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806B1 -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806B1
KR101811806B1 KR1020160078465A KR20160078465A KR101811806B1 KR 101811806 B1 KR101811806 B1 KR 101811806B1 KR 1020160078465 A KR1020160078465 A KR 1020160078465A KR 20160078465 A KR20160078465 A KR 20160078465A KR 101811806 B1 KR101811806 B1 KR 101811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sychological
score
test
area
psychological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성한
Original Assignee
명성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성한 filed Critical 명성한
Priority to KR1020160078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8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F17/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에서 실행되는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방법은 학생에 의해 작성된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심리 검사 영역 별로 각각 구분하는 단계,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과 상기 각각의 심리 검사 영역 사이의 연관 점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심리 검사 영역 중 상기 연관 점수가 특정 점수 이상인 심리 검사 영역을 상기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문항에 대해서 학생에 의해 작성된 응답을 점수화하여 심리 검사 문항 별로 점수를 각각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심리 검사 문항 별 점수를 이용하여 해당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점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점수에 따라 백분율, 문자열의 조합 및 그래프를 결정하여 상기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학생들이 작성한 심리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선생님이 생활기록부에 적용해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METHOD OF GENERATING STUDENT RECORD INFORMATION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생활기록부는 학생들의 신체적, 정신적, 정의적, 사회적 발달상황과 이와 관련된 환경 등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기록한 장부를 말한다. 이러한 생활기록부에는 신변사항, 가정환경, 가족관계, 학적사항, 교과성적, 특별활동, 출결사항, 신체발달과 건강상태 등을 기록하게 되며, 이는 학생이 학교를 졸업한 후에도 영구적으로 보관되는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생활기록부는 학생지도, 상급학교 진학 등의 유용한 활용 역시 중요하다. 하지만, 학교생활기록부는 상급학교 진학의 자료로 활용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학교생활기록부는 객관성과 신뢰성이 담보되지 못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5-0026397 (대학생의 학습 역량 및 경력 개발을 위한 이-러닝 포트폴리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학생들이 작성한 심리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선생님이 생활기록부에 적용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학생을 담당하는 선생님이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 및 학생의 교내 및 교외 활동 내용을 첨삭해 객관적인 내용으로 생활기록부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에서 실행되는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방법은 학생에 의해 작성된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심리 검사 영역 별로 각각 구분하는 단계,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과 상기 각각의 심리 검사 영역 사이의 연관 점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심리 검사 영역 중 상기 연관 점수가 특정 점수 이상인 심리 검사 영역을 상기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문항에 대해서 학생에 의해 작성된 응답을 점수화하여 심리 검사 문항 별로 점수를 각각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심리 검사 문항 별 점수를 이용하여 해당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점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점수에 따라 백분율, 문자열의 조합 및 그래프를 결정하여 상기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는 학생에 의해 작성된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심리 검사 영역 별로 각각 구분하고,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과 상기 각각의 심리 검사 영역 사이의 연관 점수를 결정하고, 상기 심리 검사 영역 중 상기 연관 점수가 특정 점수 이상인 심리 검사 영역을 상기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영역으로 결정하는 심리 검사 영역 결정부, 상기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문항에 대해서 학생에 의해 작성된 응답을 점수화하여 심리 검사 문항 별로 점수를 각각 결정하고, 상기 심리 검사 문항 별 점수를 이용하여 해당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점수를 결정하는 심리 검사 점수 결정부 및 상기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점수에 따라 백분율, 문자열의 조합 및 그래프를 결정하여 해당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생활기록부 요약 내용 생성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학생들이 작성한 심리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선생님이 생활기록부에 적용해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학생을 담당하는 선생님이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 및 학생의 교내 및 교외 활동 내용을 첨삭해 객관적인 내용으로 생활기록부를 작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시스템은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 학생 단말(200) 및 선생님 단말(300)을 포함한다.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생활기록부를 작성해야 하는 학교(예를 들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등)의 상담 센터(예를 들어, 교무실)에 배치되며, 학생에 의해 작성된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예를 들어, 진로 적성 진단 검사, 성격 유형 검사, 창의성 종합 검사 등)를 수신하면, 심리 점성 검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예를 들어, 창의적 체험 활동 상황, 희망 진로, 행동 특성 등)의 요약 내용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학생들이 작성한 심리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선생님이 생활기록부에 적용해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학생에 의해 작성된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수신하면,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심리 검사 영역 별로 각각 구분한다. 