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934B1 - 선박용 가스 터빈 흡기 계통을 위한 시험 장치 및 시험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용 가스 터빈 흡기 계통을 위한 시험 장치 및 시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934B1
KR101810934B1 KR1020160062390A KR20160062390A KR101810934B1 KR 101810934 B1 KR101810934 B1 KR 101810934B1 KR 1020160062390 A KR1020160062390 A KR 1020160062390A KR 20160062390 A KR20160062390 A KR 20160062390A KR 101810934 B1 KR101810934 B1 KR 101810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gradient
pressure
pressure measuring
measuring unit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1125A (ko
Inventor
권대훈
강경식
김영목
Original Assignee
전봉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봉욱 filed Critical 전봉욱
Priority to KR1020160062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934B1/ko
Publication of KR20170131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4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 G01M15/09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by monitoring pressure in fluid ducts, e.g. in lubrication or coo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6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relating to gas turb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2Details or accessories of test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4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 G01M15/10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by monitoring exhaust gases or combustion flame
    • G01M15/102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by monitoring exhaust gases or combustion flame by monitoring exhaust gases
    • G01M15/106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by monitoring exhaust gases or combustion flame by monitoring exhaust gases using pressure sens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입 덕트, 프론트 세퍼레이터, 필터 유닛, 리어 세퍼레이터 그리고 배출 덕트에 각각 압력 측정부를 설치한 후 각 구성 부품 사이의 압력 구배를 측정하여 각 부품별로 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의해 불량으로 판단된 부품만을 교체할 수 있어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선박용 가스 터빈을 위한 시험 장치 및 시험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박용 가스 터빈 흡기 계통을 위한 시험 장치 및 시험 방법{TEST APPARATUS AND METHOD FOR GAS TURBINE INTAKE SYSTEM OF SHIPS}
본 발명은 도입 덕트, 프론트 세퍼레이터, 필터 유닛, 리어 세퍼레이터 그리고 배출 덕트에 각각 압력 측정부를 설치한 후 각 구성 부품 사이의 압력 구배를 측정하여 각 부품별로 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의해 불량으로 판단된 부품만을 교체할 수 있어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선박용 가스 터빈 흡기 계통을 위한 시험 장치 및 시험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함 등과 같은 선박의 경우 기존의 구동 장치(디젤 엔진 등)외에도 가스 터빈을 이용한 구동 장치를 병용하고 있다.
이는 통상적인 항해 상태에서는 상기 기존의 구동 장치만으로 선박을 운행하지만, 전투 상황 등 긴급한 경우 가스 터빈을 이용한 구동 장치를 병용하여 선박의 운행 속도를 높이게 된다.
상기 가스 터빈을 이용한 구동 장치는 도 1에 일부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터빈에 공기를 투입하기 위해 필터 유닛(130)이 구비되고, 상기 필터 유닛(130) 사이에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와 리어 세퍼레이터(120B)가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와 리어 세퍼레이터(120B)에서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필터 유닛(130)에서는 염분이나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터 유닛(130)과 세퍼레이터(120A,120B)는 통상 조립된 상태로 공급되며, 상기 필터 유닛(130)과 세퍼레이터(120A,120B)를 시험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입 덕트(110)와 배출 덕트(150)가 구비된 시험 장치를 이용한다.
즉, 도입 덕트(110)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고, 세퍼레이터(120A,120B)와 필터 유닛(130)에 의해 수분과 염분 그리고 이물질 등이 걸러지며, 배출 덕트(110)를 통해 가스 터빈(도시되지 않음)측으로 공기가 주입된다.
