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525B1 - 해전 보드게임 도구 - Google Patents

해전 보드게임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525B1
KR101809525B1 KR1020140179888A KR20140179888A KR101809525B1 KR 101809525 B1 KR101809525 B1 KR 101809525B1 KR 1020140179888 A KR1020140179888 A KR 1020140179888A KR 20140179888 A KR20140179888 A KR 20140179888A KR 101809525 B1 KR101809525 B1 KR 101809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board
line
cannon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9973A (ko
Inventor
문정호
윤성진
장남규
홍재혁
Original Assignee
문정호
윤성진
장남규
홍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호, 윤성진, 장남규, 홍재혁 filed Critical 문정호
Priority to KR1020140179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525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003Types of board games
    • A63F3/00075War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003Types of board games
    • A63F3/00082Racing games
    • A63F3/00085Sailing r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A63F3/0449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concerning hist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이순신 장군의 임진왜란 해전에서 사용된 배 이름을 갖고 다양한 움직임이 정의된 다수개의 게임말, N개의 수평선과 M개의 수직선이 교차하도록 하여 복수의 교차점을 갖는 바둑판 모양의 보드게임판, 그리고 복수의 카드로 구성된 것이다.
본원 발명에서 게임의 승,패는 양 팀이 하나씩 갖고 시작하는 장군선 게임말이 먼저 파괴되는 쪽이 지는 것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서 게임말이 파괴된다는 것의 의미는 보드게임판에서 제거됨을 의미한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복수의 게임말은, 보드게임판에서 2×2 교점을 차지하는 장군선, 앞으로 한 칸 씩만 전진 가능한 세키부네, 동서남북으로 이동 가능한 거북선, 상대편에 부딪히면 일정 범위 내의 게임말들과 함께 파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폭선 및 동서남북으로 이동 가능하되 방향 전환 시 1회의 순서를 필요로 하는 판옥선으로 구성된다. 공격방법은 대포 쏘기와 총파전이 있다. 역사적 의미가 깊은 임진왜란 해전에 기반한 해전 전술을 게임화 하여 제공하는 본원 발명을 통해 남녀노소 누구나 보드게임을 통한 재미와 함께 자연스러우 역사 의식 고취 및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해전 보드게임 도구{SEA WAR BOARD GAME TOOL}
본 발명은 보드게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순신 장군의 임진왜란 해전에서 사용된 배 이름과 특징을 갖고 다양한 움직임이 정의된 다수개의 게임말, N개의 수평선과 수직선이 교차하도록 한 바둑판 모양의 보드게임판, 그리고 복수의 카드로 구성된 것이다. 이순신 장군의 해전 전술과 각 배의 특징을 게임말로 구현하여 남녀노소가 게임을 통해 해전 전술을 이해할 수 있고 자연스럽게 임진왜란을 상기하여 애국심을 고취할 수 있다.
통상 보드게임이라 함은 놀이판 및 간단한 물리적인 도구로 진행하는 놀이를 말한다. 좁은 의미에서는 놀이판 및 종이로 구성된 카드와 주사위, 토큰 등으로 구성된 게임을 말하며 플레이어들이 직접 대면하여 즐기는 형태가 일반적이므로 혼자 즐기게 되는 게임과는 차별되는 즐거움이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컴퓨터 등 IT 기술의 발전으로 보드게임은 컴퓨터 게임으로 변환되어 인터넷 상에서 제공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보드게임의 일반적인 구성요소는 기본적으로 보드(또는 놀이판), 게임말, 카드, 놀이패(또는 토큰), 주사위 등이 있다. 놀이판이라고도 불리는 보드는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단순한 평평한 공간이 주를 이루지만 게임의 종류에 따라 특별한 모양을 갖거나 그림이 그려져 있기도 하다. 게임말은 놀이의 도구로 쓰이는 물건으로 놀이판 위에서 움직이거나 상대 게임말을 잡는데 쓰인다. 일반적으로 게임 진행에 따라 게임말을 움직이며 게임말이 최종 목적하는 바에 이르면 게임이 종료되도록 진행된다. 최근에 카드라고 주로 불리는 놀이딱지(명함 사이즈)는 흔히 종이 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주사위와 함께 게임 진행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토큰이라 불리는 놀이패는 게임 진행을 위해 놀이딱지의 보조 도구로 주로 사용된다. 이 밖에 게임 진행의 흥미를 높이기 위해 주사위 던지기에 의해 진행 수를 정하는 등으로 게임 진행을 하기도 한다.