그런 다음,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과 각각의 심리 검사 영역 사이의 연관 점수를 결정한다.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 별 심리 검사 문항 테이블을 참조하여 심리 검사 영역의 전체 심리 검사 문항 중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을 작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문항 개수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심리 검사 영역의 전체 심리 검사 문항 중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문항이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연관 점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 별 심리 검사 문항 테이블은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 각각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참조되는 심리 검사 문항의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이다. 예를 들어,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 “활동 상황”과 연관된 심리 검사 문항 “좋아하는 운동은?”, “친구들과 활동하는 시간이 얼마인가?” 등이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 별 심리 검사 문항 테이블을 참조하여 심리 검사 영역의 전체 심리 검사 문항 중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문항이 차지하는 비율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 다음,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비율 별 연관 점수 테이블을 참조하여 비율에 해당하는 연관 점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율 별 연관 점수 테이블은 심리 검사 영역의 전체 심리 검사 문항 개수 중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문항 개수의 비율에 따른 연관 점수가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이다. 예를 들어, 비율에 따른 연관 점수가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에는 비율 5%에 해당하는 연관 점수를 5점, 비율 10%에 해당하는 연관 점수 10점이 저장되어 있다.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심리 검사 영역 중 연관 점수가 특정 점수 이상인 심리 검사 영역을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영역으로 결정한다(단계 S340).
예를 들어,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심리 검사 영역 중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과의 연관 점수가 50점 이상인 심리 검사 영역을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문항에 대해서 학생에 의해 작성된 응답을 점수화하여 심리 검사 문항 별로 점수를 각각 결정한다
이때,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심리 검사 문항의 선택 가능 응답 별 점수 테이블을 참조하여 심리 검사 문항의 선택 가능 응답 중 학생에 의해 작성된 응답의 점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심리 검사 문항 별 점수를 이용하여 해당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점수를 결정한다.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심리 검사 영역의 점수에 따라 백분율, 문자열의 조합 및 그래프를 결정하여 해당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자동으로 작성한다.
학생 단말(200)은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작성하는 학생이 보유하는 단말로서,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로부터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에 대한 문서 파일을 수신하며,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에 접속하여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에 대한 문서 파일의 개별 인증 코드를 확인한 후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에 대한 문서 파일을 실행할 수 있다.
선생님 단말(300)은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에 대한 문서 파일을 활용하여 생활기록부를 작성하는 학생의 담당 선생님이 보유하는 단말로서,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로부터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에 대한 문서 파일을 수신하며,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에 접속하여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에 대한 문서 파일의 개별 인증 코드를 확인한 후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에 대한 문서 파일을 실행할 수 있다.
학생 단말(200) 및 선생님 단말(300) 각각에는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는 소정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의 웹 사이트 주소로 접속하여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학생 또는 선생님은 자신의 단말(200, 300)에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의 웹 사이트 주소를 입력하거나 자신의 단말(200, 300)에 설치된 전용 접속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학생 단말(200) 및 선생님 단말(300)은 스마트폰, PDA, 노트북, 테스크 탑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심리 검사 영역 결정부(110), 심리 검사 점수 결정부(120), 생활기록부 요약 내용 생성부(130),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 별 심리 검사 문항 테이블(140), 비율 별 연관 점수 테이블(150), 심리 검사 문항의 선택 가능 응답 별 점수 테이블(160),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심리 검사 점수 별 문자열 테이블(170) 및 문서 파일 제공부(180)을 포함한다.
심리 검사 영역 결정부(110)는 학생에 의해 작성된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수신하면,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심리 검사 영역 별로 각각 구분한다.
일 실시예에서, 심리 검사 영역 결정부(110)는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탐구 영역, 예술 영역, 사회 영역, 수리 영역, 언어 영역, 체육 영역 및 시사 영역 각각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심리 검사 영역 결정부(110)는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과 각각의 심리 검사 영역 사이의 연관 점수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심리 검사 영역 결정부(110)는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 별 심리 검사 문항 테이블(140)을 참조하여 심리 검사 영역의 전체 심리 검사 문항 중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을 작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문항 개수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 별 심리 검사 문항 테이블(140)은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 각각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참조되는 심리 검사 문항의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이다.
