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948B1 - 주름 시트의 제조를 위한 시트 성형 공구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름 시트의 제조를 위한 시트 성형 공구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948B1
KR101810948B1 KR1020147001482A KR20147001482A KR101810948B1 KR 101810948 B1 KR101810948 B1 KR 101810948B1 KR 1020147001482 A KR1020147001482 A KR 1020147001482A KR 20147001482 A KR20147001482 A KR 20147001482A KR 101810948 B1 KR101810948 B1 KR 101810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inger
tool
top portion
finger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1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1775A (ko
Inventor
킴와 친
시아오레이 솅
양 리
로덴 조튜생
Original Assignee
술저 켐테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술저 켐테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술저 켐테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041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02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by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1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into a peculiar profiling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22Corrugating
    • B29C53/24Corrugating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20Corrugating; Corrugating combined with laminating to other layers
    • B31F1/24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 B31F1/247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by reciprocating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354Nonplanar, uniform-thickness material having symmetrical channel shape or reverse fold [e.g., making acute angle,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주름 시트의 제조를 위한 시트 성형 공구(1)은 하부 공구 요소(40) 및 상부 공구 요소(50)를 갖고, 상부 공구 요소 및 하부 공구 요소의 각각은 전측(23, 33, 41) 및 후측(25, 35, 42)을 갖는다. 하부 공구 요소(40)는 제 1 베이스 요소(2, 4, 6, 8) 및 상기 제 1 베이스 요소(2, 4, 6, 8)로부터 돌출하는 제 1 핑거 요소(3, 5, 7, 9)를 포함한다. 제 1 핑거 요소(3, 5, 7, 9)는 시트 내에 주름 마루를 형성하기 위한 제 1 정상부(22, 24, 26, 28)를 형성한다. 상부 공구 요소(50)는 제 2 베이스 요소(12, 14) 및 상기 제 2 베이스 요소(12, 14)로부터 돌출하는 제 2 핑거 요소(13, 15)를 포함하고, 제 2 핑거 요소(13, 15)는 상기 시트에 주름 골을 형성하기 위한 2 정상부(32, 34)를 형성한다. 제 1 정상부(22, 24, 26, 28)는 제 2 정상부(32, 34)의 대향측에 배치되고, 제 1 정상부(22, 24, 26, 28)는 맞물린 위치에서 제 1 핑거 요소(3, 5, 7, 9)와 제 2 핑거 요소(13, 15)의 맞물림을 허용하도록 제 2 정상부(32, 34)로부터 옵셋된다. 제 1 정상부(22, 24, 26, 28) 및 제 2 정상부(32, 34)의 각각은 주 부분(20) 및 단부 부분(11, 21)을 포함하고, 주 부분(20)의 제 1 정상부(22, 24, 26) 및 제 2 정상부(32, 34)의 각각과 대응하는 전측(23, 33, 41) 사이의 각도(β, 36)는 단부 부분(11, 21)의 제 1 정상부(22, 24, 26, 28) 및 제 2 정상부(32, 34)의 각각과 대응하는 전측 사이의 각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이하고, 제 1 핑거 요소(3, 5, 7, 9)와 맞물린 위치의 대응하는 이웃하는 제 2 핑거 요소(13, 15) 사이에는 공간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주름 시트의 제조를 위한 시트 성형 공구 및 방법{A SHEET FORMING TOOL AND A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CORRUGATED SHEET}
본 발명은 주름 시트의 제조를 위한 시트 성형 공구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구에 의해 제조되는 주름 시트는 구조화 패킹(structured packing)을 위한 층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화 패킹은 물질 이송 장치(mass transfer apparatus)를 통해 유동하는 적어도 2 개의 유체상 사이의 물질 또는 열의 이송을 향상시키기 위한 물질 이송 장치 내의 설비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유체상은 기체상 및 액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물질 이송 장치는 이와 같은 물질 이송을 수반하는 단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물질 이송 컬럼, 예를 들면, 정류 컬럼 또는 흡수 컬럼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구조화 패킹의 일례는 WO97/16247에서 설명된다. WO97/16247의 구조화 패킹은 설계된 유체 유동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패킹 요소로 구성된다. 따라서 구조화 패킹은 컬럼 내에서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패킹 요소 중 하나를 형성한다. 각각의 패킹 요소는 면 대 면(face to face)의 관계로 배치되는 재료의 주름 시트로서 구성되는 복수의 패킹 층을 포함한다. 시트의 대향 단부들 사이에서 유체 유동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하는 주름을 구비하는 각각의 패킹 층이 배치된다. 압력 강하를 위한 수단이 연속적 패킹 요소들 사이의 각각의 접촉면에서 연속상 내에 설치된다.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이 수단은 접촉면에 또는 접촉면의 근처에 배치되고, 이 수단은 접촉면에 직접 인접하는 주름의 구조의 국부적 변화에 의해 구성된다. 각각의 패킹 요소의 적어도 일부의 주름 시트는 접촉면까지 연장되는 주름 각도를 갖는 적어도 일부의 주름을 갖는다. 주름 각도가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의 근처에서 점진적으로 변화하도록, 패킹 층은 주름 단부로부터 주름의 나머지까지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만곡되는 주름 단부 섹션으로 종료되는 주름 단부 섹션을 갖는다. 더욱이, 접촉면(interface)에서 맞닿는 주름 단부의 주름 각도는 평행하고, 따라서 하나의 시트의 주름 단부 중 특정의 주름 단부로부터 배출되는 유체 유동의 각도는 인접하는 패킹 요소의 맞닿는 주름 시트 내에 동일한 각도에서 진입한다. 중간 부분에서 패킹 요소의 본체 내에서의 주름 각도는 실질적으로 상수이고,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주름 각도는 이 상수보다 크다.
구조의 이러한 국부적 변화가 적용되는 각각의 패킹 층에 대한 부분은 이전의 해결책에 비해 의외로 감소된 압력 강하를 유발하였다.
그러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의 도입은 더 복잡한 제조 공정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WO97/16247에 따른 패킹 층의 제조는 복수의 성형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적 방법을 필요로 한다. US 6,461,559에는가능한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스트립형 막(film) 상에 주름 패턴을 성형하는 제 1 단계 및 이 주름 패턴을 위한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이 성형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은 이전에 주름 가공된 시트 상에 각각의 단부 부분을 위한 주름 패턴을 가하는 롤러에 의해 형성된다. 주름 패턴은 주름의 각도의 점진적 변화를 포함한다. 복수의 롤러는 시트에 대해 순차적 관계로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시트는 롤러 상을 통과함으로써 주름 패턴을 성형한다.
US 6,461,559의 사상에 따르면, 주 부분의 주름을 형성하기 위한 시트 성형 공구 및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의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주름 패턴을 가하기 위한 롤러 공구를 예측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단계로 주 부분 및 적어도 하나의 단부 부분을 가지는 주름 시트의 제조를 완료할 수 있는 개선된 시트 성형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목적은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는 것이다.
EP 1 231 051 B1의 문헌에는 펀칭 공구가 개시되어 있고, 이것은 이것을 통과하는 금속 스트립 상에 폴딩(folding) 및 프레싱 작업을 가할 수 있다. 이 공구는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는 2 개의 다이를 포함한다. 각각의 다이는 구조화 패킹 층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EP 1 231 051 B1의 패킹 층은 WO97/16247에 개시된 바와 같은 주름 시트이다.
