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390B1 - 자동 퍼즐형 음악분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퍼즐형 음악분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390B1
KR101810390B1 KR1020170013585A KR20170013585A KR101810390B1 KR 101810390 B1 KR101810390 B1 KR 101810390B1 KR 1020170013585 A KR1020170013585 A KR 1020170013585A KR 20170013585 A KR20170013585 A KR 20170013585A KR 101810390 B1 KR101810390 B1 KR 101810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ntain
fixing plate
nozzle fixing
control program
fountai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이
Original Assignee
(주)이맥스아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맥스아쿠아 filed Critical (주)이맥스아쿠아
Priority to KR1020170013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2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8Leaded ligh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01D15/145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displaceable or with sections movable to allow passing of water-borne traff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2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foun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종래의 음악분수파이프는 직선과 원형으로 고정된 단순 모양으로 배관 모양 변경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분수파이프의 모양에 디자인을 고려하여 배치하고 배치된 모양을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입력된 컨트럴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실시간 변형하는 아름다운 음악분수의 움직이는 형상을 표현함으로서 고정된 음악분수에 생명력을 불어넣어 예술적 가치와 표현의 아름다움을 증가시키는 예술적 작품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또한 음악분수에서 물을 분출하지 않는 시간에 음악분수에 사용하는 수중등과 분수노즐고정판(110)은 투명한 폴리카보나이트판으로 제작한 분수노즐고정판(110)에 조명을 투사하여 적은동력으로 경관조명을 연출한다.
자동퍼즐형음악분수대의 음악분수구조물의 디자인적 이미지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동력원은 지지기둥(101)이 힌지 역활을 하며 지지기둥(101)에 설치된 수중기어드모터와 배관 말단부에 설치된 스크류프로펠러(screw propeller)에 의해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입력된 컨트럴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원형회전 및 직선왕복으로 분수노즐고정판(110)의 형상을 변형하며 기존 고가의 부력파이프를 대신하여 저렴한 플로터(floater)(114)를 사용하여 경제성을 높힌 것이다. 또한 바다, 호수, 연못 등에 설치시 수위변동에 즉각 대응하고 항상 수면과 수평유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 퍼즐형 음악분수 시스템 {Automatic Puzzle Musicfountain System}
본 발명은 지지기둥(101)에 장착되며, 다양한분수노즐(109)이 장착된 분수노즐고정판(110)을 원형회전 또는 직선왕복의 패턴으로 변형 되면서,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입력된 컨트럴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자동변환하는 음악분수디자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악분수의 형태를 디자인적으로 변형하고, 저에너지로 경관조명을 시연하여 경관성, 효율성, 가변성을 극대화하는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입력된 컨트럴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음악분수의 설치위치의 변형으로 그 가치를 상승시키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음악분수구조물은 직선과 원형으로 고정된 구조물로서 배관의 형태의 변경이 불가능한 구조였다.
또한 기존의 음악분수는 바다, 호수, 연못 등에 설치시 별도의 플로터인 SUS PIPE 또는 PE PIPE를 이용하여 부력체를 만들고 상부에 분수노즐이 설치되는 분수파이프를 이중으로 배치하여 제작 설치하였다.
삭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20-0453504(명칭: 해양부상 분수장치)가 수면에 고정식 음악분수대를 설치하는 일반적인 사례 중 하나이다.
