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133B1 - Block for vehicle - Google Patents

Block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133B1
KR101810133B1 KR1020160138648A KR20160138648A KR101810133B1 KR 101810133 B1 KR101810133 B1 KR 101810133B1 KR 1020160138648 A KR1020160138648 A KR 1020160138648A KR 20160138648 A KR20160138648 A KR 20160138648A KR 101810133 B1 KR101810133 B1 KR 101810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mounting
mounting portion
component
compartmen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6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희성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8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13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1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for a vehicle. A main body (1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block (1)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0) is made by coupling a first cover (11) and a second cover (12). The second cover (12) is provided with a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14), and a first component (14) is mounted thereon. A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3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s (14), and a second component (30) is mounted thereon. The second component (30) is mounted on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30) by press fit. An incision portion (33) is formed at the lowest portion in the gravity direction in a second partition fence (32) constituting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30). The incision portion (33) extend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portion (30). A drainage channel (40) is connected to the incision portion (330), and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over (12). A locking hole (26) is formed at the lowest portion in the gravity direction in the first partition fence (16) constituting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14). The locking hole (26) is a portion to which a protrusion (14) of the first component (14) is locked, and is a passage for discharging moisture in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14) to the outside.

Description

자동차용 블럭{Block for vehicle}Block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부품들이 집적되어 장착되는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b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automobile block in which various components are integrated and mounted.

자동차용 블럭은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장치로 전원과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자동차용 블럭에는 예를 들면, 퓨즈, 릴레이, 저항과 같은 부품들이 장착되어 회로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부품들은 자동차용 블럭에 형성된 부품장착부에 견고하게 장착되어야 한다.Automotive blocks provide power and control signals to various devices used in automobiles. Automotive blocks are equipped with components such as, for example, fuses, relays, and resistors to form a circuit. Such parts must be firmly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automobile block.

자동차는 차체와 다양한 부품들에 의해 중량이 많이 나갈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자동차의 중량과 크기를 줄이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있다. 자동차의 무게는 되도록 적게 나가는 것이 좋고 또한 부품들의 크기를 줄임에 의해 사람의 탑승을 위한 공간을 늘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은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장치들의 경박단소화를 추구하게 되었고, 자동차용 블럭에서도 마찬가지이다.The car is heavy due to its bodywork and various parts. However, there are a lot of efforts to reduce the weight and size of cars.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weight of the vehicle and also to be able to increase the space for people to board by reducing the size of the parts. This necessity has led to the pursuit of lightweight shortening of the devices used in automobiles, as well as in automotive blocks.

자동차용 블럭에 장착되는 부품들은 다양한 것들이 있는데, 이들은 자동차용 블럭에서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어야 자동차용 블럭을 소형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각각의 부품을 부품장착부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 역시 간소화될 필요가 있다.There are a variety of parts mounted on a car block, which must b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 car block to make the car block smaller.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structure for mounting each component to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needs to be simplified.

그리고, 자동차는 다양하고 극한의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용 블럭에서 습기가 응축되어 수분이 발생하고, 이 수분이 자동차용 블럭에 장착된 부품의 손상이나 오동작을 초래할 수 있다.And automobiles can be used in a variety of extreme environments. Therefore, various problems may occur depending on the chang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or example, moisture may be condensed in the automobile block, and moisture may cause damage or malfunction of parts mounted on the automobile block.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3768호Korean Patent No. 10-1483768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집적되어 형성된 부품장착부에 부품을 장착하고 분리하는 것이 간단하도록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for mounting and separating components on an integrated component mounting uni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가 사용되는 환경이 다양하게 변하므로 이에 대응해서 자동차용 블럭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자동차용 블럭의 외측으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quickly discharging moisture generated in an automobile block to an outside of a car block in response to various changes i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automobile is us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일측 외면에 나란히 형성되어 제1부품이 장착되는 제1부품장착부와, 상기 제1부품장착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제2부품이 압입되어 장착되는 제2부품장착부와, 상기 제2부품장착부를 구성하는 제2구획펜스를 분리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부품장착부의 바닥까지 형성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채널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ain body including a main body, a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first component mounted thereon, A cutout portion formed by separating the second compartment fence constituting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and formed to the bottom of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and a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And a drain channel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utout unit and discharging moisture to the outside.

