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995B1 - Linear control and fixing divice of girder - Google Patents

Linear control and fixing divice of gir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995B1
KR101810995B1 KR1020170015444A KR20170015444A KR101810995B1 KR 101810995 B1 KR101810995 B1 KR 101810995B1 KR 1020170015444 A KR1020170015444 A KR 1020170015444A KR 20170015444 A KR20170015444 A KR 20170015444A KR 101810995 B1 KR101810995 B1 KR 101810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fixed
saddle
fixing
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4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영덕
Original Assignee
권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덕 filed Critical 권영덕
Priority to KR1020170015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99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9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earity adjustment and fixation apparatus for a girder, and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reely and easily adjust linearity of a girder when linearity of a girder installed in one pier is not completely matched with linearity of a girder installed in the other pier during construction of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to adjust and fixate the linearity between one girder and the other girder facing with the one gird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comprises: a plurality of saddle parts fixated on an upper surface of one girder and an upper surface of the other girder; a pair of linearity adjustment parts disposed in a shape crossing between the girders, allowing one side to face one saddle part, and allowing the other side to face the other saddle part placed on a diagonal line of the saddle part; and a control part mounted on each saddle part and generating tensile force in the linearity adjustment part to match the linearity of the girders.

Description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LINEAR CONTROL AND FIXING DIVICE OF GIRDER}[0001] DESCRIPTION [0002] LINEAR CONTROL AND FIXING DIVICE OF GIRDER [0003]

본 발명은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교, 철도교등, FCM(Free Cantilever Method)공법으로 시공되는 교량에서 거더를 연속화 시키기 위해 연결부(Key Segment)의 시공 시 설계 및 시공오차를 보정하고 거더의 선형이 일치하도록 선형 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ear adjustment and fixing device for a gir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sign and construction method of a key segment in order to serialize a girder in a bridge constructed by FCM (Free Cantilever Method) To a linear adjustment and fixing device for a girder which is capable of linear adjustment and fixing such that the linearity of the girder is matched.

일반적으로, 교량은 하천 등을 횡단하는 구조물로서, 교각기초, 교각, 상기 교각 두부에 시공되는 거더로 구성되고, 도로교, 철도교, 인도교, 등이 있다.Generally, a bridge is a structure that traverses a river or the like, and is composed of a bridge pier foundation, a pier bridge, and a girder installed on the pier bridge head, and there are a bridge, a railway bridge, a bridge bridge and the like.

이러한 교량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다수의 교각 및 교대,시공 절차에 따라 어느 교각에서 순차적으로 시공되는 거더로 구성된다.These bridges consist of a number of bridge piers that ar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and girders that are sequentially constructed from any bridge pier according to the alternation and construction procedure.

그리고, FCM(Free Cantilever Method)공법은 특수한 장비를 이용하여각각의 교각에서 시공되는 거더가 좌,우 상,하로 상호 평형을 이루면서 순차적으로 접합해 나가며 경간을 구성하고 인접한 교각에서 진행해 온 거더와 접합 함으로서 상부 거더를 완성하는 공법이다.The FCM (Free Cantilever Method) method uses special equipment to make the girders constructed at each bridge pier in order to be balanced with each other in left, right, and bottom and form a span, This is the method to complete the upper girder.

이때, 상기 각각의 거더를 하나의 거더로 연결하는 위치에서 선형이 일치하도록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시공 오차 등의 요인으로 인해 연결부에서 선형이 일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it is common that the girders are linearly matched at a position connecting the girders by a single girder.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nearity of the connection portions is not coincident due to a construction error or the like.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시공 현장에서 약 4개의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한 다음 어느 하나의 거더 상면에 2개의 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하고 상기 거더와 마주하는 다른 거더의 상면에도 2개의 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한 다음 수직강봉으로 거더의 상면에 고정한다. 그 큰크리트 블록에 수평으로 2개의 인장재를 X자 형태로 콘크리트 블록에 관통 설치 후 인장정착구에서 인장재를 인장하여 마주하는 2개의 거더가 선형이 일치하도록 조절하였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conventional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bout four concrete blocks are manufactured at the construction site, then two concrete blocks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one of the girders, And then fix i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with vertical steel rods. Two tensile materials were horizontally inserted into the concrete block in the X - shape horizontally on the large crack block, and then tensioned at the tensile fixture to adjust the two girders facing each other to have a linear shape.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의 경우 실물 제작에서의 제작오차 및 대각선으로 마주하는 블록의 설치오차, 그리고 거더의 시공오차를 보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편각변화 등으로 X자 인장재를 인장 정착 시 정착단의 인장재가 꺾임이 발생하고, 꺾인 인장재는 파단의 위험이 있어 재사용이 불가하며, 제작과정이 복잡하고 중량의 과다로 사용의 불편성등, 사용후 콘크리트 폐기물 발행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oncrete block, when the tensile fixation of the X-shaped tensile material due to the manufacturing error in the real production, the installation error of the block facing the diagonal line, and the deviation angle occurring in the correction process of the gird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ent tensile material is broken and the reuse is impossible and the concrete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concrete waste is discharged after the use such as the inconvenience of the excessive use of the weight

또한, 상부버팀대는 거더 벽체에 설치되며, 설치 시 기존에 매립된 철근과의 간섭으로 설치가 매우 어렵고, 버팀대 단부가 세그먼트와 상호 등분포 하중을 받을수 있도록 고강도 몰탈을 충진 하여야 한다. 또 콘크리트 타설 시 버팀대의 하단에 공극이 발생하여도 조치가 불가하며, 콘크리트 구체에 매몰되어 재사용이 불가하다.In addition, the upper brace is installed in the girder wall, and it is very difficult to install due to the interference with the existing reinforced bar during the installation, and the high strength mortar should be filled so that the end of the brace receives the uniform distribution load with the segments. In addition, when concrete is poured, even if pores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races, measures can not be taken and they are buried in concrete spheres and can not be reused.

그리고, 하부버팀대 또한 거더 내부의 헌치와 헌치 사이에 위치하여 하부버팀대 양쪽 단부가 등분포 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고강도 몰탈을 충진 하고 설계강도에 도달까지 양생 시간이 필요하고, 사용 후 해체 또한 매우 어려워 산소절단 후 폐기한다. 따라서 고가의 제품을 제작하여 일회성으로 상용 후 폐기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bottom brace is also locat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weights of the girder so that both ends of the lower brace are filled with high strength mortar so that both ends receive uniformly distributed load. Curing time is required until the design strength is reached, Dismantle after cutting.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an expensive product is produced and used after one-time commercial use

등록특허공보 제10-1569061호(2015.11.09)Patent Registration No. 10-1569061 (2015.11.09)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교량의 거더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어느 하나의 교각에 시공된 거더와 다른 교각에 시공된 각각의 거더가 하나의 거더로 연결되는 과정에서 선형이 완벽하게 일치하지 못할 경우, 거더의 선형을 자유롭고 용이하게 보정한 다음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는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irder bridge structure in which, when a girder of a bridge is install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near adjustment and fixing device for a girder which can freely and easily correct the linearity of the girder and fix it to maintain the state.

본 발명에 따른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는, 거더 및 상기 거더와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마주하는 다른 거더 간의 선형을 조절 및 고정하는 장치로서,The linear adjustment and fixing device for a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adjusting and fixing a linear shape between a girder and another girder fac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girder,

상기 거더의 상면과 다른 하나의 거더 상면에 복수개로 고정되는 새들부, 상기 거더들의 사이에서 교차되는 형태로 배치되되, 일측이 어느 하나의 새들부와 마주하고 타측은 상기 새들부와 대각선상에 위치된 다른 새들부와 마주하는 한 쌍의 선형조절부, 상기 새들부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선형조절부에 인장력을 발생시켜 거더들의 선형을 일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saddle portion which is fixed on a top surface of the other girder and a saddle portion which is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addle and which is arranged to cross between the girders, And a control unit mounted on the saddle portion and generating a tensile force in the linear regulating unit to align the linearity of the girders.

그리고, 상기 새들부 중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며, 그 사이에 상기 제어부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편이 형성되고,The saddle por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 hinge piece is formed between the saddle portions to allow the control portion to be pivotally inserted.