이러한 종래의 시험 장치의 경우 도입 덕트(110)와 배출 덕트(150) 사이의 압력 구배를 측정하여 측정된 압력 구배가 기 설정된 값보다 크면 필터 유닛(130)과 세퍼레이터(120A,120B)가 불량이라고 판단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필터 유닛과 세퍼레이터가 조립된 전체에 대해 불량 여부를 판단하여 교체 또한 일괄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서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선박 등에 병용되는 가스 터빈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미국 등록 특허 제7966868호 일본 공개 특허 제2008-209136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0700234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124281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34735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입 덕트, 프론트 세퍼레이터, 필터 유닛, 리어 세퍼레이터 그리고 배출 덕트에 각각 압력 측정부를 설치한 후 각 구성 부품 사이의 압력 구배를 측정하여 각 부품별로 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의해 불량으로 판단된 부품만을 교체할 수 있어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선박용 가스 터빈을 위한 시험 장치 및 시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가 도입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연통되는 도입 덕트(110),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 필터 유닛(130), 리어 세퍼레이터(120B) 그리고 배출 덕트(150)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입 덕트(110),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 필터 유닛(130), 리어 세퍼레이터(120B) 그리고 배출 덕트(150)에는 각각 압력 측정부(P)가 구비되는 선박용 가스 터빈 흡기 계통을 위한 시험 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압력 측정부(P)는 상기 도입 덕트(110)에 구비되는 제1압력 측정부(P1)와, 상기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에 구비되는 제2압력 측정부(P2)와, 상기 필터 유닛(130)에 구비되는 제3압력 측정부(P3)와, 상기 리어 세퍼레이터(120B)에 구비되는 제4압력 측정부(P4)와, 상기 배출 덕트(150)에 구비되는 제5압력 측정부(P5)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압력 측정부는 제어부(CON)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도입 덕트(110)에서 작동 유체의 도입 방향 상류에 해상 조건 모사부(160)가 구비되어 염분이나 수분 또는 이물질을 도입 덕트(110)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 또는 리어 세퍼레이터(120B)는 케이스(121)와, 상기 케이스(121)에 다수 층 내장되는 블레이드(122)와 상기 케이스(121) 하부에 구비되어 케이스(121) 내부의 수분이 배출되는 드레인(12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블레이드(122)에는 포켓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배출 덕트(150)와 가스 터빈 사이에 소음기(170)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험 장치를 이용한 시험 방법으로서, 인접하는 압력 측정부에서 압력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의 차이 값으로 산출된 압력 구배가 이미 설정된 정상 압력 구배 범위보다 큰 경우 공기 유동 방향 상류에 구비된 시험 장치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선박용 가스 터빈을 위한 시험 방법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때, 정상 작동 시 운전 시간에 따른 시간 압력 구배 범위(L1±△H)을 미리 설정한 후, 특정 시험 장치에 대한 압력 구배가 특정 시점에서 상기 정상 압력 구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미 설정된 정상 압력 구배 범위에 속하더라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불량으로 판단된 부품만을 교체할 수 있어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 장치의 세퍼레이터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 장치의 세퍼레이터 중 블레이드와 포켓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 방법으로서 측정된 압력 구배가 시간 압력 구배 범위를 벗어난 경우 정상 압력 구배 범위 이내인 경우라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 장치의 세퍼레이터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 장치의 세퍼레이터 중 블레이드와 포켓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 방법으로서 측정된 압력 구배가 시간 압력 구배 범위를 벗어난 경우 정상 압력 구배 범위 이내인 경우라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터빈의 흡기 계통에 공기가 도입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연통되는 도입 덕트(110),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 필터 유닛(130), 리어 세퍼레이터(120B) 그리고 배출 덕트(15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도입 덕트(110),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 필터 유닛(130), 리어 세퍼레이터(120B) 그리고 배출 덕트(150)에는 각각 압력 측정부(P)가 구비된다.
상기 압력 측정부(P)는 상기 도입 덕트(110)에 구비되는 제1압력 측정부(P1)와, 상기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에 구비되는 제2압력 측정부(P2)와, 상기 필터 유닛(130)에 구비되는 제3압력 측정부(P3)와, 상기 리어 세퍼레이터(120B)에 구비되는 제4압력 측정부(P4)와, 상기 배출 덕트(150)에 구비되는 제5압력 측정부(P5)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압력 측정부는 제어부(CON)에 연결된다.
