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245B1 - 식물성 소재를 활용한 젤라틴 보존제 용액 및 젤라틴 - Google Patents

식물성 소재를 활용한 젤라틴 보존제 용액 및 젤라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245B1
KR101810245B1 KR1020110147350A KR20110147350A KR101810245B1 KR 101810245 B1 KR101810245 B1 KR 101810245B1 KR 1020110147350 A KR1020110147350 A KR 1020110147350A KR 20110147350 A KR20110147350 A KR 20110147350A KR 101810245 B1 KR101810245 B1 KR 101810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atin
hpmcp
solution
weight
preservativ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8411A (ko
Inventor
방성환
손진열
백현호
Original Assignee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7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245B1/ko
Publication of KR20130078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2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72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75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animal origin, e.g. chitin
    • A23L29/281Proteins, e.g. gelatin or collagen
    • A23L29/284Gelatin; Colla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존시 미생물에 의한 변패 및 물성의 저하가 문제가 되는 젤라틴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젤라틴 보존제 용액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젤라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젤라틴의 보존시 미생물의 증식 및 점도 등 물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 또는 개선할 수 있으며, 특히 셀룰로오스 유도체라는 식물성 성분을 보존제 용액의 주요 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식품 및 의약품 분야에서 젤라틴의 이용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성 소재를 활용한 젤라틴 보존제 용액 및 젤라틴{Preserved agents derived from plant resources for gelatin and gelatin made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품 및 의약 분야에서 사용에 적합한 젤라틴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 보존성을 향상시키는 보존제 용액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젤라틴에 대한 것이다.
젤라틴은 식품, 의약, 산업용도로 광범위한 분야에 사용되어 오고 있다. 식품 또는 의약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한 젤라틴의 제조 과정은 크게 고온의 물에 용해시키는 용액 공정, 용액을 상온에서 겔화시키는 겔화 공정 및 겔화 후 건조 공정의 3공정으로 나뉘어진다. 하지만 젤라틴은 다양한 환경하에서 미생물에 오염되기 쉽고, 점도 및 겔 강도 등 물성이 급속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식품 또는 의약분야에 적용하기가 매우 까다롭다.
특히 상기 공정 중 용액 공정에서의 젤라틴은 미생물에 매우 취약하며, 물성 변화가 매우 크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 때문에 용액 공정에서 미생물 등에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지만 젤라틴은 고온에서 약 2일이 지난 후부터 스스로 가수 분해 및 미생물이 발생되기 시작하며 점도가 급속하게 저하되고 심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젤라틴을 겔화시켜 젤리 형태로 제조한 후에도 약 1주일 후부터 젤리 상층에 균이 번식되는 것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젤리 층과 물 층이 분리되고 악취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약 2주일 경과 시 겔이 풀어지는 현상이 나타나며, 악취가 매우 심하게 난다.
