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686B1 - 하이퍼볼릭 탄젠트 함수 곡선 및 이미지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적응적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퍼볼릭 탄젠트 함수 곡선 및 이미지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적응적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0686B1 KR101810686B1 KR1020110063820A KR20110063820A KR101810686B1 KR 101810686 B1 KR101810686 B1 KR 101810686B1 KR 1020110063820 A KR1020110063820 A KR 1020110063820A KR 20110063820 A KR20110063820 A KR 20110063820A KR 101810686 B1 KR101810686 B1 KR 1018106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value
- factor
- contrast
- luminan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62 f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90—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 G06T5/94—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based on local image properties, e.g. for local contrast enhanc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4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histogram techniq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하이퍼볼릭 탄젠트 함수(tanh(x))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사람의 육안의 콘트라스트 감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각 이미지 종류별로 구해진 참조 곡선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참조 곡선을 생성하는 방법을 일괄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트라스트 개선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Claims (5)
- 이미지의 종류에 따라 적응적으로 콘트라스트를 개선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이미지의 평균 휘도값과 휘도 히스토그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평균 휘도값과 휘도 히스토그램을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이미지가 저조명 이미지, 보통 조명 이미지, 역광 이미지 및 하이 콘트라스트 이미지 중 어느 종류의 이미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이미지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계수를 사용하여 하이퍼볼릭 탄젠트 함수 곡선에 적용하여 콘트라스트 참조 곡선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콘트라스트 참조 곡선을 사용하여 상기 이미지의 콘트라스트 개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콘트라스트 참조 곡선을 생성하는 단계는,
휘도 별로 표준화된 픽셀값(NormPixVal) = 픽셀값(PixVal)/255를 산출하는 단계와,
x = (NormPixVal^Cutoff_Factor-0.5)*Amplitude_Factor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PixVal는 0 내지 255의 휘도값이고, 컷오프 팩터(Cutoff_Factor)와 진폭 팩터(Amplitude_Factor)는 상기 이미지 종류 별로 주어지는 계수인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종류의 이미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의 평균 휘도값(Imean)이,
i) 0 < Imean ≤ 50인 경우는 저조명 이미지로,
ii) 50 < Imean ≤ 200인 경우는 보통 조명 이미지로,
iii) 200 < Imean ≤ 255인 경우는 역광 이미지로,
iv) 휘도 히스토그램 분포에서, 최고 픽셀 카운트 수를 갖는 휘도값이 고휘도와 저휘도로 나눠져 있는 경우는 하이 콘트라스트 이미지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라스트 참조 곡선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구해진 x 값을 이용하여 tanh(x)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tanh(x)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tanh(x)의 값을 0~255 범위로 표준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종류 별로 주어지는 계수는,
i) 상기 이미지가 저조명 이미지인 경우는,
컷오프 팩터(Cutoff_Factor) =0.35, 진폭 팩터(Amplitude_Factor)= 0.74;
ii) 상기 이미지가 역광 이미지인 경우는,
컷오프 팩터 =0.35, 진폭 팩터 = 6;
iii) 상기 이미지가 보통 조명 이미지인 경우는,
컷오프 팩터 =1, 진폭 팩터= 1.94;
iv) 상기 이미지가 하이 콘트라스트 이미지인 경우는,
컷오프 팩터 =1, 진폭 팩터 = 0.0002인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콘트라스트 개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의 RGB 값을 읽어들이는 단계;
상기 RGB 값을 HSV 공간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HSV 공간 값 중 V값을 상기 콘트라스트 참조 곡선을 사용하여 맵핑하는 단계;
상기 맵핑된 V값을 상기 HSV 공간 값 중 HS값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V 값과 상기 HS 값이 결합된 HSV 값을 RGB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3820A KR101810686B1 (ko) | 2011-06-29 | 2011-06-29 | 하이퍼볼릭 탄젠트 함수 곡선 및 이미지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적응적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3820A KR101810686B1 (ko) | 2011-06-29 | 2011-06-29 | 하이퍼볼릭 탄젠트 함수 곡선 및 이미지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적응적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2700A KR20130002700A (ko) | 2013-01-08 |
KR101810686B1 true KR101810686B1 (ko) | 2017-12-19 |
Family
ID=47835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3820A KR101810686B1 (ko) | 2011-06-29 | 2011-06-29 | 하이퍼볼릭 탄젠트 함수 곡선 및 이미지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적응적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068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2234B1 (ko) * | 2018-03-20 | 2019-11-04 | 주식회사 만도 | 이미지 개선 장치 및 그 방법 |
CN113015006B (zh) * | 2020-06-04 | 2022-10-14 |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 显示设备及显示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520968A (ja) * | 1998-07-15 | 2002-07-09 | イメイション・コーポレイション | 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
JP2004282416A (ja) * | 2003-03-17 | 2004-10-07 | Oki Data Corp |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
JP2010109794A (ja) * | 2008-10-31 | 2010-05-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装置 |
-
2011
- 2011-06-29 KR KR1020110063820A patent/KR10181068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520968A (ja) * | 1998-07-15 | 2002-07-09 | イメイション・コーポレイション | 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
JP2004282416A (ja) * | 2003-03-17 | 2004-10-07 | Oki Data Corp |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
JP2010109794A (ja) * | 2008-10-31 | 2010-05-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2700A (ko) | 2013-01-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916431B (zh) | 一种低照度图像数据处理方法及系统 | |
CN110766621B (zh) | 图像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 |
JP5855852B2 (ja) | ハイパボリックタンジェント関数曲線を用いたコントラスト改善方法 | |
KR101944208B1 (ko) | 색 보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100901353B1 (ko) |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 |
JP2006295839A (ja) |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及び色識別装置 | |
US8983118B2 (en) | Determining proximity of a mobile device to a subject based on shadow analysis | |
KR101113483B1 (ko) | 컬러 영상의 가시성 향상 장치 및 방법 | |
JP5847341B2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KR101715489B1 (ko) | 화상 생성 장치 및 화상 생성 방법 | |
JP2012104098A5 (ko) | ||
KR101810686B1 (ko) | 하이퍼볼릭 탄젠트 함수 곡선 및 이미지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적응적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 |
KR101854432B1 (ko) | 역광 프레임을 검출하고, 보정하는 방법 및 장치 | |
CN114764832B (zh) | 一种不均匀光照图像自适应调整的方法 | |
KR101418521B1 (ko) | 밝기 대비 향상을 통한 영상 화질 개선 방법 및 장치 | |
KR20130020486A (ko) | 휘도 및 조명마스크의 밝기에 따른 가중치를 이용한 영상의 콘트라스트 보정 장치 및 방법 | |
CN116962890B (zh) | 点云图像的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 |
KR20100055138A (ko) | 콘트라스트 개선장치 및 방법 | |
CN113436106A (zh) | 水下图像的增强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 |
Jo et al. | Adaptive white point extraction based on dark channel prior for automatic white balance | |
TWI491266B (zh) | 降低圖框內像素之雜訊的方法與裝置 | |
KR20140000788A (ko) | 가변 블록 기반 역광 영역 검출을 이용한 영상 개선 장치 및 방법 | |
KR101470001B1 (ko) | 역광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및 그 방법 | |
KR101073497B1 (ko) | 영상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 |
JP6014343B2 (ja) |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6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6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