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096B1 - 상태신호처리부를 가지는 퓨즈링크 - Google Patents

상태신호처리부를 가지는 퓨즈링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096B1
KR101812096B1 KR1020170082577A KR20170082577A KR101812096B1 KR 101812096 B1 KR101812096 B1 KR 101812096B1 KR 1020170082577 A KR1020170082577 A KR 1020170082577A KR 20170082577 A KR20170082577 A KR 20170082577A KR 101812096 B1 KR101812096 B1 KR 101812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fuse
status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주
홍승표
송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폼테크
Priority to KR1020170082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30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fus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배전장치 등에 설치되어 사고전류 발생 시 사고 전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퓨즈링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고전류 발생으로 인한 퓨즈의 단로 또는 통전 상태를 신호로 처리하여 시스템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상태신호처리부를 가지는 퓨즈링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인 상태신호처리부를 가지는 퓨즈링크는, 일면에 사고전류 유입시 구동하는 상태동작부가 구비되고, 이 상태동작부에 의하여 작동할 수 있는 상태표시부가 일체형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상태표시고정부가 구비된 퓨즈링크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고정부에 설치되어 상태표시부의 위치에 일체형태로 설치되고, 사고전류 유입시 구동하는 상태동작부로 동작하는 상태신호전달부가 구비되어 퓨즈의 단로상태를 시스템에 전달하도록 이루어진 상태신호처리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상태신호처리부를 가지는 퓨즈링크{A fuse link having a state signal processing unit}
본 발명은 전력배전장치 등에 설치되어 사고전류 발생 시 사고 전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퓨즈링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고전류 발생으로 인한 퓨즈의 단로 또는 통전 상태를 신호로 처리하여 시스템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상태신호처리부를 가지는 퓨즈링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C 또는 DC 전원부에 대한 단락/지락/과전류 등의 사고전류 발생 시 사고전류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원 선로 상에 퓨즈링크를 장착하고 있다.
이러한 퓨즈링크는 종류에 따라 단락 보호용, 과전류/단락 보호용 등의 기능상의 분류에 따라 보호기능이 추가되며, 사고전류 유입 시 사고전류 보호를 위해 내부의 엘레멘트가 용융되어 전원 전류를 단로 시키는 역할을 통해 퓨즈링크는 사고전류를 단로시킴으로써 과전류 등의 사고전류로 인한 화재방지 및 인명보호 등을 목적을 구현하게 된다. 이때 퓨즈링크에 따라서 내부의 단로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하는 스트라이커 장치가 장착되어 단로 여부의 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상태표시부가 있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퓨즈의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태표시부가 구비되는 상태표시형 퓨즈링크는 도 1과 도 2와 같이 이루어진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표시형 퓨즈링크는 퓨즈하우징(11)의 일측면에 상태표시부(2)가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일체형태로 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퓨즈하우징(11)에 결합되는 전원단자(10)에 AC 또는 DC 전원이 연결되고, 전원단자와 연결하여 상태표시부(2)를 고정하는 상태표시고정부(3)에 의해 상태표시부(2)는 퓨즈링크(1) 중심부에 배치되어 고정된다. 퓨즈하우징(11) 내부에는 엘레멘트(12)가 배치되며 공간에는 규사(18)로 충진되어진다.
상기 퓨즈하우징(11)의 상측 중심부에는 상태동작부(14)가 배치되어지며, 상기 상태동작부(14)는 부속엘레멘트(13)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상태동작부(14) 내부에는 탄성력을 전달하는 동작스프링(14a)이 구비된다.