즉, 상기 제1압력 측정부(P1)와 제2압력 측정부(P2)에 의해 도입 덕트(110)와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의 압력을 각각 측정하여 그 압력 구배를 산출한다.
상기 산출된 압력 구배 즉, 압력의 차이값이 이미 설정된 정상 압력 구배 범위를 벗어난 경우 공기 유동 방향 상류에 구비된 시험 장치 즉, 제1압력 측정부(P1)가 구비된 시험 장치인 도입 덕트(110)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상기 도입 덕트(110) 내부에 문제가 있으면 압력 강하가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입 덕트(110) 내부 형상이 잘못되어 유동에 방해가 발생하는 경우 압력 강하가 정상적인 압력 강하 범위 이상으로 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압력 강하는 제어부(CON)에 의해 산출하여 도입 덕트(110)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에 구비되는 제2압력 측정부(P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22)를 기준으로 공기 유동 방향 상류측에 구비된다.
이는 제2압력 측정부(P2)가 블레이드(122)의 하류측에 구비되면 산출되는 압력 구배가 상기 블레이드에 의한 영향까지 포함되어서 도입 덕트(110)에 의한 압력 구배를 산출하기 아렵기 때문이다.
유사하게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에 구비된 제2압력 측정부(P2)와 필터 유닛(130)에 구비된 제3압력 측정부(P3)에서 각각 압력을 측정한 후 압력 구배를 제어부(CON)에서 산출한다.
상기 제3압력 측정부(P3)와 제2압력 측정부(P2)에서 측정된 압력의 구배가 기 설정된 정상 압력 구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유동 방향 상류에 배치된 시험 장치 즉,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에 불량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에 수분이 포집되는 포켓이 구비되는데, 상기 포켓의 형상에 문제가 있어나 혹은 블레이드의 형상 또는 배치 간격에 문제가 있는 경우 공기의 유동이 방해를 받아 압력 구배가 설정된 정상 압력 구배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가 불량으로 판단하여 상기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 만을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종래보다 원가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유닛(130)은 필터(131)와 상기 필터(131)가 내부에 구비되며 양 측은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와 리어 세퍼레이터(120B)에 각각 연통되는 필터 바디(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압력 측정부(P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31)의 상류 방향에 구비된다.
이는 제3압력 측정부(P3)가 필터(131)의 하류 방향에 구비되면 측정된 압력 구배에 상기 필터(131)가 영향을 미쳐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에 의한 압력 구배를 측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유사하게 필터 유닛(130)에 구비된 제3압력 측정부(P3)와 리어 세퍼레이터(120B)에 구비된 제4압력 측정부(P4)에서 각각 압력을 측정한 후 압력 구배를 제어부(CON)에서 산출한다.
상기 압력 구배가 설정된 정상 압력 구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류 측 시험 장치인 필터 유닛(130)이 불량으로 판단한다.
이때, 상기 필터 유닛(130)에 구비되는 제3압력 측정부(P3)는 필터(131)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리어 세퍼레이터(120B)에 구비되는 제4압력 측정부(120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의 상류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압력 구배는 필터(131)에 의한 영향만을 받게 한다.