종래 보드게임으로는 숫자 게임의 하나인 루미큐브, 순발력을 요구하는 할리갈리 등의 외국에서 들어온 게임들과 인생게임이라 불리는 부루마블, 선행기술문헌으로 기재한 등록특허공보 10-0877409의 바둑 규칙을 활용한 대전용 보드게임 등이 있다. 본원 발명은 보드게임을 통한 즐거움 외에 역사적 의식 고취를 또 다른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종래 보드게임으로는 독립기념관에서 출원한 공개특허공보 10-2010-0111803이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 게임들은 배우기가 어렵거나 재미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우리 역사에 기반을 둔 순수 국내 게임으로서 재미를 높인 보드게임의 개발이 필요하다. 즉, 종래 보드게임들은 임진왜란의 해전과 같은 역사적 사실과 배의 특성 등을 활용한 본원 발명의 목적이나 효과와는 큰 차이가 있다 하겠다.
공개특허 10-2010-0111803 등록특허 10-0877409
배우기가 쉬우면서 재미가 있어 어린이나 청소년이 쉽게 할 수 있으면서도 우리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보드게임장치와 게임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보드게임은 이순신 장군의 해전 전술을 게임 규칙으로 하고 각 배의 특징을 게임말로 구현하여 남녀노소가 게임을 통해 해전 전술을 이해할 수 있고 자연스럽게 임진왜란을 상기하여 애국심을 고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재미와 함께 역사적 의의가 있는 해전 전술을 보드게임을 통해 자연스럽게 일반인이 접하고 알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순신 장군의 임진왜란 해전에서 사용된 배 이름을 갖고 다양한 움직임이 정의된 다수개의 게임말, N개의 수평선과 M개의 수직선이 교차하도록 하여 다수의 교차점을 갖도록 한 바둑판 모양의 보드게임판, 그리고 복수의 카드로 구성된 것이다.
보드게임을 통한 즐거움과 게임 규칙이 배우기 쉬워 어린이들도 쉽게 할 수 있으면서, 역사적 의미가 깊은 임진왜란 해전에 기반한 해전 전술을 게임화 하여 제공한다. 이를 통해 재미와 역사적 의식 고취 및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보드게임판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게임말 일부가 보드게임판에 놓여졌을 때의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5가지 게임말의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거북선 게임말의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카드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요약 게임 설명문 예시이다.
본 발명은 이순신 장군의 임진왜란 해전에서 사용된 배 이름을 갖고 다양한 움직임이 정의된 다수개의 게임말, N개의 수평선과 M개의 수직선이 교차하도록 하여 복수의 교차점을 갖는 바둑판 모양의 보드게임판, 그리고 복수의 카드로 구성된 것이다.
본원 발명에서 게임의 승,패는 양 팀이 하나씩 갖고 시작하는 장군선 게임말이 먼저 파괴되는 쪽이 지는 것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서 게임말이 파괴된다는 것의 의미는 보드게임판에서 제거됨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보드게임판의 한 실시예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게임말의 실시예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카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보드게임판은 N개의 수평선과 M개의 수직선이 교차하도록 한 N × M 개로 이루어진 그물망(또는 바둑판) 형식의 평평한 판으로 구성된다. 보드게임판은 종이 위에 도시하여 구성할 수 있고, 목판, 철판, 플라스틱판을 이용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원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보드게임판에 여울목, 곶, 항만, 소용돌이, 삼각주 등과 같은 지형물을 더 설치하여 지형물이 있는 곳은 전진할 수 없도록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게임말은 5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장군선 말은 4개의 교점을 차지하며 장군선 게임말이 파괴되면 게임이 끝난다. 즉, 먼저 장군선 게임말이 죽는 쪽이 게임에서 지게된다. 한 턴에 1 칸씩 이동하는 말이다. 이 때 이동은 동서남북 어느 방향이나 움직일 수 있다. 판옥선 말은 한칸을 차지하는 말이며 방향 전환이 가능하다. 방향 전환을 위해서는 한 턴을 사용해야 한다. 즉, 뒤로 후진 1칸을 하고자 하면 뒤로 돌 때 한 턴을 사용하고 상대방이 한 턴 한 뒤에 그 다음 차례에 1칸을 가야 한다.