퓨즈링크(1) 상측에 결합되어지는 상태표시부(2) 외형은 상태표시부 하우징(16) 중심에는 상태동작부(14)와 연결동작을 수행할 표시동작부(15)가 배치되어진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퓨즈링크(1)의 상태표시 동작원리는 전원단자(10)에 AC 및 DC 전원이 연결되어 퓨즈가 장착된 시스템에 사고전류가 유입되면 퓨즈하우징(11) 내부의 엘레멘트(12)에 통전되는 전류의 상승치에 반비례하는 속도로 엘레멘트(12)가 용융되어 단로되고, 상기 엘레멘트(12)가 단로되게 되면 전원전류가 부속엘레멘트(13)로 집중되게 되어 부속엘레멘트(13)가 단선되게 된다. 상기 부속엘레멘트(13) 단선시 부속엘레멘트(13)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상태동작부(14)가 동작스프링(14a)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 동작을 하게 되고, 이때, 상태동작부(14)는 상태표시부하우징(16) 중심부의 동작가이드(16a)가 안내 장공 역할을 하게되어 중심을 벗어나 이탈하지 않고 표시동작부(15) 측으로 이동하여 표시동작부(15)를 상태표시부하우징(16) 상측으로 이동하여 퓨즈의 엘레멘트(12) 단로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상태표시부가 구비된 퓨즈링크가 적용된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퓨즈링크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퓨즈링크의 상태표시부 동작 상태와 시스템의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패킹으로 시스템이 밀봉된 경우 사고 전류 유입으로 인한 퓨즈링크의 단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퓨즈링크가 적용된 시스템을 인위적으로 열어 육안으로 퓨즈링크의 단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이로 인해 시스템의 문제를 확인하는데 오랜 시간이 필요하게 되고, 때에 따라서는 시스템을 해체하여야만이 퓨즈링크의 단로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태표시부가 구비된 퓨즈링크의 경우 장시간의 점검 및 불필요한 시스템을 제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KR) 등록특허 10-1425809 (KR) 등록특허 10-1669905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고전류 발생 시 전류를 차단 후 퓨즈의 상태를 원격신호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의 퓨즈링크를 구현하도록 하여 퓨즈의 상태를 원격의 위치 및 시스템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퓨즈링크의 상태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빠른 사고 전류의 원인 해소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전원 시스템 문제의 신속한 개선 및 퓨즈의 상태를 확인하여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종래 AC/DC 시스템에 설치되는 퓨즈링크는 상태표시부를 채용하여 사고전류 발생시 엘레멘트 단로 시 상태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단로 및 정상상태 여부에 대하여 원격신호로 시스템에 전달하도록 이루어지도록 하며, 종래의 상태표시부와 동일한 프레임 형태 및 크기로 적용되도록 이루어진 상태신호처리부를 가지는 퓨즈링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발명인 상태신호처리부를 가지는 퓨즈링크는, 일면에 사고전류 유입시 구동하는 상태동작부가 구비되고, 이 상태동작부에 의하여 작동할 수 있는 상태표시부가 일체형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상태표시고정부가 구비된 퓨즈링크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고정부에 설치되어 상태표시부의 위치에 일체형태로 설치되고, 사고전류 유입시 구동하는 상태동작부로 동작하는 상태신호전달부가 구비되어 퓨즈의 단로상태를 시스템에 전달하도록 이루어진 상태신호처리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태신호전달부는 상태동작부로 동작하도록 스위칭레버가 구비된 상태신호전달용 소자와, 상기 상태신호전달용 소자가 설치되는 PCB기판과, 시스템에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전달용 케이블를 