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216B1 -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216B1
KR101809216B1 KR1020157028251A KR20157028251A KR101809216B1 KR 101809216 B1 KR101809216 B1 KR 101809216B1 KR 1020157028251 A KR1020157028251 A KR 1020157028251A KR 20157028251 A KR20157028251 A KR 20157028251A KR 101809216 B1 KR101809216 B1 KR 101809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witch
contact member
contac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8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1137A (ko
Inventor
그레고리 커티스 메리필드
로버트 린 라파운테인
Original Assignee
제네럴 이큅먼트 앤드 매뉴팩처링 컴패니, 아이엔씨., 디/비/에이 탑웍스,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네럴 이큅먼트 앤드 매뉴팩처링 컴패니, 아이엔씨., 디/비/에이 탑웍스,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제네럴 이큅먼트 앤드 매뉴팩처링 컴패니, 아이엔씨., 디/비/에이 탑웍스,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50131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73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actuated by relative movement between two 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0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 H01H36/0033Mountings; Housing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8Change of magnetic field wherein the magnet and switch are fixed, e.g. by shielding or relative movements of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2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actuated by movement of a float carrying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magnetically operated swi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158With indicator, register, recorder, alarm or inspection means
    • Y10T137/8225Position or extent of motion indicator
    • Y10T137/8242Electrical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는 하우징의 제1 단부까지 연장되지만 그것을 통해 연장되지 않는 보어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커넥터 조립체는 또한 보어 내에 배치되는 근접 스위치를 포함하고, 근접 스위치는 스위치 본체, 제1 접촉 부재, 및 제2 접촉 부재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접촉 부재들 각각의 일부는 스위치 본체로부터 하우징의 제2 단부를 향해 연장된다. 제1 스위치 위치에서, 변위가능 스위칭 조립체의 컨택트는 제1 접촉 부재와 접촉하고, 제2 스위치 위치에서, 컨택트는 제2 접촉 부재와 접촉한다. 커넥터 조립체는 또한 제1 접촉 부재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1 핀 및 제2 접촉 부재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2 핀을 포함하는 외측 연결 조립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QUICK DISCONNECT CONNECTOR ASSEMBLY}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근접 스위치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형 자기 촉발식 근접 스위치(magnetically-triggered proximity switch)를 위한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리밋 스위치들(limit swithes)로도 공지된 자기 근접 스위치들은 통상 위치 감지를 위해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자기 촉발식 근접 스위치들은 타겟과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것 없이 타겟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적응되는 센서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센서는 스위치 본체 내에 둘러싸여지는 스위칭 회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고, 스위칭 회로 메커니즘은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스프링들에 의해 제1 위치로 바이어싱되는 다수의 레버들 및 컨택트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하우징 내에 포함되는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타겟이 센서의 미리 결정된 범위 내를 통과할 때, 타겟 자석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 플럭스는 스위칭 회로 메커니즘을 촉발하며, 그것에 의해 정상 개방 회로를 폐쇄한다. 정상 개방 회로의 폐쇄는 프로세서에 의해 검출되고, 신호는 센서의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타겟의 존재를 표시하기 위해 조작자 또는 자동화 동작 시스템에 송신된다. 타겟은 전형적으로 밸브 스템과 같은, 시스템의 변위가능 요소에 고정되고, 센서는 전형적으로 밸브 본체와 같은, 시스템의 고정 요소에 고정된다. 그렇게 구성될 때, 센서는 변위가능 요소가 위치들을 변경했을 경우를 검출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센서는 센서를 보호하기 위해 내구성있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거나 고정된다. 커넥터 소켓 조립체는 센서 하우징에 (예를 들어 용접 작업에 의해) 결합되고 커넥터 소켓 조립체는 필드 측 커넥터를 포함한다. 그러나, 스위칭 회로 메커니즘을 둘러싸는데 필요한 센서의 비교적 큰 물리적 크기로 인해, 전형적인 센서 하우징들은 비교적 크고 제한된 자유 공간을 갖는 영역에 센서의 배치를 필요로 하는 응용들에 사용될 수 없다. 게다가, 전력을 센서에 제공하는 요구는 또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는 응용들을 제한한다.
