외부 노드는 가령 Akamai와 같이 분배형 컨텐츠 전달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서버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연결성 체크는 핑 요청(ping request)만큼 간단한 것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연결성 체크는 응답에 포함되는 특정 식별자를 요청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응답은 고유의 캐시 불가능한(non-cacheable)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연결성 체크 요청 또는 응답 메시지를 고려한다.
단계 503에서, 모바일 장치(300)는 연결성 체크 메시지의 전송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타이머를 시작한다. 특정 실시예로, 타이머는 예컨대 400ms와 같은 기결정된 타임아웃 지속시간으로 시작하는 카운트다운 타이머(countdown timer)일 수 있다. 연결성 체크 응답 메시지가 타이머의 만료 이전에 수신된다면(단계 504), 단계 505에서 모바일 장치는 방법이 종료할 수 있는 어느 지점에서 Wi-Fi 연결이 캡티브 포털 상태에 있지 않다고 결정한다. 반면에, 타임아웃이 만료하지 전 어떤 응답도 수신되지 않는다면, 모바일 장치(300)는 방법이 종료할 수 있는 어느 지점에서 Wi-Fi 연결이 캡티브-포털 상태에 있다고 식별한다(단계 506).
본 명세서가 특정한 순서로 발생하는 것으로 도 5의 방법의 특정 단계를 기술하고 도시하지만,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발생하는 도 5의 방법의 임의의 적절한 단계를 고려한다. 게다가, 본 명세서는 도 5의 방법의 특정 단계를 수행하는 특정 구성요소를 기술하고 도시하지만, 본 명세서는 도 5의 방법의 임의의 적절한 단계를 수행하는 임의의 적절한 구성요소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고려한다.
도 6은 상태 다이어그램으로 도 4 및 5의 방법을 도시한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듯이, 도 4의 방법은 오직 한 번 실행되는 단순 루팅이 아니라 Wi-Fi 연결뿐 아니라 Wi-Fi 네트워크를 통한 공중 IP 네트워크 접속 모두를 연속하여 모니터한다.
도 6의 상태 다이어그램은 4개의 상태를 포함한다. S0 상태에서, 모바일 장치(300)는 단지 셀룰러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중 IP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이 상태 동안, 모바일 장치(300)의 Wi-Fi 리스너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탐색 메시지(probe message)를 전송하거나 방송 SSID를 검색하여 이용가능한 Wi-Fi 네트워크를 주기적으로 체크한다. 어떤 네트워크도 발견되지 않으면, 모바일 장치(300)는 S0 상태에 체류한다. 네트워크가 발견된다면, 모바일 장치(300)는 네트워크와 연결하고 S1 상태로 이행한다.
S1 상태에서, 모바일 장치(300)는 캐리어의 무선 셀룰러 데이터 네트워크뿐 아니라 검출된 Wi-Fi 네트워크로 연결되나, 어떤 트래픽도 Wi-Fi 인터페이스로 오프로딩하지 못한다. S1에서, 모바일 장치(300)는 도 5의 캡티브 포털 상태 체크를 수행하여 모바일 장치가 캡티브 포털의 월드 가든에 트랩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렇지 않다면, 모바일 장치는 상태 S3으로 이행한다. 모바일 장치(300)가 그 Wi-Fi 연결이 캡티브 포털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면, 모바일 장치는 상태 S2로 이행한다.
상태 S3에서, 모바일 장치(300)는 (상술한 바대로) 트래픽의 일부나 전부를 Wi-Fi 네트워크로 이동시킨다. 추가로, 모바일 장치(300)는 만료시 또 다른 캡티브 포털 상태 체크를 수행하도록 신호를 보내는 타이머를 개시한다.
상태 S2에서, 모바일 장치(300)는 Wi-Fi 인터페이스로 바인딩되고 연결된 캡티브 포털로부터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브라우저 윈도우를 생성한다.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인터넷 접속에 대해 비용을 지불하지 않으려 한다면, 사용자는 Wi-Fi를 사용하는 것보다 셀룰러 네트워크에 머무르도록 단순히 선택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야 한다. 이런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도 7을 참조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Wi-Fi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것을 거부하는 경우, 모바일 장치(300)는 S0 상태로 되돌아가고 사용자에 의해 거부된 네트워크 이외의 네트워크들을 주기적으로 스캔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실시예로, 임의의 S1, S2 또는 S3 상태에서, 모바일 장치(300)가 Wi-Fi 연결을 상실하면, 모바일 장치(300)는 단순히 모든 트래픽을 무선 셀룰러 무선 인터페이스로 다시 이동시키며, S0 상태로 되돌아간다.
도 7은 캡티브 포털 상태의 검출(도 4의 단계 405 또는 도 6의 S2 상태)에 응답하여 생성된 브라우저 윈도우(701)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장치(300)를 도시한다. 특정 실시예로, 브라우저 윈도우(701)는 모바일 장치(300)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702) 및 캡티브 포털의 게이트웨이나 서버로부터 획득된 컨텐츠 영역(706)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로, 모바일 장치(300)는 컨텐츠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어떤 컨트롤(control)을 가지지 않는다; 모바일 장치는 단지 캡티브 포털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 렌더링한다.