상기 제1부품장착부는 제1구획펜스에 의해 외부와 구획되는데, 상기 제2부품장착부는 양측의 상기 제1구획펜스를 공유하고 상기 제1구획펜스를 제2구획펜스가 연결하여 외부와 구획된다.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is partitioned from the outside by a first compartment fence, and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shares the first compartment fence on both sides and the first compartment fence is partitioned from the outside by connecting a second compartment fence .

절개부는 상기 제2구획펜스중 중력방향으로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것에 형성된다.The cutout is formed at the lowest position in the gravitational direction among the second compartment fences.

상기 제2부품장착부의 제2구획공간의 내면에는 제2스페이서가 형성되어 제2부품의 외면에 밀착되는데, 상기 제2스페이서는 제2구획공간의 일면에 적어도 2개씩이 형성된다.A second space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mpartment space of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mponent. At least two of the second spacers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compartment space.

상기 제1부품장착부를 형성하는 제1구획펜스중 중력방향으로 가장 낮은 것에는 록킹공이 형성되는데, 상기 록킹공은 제1부품장착부의 제1구획공간의 바닥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A locking hole is formed at the lowest one of the first compartment fins forming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in the gravity direction. The locking hole extend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ompartment space of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상기 록킹공은 상기 제1구획펜스의 일부가 되는 록킹편에 형성되고 상기 록킹편의 록킹공에는 상기 제1부품에 형성된 돌기가 걸어져 록킹된다.The locking hole is formed in a locking piece that becomes a part of the first compartment fence, and a protrusion formed on the first component is hooked on the locking hole of the locking piece.

상기 제1부품장착부의 바닥으로 개방되게 제1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터미널안착공간의 입구는 제1부품장착부의 바닥에 돌출된 안착대에 위치하며, 상기 제2부품장착부의 바닥으로 개방되게 제2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터미널안착공간의 입구는 제2부품장착부의 바닥에 돌출된 안착대에 위치한다.A first terminal seating space is formed to be opened to the bottom of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and an inlet of the first terminal seating space is located in a seating frame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The second terminal seating space is formed to be open and the entrance of the second terminal seating space is positioned in the seating stand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상기 메인몸체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자동차의 고정부에 체결되는 장착브라켓이 형성되는데,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제1부품장착부가 형성된 메인몸체의 외면에 직교하게 돌출되어 메인몸체가 자동차의 고정부에 세워지게 설치되도록 한다.The mounting bracke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fastened to the fixed portion of the vehicle. The mounting brackets are protruded perpendicularly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having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