비교적 작은 자기 촉발식 근접 스위치(및 대응적으로 더 작은 하우징)이 바람직할 수 있지만, 근접 스위치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능력은 수개의 인자들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교적 큰 부하 값들이 대략 5V의 프로그램가능 로직 컨트롤러(“PLC”) 레벨 부하들에 더하여 요구되면, 대응적으로 큰 컨택트들은 더 큰 부하들을 수용하는데 필요하고, 이러한 큰 컨택트들은 크기가 감소될 스위치의 능력을 제한한다. 추가적으로,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스위치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다수의 구성요소들이 있고, 비교적 복잡한 작동 조립체의 크기는 스위치의 최소 크기를 제한한다. 그러한 복잡한 작동 조립체는 또한 시간 및 비용을 근접 스위치의 제조에 추가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대표적인 양태에 따르면,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는 종방향 축을 따라 제1 단부로부터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단부로 연장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보어가 하우징의 제1 단부를 통해 연장되지 않도록 제2 단부로부터 제1 단부에 인접한 지점으로 연장되는 보어를 한정하기 위해 협력하는 하나 이상의 내측면들을 포함하고, 보어는 제1 보어부를 포함한다.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는 또한 제1 보어부 내에 배치되는 근접 스위치를 포함하고, 근접 스위치는 본체 종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스위치 본체를 포함한다. 스위치 본체는 하우징의 제1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단부 및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갖는다. 근접 스위치는 또한 제1 접촉 부재 및 제2 접촉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접촉 부재들 각각은 제1 단부 및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가지며, 제2 단부는 스위치 본체 내에 배치되고 제1 단부는 스위치 본체 외부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 접촉 부재들 각각의 일부는 스위치 본체의 제2 단부로부터 하우징의 제2 단부를 향해 연장된다. 제1 스위치 위치에서, 변위가능 스위칭 조립체의 컨택트는 제1 접촉 부재의 일부와 접촉하고, 제2 스위치 위치에서, 스위칭 조립체의 컨택트는 제2 접촉 부재의 일부와 접촉한다.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는 또한 제1 접촉 부재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1 핀 및 제2 접촉 부재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2 핀을 포함하는 외측 연결 조립체를 포함한다. 제1 핀 및 제2 핀 각각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핀 및 제2 핀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보어 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대표적인 양태에 따르면, 제어 밸브의 위치를 검출하는 시스템은 유입구, 유출구, 및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밸브 시트를 포함하는 밸브 하우징을 포함한다. 변위가능 밸브 부재는 밸브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밸브 부재는 밸브 부재가 밸브 시트와 밀봉적으로 결합하는 폐쇄 위치와 밸브 부재가 밸브 시트에서 떨어져서 위치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하다. 시스템은 밸브 부재에 결합되는 자기 타겟을 더 포함한다. 게다가, 시스템은 밸브 부재에 대해 고정되는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는 종방향 축을 따라 제1 단부로부터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단부로 연장되는 하우징을 갖는다. 하우징은 보어가 하우징의 제1 단부를 통해 연장되지 않도록 제2 단부로부터 제1 단부에 인접한 지점으로 연장되는 보어를 한정하기 위해 협력하는 하나 이상의 내측면들을 포함하고, 보어는 제1 보어부를 포함한다.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는 또한 제1 보어부 내에 배치되는 근접 스위치를 포함하고, 근접 스위치는 본체 종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스위치 본체를 포함한다. 스위치 본체는 하우징의 제1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단부 및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갖는다. 근접 스위치는 또한 제1 접촉 부재 및 제2 접촉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접촉 부재들 각각은 제1 단부 및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가지며, 제2 단부는 스위치 본체 내에 배치되고 제1 단부는 스위치 본체 외부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 접촉 부재들 각각의 일부는 스위치 본체의 제2 단부로부터 하우징의 제2 단부를 향해 연장된다. 제1 스위치 위치에서, 변위가능 스위칭 조립체의 컨택트는 제1 접촉 부재의 일부와 접촉하고, 제2 스위치 위치에서, 스위칭 조립체의 컨택트는 제2 접촉 부재의 일부와 접촉한다.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는 또한 제1 접촉 부재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1 핀 및 제2 접촉 부재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2 핀을 포함하는 외측 연결 조립체를 포함한다. 제1 핀 및 제2 핀 각각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핀 및 제2 핀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보어 내에 배치된다. 시스템은 제1 핀 및 제2 핀에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한다.
도 1a는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실시예의 등측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a의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의 하우징의 측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a의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의 근접 스위치에 대한 일 실시예의 상단 반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실시예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자기 촉발식 근접 스위치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자기 촉발식 근접 스위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자기 촉발식 근접 스위치의 일 실시예의 제1 본체 반부의 상면도이다.
도 7a는 자기 촉발식 근접 스위치의 일 실시예의 공통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자기 촉발식 근접 스위치의 일 실시예의 크로스 아암의 사시도이다.