상기 제어부의 회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힌지편과 제어부에 순차적으로 관통 설치되는 회동축을 더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pivot shaft that is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hinge piece and the control unit so as to stop the rotation of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새들부는 상면과 바닥면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박스형상의 함체 내부에 다수개의 리브를 종,횡 방향으로 교차 형성시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addle portion is formed by intersecting a plurality of ribs longitudinally and transversely in a box-shaped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so as to pass through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그리고, 상기 리브들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공간에 수용되되, 상측이 상기 새들부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측은 상기 새들부의 관통홀과 거더의 상면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고정재,The fixing member is accommodated in at least one space selected from the spaces formed between the ribs. The fixing member protrudes upward from the saddle portion. The fixing member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saddle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상기 고정재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체결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And fixing members fastened and fix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xing member,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In addition,

어느 하나의 거더 상면에 고정된 새들부들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선형조절부의 일측에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인장정착부, 상기 인장정착부가 장착된 새들부와 대각선상에 위치된 다른 새들부들에 각각 장착되고, 선형조절부의 타측을 고정하는 고정정착부로 구성된다.A tensile fixing unit mounted on the saddle portions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any one of the girders and generating tensile force on one side of the linear regulating unit, respectively, the saddle unit having the tensile fixing unit and the saddle units arranged diagonally, And a fixed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other side of the linear regulating portion.

또한, 상기 인장정착부는,The tensile fixing unit may further comprise:

일측이 상기 회동축을 통해 힌지편의 사이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리브를 통해 구획되며 상기 리브를 관통한 상기 선형조절부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제1공간과 제2공간이 분할 형성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제1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측이 상기 제1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고, 상기 선형조절부의 외면에 장착 고정되는 제1인장가이드, 상기 제2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측이 상기 리브에 지지되고, 상기 선형조절부의 외면에 장착 고정되는 제2인장가이드, 상기 제2공간에 압력을 공급하여 상기 제1인장가이드와 제2인장가이드가 선형조절부를 인장시키도록 하는 유압공급부로 구성된다.A first housing having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formed by dividing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the first space being fixed to one side of the hinge pivot through the pivot shaft, the first space being partitioned through a rib and receiving a part of the linear regulator penetrating the rib, A first tension guide which is supported by an inner wall of the first housing in a state of being housed in a first space of the housing and which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inear adjuster, A second tension guide mounted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inear regulator, and a hydraulic pressure supply unit for supplying pressure to the second space to tension the linear regulator by the first tension guide and the second tension guide.

그리고, 상기 고정정착부는,The fixed fixing unit may include:

일측이 상기 회동축을 통해 힌지편의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마주하는 일측면에 지지벽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지지벽을 관통한 선형조절부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의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지지벽에 지지되고, 상기 선형조절부의 외면에 장착고정되는 정착가이드로 구성된다.A first housing having a support wall formed on one side thereof facing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having a space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linear adjustment portion passing through the support wall, And a fixation guide whose one e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wall in a state of being housed in the space of the second housing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inear regulator.

또한, 상기 거더 및 상기 거더와 마주하는 다른 거더의 처짐을 방지하는 상부버팀대를 더 포함하고,Further,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top brace for preventing sagging of the girder and the other girder facing the girder,

상기 상부버팀대는,The upper brace,

어느 하나의 거더에 고정된 새들부와 다른 하나의 거더에 고정된 새들부의 사이에 길이방향이 수평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양측면에는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제1체결부가 돌출 형성된 상부버팀부재, 어느 하나의 거더에 고정된 새들부 및 다른 하나의 거더에 고정된 새들부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곡선 형상의 제1수용홈이 함몰 형성된 제1브라켓, 상기 상부버팀부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되, 일측에 상기 제1수용홈에 수용되는 곡선 형상의 제2수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제2체결부가 상기 제1체결부와 마주하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정착부, 상기 제1체결부의 외주연과 제2체결부의 외주연에 동시 체결되어 상기 상부버팀부재와 정착부를 연결하며, 외주연을 따라 다수개의 회전안내돌기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연결부로 구성된다.An upper strut member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oriented horizontally between a saddle portion fixed to one of the girders and a saddle portion fixed to the other of the girders and having a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with spiral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first bracket provided on a saddle portion fixed to one girder and a saddle portion fixed to the other girder and having a curved first receiving recess formed on a surface facing each other, A second receiv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formed with a curved second receiving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a plurality of rotation guide protrus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art,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거더 및 상기 거더와 마주하는 다른 거더의 거동을 강결 구속하는 하부버팀대를 더 포함하고,And a lower brace for strongly restraining the behavior of the girder and another girder facing the girder,

상기 하부버팀대는,The lower brace,

일측이 어느 하나의 거더에 설치된 제1헌치에 고정되고 타측은 마주하는 거더에 고정된 제2헌치와 마주하는 하부버팀부재, 상기 하부버팀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양방향으로 슬라이드 직선 운동하며, 상기 제1헌치와 마주하는 면에 곡선 형상의 제3수용홈이 형성된 로드, 상기 제1헌치에 고정되고 상기 로드와 마주하는 면에 제3수용홈에 수용되는 곡선 형상의 제3수용부가 형성되는 제2브라켓으로 구성된다.A lower strut member having one side fixed to a first hammering unit installed on one of the girders and the other side facing a second hamming unit fixed to a facing girder, a sliding member linearly moving in both directions inserted into the lower strut member, And a third receiving groove form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rod and having a curved shape, the third receiving groove being formed in a curved third receiving groove, Bracket.

본 발명에 따른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는, 세그먼트교량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어느 하나의 교각에 시공된 거더와 다른 교각에 시공된 거더가 선형이 일치하지 못할 경우, 선형조절부의 인장정착부를 통해 거더의 선형을 매우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새들부의 설치오차와 조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편각에 대해, 조인트가 수직, 수평각을 수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linear adjustment and fixing apparatus for a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girder installed on one of the bridge piers and a girder installed on another bridge pier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segment bridg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linearity of the girder can be very easily adjusted and that the joint can converg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a deviation angle occurring in the saddle portion mounting error and adjustment process.

그리고, 거더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버팀대는, 지지대인 새들부로부터 양단의 연결부를 회전시켜 해체가 용이하고, 설치오차와 조정 시 발생하는 편각을 수렴할 수 있도록 양단에 곡면 형상의 제1브라켓을 장착 하으며, 하부버팀대 또한 콘크리트 헌치와 헌치 사이에서 압축력을 받고 있을 때 유압을 감압하여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upper brace for preventing the sagging of the girder is provided with a curved first bracket at both ends so as to facilitate disassembly by rotating the connecting portions at both ends from the saddle portion as a support, And the lower bracing member can also be easily separated by decompressing the hydraulic pressure when the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between the concrete hunting unit and the hunting un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가 거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에 적용된 새들부와 선형조절부 및 제어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에 적용된 새들부 및 상부버팀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에 적용된 새들부와 상부버팀대 및 하부버팀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에 적용된 새들부 및 하부버팀대가 거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에 적용된 하부버팀대가 헌치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에 적용된 새들부와 선형조절부 및 제어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를 통해 거더의 선형을 조절하는 예를 도시한 평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near adjustment and fixing device for a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girder;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saddle portion, a linear regulator and a control portion connected to a linear regulating and fixing device for a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addle portion and an upper brace applied to a linear adjustment and fixing device for a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addle portion, a top brace, and a bottom brace that are connected to a linear adjustment and securing device for a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saddle portion and a lower bracket applied to a girder, which are applied to a linear adjustment and fixing device for a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ower brace applied to a linear adjustment and fixing device for a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hammert.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addle portion, a linear adjustment portion, and a control portion, which are applied to a linear adjustment and fixing device for a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8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djusting the linearity of a girder through a linear adjusting and fixing device for a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Like parts are designated with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가 거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에 적용된 새들부와 선형조절부 및 제어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에 적용된 새들부 및 상부버팀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에 적용된 새들부와 상부버팀대 및 하부버팀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에 적용된 새들부 및 하부버팀대가 거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에 적용된 하부버팀대가 헌치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에 적용된 새들부와 선형조절부 및 제어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를 통해 거더의 선형을 조절하는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near adjusting and fixing device for a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girder, FIG. 2 is a side view of the linear adjusting and fixing device for a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saddle portion and a top brace connected to a linear adjusting and fixing device for a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linear adjustment for a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addle portion and a lower brace applied to a fixing device connected to a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ower brace applied to a linear adjustment and fixing device for a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hutch, Fig. 7 is a side view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a saddle portion, a linear regulating portion and a control portion connected to the linear regulating and fixing device for a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에 따른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1)는 도로교 또는 철도교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거더 및 상기 거더와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마주하는 다른 거더 간의 선형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을 갖는 것으로, 새들부(10), 선형조절부(20), 제어부(30)를 포함한다.The linear adjustment and fixing device 1 for a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earity between a girder and another girder facing a girder while being spaced from the gird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can be easily adjust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bridge or a bridge, A saddle portion 10, a linear regulating portion 20, and a control portion 3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리성을 위해 도 1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된 거더를 제1거더(G1)라 하고, 우측에 위치된 거더를 제2거더(G2)라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girder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FIG. 1 is referred to as a first girder G1, and the girder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thereof is referred to as a second girder G2.