기존 음악분수의 부력체는 길이 100~150m 폭은 40~60m의 대형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최초 설치된 형상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을 소요하면서, 부 분적인 수구조물을 제작하거나, 분수구조물을 전체적으로 설치된 형상을 실시간으로 변경하데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악분수에 사용하는 분수용물이 통과하는 일자형파이프가 장착되는 분수노즐고정판(110)에는 작동전원공급선(204)과 수중솔레노이드밸브(111)가 구비되는 다양한분수노즐(109) 및 수중등(108)을 설치하여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입력된 컨트럴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형 가능한 변형형 퍼즐식으로 제작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을 표현하는 동시에 에너지를 절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양한분수노즐(109)이 장착된 분수노즐고정판(110)이 지지기둥(101)에 장착되어 원형회전 또는 직선왕복의 패턴으로 변형하면서,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입력된 컨트럴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자동변환하는 음악분수디자인에 관한 것으로, 분수용 물이 통과하는 일자형파이프가 장착되는 분수노즐고정판(110)에는 작동전원공급선(204)과 수중솔레노이드밸브(111, 참조 : 도1))가 구비되는 다양한분수노즐(109) 및 수중등(108)을 설치하여 컨트럴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형 가능한 변형형 퍼즐식 음악분수에 있어서,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입력된 컨트럴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자동으로 변형되는 퍼즐형 음악분수디자인은 원형, 삼각형, 또는 별의 형상을 갖은 문양의 분수노즐고정판(110)은 스플라인기어샤프트(105)(참조 : 도1)의 기어구동부(결합구조-미도시)에 기어결합(결합구조-미도시)되는 지지기둥(101)을 중심으로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입력된 컨트럴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회전 또는 직선운동으로 디자인패턴의 변형되는 형상을 표현하는 장치이며,
상기 분수노즐고정판(110)은 원형에 가까운 원형(참조 : 도12)을 형성하고, 상기 원형의 주요부분은 15개의 지지기둥(101, 결합구조-미도시)과, 다양한분수노즐(109) 및 수중등(108)이 장착되는 분수노즐고정판(110), 상기 분수노즐고정판(110)을 기어결합(결합구조-미도시, 참조:도1)하는 스플라인기어샤프트(105)(결합구조-미도시)가 구비되는 15개의 지지기둥(101, 결합구조-미도시)에 의거 결합되는 곡선형, 삼각형, 부채꼴형의 16개의 상기 분수노즐고정판(110)이 설치되는 디자인의 설치위치의 변형으로 원형에서 제2의 변형까지 변형되는 분수노즐고정판(110)(참조 : 도12)이고,
상기 분수노즐고정판(110)의 설치위치의 변형으로 형성되는 자동퍼즐형음악분수디자인은 원형→ 변형-1→ 변형-2로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입력된 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실시간 변형되는 것이고,
다양한분수노즐(109)을 고정하는 분수노즐고정판(110)을 원형으로 디자인된 원형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한 기본 디자인이고, 변형-1은 원형의 점차적으로 변형되는 디자인중의 일측면의 디자인이며, 변형2는 상기 원형의 기본 디자인이 최대 변형상태의 분수노즐고정판(110)의 디자인인 것이며
투명한 폴리카보나이트판으로 제작되는 분수노즐고정판(110)은 지지기둥(101)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직선형, 곡선형, 삼각형, 오각형, 연꽃모양, 꽃잎모양의 다양한 형상의 디자인적인 표현을 분리, 조합하는 동시에 다양한분수노즐에서 물을 분사하는 장치이며,
수중에 설치된 고정콘크리트(118)(참조 : 도1)에 장착되는 지지기둥(101)에 구비되는 방수형기어드모터(102)(결합구조-미도시)의 상부에 결합되는 스플라인기어샤프트(105)(참조 : 도1)의 기어구동부(결합구조-미도시)에 기어결합(결합구조-미도시)되는 다양한분수노즐(109)이 장착된(참조: 도 5) 분수노즐고정판(110),