따라서,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 별 심리 검사 문항 테이블(140)을 참조하여 심리 검사 영역의 전체 심리 검사 문항 중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문항이 차지하는 비율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 다음, 심리 검사 영역 결정부(110)는 심리 검사 영역의 전체 심리 검사 문항 개수 및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문항 개수 사이의 비율에 따라 연관 점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심리 검사 영역 결정부(110)는 비율 별 연관 점수 테이블(150)을 참조하여 비율에 해당하는 연관 점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율 별 연관 점수 테이블(150)은 심리 검사 영역의 전체 심리 검사 문항 개수 중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문항 개수의 비율에 따른 연관 점수가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이다.
그 후, 심리 검사 영역 결정부(110)는 심리 검사 영역 중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과의 연관 점수가 특정 점수 이상인 심리 검사 영역을 상기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영역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심리 검사 영역 결정부(110)는 심리 검사 영역 중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과의 연관 점수가 50점 이상인 심리 검사 영역을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심리 검사 영역 결정부(11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결정된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영역의 정보를 심리 검사 점수 결정부(120)에 제공한다. 그러면, 심리 검사 점수 결정부(120)는 심리 검사 영역 결정부(110)에 의해 결정된 심리 검사 영역의 점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심리 검사 점수 결정부(120)의 실행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심리 검사 점수 결정부(120)는 심리 검사 영역 결정부(110)에 의해 결정된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문항에 대해서 학생에 의해 작성된 응답을 점수화하여 심리 검사 문항 별로 점수를 각각 결정한다. 이때, 심리 검사 점수 결정부(120)는 심리 검사 문항의 선택 가능 응답 별 점수 테이블(160)을 참조하여 심리 검사 문항의 선택 가능 응답 중 학생에 의해 작성된 응답의 점수를 결정한다. 그 후, 심리 검사 점수 결정부(120)는 심리 검사 문항 별 점수를 이용하여 해당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점수를 결정한다.
이때, 심리 검사 점수 결정부(120)는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을 작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영역의 개수가 하나인 경우,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문항 별 점수를 평균화하여 해당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점수를 결정하거나 심리 검사 문항 별 점수 중 가장 높은 점수를 해당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점수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와는 달리, 심리 검사 점수 결정부(120)는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영역이 두 개 이상인 경우, 두 개 이상의 심리 검사 영역 각각의 점수를 평균화하여 심리 검사 점수를 결정하거나 두 개 이상의 심리 검사 영역 각각의 점수 중 가장 높은 점수를 심리 검사 점수로 결정하거나 두 개 이상의 심리 검사 영역 각각의 점수 중 가장 낮은 점수를 심리 검사 점수로 결정할 수 있다.
심리 검사 점수 결정부(12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결정된 심리 검사 점수를 생활기록부 요약 내용 생성부(130)에 제공한다. 그러면, 생활기록부 요약 내용 생성부(130)는 심리 검사 점수 결정부(120)에 의해 결정된 심리 검사 점수에 따라 백분율, 문자열의 조합 및 그래프를 결정하여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생활기록부 요약 내용 생성부(130)의 실행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생활기록부 요약 내용 생성부(130)는 심리 검사 점수 결정부(120)에 의해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 별로 심리 검사 점수가 결정되면,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심리 검사 점수 별 문자열 테이블(170)을 참조하여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심리 검사 점수에 해당하는 문자열을 독출하고, 문자열을 조합하여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심리 검사 점수 별 문자열 테이블(170)은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심리 검사 점수 별로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문자열(예를 들어, 학생은 예술성과 진취성이 있으면서도 현실적이며 인문/사회/예술계열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등)이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이다.