작업 시, 펀칭 공구의 다이는 폐쇄된다. 이것에 의해 시트는 다이 사이에 포획되고, 다이 사이의 거리는 시트의 두께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2 개의 다이가 폐쇄되면, 압력이 시트 상에 가해진다. 이것에 의해 다이의 구조가 시트 상에 부여됨으로써 시트를 주름 시트로 성형한다. 시트가 펀칭 작업 중에 다이 사이에 포획된다는 사실에 의해, 시트는 특히 시트의 단부 부분에서 높은 국부 응력을 받는다. 이 응력은 각각의 단부 부분에서 시트의 부분적인 탄성 변형을 유발할 수 있다. 그 결과, 다이가 이격된 후, 주름의 형상은 그 원래의 형상으로의 부분적 복원에 기인되어 변화될 수 있다. 이 효과는 주름 시트의 주 부분에 비해 단부 부분에서 낮은 높이의 주름을 유발한다. EP 1 231 051 B1에 개시된 바와 같은 펀칭 공구는 가변적인 높이의 주름을 갖는 구조화 패킹 시트를 생산한다. 이 공구는 의도적으로 단부 부분에서 주름 높이를 더 낮아지게 할 수 있다.
주름 시트가 구조화 패킹을 형성하기 위해 스테이플 고정(stapled)되는 경우, 이웃하는 주름 시트는 상호 접촉한다. 주름의 높이가 단부 부분 및 주 부분에서 변화되는 경우, 이웃하는 시트는 주 부분에서만 접촉한다. 이것은 복수의 이와 같은 주름 시트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화 패킹의 안정성에 부정적 영향을 갖는다. 그 결과, 구조화 패킹 층의 정렬은 더 어려워 진다. 게다가, 오정렬에 기인하여 비대칭이 초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대칭은 작업 중 구조화 패킹을 통과하는 유체의 분배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고, 그 결과 물질 이송 장치의 성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한 높이의 주름 시트를 제공하도록 주 부분 및 적어도 하나의 단부 부분을 가지는 주름 시트의 제조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주름 시트의 주름의 높이는 주름 골(trough)과 주름 마루(peak) 사이의 수직 거리로서 정의된다. 관습적으로 주름의 높이는 5 mm 내지 50 mm의 범위이다.
이 목적은 하부 공구 요소 및 상부 공구 요소를 가지는 주름 시트의 제조를 위한 시트 성형 공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부 공구 요소와 하부 공구 요소는 전측(front side) 및 후측(rear side)을 갖는다. 시트는 하부 공구 요소와 상부 공구 요소 사이에 배치된다. 시트는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이동한다. 하부 공구 요소는 제 1 베이스 요소 및 상기 제 1 베이스 요소로부터 돌출하는 제 1 핑거(finger) 요소를 포함한다. 제 1 핑거 요소는 제 1 핑거 요소는 시트에 주름 마루를 형성하기 위한 제 1 정상부(ridge)를 형성한다. 상부 공구 요소는 제 2 베이스 요소 및 상기 제 2 베이스 요소로부터 돌출하는 제 2 핑거 요소를 포함하고, 제 2 핑거 요소는 상기 시트에 주름 골을 형성하기 위한 제 2 정상부를 형성한다. 제 1 정상부는 제 2 정상부의 대향측에 배치되고, 제 1 정상부는 맞물린 위치에서 제 1 핑거 요소와 제 2 핑거 요소의 맞물림을 허용하도록 제 2 정상부로부터 옵셋된다. 제 1 정상부 및 제 2 정상부의 각각은 주 부분 및 단부 부분을 포함한다. 주 부분의 제 1 정상부 및 제 2 정상부의 각각과 대응하는 전측 사이의 각도(ß)는 단부 부분의 제 1 정상부 및 제 2 정상부의 각각과 대응하는 전측 사이의 각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이하다. 맞물린 위치에서 제 1 핑거 요소와 이웃하는 제 2 핑거 요소 사이에 공간이 제공된다. 이 공간은 시트가 형상 성형 공구 내에 진입하는 평면 내에서 측정된다. 따라서 이 공간은 개방된 공간이다. 이 개방된 공간은, 상부 및 하부 공구 요소가 그 맞물린 위치에 있을 때, 주 부분과 단부 부분 사이에 제공된다. 따라서 시트는 핑거 요소의 상단 부분을, 따라서 마루를 형성하는 핑거 요소의 정상부에서만 상부 및 하부 공구 요소와 접촉한다. 제 1 핑거 요소의 정상부와 제 2 핑거 요소의 정상부 사이에서, 시트는 어느 핑거 요소와도 접촉하지 않지만 2 개의 인접하는 상단 부분들 사이의 공간 내에서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형상 성형 공구에 의해 형성되는 패킹 층은 주름 시트이다. 주름은 물질 이송 장치의 축선과 각도(δ)의 기울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주름의 기울기의 이러한 각도(δ)는 전형적으로 10° 내지 70°의 범위에 있다. 주름 시트는 주 섹션과 단부 섹션을 갖는다. 주 섹션 및 단부 섹션의 각각에는 주름이 또는 대부분의 경우 복수의 주름이 배치된다. 단부 섹션의 주름의 기울기 각도는 주 섹션의 기울기 각도(δ)와 다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제 1 및 제 2 단부 섹션이 제공될 수 있다. 주 섹션은 제 1 단부 섹션과 제 2 단부 섹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단부 섹션의 주름의 기울기 각도는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고, 반면에 주 섹션 내의 주름의 기울기 각도(δ)는 일정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단부 섹션 내의 각도의 점진적 변화는 물질 이송 장치의 주 축선에 항상 대응하는 유체 유동의 주 방향과 주름이 형성하는 각도의 감소를 유발한다. 시트의 에지에서, 이 각도는 0°까지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 주름은 물질 이송 장치의 축선에 평행하게 배향된다.
시트는 특히 얇은 벽의 금속 시트 또는 직물일 수 있다. 맞물린 위치에서, 제 1 및 제 2 정상부의 맞물림에 기인되어 시트의 변형에 의해 시트 상에 주름이 형성된다. 시트는 제 1 및 제 2 정상부 상에서 폴딩된다. 이것에 의해 시트 상에 파형 구조가 부여된다. 정상부의 각각은 핑거 요소의 상단 부분을 형성한다. 핑거 요소는 베이스 요소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다. 베이스 요소로부터 핑거 요소로의 두께의 천이는 하나의 단차부를 포함한다. 핑거 요소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다. 제 1 면은 공구의 전방 단부를 향해 배향된다. 제 2 면은 공구의 후방 단부를 향해 배향된다. 공구의 전방 단부는 주름 가공될 시트를 수용한다. 주름 시트는 공구의 후방 단부 상에서 공구를 벗어난다. 제 1 면은 제 2 면이 위치하는 평면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핑거 요소 사이에 제공되는 공간은 주름 시트의 두께 보다 크다. 유리하게, 이 공간은 주름 시트의 두께의 2 배보다 크다. 주름 시트는 일반적으로 2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 mm 이하의 두께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주름 시트의 두께는 0.1 mm 내지 0.2 mm의 범위에 있다. 공간은 2 mm를 초과하고, 특히 3 mm를 초과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4 mm를 초과한다.