상기 새들부(10)는 제1거더(G1)와 제2거더(G2)의 선형을 일치 시키기위한 선형조절부(20) 및 제어부(30)가 설치되는 기반이 되는 것으로, 상기 제1거더(G1)와 제2거더(G2)의 상면에 2개씩 고정된다.The saddle portion 10 serves as a base on which the linear regulating portion 20 and the control portion 30 for aligning the linearity of the first girder G1 and the second girder G2 are provided. G1 and the second girder G2.

이때, 상기 제1거더(G1)와 제2거더(G2)의 상면에 고정되는 새들부(10) 각각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 되면서 동일선상에 위치된다.At this time, the saddle portions 10 fix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girder G1 and the second girder G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ositioned on the same line.

이러한 새들부(10)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의 함체(11) 내부에 다수개의 리브(12)가 종,횡 방향으로 교차 형성되어 구성된다.The saddle portion 10 includes a plurality of ribs 12 crosswis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in a housing 11 of a rectangular box shape whose upper surface is opened.

그리고, 상기 리브(12)로 인해 상기 새들부(1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구획된 공간이 형성되며, 작업자는 상기 구획된 공간을 통해 추후 시공될 텐던의 위치에 상관하지 않고 고정재(40)와 고정부재(50)를 통해 제1거더(G1)와 제2거더(G2)의 상면에 새들부(10)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A plurality of divided spaces are formed in the saddle portion 10 due to the ribs 12. The operator can move the saddle portion 10 through the partitioned space withou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tandem to be installed later, The saddle portion 10 can be easi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irder G1 and the second girder G2 through the fixing member 50. [

아울러 상기 리브(12)는 새들부(10)의 강성을 증대시킴에 따라, 제1거더(G1)와 제2거더(G2)의 선형을 일치시키는 과정에서 새들부(10)가 휨,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since the rib 12 increases the rigidity of the saddle portion 10, the saddle portion 10 is not warped or deformed in the course of aligning the linearity of the first girder G1 and the second girder G2 .

상기 고정재(40)는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 원형바 형태이며,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재(40)는 상기 구획된 공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공간에 수직하게 수용되되, 상측이 상기 새들부(1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측은 상기 새들부(10)의 관통홀(11a)과 거더의 상면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그 하측으로 돌출된다.The fixing member 40 is in the form of a circular ba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ameter, and a spiral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The fixing member 40 is vertically received in one or more selected spaces among the divided spaces and the upper side protrudes to the upper side of the saddle portion 10 and the lower side protrudes upward from the through hole 11a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and protrudes downward.

상기 고정부재(50)는 와셔(51)와 너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50 may be formed by a washer 51 and a nut.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와셔(51)의 중공에 고정재(40)의 상측이 관통하도록, 새들부(10)의 상면에 와셔(51)를 안착한 다음 고정재(40)에 너트를 체결하여 와셔(51)를 새들부(10)에 밀착 고정시키는 한편, 거더의 저부에서는 와셔(51)의 중공에 고정재(40)의 하측이 관통하도록, 거더의 천장면에 와셔(51)를 위치 시킨 다음 고정재(40)에 너트를 체결하여 와셔(51)를 거더에 밀착 고정 시키므로서, 상기 새들부(10)를 제1거더(G1) 및 제2거더(G2)의 상면에 안정적 고정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washer 51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addle portion 10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member 40 passes through the hollow of the washer 51, and then the nut is fastened to the fixing member 40, The washer 51 is positioned on the ceiling of the girder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member 40 passes through the hollow of the washer 51 at the bottom of the girder, The saddle portion 10 can be stably fix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girder G1 and the second girder G2 by fastening the washer to the washer 51 by tightly fixing the washer 51 to the girder.

이상 설명한 새들부(10) 중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힌지편(13)이 형성된다.On the surfaces of the saddle portions 10 facing each other, the hinge pieces 13 spac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re formed.

상기 힌지편(13)이 이격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 인해 그 사이에는 후술되는 제어부(30)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Since the hinge piece 13 is formed in a spaced-apart form,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a part of the control unit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therebetween.

상기 힌지편(13)을 통한 새들부(10)와 제어부(30)의 결합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combination of the saddle portion 10 and the control portion 30 via the hinge piece 1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이상 설명한 새들부(10)에는 상기 제1거더(G1) 및 상기 제2거더(G2)의 처짐을 방지하는 상부버팀대(60)가 설치된다.The saddle portion 10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pair of upper struts 60 for preventing sagging of the first girder G1 and the second girder G2.

상기 상부버팀대(60)는 상부버팀부재(61), 제1브라켓(62), 정착부(63), 연결부(64)로 구성된다.The upper brace 60 includes an upper brace member 61, a first bracket 62, a fixing unit 63, and a connection unit 64.

상기 상부버팀부재(6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거더(G1)에 고정된 새들부(10)와 제2거더(G2)에 고정된 새들부(10)의 사이에 길이방향이 수평을 향하도록 배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upper strut member 61 is provided between the saddle portion 10 fixed to the first girder G1 and the saddle portion 10 fixed to the second girder G2.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상부버팀부재(61)는 제1거더(G1)와 제2거더(G2)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강성이 우수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며,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원형 막대 또는 다각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upper strut member 61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superior rigidity so as to stably support the load of the first girder G1 and the second girder G2 to prevent sagging, and has a constant length and thickness Shaped bar or polygonal bar shape.

그리고, 상기 상부버팀부재(61)의 양측면 중앙 부분에는 제1체결부(611)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The first fastening portions 611 are protruded from the central portions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upper strut member 61.

상기 제1체결부(611)는 상부버팀부재(61)를 정착부(63)에 일체로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가지며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볼트 형태로 형성된다.The first fastening part 611 is for integrally fastening the upper supporting part 61 to the fixing part 63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bol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ameter and formed with a spiral on the outer peripheral edge.

상기 제1체결부(611)는 상기 상부버팀부재(61)와 별도로 제작된 후 용접을 통해 결합되거나, 상부버팀부재(61)의 제작과정 중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portions 611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upper fastening members 61 and then welded together o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fastening members 61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상기 제1체결부(611) 또한 제1거더(G1)와 제2거더(G2)의 사이에서 축력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이 우수한 재질에 의해 형성된다.The first fastening portion 611 is also formed of a material having superior rigidity so as to stably support the axial force between the first girder G1 and the second girder G2.

상기 제1브라켓(62)과 정착부(63)는 상기 상부버팀대(60)를 새들부(10)들의 사이에 연결함에 있어, 무수축 몰탈 타설 공정 등 별도의 마감 공정 없이도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first bracket 62 and the fusing unit 63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any additional finishing process such as a no shrinkage mortar pouring process when the upper braces 60 are connected between the saddle portions 10 will be.

구체적으로, 상기 제1브라켓(62)은 제1거더(G1)에 고정된 새들부(10) 및 제2거더(G2)에 고정된 새들부(10)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상부버팀부재(61)를 사이에 두고 수평선상에 위치된다.Specifically, the first bracket 62 is installed on the saddle portion 10 fixed to the first girder G1 and the saddle portion 10 fixed to the second girder G2, Is positioned on a horizontal line with a space therebetween.

이때, 상기 제1브라켓(62)은 상기 상부버팀부재(61)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이 우수한 재질에 의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irst bracket 62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superior rigidity so as to stably support the load of the upper strut member 61.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62)은 상기 새들부(10)와 별도로 제작된 후 용접을 통해 결합되거나, 새들부(10)의 제작과정 중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bracket 62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saddle portion 10 and then welded to the saddle portion 10 or may be integrally formed during the manufacturing of the saddle portion 10. [

이러한 제1브라켓(62)은 평판 형상이면서 정착부(63)와 마주하는 면에 곡선 형상의 제1수용홈(62a)이 함몰 형성된다.The first bracket 62 has a flat plate-like shape and a curved first receiving groove 62a is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fixing unit 63.