상기 메인몸체는 제1커버와 제2커버가 협력하여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2커버의 외면에 상기 제1부품장착부와 제2부품장착부가 형성된다.In the main body,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jointly form an outer tube and a skeleton, and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ar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먼저, 본 발명에서는 제1부품이 장착되는 2개의 제1부품장착부의 사이에 구획펜스를 공유하도록 제2부품이 장착되는 제2부품장착부를 두고, 이 제2부품장착부의 구획펜스중 중력방향 가장 하측에 있는 것에 부품몸체의 표면까지 형성되는 절개부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절개부를 통해 제2부품과 제2부품장착부의 바닥 사이로 공구를 진입시켜 제2부품을 쉽게 제2부품장착부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on which a second component is mounted to share a compartment fence between two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s on which the first component is mounted, And an incision formed on the lower side up to the surface of the component body. Therefore, the tool can be inserted between the second component and the bottom of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through the cutout portion, so that the second componen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2부품장착부를 구성하는 구획펜스중 중력방향 가장 하측에 있는 것의 바닥까지 형성된 절개부에 더해 상기 구획펜스의 외측에 해당되는 부품몸체의 표면에 상기 절개부를 통해 제2부품장착부의 바닥면과 연결되는 배수채널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자동차용 블럭이 사용되는 환경영향으로 발생하는 수분을 제2부품장착부 외부로 쉽게 배출할 수 있어 수분에 의한 부품의 손상이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cutout portion formed to the bottom of the lowest part in the gravity direction among the partition fences constituting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the surface of the component body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compartment fence, Thereby forming a drain channel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herefore, the moisture generated by the environmental influence of the automobile block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so that damage or malfunction of the component due to moisture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제1부품장착부들을 형성하는 구획펜스중 중력방향으로 가장 하측에 있는 것에 형성된 록킹통공을 제1부품장착부의 바닥까지 연장하여 형성하였으므로, 록킹통공을 통해서 제1부품장착부 내부에 있는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cking hole formed in the lowest part in the gravity direction of the partition fence forming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s is extended to the bottom of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moisture inside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through the locking hole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커버의 중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커버의 제1부품장착부에 제1부품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이 자동차의 고정부에 세워져 고정된 것을 전방에서 본 정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ehicl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mportant part of a second cov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component is mounted on a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of the second cover shown in FIG. 2. FIG.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front when the automobile block is erected and fixed on a fixed portion of the automobile. Fig.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understanding wh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interpre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자동차용 블럭(1)의 외관과 골격을 메인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메인몸체(10)는 제1커버(11)와 제2커버(12)가 서로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제1커버(11)와 제2커버(12)가 협력하여 형성하는 내부공간에는 필요한 회로를 연결하는 구성들이 있다. 예를 들면, 버스바나 터미널이 있고, 와이어나 기판이 있을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drawings, the main body 10 forms the appearance and the skeleton of the automobile block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ain body 10, the first cover 11 and the second cover 12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n appearance. The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first cover 11 and the second cover 12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connect necessary circuits. For example, there is a bus bar or a terminal, and there may be a wire or a board.

상기 제2커버(12)의 외면에는 제1부품장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부품장착부(14)는 육면체 형상의 제1부품(14')이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부품(14')의 예로서 릴레이를 들 수 있다. 상기 제1부품장착부(14)는 상기 제2커버(12)의 표면에 2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제1부품장착부(14)는 제1구획펜스(16)에 의해 외부와 구획된다. 상기 제1구획펜스(16)는 상기 제2커버(12)의 일측 표면을 정면에서 볼 때 사각형상으로 되어 내측에 제1구획공간(18)을 구획한다. 상기 제1구획공간(18)에 상기 제1부품(14')이 안착된다.A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14)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12).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14 is a portion on which the hexahedron-shaped first component 14 'is mounted. An example of the first part 14 'is a relay.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14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over 12 side by side with a predetermined gap therebetween.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14 is partitioned from the outside by the first compartment fence 16. The first compartment fence 16 has a square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of one surface of the second cover 12, and defines a first compartment space 18 on the inner side. The first part 14 'is seated in the first compartment space 18.

상기 제1구획공간(18)으로 개방되게 제1터미널안착공간(20)이 형성된다. 상기 제1터미널안착공간(20)에는 터미널 또는 버스바의 일측이 위치되어 상기 제1부품(14')의 레그(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터미널안착공간(20)은 다수개가 있는데, 상기 제1터미널안착공간(20)의 입구를 둘러싸도록 안착대(22)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안착대(22)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구획공간(18)의 바닥면에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또는 제1부품(14')의 표면 등에서 발생된 수분이 제1구획공간(18)의 바닥으로 전달되더라도 상기 안착대(22)에 의해 상기 제1터미널안착공간(20)으로 가지 않도록 된다.The first terminal seating space 20 is formed to be open to the first compartment space 18. In the first terminal seating space 20, one side of the terminal or bus bar is loca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gs (not shown) of the first component 14 '. There are a plurality of first terminal seating spaces 20, and a seating table 22 is protruded to surround the entrance of the first terminal seating space 20. The seating table 22 substantially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ompartment space 18. Therefore, even if moisture generated from the outside or on the surface of the first component 14 'is transmitted to the bottom of the first compartment space 18, the seat 22 is moved to the first terminal seating space 20 .