또한, 유사하게 리어 세퍼레이터(120B)에 구비된 제4압력 측정부(P4)와 배출 덕트(150)에 구비된 제5압력 측정부(P5)에서 각각 압력을 측정한 후 압력 구배를 제어부(CON)에서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압력 구배가 설정된 정상 압력 구배 범위를 벗어나면 상류측 시험 장치인 리어 세퍼레이터(120B)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상 상기 제4압력 측정부(P4)는 블레이드의 상류측에 배치되므로 상기 압력 구배는 상기 리어 세퍼레이터(120B)에 의해 결정되고, 이에 의해 상기 리어 세퍼레이터(120B)의 불량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측정부(P)는 널리 알려진 압력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CON) 역시 널리 알려진 PC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시험 장치(100)는 선박 등에 사용되는 가스 터빈에 대한 것이므로 해상 환경과 동일한 환경을 제공해야 하며,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입 덕트(110)에서 작동 유체의 도입 방향 상류에 해상 조건 모사부(160)를 구비하여, 염분이나 수분 또는 이물질을 도입 덕트(110)로 공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해상 조건 모사부(160)에 의해 염분이나 수분 또는 이물질 등을 도입 덕트(110)로 공급하면 상기 필터 유닛(130)과 세퍼레이터(120A,120B)에서 이를 제거하게 되어 보다 정확한 해상 조건에서의 시험이 가능해진다.
상기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와 리어 세퍼레이터(120B)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21)와, 상기 케이스(121)에 다수 층 내장되는 블레이드(122)와 상기 케이스(121) 하부에 구비되어 케이스(121) 내부의 수분이 배출되는 드레인(12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122)에는 포켓(A,B)이 구비되어 수분을 포집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 덕트(150)와 가스 터빈(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소음기(170)가 구비되어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도 1에서 소음기(170)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소음을 감소 시킬 수 있는 형상인 한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이하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시험 장치(100)를 이용한 시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인접하는 압력 측정부에서 압력을 각각 측정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제2압력 측정부(P2)와 제3압력 측정부(P3)에서 각각 압력을 측정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측정된 압력의 차이로 압력 구배를 산출한다.
이때, 압력 구배가 이미 설정된 정상 압력 구배 범위보다 큰 경우 공기 유동 방향 상류에 구비된 시험 장치 즉, 구성 부품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와 필터 유닛(130)사이의 압력 구배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를 교체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불량으로 판단된 구성 부품만을 교체할 수 있어 종래보다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작동 시 시간에 따른 시간 압력 구배 범위(L1±△H)을 미리 설정한 후, 특정 시험 장치에 대한 압력 구배가 특정 시점에서 상기 시간 압력 구배 범위(L1±△H)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이미 설정된 정상 압력 구배 범위에 속하더라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터 유닛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술된 바와 같이 필터 유닛(130)에 구비된 제3압력 측정부(P3)와 리어 세퍼레이터(120B)에 구비된 제4압력 측정부(P4)에서 각각 압력을 측정한 후 압력 구배를 제어부(CON)에서 산출한다.(도 2 및 도 3참조)
상기 압력 구배가 설정된 정상 압력 구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류 측 시험 장치인 필터 유닛(130)이 불량으로 판단하고 이미 설정된 정상 압력 구배 범위 이내인 경우 정상으로 판단한다.
즉, 상기 필터 유닛에 대한 압력 구배의 정상 압력 구배 범위가 도 4에서 U2와 U1 사이인 경우 필터 유닛의 압력 구배가 상기 압력 구배 범위에 속하면 정상으로 판단한다.
그런데, 상기 필터 유닛에 대한 압력 구배가 정상적인 압력 구배 범위(U2와 U1사이) 이내라도 경우에 따라서는 불량을 판단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유닛의 사용기간 초반의 경우 통상적인 경우보다 압력 구배가 높으면 정상적인 압력 구배 범위 이내라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안전하다.