따라서, 생활기록부 요약 내용 생성부(130)는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심리 검사 점수 별 문자열 테이블(170)을 참조하여 심리 검사 점수에 해당하는 문자열을 조합하여 해당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활기록부 요약 내용 생성부(130)는 심리 검사 점수 결정부(120)에 의해 결정된 심리 검사 점수에 따라 그래프(예를 들어, 막대 그래프, 방사형 그래프, 원형 그래프, 분산형 그래프 등)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활기록부 요약 내용 생성부(130)는 심리 검사 영역 별 심리 검사 점수의 백분율을 표시한 방사형 그래프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문서 파일 제공부(180)는 생활기록부 요약 내용 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된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문서 파일로 생성하여 학생이 보유하는 단말 및 학생을 담당하는 선생님이 보유하는 단말 각각에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학생에 의해 작성된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수신하면(단계 S310),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심리 검사 영역 별로 각각 구분한다(단계 S320).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과 각각의 심리 검사 영역 사이의 연관 점수를 결정한다(단계 S330).
단계 S33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 별 심리 검사 문항 테이블을 참조하여 심리 검사 영역의 전체 심리 검사 문항 중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을 작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문항 개수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심리 검사 영역의 전체 심리 검사 문항 개수 및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문항 개수 사이의 비율에 따라 연관 점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 별 심리 검사 문항 테이블은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 각각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참조되는 심리 검사 문항의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이다.
따라서,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 별 심리 검사 문항 테이블을 참조하여 심리 검사 영역의 전체 심리 검사 문항 중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문항이 차지하는 비율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 다음,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비율 별 연관 점수 테이블을 참조하여 비율에 해당하는 연관 점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율 별 연관 점수 테이블은 심리 검사 영역의 전체 심리 검사 문항 개수 중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문항 개수의 비율에 따른 연관 점수가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이다. 예를 들어, 비율에 따른 연관 점수가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에는 비율 5%에 해당하는 연관 점수를 5점, 비율 10%에 해당하는 연관 점수 10점이 저장되어 있다.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심리 검사 영역 중 연관 점수가 특정 점수 이상인 심리 검사 영역을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영역으로 결정한다(단계 S340). 예를 들어,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심리 검사 영역 중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과의 연관 점수가 50점 이상인 심리 검사 영역을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문항에 대해서 학생에 의해 작성된 응답을 점수화하여 심리 검사 문항 별로 점수를 각각 결정한다(단계 S350).
단계 S35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심리 검사 문항의 선택 가능 응답 별 점수 테이블을 참조하여 심리 검사 문항의 선택 가능 응답 중 학생에 의해 작성된 응답의 점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심리 검사 문항 별 점수를 이용하여 해당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점수를 결정한다(단계 S360).
단계 S36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심리 검사 문항 별 점수를 평균화하여 해당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점수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360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심리 검사 문항 별 점수 중 가장 높은 점수를 해당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점수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360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심리 검사 문항 별 점수 중 가장 낮은 점수를 해당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점수로 결정할 수 있다.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점수에 따라 백분율, 문자열의 조합 및 그래프를 결정하여 해당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자동으로 작성한다(단계 S370).
단계 S37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심리 검사 점수 별 문자열 테이블(170)을 참조하여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심리 검사 점수에 해당하는 문자열을 독출하고, 문자열을 조합하여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심리 검사 점수 별 문자열 테이블은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심리 검사 점수 별로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문자열(예를 들어, 학생은 예술성과 진취성이 있으면서도 현실적이며 인문/사회/예술계열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등)이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이다.