포함하여 퓨즈의 단로상태를 전달하되, 사고전류 유입으로 상기 스위칭레버의 동작시 전달되는 신호가 중단되어 시스템에서 퓨즈의 단로상태를 확인되도록 하거나, 퓨즈의 단로 상태를 시스템에 신호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칭레버는 돌기형의 레버를 포함한 플리트 접촉형 또는 평형레버 형태의 스위칭 구동을 하도록 이루어진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PCB기판에는 고정용 단자(Com)와, 신호전달 방식 전환용 단자(NC, 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신호전달용 케이블(123)은 고정용 단자(Com)에 설치되는 신호전달용 고정케이블과, 신호전달 방식 전환용 단자(NC, C)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신호전달용 전환케이블로 이루어져, 상기 신호전달용 전환케이블의 설치위치에 따라 시스템에서 전달되는 신호전달방식이 퓨즈 단로상태 신호전달 또는 퓨즈 정상상태 신호전달 방식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상태신호처리부는, 상태표시고정부에 체결부재로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태신호전달부가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 공간부를 가지며, 상태동작부가 위치한 퓨즈하우징의 일면과 접촉하는 일측의 면이 개구되도록 이루어진 상태신호용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상태신호용 하우징 내측에는 상태신호용 하우징가 퓨즈하우징에 체결부재로 고정설치시 상태신호전달부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부에 기밀이 유지도록 하여 외부의 습기와 엘레멘트 단로 시 방출될 수 있는 아크를 차단하도록 밴드형태로 이루어진 기밀/절연용 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기밀/절연용 패드는 사각형 또는 원형의 밴드형태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태신호용 하우징 내측에는 조립시 기밀/절연용 패드의 형태와 무관하게 형상을 고정시키고 형태를 구성해줄 수 있도록 하는 패드고정구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상태신호처리부를 가지는 퓨즈링크는 사고전류의 발생으로 인한 퓨즈의 단로 상태 시 다수의 퓨즈링크 중 단로 상태인 퓨즈링크를 시스템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로 상태의 퓨즈링크의 교체가 용이하고, 시스템의 사고원인의 파악 및 수리 보수의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인 상태신호처리부를 가지는 퓨즈링크는 시스템에 원격으로 단로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달할 수 있으며, 단로상태의 유무를 위한 신호전달방식을 퓨즈의 단로시 신호를 전달하거나, 신호되는 신호를 끊어주는 2가지의 신호전달방식을 채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통해 시스템에 신속하게 전달된 신호로 AC/DC 시스템에서 보호기기로 사용되는 퓨즈의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여 사고 전류 발생 시 사용자의 빠른 대응을 통한 유지 보수 및 사고확산 방지와, 시스템의 운용상태를 사용자가 신호처리 기능을 통해 퓨즈가 장착되어 지는 시스템의 제어부로 퓨즈의 상태 신호를 전달하여 확인 할 수 있어 퓨즈가 장착되어지는 시스템에 사고전류가 유입되어 퓨즈가 단로될 경우 즉시 사용자가 인지하여 시스템의 상태를 보완하고 단로된 퓨즈를 교체하여 전원 중단 상태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퓨즈의 단로상태를 신호로 전달할 수 있는 상태신호처리부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퓨즈링크를 구현함으로써 자동차 등과 같은 진동 및 충격 등이 발생하는 환경에 설치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태신호처리부가 상태표시부와 동일한 프레임 형태 및 크기로 제공됨으로써 AC전원 및 DC전원에 퓨즈를 적용하는 신호처리 제어 방식 시스템의 체적높이를 줄이고 동일한 시스템에서 상태표시부 장착 퓨즈와 상태신호처리부 장착 퓨즈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적용 효율성 및 통일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실시되고 있는 상태표시부가 구비된 퓨즈링크의 사시 개략도.