이처럼 젤라틴은 제조 공정상 2일 이상의 보관 시 미생물에 오염되기 시작하면서, 젤라틴 고유 물성이 없어지게 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래전부터 다양한 방부제 및 보존제를 사용하고 있지만 사용량 제한 및 미생물 제어 기능이 미약하여 실용성에 한계가 있다. 즉 효과가 미비하고, 장기간 사용시 미생물 제어 효과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식품, 의약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보존제는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식품 및 의약 분야에서 사용되는 젤라틴의 보존성을 향상시키는 보존제 용액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보존제 용액을 사용하여 보존시 미생물에 의한 변패가 방지되고 물성 저하가 감소된 젤라틴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HPMCP) 및 염기를 포함하며, 상기 염기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중량부로 사용되고, 상기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는 젤라틴 중량에 대하여 1/160 ~ 1/5 비율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라틴 보존제 용액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염기는 NaOH, KOH 및 Ca(OH)2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는 20~24 중량%의 메톡시(methoxy) 치환기 함량, 6~10 중량%의 히드록시 프로폭시(hydroxypropoxy) 치환기 함량 및 21~35 중량%의 프탈산(phthalic acid) 함량을 가지며, 점도가 48~66cst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젤라틴 보존제 용액에 HPMCP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60배의 젤라틴을 혼합하여 팽윤시키는 단계 및 팽윤된 젤라틴을 60 내지 80℃의 온도에서 용해시켜 HPMCP-젤라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라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존제 용액은 HPMCP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의 염기를 물에 용해시킨 다음, 젤라틴 중량에 대하여 1/160 ~ 1/5 비율로 HPMCP를 첨가하여 혼합 및 용해시키고, 실온에 12 내지 24시간 보관하여 제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된 HPMCP-젤라틴 용액을 겔화 및 건조함으로써 얻어지는 젤라틴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젤라틴의 물리화학적 물성은 그대로 유지 또는 개선시키면서 보존시 젤라틴의 미생물적 변패 및 물성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식품, 의약, 산업 분야 등 젤라틴이 사용되는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존시 오염에 취약하며, 점도 및 겔 강도 등의 물성이 급속하게 저하되는 젤라틴의 보존성을 향상시키는 젤라틴 보존제 용액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보존제 용액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HPMCP) 및 염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보존제 용액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HPMCP) 및 염기를 포함하는 수용액 형태로서 일 실시예로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HPMCP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의 염기를 먼저 물에 용해시킨 다음, 상기 용액에 HPMCP를 첨가하여 혼합 및 용해시킨다. HPMCP의 용해를 위해 기계적 교반(mechanical agitation)을 40분간 수행한다. HPMCP의 용해가 끝난 후에는 용액을 실온에 하루 정도 보관하여 거품을 제거함으로써 맑은 용액상의 보존제 용액을 얻는다.
상기 보존제 용액에 포함되어 사용되는 HPMCP의 양은 바람직하게 젤라틴 중량에 대하여 1/160 ~ 1/5의 비율이 되도록 한다. 상기 범위보다 높은 비율로 HPMCP를 사용할 경우 후술될 HPMCP-젤라틴 용액이 적합수준 이상의 고점도 이어서 필름성형에 적용했을 시에 필름이 거칠고 부서지기 쉽다는 문제가 발생하며, 상기 범위보다 낮은 비율로 HPMCP를 사용할 경우 젤라틴의 보존 효과가 만족할 수준으로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보존제 용액에 포함되는 염기로는 바람직하게 NaOH, KOH 및 Ca(OH)2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한다. 상기의 염기는 HPMCP를 용해하는 과정에서 그 용해를 돕는 역할을 한다. 즉 염기는 HPMCP를 중화시켜 수계에 쉽게 용해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고농도의 염기를 사용할 경우 보존제 용액 자체가 알칼리화 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젤라틴 보존제 용액의 주요 성분으로 사용하는 상기 HPMCP는 의약품 코팅 및 캡슐제로 사용되는 고분자로서, 식물 세포벽의 주요 구성 성분인 셀룰로오스(cellulose)의 유도체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보존제 용액은 식물성이다.
HPMCP의 구체적 예로는 HPMCP HP-55®(삼성정밀화학주식회사, 메톡시 함량: 18~22%, 히드록시 프로폭시 함량: 5~9%, 프탈산 함량: 27~35%, 200731 Type, 점도 범위: 32~48cst), HPMCP HP-55S®(삼성정밀화학주식회사, 메톡시 함량: 18~22%, 히드록시 프로폭시 함량: 5~9%, 프탈산 함량: 27~35%, 200731 Type, 점도 범위: 136~204cst) 및 HPMCP HP-50®(삼성정밀화학주식회사, 메톡시 함량: 20~24%, 히드록시 프로폭시 함량: 6~10%, 프탈산 함량: 21~27%, 220824 Type, 점도 범위: 44~66cst)이 있다. 상기 메톡시를 비롯한 치환체의 함량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에서 치환된 셀룰로오스의 반복 단위를 구성하는 원소들의 원자량 총합에 대한 각 치환체를 구성하는 원소들의 원자량 총합의 비를 나타낸다.