특정 실시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702)은 무선 네트워크의 이름(이 경우, "Boingo HotSpot")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로, 그 이름은 네트워크 SSID이다. 특정 실시예로, 네트워크의 이름은 SSID 및 모바일 장치(300)의 위치를 기초로 제3자 서비스로부터 획득된다. 본 명세서는 현재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고려한다. 특정 실시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702)은 또한 해제 버튼(dismiss button)(703)을 포함한다. 이런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해제 버튼(703)을 선택하면, 모바일 장치는 브라우저 윈도우(702)를 닫고 무선 셀룰러 인터페이스상에 모든 데이터 트래픽을 남겨 둔다. 특정 실시예로, 해제 버튼(703)을 선택하면, 모바일 장치는 이용가능한 네트워크의 리스트에서 현재 네트워크를 제거한다. 특정 실시예로, 모바일 장치(300)는 장래에 임의의 해제된 네트워크와 연결하지 않을 것이다. 특정 실시예로, 해제 버튼(703)을 선택하면, 모바일 장치(300)는 가령 "다시는 이 네트워크로 본인을 프롬프트하지 않기(do not prompt me for this network again)"와 같이 현재 네트워크에 관한 잠재적 행위의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명세서는 브라우저 윈도우(701)를 해제 또는 폐쇄하거나 네트워크-기반 정책을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에 적용하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을 고려한다. 특정 실시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702)은 또한 표준 네비게이션 바(704) 및 "GO" 버튼(705)을 포함한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바(704)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URL을 디스플레이하는 한편, "go" 버튼(705)은 URL에 대한 http 요청을 네비게이션 바(704)에 제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영역(706)은 단지 캡티브 포털로부터 획득된 컨텐츠, 일반적으로 캡티브 포털의 게이트웨이에 또는 캡티브 포털과 연결된 개별 서버에 로컬 저장된 html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로서, 도 7은 이름, 성, 신용카드 번호, 만료일 및 청구서 발송주소를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 결제 프로세싱을 위한 다수의 필드를 포함하는 컨텐츠 영역(70) 내 캡티브 포털 페이지를 도시한다. 특정한 구현으로, 캡티브 포털 페이지는 단지 사용자가 무선 네트워크 제공자의 서비스/사용 조건에 동의함을 표시하는 단일의 버튼을 가진 한 세트의 조건 및 상태를 리스팅할 수 있다. 훈시적 목적으로, 컨텐츠 영역(706)은 또한 선택시 사용자의 신용카드로 디스플레이된 양을 청구하고 디스플레이된 지속시간 동안 모바일 장치(300)에 공중 IP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승인하는 다양한 접속 옵션(707, 708 및 709)을 포함한다. 성공적인 인증 후, 캡티브 포털은 사용자에게 인터넷으로의 접속을 승인할 수 있고, 모바일 장치(300)는 데이터 트래픽의 일부나 전부를 Wi-Fi 네트워크로 오프로딩하기 전에 연결성 체크(단계 404 및 S1 상태)의 수행을 진행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는 네트워크 환경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환경(800)을 도시한다. 네트워크 환경(800)은 하나 이상의 서버(820) 및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830)를 서로 결합하는 네트워크(810)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로, 네트워크(810)는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가상 사설 네트워크(VPN), 근거리 네트워크(LAN), 무선 LAN(WLAN), 광역 네트워크(WAN), 대도시 네트워크(MAN), 인터넷의 일부나 또 다른 네트워크(810), 또는 2 이상의 이런 네트워크(810)들의 조합이다.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합한 네트워크(810)를 고려한다.
하나 이상의 링크(850)는 서버(820)나 클라이언트(830)를 네트워크(810)와 연결한다. 특정 실시예로, 하나 이상의 링크(850)는 하나 이상의 유선, 무선 또는 광 링크(850)를 각각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로, 하나 이상의 링크(850)는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VPN, LAN, WLAN, WAN, MAN, 인터넷의 일부나 또 다른 링크(850), 또는 2 이상의 이런 링크(850)들의 조합을 각각 포함한다. 본 명세서는 서버(820)와 클라이언트(830)를 네트워크(810)와 연결하는 임의의 적합한 링크(850)를 고려한다.
특정 실시예로, 각 서버(820)는 일체형 서버(unitary server)일 수 있거나, 다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데이터센터에 걸쳐 있는 분산형 서버일 수 있다. 서버(820)는 예로서 제한 없이, 웹 서버, 뉴스 서버, 메일 서버, 메시지 서버, 광고 서버, 파일 서버, 애플리케이션 서버, 교환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또는 프록시 서버와 같이, 다양한 타입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각 서버(820)는 서버(820)에 의해 구현되거나 지원되는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임베디드 논리 소자 또는 2 이상의 이런 소자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웹 서버는 일반적으로 웹페이지를 포함하는 웹사이트 또는 웹페이지의 특정 요소를 호스팅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웹 서버는 HTML 파일이나 다른 파일 타입을 호스팅할 수 있거나, 요청시 파일을 동적으로 생성하거나 구축하고 이를 클라이언트(830)로부터의 HTTP 또는 다른 요청에 응답하여 클라이언트(830)로 통신할 수 있다. 메일 서버는 일반적으로 전자 메일 서비스를 다양한 클라이언트(83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스토어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소셜 네트워킹 웹사이트를 구현하는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822)은 하나 이상의 서버(820)상에 호스팅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저장소(840)는 하나 이상의 링크(85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서버(820)로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데이터 저장소(840)는 다양한 타입의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데이터 저장소(840)에 저장된 정보는 특정 데이터 구조에 따라 조직화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각 데이터 저장소(840)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는 서버(820)나 클라이언트(830)가 데이터 저장소(840)에 저장된 정보를, 예컨대 검색, 수정, 추가 또는 삭제와 같이,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각 클라이언트(830)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임베디드 논리 소자 또는 2 이상의 이런 소자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클라이언트(830)에 의해 구현되거나 지원되는 적절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식 장치일 수 있다. 예로서 제한 없이, 클라이언트(830)는 데스크톱 컴퓨터 시스템, 노트북 컴퓨터 시스템, 넷북 컴퓨터 시스템, 휴대용(handheld) 전자식 장치 또는 모바일 전화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클라이언트(830)를 고려한다. 클라이언트(830)는 클라이언트(830)에서의 네트워크 사용자가 네트워크(83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830)는 그 사용자가 다른 클라이언트(830)에서의 다른 사용자들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830)는, 가령 MICROSOFT INTERNET EXPLORER, GOOGLE CHROME 또는 MOZILLA FIREFOX와 같은 웹 브라우저(832)를 가질 수 있고, 가령 TOOLBAR 또는 YAHOO TOOLBAR와 같은 하나 이상의 애드-온(add-ons), 플러그-인(plug-ins) 또는 다른 확장부(extensions)를 가질 수 있다. 클라이언트(830)에서의 사용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웹 브라우저(832)에 대한 다른 주소를 서버(820)로 입력할 수 있고, 웹 브라우저(832)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요청을 생성하고 HTTP 요청을 서버(820)로 통신할 수 있다. 서버(820)는 HTTP 요청을 수락하고, HTTP 요청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 파일을 클라이언트(830)로 통신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830)는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해 서버(820)로부터 HTML 파일에 기초한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웹페이지 파일을 고려한다. 예로서 제한 없이, 웹페이지는 특정한 필요에 따라 HTML 파일, 확장형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XHTML) 파일 또는 확장형 마크업 언어(XML) 파일로부터 렌더링할 수 있다. 또한, 이런 페이지는, 예로서 제한 없이 JAVASCRIPT, JAVA, MICROSOFT SILVERLIGHT, 가령 AJAX(비동기식 JAVASCRIPT 및 XML)와 같은 마크업 언어와 스크립트의 조합과 같은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웹페이지로의 참조는 (브라우저가 웹페이지를 렌더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해당 웹페이지 파일을 포함하며, 적절한 경우, 그 역도 또한 같다.