상기 방수형기어드모터(102)(결합구조-미도시)와 기어결합(결합구조-미도시)되는 워엄기어박스(103)의 회전축(결합구조-미도시)에 결합되는 스플라인기어샤프트(105)(참조 : 도1)의 기어구동부(결합구조-미도시)와 기어결합(결합구조-미도시)되는 기어회전력이 전달되는 분수노즐고정판(110), 상기 스플라인기어샤프트(105)와 스플라인슬라이딩플렌지(106)가 맞물려 회전하며(참조 : 도1, 결합구조-미도시), 수위가 상하로 변동시 스플라인슬라이딩플렌지(106)가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이며,
또는 상기 스플라인기어샤프트(105)(결합구조-미도시)의 기어구동부(결합구조-미도시)의 기어동력이 전달되는 스크류(113)에 의거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분수노즐고정판(110)이 회전되고, (참조 : 도1, 도2, 도3, 도4, 도5),
또한, 상기 지지기둥(101)에 설치된 와이어권선기(301)(결합구조-미도시)의 와이어구동부(결합구조-미도시)의 와이어(302)(참조 : 도5, 도6)에 의거 분수노즐고정판(110)과 다양한분수노즐(109)은 지지기둥(101)에서 보조기둥(303)까지 직선왕복운동(참조 : 도1, 도6, 도7, 도8, 도12)을 하여 각각의 디자인 패턴을 분리, 조합으로 변형시켜서 연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기둥(101)은 수심이 3~4m는 지지기둥(101)은 하상에 철근콘크리트로 기초를 설치 후 고정하며, 수심이 깊거나 지지기둥(101)의 설치가 어려운 곳에서는 지지기둥(101)을 지지기둥부력용플로터(500)의 상부에 설치하며, 상기 지지기둥(101)이 상부에 장착되는 상기 지지기둥부력용플로터(500)는 와이어(501)와 물속에 4~6개의 기초콘크리트(502)(참조 : 도 7)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분수노즐고정판(110)에 장착되는 다양한분수노즐(109)과 수중등, 상기 수중등은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입력된 컨트럴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연출하는 동시에 영상을 표현하여 음악분수가 작동할 때 빨강, 노랑, 적색을 분수에 투영시켜 물과 빛이 결합되며,(참조 : 도9)
음악분수가 작동하지 않는 시간에도 원형, 삼각형의 모양으로 분수노즐고정판(110)에 설치된 수중등이 조합하여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입력된 영상을 연출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지금까지 모든 고가의 음악분수의 형태가 직선이나 원형의 고정형으로 획일화되어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분수노즐(109)을 고정하는 분수노즐고정판(110)의 디자인이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입력된 컨트럴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아름다운 패턴은 물론 투명한 폴리카보나이트판으로 제작되는 분수노즐고정판(110)은 대형 경관조명을 시연하여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입력된 컨트럴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음악분수의 연출을 통해 음악분수의 경관 및 가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삭제
도 1 : 분수노즐고정판이 일직선형으로 지지기둥에서 막힘플랜지까지 조립되는 단면도.
도 2 : 깊은 수심에 자동퍼즐형음악분수대 설치시 플로터를 이용한 지지기둥 설치 측면도.
도 3 : 자동퍼즐형음악분수대 전기 계통도.
도 4 : 자동퍼즐형음악분수대 평면도.
도 5 : 자동퍼즐형음악분수대 분수노즐고정판의 설치 평면도.
도 6 : 자동퍼즐형음악분수대 직선 변형 시스템 측면도.
도 7 : 자동퍼즐형음악분수대 직선 변형 시스템 평면도.
도 8 : 자동퍼즐형음악분수대 분수노즐고정판 직선변형 평면도.
도 9 : 분수가 분출하지 않는 시간에 음악분수의 수중등과 분수노즐고정판에 조명을 조사하여 경관조명이 구현된 상태도.
도10 : 자동퍼즐형음악분수대 시스템을 이용한 부교 측면도.
도12 : 분수노즐고정판이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입력된 컨트럴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자동변환 상태가 원형에서 1차변형의 진행상태와 2차의 최종변형 상태도.