Figure 112011105532114-pat00001
HPMCP는 각 치환체 함량 및 분자량에 따라 물리화학적 특성이 달라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20~24 중량%의 메톡시(methoxy) 치환기 함량, 6~10 중량%의 히드록시 프로폭시(hydroxypropoxy) 치환기 함량 및 21~35 중량%의 프탈산(phthalic acid) 함량을 가지며, 점도가 48~66cst 인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보존제 용액을 사용하여 보존성이 향상된 젤라틴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젤라틴 보존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보존제 용액에 포함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60배의 젤라틴을 혼합하여 팽윤시키는 단계 및 팽윤된 젤라틴을 60 내지 80℃의 온도에서 용해시켜 HPMCP-젤라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라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HPMCP-젤라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보존제 용액에 혼합되는 젤라틴의 양을 바람직하게 HPMCP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60배가 되도록 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젤라틴을 HPMCP 중량에 대하여 160배 보다 많은 양으로 혼합하면 최종 제품에서 항균성이 떨어지며, 5배 보다 적은 양으로 혼합하면 용액의 점도가 증가하며 필름성형 시 최종 제품이 잘 깨진다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 "팽윤"이란 젤라틴이 용매인 물을 흡수하여 부푸는 현상으로 고분자 물질이 용해될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즉 고체상태의 고분자는 그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사슬 사이의 상호작용이 강하지만, 이를 용매 속에 담그면 고분자사슬 사이에 용매분자가 끼어들어 겔(gel) 모양으로 부풀어 오르고, 이어 용매분자에 둘러싸인 고분자사슬이 하나씩 떨어져 용매 속에 분산·용해하게 되는데 이를 팽윤이라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젤라틴을 팽윤시키는 단계에서는 정량한 젤라틴을 수계 용매에 넣어 교반시킨 후, 바람직하게 30분간 상온에서 방치하는 것으로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HPMCP-젤라틴 용액을 제조하는 것은 젤라틴 제조의 전 과정 중 "용액 공정"에 해당하는 것으로, 후속적으로 상기 제조된 HPMCP-젤라틴 용액을 통상의 젤라틴 제조 과정에서 수행되는 바와 동일하게 겔화 및 건조시키는 공정을 거침으로써 보존성이 향상된 젤라틴을 제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겔화 공정은 상기 제조된 HPMCP-젤라틴 용액을 겔화성 조성물 즉 젤라틴의 겔화 개시 온도 보다 낮은 온도(약 10℃)에서 17시간 동안 냉각 시킴으로써 수행하고, 건조 공정은 상기 겔화된 용액을 Film caster를 이용하여 film의 형태로 제작하고 이것을 25℃, 50%RH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것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젤라틴은 식물성 성분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보존제 용액의 주요 성분으로 사용하여 보존성을 향상시킨 것이므로, 특히 식품 및 의약품에 포함되어 사용하기에 유리한 장점을 갖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 보존제 용액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젤라틴과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HPMCP) 외에 별도로 NaOH를 HPMCP 대비 6.5 중량%의 양으로 물에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이때 용해시키는 방법으로는 Mechanical stirrer를 이용해 기계적 교반(mechanical agitation)을 5분간 수행하였다. 그런 다음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HP-50® 삼성정밀화학)를 보존제 용액에 대하여 0.1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30분간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이때에도 Mechanical stirrer를 이용해 기계적 교반(mechanical agitation)을 40분간 수행했다. HPMCP 용해가 끝난 후, 제조된 샘플을 실온에 하루 정도 보관하여 거품이 제거된 맑은 용액 상태의 보존제 용액을 얻었다.