특정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예시적인 컴퓨터 시스템(900)을 도시한다. 특정 실시예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들(900)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거나 도시된 하나 이상의 방법의 하나 이상의 단계를 수행한다. 특정 실시예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들(900)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거나 도시된 하나 이상의 방법들의 하나 이상의 단계들을 수행하거나, 본 명세서에 기술되거나 도시된 기능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들(900)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수의 컴퓨터 시스템(900)을 고려한다.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물리적 형태를 취하는 컴퓨터 시스템(900)을 고려한다. 예로서 제한 없이, 컴퓨터 시스템(900)은 임베디드 컴퓨터 시스템, 시스템-온-칩(SOC), 단일-보드 컴퓨터 시스템(SBC)(예컨대, 컴퓨터-온-모듈(COM) 또는 시스템-온-모듈(SOM)), 데스크톱 컴퓨터 시스템, 랩톱 또는 노트북 컴퓨터 시스템, 상호작용형 키오스크(kiosk), 메인 프레임, 컴퓨터 시스템 메쉬(mesh), 모바일 전화, 개인 정보 단말기(PDA), 서버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적절한 경우, 컴퓨터 시스템(900)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900)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일체형 또는 분산형일 수 있거나; 다수의 위치에 걸쳐 있거나, 다수의 기계에 걸쳐 있거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하나 이상의 클라우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는 클라우드에 상주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900)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거나 도시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의 하나 이상의 단계를 실질적으로 공간적 또는 시간적 제한 없이 실행할 수 있다. 예로서 제한 없이,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900)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거나 도시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의 하나 이상의 단계를 실시간으로 또는 일괄 모드로 실행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900)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거나 도시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다른 시기에 또는 다른 위치에서 실행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컴퓨터 시스템(900)은 프로세서(902), 메모리(904), 저장소(906),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908), 통신 인터페이스(910) 및 버스(912)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가 특정 배열로 특정한 수의 특정 구성요소를 갖는 특정 컴퓨터 시스템을 기술하고 도시하지만,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구성으로 임의의 적절한 수의 임의의 적절한 구성요소를 갖는 임의의 적절한 컴퓨터 시스템을 고려한다.
특정 실시예로, 프로세서(902)는 가령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명령어와 같은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예로서 제한 없이,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프로세서(902)는 내부 레지스터, 내부 캐시, 메모리(904) 또는 저장소(906)로부터 명령어를 검색(또는 페치(fetch))할 수 있고; 명령어를 디코딩하고 실행한 후; 하나 이상의 결과를 내부 레지스터, 내부 캐시, 메모리(904) 또는 저장소(906)에 기록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프로세서(902)는 데이터용, 명령어용 또는 주소용 하나 이상의 내부 캐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수의 임의의 적절한 내부 캐시를 포함하는 프로세서(902)를 고려한다. 예로서 제한 없이, 프로세서(902)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 캐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캐시 및 하나 이상의 변환 참조 버퍼(translation look-aside buffers, TLBs)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 캐시에서 명령어는 메모리(904) 또는 저장소(906)에서 명령어의 사본일 수 있고, 명령어 캐시는 프로세서(902)에 의해 이들 명령어의 검색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데이터 캐시에서 데이터는 프로세서(902)에서 실행하는 이어지는 명령어에 의해 접근하거나 메모리(904)나 저장소(906)로 기록하기 위해 프로세서(902)에서 실행된 이전 명령어의 결과를 운영하거나; 다른 적절한 데이터를 운영하도록 프로세서(902)에서 실행하는 명령어를 위한 메모리(904)나 저장소(906) 내의 데이터의 사본일 수 있다. 데이터 캐시는 프로세서(902)에 의한 읽기 또는 쓰기 동작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TLB들을 프로세서(902)에 대한 가상-주소 변환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프로세서(902)는 데이터용, 명령어용 또는 주소용 하나 이상의 내부 레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수의 임의의 적절한 내부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프로세서(902)를 고려한다. 적절한 경우, 프로세서(902)는 하나 이상의 산술 논리 유닛(ALUs)을 포함할 수 있거나; 멀티-코어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90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가 특정 프로세서를 기술하고 도시하지만,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프로세서를 고려한다.
특정 실시예로, 메모리(904)는 프로세서(902)가 실행하는 명령어 또는 프로세서(902)가 운영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인 메모리를 포함한다. 예로서 제한 없이, 컴퓨터 시스템(900)은 저장소(906)나 또 다른 소스(가령, 예컨대 또 다른 컴퓨터 시스템(900))에서 메모리(904)로 명령어를 로딩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902)는 메모리(904)에서 내부 레지스터나 내부 캐시로 명령어를 로딩할 수 있다.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프로세서(902)는 내부 레지스터나 내부 캐시로부터 명령어를 검색하고 이들을 디코딩할 수 있다. 명령어의 실행 중 또는 실행 후, 프로세서(902)는 (중간 결과 또는 최종 결과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결과를 내부 레지스터나 내부 캐시로 기록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902)는 하나 이상의 이런 결과를 메모리(904)에 기록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프로세서(902)는 (저장소(906) 또는 다른 곳과는 대조적으로) 하나 이상의 내부 레지스터나 내부 캐시에서 또는 메모리(904)에서 단지 명령어만을 실행하며, (저장소(906) 또는 다른 곳과는 대조적으로) 하나 이상의 내부 레지스터나 내부 캐시에서 또는 메모리(904)에서 단지 데이터만을 운영한다. (주소 버스 및 데이터 버스를 각각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버스는 프로세서(902)를 메모리(904)로 연결할 수 있다. 하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버스(912)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하나 이상의 메모리 관리 유닛(MMUs)은 프로세서(902)와 메모리(904) 사이에 상주하며, 프로세서(902)에 의해 요청되는 메모리(904)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특정 실시예로, 메모리(904)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한다. 적절한 경우, 이런 RAM은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적절한 경우, 이런 RAM은 동적 RAM(DRAM) 또는 정적 RAM(SRAM)일 수 있다. 게다가, 적절한 경우, 이런 RAM은 단일 포트형 또는 다중-포트형 RAM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RAM을 고려한다. 적절한 경우, 메모리(904)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90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가 특정 메모리를 기술하고 도시하지만,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메모리를 고려한다.