도 2는 종래에 실시되고 있는 상태표시부가 구비된 퓨즈링크의 내부를 보인 부분단면 사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상태신호처리부 구비된 퓨즈링크의 사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상태신호처리부 구비된 퓨즈링크의 내부를 보인 부분단면 사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상태신호처리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 개략도.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기밀/절연 패드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신호처리부 사시 개략도.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상태신호처리부를 나타낸 것으로, (a)는 PCB기판의 평면을 나타낸 것이고, (b)는 PCB기판의 정면을 나타낸 것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전력배전장치 등에 설치되어 사고전류 발생 시 사고 전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퓨즈링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고전류의 차단 시 퓨즈 엘레멘트의 단로 또는 통전 상태를 신호로 처리하되, 퓨즈의 단로 또는 통전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와 동일 크기 및 외형을 가져 상태표시부의 위치에 일체형태로 설치되는 상태신호처리부를 가지는 퓨즈링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 1은, 외관으로 퓨즈의 단로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상태표시부(2)가 상태표시고정부(3)에 고정설치된 퓨즈링크(1)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의 실시 예와 같이 본 발명은 상태표시부(2)를 고정설치할 수 있는 상태표시고정부(3)가 구비된 퓨즈링크(1)에 설치되어 퓨즈의 상태를 시스템에 신호로 전달해주도록 이루어진 상태신호처리부(100)를 가지는 퓨즈링크(1)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즉, 본 발명인 상태신호처리부(100)를 가지는 퓨즈링크(1)는, 상태신호처리부(100)는 퓨즈링크(1)에 구비되어 상태표시부(2)가 고정설치되도록 이루어진 상태표시고정부(3)에 설치되어 사고전류의 차단 시 퓨즈 엘레멘트의 단로 또는 통전 상태를 시스템에 신호로 전달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태신호처리부(100)는 상태표시고정부(3)에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로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양측에 고정용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부(111)가 구비된 상태신호 하우징(100)과, 상기 상태신호 하우징(100) 내측에 형성된 수용공간부(110a)에 수용되어 사고전류 유입시 구동하는 상태동작부(14)로 동작하는 상태신호전달부(120)와, 상기 상기 상태신호 하우징(100)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습기와 엘레멘트 단로 시 방출될 수 있는 아크를 차단하도록 밴드형태로 이루어진 기밀/절연용 패드(130)로 구성된다.
상기 상태신호 하우징(100)은 상태표시고정부(3)에 설치되는 상태표시부(2)와 사용자 및 판매자가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동일한 고정부(111)를 가지며, 특히 동일한 크기 및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신호 하우징(100)의 하측면은 개구된 상태로 이루어지며, 상태신호전달부(12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110a)는 기밀/절연용 패드(130)에 의하여 기밀이 유지되는 것으로, 내측에는 기밀/절연용 패드(1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패드고정구(112)가 형성된다. 상기 패드고정구(112)에 의하여 형성되는 패드고정홈은 적어도 2개소 이상으로 형성되고, 패드고정홈에 끼워지는 기밀/절연용 패드(130)은 형태와 무관하게 설치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상태신호전달부(120)는 상태동작부(14)로 동작하도록 스위칭레버(121a)가 구비된 상태신호전달용 소자(121)와, 상기 상태신호전달용 소자(121)가 설치되는 PCB기판(122)과, 시스템에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전달용 케이블(123)를 포함하여 사고전류 유입으로 상기 스위칭레버(121a)의 동작시 전달되는 신호가 중단되어 시스템에서 퓨즈의 단로상태를 확인되도록 하거나, 퓨즈의 단로 상태를 시스템에 신호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칭레버(121a)는 돌기형의 레버를 포함한 플리트 접촉형 또는 평형레버 형태의 스위칭 구동을 하도록 이루어진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도 7과 같이 상기 PCB기판(122)에는 고정용 단자(Com)와, 신호전달 방식 전환용 단자(NC, 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신호전달용 케이블(123)은 고정용 단자(Com)에 설치되는 신호전달용 고정케이블(123a)과, 신호전달 방식 전환용 단자(NC, C)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신호전달용 전환케이블(123b)로 이루어져, 상기 신호전달용 전환케이블(123b)의 설치위치에 따라 시스템에서 전달되는 신호전달방식이 퓨즈 단로상태 신호전달 또는 퓨즈 정상상태 신호전달 방식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하,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 대하여 부가설명을 하면,
종래기술을 나타낸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인 AC전원 및 DC전원에 적용되는 상태표시부가 구비된 퓨즈링크(상태표시형 퓨즈)의 구조는 퓨즈링크(1)에 상태표시부(2)가 부착되는 구조를 가지며, 퓨즈하우징(11)에 결합되는 전원단자(10)에 AC전원 및 DC전원이 연결되고, 전원단자와 연결하여 상태표시부(2)를 고정하는 상태표시고정부(3)에 의해 상태표시부(12)는 퓨즈링크(1) 중심부에 배치되어 고정된다. 퓨즈하우징(11)내부에는 엘레멘트(12)가 배치되며 퓨즈하우징 내부에는 엘레멘트(12)와 퓨즈하우징(11)내부 공간에는 규사(18)로 충진되어진다.