따라서,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심리 검사 점수 별 문자열 테이블을 참조하여 심리 검사 점수에 해당하는 문자열을 조합하여 해당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심리 검사 점수에 따라 그래프(예를 들어, 막대 그래프, 방사형 그래프, 원형 그래프, 분산형 그래프 등)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100)는 심리 검사 영역 별 심리 검사 점수의 백분율을 표시한 방사형 그래프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
110: 심리 검사 영역 결정부
120: 심리 검사 점수 결정부
130: 생활기록부 요약 내용 생성부
140: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 별 심리 검사 문항 테이블
150: 비율 별 연관 점수 테이블
160: 심리 검사 문항의 선택 가능 응답 별 점수 테이블
170: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심리 검사 점수 별 문자열 테이블
180: 문서 파일 제공부
200: 학생 단말
300: 선생님 단말

Claims (14)

  1.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에서 실행되는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방법에 있어서,
    학생에 의해 작성되고 진로 적성 진단 검사, 성격 유형 검사, 창의성 종합 검사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심리 검사 영역 별로 각각 구분하는 단계;
    창의적 체험 활동 상황, 희망 진로, 행동 특성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과 상기 각각의 심리 검사 영역 사이의 연관 점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심리 검사 영역 중 상기 연관 점수가 특정 점수 이상인 심리 검사 영역을 상기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문항에 대해서 학생에 의해 작성된 응답을 점수화하여 심리 검사 문항 별로 점수를 각각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심리 검사 문항 별 점수를 이용하여 해당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점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점수에 따라 백분율, 문자열의 조합 및 그래프를 결정하여 상기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과 상기 각각의 심리 검사 영역 사이의 연관 점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 각각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참조되는 심리 검사 문항의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는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 별 심리 검사 문항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심리 검사 영역의 전체 심리 검사 문항 중 상기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문항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심리 검사 영역의 전체 심리 검사 문항 개수 및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문항 개수 사이의 비율에 따라 상기 연관 점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관 점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심리 검사 영역의 전체 심리 검사 문항 개수 중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문항 개수의 비율에 따른 연관 점수가 저장되어 있는 비율 별 연관 점수 테이블을 참조로 상기 비율에 해당하는 연관 점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문서 파일로 생성하여 상기 학생이 보유하는 단말 및 상기 학생을 담당하는 선생님이 보유하는 단말 각각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문서 파일은 상기 학생이 보유하는 단말 및 상기 학생을 담당하는 선생님이 보유하는 단말 각각에 탑재된 프로그램 또는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의 웹 사이트 주소 접속을 통해 상기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문서 파일에 대한 개별 인증 코드가 확인되어야 실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심리 검사 영역 별로 각각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탐구 영역, 예술 영역, 사회 영역, 수리 영역, 언어 영역, 체육 영역 및 시사 영역 각각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문항에 대해서 학생에 의해 작성된 응답을 점수화하여 심리 검사 문항 별로 점수를 각각 결정하는 단계는
    심리 검사 문항의 선택 가능 응답 별 점수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심리 검사 문항의 선택 가능 응답 중 상기 학생에 의해 작성된 응답의 점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영역이 두 개 이상인 경우, 상기 두 개 이상의 심리 검사 영역 각각의 점수를 평균화하여 심리 검사 점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방법.
  7. 삭제
  8. 학생에 의해 작성되고 진로 적성 진단 검사, 성격 유형 검사, 창의성 종합 검사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심리 검사 영역 별로 각각 구분하고, 창의적 체험 활동 상황, 희망 진로, 행동 특성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과 상기 각각의 심리 검사 영역 사이의 연관 점수를 결정하고, 상기 심리 검사 영역 중 상기 연관 점수가 특정 점수 이상인 심리 검사 영역을 상기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영역으로 결정하는 심리 검사 영역 결정부;
    상기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문항에 대해서 학생에 의해 작성된 응답을 점수화하여 심리 검사 문항 별로 점수를 각각 결정하고, 상기 심리 검사 문항 별 점수를 이용하여 해당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점수를 결정하는 심리 검사 점수 결정부; 및
    상기 심리 검사 영역의 심리 검사 점수에 따라 백분율, 문자열의 조합 및 그래프를 결정하여 해당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생활기록부 요약 내용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심리 검사 영역 결정부는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 각각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참조되는 심리 검사 문항의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는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 별 심리 검사 문항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심리 검사 영역의 전체 심리 검사 문항 중 상기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문항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심리 검사 영역의 전체 심리 검사 문항 개수 및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문항 개수 사이의 비율에 따라 상기 연관 점수를 결정하고,
    상기 심리 검사 영역 결정부는
    심리 검사 영역의 전체 심리 검사 문항 개수 중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문항 개수의 비율에 따른 연관 점수가 저장되어 있는 비율 별 연관 점수 테이블을 참조로 상기 비율에 해당하는 연관 점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문서 파일로 생성하여 상기 학생이 보유하는 단말 및 상기 학생을 담당하는 선생님이 보유하는 단말 각각에 제공하는 문서 파일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문서 파일은 상기 학생이 보유하는 단말 및 상기 학생을 담당하는 선생님이 보유하는 단말 각각에 탑재된 프로그램 또는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의 웹 사이트 주소 접속을 통해 상기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문서 파일에 대한 개별 인증 코드가 확인되어야 실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검사 영역 결정부는
    상기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심리 적성 검사 데이터를 탐구 영역, 예술 영역, 사회 영역, 수리 영역, 언어 영역, 체육 영역 및 시사 영역 각각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
  10. 삭제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검사 점수 결정부는
    심리 검사 문항의 선택 가능 응답 별 점수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심리 검사 문항의 선택 가능 응답 중 상기 학생에 의해 작성된 응답의 점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검사 점수 결정부는
    상기 생활기록부 작성 대상 문항의 요약 내용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 영역이 두 개 이상인 경우, 상기 두 개 이상의 심리 검사 영역 각각의 점수를 평균화하여 심리 검사 점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서버.