해전의 역사적 배경으로 이순신 장군의 임진왜란 해전 전술은 크게 일자진과 학익진 전술이 있었다. 일자진은 일 열로 배들을 배치하는 것이고, 학익진은 정(丁)자로 배들을 배치하는 것이다. 학익진은 총통의 화력을 집중시키는데 용이한 진법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보드게임에서는 배들을 나타내는 게임말들의 배치는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 플레이어의 자유 의사에 속하는 것으로 제한을 두지 않는다. 다만 도 1의 (c)에서 보이는 일 실시예로 보드게임판에 여울목, 곶, 항만, 소용돌이, 삼각주 등과 같은 지형물을 더 설치하여 지형물이 있는 곳은 전진할 수 없도록 추가로 구성한 경우 해당 지형물이 있는 곳에는 게임말을 설치할 수 없거나 진행할 수 없음은 주지관용 사실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도 1의 (b)에서 보이는 실시예로 보드게임판의 중앙부에는 완충지역을 설정하여 일정 지역에 게임말을 설치할 수 없도록 하여 초기에 특정 팀이 게임말을 모두 중앙에 위치하여 너무 유리한 지점을 차지할 수 없도록 하였다.
임진왜란 당시 해전에서의 싸우는 방법은 층파, 백병전 등이 있는데 층파는 배끼리 부딪히는전술로써 당파싸움이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백병전은 서로의 진영이 병사끼리 뒤엉켜서 싸우는 근접전을 뜻한다. 배끼리 붙은 뒤 병사가 상대방의 배 위에 올라가 직접 싸우는 것을 백병전이라 한다. 이 외에 유인술이 있는데, 적을 아군이 매복한곳이나 아군이 싸우기 좋은곳으로 오게끔 유인하는것이 유인술이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는 층파와 유인술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배끼리 부딪히는 전술로 자폭선 게임말을 두었다. 유인술은 게임을 진행하면서 게임 플레이어들이 게임말을 배치하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실시된다. 임진왜란 당시 백병전을 잘 못하던 조선군은 근접전 보다는 함대진을 짜서 활이나 총통으로 화망을 형성해 적함대에 타격을 주는 전술을 이용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고려하여 본원 실시예에서는 백병전은 특별히 게임 방법으로 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게임말들의 배경이 된 임진왜란의 해전용 배들을 살펴보면, 조선은 판옥선이 주를 이루었고 향후 거북선이 더 개발되었다. 일본은 세키부네라는 배를 많이 사용하였다고 한다. 판옥선은 당시 일본의 주력배 세키부네보다 더 높았고 배가 더 튼튼했다. 백병전을 하고자 왜군이 배와 배를 맞대려 하면 조선 수군은 위에서 왜 수군의 갑판을 내려 보게되는 형상이 된다. 판옥선이 더 높았기 때문이다. 조선 수군은 이물의 판옥으로 왜 수군의 총탄이나 화살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지만 왜 수군은 위에서 부터 내려 꽂히는 화살과 총통(특히 대형 총통에서 날아오는 조란환이라 불리는 산탄)들 앞에 그대로 노출되게 된다. 아무리 조선시대 화포 명중률이 조악해도 배와 배가 바싹 붙은 상태에선 백발 백중 일 수 밖에 없고 이는 왜 수군에겐 최악의 상황이 된다. 한꺼번에 수십발의 산탄을 날리는 각종 총통과 질려포라 하는 사람 머리통 만한 수류탄들이 왜 갑판에 작렬하고 총통에서 날아온 주먹만한 철환들이 왜 군의 전선(戰船)을 만신창이로 만들게 된다. 이렇게 적선을 제압하고 나서 조선의 전투병들이 적 갑판위로 올라 아직 남아 있던 왜 수군을 소탕하게 된다. 조선 수군의 주력선으로 갑판 위에 있는 '판옥'이라는 구조물로 인해 판옥선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판옥선은 1555년(명종 10)에 만든 배이다. 