시트는 가장 간단한 유형에서 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물질 이송 장치에서의 작업 시, 주름 시트를 통과하는 유체의 화학 조성에 따라, 시트는 티타늄, 알루미늄, 구리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제조되거나 세라믹 코팅과 같은 코팅물로 코팅될 수 있다. 시트는 거즈(gauze), 특히 금속 와이어 거즈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복합재 거즈가 적용될 수 있고, 이와 같은 복합재 거즈는 금속 와이어 및 비금속 재료의 와이어를 포함한다. 비금속 재료의 경우, 임의의 유형의 탄소계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리 또는 현무암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폴리머와 같은 유기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폴리머는, 몇 가지 예를 들면, 직물 재료용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실리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락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정상부의 형상은 동일하다. 그러나, 제 2 정상부가 제 1 정상부에 대향하여 공구 내에 배치된다는 사실로 인해, 제 2 정상부는 2 개의 인접하는 제 1 정상부들 사이의 거리의 1/2 만큼 변위된 상태로 경면 대칭 배열로 배치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제 1 정상부 및/또는 복수의 제 2 정상부, 따라서 복수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및 제 2 정상부가 예상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정상부의 각각은 제 1 단부 부분 및 제 2 단부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은 주 부분으로부터 연장한다. 전측과 제 1 정상부 또는 제 2 정상부 사이의 각도는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특히, 전측과 제 1 정상부 또는 제 2 정상부 사이의 각도는 주 부분에서 일정할 수 있다. 따라서 주 부분에 인접하는 제 1 또는 제 2 단부 부분의 각도는 주 부분의 각도에 대응하고, 반면에 제 1 또는 제 2 단부 부분의 에지에서 전측과 제 1 및 제 2 정상부 사이의 각도는 0°까지 감소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단부 부분에 인접하는 시트의 에지에서 주름의 각도는 횡측 시트 에지에 대해 90°에 가깝거나 심지어 90°에 이를 수 있다. 제 1 및/또는 제 2 횡측 시트 측면은 시트 성형 공구를 통한 시트의 진행 방향에 평행하다. 시트가 물질 이송 장치 내에 배치될 구조화 패킹을 위한 층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시트의 제 1 및/또는 제 2 측면에서 주름은 컬럼의 주 축선에 평행하게,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수직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 1 또는 제 2 정상부는 둥근 상단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단 부분에서의 국부적 굽힘 응력은 상단 부분이 예각의 마루로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더 양호하게 분산될 수 있다. 적어도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에서 둥근 상단 부분이 예상되는 경우, 시트는 이 상단 부분의 주위에 원활하게 피팅(fit)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상단 부분의 정밀한 형상을 차용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단부 부분에서 둥근 상단 부분은 주 부분의 곡률 반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는다. 곡률 반경의 단계적 또는 연속적 변화는, 주름을 얻기 위한 폴딩 가공 및 주름의 각도의 점진적 변화를 얻기 위한 굽힘 가공에 의해 시트 상에 가해지는 복합 응력이 더 양호하게 분산될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해, 특히 유리한 프로파일을 유발한다. 따라서 주 부분의 일정한 각도의 주름으로부터 단부 부분 또는 단부 부분들 내의 가변 각도의 주름에 이르는 천이부는 평탄하다. 이것에 의해 일정한 높이의 주름이 얻어진다. 이와 같은 주름이 구조화 패킹을 위한 층으로서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 이와 같은 층은 주름의 마루를 따라 층의 전체 표면에 걸쳐 이웃하는 층에 접촉한다. 사용 시, 구조화 패킹의 층은 주름 시트의 전체 표면에 걸쳐 이웃하는 층의 각각과 접촉한다. 이와 같은 구조화 패킹을 위한 물질 이송은 제어된 상태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조화 패킹의 층을 형성하는 주름 시트의 표면 상을 통과하는 임의의 유체의 어떤 분배 불균형도 방지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둥근 상단 부분의 곡률 반경은 단부 부분으로부터 제 1 또는 제 2 정상부의 주 부분까지 연속적으로 감소된다.
제 1 또는 제 2 정상부는 둥근 상단 부분을 베이스 요소에 연결하는 직선 부분을 갖는다.
직선 부분은 베이스 요소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다. 맞물린 위치에서 제 1 핑거 요소와 제 2 핑거 요소 사이의 간격이 예상된다. 제 1 핑거 요소 및 제 2 핑거 요소의 높이는 주 섹션 및 제 1 및 제 2 단부 섹션을 통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핑거 요소의 주 섹션과 제 1 및 제 2 단부 섹션의 높이는 1 % 이하의 차이를 갖는다.
주름 시트의 제조를 위한 방법은 이전의 실시형태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시트 성형 공구 내로 시트가 전진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에 제 1 핑거 요소를 제 2 핑거 요소를 향해 맞물림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시트 성형 공구가 폐쇄된다. 이것에 의해, 시트는 제 1 핑거 요소 및 제 2 핑거 요소에 대응하는 제 1 정상부 및 제 2 정상부 상에서 폴딩된다. 후속하여, 시트 성형 공구는 제 2 핑거 요소로부터 제 2 핑거 요소를 이동시킴으로써 개방되고, 주름 시트는 시트 성형 공구로부터 배출된다. 다음에, 시트는 다시 전진되어 위에서 지적된 방법 단계가 반복된다. 시트 성형 공구의 제 1 정상부 및 제 2 정상부의 각각은 주 부분 및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주 부분의 제 1 정상부 및 제 2 정상부의 각각과 대응하는 전측 사이의 각도(ß)는 단부 부분의 제 1 정상부 및 제 2 정상부의 각각과 대응하는 전측 사이의 각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이하다. 맞물린 위치에서 제 1 핑거 요소와 이웃하는 제 2 핑거 요소 사이에 공간이 제공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주름 시트는 주 섹션, 제 1 단부 섹션 및 제 2 단부 섹션을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단부 섹션은 맞물림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정상부에 의해 주 섹션과 함께 형성된다.
형상 성형 공구의 핑거 요소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은 시트의 높이의 작은 부분만을, 따라서 시트 또는 주름 시트의 제 1 측면과 제 2 측면 사이의 거리를 구성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주 부분은 시트의 높이의 적어도 40%를, 바람직하게는 시트의 높이의 적어도 60%를 구성한다. 또는 다시 말하면,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주 섹션은 주름 시트(100)의 높이의 적어도 40%, 바람직하게는 높이의 60%를 구성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주 섹션 내의 주름의 높이는 단부 섹션 내의 주름의 높이로부터 5% 이하, 바람직하게는 3%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이하, 특히 0.1% 이하 만큼 상이하고, 이것은, 시트 성형 공구를 사용하는 단일 단계의 제조 방법이 종래 기술의 방법보다 더 낮은 제어 가능성을 제공하므로, 예상 밖이다. 종래 기술의 방법은 전체 시트에 대해 펀칭 공구에 의한 주 섹션의 주름의 펀칭 및 후속하여 제 1 및 제 2 단부 섹션의 개조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단계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후속 단계 중에, 주름 시트는 롤러에 노출되고, 주름이 시트의 각각의 측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배향되는 정도까지, 롤러는 시트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주름에 개조를 가한다.
이하, 예시적 실시형태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공구의 하부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개방된 위치에서 공구의 하부 부분과 상부 부분을 도시하고,
도 3은 도 2의 P-P 단면을 도시하고,
도 4는 도 2의 Q-Q 단면을 도시하고,
도 5a는 시트를 도시하고,
도 5b는 공구의 하부 부분을 도시하고,
도 5c는 주름 시트를 도시하고,
도 6은 공구의 상부 부분을 도시하고,
도 7은 물질 이송 장치 및 그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화 패킹을 도시하고,
도 8은 도 1의 공구의 하부 부분을 도시하고,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공구의 하부 부분 및 상부 부분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 10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공구의 하부 부분 및 상부 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따른 시트 성형 공구는 간결성을 위해 그리고 공구의 통상적으로 숨겨진 요소를 보여주기 위해 그 상부 부분을 생략한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하부 공구 요소(40)는 복수의 제 1 베이스 요소(2, 4, 6, 8), 제 1 핑거 요소(3, 5, 7, 9) 및 지지 구조물(10)을 갖는다. 제 1 베이스 요소 및 제 1 핑거 요소의 각각은 단일체이다. 제 1 베이스 요소 및 제 1 핑거 요소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배열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은 지지 구조물(10)에 의해 지지된다. 더욱이, 복수의 제3 핑거 요소(17, 19)가 제공되고, 이것은 제 3 베이스 요소(16, 18)에 연결된다. 제 3 핑거 요소(17, 19)는 더 정밀한 방식으로 주 섹션의 주름을 성형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제 1 핑거 요소(3, 5, 7, 9)는 시트(90) 내에 주름 마루를 형성하기 위한 제 1 정상부(22, 24, 26, 28)를 형성하고, 이것은 시트 성형 공구가 작업 중일 때 제 1 정상부 상에 설치된다. 이것은 도 3, 도 4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또는 도 8에 따른 실시형태에서, 시트(90)는 주 부분(20)의 전측에 대해 각도(α)로 형상 성형 공구 내에 공급된다. 시트(90)는 대체로 직사각 형상이고, 전방 에지(97), 제 1 측면(94) 및 제 2 측면(95)을 갖는다. 시트는 항상 무단 밴드의 일부를 형성한다. 시트(90)는 형상 성형 공구에 의해 주름 시트(100)로 변형된다. 주름 시트(100)는 원하는 폭으로 절단되고, 그 결과 전방 에지(97) 외에 후방 에지(98)를 갖는다. 전방 에지(97)와 후방 에지(98) 사이의 최단거리는 패킹 층의 폭이다. 이 거리는 주름 마루와 주름 골 사이의 거리의 1/2에 위치되는 평면 내에서 측정된다. 제 1 측면(94)과 제 2 측면(95) 사이의 거리는 통상적으로 패킹 층의 높이라고 부른다. 주름 마루와 인접한 주름 골 사이의 거리는 주름(96)의 높이이다.