상기 정착부(63)는 상기 제1브라켓(62)에 정착되어 상기 상부버팀부재(61)가 새들부(10)의 사이에서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버팀부재(6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The fixing unit 63 is fixed to the first bracket 62 so that the upper strut member 61 can be stably fixed between the saddle portions 10. The upper strut member 61 is fixed to the first bracket 62, Respectively.

상기 정착부(63)는 사각판(631)의 일측으로 제2수용부(632)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제2체결부(633)를 형성하여 구성된다.The fixing unit 63 includes a second receiving portion 632 formed at one side of the rectangular plate 631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633 formed at the other side.

상기 제2수용부(632)는 곡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부분이 상기 제1수용홈(62a)에 수용된다.The second receiving portion 632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nd a part of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632 is receiv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62a.

여기서, 종래에도 거더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제1거더(G1)와 제2거더(G2)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제1거더(G1)와 제2거더(G2)에 사각형 형상의 헌치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헌치의 사이에는 사각형 형상의 상부버팀대를 설치하였으나, 헌치와 상부버팀대는 콘크리트나 금속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각각의 외면 전체가 평평하지 못하고 간헐적으로 경사지거나 굴곡진 부분이 형성된다.Here, in order to prevent sagging of the first girder G1 and the second girder G2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girder in the related art, a square-shaped hunting is applied to the first girder G1 and the second girder G2 The upper and the lower braces are made of concrete or metal. Therefore, the entire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hatches and the upper braces is not flat, and an inclined or curved portion is formed intermittently.

이와 같은 종래의 상부버팀대의 양단을 헌치에 접촉시켰을 경우, 그 사이에 빈 공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빈 공간에 무수축 몰탈을 타설 양생해야 하므로, 거더의 시공기간이 불필요하게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both ends of the conventional upper brace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hammers, there is a problem that an empty space is generated between them. To solve this problem, the non-shrinkage mortar must be cured in the empty space. There is an increasing problem.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1)에 적용된 제2수용부(632)와 제1수용홈(62a)은 서로 대응되는 크기 및 곡선을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2수용부(632)는 제1수용홈(62a)에 수용되었을 경우 어느 일부분이 제1수용홈(62a)의 내면에서 이격되지 않고 완벽히 밀착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더욱이, 제1수용홈(62a)의 내벽면은 제2수용부(632)를 지지하는 지지턱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2수용부(632)의 인출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종래와 같이 무수축 몰탈을 타설 및 양생하지 않아도 상부버팀대(60)를 새들부(10)에 완벽히 밀착된 상태로 안전하게 결합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632 and the first receiving groove 62a applied to the linear adjusting and fixing device 1 for a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to have a size and a curv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portion 632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when the first receiving groove 62a is receiv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62a, a portion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62a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62a. In addition, since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62a serves as a supporting jaw for supporting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632,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632 is completely prevented from being drawn out, The upper brace 60 can be securely coupled to the saddle portion 10 in a completely close contact state without being poured and cured.

그리고, 상기 제2체결부(633)는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가지며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볼트 형태로 형성된다.The second fastening portions 633 are formed in a bolt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ameter and formed with helix on the outer peripheral edge.

상기 제2체결부(633)는 상기 사각판(631)과 별도로 제작된 후 용접을 통해 결합되거나, 사각판(631)의 제작과정 중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fastening portion 633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rectangular plate 631 and then joined together through welding or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rectangular plate 631. [

상기 제2체결부(633) 또한 제1거더(G1)와 제2거더(G2)의 처짐에 의한축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이 우수한 재질에 의해 형성된다.The second fastening portion 633 is also formed of a material having superior rigidity so as to stably support the axial load caused by deflection of the first girder G1 and the second girder G2.

상기 연결부(64)는 상부버팀부재(61)와 정착부(63)를 연결하는 것으로, 내주연에 나선홀 형성된 너트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connecting portion 64 connects the upper stiffening member 61 and the fixing portion 63 and has a nut structure having a spiral hole formed in its inner periphery.

이때, 상기 제1체결부(611)에 형성된 나선과 제2체결부(633)에 형성된 나선은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helix formed on the first fastening part 611 and the helix formed on the second fastening part 633 are formed to be opposite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연결부(64)의 외주연을 따라서는 다수개의 회전안내돌기(641)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A plurality of rotation guide protrusions 641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ortion 64.

따라서, 상기 연결부(64)의 양측에서 제1체결부(611)와 제2체결부(633)를 나선홀에 각각 접촉시킨 다음 상기 회전안내돌기(641)를 손으로 회전시키거나 망치 또는 해머 등으로 타격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체결부(611)와 제2체결부(633)가 연결부(64)에 동시 체결되어 상부버팀부재(61)와 정착부(63)를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결합 상태에서 회전안내돌기(641)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체결부(611) 및 제2체결부(633)와의 체결력이 해제되어 상부버팀대(60)와 정착부(63) 및 연결부(64)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다른 거더를 시공시 재사용 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611 and 633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piral holes at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ortion 64 and then the rotation guide protrusion 641 is rotated by hand or a hammer or hammer The first fastening portion 611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633 are simultaneously fastened to the connecting portion 64 to stably engage the upper stiffening member 61 and the fixing portion 63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first fastening part 61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633 is released and the fastening part 63 and the fixing part 63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rotating the rotation guide protrusion 641 in the other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64 can be easily separated to reuse another girder at the time of construction.

부가적으로, 상기 제1거더(G1)와 제2거더(G2)의 하부에는 하부버팀대(70)가 더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lower brace 70 may be further provided under the first girder G1 and the second girder G2.

상기 하부버팀대(70)는 하부버팀부재(71), 로드(72), 제2브라켓(73)으로 구성된다.The lower brace 70 comprises a lower brace member 71, a rod 72, and a second bracket 73.

상기 하부버팀부재(71)는 제1거더(G1)에 고정된 제1헌치(H1)와 제2거더(G2)에 고정된 제2헌치(H2)의 사이에 길이방향이 수평을 향하도록 배치된다.The lower strut member 71 is disposed so as to be horizontally orie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hatch H1 fixed to the first girder G1 and the second hatch H2 fixed to the second girder G2 do.

여기서, 상기 제1헌치(H1)와 제2헌치(H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거더(G1)와 제2거더(G2)의 내부 빈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haulages H1 and H2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girder G1 and the second girder G2, as shown in FIG.

상기 하부버팀부재(71)는 일측이 상기 제2헌치(H2)에 앙카볼트 등을 통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1헌치(H1)와 일정간격 이격된다.One side of the lower strut member 71 is fixed to the second hunting unit H2 through an anchor bolt and the other side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unting unit H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하부버팀부재(71)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유압이 출입될 수 있는 출입홀(72a)이 형성된다.The lower strut member 71 has an empty space formed therein and an inlet / outlet hole 72a through which hydraulic pressure can be introduced /

이때, 상기 하부버팀부재(71)는 제1거더(G1)와 제2거더(G2)의 강결 구속 시 작용하는 수평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이 우수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며,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원형 막대 또는 다각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lower strut member 71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superior rigidity so as to stably support a horizontal load acting when the first girder G1 and the second girder G2 are tightly constrained, And is formed in a circular rod shape or a polygonal rod shape having a thickness.

상기 로드(72)는 상기 하부버팀부재(71)의 내부에 삽입되고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로드(72)는 하부버팀부재(71)의 빈 공간에 유압이 공급될 경우 제1헌치(H1)를 향해 슬라이드 직선 이동하고, 이와 반대로 하부버팀부재(71)의 빈 공간에서 유압이 배출될 경우 제1헌치(H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직선 운동한다.The rod 72 is inserted into the lower strut member 71 and a portion thereof is projected to the outside. When the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o the hollow space of the lower strut member 71, the rod 72 slides and moves linearly toward the first hunting H1. On the contrary, when the hydraulic fluid is discharged from the hollow space of the lower strut member 71 The slide is linearly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hunting (H1).