● 젤라틴-HPMCP 용액 제조
상기 제조된 보존제 용액에 강도 200 bloom의 젤라틴(Geltech 제조, B-type)을 보존제 용액에 대하여 16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팽윤시켰다. 상기 팽윤공정은 정량한 젤라틴을 수계 용매에 넣어 수저를 이용해 교반시켜 준 후, 그대로 30분간 상온에서 방치하는 것으로 하였다. 팽윤된 젤라틴을 60℃의 water bath에 30분간 넣고 용해시켜 젤라틴-HPMCP 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2 내지 8
보존제 용액에 대한 젤라틴과 HPMCP의 양을 하기 표 1과 같이 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존제 용액 및 젤라틴-HPMCP 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9
강도 250 bloom의 젤라틴(Geltech 제조, B-type)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로(HP-55® 삼성정밀화학)을 사용하며, 보존제 용액에 대하여 각각 30중량% 및 0.5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존제 용액 및 젤라틴-HPMCP 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10 및 11
강도 200 bloom의 젤라틴(Geltech 제조, B-type)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HP-50® 삼성정밀화학)을 사용하며, 보존제 용액에 대하여 각각 하기 표 1과 같은 양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존제 용액 및 젤라틴-HPMCP 용액을 얻었다.
비교예 1
강도 200 bloom의 젤라틴(Geltech 제조, B-type)을 16중량% 농도로 포함하는 젤라틴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보존제 용액에 포함되는 HPMCP를 보존제 용액에 대하여 0.05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존제 용액 및 젤라틴-HPMCP 용액을 얻었다.
Figure 112011105532114-pat00002
*상기 젤라틴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의 중량%는 보존제 용액에 대한 중량%이다.
[물성 평가]
● 제조된 용액의 보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젤라틴-HPMCP 용액 또는 젤라틴 수용액을 43℃를 유지하는 항온조에서 4일 동안 보관하였다.
그런다음 1일, 2일, 3일 및 4일 경과 후 용액의 항균성, 겉보기 및 향 등급을 평가하고, 용액의 초기 및 4일차 점도를 측정하여 그 변화를 평가하였다.
항균성 평가
<Total Aerobic Microbial test & Total Yeasts and Molds test>
1일, 2일, 3일 및 4일 경과 후 용액으로부터 10ml의 샘플을 채취하여 멸균생리식염수 90ml와 혼합한 후 10진 희석법으로 희석하여 각 단계 희석액(10-2, 10-3, 10-4..) 1ml씩(검체)을 지름 9~10cm, 높이 1.5cm의 멸균 petri-dish 2개에 무균적으로 취했다. 약 43~45℃로 유지한 표준한천배지 15ml를 무균적으로 분주한 후, petri-dish 뚜껑에 부착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조용히 회전시키고 좌우로 기울이면서 검체와 배지를 잘 섞었다. 그런 후 냉각 및 응고시켰다.
다음으로 확산집락의 발생을 막기 위해 표준한천배지 5ml을 다시 가하여 중첩시켰다. 이때 검체를 취하여 배지를 가할 때까지의 시간은 20분 이상 경과되지 않도록 했다.
냉각 응고시킨 petri-dish를 거꾸로 하여(뚜껑이 아래로 오도록) 35±1℃에서 36시간 배양했다. 배양 중에 배지가 건조되어 중량이 15%이상 감소되지 않도록 했다.
배양 후 즉시 집락 계산기를 사용하여 생성된 집락수를 계산했다. 집락 수의 계산은 확산 집락(평판(petri-dish) 전면적의 1/2 이하)이 없고, 1 plate(petri-dish) 당 30~300개의 집락을 생성한 평판을 택하여 집락수를 계산했다. 모든 평판에 300개 이상 집락이 발생할 경우에는 300에 가까운 것을, 모든 평판에 30개 이하의 집락만을 얻었을 경우에는 가장 희석 배수가 낮은 것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체 1ml 주의 세균수는, 그것이 어떤 제한된 것에서 발육한 집락을 측정한 수치인 것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1개 평판에 있어서의 집락수를 상당 희석배수로 곱하고, 그 수치를 1ml중(1g 중)의 세균수로 기재했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1105532114-pat00003
실시예의 젤라틴-HPMCP 용액에서는 균의 증식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보존제 용액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또는 보존제 용액에 포함되는 HPMCP를 본 발명에서 한정하는 범위 미만의 양으로 포함하는 비교예 2의 경우에는 3일차부터 균의 증식이 시작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겉보기 및 향 평가
1일, 2일, 3일 및 4일 경과 후 용액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냄새로 비교 판별하였다. 하기와 같이 등급을 매겼다.