그 전까지 사용하던 평선(平船)인 맹선을 대신해 배 위의 네 귀에 기둥을 세우고 사면을 가려 마룻대를 얹었다. 지붕을 덮어 2층 구조로 된 배에서 노를 젓는 병사들은 아래층에, 공격을 담당하는 병사들은 윗층에 배치했다. 그 결과, 서로 방해받지 않고 전투에 임할 수 있었다. 판옥선의 승선인원은 약 125∼130명 이었고 조선말에는 200명까지 탑승하였다. 판옥선은 배가 높은 2층 구조로 적군들이 기어오를 수가 없었다. 이는 왜구들의 장점인 칼을 빼들고 펼치는 백병전을 전개하기 어렵게 하였으며, 판옥선의 높은 구조는 위에서 아래를 향하여 활을 쏘기에 매우 유리하고, 함포의 포좌가 높게 만들어져 명중률이 높았다. 또한 노군의 수가 증가하여 하나의 노를 5명의 노군이 저을수 있게 되어 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었다. 이처럼 기동성과 견고함을 갖춘 판옥선은 을묘왜변(乙卯倭變) 이후에는 가장 중요한 전투선 역할을 하였고, 특히 임진왜란 때에는 거북선과 더불어 많은 활약을 한 가장 규모가 컸던 전투선이었다. '평저선' 인 판옥선은 배 밑바닥이 평탄한 구조였고, 반대로 왜군의 선박은 배 밑바닥이 뾰족한 '첨저선' 이다. 첨저선은 물의 저항에 유리해 일본 군선은 빠른 속도를 자랑했다. 비록 판옥선은 이런 왜선보다 속도가 느렸지만 평저선이기 때문에 좌우선회 능력이 우수했고, 조류변화에도 안정적이었다. 때문에 암초와 섬이 많고 조수간만의 차가 심한 조선의 바다에서 판옥선은 최적화된 전함이었다. 배의 재료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일본의 전선들은 삼나무로 만들고, 판옥선은 그보다 튼튼한 재질인 소나무로 만들었다. 이렇게 재질의 단단함에 차이가 나는 두 배는 판자를 연결하는 방법도 달랐다. 조선의 판옥선은 판자의 한 모서리를 'ㄴ' 자로 깎아내고, 그 위에 판자를 붙인 다음 참나무 못을 위에서 아래판자로 비스듬히 S자로 박는다. 이에 비해 일본의 세키부네 등 전선들은 쇠못을 박아 판자를 연결시켰다. 판자 2개를 그대로 나란히 붙이고, 못은 쇠못으로 판자와 판자를 똑바로 박아 연결한다. 쇠로 만든 못을 일(一)자로 판자를 연결하는 일본 전선은 충격을 받게 되면 못이 쉽게 빠질 우려가 높고, 주변 나무도 같이 부식할 가능성이 높았다. 반대로 판옥선은 S자 모형의 나무못을 이용해서 판자를 연결했기 때문에, 선박의 손상 없이 해체 후, 수리할 수 있었다. 이렇게 재질은 물론 만드는 방법에서 견고함을 확보한 판옥선은 왜선과 충돌했을 때 우위를 차지했다. 판옥선은 크고 단단했으며 선후좌우 360도로 포를 쏠 수 있었다. 본원 발명에서는 판옥선의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판옥선 게임말은 7개의 대포를 장착하도록 하였고, 거북선은 5개의 대포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세키부네는 당시 일본군 전선 상황을 반영하여 3개의 대포를 장착하도록 하였다. 자폭선과 장군선은 대포가 없는 것으로 하였다. 대포를 게임말에 적용한 실시예는 도3과 도4에 보이고 있다. 도4 (a)는 거북선 게임말이다. 거북선 모양을 좀 더 사실적으로 게임말에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a)의 동그라미는 대포를 나타내는 대포핀을 꽂는 홈을 표시한 것이다. 각 게임말은 정의된 대포수만큼 대포핀을 꽂을 수 있는 홈을 갖는다. (b)는 게임 시작 시의 대포 5개가 모두 있는 거북선 게임말의 옆 모습이다. 5개의 대포핀이 측면에서 보인다. (c)는 거북선 게임말이 게임 대전 중 대포를 1개 사용했을 때의 모습이다. 대포핀 1개를 빼서 대포가 사용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게임말 상부에 홈을 형성하여 대포핀을 꽂아 표시하면 게임 중에도 대포의 사용 여부, 사용 갯수를 잘 알 수 있어서 원활한 게임 진행이 가능하다.