따라서 형상 성형 공구(1)에 의해 형성되는 패킹 층은 주름 시트(100)이다. 주름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질 이송 장치의 주축에 대해 주름 각도(δ)의 기울기를 형성한다. 도 1 또는 도 8에 따른 패킹 층의 경우, 제 1 측면(94) 또는 제 2 측면(95)에서 패킹의 에지에서 정상부를 형성하는 곡선에 대한 접선은 물질 이송 장치의 주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이와 같은 주름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주름 각도(δ)는 전형적으로 10° 내지 70°의 범위에 있다. 주름 시트(100)는 주 섹션(91), 제 1 단부 섹션(92) 및 제 2 단부 섹션(93)을 갖는다. 주 섹션(91) 및 제 1 및 제 2 단부 섹션(92, 93)의 각각은 복수의 주름을 구비하여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단부 섹션(92, 93)의 각각의 주름의 기울기 각도는 주 섹션(91)의 기울기의 각도(δ)와 다르다. 주 섹션(91)은 제 1 단부 섹션(92)과 제 2 단부 섹션(3) 사이에 배치된다. The 각도 of 기울기 of a 주름 of the 제 1 및 제 2 단부 섹션(92, 93)의 주름의 기울기 각도는 점진적으로 변화되고, 반면에 주 섹션(91)의 주름 기울기 각도는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제 1 및 제 2 단부 섹션(92, 93) 내의 각도의 점진적 변화는 유체 유동의 주 방향에 평행한 패킹 시트의 축선과 주름이 형성하는 각도의 감소를 유발하고, 이것은, 구조화 패킹이 물질 이송 장치 내에서 상호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브릭(brick)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도 7의 물질 이송 장치의 주 축선에 대해 방향은 대응하지만 위치는 반드시 대응하지 않는다. 물질 이송 장치의 주 축선은 주름 시트(100)의 제 1 측면(94) 및 제 2 측면(95)에 대해 수직이다. 시트의 제 1 측면(94)에서 또는 시트의 제 2 측면(95)에서, 각도는 0°까지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주름은 제 1 측면(94) 및 제 2 측면(95)에서 물질 이송 장치의 축선에 평행하게 배향된다.
도 2는 개방된 위치에서 하부 공구 요소(40) 뿐만 아니라 상부 공구 요소(50)의 양자 모두를 보여준다. 상부 공구 요소(50)는 2 개의 제 2 베이스 요소(12, 14) 및 상기 제 2 베이스 요소(12, 14)로부터 돌출하는 2 개의 제 2 핑거 요소(13, 15)를 갖는다. 제 2 핑거 요소(13, 15)는 시트 내에 주름 골을 형성하기 위한 제 2 정상부(32, 34)를 형성하고, 이것은 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제 1 정상부(22)는 제 2 정상부(32, 34)의 대향측에 배치되고, 제 1 정상부는 맞물린 위치에서 제 1 핑거 요소(3)와 제 2 핑거 요소(13, 15)의 맞물림을 허용하도록 제 2 정상부(32, 34)로부터 옵셋된다. 제 1 정상부(22) 및 제 2 정상부(32, 34)의 각각은 주 부분(20), 제 1 단부 부분(11) 및 제 2 단부 부분(21)을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주 부분(20)은 높이의 적어도 60%, 바람직하게는 높이의 적어도 75%를 구성한다. 또는 다시 말하면,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주 섹션(91)은 주름 시트(100)의 높이의 적어도 60%, 바람직하게는 높이의 75%를 구성한다.
도 3은 도 2의 P-P 위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P-P 단면은 주 부분(20) 내에 위치된다. 제 1 정상부(22)는 제 2 정상부(32, 34)와의 맞물림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주름 시트(100)의 주 섹션(91)은 맞물림 위치에서 성형된다.
둥근 상단 부분의 다음에는 둥근 상단 부분을 베이스 요소에 연결하는 직선 부분이 위치된다. 제 1 정상부는 마루 및 상기 마루로부터 연장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핑거 요소(3)의 선단부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플랭크를 갖는다. 상기 제 1 핑거 요소(3)의 선단부 다음에는 본체가 위치되고, 이 본체는 유리하게 직선 부분으로서 성형된다. 이것은 제 1 및 제 2 플랭크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됨을 의미한다. 직선 부분은 베이스 요소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다.
제 2 핑거 요소(13, 15)는 제 1 핑거 요소(3)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웃하는 제 2 핑거 요소의 마주하는 플랭크 사이의 거리는 제 1 핑거 요소의 직선 부분의 두께보다 크다. 따라서, 제 1 핑거 요소는 인접한 제 2 핑거 요소의 마주하는 플랭크들 사이에 제공되는 공간 내로 돌출할 수 있다. 돌출부의 깊이는 실질적으로 맞물림 위치에 대응하고, 주름(96)의 높이와 대략 같다. 이것은 주름의 높이에서 시트의 두께의 2배를 뺀 것과 같다. 그러나, 이것은 주름 높이에 다소 대응하고, 즉 이것은 주름 높이에 의존하거나 주름 높이의 함수이다. 이것은 제 1 정상부(22)의 마루와 제 2 정상부(32, 34) 사이에서 주름은 그 형상을 자유롭게 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 2 베이스 요소(12, 14)는 제 2 핑거 요소(13, 15)에 대응하는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다. 제 2 베이스 요소(12, 14)가 그 공통 플랭크를 따라 접촉하는 관계에 있는 경우, 그 두께는 제 1 핑거 요소(3)의 두께의 2 배보다 크다. 도 3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핑거 요소(3) 및 제 2 핑거 요소(13, 15)는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제 1 베이스 요소(2) 및 제 2 베이스 요소(12, 14)도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핑거 요소들 사이의 거리는 변화될 수 있다. 추가적 대안으로서, 이웃하는 핑거 요소들 사이의 거리는, 예를 들면,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요소에 의해 얻어진다.
도 4는 도 2의 Q-Q 단면을 도시한다. Q-Q 단면은 제 2 정상부(32, 34)와의 맞물림 위치에 있는 제 1 정상부(22)의 제 1 또는 제 2 단부 부분(11, 21) 내에 위치된다. 도 4에서, 주름 시트(100)의 제 1 단부 섹션(92)은 제 1 정상부(22)와 제 2 정상부(32, 34)의 맞물림 위치에서 성형된다. 베이스 요소와 핑거 요소의 배열은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배열에 대응한다. 그러나, 제 1 핑거 요소(3) 및 제 2 핑거 요소는 둥근 상단 부분을 갖는다. 따라서, 제 1 정상부(22)의 마루 및 제 2 정상부(32, 34)는 도 3에 따른 마루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는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11, 21)의 각각의 둥근 상단 부분은 주 부분(20)의 곡률 반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마루 부분의 형상으로부터 천이부 및 도 4에서 일례로 도시된 바와 같은 마루 부분은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천이부는 계단형일 수 있다. 도 2에서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11, 21)의 각각은 2 개의 하위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다. 도 2의 최외측 서브 섹션 내의 마루 부분의 곡률 반경은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11, 21)의 최내측 서브 섹션 내의 마루 부분의 곡률 반경보다 크다.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11, 21)의 최내측 서브 섹션 내의 마루 부분의 곡률 반경은 주 부분(20)의 마루 부분의 곡률 반경보다 크다.