이를 위해 우선 정상 작동 시 시간에 따른 정상 시간 구배 범위(L1±△H)을 미리 설정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사용 기간(t0에서 t4까지)에 대해 정상적으로 운전되는 경우 특정 시점에 대한 압력 구배 범위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t0가 최초 사용 시점으로서 정상 운전에 따른 압력 구배가 A0이고, t1이 1개월이 경과한 시점으로서 정상 운전에 따른 압력 구배가 A1이며, t2는 3개월 경과 시점에서 정상 운전에 따른 압력구배가 A2이고, t3는 5개월 경과한 시점으로서 정상 운전에 따른 압력 구배가 A3이며, t4가 7개월 경과한 시점으로서 정상 운전에 따른 압력 구배가 A4이라고 하면 상기 A1 내지 A4를 연결한 다음 특정 범위(예를 들어 ±△H)를 가지는 시간 압력 구배 범위를 시험에 의해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압력 구배 범위를 기준으로 특정 부품 예를 들어 필터 유닛의 불량 여부를 보다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1시점의 경우 측정된 압력 구배가 B1인 경우 상기 B1은 정상 압력 구배 범위(U2-U1) 이내이나 시간 압력 구배(L1±△H)를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 시간에 비추어 보면 통상의 압력구배에 비해 과도한 압력 구배가 발생하는 것이므로 비록 정상 압력구배 범위내에 있다고 하더라도 결합을 갖는 경우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이를 관리함으로써 조기에 장비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력구배가 시간압력구배를 도입한다면, 이러하나 시간압력 구배는 정상압력구배 범위보다 낮은 범위내에서 보다 엄격하게 관리됨으로 인해 특정부부품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조기에 파악할 수 있어,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압력구배를 관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10 : 도입 덕트 120A : 프론트 세퍼레이터
120B : 리어 세퍼레이터 121 : 케이스
122 : 블레이드 124 : 드레인
130 : 필터 유닛 131 : 필터
132 : 필터 바디 150 : 배출 덕트
170 : 소음기

Claims (6)

  1. 공기가 도입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연통되는 도입 덕트(110),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 필터 유닛(130), 리어 세퍼레이터(120B) 그리고 배출 덕트(150)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입 덕트(110),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 필터 유닛(130), 리어 세퍼레이터(120B) 그리고 배출 덕트(150)에는 각각 압력 측정부(P)가 구비되되
    상기 압력측정부(P)는 상기 도입 덕트(110)에 구비되는 제1압력 측정부(P1)와, 상기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에 구비되는 제2압력 측정부(P2)와, 상기 필터 유닛(130)에 구비되는 제3압력 측정부(P3)와, 상기 리어 세퍼레이터(120B)에 구비되는 제4압력 측정부(P4)와, 상기 배출 덕트(150)에 구비되는 제5압력 측정부(P5)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각각의 압력 측정부는 제어부(CON)에 연결되며
    상기 제1압력 측정부(P1)와 상기 제2압력 측정부(P2)에서 측정된 압력구배가 기 설정된 정상 압력 구배 범위를 벗어난 경우 제1압력 측정부(P1)가 구비된 시험 장치인 도입 덕트(110)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3압력 측정부(P3)와 상기 제2압력 측정부(P2)에서 측정된 압력구배가 기 설정된 정상 압력 구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에 불량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3압력 측정부(P3)와 상기 제4압력 측정부(P4)에서 측정된 압력구배가 설정된 정상 압력 구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필터 유닛(130)이 불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4압력 측정부(P4)와 상기 제5압력 측정부(P5)에서 측정된 압력구배가 설정된 정상 압력 구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리어 세퍼레이터(120B)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하며,
    부품의 결함을 조기에 파악하기 위해 정상 작동 시 시간에 따른 시간 압력구배 범위를 적용하여, 특정시점에 측정한