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장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인 도1 내지 도12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양한분수노즐(109)이 장착된 분수노즐고정판(110)이 지지기둥(101)에 장착되어 원형회전 또는 직선왕복의 패턴으로 변형하면서,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입력된 컨트럴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자동변환하는 음악분수디자인에 관한 것으로, 분수용 물이 통과하는 일자형파이프가 장착되는 분수노즐고정판(110)에는 작동전원공급선(204)과 수중솔레노이드밸브(111, 참조 : 도1)가 구비되는 다양한분수노즐(109) 및 수중등(108)을 설치하여 컨트럴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형 가능한 변형형 퍼즐식 음악분수에 있어서,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입력된 컨트럴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자동으로 변형되는 퍼즐형 음악분수디자인은 원형, 삼각형, 또는 별의 형상을 갖은 문양의 분수노즐고정판(110)은 스플라인기어샤프트(105)(참조 : 도1)의 기어구동부(결합구조-미도시)에 기어결합(결합구조-미도시)되는 지지기둥(101)을 중심으로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입력된 컨트럴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회전 또는 직선운동으로 디자인패턴의 변형되는 형상을 표현하는 장치이며,
상기 분수노즐고정판(110)은 원형에 가까운 원형(참조 : 도12)을 형성하고, 상기 원형의 주요부분은 15개의 지지기둥(101, 결합구조-미도시)과, 다양한분수노즐(109) 및 수중등(108)이 장착되는 분수노즐고정판(110), 상기 분수노즐고정판(110)을 기어결합(결합구조-미도시, 참조:도1)하는 스플라인기어샤프트(105)(결합구조-미도시)가 구비되는 15개의 지지기둥(101, 결합구조-미도시)에 의거 결합되는 곡선형, 삼각형, 부채꼴형의 16개의 상기 분수노즐고정판(110)이 설치되는 디자인의 설치위치의 변형으로 원형에서 제2의 변형까지 변형되는 분수노즐고정판(110)(참조 : 도12)이고,
상기 분수노즐고정판(110)의 설치위치의 변형으로 형성되는 자동퍼즐형음악분수디자인은 원형→ 변형-1→ 변형-2로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입력된 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실시간 변형되는 것이고,
다양한분수노즐(109)을 고정하는 분수노즐고정판(110)을 원형으로 디자인된 원형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한 기본 디자인이고, 변형-1은 원형의 점차적으로 변형되는 디자인중의 일측면의 디자인이며, 변형2는 상기 원형의 기본 디자인이 최대 변형상태의 분수노즐고정판(110)의 디자인인 것이며,
투명한 폴리카보나이트판으로 제작되는 분수노즐고정판(110)은 지지기둥(101)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직선형, 곡선형, 삼각형, 오각형, 연꽃모양, 꽃잎모양의 다양한 형상의 디자인적인 표현을 분리, 조합하는 동시에 다양한분수노즐에서 물을 분사하는 장치이며,
수중에 설치된 고정콘크리트(118)(참조 : 도1)에 장착되는 지지기둥(101)에 구비되는 방수형기어드모터(102)(결합구조-미도시)의 상부에 결합되는 스플라인기어샤프트(105)(참조 : 도1)의 기어구동부(결합구조-미도시)에 기어결합(결합구조-미도시)되는 다양한분수노즐(109)이 장착된(참조: 도 5) 분수노즐고정판(110),

상기 방수형기어드모터(102)(결합구조-미도시)와 기어결합(결합구조-미도시)되는 워엄기어박스(103)의 회전축(결합구조-미도시)에 결합되는 스플라인기어샤프트(105)(참조 : 도1)의 기어구동부(결합구조-미도시)와 기어결합(결합구조-미도시)되는 기어회전력이 전달되는 분수노즐고정판(110), 상기 스플라인기어샤프트(105)와 스플라인슬라이딩플렌지(106)가 맞물려 회전하며(참조 : 도1, 결합구조-미도시), 수위가 상하로 변동시 스플라인슬라이딩플렌지(106)가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이며,

또는 상기 스플라인기어샤프트(105)(결합구조-미도시)의 기어구동부(결합구조-미도시)의 기어동력이 전달되는 스크류(113)에 의거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분수노즐고정판(110)이 회전되고, (참조 : 도1, 도2, 도3, 도4, 도5), 스플라인기어샤프트(105)와 스플라인슬라이딩플렌지(106)가 맞물려 회전하며(참조 : 도1, 결합구조-미도시), 수위가 상하로 변동시 스플라인슬라이딩플렌지(106)가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이며,
또한, 상기 지지기둥(101)에 설치된 와이어권선기(301)(결합구조-미도시)의 와이어구동부(결합구조-미도시)의 와이어(302)(참조 : 도5, 도6)에 의거 분수노즐고정판(110)과 다양한분수노즐(109)은 지지기둥(101)에서 보조기둥(303)까지 직선왕복운동(참조 : 도1, 도6, 도7, 도8, 도12)을 하여 각각의 디자인 패턴을 분리, 조합으로 변형시켜서 연출하는 것이다.