상기 퓨즈하우징(11)의 상측 중심부에는 상태동작부(14)가 배치되어지며, 상태동작부(14)는 부속엘레멘트(13)에 의해 고정되며, 상태동자부(14)내부에는 탄성력을 전달하는 동작스프링(14a)이 내부에 포함되어 진다. 퓨즈링크(1) 상측에 결합되어지는 상태표시부(2) 외형은 상태부시부하우징(16) 중심에는 상태동작부(14)와 연결동작을 수행할 표시동작부(15)가 배치되어지며, 상태표시 동작부의 중심에는 상태표시부하우징(16)과 표시동작부(15)하단부와 고정되는 탄성부재인 스프링이 배치되어진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상태표시부가 구비된 퓨즈링크의 상태표시 동작원리는 전원단자(10)에 AC 및 DC 전원이 연결되어 퓨즈가 장착된 시스템에 사고전류가 유입되면 퓨즈하우징(11) 내부의 엘레멘트(12)에 통전되는 전류의 상승치에 반비례하는 속도로 엘레멘트(12)가 용융되어 단로되고, 엘레멘트(12)가 단로되게 되면, 전원전류가 부속엘레멘트(13)로 집중되게 되어 부속엘레멘트(13)가 단선되게 되어 부속엘레멘트(13)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상태동작부(14)가 동작스프링(14a)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 동작을 하게 되고 이때, 상태동작부(14)는 상태표시부하우징(16) 중심부의 동작가이드(16a)가 안내 장공 역할을 하게되어 중심을 벗어나 이탈하지 않고 표시동작부(15) 측으로 이동하여 표시동작부(15)를 상태표시부하우징(16) 상측으로 이동하여 퓨즈의 엘레멘트(12) 단로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세 예를 나타낸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기술인 상태신호처리부를 가지는 퓨즈링크는, 퓨즈링크(1)의 중심부에 상태표시고정부(3)에 의해 고정되는 상태신호처리부(100)이 배치되어 퓨즈의 엘레멘트(12)가 사고전류에 의해 단로 될 때 AC 및 DC 전원 전류가 부속엘레멘트(13)에 집중되어 부속엘레멘트(13)이 단로되어 상태동작부(14)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태신호처리부(100) 내부의 중심부에 고정되어지는 상태신호전달용 소자(121)의 스위칭레버(121a)를 누름 위치로 동작시켜 상태신호전달용 소자(121)에서 엘레멘트(12)의 상태를 신호로 전달하는 PCB 기판(122)에 전달하고, PCB 기판(122)에 연결되는 신호전달용 케이블(123)를 통해 퓨즈링크가 장착되는 시스템의 제어부에 신호로 전달하게 된다.