상기 제1구획펜스(16)의 일부는 록킹편(24)으로 된다. 상기 록킹편(24)은 제1부품(14')에 있는 돌기(14")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록킹편(24)에는 록킹공(26)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록킹공(26)은 상기 록킹편(24)에 형성되어 제2커버(12)의 일측 표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공(26)이 상기 제2커버(12)의 일측 표면과 연통되도록 만들어져 있어, 상기 록킹공(26)을 통해서 제1구획공간(18)의 바닥면에 있는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자동차용 블럭(1)은 제1커버(11)와 제2커버(12)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자동차의 고정부에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제2커버(12)의 일측 표면, 즉 외면은 지면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으로 되어 제1구획공간(18)의 바닥면에 있는 수분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록킹공(2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록킹공(26)은 상기 제1구획펜스(16)중에서 중력방향으로 가장 하측에 있는 것에 형성된다. 물론, 상기 록킹공(26)이 형성되는 록킹편(24)은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획공간을 중심에 두고 반대쪽에도 있다.A part of the first compartment fence (16) becomes a locking piece (24). The locking piece 24 is a portion to which the projection 14 '' of the first component 14 'is hooked. The locking piece 24 is formed with a locking hole 26. The locking hole 26 Is formed on the locking piece 24 and extends to one side surface of the second cover 12. The locking hole 26 is made to communicate with one surface of the second cover 12, The water presen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ompartment space 18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cking hole 26. Particularly, the automobile block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irst cover 11 and the second cover 2 Since the cover 12 is vertically erected in the state where the covers 1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mounted on the fixed portion of the automobile, one surface of the second cover 12, that is, the outer surface thereof is a plane orthogonal to the ground surface, Is moved by the action of gravity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cking hole 26. Here, The locking piece 24 formed with the locking hole 26 is formed in the first compartment fence 16 at the lowest position in the gravitational direction. Centered on the other side.

상기 제1구획펜스(16)의 내면에는 제1스페이서(28)가 있다. 상기 제1스페이서(28)는 상기 제1부품(14')의 외면에 밀착되어 제1구획펜스(16)에 대해 제1부품(14')이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스페이서(28)에서 상기 제1구획공간(18)의 입구 측에는 제1경사면(2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경사면(29)은 상기 제1스페이서(28)에 제1부품(14')의 외면이 점차로 밀착되도록 한다.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mpartment fence 16, there is a first spacer 28. The first spacer 28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art 14 'to prevent the first part 14' from flowing relative to the first compartment fence 16. A first inclined surface 29 is formed at the inlet side of the first compartment space 18 in the first spacer 28. The first inclined surface 29 allows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mponent 14 'to be closely attached to the first spacer 28.

상기 제1부품장착부(14)의 사이에는 제2부품장착부(30)가 있다. 상기 제2부품장착부(30)는 인접한 제1부품장착부(14)의 제1구획펜스(16)를 공유하고, 나머지 부분만 제2구획펜스(32)가 있어서 외부와의 구획을 수행한다. 상기 제2구획펜스(32)는 양측 제1부품장착부(14)의 제1구획펜스(16) 사이를 연결하도록 된다.Between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s 14, there is a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30.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30 shares the first compartment fence 16 of the adjacent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14 and the remaining portion has only the second compartment fence 32 to compartment with the exterior. The second compartment fence 32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compartment fences 16 of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s 14 on both sides.

상기 제2구획펜스(32)중에서 중력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곳에 있는 것에는 절개부(33)가 있다. 상기 절개부(33)는 상기 제2구획펜스(32)를 양측으로 나누게 된다. 특히, 상기 절개부(33)는 상기 제2부품장착부(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구획공간(34)의 바닥까지 형성된다. 따라서, 제2구획공간(34) 내부의 수분은 제2구획공간(34)의 바닥을 따라 흘러서 상기 절개부(3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33)를 통해서 상기 제2구획공간(34)의 내부로 공구를 삽입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절개부(33)를 통해 상기 제2구획공간(34)의 바닥과 제2부품(30')의 바닥 사이로 공구를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2부품(30')을 제2부품장착부(30)에서 분리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Among the second compartment fences 32, there is a cutout 33 at a relatively low position in the gravitational direction. The cut-out portion 33 divides the second compartment fence 32 into two sides. Particularly, the cut-out portion 33 is formed up to the bottom of the second compartment space 34 formed in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30. Therefore, the moisture inside the second compartment space 34 flows along the bottom of the second compartment space 34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utout 33. The tool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mpartment space 34 through the cutout 33. [ In particular, a tool may be inserted between the bottom of the second compartment space 34 and the bottom of the second part 30 'through the cutout 33. [ In this case, it is very easy to separate the second component 30 'from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30.