본원 발명의 해전 보드게임 장치는 N개의 수평선과 M개의 수직선이 교차하도록 한 바둑판 모양의 보드게임판; 및 보드게임판 위에 위치시켜 움직이며 게임을 진행하는 복수의 게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드게임판은 N < M 이고, 게임 시작 시에 게임말을 둘 수 없는 완충지역을 상기 보드게임판의 중앙부에 설정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복수의 게임말은, 보드게임판에서 2×2 교점을 차지하는 장군선; 앞으로 한 칸 씩만 전진 가능한 세키부네; 동서남북으로 이동 가능한 거북선; 상대편에 부딪히면 일정 범위 내의 게임말들과 함께 파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폭선; 및 동서남북으로 이동 가능하되 방향 전환 시 1회의 순서를 필요로 하는 판옥선;으로 구성된다.
게임말은 대포 기능을 더 포함하되, 대포 기능은 게임 플레이어가 "대포" 라고 선언하는 경우 게임말의 정해진 범위 안에 있는 모든 게임말을 파괴하는 것이며, 상기 게임말은 상부(게임말 등쪽)에 대포핀을 꽂을 수 있도록 홈을 구비하고, 홈에는 게임말에 할당된 개수의 대포핀을 구비하고, 대포를 사용할 때마다 1개의 대포핀을 뽑아 남아있는 대포의 개수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게임 시작시에 상기 거북선은 대포핀 5개, 상기 판옥선은 대포핀 7개, 상기 세키부네는 대포핀을 3개 갖도록 한다.
상기 거북선과 판옥선의 대포 범위는 거북선 또는 판옥선을 중앙 점으로 기준하여 우로 3칸, 좌로 3칸, 위로 3칸, 아래로 3칸으로 하여 전체 6×6의 범위를 대포 범위로 하고, 상기 세키부네의 대포 범위는 세키부네를 중앙 점으로 기준하였을 때 우로 3칸, 좌로 3칸, 위로 3칸으로 하여 전체 3×6을 대포 범위로 한다.
상기 세키부네는 전진 한 칸 앞의 상대 팀 게임말을 대상으로 총파전을 제안할 수 있으며, 게임 플레이어가 "총파전" 을 선언하는 경우, 게임 플레이어는 복수의 카드 중 한 장을 뽑아 승,패,무승부를 가를 수 있고, 카드에서 승 카드를 뽑는 경우에는 상대 팀 해당 게임말을 파괴한 뒤 게임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세키부네를 자폭선으로 게임말을 변경하거나 세키부네에 대포를 1개 추가하도록 한다. 패 카드를 뽑는 경우에는 상대 팀 게임말은 그대로 있고, 총파전을 선언한 세키부네만 파괴된다. 무승부가 되는 경우에는 총파전을 선언했던 게임말을 뒤로 한 칸 이동하도록 한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총파전에 사용되는 카드는 승 3장, 패 3장, 무승부 4장으로 총 열 장으로 구성한다. 게임 운영 중에 플레이어의 합의에 따라 승 또는 패의 카드를 추가하여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보드게임 장치에는 승 10장, 패 10장, 무승부 10장을 제공하도록 하여 플레이어가 자유로이 게임에 사용할 카드 수를 정하도록 한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키부네는 전진 한 칸 앞의 상대 팀 게임말을 대상으로 플레이어가 "총파전 '을 선언하는 경우 플레이어 사이에 가위바위보를 수행하여 총파전 승/패를 가를 수 있다. 승인 경우에는 상대 팀 해당 게임말을 파괴한 뒤 게임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세키부네를 자폭선으로 게임말을 변경하거나 세키부네에 대포를 1개 추가하도록 한다. 패인 경우에는 상대 팀 게임말은 그대로 있고, 총파전을 선언한 세키부네만 파괴된다. 무승부가 되는 경우에는 총파전을 선언했던 세키부네를 뒤로 한 칸 이동하도록 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키부네는 전진 한 칸 앞의 상대 팀 게임말을 대상으로 플레이어가 "총파전 '을 선언하는 경우 무조건 총파전에 의해 해당 세키부네와 상대 게임말이 파괴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해전 보드게임은 두 팀으로 나뉘어 대전하도록 진행하되, 제1 팀은 장군선 1개, 거북선 1개, 판옥선 11개로 시작하고, 제2팀은 장군선 1개, 세키부네 30개, 자폭선 2개로 시작하며, 먼저 상대팀의 장군선을 파괴하면 이기는 것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해전 보드게임 장치 및 보드게임 방법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7)

  1. N개의 수평선과 M개의 수직선이 교차하도록 한 바둑판 모양의 보드게임판;
    보드게임판 위에 위치시켜 움직이며 게임을 진행하는 복수의 게임말; 및
    복수의 카드;
    를 포함하는 해전 보드게임 도구에 있어서,
    상기 보드게임판은 N < M 이고, 게임 시작 시에 게임말을 둘 수 없는 완충지역을 상기 보드게임판의 중앙부에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게임말은, 보드게임판에서 2×2 교점을 차지하는 장군선; 앞으로 한 칸 씩만 전진 가능한 세키부네;
    동서남북으로 이동 가능한 거북선;
    상대편에 부딪히면 일정 범위 내의 게임말들과 함께 파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폭선; 및