도 8a는 제1 스위치 위치에서의 자기 촉발식 근접 스위치의 일 실시예의 반단면도이다.
도 8b는 제2 스위치 위치에서의 자기 촉발식 근접 스위치의 일 실시예의 반단면도이다.
도 9a는 제1 위치에서의 제어 밸브의 일 실시예이다.
도 9b는 제2 위치에서의 제어 밸브의 실시예이다.
도 10a는 자기 촉발식 근접 스위치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1a는 도 10a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1b는 도 10a의 실시예의 배면도이다.
도 12a는 제1 스위치 위치에서 자기 촉발식 근접 스위치를 예시하는 라인 I을 따라 취해된 도 11a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2b는 제2 스위치 위치에서 자기 촉발식 근접 스위치를 예시하는 라인 I을 따라 취해진 도 11a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10)는 종방향 축(14)을 따라 제1 단부(16)로부터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단부(18)로 연장되는 하우징(12)을 포함한다. 하우징(12)은 보어(22)가 하우징(12)의 제1 단부(16)를 통해 연장되지 않도록 제2 단부(18)로부터 제1 단부(16)에 인접한 지점으로 연장되는 보어(22)를 한정하기 위해 협력하는 하나 이상의 내측면들(20)을 포함하고, 보어(22)는 제1 보어부(24)을 포함한다.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10)는 또한 제1 보어부(24) 내에 배치되는 근접 스위치(26)를 포함한다. 근접 스위치(26)는 본체 종방향 축(30)을 따라 연장되는 스위치 본체(28)를 포함하고, 스위치 본체(28)는 하우징(12)의 제1 단부(16)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단부(32) 및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단부(34)를 갖는다. 근접 스위치(26)는 또한 제1 접촉 부재(36) 및 제2 접촉 부재(38)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접촉 부재들(36, 38) 각각은 제1 단부(42a, 42b) 및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단부(44a, 44b)를 갖는다. 제2 단부(44a, 44b)는 스위치 본체(28) 내에 배치되고 제1 단부(42a, 42b)는 스위치 본체(28) 외부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 접촉 부재들(36, 38) 각각의 일부는 스위치 본체의 제2 단부(34)로부터 하우징(12)의 제2 단부(18)를 향해 연장된다. 제1 스위치 위치(도 8a에 예시됨)에서, 변위가능 스위칭 조립체(47)의 컨택트(예컨대 공통 컨택트(45))는 제1 접촉 부재(36)의 일부와 접촉하고, 제2 스위치 위치(도 8b에 예시됨)에서, 스위칭 조립체(47)의 컨택트는 제2 접촉 부재(38)의 일부와 접촉한다.
도 1을 여전히 참조하면,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10)는 또한 제1 접촉 부재(36)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1 핀(48a) 및 제2 접촉 부재(38)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2 핀(48b)을 포함하는 외측 연결 조립체(46)를 포함한다. 제1 핀(48a) 및 제2 핀(48b) 각각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핀(48a) 및 제2 핀(48b)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은 보어(22) 내에 배치된다. 그렇게 구성되면,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10)는 근접 스위치(26)를 위한 별개의 하우징 사용을 제거하는 밀봉되고 용이하게 설치가능한 부품을 제공한다. 또한, 자기 촉발식 근접 스위치(26)는 하우징(12) 내에 영구적으로 배치되고(, 그것에 일체화됨), 근접 스위치(26)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이동 부분들을 사용하여, 근접 스위치(26)의 작은 크기 및 그 결과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10)를 허용한다. 또한, 근접 스위치는 제1 스위치 위치로부터 제2 스위치 위치로(및 반대로) 스위칭하기 위해 자기력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 전원이 필요하지 않다.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10)를 더 상세히 참조하면, 하우징(12)은 도 1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축(14)을 따라 제1 단부(16)로부터 제1 단부와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단부(18)로 연장된다. 하우징(12)은 제1 단부(16)와 제2 단부(18)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지점(50)을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12)은 제1 단부(16)로부터 중간 지점(50)로 연장되는 제1 외측부(52) 및 중간 지점(50)으로부터 제2 단부(18)로 연장되는 제2 외측부(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측부(52) 및 제2 외측부(54)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 또는 형상들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측부(52) 및 제2 외측부(54)는 각각 원통형일 수 있다(, 종방향 축을 따라 보았을 때 원형 단면 형상을 각각 가질 수 있음). 제2 외측부(54)의 직경(, 제1 외측부(52)의 원형 단면 형상의 직경)은 제1 외측부(52)의 직경(, 제1 외측부(52)의 원형 단면 형상의 직경)보다 더 커, 중간 지점(50)에 숄더부(56)를 형성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외측부(54)의 직경은 제1 외측부(52)의 직경 이하일 수도 있다. 제1 외측부(52)의 제1 외측면(57)의 일부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고, 나사선 형성부(58)는 하우징(12)의 제1 단부(16)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특히, 나사선 형성부(58)는 하우징(12)의 제1 단부(16)에서의 지점으로부터 하우징(12)의 제1 단부(16)와 숄더부(56) 사이의 중간 지점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단부면(60)은 하우징(12)의 제1 단부(16)에 배치될 수도 있고, 단부면(60)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 또는 형상들의 조합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부면(60)은 종방향 축(14)에 수직이거나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도 있고, 단부면(60)은 평면이거나 실질적으로 평면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단부면(60)은 원뿔형, 원뿔대형, 원형, 부분적인 테이퍼, 및/또는 부분적인 원형일 수도 있다.