상기 제2구획공간(34)으로 개방되게 제2커버(12)를 관통하여 제2터미널안착공간(36)이 형성된다. 상기 제2터미널안착공간(36)은 상기 제1터미널안착공간(20)과 같이 내부에 터미널 또는 버스바 등이 안착되어 있다. 상기 제2터미널안착공간(36)의 입구는 상기 제2구획공간(34)의 바닥에서 돌출된 안착대(38) 상에 있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제2터미널안착공간(36)의 내부로 제2구획공간(34) 내에 있는 수분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A second terminal seating space 36 is formed through the second cover 12 to open to the second compartment space 34. A terminal or a bus bar is seated in the second terminal seating space 36 like the first terminal seating space 20. The entrance of the second terminal seating space 36 is on the seating table 38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section space 34. As a result, moisture in the second compartment space 34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second terminal seating space 36.

상기 절개부(33)와 연결되게 상기 제2커버(12)의 표면에는 배수채널(40)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채널(40)은 상기 절개부(33)에 비해 더 중력방향 하부에 있다. 상기 배수채널(40)은 상기 제2구획펜스(32)의 외측에 해당되는 상기 제2커버(12)의 표면에 중력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배수채널(40)을 통해서는 수분이 외부로 배출된다.A drainage channel (4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over (12)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utout (33). The drain channel (40) is further downward in the gravity direction than the cutout (33). The drain channel 40 extends in the gravity direction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over 12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compartment fence 32. And moistur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age channel (40).

상기 제2구획공간(34)의 내면, 즉 제1구획펜스(16)나 제2구획펜스(32)에는 제2스페이서(42)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스페이서(42)에서 상기 제2구획공간(34)의 입구측 단부에는 제2경사면(43)이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제2스페이서(42)가 돌출되는 정도에 따라 제2부품(30')의 삽입방식이 달라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스페이서(42) 들에 의해 상기 제2부품(30')이 상기 제2구획공간(34)의 내부에 압입되도록 한다. 상기 제2스페이서(42)들은 제2구획공간(34)의 4개의 내면에 각각 2개씩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스페이서(42)들은 모두 상기 제2부품(3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돌출되는 정도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부품(30')은 제2부품장착부(30)에 압입되어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특성상 상기 제2부품장착부(30)에는 별도의 록킹구조가 제공되지 않는다.A second spacer 4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mpartment space 34, that is, the first compartment fence 16 and the second compartment fence 32 by a long length. A second inclined surface 43 is formed at the inlet side end of the second compartment space 34 in the second spacer 42. The method of inserting the second part 30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extent of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spacer 42.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art 30' And is press-fitted into the second compartment space (34). The second spacers 42 are formed on each of four inner surfaces of the second compartment space 34. The second spacers 42 are all set so as to protrud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mponent 30 '. Accordingly, the second component 30 'is press-fitted into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30. Because of this structure,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30 does not have a separate locking structure.

한편, 상기 제2커버(12)의 가장자리 중 일측 변의 양단에는 각각 장착브라켓(4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46)은 자동차의 고정부에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장착브라켓(46)에는 방진구(48)가 하나씩 구비되어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상기 장착브라켓(46)과 방진구(48)를 관통하여 자동차의 고정부에 고정되어 있는 볼트와 같은 구성이 설치되고, 상기 볼트에 너트와 같은 것이 체결되어 본 발명의 자동차용 블럭(1)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46)은 상기 제2커버(12)의 외면에 대해 직교하게 돌출된다.Mounting brackets 46 are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edge of the second cover 12. The mounting bracket 46 is fastened to the fixed portion of the vehicle. Each of the mounting brackets 46 is provided with one discharge opening 48 to absorb vibration. The mounting bracket 46 and the bolt 48 are fixed to the fixed por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bolt 48. The bolt is fastened to the bolt such as a nut, Can be fixed. The mounting bracket 46 protrudes perpendicularly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12.