실시 예를 나타낸 도 7를 참조하면,
또한, 사고전류 유입으로 인해 엘레멘트(12)가 단로되어 부속엘레멘트(13)이 단로되어 상태동작부(14)가 상측으로 구동하여 상태신호전달용 소자(121)의 스위칭레버(121a)를 누름 위치로 구동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2가지의 신호 전달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상태신호처리 방식의 PCB 기판를 보인 7에서와 같이 같이 PCB 기판(122)에 조립되어지는 상태신호전달용 소자(121)의 스위칭레버(121a)가 상태동작부(14)에 의해 누름 위치로 동작할 때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으로는,
첫째, 단로되지 않은 퓨즈의 정상상태에서는 신호를 전달하지 않고, 시스템에 유입된 사고전류로 인해 엘레멘트가 단로상태일 때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과, 둘째, 엘레멘트가 전류를 전달하는 정상상태에서 신호를 전달하다가 시스템에 유입된 사고전류로 인해 엘레멘트가 단로 되는 경우 신호를 전달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을 구현할 수 있으며, 2가지 방식의 구현을 통해 시스템 사용처의 필요에 맞추어 제작이 가능한 동일구조의 2원화 신호전달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즉, 고정용 단자(Com)와, 신호전달 방식 전환용 단자(NC, C)가 형성되어 있는 PCB기판(122)에서 신호전달용 고정케이블(123a)를 고정용 단자(Com)에 연결하고, 신호전달용 전환케이블(123b)를 신호전달 방식 전환용 단자(NC, C) 중 어느 하나에 연결함으로써 시스템에서 전달되는 신호전달방식이 퓨즈 단로상태 신호전달 또는 퓨즈 정상상태 신호전달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상태신호처리부(100)를 가지는 퓨즈링크는 퓨즈링크와 일체화된 상태신호처리부(100)를 구성한 퓨즈링크를 구현함으로써 진동 등의 영향에 대해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신호 특성을 전달하고, 상태표시부(2)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형상의 상태신호처리부(100)를 부착하여 공간 효율성 및 상태표시부 장착된 퓨즈링크와 상태신호처리부 장착된 퓨즈링크의 제품 크기를 동일하게 하여, AC전원 및 DC전원에 퓨즈를 적용하는 신호처리 제어 방식 시스템의 체적높이를 줄이고 동일한 시스템에서 상태표시부를 가지는 퓨즈링크와 상태신호처리부를 가지는 퓨즈링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적용 효율성 및 통일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 : 퓨즈링크 2 : 상태표시부
3 : 상태표시 고정부 4 : 측면기밀패드
10 : 전원단자 11 : 퓨즈하우징
12 : 엘레멘트 13 : 부속엘레멘트
14 : 상태동작부 14a : 동작스프링
15 : 표시동작부 16 : 상태표시부하우징
16a : 동작가이드 18 : 규사
100 : 상태신호처리부 110 : 상태신호 하우징
120 : 상태신호전달부 121 : 상태신호전달용 소자
122 : PCB 기판 123 : 신호전달용 케이블
130 : 기밀/절연용 패드

Claims (5)

  1. 일면에 사고전류 유입시 구동하는 상태동작부가 구비되고, 이 상태동작부에 의하여 작동할 수 있는 상태표시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태표시고정부가 구비된 퓨즈링크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고정부(3)에 설치되는 상태표시부(2)의 위치에 설치되고, 사고전류 유입시 구동하는 상태동작부(14)로 동작하여 전달되는 신호를 중단하여 시스템에서 퓨즈의 단로상태를 확인되도록 하거나, 퓨즈의 단로상태를 시스템에 신호가 전달하도록 선택할 수 있도록 상태동작부(14)로 동작하도록 스위칭레버(121a)가 구비된 상태신호전달용 소자(121)와, 상기 상태신호전달용 소자(121)가 설치되는 PCB기판(122)과, 시스템에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전달용 케이블(123)를 포함하며, 상기 PCB기판(122)에는 고정용 단자(Com)와, 신호전달 방식 전환용 단자(NC, 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신호전달용 케이블(123)은 고정용 단자(Com)에 설치되는 신호전달용 고정케이블(123a)과, 신호전달방식 전환용 단자(NC, C)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신호전달용 전환케이블(123b)로 이루어져, 상기 신호전달용 전환케이블(123b)의 설치위치에 따라 시스템에서 전달되는 신호전달방식이 퓨즈 단로상태 신호전달 또는 퓨즈 정상상태 신호전달 방식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상태신호전달부(120)가 구비되어 퓨즈의 단로상태를 시스템에 전달하도록 이루어진 상태신호처리부(100)를 가지는 퓨즈링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신호처리부(100)는 퓨즈하우징(11)의 상부에 형성된 상태표시고정부(3)에 설치되는 상태표시부(2)의 동일한 크기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태표시부(2)와 교체설치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신호처리부를 가지는 퓨즈링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신호전달부(120)는 상태표시고정부(3)에 설치시 기밀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밴드형태의 