특정 실시예로, 저장소(906)는 데이터용 또는 명령어용 대용량 저장소를 포함한다. 예로서 제한 없이, 저장소(906)는 HDD,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광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범용 직렬 버스(USB) 드라이브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저장소(906)는 착탈식 또는 비-착탈식(또는 고정)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저장소(906)는 컴퓨터 시스템(9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저장소(906)는 비휘발성, 고체-상태(solid-state) 메모리이다. 특정 실시예로, 저장소(906)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를 포함한다. 적절한 경우, 이런 ROM은 마스크-프로그램화된 ROM, 프로그램가능 ROM(PROM), 소거가능 PROM(EPROM), 전기적 소거가능 PROM(EEPROM), 전기적 변경가능 ROM(EA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물리적 형태를 취하는 대용량 저장소(906)를 고려한다. 적절한 경우, 저장소(906)는 프로세서(902)와 저장소(906)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저장소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저장소(906)는 하나 이상의 저장소(90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가 특정 저장소를 기술하고 도시하지만,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저장소를 고려한다.
특정 실시예로, I/O 인터페이스(908)는 컴퓨터 시스템(900)과 하나 이상의 I/O 장치 사이의 통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한다. 적절한 경우, 컴퓨터 시스템(900)은 하나 이상의 이들 I/O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이들 I/O 장치는 사람과 컴퓨터 시스템(900)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로서 제한 없이, I/O 장치는 키보드, 키패드, 마이크로폰, 모니터, 마우스, 프린터, 스캐너, 스피커, 스틸 카메라(still camera), 스타일러스(stylus), 태블릿, 터치 스크린, 트랙볼(trackball), 비디오 카메라, 또 다른 적절한 I/O 장치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I/O 장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I/O 장치 및 이에 대한 적절한 I/O 인터페이스(908)를 고려한다. 적절한 경우, I/O 인터페이스(908)는 프로세서(902)가 하나 이상의 이들 I/O 장치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I/O 인터페이스(908)는 하나 이상의 I/O 인터페이스(90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가 특정 I/O 인터페이스를 기술하고 도시하지만,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I/O 인터페이스를 고려한다.
특정 실시예로, 통신 인터페이스(910)는 컴퓨터 시스템(900)과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터 시스템(900)이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가령, 예컨대 패킷-기반 통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한다. 예로서 제한 없이, 통신 인터페이스(910)는 이더넷이나 다른 유선-기반 네트워크로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장치(NIC)나 네트워크 어댑터 또는 가령 WI-FI 네트워크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 NIC(WNIC)나 무선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네트워크 및 이에 대한 임의의 적절한 통신 인터페이스(910)를 고려한다. 예로서 제한 없이, 컴퓨터 시스템(900)은 애드 혹 네트워크(ad hoc network),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 근거리 네트워크(LAN), 광역 네트워크(WAN), 대도시 네트워크(MAN), 인터넷의 하나 이상의 부분 또는 2 이상의 이런 네트워크들의 조합으로 통신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이런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부분은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다. 예로서, 컴퓨터 시스템(900)은 무선 PAN(WPAN)(가령, 예컨대 BLUETOOTH WPAN), WI-FI 네트워크, WI-MAX 네트워크, 셀룰러폰 네트워크(가령, 예컨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다른 적절한 무선 네트워크 또는 2 이상의 이런 네트워크들의 조합으로 통신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컴퓨터 시스템(900)은 임의의 이들 네트워크에 대한 임의의 적절한 통신 인터페이스(91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910)는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9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가 특정 통신 인터페이스를 기술하고 도시하지만,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고려한다.
특정 실시예로, 버스(912)는 컴퓨터 시스템(900)의 구성요소를 서로 연결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한다. 예로서 제한 없이, 버스(912)는 AGP(Accelerated Graphics Port)이나 다른 그래픽 버스, EISA(Enhanc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버스, FSB(front-side bus), HT(HYPERTRANSPORT) 인터커넥트, ISA(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버스, INFINIBAND 인터커넥트, LPC(low-pin-count) 버스, 메모리 버스, MCA(Micro Channel Architecture) 버스,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버스, PCI-X(PCI-Express) 버스, SATA(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버스, VLB(Video Electronics Standard Association local) 버스, 또 다른 적절한 버스 또는 2 이상의 이런 버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버스(912)는 하나 이상의 버스(9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가 특정 버스를 기술하고 도시하지만,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버스나 인터커넥트를 고려한다.