다음으로, 제2커버(12)의 외면 타측에는 제3부품장착부(50)가 있어서 제3부품(50')이 장착된다. 상기 제3부품장착부(50)는 자동차용 블럭(1)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중력방향 상부쪽에 있다. 상기 제3부품장착부(50)는 본 실시례에서는 2곳에 있다. 제2커버(12)의 외면중 또 다른 쪽에는 제4부품장착부(52)가 있고, 이에는 제4부품(52')이 장착된다. 참고로 제3부품(50')으로는 프리차지릴레이를 들 수 있고, 제4부품(52')으로는 저항을 들 수 있다.Next, a third component mounting portion 5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12, and a third component 50 'is mounted. The third component mounting portion 50 is located relatively upward in the gravitational direction in the automobile block 1. The third component mounting portion 50 has two places in this embodiment.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12, there is a fourth component mounting portion 52, on which a fourth component 52 'is mounted. For reference, the third component 50 'may be a precharge relay, and the fourth component 52' may be a resistor.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e of the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자동차용 블럭(1)에서는 상기 메인몸체(10)를 형성하는 제2커버(12)의 외면에 형성된 부품장착부(14,30,50,52)에는 다양한 부품(14',30',50',52')들이 장착된다. 예를 들어 제1부품장착부(14)에는 제1부품(14')이 장착되는데, 상기 록킹공(26)에 제1부품(14')의 돌기(14")가 걸어짐에 의해 록킹상태가 이루어진다.In the automobile block 1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parts 14 ', 30', and 30 'are formed on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s 14, 30, 50, and 52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12 forming the main body 10, 50 ', 52' are mounted.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14 'is mounted on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14, and the protrusion 14' of the first component 14 'is hooked on the locking hole 26, .

한편, 상기 제2부품장착부(30)에 장착되는 제2부품(30')은 상기 제2부품장착부(30)에 압입되어 장착된다. 즉, 상기 제2스페이서(42)에 제2부품(30')의 외면이 밀착됨에 의해 장착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mponent 30 'mounted on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30 is press-fitted into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30. 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mponent 30 'is attached to the second spacer 42 by being closely attached thereto.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부품장착부(30)에 장착되는 제2부품(30')의 경우 별도의 록킹구조가 없이 압입에 의해 장착되므로, 제2부품(30')을 제2부품장착부(30)에서 분리되는 것이 상대적으로 간소하게 된다. 즉, 상기 절개부(33)를 통해서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제2부품(30')을 밀어 올리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제2부품장착부(30)에 압입되어 장착되어 있던 제2부품(30')은 쉽게 분리될 수 있다.The second component 30 'mounted on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30 is mounted by press-fitting without a separate locking structure, so that the second component 30' is mounted on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30, Is relatively simple. That is, the tool may be inserted through the cut-out portion 33 to push up the second component 30 '. In this way, the second component 30 ', which is press-fitted into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30, can be easily separated.

그리고, 자동차용 블럭(1)에서는 사용중 또는 다양한 환경에서 수분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들 수분은 되도록 다른 부품들에 영향을 주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면 좋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제2부품장착부(30)의 제2구획펜스(32)중 중력방향으로 가장 하측에 있는 것에 절개부(33)를 두었다. 상기 절개부(33)의 존재에 의해 제2부품장착부(30) 내에서 발생된 부분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제2부품장착부(30) 외부에서는 배수채널(40)이 있어 메인몸체(10)의 외부로 보다 쉽게 배출될 수 있다.In the automobile block 1, water may be generated during use or in various environments. It is sufficient that these moistur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out affecting other components.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second partition fences 32 of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30, the cut-out portion 33 is placed at the lowermost position in the gravity direction. The portion generated in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3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due to the presence of the cutout portion 33 and the drain channel 40 is provided outside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30, As shown in FIG.

상기 제1부품장착부(14)에서는 록킹편(24)에 형성된 록킹공(26)이 제1구획공간(18)의 바닥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록킹공(26)을 통해 제1부품장착부(14) 내부의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록킹공(26)이 제1부품장착부(14)의 제1구획펜스(16)중 중력방향으로 가장 하측에 있는 것에 형성되어 있어 수분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14, the locking hole 26 formed in the locking piece 24 extends to the bottom of the first compartment space 18. Therefore, moisture inside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14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cking hole 26. [ The locking hole 26 is formed in the first compartment fence 16 of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14 at the lowest position in the gravity direction so that the moisture can be smoothly discharged.