이러한 로드(72) 중 제1헌치(H1)와 마주하는 면에는 곡선형상의 제3수용홈(721)이 함몰 형성된다.A curved third receiving groove 721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od 72 facing the first hunting H1.

이때, 상기 하부버팀부재(71)에는 공지의 유압공급장치로 유압을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strut member 71 can be supplied with or recovered hydraulic pressure by a known hydraulic pressure supply device.

상기 제2브라켓(73)은 제1헌치(H1)에 설치되고, 하부버팀부재(71) 및 로드(72)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이 우수한 재질에 의해 형성된다.The second bracket 73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 rigidity so as to stably support the load of the lower strut member 71 and the rod 72,

이러한 제2브라켓(73)은 평판 형상이면서 상기 로드(72)와 마주하는 면에 곡선 형상의 제3수용부(731)가 돌출 형성된다.The second bracket 73 has a flat plate shape and a curved third receiving portion 731 protruding from the surface facing the rod 72. [

상기 제3수용부(731)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부분이 상기 제3수용홈(721)에 수용된다. 이때, 제3수용홈(721)의 내벽면은 제3수용부(731)를 지지하는 지지턱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3수용부(721)의 인출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The third receiving portion 731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nd a part of the third receiving portion 731 is received in the third receiving recess 721. At this time, since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hird receiving groove 721 serves as a supporting jaw for supporting the third receiving portion 731, the third receiving portion 721 can be completely prevented from being drawn out.

이와 같이 하부버팀부(70)는 상기한 구성을 포함함에 따라 전술한 상부버팀대(60)와 유사하게 무수축 몰탈을 타설 및 양생하지 않아도 제1헌치(H1)와 제2헌치(H2)에 완벽히 밀착된 상태로 안전하게 결합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ower strut 70 includes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thus,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and seamlessly attach the first and second hatches H1 and H2 to each other without pouring and curing the shrink-free mortar similarly to the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can be securely engaged in a close contact state.

더욱이, 일반적으로 교량에서 하부의 텐던인장 시 교축방향의 수평력 전체를 하부버팀대가 지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거더의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 철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하부버팀부재(71)의 내부에서 유압만 배출시키면 상기 로드(72)가 제2브라켓(73)에서 멀어져 제3수용부(731)가 제3수용홈(721)에서 분리되기 때문에 철거가 매우 용이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wer brace supports the entire lateral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throttle when tension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ridge in gener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wer brace member 71 is very difficult to remov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of the girder. The rod 72 is moved away from the second bracket 73 and the third receiving portion 731 is separated from the third receiving groove 721. Thus, can do.

아울러, 상기 하부버팀부재(71)는 헌치(H1,H2)를 매개로 제1거더(G1)와 제2거더(G2)를 일체로 연결함에 따라, 온도변화나 외력의 영향을 받더라도 상기 제1거더(G1)와 제2거더(G2)가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 lower strut member 71 integrally connects the first girder G1 and the second girder G2 via the hatches H1 and H2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girders G1 and G2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girder G1 and the second girder G2 can be integrally moved.

한편, 상기 선형조절부(20)는 제어부(30)의 작동에 의해 인장력이 발생되어 제1거더(G1)와 제2거더(G2)의 선형을 조절하여 일치시키는 것으로,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 강봉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The linear regulator 20 adjusts the linearity of the first girder G1 and the second girder G2 by generating a tensile force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30. The linear regulator 20 adjusts the linearity of the first girder G1 and the second girder G2, And may be formed by a steel bar.

상기 선형조절부(20)는 두개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거더(G1)와 제2거더(G2)의 사이에서 'X'자 형상으로 교차된다.The linear regulating portions 20 are formed of a pair of two, and intersect in an 'X' shape between the first girder G1 and the second girder G2.

이때, 상기 선형조절부(20)의 일측은 제1거더(G1)의 상면에 고정된 어느 하나의 새들부(10)와 마주하고, 타측은 제2거더(G2)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새들부(10)와 대각선상에 위치된 다른 새들부(10)와 마주한다.One side of the linear regulator 20 faces one of the saddle portions 10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irder G1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girder G2, And the other saddle portion 10 positioned on the diagonal line with the portion 10.

이러한 선형조절부(20)는 제어부(30)에 연결되어 제1거더(G1)와 제2거더(G2)의 선형을 조절하게 된다.The linear regulator 20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0 to adjust the linearity of the first girder G1 and the second girder G2.

상기 제어부(30)는 제1거더(G1)의 상면에 고정된 새들부(10)들에 각각 장착되는 인장정착부(31) 및 상기 제2거더(G2)의 상면에 고정된 새들부(10)들에 각각 장착되는 고정정착부(32)로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30 includes a tension fixing unit 31 mounted on the saddle portions 10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irder G1 and a saddle portion 10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girder G2. And a fixed fixing unit 32 mounted on the fixing unit 32, respectively.

상기 인장정착부(31)는 상기 선형조절부(20)의 일측에 인장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하우징(311), 제1인장가이드(312), 제2인장가이드(313) 및 유압공급부(314)로 구성된다.The tension fixing unit 31 is for generating tension on one side of the linear regulator 20 and includes a first housing 311, a first tension guide 312, a second tension guide 313, (314).

상기 제1하우징(311)은 일측이 상기 제1거더(G1)의 상면에 고정된 새들부(10)의 힌지편(13)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회동축(14)을 기준으로 회전된다.One end of the first housing 311 is rotatably recei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etween the hinge pieces 13 of the saddle portion 10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irder G1, ).

즉, 상기 힌지편(13)과 제1하우징(311)의 일측에는 서로 연결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나의 회동축(14)이 상측에 위치된 힌지편(13)의 관통홀과 제1하우징(311)의 관통홀에 순차적으로 관통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회동축(14)이 하측에 위치된 힌지편(13)의 관통홀과 제1하우징(311)의 관통홀에 순차적으로 관통 설치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하우징(311)은 상기 두개의 회동축(14)에 의해 힌지편(13)의 사이에 안정적으로 위치된다.That is, one side of the hinge piece 13 and the first housing 311 are formed with through hole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one pivot shaft 14 is sequentially penetrat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hinge piece 13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housing 311 and the other pivot shaft 14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Through hole of the hinge piece 13 positioned in the first housing 311 and through hole of the first housing 311. [ Accordingly, the first housing 311 is stably positioned between the hinge pieces 13 by the two pivot shafts 14.

그리고, 회동축(14) 중 제1하우징(311)의 관통홀을 관통한 부분에는 고정핀(미도시)이 수평설치 된다.A fixing pin (not shown) is horizontally installed in a portion of the pivot shaft 14 which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housing 311.

상기 고정핀은 중앙부분이 상기 회동축(14)의 내부에 수용되고, 그 양측은 돌출되어 상기 제1하우징(311)과 접촉됨에 따라, 회동축(14)이 힌지편(13)과 제1하우징(311)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The center pin of the fixing pin is received in the pivot shaft 14 and both sides of the pivot pin are protru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housing 311 so that the pivot shaft 14 rotates with respect to the hinge pin 13 and the first So that it is not separated from the housing 311.

상기한 제1하우징(311)은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선형조절부(20)의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The first housing 311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rectangular shape and an empty space may be formed therein in which a portion of the linear regulating portion 20 can be received.

그리고, 상기 빈 공간은 리브(3111)을 통해 구획되어 제1공간(311a)과 제2공간(312b)으로 분할 형성된다.The empty space is divided into a first space 311a and a second space 312b by being divided through a rib 3111. [

이때, 상기 제1하우징(311)의 일단 즉, 제2거더(G2)에 고정된 새들부(10)와 마주하는 면의 중앙부분과 리브(3111)의 중앙부분에는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At this time,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311, that is, a center portion of the surface facing the saddle portion 10 fixed to the second girder G2,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rib 3111, .

그리고, 상기 선형조절부(20)는 그 일측이 상기 제1하우징(311)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홀과 리브(3111)의 관통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한다.One side of the linear regulator 20 sequentially passes through holes formed in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311 and through holes of the ribs 3111. [

이로 인해 상기 선형조절부(20)의 일부분은 상기 제1공간(311a)에 수용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제2공간(312b)에 수용된다.As a result, a part of the linear regulating part 2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311a, and the other part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space 312b.