도 10은 예시적인 클라이언트 장치(300)를 도시한다. 특정 실시예로, 클라이언트(300)는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클라이언트 장치(300)는 종래의 모바일폰보다 더 향상된 컴퓨팅 능력과 연결성을 제공하는 모바일 전화인 스마트폰(예컨대, 아이폰, 안드로이드-기반 폰 또는 블랙베리)일 수 있다. 이는 모바일폰과 통합된 휴대용 컴퓨터로 간주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클라이언트 장치(300)는 넷북 또는 태블릿 컴퓨터(예컨대, 아이패드, 안드로이드-기반 태블릿)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300)는 가령 GSM 또는 CDMA2000-기반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연결을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클라이언트 장치(300)는 하드웨어(1010) 및 소프트웨어(1020)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하드웨어(210)는 가령, 예로서 제한 없이, 프로세서(1011), 메모리(1012), 저장소(1013), 송수신기(1014), 입력/출력 장치(1015)(예컨대,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키패드, 마이크로폰, 스피커 등), 카메라(1016),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1017), 센서 허브(1018), 알림 제어 스위치(1019), 셀룰러 송수신기(1041), Wi-Fi 송수신기(1042) 등과 같은, 임의의 수의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하드웨어(1010)는 WiDi(wireless display) 송수신기, BLE(Bluetooth low-energy) 송수신기, NFC(near-field communications) 송수신기, 802.11 Wi-Fi 및 802.16 WiMax 송수신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고려한다. 특정 실시예로, 위치 결정은 심지어 모바일 장치(300)가 임의의 자기-결정 위치 정보(self-determined position information)를 수행하거나 공유하지 않을 때에도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은 모든 Wi-Fi 네트워크의 물리적 맵을 유지할 수 있고, 그 IP 주소로부터 클라이언트 장치(3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클라이언트 장치(300)의 위치를 결정하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을 고려한다. 특정 실시예로, 사용자의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는 저장소(1013)에 저장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소프트웨어(1020)는 클라이언트 장치(300)에서 이용가능한 일부의 하드웨어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커널(1031)이나 임의의 수의 장치 드라이버(1032)를 포함할 수 있는 운영 시스템(1021)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시스템(1021)은 클라이언트 장치(300)의 실제 타입을 기초로 클라이언트 장치(300)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클라이언트 장치(300)가 모바일 장치(예컨대, 스마트폰)라면, 운영 시스템(1021)은 가령, 예로서 제한 없이,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모바일(Windows Mobile), 구글의 안드로이드(Android), 노키아의 심비안(Symbian), 애플의 iOS 및 삼성의 바다(Bada)와 같은, 모바일 운영 시스템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는 클라이언트 장치(300)에 상주하고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실행하는 연결 풀 관리자(connection pool manager)(1022)가 있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1023)은 클라이언트 장치(300)에서 실행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 이런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이언트 장치(300)에 설치되고 상주하는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예컨대, Google Maps)은 장치 사용자가 맵을 열람하고, 주소나 사업체를 검색하며, 방향을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 애플리케이션은 장치 사용자가 이메일을 읽고, 보내며,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3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웹 브라우저)은 장치 사용자가 인터넷을 브라우징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4 애플리케이션은 장치 사용자가 카메라(1016)를 사용하여 사진을 찍거나 비디오를 레코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5 애플리케이션은 장치 사용자가 VoIP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콜을 수신하고 개시하게 할 수 있는 등이다. 특정 실시예로, 장치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장치(300)로 푸싱되는 알림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알림 제어(1025))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10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특정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각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1020)은 각각의 기능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알림 제어(1025)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1020)의 실행가능한 코드는 클라이언트 장치(300)에서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일시적 매체(예컨대, 저장소(1013)나 메모리(1012))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저장소를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를 고려한다. 특정 실시예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는 프로세서(902)의 하나 이상의 부분(가령, 예컨대 하나 이상의 내부 레지스터나 캐시), 메모리(904)의 하나 이상의 부분, 저장소(906)의 하나 이상의 부분 또는 적절한 경우 이들의 조합을 구현한다. 특정 실시예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는 RAM 또는 ROM을 구현한다. 특정 실시예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는 휘발성 또는 지속성 메모리를 구현한다. 특정 실시예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소프트웨어에 대한 언급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바이트코드(bytecode),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하나 이상의 실행가능한 것들, 하나 이상의 명령어, 로직, 기계어,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또는 소스 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절한 경우 그 역도 또한 같다. 특정 실시예로, 소프트웨어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s)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프로그래밍 언어들의 조합으로 기록되거나 표현되는 임의의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고려한다. 특정 실시예로, 소프트웨어는 소스 코드 또는 객체 코드로 표현된다. 특정 실시예로, 소프트웨어는 예컨대 C, Perl 또는 이들의 적절한 확장형과 같은 고차원(higher-level) 프로그래밍 언어로 표현된다. 특정 실시예로, 소프트웨어는 가령 어셈플리 언어(또는 기계어)와 같은 저차원(lower-level) 프로그래밍 언어로 표현된다. 특정 실시예로, 소프트웨어는 JAVA, C 또는 C++로 표현된다. 특정 실시예로, 소프트웨어는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 확장형 마크업 언어(XML) 또는 다른 적절한 마크업 언어로 표현된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 대한 언급은 반도체 기반 또는 다른 집적회로(IC)(가령, 예컨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specific IC)), 하드 디스크(HDD), 하이브리드 하드 디스크(HHD), 광학 디스크,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ODD), 자기-광학 디스크, 자기-광학 드라이브, 플로피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DD), 자기 테이프, 홀로그래픽 저장매체, 고체-상태 드라이브(SSD), RAM 드라이브, SECURE DIGITAL 카드, SECURE DIGITAL 드라이브, 또 다른 적절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일시적 저장매체 또는, 적절한 경우, 이들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휘발성, 비휘발성 또는 휘발성과 비휘발성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또는"은 명시적으로 다르게 지시하거나 문맥상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포괄적인 것이며 배타적인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명시적으로 다르게 지시하거나 문맥상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A, B 또는 둘 모두"를 의미한다. 게다가, "및"은 명시적으로 다르게 지시하거나 문맥상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공동 및 별개 모두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A 및 B"는 명시적으로 다르게 지시하거나 문맥상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A 및 B가 공동이든 별개이든 상관없이 모두"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는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화, 치환, 변형, 대체 및 변경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적절한 경우, 첨부된 청구항들은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화, 치환, 변형, 대체 및 변경을 포함한다. 게다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거나, 배치되거나, 할 수 있거나, 구성되거나, 할 수 있게 하거나, 동작할 수 있거나, 동작하는 장치나 시스템 또는 장치나 시스템의 구성요소에 대한 언급은 장치, 시스템 또는 구성요소가 그렇게 설계되거나, 배치되거나, 할 수 있거나, 구성되거나, 가능하거나, 동작할 수 있거나 동작하는 한, 장치, 시스템, 구성요소, 그 또는 그러한 특정 기능이 활성화되었는지, 턴온 되었는지, 잠금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포함한다.