◎: 용액의 상태가 초기 제조시점과 비교해 눈에 띄는 겉보기 변화가 없으며 향 특성에 있어서도 초기 상태와 큰 차이가 없는 경우
○: 용액의 상태가 초기 제조시점과 비교해 색, 부유물의 유무 및 정도, 흐름성(점도관련), 투명도 등의 겉보기 특성에서 확연한 차이는 아니나 약간의 변화가 있으며 향 특성에 있어서도 초기상태에 비교해 미세한 악취가 섞여서 나는 경우
◇: 용액의 상태가 초기 제조상태와 비교해 색, 부유물의 유무 및 정도, 흐름성(점도관련), 투명도 등에 눈에 띄는 차이가 있으며 향 특성에 있어서도 코를 자극하는 악취가 나는 경우
△: 용액의 상태가 초기 제조상태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변색, 변질되어 있으며 그 흐름성, 투명도 등의 특성들도 완전히 변한 상태이며 매우 심한 악취가 나는 경우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점도 변화 평가
용액의 초기 및 4일 경과 후 점도를 하기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변화를 평가하였다.
측정기기: BROOKFIELD Viscometer LV DV-11+Pro
측정조건: Speed (100rpm), Spindle (S61)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1105532114-pat00004
실시예의 젤라틴-HPMCP 용액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라 겉보기 및 향 등급에 변화가 없었으나, 본 발명의 보존제 용액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에는 2일차부터, HPMCP를 본 발명에서 한정하는 범위 미만의 양으로 포함하는 비교예 2의 경우에는 3일차부터 겉보기 및 향 등급의 저하가 발생하였다. 또한 점도 변화에 있어서도 특히 보존제 용액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해 실시예 용액들에서 현저히 개선된 결과가 나타났다.
상기 결과로부터 HPMCP를 포함하는 보존제 용액을 첨가하면 항균 효과가 나타나 젤라틴의 물성 및 품질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젤라틴의 물성적인 측면의 한 예로 점도의 경우 변화 정도가 심해질수록 내부 분자 구조 자체 또는 그들 간의 분자간 작용력에 큰 영향을 미쳐 점점 낮아지는 현상을 보이게 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본 발명의 보존제 용액을 적용한 경우 점도 측정값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매우 더디게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보존제 용액에 포함되는 HPMCP의 농도를 높일수록 그 항균효과 및 품질(물성)보존 효과는 더 높아졌다.
따라서 HPMCP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보존제 용액은 젤라틴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유지 또는 개선시키면서, 미생물적 변패에 취약한 젤라틴의 물성을 개선해주는 기능을 하여 식품 또는 의약 분야에서 젤라틴의 광범위한 적용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6)

  1.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HPMCP) 및 염기를 포함하며,
    상기 염기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중량부로 사용되고, 상기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는 젤라틴 중량에 대하여 1/160 ~ 1/5 비율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라틴 보존제 용액.
  2. 제1항에서,
    상기 염기는 NaOH, KOH 및 Ca(OH)2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라틴 보존제 용액.
  3. 제1항에서,
    상기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는 20~24 중량%의 메톡시(methoxy) 치환기 함량, 6~10 중량%의 히드록시 프로폭시(hydroxypropoxy) 치환기 함량 및 21~35 중량%의 프탈산(phthalic acid) 함량을 가지며, 점도가 48~66cs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라틴 보존제 용액.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젤라틴 보존제 용액에 상기 HPMCP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60배의 젤라틴을 혼합하여 팽윤시키는 단계 및 팽윤된 젤라틴을 60 내지 80℃의 온도에서 용해시켜 HPMCP-젤라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라틴의 제조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보존제 용액은 HPMCP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의 염기를 물에 용해시킨 다음, 젤라틴 중량에 대하여 1/160 ~ 1/5 비율로 HPMCP를 첨가하여 혼합 및 용해시키고, 실온에 12 내지 24시간 보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라틴의 제조방법.