또한, 도 2에서는
상기 지지기둥(101)은 수심이 3~4m는 지지기둥(101)은 하상에 철근콘크리트로 기초를 설치 후 고정하며, 수심이 깊거나 지지기둥(101)의 설치가 어려운 곳에서는 지지기둥(101)을 지지기둥부력용플로터(500)의 상부에 설치하며, 상기 지지기둥(101)이 상부에 장착되는 상기 지지기둥부력용플로터(500)는 와이어(501)와 물속에 4~6개의 기초콘크리트(참조 : 도2)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도 9에서는,
상기 분수노즐고정판(110)에 장착되는 다양한분수노즐(109)과 수중등, 상기 수중등은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입력된 컨트럴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연출하는 동시에 영상을 표현하여 음악분수가 작동할 때 빨강, 노랑, 적색을 분수에 투영시켜 물과 빛이 결합되며,
음악분수가 작동하지 않는 시간에도 원형, 삼각형의 모양으로 분수노즐고정판(110)에 설치된 수중등이 조합하여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입력된 영상을 연출하고,
또한, 다양한분수노즐(109)이 고정된 분수노즐고정판(110)의 디자인을 실시간 변경하여 음악분수의 움직이는 형상을 다양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분수노즐고정판(110)을 빛이 투영되는 재질로 개선하여 음악분수에 사용하는 수중등과 조화롭게 경과조명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음악분수의 다양한분수노즐을 고정하는 분수노즐고정판(110)을 투명하고 넓은 폴리카보나이트판으로 만들고 음악분수에 아름다운 경관조명을 연출함으로서 고정된 음악분수에 생명력을 불어넣고 예술적 가치와 미적 디자인의 표현을 증가시킴으로서 음악분수의 예술적인 디자인의 표현이 가능하다.
또한, 자동퍼즐형음악분수대에 사용하는 분수노즐고정판(110)은 일자형 파이프, 삼각형, 오각형의 다양한 패턴을 갖는 모양판으로 제작하며, 기존 고가의 부력파이프를 대신하여 저렴한 플로터(floater)(114)를 사용하여 경제성을 높인것이다.
또한 자동 퍼즐형 음악분수는 형상의 디자인적 변형는 물론 바다, 호수, 연못에 설치시 수위변형에 영향을 받지 않고 수면은 수평으로 유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기둥(101)에 설치된 수중 기어드 모터와 배관 말단부에 설치된 스크류프로펠러(screw propeller)에 의해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회전운동으로 형상을 변형한다.
분수노즐고정판(110)은 곡선형, 삼각형, 부채꼴형의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하며, 상기 다양한분수노즐(109)의 디자인적 배치가 이루어지며,
상기 분수노즐고정판(110)은 투명한 폴리카보나이트판으로 제작하여 음악분수에 사용하는 수중등(108)과 분수노즐고정판(110)에 조명을 비추면 자체가 발광체가 되어 아름다운 경관조명 기구로 활용한다.
원형의 형상에서 15개의 지지기둥(101, 결합구조-미도시)과, 다양한분수노즐(109)이 장착되는 분수노즐고정판(110), 곡선형, 삼각형, 부채꼴형의 16개의 분수노즐고정판(110)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도12에서는,
상기 분수노즐고정판(110)의 설치위치의 변형으로 형성되는 자동퍼즐형음악분수디자인은 원형→ 변형-1→ 변형-2로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입력된 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실시간 변형되는 것이고,
다양한분수노즐(109)을 고정하는 분수노즐고정판(110)을 원형으로 디자인된 원형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한 기본 디자인이고, 변형-1은 원형의 점차적으로 변형되는 디자인중의 일측면의 디자인이며, 변형2는 상기 원형의 기본 디자인이 최대로 변형된 분수노즐고정판(110)의 디자인인 것이다.
상기 변형는 음악분수가 작동중일 때 분수와 수중조명의 연출과 동시에 움직여서 음악분수의 아름다움을 더욱 돋보이게 하며 음악이 끝나면 원형의 최초의 형상으로 복귀되는 것이다.
또한, 자동퍼즐형음악분수대는 설치현장의 여건에 적합한 다양한 디자인으로 설계, 시공이 가능하다.
스플라인슬라이딩플렌지(106)는 분수노즐고정판(110)를 연결하며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분수노즐고정판(110)에는 수중등(108), 다양한분수노즐(109), 수중수중솔레노이드밸브(111), 막힘플렌지(112)는 플로터(114)에 의해 부양되며 분수노즐고정판(110)말단에 설치된 스크류(113)가 분수노즐고정판(110)를 좌, 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보조동력원으로 사용한다.
삭제
지지기둥(101)의 측면에 설치된 스톱퍼(119)는 최초의 기본모형에서 변형된 형태로 다른 형상을 연출한 후 원래의 위치로 돌아올 때 정지하여야 할 위치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리미트스위치와 조합하여 원래의 위치에 도달하면 방수형기어드모터(102)(결합구조-미도시)와 스크류(113)의 전원이 OFF되어 정지하게 한다.