도 1a 및 도 2를 여전히 참조하면, 하우징(12)은 보어(22)가 하우징(12)의 제1 단부(16)를 통해 연장되지 않도록 하우징(12)의 개방 제2 단부(18)로부터 하우징(12)의 폐쇄 제1 단부(16)에 인접한 지점으로 연장되는 보어(22)를 한정하기 위해 협력하는 하나 이상의 내측면들(20)을 포함한다. 보어(22)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 또는 형상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어(22)는 제1 보어부(24), 제2 보어부(62), 및 제3 보어부(64)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보어부(24)은 하우징(12)의 제1 단부(16)에 인접한 지점으로부터 하우징(12)의 제2 단부(18)를 향해 종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제1 보어부(24)은 하단 보어 표면(66) 및 제1 내측벽(68)에 의해 한정될 수도 있다. 하단 보어 표면(66)은 하우징(12)의 제1 단부(16)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하단 보어 표면(66)은 단부면(60)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오프셋될 수도 있다. 하단 보어 표면(66) 및 단부면(60)은 임의의 적절한 거리만큼 종방향으로 오프셋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단 보어 표면(66)과 단부면(60) 사이의 종방향 거리는 하우징(12)의 전체 세로 길이의 3%와 10% 사이일 수도 있다. 하단 보어 표면(66)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 또는 형상들의 조합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단 보어 표면(66)은 종방향 축(14)에 수직이거나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도 있고, 하단 보어 표면(66)은 편평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편평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하단 보어 표면(66)은 원뿔형, 원뿔대형, 원형, 부분적인 테이퍼, 및/또는 부분적인 원형일 수도 있다. 하단 보어 표면(66) 및 단부면은 구멍이 없을 수도 있으며―즉, 어떠한 구멍들 또는 통로들도 하단 보어 표면(66)과 단부면(60) 사이에서 연장되지 않는다.
도 1a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제1 내측벽(68)은 하우징(12)의 폐쇄된 제1 단부(16)에 인접한 지점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측벽(68)은 하단 보어 표면(66)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하우징(12)의 제2 단부(18)를 향해 상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제1 내측벽(68)은 원통 형상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 또는 형상들의 조합을 가질 수도 있다(, 종방향 축을 따라 보았을 때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짐). 대안적으로, 제1 내측벽(68)은 타원형, 다각형, 또는 부분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a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보어(22)는 제2 보어부(62)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2 보어부(62)는 제1 보어부(24)와 제3 보어부(6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어부(62)는 제1 내측벽(68)의 상단 단부(72)에 인접한 지점으로부터 하우징(12)의 중간 지점(50)에 인접한 지점으로 상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는 세로 제2 내측벽(70)에 의해 한정될 수도 있다. 제2 내측벽(70)은 원통 형상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 또는 형상들의 조합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내측벽(70)의 직경(, 제2 내측벽(70)의 원형 단면 형상의 직경)은 제1 내측벽(58)의 직경(, 제1 내측벽(58)의 원형 단면 형상의 직경)보다 더 커, 제1 내측벽(68)의 상단 단부(72)로부터 제2 내측벽(70)의 하단 단부(76)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숄더부(74)을 형성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제2 내측벽(70)의 직경은 제1 내측벽(58)의 직경 이하일 수도 있다. 원형 단면 형상 대신에, 제2 내측벽(70)은 예를 들어 타원형, 다각형, 및/또는 부분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a 및 도 2를 한 번 더 참조하면, 보어(22)는 제3 보어부(64)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3 보어부(64)는 하우징(12)의 제2 보어부(62)와 제2 단부(1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보어부(64)는 제2 내측벽(70)의 상단 단부(80)에 인접한 지점으로부터 하우징(12)의 제2 단부(18)로 상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는 세로 제3 내측벽(78)에 의해 한정될 수도 있다. 제3 내측벽(78)은 원통 형상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 또는 형상들의 조합을 가질 수도 있다. 