도 5a는 시트(90)의 일부를 도시한다. 시트(90)는 전방 에지(97), 제 1 측면(94) 및 제 2 측면(95)을 갖는다. 제 1 측면(94) 및 제 2 측면(95)은 전방 에지(97)에 대해 90°의 각도로 배치된다. 이 시트는 또한 도시되지 않은 후방 에지를 갖는다. 시트는 역시 도시되지 않은 롤(roll)로부터 공급될 수 있는 밴드일 수 있다.
도 5b는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구의 하부 부분을 도시한다. 하부 공구 요소는 전측(23)과 후측(25)을 갖는 지지 구조물(10), 제 1 핑거 요소(3, 5, 7) 및 제 1 베이스 요소(2, 4, 6)를 갖는다. 제 1 핑거 요소(3, 5, 7)는 단일의 선을 나타나 있다. 이들 핑거 요소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핑거 요소(3)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공구 요소의 정상부, 핑거 요소 및 베이스 요소의 각각은 주 부분(20), 제 1 단부 부분(11) 및 제 2 단부 부분(21)을 형성한다.
주 부분(20)의 제 1 정상부(22, 24, 26) 또는 제 2 정상부(32, 34)의 각각과 대응하는 전측(23, 33) 사이의 각도(β, 36)는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11, 21)의 제 1 정상부(22, 24, 26) 또는 제 2 정상부(32, 34)의 각각과 대응하는 전측(23, 33) 사이의 각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이하고, 제 1 핑거 요소(3, 5, 7, 9)와 맞물린 위치의 대응하는 이웃하는 제 2 핑거 요소(13, 15) 사이에는 공간이 제공된다.
시트(90)의 전방 에지(97)와 제 1 핑거 요소(3, 5, 7, 9)의 제 1 정상부(22, 24, 26, 28)를 포함하는 평면 내의 주 부분(20) 사이의 각도는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0°이다. 이 실시형태는, 특히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11, 21)이 시트의 높이, 따라서 제 1 측면(94)과 제 2 측면(95) 사이의 거리의 상당 부분을 구성하는 경우에 바람직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주 부분(20)은 주름 시트의 높이의 최대 60%, 바람직하게는 주름 시트의 높이의 최대 50%, 특히 바람직하게는 주름 시트의 높이의 최대 30%를 구성한다.
도 5c는 주름 시트(100)를 도시한다. 이 주름 시트(100)는 전방 에지(97), 제 1 측면(94) 및 제 2 측면(95)을 갖는다. 제 1 측면(94) 및 제 2 측면(95)은 전방 에지(97)에 대해 90°의 각도로 배치된다. 이 시트 또한 후방 에지(98)를 갖는다. 이 후방 에지(98)는 원하는 폭까지 주름 시트(100)를 절단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목적을 위한 절단 공구는 US 6,500,048에 개시되어 있다.
도 6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름 시트를 얻기 위한 공구의 상측 부분을 도시한다. 도 6은 반전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위치에서 형상 성형 공구의 상부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배열을 엎어 놓는 경우, 그 외측이 상측으로부터 보일 것이다. 상부 공구 요소(50)는 제 2 베이스 요소(12, 14)에 연결되는 제 2 핑거 요소(13, 15)에 의하여 형성된 제 2 정상부(32, 34)를 포함한다. 제 2 핑거 요소(13, 14)는 간결성의 이유로 선으로만 표시되어 있으나, 이것은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를 갖는다. 제 2 핑거 요소(13, 14)의 각각은 대응하는 제 2 베이스 요소(12, 14)를 구비하는 유닛을 형성한다. 상부 공구 요소(50)는 지지 구조물(30)를 더 갖는다. 더욱이, 시트 성형 공구는 이 공구에 공급되는 시트(90)를 향해 배향되는 전측(33) 및 도 5c의 주름 시트(100)가 시트 성형 공구로부터 벗어나는 위치에 후측(35)을 갖는다.
주 부분(20) 내의 제 2 정상부(32, 34)의 각각과 대응하는 전측(33) 사이의 각도(β, 36)는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11, 21) 내의 제 2 정상부(32, 34)의 각각과 대응하는 전측(33) 사이의 각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이하다.
도 7은 더 높은 밀도의 하강하는 유체(111)와 더 높은 밀도(111)의 유체에 대해 향류 방향으로 유동함으로써 물질 이송 장치의 내부에서 상승하는 더 낮은 밀도의 유체(112) 사이에서 물질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컬럼 또는 타워와 같은 물질 이송 장치(110)를 도시한다. 양자 모두의 유체의 주 유동 방향은 각각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유체는 가스상 또는 액체상 중 하나일 수 있다.
이 물질 이송 장치는 헤드라고도 부르는 상단부(113) 및 섬프(sump)라고도 부르는 하단부(114)를 갖는다.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원통형 섹션(115)이 예상된다. 이 원통형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구조화 패킹, 많은 경우 복수의 구조화 패킹을 수용할 수 있다. 도 7에서, 제 1 구조화 패킹(116), 제 2 구조화 패킹(117) 및 제3 구조화 패킹(118)이 예상된다. 이웃하는 패킹은 통상적으로 그 축선을 중심으로 90°만큼 선회되고, 이 특징은 단순화를 위해 도 7에서는 생략되었다. 각각의 구조화 패킹은 주름 시트(100)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된다. 이웃하는 주름 시트는 상호 교차방향으로 위치된다. 도 7에서, 제 2 주름 시트(120)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것은 제 1 주름 시트(100)의 후측에 배치되고, 이것은 물질 이송 장치가 그 중심 축선(119)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절개되었을 때 볼 수 있다. 주름 시트(100, 120)는 중심 축선에 평행하게, 여기서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주름 시트(100)는 주 섹션(91), 제 1 단부 섹션(92) 및 제 2 단부 섹션(93)을 갖는다. 주름 시트(100)의 주 섹션(91)의 주름은 일정한 기울기를 갖고, 중심 축선(119)에 대해 주름 각도(δ)로 배치된다. 제 2 주름 시트(120)의 주 부분(91)의 주름은 일정한 기울기를 갖고, 중심 축선(119)에 대해 주름 각도(γ)로 배치된다. 구조화 패킹의 횡단면을 가로질러 규칙적인 유체 분포를 얻기 위해, 각도(γ)는 δ(마이너스 δ)와 같다. 횡단면은 중심 축선(119)에 수직한 평면에서 패킹의 치수이다.
물질 이송 장치(110)는 물질 이송 장치 내에서 수행되는 물질 이송에 의해 헤드 생성물(122) 및 섬프 생성물(125)로 분할되는 유체 유입구 또는 공급부(121)를 갖는다. 증류 장치의 경우, 공급부는 대략 컬럼의 저부와 상부 사이에 위치된다. 더 낮은 밀도의 증발된 유체(112)는 헤드 배출물(124)로서 물질 이송 장치의 상단부(113)로부터 배출된다. 헤드 배출물(124)은 응축기(128)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된다. 증류 장치를 언급하는 경우, 응축된 헤드 배출물은 헤드 환류(reflux; 123)로서 물질 이송 장치 내로 역으로 부분적으로 재순환된다. 증류가 아닌 다른 물질 이송 작업을 언급하는 경우, 이 헤드 환류는 더 높은 밀도의 직접적인 유체 공급물에 의해 생성된다. 제 1 구조화 패킹(116)의 주름 시트를 하강하도록 유체를 제공함으로써 물질 이송 장치를 연속적 작업에 유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더 높은 밀도의 유체는 물질 이송 장치의 하단부(114)에서 수집된다. 섬프 배출물(127)은 하단부(114)로부터 배출되고, 증류 장치의 경우에 증발된 섬프 환류(126)로서 물질 이송 장치 내로 역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재순환됨으로써 제 3 구조화 패킹(118) 내에서의 물질 이송을 수행하기 위한 더 낮은 밀도의 유체를 제공한다. 섬프 환류(126)는 리보일러(reboiler; 129) 내에서 섬프 배출물(127)의 부분적 증발에 의해 얻어진다.