이때, 상기 제1하우징(311) 중 제2공간(312b)에 해당되는 측벽에는 유압공급부(314)와의 연결을 위한 홀(311c)이 형성된다.At this time, a hole 311c for connection with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unit 314 is formed on a side wall of the first housing 31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pace 312b.

상기 제1인장가이드(312)는 상기 선형조절부(20)의 인장을 가이드 하는 것으로, 제1공간(311a)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측이 상기 제1공간(311a)의 끝단면에 형성된 고정홈(311d)에 수용 및 지지된다.The first tension guide 312 guides the tension of the linear regulator 20. One end of the first tension guide 312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311a, 311d.

상기 제1인장가이드(312)는 너트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선형조절부(20)의 외주연에는 나선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인장가이드(312)는 제1공간(311a)에 위치된 선형조절부(20)의 외면에 체결고정 될 수 있다.The first tension guide 312 is formed by a nut and a spiral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inear regulating portion 20. [ Therefore, the first tension guide 312 can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inear regulator 20 located in the first space 311a.

아울러, 상기 제1하우징(311)의 일측면은 작업자가 상기 제1인장가이드(312)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공간(311a)과 연결되도록 개방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311 is open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space 311a so that the operator can control the first tension guide 312.

상기 제2인장가이드(313)는 상기 제1인장가이드(312)와 함께 선형조절부(20)의 인장을 가이드 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제2공간(312b)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측이 상기 리브(3111)에 고정되는 본체(3131), 상기 본체(3131)의 내부에 삽입되어 양방향으로 슬라이드 직선 운동하는 로드(3132)로 구성된다.The second tensioning guide 313 guides the tension of the linear regulating portion 20 together with the first tensioning guide 312. The second tensioning guide 313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space 312b, A main body 3131 fixed to the rib 3111 and a rod 3132 inserted into the main body 3131 and slidably moving in both directions.

즉, 상기 제2인장가이드(313)는 실린더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3131)에는 유압이 출입될 수 있는 출입홀(3131a)이 형성되는 것이다.That is, the second tension guide 313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ylinder, and the main body 3131 is formed with an access hole 3131a through which the hydraulic pressure can enter and exit.

이때, 상기 선형조절부(20)는 상기 본체(3131)를 관통하여 로드(3132)의 내부에 장착고정된 구조를 이룬다. 이로 인해 상기 선형조절부(20)는 상기 로드(3132)와 함께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3131) 중 선형조절부(20)가 관통하는 부분에는 패킹(미도시)을 설치하므로서, 상기 본체(3131)의 내부가 완전 밀폐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inear regulator 20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rod 3132 through the main body 3131. This causes the linear regulator 20 to move with the rod 3132. It is preferable that a packing (not shown) is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main body 3131 through which the linear regulating portion 20 penetrates, so that the inside of the main body 3131 has a completely closed structure.

상기 유압공급부(314)는 공지의 유압펌프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하우징(311)의 홀(311c)을 통과하여 본체(3131)의 출입홀(3131a)에 연결되는 호스를 구비한다.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unit 314 may be formed by a known hydraulic pump and includes a hose which is connected to the inlet hole 3131a of the main body 3131 through the hole 311c of the first housing 311 .

즉, 상기 유압공급부(314)는 상기 호스를 통해 본체(3131)의 내부에 유압을 공급하거나 또는 본체(3131)의 내부에 공급된 유압을 회수하는 방식으로 상기 로드(3132)를 양방향으로 슬라이드 직선 운동시킨다.That is,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unit 314 supplies the hydraulic pressure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3131 through the hose or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3131, Exercise.

그리고, 상기 로드(3132)가 본체(3131)의 내부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선형조절부(20)를 인장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마주하는 제2거더(G2)의 각도가 조절된다.When the rod 3132 is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od 3132 is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3131, the linear regulator 20 is pulled and the angle of the facing second girder G2 is adjusted.

상기 선형조절부(20) 및 인장정착부(31)를 통한 거더(G1,G2)의 각도를 조절하여 선형을 일치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 method of adjusting the angles of the girders G1 and G2 through the linear regulating portion 20 and the tension fixing portion 31 to align the linear portio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상기 고정정착부(32)는 제2거더(G2)의 상면에 고정된 새들부(10)에 선형조절부(20)의 타측을 고정하는 것으로, 제2하우징(321), 정착가이드(322)로 구성된다.The fixed fixing part 32 fixes the other side of the linear adjusting part 20 to the saddle part 10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girder G2 and includes a second housing 321, a fixing guide 322, .

상기 제2하우징(321)은 일측이 상기 제2거더(G2)의 상면에 고정된 새들부(10)의 힌지편(13) 사이에 수용되고, 회동축(14)을 통해 좌, 우 "???으로 회동될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321 is accommodated between the hinge pieces 13 of the saddle portion 10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girder G2. Can be rotated.

즉, 상기 힌지편(13)과 제2하우징(321)의 일측에는 서로 연결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나의 회동축(14)이 상측에 위치된 힌지편(13)의 관통홀과 제2하우징(321)의 관통홀에 순차적으로 관통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회동축(14)이 하측에 위치된 힌지편(13)의 관통홀과 제2하우징(321)의 관통홀에 순차적으로 관통 설치되어, 상기 제2하우징(321)은 상기 두개의 회동축(14)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one side of the hinge piece 13 and the second housing 321 are formed with through-hole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one pivot shaft 14 is sequentially penetrat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hinge piece 13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and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housing 321 and the other pivot shaft 14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Through holes of the hinge piece 13 and the through holes of the second housing 321, and the second housing 321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wo pivot shafts 14 Direction.

이러한 제2하우징(321)은 원형 막대 또는 사각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선형조절부(20)의 다른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The second housing 32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ircular rod or a rectangular rod, and an empty space may be formed therein in which another portion of the linear regulating portion 20 can be received.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321) 중 대각선상에 위치된 제1하우징(311)과 마주하는 끝단에는 중앙부분에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벽(3211)이 구비된다.A support wall 3211 having a through hole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second housing 321 facing the first housing 311 located on a diagonal line.

따라서, 상기 선형조절부(20)의 일부분은 상기 지지벽(3211)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제2하우징(321)의 빈 공간에 수용된다.Therefore, a portion of the linear regulating portion 20 is received in the empty space of the second housing 321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support wall 3211. [

상기 정착가이드(322)는 인장되는 선형조절부(20)를 고정하는 것으로, 제2하우징(321)의 빈 공간에 수용된다.The fixing guide 322 fixes the linear adjustment portion 20 to be tensioned and is accommodated in the empty space of the second housing 321.

상기 정착가이드(322)는 중공이 형성되어 제2하우징(321)의 빈 공간에 위치된 선형조절부(20)의 외면에 장착고정되며, 일측이 상기 지지벽(3211)에 형성된 고정홈(311d)에 수용 및 지지된다.The fixing guide 322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inear regulating portion 20 formed in the hollow space of the second housing 321 and has one side fixed to the fixing groove 311d ).

즉, 상기 정착가이드(322)는 상기 선형조절부(20)에 장착고정된 상태에서 지지벽(3211)에 안정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상기 선형조절부(20)에 효율적인 인장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fixing guide 322 is stably supported on the supporting wall 3211 in a state where the fixing guide 322 is fixed to the linear adjusting unit 20, an effective tensile force can be generated in the linear adjusting unit 20 will be.

이하, 도 8을 참고 하여 제1거더(G1)와 제2거더(G2)의 선형조절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linear adjustment method of the first girder G1 and the second girder G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일반적으로, 도로교나 철도교를 시공함에 있어 다수개의 교각을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시공한 다음 그 상부에 거더와 슬래브를 시공한다.Generally, in construction of a bridge or a bridge, a plurality of bridge piers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girder and a slab are installed thereon.

그리고, 어느 하나의 교각에서 시공되는 제1거더(G1)와 끝단과 다른 하나의 교각에서 시공되는 제2거더(G2)의 끝단은 교각과 교각 사이 중간 지점에서 마주하게 된다.The end of the first girder G1 installed at one of the bridge piers and the end of the second girder G2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pier are opposed to each other at an intermediate point between the bridge pier and the bridge pier.