  14. 삭제
KR1020160078465A 2016-06-23 2016-06-23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1811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465A KR101811806B1 (ko) 2016-06-23 2016-06-23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465A KR101811806B1 (ko) 2016-06-23 2016-06-23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1806B1 true KR101811806B1 (ko) 2017-12-22

Family

ID=60936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465A KR101811806B1 (ko) 2016-06-23 2016-06-23 생활기록부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8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9472A (zh) * 2020-05-14 2020-08-28 重庆大学 用于学生心理状态识别的方法及装置、计算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3116A (ja) * 2010-04-30 2011-11-17 Kobunshoin Co Ltd 学習指導支援装置、その方法及び学習指導支援プログラム
JP2013190858A (ja) * 2012-03-12 2013-09-26 Softbank Mobile Corp 面接支援サーバ装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3116A (ja) * 2010-04-30 2011-11-17 Kobunshoin Co Ltd 学習指導支援装置、その方法及び学習指導支援プログラム
JP2013190858A (ja) * 2012-03-12 2013-09-26 Softbank Mobile Corp 面接支援サーバ装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9472A (zh) * 2020-05-14 2020-08-28 重庆大学 用于学生心理状态识别的方法及装置、计算机
CN111599472B (zh) * 2020-05-14 2023-10-24 重庆大学 用于学生心理状态识别的方法及装置、计算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ms et al.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 critical review
Mees-Buss et al. From templates to heuristics: How and why to move beyond the Gioia methodology
Murphy et al. An analysis of Australian STEM education strategies
Ardoin et al. Environmental education and K-12 student outcomes: A review and analysis of research
Largan et al. Qualitative secondary research: A step-by-step guide
Renn LGBT and queer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The state and status of the field
Moss et al.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developmental mathematics by embedding a randomized experiment within a regression discontinuity design
Maguire et al. What ever happened to…?‘Personalised learning’as a case of policy dissipation
Stellmack et al. Review, revise, and resubmit: The effects of self-critique, peer review, and instructor feedback on student writing
Metzger et al. The new political voice of young Americans: Online engagement and civic development among first-year college students
McMahon et al. School Counseling Intervention Research on College Readiness, College Access, and Postsecondary Success: A 10-Year Content Analysis of Peer-Reviewed Research.
Hodge et al. (Un) Commonly connected: A social network analysis of state standards resources for English/language arts
Thomaz et al. Improving the mentoring process for social entrepreneurship in Portugal: A qualitative study
Shaw Arts teacher evaluation: How did we get here?
McArdle et al. Play meets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Craver Not just for beginners-A review of successful qualitative research: A practical guide for beginners
Sonke et al. The arts and health communication in Uganda: a light under the table
Stojmenovska et al. Teaching replication to graduate students
Smith The emergence of the quantified child
Bellová et al. Are attitudes towards science and technology related to critical areas in science education?
Crook et al. How new technology is addressed by researchers in Educational Studies: Approaches from high‐performing universities in China and the UK
Missen et al. Systematic review and usability evaluation of writing mobile apps for children
Mitnick The distinction of fields
Joyce Academic integrity and plagiarism: Australasian perspectives
Kruger Ahead of the e-curve in fact checking and verification education: The University of Hong Kong’s cyber news verification lab leads verification education in As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