증류가 아닌 다른 물질 이송을 언급하는 경우, 더 낮은 밀도의 유체는 저부 공급류로부터 직접 얻어진다. 섬프 배출물(127)의 잔부는 섬프 생성물로서 물질 이송 장치로부터 배출된다. 리보일러 및 응축기는 열교환기이다. 물질 이송 장치 내의 더 낮은 밀도의 유체와 더 높은 밀도의 유체의 분배는 도 7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분배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각각의 구조화 패킹은, 루즈 칼라(loose collar) 또는 지지 빔(beam)과 같은, 10 cm 내지 5 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는 물질 이송 장치의 직경에 대해 적절한 임의의 수단에 의해 원통형 섹션의 벽 내에 지지된다. 물질 이송 장치가 증류 장치인 경우, 더 낮은 밀도의 유체는 기체상이고, 더 높은 밀도의 유체는 액체상이다. 물질 이송 장치가 추출 장치인 경우, 더 낮은 밀도의 유체는 더 가벼운 액체이고, 더 높은 밀도의 유체는 더 무거운 액체이다.
예상되는 정상부의 개수만이 도 1과 다르고, 또 단일의 제 3 핑거 요소만이 예상되는 점에서 다른 실시형태의 도면이다. 이 실시형태는 형상 성형 공구(1)의 하부 공구 요소(40)를 도시한다. 이 하부 공구 요소는 제 1 정상부(22, 24, 26)를 포함하는 제 1 핑거 요소(3, 5, 7)를 포함한다. 제 1 핑거 요소는 제 1 베이스 요소(2, 4, 6)에 연결된다. 핑거 요소는 정상부에서 종료되는 돌출부를 형성한다. 상부 공구 요소의 핑거 요소는 각각의 핑거 요소들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입될 수 있다. 시트 상에 주름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 공구 요소 및 하부 공구 요소는 시트 상에 주름 패턴을 부여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린다. 하부 공구 요소는 주 부분(20)을 갖고, 이것은 전측(41) 및 후측(42)을 갖는다. 전측(41)은 후측(42)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시트(90)의 제 1 또는 제 2 측면(94, 95) 및 하부 공구 요소의 주 부분(20)의 전측(41)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수직한 선은 상호 각도(α)를 포함한다. 각도는 제 1 핑거 요소(3, 5, 7)의 제 1 정상부(22, 24, 26)를 포함하는 평면 내에서 측정된다. 각도(α)는 0° 내지 최대 80°의 범위일 수 있다. 주름 시트는 각도(ζ)로 형상 성형 공구로부터 배출되고, 이 각도는, 시트(90)가 형상 성형 공구(1)를 통과할 때 그 전진 방향을 변화시키므로, 본 경우에 주름 각도(δ)와 거의 동일하다. 각도(α)는 각도(ζ)보다 크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도 5a 내지 도 5c 또는 도 6에 따른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상당한 정도까지 형상 성형 공구의 치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형상 성형 공구(1)의 제조를 위해 감소된 양의 재료가 요구된다. 형상 성형 공구는 펀치 프레스에 내장되어 있고, 펀치 프레스는 상부 공구 요소(40) 및 하부 공구 요소(50)를 개폐하기 위한 구동 수단을 수용한다. 한편으로, 형상 성형 공구의 치수가 감소된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펀칭 프레스 및 형상 성형 공구의 재료 및 제조 비용은 저하된다. 형상 성형 공구는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한편으로 상부 및 하부 공구 요소(40, 50)의 중량이 감소된다는 사실에 기인되어 작업 비용이 감소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 및/또는 하부 공구 요소를 맞물림 위치 및 맞물림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이 감소되고, 이것은 상당한 에너지 절약 및 형상 성형 공구의 수명의 증가를 유발한다. 또한 힘의 감소에 기인되어 더 소형의 펀치 프레스가 설계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또한 투자 비용이 감소되고 필요한 제조 공간이 감소된다.
시트(90)의 폭은 화살표(99)로 표시되어 있다. 폭은 제 1 측면(94)과 제 2 측면(95) 사이의 수직 거리이다. 주름 시트(100)의 폭은 화살표(101)로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99)의 폭은 주름 시트(100)의 폭보다 크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시트(99)의 폭이 240 mm인 경우, 주름 시트(101)의 폭은 주름의 유형, 따라서 주름 각도(δ), 주름 높이 및 주름 피치, 이에 따라 2 개의 인접하는 주름의 마루 사이의 거리에 따라 195 mm 내지 220 mm의 값의 범위에서 변화될 수 있다.
도 9는 주 부분(20) 내의 하나의 위치에 위치되는 도 2와 유사한 핑거 요소를 통한 단면을 도시한다. 제 1 정상부(22)는 제 2 정상부(32, 34)와의 맞물림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주름 시트(100)의 주 섹션(91)은 맞물림 위치에서 성형된다. 핑거 요소의 둥근 상단 부분의 다음에는 베이스 요소에 둥근 상단 부분을 연결하는 직선 부분이 위치된다. 더욱이 핑거 요소(3, 13, 15) 및 대응하는 베이스 요소(2, 12, 14)의 두께는 동일하다. 이웃하는 베이스 요소들 사이 간격 요소(60)가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변형례에 따르면, 핑거들 사이의 거리는 변화될 수 있다.
도 10은 도 2와 유사한 핑거 요소의 단면을 도시한다. 이 단면은 제 2 정상부(32, 34)와의 맞물림 위치에 있는 제 1 정상부(22)의 제 1 또는 제 2 단부 부분(11, 21) 내에 위치된다. 도 10에서, 주름 시트(100)의 제 1 단부 섹션(92)은 제 1 정상부(22)와 제 2 정상부(32, 34)의 맞물림 위치에서 성형된다. 베이스 요소와 핑거 요소의 배열은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배열에 대응한다. 그러나, 제 1 핑거 요소(3) 및 제 2 핑거 요소는 둥근 상단 부분을 갖는다. 따라서, 제 1 정상부(22)의 마루 및 제 2 정상부(32, 34)의 마루는 도 3에 따른 마루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는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11, 21)의 각각의 둥근 상단 부분은 주 부분(20)의 곡률 반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는다. 더욱이 핑거 요소(3, 13, 15)와 대응하는 베이스 요소(2, 12, 14) 사이에 계단상의 천이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공구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공구 요소 상의 이웃하는 베이스 요소(2, 12, 14) 사이에 간격 요소(70)들이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단일의 간격 요소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된다. 간격 요소는 가변 폭을 가질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복수의 상이한 주름이 성형될 수 있다. 간격 요소가 작은 폭을 가지는 경우, 주름 시트 상의 인접하는 마루들 사이의 거리는 감소되고, 더 급한 경사의 주름이 얻어질 수 있다.