Claims (20)

  1. 하나 이상의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팅 장치에서, 셀룰러 데이터 네트워크와의 셀룰러 연결을 유지하면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와의 무선 연결을 확립하고;
    컴퓨팅 장치에서, WLAN과의 무선 연결을 성공적으로 확립한 후, 셀룰러 연결에서 무선 연결로 데이터 트래픽을 오프로딩하기 전에, 컴퓨팅 장치가 WLAN을 통해 인터넷 접속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며;
    컴퓨팅 장치에서, 컴퓨팅 장치가 WLAN을 통해 인터넷 접속되어 있다고 결정함에 응답하여, 셀룰러 연결에서 무선 연결로 데이터 트래픽을 오프로딩하고;
    컴퓨팅 장치에서, 컴퓨팅 장치가 WLAN을 통해 인터넷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결정함에 응답하여, 셀룰러 연결에서 무선 연결로 데이터 트래픽을 오프로딩하기 전에 WLAN에 의해 호스팅된 포털로 컴퓨팅 장치를 인증하도록 동작하는 로직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로서,
    셀룰러 연결에서 무선 연결로 데이터 트래픽을 오프로딩하는 것은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의해 직접 제어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에서, 컴퓨팅 장치가 WLAN을 통해 인터넷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결정되면, WLAN에 의해 호스팅된 포털로부터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데이터 트래픽을 컴퓨팅 장치의 WLAN 인터페이스로 바인딩하도록 실행시 동작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증 크리덴셜을 수신하고;
    컴퓨팅 장치에서, 인증 크리덴셜을 포털로 보내며;
    컴퓨팅 장치에서, 포털로부터의 인가 승인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셀룰러 연결에서 무선 연결로 데이터 트래픽을 오프로딩하도록 실행시 동작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가 WLAN을 통해 인터넷 접속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무선 연결을 통해 연결성 체크를 종단점으로 전송하고;
    연결성 체크의 전송 직후 타이머를 시작하며;
    타이머의 만료 전 종단점으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다면, 컴퓨팅 장치가 WLAN을 통해 인터넷 접속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식별하고;
    타이머의 만료 전 종단점으로부터 응답이 수신된다면, 컴퓨팅 장치가 WLAN을 통해 인터넷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셀룰러 연결의 데이터 트래픽은 컴퓨팅 장치의 애플리케이션과 서버 컴퓨팅 장치 사이의 통신 세션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셀룰러 데이터 네트워크와의 셀룰러 연결을 유지하는 것은 통신 세션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고;
    셀룰러 연결에서 무선 연결로 데이터 트래픽을 오프로딩하는 것은 셀룰러 연결에서 무선 연결로 통신 세션의 데이터를 지향(directing)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에서, 무선 연결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모니터하고;
    컴퓨팅 장치에서, 무선 연결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기초로 무선 연결을 종료하며;
    컴퓨팅 장치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무선 연결에서 셀룰러 연결로 오프로딩하도록 실행시 동작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가 WLAN을 통해 인터넷 접속되어 있는지를 컴퓨팅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상태 추적기가 주기적으로 결정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8.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팅 장치에서, 셀룰러 데이터 네트워크와의 셀룰러 연결을 유지하면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와의 무선 연결을 확립하고;
    컴퓨팅 장치에서, WLAN과의 무선 연결을 성공적으로 확립한 후, 셀룰러 연결에서 무선 연결로 데이터 트래픽을 오프로딩하기 전에, 컴퓨팅 장치가 WLAN을 통해 인터넷 접속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며;
    컴퓨팅 장치에서, 컴퓨팅 장치가 WLAN을 통해 인터넷 접속되어 있다고 결정함에 응답하여, 셀룰러 연결에서 무선 연결로 데이터 트래픽을 오프로딩하고;
    컴퓨팅 장치에서, 컴퓨팅 장치가 WLAN을 통해 인터넷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결정함에 응답하여, 셀룰러 연결에서 무선 연결로 데이터 트래픽을 오프로딩하기 전에 WLAN에 의해 호스팅된 포털로 컴퓨팅 장치를 인증하도록 동작하는 로직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셀룰러 연결에서 무선 연결로 데이터 트래픽을 오프로딩하는 것은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의해 직접 제어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매체는:
    컴퓨팅 장치에서, 컴퓨팅 장치가 WLAN을 통해 인터넷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결정되면:
    WLAN에 의해 호스팅된 포털로부터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데이터 트래픽을 컴퓨팅 장치의 WLAN 인터페이스로 바인딩하도록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시 동작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매체는: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증 크리덴셜을 수신하고;
    컴퓨팅 장치에서, 인증 크리덴셜을 포털로 보내며;
    컴퓨팅 장치에서, 포털로부터의 인가 승인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셀룰러 연결에서 무선 연결로 데이터 트래픽을 오프로딩하도록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시 동작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가 WLAN을 통해 인터넷 접속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무선 연결을 통해 연결성 체크를 종단점으로 전송하고;
    연결성 체크의 전송 직후 타이머를 시작하며;
    타이머의 만료 전 종단점으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다면, 컴퓨팅 장치가 WLAN을 통해 인터넷 접속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식별하고;
    타이머의 만료 전 종단점으로부터 응답이 수신된다면, 컴퓨팅 장치가 WLAN을 통해 인터넷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셀룰러 연결의 데이터 트래픽은 컴퓨팅 장치의 애플리케이션과 서버 컴퓨팅 장치 사이의 통신 세션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셀룰러 데이터 네트워크와의 셀룰러 연결을 유지하는 것은 통신 세션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고;
    셀룰러 연결에서 무선 연결로 데이터 트래픽을 오프로딩하는 것은 셀룰러 연결에서 무선 연결로 통신 세션의 데이터를 지향(directing)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매체는:
    컴퓨팅 장치에서, 무선 연결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모니터하고;
    컴퓨팅 장치에서, 무선 연결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기초로 무선 연결을 종료하며;
    컴퓨팅 장치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무선 연결에서 셀룰러 연결로 오프로딩하도록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시 동작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가 WLAN을 통해 인터넷 접속되어 있는지를 컴퓨팅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상태 추적기가 주기적으로 결정하는 장치.