    상기 제1압력 측정부(P1)와 상기 제2압력 측정부(P2)에서 측정된 압력구배가정상 압력구배 범위내에 있다 하더라도 상기 특정시점의 시간 압력구배 범위를 넘어가는 경우 도입 덕트(110)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압력 측정부(P2)와 상기 제3압력 측정부(P3)에서 측정된 압력구배가 정상 압력구배 범위내에 있다 하더라도 상기 특정시점의 시간 압력구배 범위를 넘어가는 경우 프론트 세퍼레이터(120A)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3압력 측정부(P3)와 상기 제4압력 측정부(P4)에서 측정된 압력구배가 정상 압력구배 범위내에 있다 하더라도 상기 특정시점의 시간 압력구배 범위를 넘어가는 경우 필터 유닛(130)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4압력 측정부(P4)와 상기 제5압력 측정부(P5)에서 측정된 압력구배가 정상 압력구배 범위내에 있다 하더라도 상기 특정시점의 시간 압력구배 범위를 넘어가는 경우 리어 세퍼레이터(120B)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흡기 계통을 위한 시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62390A 2016-05-20 2016-05-20 선박용 가스 터빈 흡기 계통을 위한 시험 장치 및 시험 방법 KR101810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390A KR101810934B1 (ko) 2016-05-20 2016-05-20 선박용 가스 터빈 흡기 계통을 위한 시험 장치 및 시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390A KR101810934B1 (ko) 2016-05-20 2016-05-20 선박용 가스 터빈 흡기 계통을 위한 시험 장치 및 시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125A KR20170131125A (ko) 2017-11-29
KR101810934B1 true KR101810934B1 (ko) 2018-01-25

Family

ID=60812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390A KR101810934B1 (ko) 2016-05-20 2016-05-20 선박용 가스 터빈 흡기 계통을 위한 시험 장치 및 시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9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519B1 (ko) * 1994-03-30 2003-11-20 피어리스 매뉴팩쳐링 캄파니 고성능해수분리기
US20150159603A1 (en) * 2013-12-06 2015-06-11 Bha Altair, Llc Method and system for testing filter element performance
KR101603895B1 (ko) * 2014-05-20 2016-03-16 (주)성신엔스텍 해상용 가스터빈 필터 시스템 성능 평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519B1 (ko) * 1994-03-30 2003-11-20 피어리스 매뉴팩쳐링 캄파니 고성능해수분리기
US20150159603A1 (en) * 2013-12-06 2015-06-11 Bha Altair, Llc Method and system for testing filter element performance
KR101603895B1 (ko) * 2014-05-20 2016-03-16 (주)성신엔스텍 해상용 가스터빈 필터 시스템 성능 평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125A (ko)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8630B2 (e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agnosing a particle filter
CN105089757B (zh) 用于识别颗粒过滤器的烟尘负载和灰渣负载的方法和装置
CN109779727B (zh) 用于诊断颗粒过滤器的压差传感器的方法和设备
CN105089759B (zh) 用于对排气净化设备的组件的拆除进行诊断的方法和装置
CN110831687A (zh) 评估颗粒过滤器状态的方法和机动车用排气设备
JP2007315275A (ja) 排気浄化フィルタ故障診断装置及び方法
CN103670594A (zh) 曲轴箱完好性损坏检测
JP6358101B2 (ja) 異常診断装置
US20090265074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 leak in an exhaust-gas section of a combustion engine
KR20160066601A (ko) 인터쿨러 열화 진단 방법
KR20140012735A (ko) 터보 압축기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차량
KR20210118152A (ko) 내연 엔진의 크랭크케이스 환기 시스템의 기능을 점검하는 방법 및 장치
CN109312684A (zh) 用于检查燃料箱中压力测量结果的检查方法
KR101810934B1 (ko) 선박용 가스 터빈 흡기 계통을 위한 시험 장치 및 시험 방법
KR20130038858A (ko) 가솔린 증기 필터 퍼지 밸브의 막힘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US8041501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 active hydrocarbon adsorber
EP3653854A1 (en) Diesel particulate filter monitoring
Hoepfner et al. PM sensor based on-board diagnosis of particulate filter efficiency
US20180216530A1 (en) Bypass valve system state indication
CN105715395B (zh) 用于检查在用于内燃机的供气系统中的基于压力的质量流量传感器的方法和装置
JP6070667B2 (ja) 過給システム
JP6319034B2 (ja) フィルタ検査装置、フィルタ検査方法
CN104763503B (zh) 用于监控内燃机排气通道中构件的方法、实施该方法的装置、计算机程序和计算机程序产品
JP2011094570A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US11286836B2 (en) Method for monitoring an exhaust aftertreatment system of a combustion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