이들 예시적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많은 변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공구는 임의의 원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부 또는 하부 공구의 각각에서 핑거 요소의 개수는 변화될 수 있고,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다를 수 있다. 더욱이 공구는 모듈식 설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지지 구조물이 예상될 수 있다. 핑거 요소 및 베이스 요소의 각각은 단일의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핑거 요소 및 베이스 요소의 각각은 그 자체의 지지 구조물과 일체적 부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개별의 핑거 요소를 간단한 조립 또는 분해 단계에 의해 쉽게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15)

  1. 물질 이송 장치(mass transfer apparatus) 내의 장치로서 사용되는 구조화 패킹을 위한 층으로 사용되는 얇은 벽의 금속 시트 또는 구조물인 주름 시트(corrugated sheet)의 제조를 위한 시트 성형 공구(1)로서,
    상기 시트 성형 공구(1)는 하부 공구 요소(40) 및 상부 공구 요소(50)를 가지며, 상기 상부 공구 요소 및 하부 공구 요소의 각각은 전측(23, 33, 41) 및 후측(25, 35, 42)을 갖고, 상기 하부 공구 요소(40)는 제 1 베이스 요소(2, 4, 6, 8) 및 상기 제 1 베이스 요소(2, 4, 6, 8)로부터 돌출하는 제 1 핑거 요소(3, 5, 7, 9)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핑거 요소(3, 5, 7, 9)는 상기 시트에서 주름 마루(peak)를 형성하기 위한 제 1 정상부(22, 24, 26, 28)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공구 요소(50)는 제 2 베이스 요소(12, 14) 및 상기 제 2 베이스 요소(12, 14)로부터 돌출하는 제 2 핑거 요소(13, 15)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핑거 요소(13, 15)는 상기 시트에서 주름 골(trough)을 형성하기 위한 제 2 정상부(32, 34)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정상부(22, 24, 26, 28)는 상기 제 2 정상부(32, 34)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1 정상부(22, 24, 26, 28)는 맞물린 위치에서 상기 제 1 핑거 요소(3, 5, 7, 9)와 상기 제 2 핑거 요소(13, 15)의 맞물림을 허용하도록 상기 제 2 정상부(32, 34)로부터 옵셋되고, 상기 제 1 정상부(22, 24, 26, 28) 및 제 2 정상부(32, 34)의 각각은 주 부분(20), 및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11, 21)을 포함하고, 상기 주 부분(20) 내의 상기 제 1 정상부(22, 24, 26, 28) 및 제 2 정상부(32, 34)의 각각과 대응하는 상기 전측(23, 33, 41) 사이의 각도(ß; 36)는 상기 단부 부분(11, 21) 내의 상기 제 1 정상부(22, 24, 26, 28) 및 제 2 정상부(32, 34)의 각각과 대응하는 전측 사이의 각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르고, 상기 맞물린 위치에서 상기 제 1 핑거 요소(3, 5, 7, 9)와 이웃하는 상기 제 2 핑거 요소(13, 15)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며, 상기 핑거 요소 사이의 공간은 3 mm를 초과하고, 상기 제 1 핑거 요소(3, 5, 7, 9) 및 제 2 핑거 요소(13, 15)의 높이는 상기 주 부분 및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을 통해 일정하게 유지되는, 주름 시트의 제조를 위한 시트 성형 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상부(22, 24, 26, 28)는 상기 제 2 정상부(32, 34)에 대해 경면 대칭 배열로 배치되는, 주름 시트의 제조를 위한 시트 성형 공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상부(22, 24, 26, 28) 및 제 2 정상부(32, 34) 중 적어도 하나를 복수개 구비한, 주름 시트의 제조를 위한 시트 성형 공구.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23, 33)과 상기 제 1 정상부(22, 24, 26, 28) 또는 상기 제 2 정상부(32, 34)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11, 21) 중 적어도 하나 내에서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주름 시트의 제조를 위한 시트 성형 공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23, 33)과 상기 주 부분(20) 내의 상기 제 1 정상부(22, 24, 26, 28) 또는 제 2 정상부(32, 34) 사이의 각도(ß; 36)는 일정한, 주름 시트의 제조를 위한 시트 성형 공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핑거 요소 또는 상기 제 2 핑거 요소는 둥근 상단 부분을 갖는, 주름 시트의 제조를 위한 시트 성형 공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부분(11, 21)의 둥근 상단 부분은 상기 주 부분(20)의 곡률 반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는, 주름 시트의 제조를 위한 시트 성형 공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둥근 상단 부분의 곡률 반경은 상기 단부 부분(11, 21)으로부터 상기 주 부분(20)까지 연속적으로 감소되는, 주름 시트의 제조를 위한 시트 성형 공구.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둥근 상단 부분의 다음에는 상기 둥근 상단 부분을 상기 베이스 요소에 연결하는 직선 부분이 위치되는, 주름 시트의 제조를 위한 시트 성형 공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부분은 상기 베이스 요소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주름 시트의 제조를 위한 시트 성형 공구.
  12. 삭제
  13. 물질 이송 장치(mass transfer apparatus) 내의 장치로서 사용되는 구조화 패킹을 위한 층으로 사용되는 얇은 벽의 금속 시트 또는 구조물인 주름 시트(100)의 제조를 위한 방법으로서,
    시트(90)는 시트 성형 공구(1) 내로 진입되고, 상기 시트 성형 공구(1)는 하부 공구 요소(40) 및 상부 공구 요소(50)를 갖고, 상기 상부 공구 요소 및 하부 공구 요소의 각각은 전측(23, 33, 41) 및 후측(25, 35, 42)을 갖고, 상기 하부 공구 요소(40)는 제 1 베이스 요소(2, 4, 6, 8) 및 상기 제 1 베이스 요소(2, 4, 6, 8)로부터 돌출하는 제 1 핑거 요소(3, 5, 7, 9)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핑거 요소(3, 5, 7, 9)는 상기 시트에서 주름 마루를 형성하기 위한 제 1 정상부(22, 24, 26, 28)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공구 요소(50)는 제 2 베이스 요소(12, 14) 및 상기 제 2 베이스 요소(12, 14)로부터 돌출하는 제 2 핑거 요소(13, 15)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핑거 요소(13, 15)는 상기 시트에서 주름 골을 형성하기 위한 제 2 정상부(32, 34)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정상부(22, 24, 26, 28)는 상기 제 2 정상부(32, 34)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1 정상부(22, 24, 26, 28)는 맞물린 위치에서 상기 제 1 핑거 요소(3, 5, 7, 9)와 상기 제 2 핑거 요소(13, 15)의 맞물림을 허용하도록 상기 제 2 정상부(32, 34)로부터 옵셋되고, 상기 시트(90)가 대응하는 상기 제 1 핑거 요소(3, 5, 7, 9) 및 제 2 핑거 요소(13, 15)의 제 1 정상부(22, 24, 26, 28) 및 제 2 정상부(32, 34) 상에서 폴딩(folding)되도록 상기 시트 성형 공구(1)는 맞물림 위치로 제 2 핑거 요소(13, 15)를 향해 제 1 핑거 요소(3, 5, 7, 9)를 이동시킴으로써 폐쇄되고, 다음에 상기 시트 성형 공구(1)는 상기 제 2 핑거 요소(13, 15)로부터 상기 제 1 핑거 요소(3, 5, 7, 9)를 이동시킴으로써 개방되고, 상기 주름 시트(100)는 상기 시트 성형 공구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제 1 정상부(22, 24, 26, 28) 및 제 2 정상부(32, 34)의 각각은 주 부분(20), 및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11, 21)을 포함하고, 상기 주 부분(20) 내의 상기 제 1 정상부(22, 24, 26, 28) 및 제 2 정상부(32, 34)의 각각과 대응하는 상기 전측(23, 33, 41) 사이의 각도(ß; 36)는 상기 단부 부분(11, 21) 내의 상기 제 1 정상부(22, 24, 26, 28) 및 제 2 정상부(32, 34)의 각각과 대응하는 전측 사이의 각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르고, 상기 맞물린 위치에서 상기 제 1 핑거 요소(3, 5, 7, 9)와 이웃하는 상기 제 2 핑거 요소(13, 15)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며, 상기 핑거 요소 사이의 공간은 3 mm를 초과하고, 상기 제 1 핑거 요소(3, 5, 7, 9) 및 제 2 핑거 요소(13, 15)의 높이는 상기 주 부분 및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을 통해 일정하게 유지되는, 주름 시트의 제조를 위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시트(100)는 주 섹션(91), 제 1 단부 섹션(92) 및 제 2 단부 섹션(93)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 섹션(92, 93)은 상기 맞물림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정상부(22, 24, 26, 28, 32, 34)에 의해 상기 주 섹션(91)과 함께 형성되는, 주름 시트의 제조를 위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섹션(91) 내의 주름의 높이는 상기 단부 섹션(92, 93) 내의 주름의 높이에 비해 5% 이하만큼 상이한, 주름 시트의 제조를 위한 방법.