  15. 컴퓨팅 장치에 의해, 셀룰러 데이터 네트워크와의 셀룰러 연결을 유지하면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와의 무선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
    컴퓨팅 장치에 의해, WLAN과의 무선 연결을 성공적으로 확립한 후, 셀룰러 연결에서 무선 연결로 데이터 트래픽을 오프로딩하기 전에, 컴퓨팅 장치가 WLAN을 통해 인터넷 접속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컴퓨팅 장치에 의해, 컴퓨팅 장치가 WLAN을 통해 인터넷 접속되어 있다고 결정함에 응답하여, 셀룰러 연결에서 무선 연결로 데이터 트래픽을 오프로딩하는 단계; 및
    컴퓨팅 장치에 의해, 컴퓨팅 장치가 WLAN을 통해 인터넷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결정함에 응답하여, 셀룰러 연결에서 무선 연결로 데이터 트래픽을 오프로딩하기 전에 WLAN에 의해 호스팅된 포털로 컴퓨팅 장치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셀룰러 연결에서 무선 연결로 데이터 트래픽을 오프로딩하는 단계는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의해 직접 제어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컴퓨팅 장치가 WLAN을 통해 인터넷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결정되면:
    WLAN에 의해 호스팅된 포털로부터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데이터 트래픽을 컴퓨팅 장치의 WLAN 인터페이스로 바인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증 크리덴셜을 수신하는 단계;
    컴퓨팅 장치에 의해, 인증 크리덴셜을 포털로 제출하는 단계;
    컴퓨팅 장치에 의해, 포털로부터의 인가 승인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셀룰러 연결에서 무선 연결로 데이터 트래픽을 오프로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가 WLAN을 통해 인터넷 접속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무선 연결을 통해 연결성 체크를 종단점으로 전송하는 단계;
    연결성 체크의 전송 직후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타이머의 만료 전 종단점으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다면, 컴퓨팅 장치가 WLAN을 통해 인터넷 접속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및
    타이머의 만료 전 종단점으로부터 응답이 수신된다면, 컴퓨팅 장치가 WLAN을 통해 인터넷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셀룰러 연결의 데이터 트래픽은 컴퓨팅 장치의 애플리케이션과 서버 컴퓨팅 장치 사이의 통신 세션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셀룰러 데이터 네트워크와의 셀룰러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는 통신 세션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셀룰러 연결에서 무선 연결로 데이터 트래픽을 오프로딩하는 단계는 셀룰러 연결에서 무선 연결로 통신 세션의 데이터를 지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에 의해, 무선 연결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모니터하는 단계;
    컴퓨팅 장치에 의해, 무선 연결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기초로 무선 연결을 종료하는 단계; 및
    컴퓨팅 장치에 의해, 데이터 트래픽을 무선 연결에서 셀룰러 연결로 오프로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47020241A 2011-12-19 2012-12-17 다중-인터페이스 트래픽 오프로딩에 대한 캡티브 포털 상태 검출 및 회피 KR1018121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30,498 US9820200B2 (en) 2011-12-19 2011-12-19 Captive portal state detection and avoidance for multiple-interface traffic offloading
US13/330,498 2011-12-19
PCT/US2012/069985 WO2013096146A1 (en) 2011-12-19 2012-12-17 Captive portal state detection and avoidance for multiple-interface traffic offloa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444A KR20140109444A (ko) 2014-09-15
KR101812139B1 true KR101812139B1 (ko) 2017-12-26

Family

ID=48610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0241A KR101812139B1 (ko) 2011-12-19 2012-12-17 다중-인터페이스 트래픽 오프로딩에 대한 캡티브 포털 상태 검출 및 회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820200B2 (ko)
EP (1) EP2795969B1 (ko)
JP (1) JP6208684B2 (ko)
KR (1) KR101812139B1 (ko)
CN (1) CN104094640B (ko)
AU (1) AU2012355532B2 (ko)
BR (1) BR112014015163A2 (ko)
CA (1) CA2859735C (ko)
IL (1) IL233281A (ko)
MX (1) MX349299B (ko)
WO (1) WO20130961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1677B2 (en) * 2010-11-17 2014-09-09 Antony-Euclid C. Villa-Real Customer-controlled instant-response anti-fraud/anti-identity theft devices (with true-personal identity verification), method and systems for secured global applications in personal/business e-banking, e-commerce, e-medical/health insurance checker, e-education/research/invention, e-disaster advisor, e-immigration, e-airport/aircraft security, e-military/e-law enforcement, with or without NFC component and system, with cellular/satellite phone/internet/multi-media functions
US8693403B1 (en) * 2012-07-13 2014-04-08 Joingo, Ll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on and correction of a WiFi login failure
US8769651B2 (en) * 2012-09-19 2014-07-01 Secureauth Corporation Mobile multifactor single-sign-on authentication
US20140153407A1 (en) * 2012-12-03 2014-06-05 Huizhou Tcl Mobile Communication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wireless router equipment
US8799993B1 (en) * 2013-03-14 2014-08-05 Vonage Network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communication parameters on a wireless device
US9398525B2 (en) * 2013-03-14 2016-07-19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ng a network for a wireless device
US9369872B2 (en) 2013-03-14 2016-06-14 Vonage Busin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communication parameters on a wireless device
US9730145B2 (en) * 2013-03-15 2017-08-08 Qualcomm Incorporated In-transit detection using low complexity algorithm fusion and phone state heuristics
MX358086B (es) 2013-04-04 2018-08-0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étodos de interfuncionamiento de 3gpp wlan para uso mejorado de la wlan a través de descarga.
CN104104564B (zh) * 2013-04-09 2018-10-09 南京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私有云中设备间自动建立基于wifi局域网的方法及装置
US9456464B2 (en) 2013-06-06 2016-09-27 Apple Inc. Multipath TCP subflow establishment and control
US9590884B2 (en) * 2013-07-03 2017-03-07 Facebook, Inc. Native application hotspot
US9619644B2 (en) 2013-07-03 2017-04-11 Facebook, Inc. Third-party captive portal
KR102148715B1 (ko) * 2013-09-03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GB2518620B (en) * 2013-09-25 2016-03-02 Ultra Electronics Ltd Headless wireless device
US9473940B2 (en) * 2015-02-20 2016-10-18 Roku, Inc. Authenticating a browser-less data streaming device to a network with an external browser
US10382305B2 (en) 2013-11-15 2019-08-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ying sequenced instructions to connect through captive portals
US9554323B2 (en) 2013-11-15 2017-01-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nerating sequenced instructions for connecting through captive portals
US9369342B2 (en) * 2013-11-15 2016-06-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figuring captive portals with a cloud service
US10057302B2 (en) * 2013-11-15 2018-08-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xt-based selection of instruction sets for connecting through captive portals
US10037514B2 (en) * 2013-12-19 2018-07-31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Ubiquitous in-cloud microsite generator for high speed data customer intake and activation
US9961059B2 (en) 2014-07-10 2018-05-01 Red Hat Israel, Ltd. Authenticator plugin interface
US9928623B2 (en) * 2014-09-12 2018-03-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ocially generated and shared graphical representations
US9609067B2 (en) 2014-12-02 2017-03-28 Amazon Technologies, Inc. Proxy captive portal traffic for input-limited devices
US9713066B2 (en) 2015-03-02 2017-07-18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access point connection switching
KR101632836B1 (ko) * 2015-04-03 2016-06-23 한국과학기술원 Multi-class traffic이 존재 하는 이종 무선 네트워크에서 최적의 트래픽 오프로딩을 통한 네트워크 에너지 소비 최소화 방법 및 장치