그리고, 외부로부터 전달된 수분 또는 제1부품(14')이나 제2부품(30')에 의해 발생된 수분들이, 제1구획공간(18)의 바닥이나 제2구획공간(34)의 바닥에 형성된 안착대(22,38)에 의해 터미널 등 전기적 연결을 위한 부분쪽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분의 영향으로 제1부품(14')이나 제2부품(30')이 손상되거나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moisture transferred from the outside or the moisture generated by the first component 14 'or the second component 30' is supplied to the bottom of the first compartment space 18 or the bottom of the second compartment space 34 Is not transmitted to the portion for electrical connection such as a terminal by the formed seat (22, 38) form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component 14 'or the second component 30' from being damaged or malfunctioning due to the influence of moistur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하나의 구획펜스(16,32)에 형성되는 상기 제1스페이서(28)나 제2스페이서(42)의 갯수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2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구획공간(18,34)의 하나의 내벽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이 되는 것이 좋고, 내벽면의 폭에 따라 갯수를 달리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number of the first spacer 28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spacers 42 formed in one of the partition fences 16 and 32 is two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but the number of the partition spaces 18 and 34 ), And the number of the inner wall surfaces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width of the inner wall surface.

1: 자동차용 블럭 10: 부품몸체
11: 제1커버 12: 제2커버
14: 제1부품장착부 14': 제1부품
16: 제1구획펜스 18: 제1구획공간
20: 제1터미널안착공간 22: 안착대
24: 록킹편 26: 록킹공
28: 제1스페이서 29: 제1경사면
30: 제2부품장착부 30': 제2부품
32: 제2구획펜스 33: 절개부
34: 제2구획공간 36: 제2터미널안착공간
38: 안착대 40: 배수채널
42: 제2스페이서 43: 제2경사면
46: 장착브라켓 48: 방진구
50: 제3부품장착부 50': 제3부품
52: 제4부품장착부 52': 제4부품
1: Automotive block 10: Component body
11: first cover 12: second cover
14: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14 ': first component
16: first compartment fence 18: first compartment space
20: First terminal seating space 22: Seat stand
24: Locking piece 26: Locking ball
28: first spacer 29: first inclined surface
30: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30 ': second component
32: second compartment fence 33: incision part
34: second compartment space 36: second terminal seating space
38: seat 40: drainage channel
42: second spacer 43: second inclined surface
46: mounting bracket 48:
50: third component mounting portion 50 ': third component
52: fourth component mounting portion 52 ': fourth component