삭제
다양한분수노즐(109)은 샤프노즐, 은행잎노즐, 에어분사노즐, 퍼트리노즐, 고사노즐의 다양한 종류의 다양한분수노즐(109)이 사용이 가능하다.
분수노즐고정판(110)에는 수중펌프(116)에서 가압된 고압수를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의해 설정된 각각의 수중솔레노이드밸브(111)의 ON, OFF 시간에 ??추어 다양한분수노즐(109)에서 분사되어 분수의 전체적으로 변형되는 구성이 표현되는 것이다.
삭제
방수형기어드모터(102)(결합구조-미도시)와 스크류(113)는 DC 전원을 사용하는 모터이다. DC 전원으로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 전극을 이용하여 DC 모터의 회전방향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을 이용하여 분수노즐고정판(110)의 전진, 후진이 가능하다
삭제
방수형기어드모터(102)(결합구조-미도시)와 스크류(113)의 DC 전원인 +, - 의 공급은 메인 컨트롤판넬에서 P.L.C나 음악분수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의해 음악과 다양한분수노즐(109)이 장착된(참조: 도 5) 분수노즐고정판(110)을 자동음악분수운영시스템에서 입력된 내용에 따라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의해 변형된다.
삭제
자동퍼즐형음악분수대는 수중에 설치되어 플로터(114)의 부력으로 물위에 떠있는 구조물로서 수위의 변동에 대응이 가능한 구조가 스플라인기어샤프트(105)와 스플라인슬라이딩플렌지(106)이다.
삭제
상기 스플라인기어샤프트(105)의 길이는 수위 변형폭에 여유길이를 더하여 설치하며 약 800~1,000mm의 길이로 설치한다.
스플라인기어샤프트(105)와 스플라인슬라이딩플렌지(106)가 맞물려 회전하며(참조 : 도1, 결합구조-미도시), 수위가 상하로 변동시 스플라인슬라이딩플렌지(106)가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이며,
삭제
자동퍼즐형음악분수대에 소요되는 전원은 3상380V, 단상 220V, DC 12V, 24V를 사용하는데 분수노즐고정판(110)이 회전하여도 전선의 꼬임이나 단선을 방지하기위해 SLIP-RING(203)을 이용한 회전형 전원접촉장치를 사용하며 지지기둥(101) 위쪽에 설치된 스플라인기어샤프트(105)상부 중앙공간에 물이 접촉되지 않는 평수위선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면서도 안전을 위해 방수형 구조로 설치하여 장기적인 안전사고에 대비한다.
삭제
상기 분수노즐고정판(110)을 물위에 뜨게하는 부력체인 플로터(114)는 500mmX500mm, 1,000mmX500 규격품을 사용하여 경제성을 높이고, 수중등(108), 다양한분수노즐(109), 수중펌프(116)등의 구조물의 전체무게에 따라 충분한 부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여러개의 플로터(114)를 조합하여 사용한다.
삭제
또한, 분수노즐고정판(110)의 형상은 직선형, 곡선형, 삼각형, 오각형, 연꽃모양, 꽃잎모양의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적 감각으로 제작한다. 제작시 구조물의 총 중량을 합산하고 분수노즐고정판(110)에 설치된 다양한분수노즐(109)과 수중펌프(116)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플로터(114)의 부력의 크기를 조정하여 분수노즐고정판(110)이 수면과 수평을 유지하도록 배치수량과 위치를 설정한다.
음악분수에는 원형회전뿐만 아니라 직선왕복 변형을 필요로 하는데 분수노즐고정판(110)의 직선 변형시에는 지지기둥(101)에 방수형기어드모터(101)과 워엄기어박스(102)에 와이어권선기(301)를 부착하여 분수노즐고정판(110)을 와이어(302)에 연결브라켓트(304)로 연결하여 직선으로 변형하여 분수노즐고정판(110)과 다양한분수노즐(109)이 지지기둥(101)과 보조기둥(303)의 사이를 왕복 변형하여 형상을 변경한다.