US10235408B1 (en) * 2015-07-31 2019-03-19 Morphotrust Usa, Llc User enrollment and verification
US9900229B2 (en) 2016-01-29 2018-02-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etwork-connectivity detection
US20170251422A1 (en) * 2016-02-29 2017-08-31 Qualcomm Innovation Center, Inc. Mobile device with multiple wifi interfaces
CN105721632A (zh) * 2016-04-12 2016-06-29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dns机制的无线接入方法及无线接入设备
US10237840B2 (en) * 2016-05-17 2019-03-19 T-Mobile Usa, Inc. Providing a public internet protocol address during Wi-Fi calling registration
US10419411B2 (en) 2016-06-10 2019-09-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etwork-visitability detection
KR102475230B1 (ko) * 2016-08-18 2022-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망 연결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0397017B2 (en) * 2016-09-30 2019-08-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municating information about available networks
GB2565864B (en) * 2017-05-11 2022-02-02 Pismo Labs Technology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packets originated from a mobile computing device to destinations at a wireless network node
CN107197462B (zh) * 2017-06-28 2020-04-07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无线网络类型的检测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0491494B2 (en) * 2017-11-23 2019-11-26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Captive portal detection
US11528655B2 (en) 2018-05-31 2022-12-13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Resilient mobile meshed network with extended range
KR102537840B1 (ko) * 2018-07-13 2023-05-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서버 장치 및 다른 장치들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TWI700947B (zh) * 2018-09-27 2020-08-01 明泰科技股份有限公司 通訊資源分配方法與相關的行動通訊基地台裝置
JP6937286B2 (ja) 2018-11-30 2021-09-22 株式会社東芝 無線中継装置および無線中継方法
US20220167237A1 (en) 2019-03-26 2022-05-26 Sony Group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11171961B2 (en) 2019-05-09 2021-11-09 Cisco Technology, Inc. Secure captive portal remedia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0989A1 (en) 2002-05-23 2003-11-27 Michael Tsuji Method and system for client browser update
US20040214576A1 (en) 2003-04-28 2004-10-28 Chantry Networks Inc.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120113965A1 (en) 2010-11-09 2012-05-10 Sarat Puthenpura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 wi-fi hotspot for offloading wireless traffic
US20120315905A1 (en) 2011-06-07 2012-12-13 Jing Zhu Multi-radio handover manager system and algorithms fo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ing
US8479263B1 (en) 2011-03-07 2013-07-02 Symantec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captive portals
US8594628B1 (en) 2011-09-28 2013-11-26 Juniper Networks, Inc. Credential generation for automatic authentication on wireless acces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6130B2 (en) 2003-02-24 2006-12-05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system detection and selection
CN1287308C (zh) 2003-04-09 2006-11-29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以太网点对点协议的在用户登录时显示门户网页的方法
CN1571356A (zh) 2003-07-19 2005-01-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强制门户的实现方法
US9265003B2 (en) 2006-11-13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or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in a mobile computing device
JP4812647B2 (ja) 2007-02-09 2011-11-09 Kddi株式会社 ハンドオーバ時の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移動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20080207161A1 (en) 2007-02-27 2008-08-2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hotlin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EP2134063B1 (en) 2008-05-12 2013-10-02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facilitating access to a communication service via WLAN hotspot
JP2009276925A (ja) 2008-05-13 2009-11-26 Nec Corp 自動判別システム、自動判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2480078A (en) 2010-05-05 2011-11-09 Vodafone Ip Licensing Ltd Mobile device communicates with a cellular network base station or a non-cellular access point in response to a trigger
US8825842B2 (en) 2011-04-28 2014-09-02 Facebook, Inc. Managing notifications pushed to user device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0989A1 (en) 2002-05-23 2003-11-27 Michael Tsuji Method and system for client browser update
US20040214576A1 (en) 2003-04-28 2004-10-28 Chantry Networks Inc.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EP1618720A1 (en) 2003-04-28 2006-01-25 Chantry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unit session management acros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120113965A1 (en) 2010-11-09 2012-05-10 Sarat Puthenpura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 wi-fi hotspot for offloading wireless traffic
US8479263B1 (en) 2011-03-07 2013-07-02 Symantec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captive portals
US20120315905A1 (en) 2011-06-07 2012-12-13 Jing Zhu Multi-radio handover manager system and algorithms fo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ing
US8594628B1 (en) 2011-09-28 2013-11-26 Juniper Networks, Inc. Credential generation for automatic authentication on wireless access network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VICTOR O. K. et al.,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s,' IEEE, SEPT. 199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95969A4 (en) 2015-11-11
BR112014015163A8 (pt) 2017-06-13
IL233281A (en) 2017-08-31
JP6208684B2 (ja) 2017-10-04
BR112014015163A2 (pt) 2017-06-13
CN104094640B (zh) 2019-01-15
MX349299B (es) 2017-07-21
IL233281A0 (en) 2014-08-31
JP2015502125A (ja) 2015-01-19
WO2013096146A1 (en) 2013-06-27
AU2012355532A1 (en) 2014-07-24
AU2012355532B2 (en) 2017-02-02
CA2859735A1 (en) 2013-06-27
EP2795969A1 (en) 2014-10-29
CA2859735C (en) 2019-05-21
MX2014007463A (es) 2015-05-11
EP2795969B1 (en) 2019-02-20
CN104094640A (zh) 2014-10-08
KR20140109444A (ko) 2014-09-15
US20130155876A1 (en) 2013-06-20
US9820200B2 (en) 2017-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139B1 (ko) 다중-인터페이스 트래픽 오프로딩에 대한 캡티브 포털 상태 검출 및 회피
CN111095970B (zh) 通信网络中的网络数据分析
CN110771251B (zh) 作为通信网络中的服务的小数据传送、数据缓冲及数据管理
US110644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via alternate communication pathway
KR102284105B1 (ko) 가상화된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들에의 접속
US86343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via alternate wireless pathway
US20150305077A1 (en) Network assistance for device-to-device discovery
JP2012529229A (ja) ワイヤレス通信機器のための接続マネージャ
US11855986B2 (en) Management of network intercept portals for network devices with durable and non-durable identifiers
US9264538B2 (en) Mobile services hosting
US11696208B1 (en) Priority data transport service
US20240080643A1 (en) Contextual-based services for the dynamic management of device locationing group
WO2023081672A1 (en) Assisting local service management on edge terminal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