Claims (9)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일측 외면에 나란히 형성되어 제1부품이 장착되는 제1부품장착부와,
상기 제1부품장착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제2부품이 압입되어 장착되는 제2부품장착부와,
상기 제2부품장착부를 구성하는 제2구획펜스를 분리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부품장착부의 바닥까지 형성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채널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럭.
A main body,
A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mounted with the first component,
A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that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s and into which the second component is press-
An incision part formed by separating a second compartment fence constituting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art and formed to the bottom of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art,
And a drain channel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utout part and discharging moisture to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품장착부는 제1구획펜스에 의해 외부와 구획되는데, 상기 제2부품장착부는 양측의 상기 제1구획펜스를 공유하고 상기 제1구획펜스를 제2구획펜스가 연결하여 외부와 구획되는 자동차용 블럭.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is partitioned from the outside by a first compartment fence, wherein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shares the first compartment fence on both sides and the first compartment fence is divided by a second compartment fence Blocks for cars that are connected to the outside.
제 2 항에 있어서, 절개부는 상기 제2구획펜스중 중력방향으로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것에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The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ut-out portion is formed at the lowest position in the gravity direction among the second compartment fence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품장착부의 제2구획공간의 내면에는 제2스페이서가 형성되어 제2부품의 외면에 밀착되는데, 상기 제2스페이서는 제2구획공간의 일면에 적어도 2개씩이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second space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mpartment space of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mponent, wherein the second spacer has at least two Automotive blocks form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품장착부를 형성하는 제1구획펜스중 중력방향으로 가장 낮은 것에는 록킹공이 형성되는데, 상기 록킹공은 제1부품장착부의 제1구획공간의 바닥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locking hole is formed in the lowest one of the first compartment fins forming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in the gravity direction, the locking hole exte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ompartment space of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Automotive blocks form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공은 상기 제1구획펜스의 일부가 되는 록킹편에 형성되고 상기 록킹편의 록킹공에는 상기 제1부품에 형성된 돌기가 걸어져 록킹되는 자동차용 블럭.
6. The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locking hole is formed in a locking piece that becomes a part of the first compartment fence, and a protrusion formed on the first part is locked on the locking hole of the locking pie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품장착부의 바닥으로 개방되게 제1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터미널안착공간의 입구는 제1부품장착부의 바닥에 돌출된 안착대에 위치하며, 상기 제2부품장착부의 바닥으로 개방되게 제2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터미널안착공간의 입구는 제2부품장착부의 바닥에 돌출된 안착대에 위치하는 자동차용 블럭.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first terminal seating space is formed to be open to the bottom of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and an inlet of the first terminal seating space is located in a seating base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Wherein the second terminal seating space is opened to the bottom of the two-part mounting part and the entrance of the second terminal seating space is located in a seating stand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art.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자동차의 고정부에 체결되는 장착브라켓이 형성되는데,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제1부품장착부가 형성된 메인몸체의 외면에 직교하게 돌출되어 메인몸체가 자동차의 고정부에 세워지게 설치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블럭.
The vehicle body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mounting brackets are formed at both side edges of the main body to be fastened to a fixed portion of a vehicle, wherein the mounting brackets are orthogonal to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main body is installed on the fixed portion of the vehicl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는 제1커버와 제2커버가 협력하여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2커버의 외면에 상기 제1부품장착부와 제2부품장착부가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9. The vehicle headlamp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main body forms an outer appearance and a skeleton by cooperating with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wherein an automobile block in which the first component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mponent mounting portion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
KR1020160138648A 2016-10-24 2016-10-24 Block for vehicle KR1018101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648A KR101810133B1 (en) 2016-10-24 2016-10-24 Block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648A KR101810133B1 (en) 2016-10-24 2016-10-24 Block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133B1 true KR101810133B1 (en) 2018-01-18

Family

ID=61028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648A KR101810133B1 (en) 2016-10-24 2016-10-24 Block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13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0477A (en) 2010-10-21 2012-05-1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Electrical connection box
JP5851849B2 (en) 2012-01-13 2016-02-03 矢崎総業株式会社 Electrical junction box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0477A (en) 2010-10-21 2012-05-1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Electrical connection box
JP5851849B2 (en) 2012-01-13 2016-02-03 矢崎総業株式会社 Electrical junction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1024B2 (en) Electric distribution box
US8913371B2 (en) Automotive fuse and relay block assembly
US7967373B2 (en) Vehicle body of a motor vehicle with a front-end module
JPH07215157A (en) Vehicular air bag device
KR101810133B1 (en) Block for vehicle
KR100744461B1 (en) Joint box for electric vehicle
KR101671862B1 (en) Assembling Structure of Junction Box
KR101483768B1 (en) Box for vehicle
JP5670820B2 (en) Built-in vehicle-mounted device
US9379461B2 (en) Grounding terminal
WO2014174753A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US6962380B2 (en) Rear bumper assembly structure for vehicle
KR101958671B1 (en) Box for vehicle
KR101830403B1 (en) Structure for assembling reinforcement of junction block
JP5566066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2006320133A (en) Fixing structure of electric connection box
KR20140083827A (en)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for box
JP2005057842A (en) Electric junction box
KR20140087422A (en) Box for vehicle
KR20180052696A (en) Inclined electrical device on the wheel arch of the vehicle
JP2011135696A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electric junction box
DE19912029C2 (en) cooling unit
KR200408484Y1 (en) Structure of joining a connection bracket
KR101850464B1 (en) Structure for assembling reinforcement of junction block
JP6602830B2 (en) Pillar trim assembly and vehicle pilla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