  6. 제4항에서 제조된 HPMCP-젤라틴 용액을 겔화 및 건조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라틴.
KR1020110147350A 2011-12-30 2011-12-30 식물성 소재를 활용한 젤라틴 보존제 용액 및 젤라틴 KR101810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350A KR101810245B1 (ko) 2011-12-30 2011-12-30 식물성 소재를 활용한 젤라틴 보존제 용액 및 젤라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350A KR101810245B1 (ko) 2011-12-30 2011-12-30 식물성 소재를 활용한 젤라틴 보존제 용액 및 젤라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411A KR20130078411A (ko) 2013-07-10
KR101810245B1 true KR101810245B1 (ko) 2017-12-21

Family

ID=48991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350A KR101810245B1 (ko) 2011-12-30 2011-12-30 식물성 소재를 활용한 젤라틴 보존제 용액 및 젤라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2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411A (ko)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thyl cellulose film modified with capsaicin
Ogushi et al. Synthesis of enzymatically-gellable carboxymethylcellulose for biomedical applications
Li et al. Butylated hydroxyanisole encapsulated in gelatin fiber mats: Volatile release kinetics, functional effectiveness and application to strawberry preservation
CN108070103B (zh) 一种可降解型抗菌性复合保鲜膜及其制备方法
Yu et al. Evaluation of a polyvinyl alcohol‐alginate based hydrogel for precise 3D bioprinting
Fangfang et al. Effects of virgin coconut oil on the physicochemical, morphological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potato starch‐based biodegradable films
Ma et al. Genipin-crosslinked gelatin films as controlled releasing carriers of lysozyme
CN110818955B (zh) 一种mof负载原花青素抑菌膜及其制备方法
Dai et al. Development of antibacterial film based on alginate fiber, and peanut red skin extract for food packaging
Wang et al. Characterization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biodegradable films based on CMC, mucilage from Dioscorea opposita Thunb. and Ag nanoparticles
Hsieh et al. Biocompatible testing and physical properties of curdlan-grafted poly (vinyl alcohol) scaffold for bone tissue engineering
Adila et al. Antimicrobi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chitosan film as affected by solvent types and glycerol as plasticizer
JP2014187901A (ja) バクテリアセルロースを含有する温度感受性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Zhao et al.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edible agar-based composite films modified by cellulose nanocrystals
CN114272206B (zh) 一种可注射抗菌高分子水凝胶及其制备方法和用途
Zhou et al.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 of Konjac glucomannan/pullulan/microcrystalline cellulose/tea polyphenol active blend film
Yan et al. Modification on sodium alginate for food preservation: A review
Liao et al. Recyclable ethyl cellulose film modified by rosin based quaternary ammonium salt for antimicrobial packaging
CN114917184A (zh) 一种粘稠医用敷料及其制备工艺
Yuan et al. Janus biopolymer nanocomposite coating with excellent antibacterial and water/oxygen barrier performance for fruit preservation
Li et al. Injectable, rapid self-healing,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nanocellulose-tannin hydrogels formed via metal-ligand coordination for drug delivery and wound dressing
Liu et al. 3D printed lactic acid bacteria hydrogel: cell release kinetics and stability
KR101810245B1 (ko) 식물성 소재를 활용한 젤라틴 보존제 용액 및 젤라틴
Rolińska et al. Choline chloride-based deep eutectic solvents as plasticizer and active agent in chitosan films
Pham et al. Release study of polyphenols from polyvinyl alcohol/chitosan active films supplemented with Sonneratia ovata extract and Piper betel (L.) essential o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