이때, 제1거더(G1)와 제2거더(G2)는 세그먼트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제1거더(G1)가 어느 하나의 교각에서부터 마주하는 다른 교각을 향해 순차적으로 시공되고, 다수개의 제2거더(G2)가 다른 교각에서부터 제1거더(G1)가 시공되는 교각을 향해 순차적으로 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girder G1 and the second girder G2 can be formed in the form of a segment, and a plurality of first girders G1 are successively installed from one pier to another opposite pier, The second girders G2 can be sequentially installed from the other piers toward the bridge piers at which the first girder G1 is constructed.

여기서, 상기 교각 및 거더의 시공방법은 일반적으로 교량 또는 철도 시공시 사용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iers and girders is generally the same as that used in the construction of bridges or railways,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계속해서, 도 8과 같이 제2거더(G2)가 제1거더(G1)에 대해 완벽한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시공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8, the second girder G2 may not be perfectly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first girder G1, and may be installed in a tilted form in one direction.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제1거더(G1)의 상면에 고정된 새들부(10a)에 고정된 인장정착부(31)를 통해 제2거더(G2)의 각도를 조절하여 제1거더(G1)와 완전한 선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ngle of the second girder G2 is adjusted through the tension fixing unit 31 fixed to the saddle portion 10a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irder G1, It is possible to achieve a perfect linearity.

구체적으로, 새들부(10a)에 고정된 제1하우징(311)의 홀(311c)에 유압공급부(314)의 호스를 관통시켜 본체(3131)의 출입홀(3131a)에 연결한 다음 본체(3131)의 내부에 유압을 공급하면, 상기 로드(3132)가 본체(3131)의 내부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선형조절부(20)를 인장시킨다.Concretely, the hose of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part 314 is connected to the hole 311c of the first housing 311 fixed to the saddle part 10a, and the hose of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part 314 is connected to the access hole 3131a of the main body 3131, The rod 3132 is moved in a direction to be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3131 to tension the linear regulating portion 20. [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새들부(10a) 상에 위치된 선형조절부(20)에 인장력이 발생되면 대각선상에 위치된 새들부(10b) 및 상기 제2거더(G2)의 전체 부분 중 상기 새들부(10b)가 고정된 부분이 함께 당겨진다.When a tensile force is generated in the linear regulating portion 20 located on the saddle portion 10a as described above, the saddle portion 10b positioned on the diagonal line and the saddle portion 10b of the entire portion of the second girder G2, The portion to which the fixing portion 10b is fixed is pulled together.

따라서, 작업자는 유압공급부(314)를 통해 본체(3131)에 공급되는 유압의 양을 조절하여 선형조절부(20)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조절하므로서, 제1거더(G1)와 제2거더(G2)가 완벽한 선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operator adjusts the amount of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main body 3131 through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unit 314 to adjust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linear regulator 20 so that the first girder G1 and the second girder G2 ) Can be made perfectly linear.

그리고, 선형조절부(20)가 인장될 경우 제1인장가이드(312)도 함께 이동되어 상기 제1공간(311a)의 끝단면과 이격됨으로, 작업자는 상기 제1인장가이드(312)를 회전이동시켜 다시 고정홈(311d)에 수용 및 지지되도록 하므로서, 선형조절부(20)가 다시 새들부(10b) 방향으로 당겨지지 않도록 한다.When the linear regulator 20 is tensioned, the first tension guide 312 is also mov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nd surface of the first space 311a, so that the operator can rotate the first tension guide 312 So that the linear regulating portion 20 is not pulled back toward the saddle portion 10b by being received and supported in the fixing groove 311d.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거더(G2)가 도 8과 반대되는 형태로 제1거더(G1)에 대해 선형이 일치하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방식대로 새들부(10c)에 고정된 인장정착부(31)를 통해 선형조절부(20)에 인장력을 발생시켜 대각선상에 위치된 새들부(10d) 및 상기 제2거더(G2)의 전체 부분 중 상기 새들부(10d)가 고정된 부분을 당겨 이 역시도 제1거더(G1)과 제2거더(G2)가 선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second girder G2 is opposite to the first girder G1 in the form of being opposite to the first girder G1, the first girder G1 is fixed to the saddle portion 10c A tensile force is generated in the linear regulating portion 20 through the tension fixing portion 31 so that the saddle portion 10d located on the diagonal line and the saddle portion 10d of the whole portion of the second girder G2 are fixed So that the first girder G1 and the second girder G2 can be linearly formed.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1)는 제어부(30)가 새들부(10)에 회동가능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거더(G1,G2)간의 선형이 과다하게 틀어져 선형조절부(20)의 위치나 각도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새들부(10)를 거더(G1,G2)에서 분리한 다음 새들부(10)의 위치를 변경하여 선형조절부(20)의 위치나 각도를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새들부(10)가 그 자리에 고정된 상태에서 인장정착부(31)와 고정정착부(32)의 회동만을 통해 선형조절부(20)의 위치나 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음에 따라, 거더의 선형을 조절하기 위한 작업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고, 그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토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linear adjustment and fixing device 1 for a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ntrol portion 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addle portion 10, the linearity between the girders G1 and G2 is excessively shifted, The saddle portion 10 is separated from the girders G1 and G2 and then the saddle portion 10 is changed to change the position or angle of the linear adjustment portion 20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linear regulating portion 20 can be easily adjusted by only rotating the tension fixing portion 31 and the fixed fixing portion 32 while the saddle portion 10 is fixed in place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shorten the working time for adjusting the linearity of the girder and to provide an effect that the work can be carried out very conveniently.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or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 :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 10 : 새들부
11 : 함체 11a : 관통홀
12,3111 : 리브 13 : 힌지편
14 : 회동축 20 : 선형조절부
30 : 제어부 31 : 인장정착부
311 : 제1하우징 311a : 제1공간
312b : 제2공간 311c : 홀
311d : 고정홈 312 : 제1인장가이드
313 : 제2인장가이드 3131 : 본체
3131a : 출입홀 3132 : 로드
314 : 유압공급부 32 : 고정정착부
321 : 제2하우징 3211 : 지지벽
322 : 정착가이드 40 : 고정재
50 : 고정부재 51 : 와셔
60 : 상부버팀대 61 : 상부버팀부재
611 : 제1체결부 62 : 제1브라켓
62a : 제1수용홈 63 : 정착부
631 : 사각판 632 : 제2수용부
633 : 제2체결부 64 : 연결부
641 : 회전안내돌기 70 : 하부버팀부
1: linear adjustment and fixing device for girders 10:
11: Housing 11a: Through hole
12,3111: rib 13: hinge piece
14: Pivot shaft 20: Linear regulator
30: control unit 31: tensile fixing unit
311: first housing 311a: first space
312b: second space 311c: hole
311d: fixing groove 312: first tensile guide
313: second tension guide 3131: main body
3131a: Access hole 3132: Load
314: Hydraulic pressure supply part 32: Fixed fixing part
321: second housing 3211: support wall
322: Fixation guide 40: Fixture
50: fixing member 51: washer
60: upper brace 61: upper brace member
611: first fastening part 62: first bracket
62a: first receiving groove 63:
631: Rectangular plate 632: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633: second fastening part 64:
641: rotation guide projection 70: lower support part

Claims (9)