KR1020147001482A 2011-07-21 2011-07-21 주름 시트의 제조를 위한 시트 성형 공구 및 방법 KR101810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1/001197 WO2013010293A1 (en) 2011-07-21 2011-07-21 A sheet forming tool and a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corrugated she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775A KR20140041775A (ko) 2014-04-04
KR101810948B1 true KR101810948B1 (ko) 2017-12-20

Family

ID=47557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482A KR101810948B1 (ko) 2011-07-21 2011-07-21 주름 시트의 제조를 위한 시트 성형 공구 및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517501B2 (ko)
EP (1) EP2734315B1 (ko)
JP (1) JP6050349B2 (ko)
KR (1) KR101810948B1 (ko)
CN (1) CN103842108B (ko)
BR (1) BR112013028636A2 (ko)
CA (1) CA2842247C (ko)
MX (1) MX345090B (ko)
RU (1) RU2566690C2 (ko)
SG (1) SG194491A1 (ko)
WO (1) WO20130102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06083A1 (de) * 2014-03-31 2015-10-01 Foldcore Gmbh Verfahren zur Umformung eines Flachbahnmaterials und Vorrichtung
US10479016B2 (en) * 2015-01-26 2019-11-19 Stephen J. Motosko Polycarbonate panel having shallow bends
US9956540B1 (en) * 2015-03-31 2018-05-01 Gtc Technology Us Llc Structured packing with enhanced fluid-flow interface
CN105458088B (zh) * 2015-11-03 2018-06-05 天津市北方高效石化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双曲填料拐弯模具
FR3043925B1 (fr) * 2015-11-19 2017-12-08 Gaztransport Et Technigaz Formage d'un coude dans une ondulation
CN106812197B (zh) 2015-12-01 2019-10-18 哈尼·A·阿布纳梅赫 马桶便盆排气系统
CN106334759B (zh) * 2016-12-02 2018-08-17 天津市北方高效石化设备制造有限公司 可调节的双曲填料拐弯模具
EP3360620A1 (de) * 2017-02-10 2018-08-15 Lind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gewellten packungsblechs für eine strukturierte packung
CN110418579B (zh) * 2017-04-12 2022-04-08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用于薄片状烟草材料的生产的设备和方法
RU2757894C2 (ru) * 2017-04-28 2021-10-22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гофрированного листа материал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7109A (ja) * 2001-02-09 2002-10-22 L'air Liquide Sa Pour L'etude & L'exploitation Des Procede S Georges Claude 金属シートから充填材用の波板を製造する方法と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57892A1 (de) * 1973-11-20 1975-05-22 Siemens Ag Luft-, licht- und fluessigkeitsdurchlaessige schirmungselemente
JPS5154065A (ja) 1974-11-08 1976-05-12 Manyo Kogyo Kk Suneekuzaiseikeisochi
JPS5230469U (ko) * 1975-08-25 1977-03-03
JPS5230469A (en) 1975-09-03 1977-03-08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Dual-hand type electronic clock
BE835140A (fr) * 1975-10-31 1976-02-16 Procede de reprofilage de toles ondulees metalliques et press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US4450705A (en) * 1981-02-18 1984-05-29 Caterpillar Tractor Co. Heat exchanger plate having distortion resistant uniform pleats
JPS60174218A (ja) 1984-02-20 1985-09-07 Nippon Denso Co Ltd リング状濾過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及び装置
US4659323A (en) * 1984-02-20 1987-04-21 Nippondenso Co., Ltd. Method for making axial-flow filters and apparatus therefor
JPH0745172B2 (ja) 1986-01-09 1995-05-17 株式会社東芝 波形絶縁体の製造方法
US5340301A (en) 1988-08-05 1994-08-23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Corrugated substructure forming tool
RU2118219C1 (ru) * 1994-08-10 1998-08-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циональный институт авиационных технологий" Способ штамповки-вытяжки изделий из листового металла
GB9522086D0 (en) * 1995-10-31 1996-01-03 Ici Plc Fluid-fluid contacting apparatus
IT1306959B1 (it) 1999-01-15 2001-10-11 Antonio Gigola Procedimento e pressa per l'ottenimento di pannelli oscuranti eumidificanti,in particolare per allevamenti avicoli o serre,e pannello
TW483819B (en) * 1999-04-15 2002-04-21 Sulzer Chemtech Ag Method and plant for shaping strip-like films
TW572802B (en) * 1999-08-25 2004-01-21 Sulzer Chemtech Ag Method for separating profiled foils
FR2833190B1 (fr) 2001-12-10 2004-02-27 Air Liquide Bande pour module de garnissage, module et colonne correspondants
US6834525B2 (en) 2002-11-18 2004-12-28 The Boeing Company Adjustable corrugation apparatus and method
RU2246366C1 (ru) * 2003-09-25 2005-02-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омсомольское-на-Амуре авиационное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им. Ю.А. Гагарина" Штамп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листовых деталей с гофрами
RU2284915C1 (ru) * 2005-02-11 2006-10-10 Ильдус Мухаметгалеевич Закир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гофрированного заполнителя одинарной кривизны
JP2008087033A (ja) * 2006-10-02 2008-04-17 Denso Corp 波状板材の成形方法およびその成形装置
FR2939339B1 (fr) * 2008-12-04 2011-03-18 Air Liquide Procede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d'une onde de garnissage structure, et appareil de traitement de fluides correspondant
CN201410522Y (zh) 2009-05-06 2010-02-24 昆山荣腾模具部品制造有限公司 一种波纹片压制模具
FR2946270B1 (fr) * 2009-06-09 2014-09-05 Snecma Support d'equipements en aeronautique en plaque ondule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7109A (ja) * 2001-02-09 2002-10-22 L'air Liquide Sa Pour L'etude & L'exploitation Des Procede S Georges Claude 金属シートから充填材用の波板を製造する方法と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10293A1 (en) 2013-01-24
CA2842247A1 (en) 2013-01-24
MX345090B (es) 2017-01-17
KR20140041775A (ko) 2014-04-04
JP6050349B2 (ja) 2016-12-21
EP2734315A4 (en) 2015-03-18
BR112013028636A2 (pt) 2017-01-24
US9517501B2 (en) 2016-12-13
SG194491A1 (en) 2013-12-30
EP2734315A1 (en) 2014-05-28
RU2014101623A (ru) 2015-08-27
US20140157856A1 (en) 2014-06-12
CA2842247C (en) 2017-10-31
EP2734315B1 (en) 2016-06-29
CN103842108A (zh) 2014-06-04
MX2014000778A (es) 2014-08-27
RU2566690C2 (ru) 2015-10-27
JP2014520676A (ja) 2014-08-25
CN103842108B (zh)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0948B1 (ko) 주름 시트의 제조를 위한 시트 성형 공구 및 방법
CA2159752C (en) Structured packing with improved capacity for rectification systems
JP7239488B2 (ja) 物質移動カラムのための構造化充填モジュール
JP6231274B2 (ja) 構造化充填物を有する物質移動装置
TW450828B (en) Corrugated structured packing (section), exchange tower containing said packing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processes for cryogenic air separation and for exchanging mass and/or heat between two liquids by using same
US20020112811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a structured packing corrugation, and corresponding fluid-treatment apparatus
JP2020523183A (ja) 物質移動カラムの構造化された充填材モジュール
WO2014092857A1 (en) Structured packing and method
US7210324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n ordered packing
RU2808088C1 (ru)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эффективно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структурированного насадочного элемента с пересекающимися каналами
EP3808447A1 (en) Plant and process for efficiently producing a structured cross-channel packing element
FR3076226A3 (fr) Concavites periodiques sur une onde de garnissage structure
MXPA00002485A (en) Corrugated structured pac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