삭제
삭제
삭제
101 : 지지기둥 102 : 방수형기어드모터
103 : 워엄기어박스 104 : 트러스트판베어링
105 : 스플라인기어샤프트 106 : 스플라인슬라이딩플렌지
107 : 연결판 108 : 수중등
109 : 다양한분수노즐 110 : 분수노즐고정판
111 : 수중솔레노이드밸브 112 : 막힘플렌지
113 : 스크류 114 : 플로터
115 : 수중펌프고정대 116 : 수중펌프
117 : 스트레이너 118 : 고정콘크리트
201 : 입력전원공급선 202 : 워엄기어회전축
203 : SLIP-RING 204 : 작동전원공급선
301 : 와이어권선기 302 : 와이어
303 : 보조기둥 500 : 지지기둥부력용플로터
501 : 와이어 503 : 기초콘크리트

Claims (7)

  1. 다양한분수노즐(109)이 장착된 분수노즐고정판(110)이 지지기둥(101)에 장착되어 원형회전 또는 직선왕복의 패턴으로 변형하면서,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입력된 컨트럴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자동변환하는 음악분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분수용 물이 통과하는 일자형파이프가 장착되는 분수노즐고정판(110)에는 작동전원공급선(204)과 수중솔레노이드밸브(111, 참조 : 도1)가 구비되는 다양한분수노즐(109) 및 수중등(108)을 설치하여 컨트럴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형 가능한 변형형 퍼즐식 음악분수에 있어서,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입력된 컨트럴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자동으로 변형되는 퍼즐형 음악분수 시스템의 원형, 삼각형, 또는 별의 형상을 갖은 문양의 분수노즐고정판(110)은 스플라인기어샤프트(105)(참조 : 도1)의 기어구동부(결합구조-미도시)에 기어결합(결합구조-미도시)되는 지지기둥(101)을 중심으로 컨트럴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회전 또는 직선운동으로 디자인패턴의 변형되는 형상을 표현하는 장치이며,
    상기 분수노즐고정판(110)은 원형에 가까운 원형(참조 : 도12)을 형성하고, 상기 원형의 주요부분은 15개의 지지기둥(101, 결합구조-미도시)과, 다양한분수노즐(109) 및 수중등(108)이 장착되는 분수노즐고정판(110), 상기 분수노즐고정판(110)을 기어결합(결합구조-미도시, 참조 : 도1)하는 스플라인기어샤프트(105)(결합구조-미도시)가 구비되는 15개의 지지기둥(101, 결합구조-미도시)에 의거 결합되는 곡선형, 삼각형, 부채꼴형의 16개의 상기 분수노즐고정판(110)이 설치되는 디자인의 설치위치의 변형으로 원형에서 제2의 변형까지 변형되는 분수노즐고정판(110)(참조 : 도12)이고,
    상기 분수노즐고정판(110)의 설치위치의 변형으로 형성되는 자동퍼즐형음악분수 시스템은 원형→ 변형-1→ 변형-2로 컨트럴프로그램시스템에 입력된 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실시간 변형되는 것이고,
    다양한분수노즐(109)을 고정하는 분수노즐고정판(110)을 원형으로 디자인된 원형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한 기본 디자인이고, 변형-1은 원형의 점차적으로 변형되는 디자인중의 일측면의 디자인이며, 변형2는 상기 원형의 기본 디자인이 최대 변형상태의 분수노즐고정판(110)의 디자인인 것이며
    투명한 폴리카보나이트판으로 제작되는 분수노즐고정판(110)은 지지기둥(101)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직선형, 곡선형, 삼각형, 오각형, 연꽃모양, 꽃잎모양의 다양한 형상의 디자인적인 표현을 분리, 조합하는 동시에 다양한분수노즐에서 물을 분사하는 장치이며,
    수중에 설치된 고정콘크리트(118)(참조 : 도1)에 장착되는 지지기둥(101)에 구비되는 방수형기어드모터(102)(결합구조-미도시)의 상부에 결합되는 스플라인기어샤프트(105)(참조 : 도1)의 기어구동부(결합구조-미도시)에 기어결합(결합구조-미도시)되는 다양한분수노즐(109)이 장착된(참조: 도 5) 분수노즐고정판(110),
    상기 방수형기어드모터(102)(결합구조-미도시)와 기어결합(결합구조-미도시)되는 워엄기어박스(103)의 회전축(결합구조-미도시)에 결합되는 스플라인기어샤프트(105)(참조 : 도1)의 기어구동부(결합구조-미도시)와 기어결합(결합구조-미도시)되는 기어회전력이 전달되는 분수노즐고정판(110), 상기 스플라인기어샤프트(105)와 스플라인슬라이딩플렌지(106)가 맞물려 회전하며(참조 : 도1, 결합구조-미도시), 수위가 상하로 변동시 스플라인슬라이딩플렌지(106)가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이며,
    또는 상기 스플라인기어샤프트(105)(결합구조-미도시)의 기어구동부(결합구조-미도시)의 기어동력이 전달되는 스크류(113)에 의거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분수노즐고정판(110)이 회전되고, (참조 : 도1, 도2, 도3, 도4, 도5),