기밀/절연용 패드(130)로 보호되어 외부의 습기와 엘레멘트 단로 시 방출될 수 있는 아크를 차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신호처리부를 가지는 퓨즈링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레버(121a)는 돌기형의 레버를 포함한 플리트 접촉형 또는 평형레버 형태의 스위칭 구동을 하도록 이루어진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신호처리부를 가지는 퓨즈링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태표시고정부(3)에 체결부재로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고정부(111)가 구비되고, 상태신호전달부(120)가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 공간부(110a)를 가지며, 상태동작부(14)가 위치한 퓨즈하우징(11)의 일면과 접촉하는 일측의 면이 개구되도록 이루어지며, 퓨즈하우징(11)의 상부에 형성된 상태표시고정부(3)에 설치되는 상태표시부(2)의 동일한 크기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태표시부(2)와 교체설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상태신호용 하우징(110)을 가지며,
    상기 상태신호용 하우징(110) 내측에는 상태신호용 하우징(110)가 퓨즈하우징(11)에 체결부재로 고정설치시 상태신호전달부(120)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부(110a)에 기밀이 유지도록 하여 외부의 습기와 엘레멘트 단로 시 방출될 수 있는 아크를 차단하도록 밴드형태로 이루어진 기밀/절연용 패드(130)가 구비되며,
    상기 기밀/절연용 패드(130)는 사각형 또는 원형의 밴드형태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태신호용 하우징(110) 내측에는 조립시 기밀/절연용 패드(130)의 형태와 무관하게 형상을 고정시키고 형태를 구성해줄 수 있도록 하는 패드고정구(112)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신호처리부를 가지는 퓨즈링크.
KR1020170082577A 2017-06-29 2017-06-29 상태신호처리부를 가지는 퓨즈링크 KR101812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577A KR101812096B1 (ko) 2017-06-29 2017-06-29 상태신호처리부를 가지는 퓨즈링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577A KR101812096B1 (ko) 2017-06-29 2017-06-29 상태신호처리부를 가지는 퓨즈링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096B1 true KR101812096B1 (ko) 2017-12-28

Family

ID=60939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577A KR101812096B1 (ko) 2017-06-29 2017-06-29 상태신호처리부를 가지는 퓨즈링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09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065B1 (ko) 토크 제한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기 퓨즈
EP2940759B1 (en)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US7692112B2 (en) Control module
US9859080B2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20050024218A1 (en) Fault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8110116A (ja) 一体型uリンクを有する回路遮断器
KR20210033265A (ko) 전력량계 무정전 교체장치
KR101812096B1 (ko) 상태신호처리부를 가지는 퓨즈링크
US20230066646A1 (en) Electric circuit breaker device
JP2004200164A (ja) 熱動電子式配線用遮断器の欠相表示装置
JP4176675B2 (ja) 避雷器
KR102047951B1 (ko) 3상 4선식 전력선통신용 서지보호장치
KR102133309B1 (ko) 서지보호기의 무극성 이중접점 고장신호 생성장치
KR100931774B1 (ko) 차단기의 접속단자용 커넥터 결합체
US6388217B1 (en) Electric power switch with stain relief for attachment wiring
KR20180003170U (ko) 작업자 실수 방지를 위한 보호배전반
CZ299002B6 (cs) Kolébkový spínac a spínací pojistná jednotka
US20200305292A1 (en) Control device installation apparatus and control device unit
CN102210001B (zh) 保险盒
JP2008234945A (ja) バッテリターミナル構造
US20230326698A1 (en) State-indicating device for low current applications with wider operating range
CN108550507A (zh) 一种电子元器件的保险装置
KR101439144B1 (ko) 퓨즈박스 커버의 체결 이상 알림 구조
CN214849596U (zh) 一种配电盒及配电系统
CN212542338U (zh) 一种熔断器开关指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