    동서남북으로 이동 가능하되 방향 전환 시 1회의 순서를 필요로 하는 판옥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게임말 중 세키부네, 거북선, 판옥선은 상부(게임말 등쪽)에 대포핀을 꽂을 수 있도록 홈을 구비하고, 홈에는 게임말에 할당된 개수의 대포핀을 구비하고, 대포를 사용할 때마다 1개의 대포핀을 뽑아 남아있는 대포의 개수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게임 시작시에 상기 거북선은 대포핀 5개, 상기 판옥선은 대포핀 7개, 상기 세키부네는 대포핀을 3개 갖고;
    상기 복수의 카드는 승(이김) 카드 10장;
    패(짐) 키드 10장; 및
    무승부 카드 10장;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전 보드게임 도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북선과 판옥선의 대포 범위는 거북선 또는 판옥선을 중앙 점으로 기준하여 우로 3칸, 좌로 3칸, 위로 3칸, 아래로 3칸으로 하여 전체 6×6의 범위를 대포 범위로 하고,
    상기 세키부네의 대포 범위는 세키부네를 중앙 점으로 기준하였을 때 우로 3칸, 좌로 3칸, 위로 3칸으로 하여 전체 3×6을 대포 범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전 보드게임 도구.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해전 보드게임은 두 팀으로 나뉘어 대전하도록 진행하되, 제 1 팀은 장군선 1개, 거북선 1개, 판옥선 11개로 시작하고;
    제 2 팀은 장군선 1개, 세키부네 30개, 자폭선 2개로 시작하여,
    먼저 상대팀의 장군선을 파괴하면 이기는 것으로 하는 해전 보드게임 도구.
KR1020140179888A 2014-12-09 2014-12-09 해전 보드게임 도구 KR101809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888A KR101809525B1 (ko) 2014-12-09 2014-12-09 해전 보드게임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888A KR101809525B1 (ko) 2014-12-09 2014-12-09 해전 보드게임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973A KR20160069973A (ko) 2016-06-17
KR101809525B1 true KR101809525B1 (ko) 2018-01-18

Family

ID=56344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888A KR101809525B1 (ko) 2014-12-09 2014-12-09 해전 보드게임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52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409B1 (ko) 2007-08-23 2009-01-07 (주) 이플레이온 바둑 규칙을 활용한 대전용 보드게임 도구 및 방법
KR101006297B1 (ko) 2009-04-08 2011-01-06 독립기념관 독립운동 보드게임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973A (ko) 201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ygax et al. dungeons & dragons
US8469361B2 (en) Role-playing game
US20150231489A1 (en) Strategy Game, Method and/or System
US73929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d game
US5251905A (en) Method for playing war game
US2414165A (en) Game piece
Weiss Classic home video games, 1972-1984: A complete reference guide
US8128092B2 (en) Game
Hough Dreadnought: a history of the modern battleship
US20080111306A1 (en) Draw for battle
US1591554A (en) Charles p
KR101809525B1 (ko) 해전 보드게임 도구
US2557583A (en) Game board for simulated naval games
US4125262A (en) Game with elastic tethered missiles
US20170296909A1 (en) Starship Chess
US7325804B2 (en) Game apparatus with an encapsulated figure
Hyde The wargaming compendium
KR100984292B1 (ko) 놀이판, 놀이말집합체 및 놀이장치
RU61146U1 (ru) Настольная игра "подводная лодка"
KR200409270Y1 (ko) 개량 장기 놀이판
US20170157501A1 (en) Chess-Like Board Game
Sandtner et al. ‘Competitors in the surf-riding contest’: battle as theme in the first three surf novels
US20040090002A1 (en) Tac of war
Hauser Immortals of State of Origin
Smith IN CHARAC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