거더 및 상기 거더와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마주하는 다른 거더 간의 선형을 조절 및 고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거더의 상면과 다른 하나의 거더 상면에 복수개로 고정되는 새들부,
상기 거더들의 사이에서 교차되는 형태로 배치되되, 일측이 어느 하나의 새들부와 마주하고 타측은 상기 새들부와 대각선상에 위치된 다른 새들부와 마주하는 한 쌍의 선형조절부,
상기 새들부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선형조절부에 인장력을 발생시켜 상기 거더들의 선형을 일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새들부 중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며, 그 사이에 상기 제어부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의 회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힌지편과 제어부에 순차적으로 관통 설치되는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거더 상면에 고정된 새들부들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선형조절부의 일측에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인장정착부,
상기 인장정착부가 장착된 새들부와 대각선상에 위치된 다른 새들부들에 각각 장착되고, 선형조절부의 타측을 고정하는 고정정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장정착부는,
일측이 상기 회동축을 통해 힌지편의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내부에는 리브를 통해 구획되며 상기 리브를 관통한 상기 선형조절부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제1공간과 제2공간이 분할 형성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제1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측이 상기 제1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고, 상기 선형조절부의 외면에 장착 고정되는 제1인장가이드,
상기 제2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측이 상기 리브에 지지되고, 상기 선형조절부의 외면에 장착 고정되는 제2인장가이드,
상기 제2공간에 유압을 공급하여 상기 제1인장가이드와 제2인장가이드가 선형조절부를 인장시키도록 하는 유압공급부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정착부는,
일측이 상기 회동축을 통해 힌지편의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마주하는 일측면에 지지벽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지지벽을 관통한 선형조절부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의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지지벽에 지지되고, 상기 선형조절부의 외면에 장착고정되는 정착가이드로 구성되는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
An apparatus for adjusting and fixing a linear shape between a girder and another girder facing the girder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gird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saddle portion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and a plurality of upper surfaces of the other girder,
A pair of linear regulating portions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between the girders, one side facing one saddle portion and the other side facing another saddle portion positioned diagonally to the saddle portion,
And a control unit mounted on the saddle portion and generating a tensile force in the linear regulating unit to align the linearity of the girders,
Wherein the saddle portion is spaced apart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from each other, a hinge piece is formed between the saddle portion and the control portion is pivotably inserted therebetween,
And a pivot shaft pivotally connected to the hinge piece and the control unit so as to stop the rotation of the control unit,
Wherein,
A tensile fixing unit mounted on the saddle portions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any one of the girders and generating tensile force on one side of the linear regulator,
And a fixed fixing unit mounted on the saddle portion having the tensile fixing unit mounted thereon and the other saddle portions positioned on a diagonal line, respectively, and fixing the other side of the linear adjusting unit,
Wherein the tension fixing unit comprises:
A first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linear regulating part passing through the rib is received and a second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linear regulating part passing through the rib is accommodated, A first housing (1)
A first tension guide which is supported on an inner wall of the first housing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of the first housing and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inear adjuster,
A second tension guide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rib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second space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inear regulator,
And a hydraulic pressure supply unit for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second space to cause the first and second tension guides to tension the linear adjustment unit,
Wherein the fixed fixing unit comprises:
A first housing having a support wall formed on one side thereof facing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having a space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linear adjustment portion passing through the support wall, housing,
And a fixing guide having one end supported by the support wall and being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inear adjustment portion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space of the second hous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부는 상면과 바닥면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박스형상의 함체 내부에 다수개의 리브를 종,횡 방향으로 교차 형성시켜 구성되는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ribs are cross-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a transverse direction within a box-shaped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enetrating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saddle portion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들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공간에 수용되되, 상측이 상기 새들부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측은 상기 새들부의 관통홀과 거더의 상면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고정재,
상기 고정재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체결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addle portion of the saddle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girder, the lower portion of the saddle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addle portion are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fixing member,
And a fixing member fastened and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xing member, respective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 및 상기 거더와 마주하는 다른 거더의 처짐을 방지하는 상부버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버팀대는,
어느 하나의 거더에 고정된 새들부와 다른 하나의 거더에 고정된 새들부의 사이에 길이방향이 수평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양측면에는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제1체결부가 돌출 형성된 상부버팀부재,
어느 하나의 거더에 고정된 새들부 및 다른 하나의 거더에 고정된 새들부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곡선 형상의 제1수용홈이 함몰 형성된 제1브라켓,
상기 상부버팀부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되, 일측에 상기 제1수용홈에 수용되는 곡선 형상의 제2수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제2체결부가 상기 제1체결부와 마주하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정착부,
상기 제1체결부의 외주연과 제2체결부의 외주연에 동시 체결되어 상기 상부버팀부재와 정착부를 연결하며, 외주연을 따라 다수개의 회전안내돌기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연결부로 구성되는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op brace to prevent sagging of the girder and other girders facing the girder,
The upper brace,
An upper strut member disposed in such a manner that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is horizontally oriented between a saddle portion fixed to one of the girders and a saddle portion fixed to the other girder and having a first fastening portion protruded on both sides thereof,
A first bracket that is installed on the saddle portion fixed to one of the girders and the saddle portion fixed to the other girder and has curved first receiving grooves formed on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 second fasten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pporting member and having a curved second housing portion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groove and having a spiral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ther fastening portion, A fixing unit protruding from the fixing unit,
And a connect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to connect the upper strut and the fixing portion, Adjustment and fastening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 및 상기 거더와 마주하는 다른 거더의 거동을 강결 구속하는 하부버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버팀부는,
일측이 어느 하나의 거더에 설치된 제1헌치에 고정되고 타측은 마주하는 거더에 고정된 제2헌치와 마주하는 하부버팀부재,
상기 하부버팀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양방향으로 슬라이드 직선 운동하며, 상기 제1헌치와 마주하는 면에 곡선 형상의 제3수용홈이 형성된 로드,
상기 제1헌치에 고정되고 상기 로드와 마주하는 면에 제3수용홈에 수용되는 곡선 형상의 제3수용부가 형성되는 제2브라켓으로 구성되는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ower strut part for tightly restraining the behavior of the girder and another girder facing the girder,
The lower-
A lower strut member which is fixed to one of the first hammers installed on one of the girders and the other is opposite to the second hammock fixed to the opposite girder,
A rod having a curved third receiving groove formed on a surface of the lower supporting memb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lower supporting member and slides linearly in both directions,
And a second bracket fixed to the first hammert and having a curved third receiving portion accommodated in a third receiving groove on a surface facing the rod.
KR1020170015444A 2017-02-03 2017-02-03 Linear control and fixing divice of girder KR1018109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444A KR101810995B1 (en) 2017-02-03 2017-02-03 Linear control and fixing divice of gir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444A KR101810995B1 (en) 2017-02-03 2017-02-03 Linear control and fixing divice of gir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995B1 true KR101810995B1 (en) 2017-12-20

Family

ID=60931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444A KR101810995B1 (en) 2017-02-03 2017-02-03 Linear control and fixing divice of gir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99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4429A (en) * 2019-04-24 2019-09-27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Scalable nose girder and its applicat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068B1 (en) * 2007-11-07 2008-10-23 이태영 Screw mobile jack
JP2011017193A (en) * 2009-07-09 2011-01-27 Railway Technical Res Inst Corner bend preventive device for viaduc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068B1 (en) * 2007-11-07 2008-10-23 이태영 Screw mobile jack
JP2011017193A (en) * 2009-07-09 2011-01-27 Railway Technical Res Inst Corner bend preventive device for viaduc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4429A (en) * 2019-04-24 2019-09-27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Scalable nose girder and its application method
CN110284429B (en) * 2019-04-24 2021-11-26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Telescopic guide beam and us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2303A (en) Formwork for surfaces varying in curvature
KR101808825B1 (en) Support device for leveling-adjustment and displacement recipience and overturning prevention of upper girder and Rahmen bridge using of the same
US6904636B2 (en) Deck-to-girder connections for precast or prefabricated bridge decks
KR20130061127A (en) Adjustable formwork climber
US4660800A (en) Bridge overhang bracket and hanger
KR101704971B1 (en) Support device for leveling-adjustment and displacement recipience and overturning prevention of upper girder and Rahmen bridge using of the same
CA2902633C (en) A cabled pipe rack
JP6872767B2 (en) Support structure, support method and construction method of suspended scaffolding
KR102014038B1 (en) Formwork for providing horizontal reinforcing bars exposed to concrete foundation elements, in particular plinths, plinths provided with such formwork, and structures comprising such plinths
US4349491A (en) Method for forming a concrete deck
JP4020406B2 (en) Formwork support mechanism and placement method
EP1321601B1 (en) Modular curved formwork system with variable radius
KR101810995B1 (en) Linear control and fixing divice of girder
US4969626A (en) Adjustable form for casting concrete culverts
US4342440A (en) Concrete deck forming apparatus
KR101527782B1 (en) Management and reverse displacement of composite bridge composite inclined support installation method
US5085398A (en) Adjustable form brace
KR101243178B1 (en) Apparatus for constructing scaffolding capable of complex process and safety ensurance
US20020011037A1 (en) Device for limiting the relative movement of two elements of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and structure including said device
US4348002A (en) Hanger for concrete deck forming apparatus
CN109853402A (en) Large-tonnage big deviation jacking force direction self-regulation device and application for continuous rigid frame bridge closure pushing tow
EP1178166B1 (en) Multi-purpose prefabricated centering
JP6887580B1 (en) How to install the slip seismic isolation device
CN110900820B (en) Construction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elf-adaptive post-tensioning prefabricated box girder
JP5753737B2 (en) Construction method of upper-floor type suspension floor slab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