    또한, 상기 지지기둥(101)에 설치된 와이어권선기(301)(결합구조-미도시)의 와이어구동부(결합구조-미도시)의 와이어(302)(참조 : 도5, 도6)에 의거 분수노즐고정판(110)과 다양한분수노즐(109)은 지지기둥(101)에서 보조기둥(303)까지 직선왕복운동(참조 : 도1, 도6, 도7, 도8, 도12)을 하여 각각의 디자인 패턴을 분리, 조합으로 변형시켜서 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 퍼즐형 음악분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101)은 수심이 3~4m는 지지기둥(101)은 하상에 철근콘크리트로 기초를 설치 후 고정하며, 수심이 깊거나 지지기둥(101)의 설치가 어려운 곳에서는 지지기둥(101)을 지지기둥부력용플로터(500)의 상부에 설치하며, 상기 지지기둥(101)이 상부에 장착되는 상기 지지기둥부력용플로터(500)는 와이어(501)와 물속에 4~6개의 기초콘크리트(참조 : 도2)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 퍼즐형 음악분수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13585A 2017-01-31 2017-01-31 자동 퍼즐형 음악분수 시스템 KR101810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585A KR101810390B1 (ko) 2017-01-31 2017-01-31 자동 퍼즐형 음악분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585A KR101810390B1 (ko) 2017-01-31 2017-01-31 자동 퍼즐형 음악분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390B1 true KR101810390B1 (ko) 2018-01-25

Family

ID=61093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585A KR101810390B1 (ko) 2017-01-31 2017-01-31 자동 퍼즐형 음악분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3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2933A (zh) * 2019-04-28 2019-08-23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音乐水舞景观喷泉及其施工方法
KR102198435B1 (ko) * 2020-05-16 2021-01-05 주식회사 미주산업 복수 결합형 음악분수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332B1 (ko) * 2011-08-31 2012-03-05 김우진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332B1 (ko) * 2011-08-31 2012-03-05 김우진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2933A (zh) * 2019-04-28 2019-08-23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音乐水舞景观喷泉及其施工方法
KR102198435B1 (ko) * 2020-05-16 2021-01-05 주식회사 미주산업 복수 결합형 음악분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0390B1 (ko) 자동 퍼즐형 음악분수 시스템
KR100964461B1 (ko) 회전식 수상분수대
US20170225186A1 (en) Energized fluid nozzles for splash pads
CN204616785U (zh) 拨水增氧机
CN106246453A (zh) 一种月池内振荡水柱式波能发电装置
US4991397A (en) Hydraulic turbine with virtual head drop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CN204746721U (zh) 一种用于水生态修复的推流富氧式景观喷泉系统
RU61598U1 (ru) Динамический фонтан
JP2016047514A (ja) 海底水域への酸素補給装置
CN106401843A (zh) 一种波浪能与洋流能综合发电码头
CA1262052A (en) Water circulator device
KR101666627B1 (ko) 수질정화장치
CN203044256U (zh) 一种漂浮喷泉
KR100814505B1 (ko) 이동식 분수대
WO2014190448A1 (zh) 在河流水中的发电方法及其装置
CN108434763B (zh) 艺术表演装置
CN209653072U (zh) 一种互动水景装置
CN208429218U (zh) 一种具有多重体验功能的游轮
CN201249155Y (zh) 喷泉调节浮筒
CN201403408Y (zh) 升降式景观动力鱼缸
CN202990475U (zh) 一种水空间魔幻特效摄制系统
CN2643041Y (zh) 无源水龙头
KR20080022161A (ko) 이동식 수상 분수대
CN206823159U (zh) 一种科技水动力戏水游乐装置
CN218308864U (zh) 一种漂浮式喷泉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