제3 내측벽(78)의 직경(, 제3 내측벽(78)의 원형 단면 형상의 직경)은 제2 내측벽(70)의 직경(, 제2 내측벽(70)의 원형 단면 형상의 직경)보다 더 커 제2 내측벽(68)의 상단 단부(80)로부터 제3 내측벽(78)의 하단 단부(84)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숄더부(82)을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제3 내측벽(78)의 직경은 제2 내측벽(70)의 직경 이하일 수도 있다. 원형 단면 형상 대신에, 제3 내측벽(78)은 예를 들어 타원형, 다각형, 및/또는 부분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외측부(54)의 제2 외측면(92)의 일부 또는 제3 내측벽(78)의 일부는 하우징(12)의 제2 단부(18)가 표준 암 플러그(280)(도 9a 및 도 9b에 예시됨)와 접속하거나 그것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외측부(54)의 제2 외측면(92)의 일부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슬롯들(도시되지 않음)은 제2 외측면(92)을 통해 제3 내측벽(78)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슬롯들은 플러그(280)와 하우징(12)의 제2 단부(18) 사이에 베이오넷(bayonet) 연결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세로 편평면(93)(도 1b에 예시됨)은 제3 보어부(64) 내에 배치될 수도 있고, 편평면(93)은 플러그(280)와 하우징(12) 사이에서 상대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2)은 또한 제3 내측벽(78)의 상단 단부(88)로부터 하우징(12)의 제2 외측부(54)의 제2 외측면(92)의 상단 단부(90)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단부 벽(86)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부 벽(86)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 또는 형상들의 조합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부 벽(86)은 종방향 축(14)에 수직이거나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도 있고, 단부 벽(86)은 평면이거나 실질적으로 평면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부 벽(86)은 원뿔형, 원뿔대형, 원형, 부분적인 테이퍼, 및/또는 부분적인 원형일 수도 있다. 하우징(12)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비자기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재료는 하우징(12)이 고온 및/또는 저온 환경들에 노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고온 재료일 수도 있다. 하우징(12)은 단일의 일체부일 수도 있거나, 하우징(12)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고정되는 2개 이상의 부분들의 조립체일 수도 있다.
도 1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10)는 또한 근접 스위치(26)가 하우징(12)과 일체화되도록 하우징(12)의 제1 보어부(24) 내에 배치되는 근접 스위치(26)를 포함한다. 도 3a는 자기 촉발식 근접 스위치(10)의 스위치 본체(28)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스위치 본체(28)는 바람직하게는 원형 단면을 갖는 전반적인 원통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스위치 본체(28)는, 예를 들어 다각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스위치 본체(28)는 제1 본체 반부(28a) 및 제2 본체 반부(28b)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본체 반부(28b)가 제1 본체 반부(28a)와 동일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제1 본체 반부(28a)만이 예시된다. 제1 본체 반부(28a) 및 제2 본체 반부(28b) 각각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사출 성형과 같은, 종래의 공정들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플라스틱은 스위치 본체(28)가 종래의 플라스틱 재료들을 손상시킬 수도 있는 환경들에 노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고온 재료일 수도 있다. 제1 본체 반부(28a) 및 제2 본체 반부(28b)는 초음파 용접과 같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수개의 방법들 중 어느 것을 사용하거나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도 3b, 도 3c 및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일 스위치 본체(28)로 접합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스위치 본체(28)는 물 또는 먼지 입자들로부터 근접 스위치를 보호하기 위해 밀봉되게 시일될 수도 있다. 그러나, 스위치 본체(28)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본체(28)의 반원통형 제1 본체 반부(28a)는 스위치 본체(28)를 형성하기 위해 제2 본체 반부(28b)의 대응하는 접합면(도시되지 않음)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접합면(151)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본체 반부(28a)는 또한 반원통형 제2 자석 캐비티(154)를 포함하는 개방 제1 단부(32)를 포함하고, 제2 자석 캐비티(154)는 접합면(151)의 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본체 종방향 축(30)을 따라 내부로 연장될 수도 있다. 제2 자석 캐비티(154)는 디스크 형상 제2 자석(146) 및 제2 자석(146)에 결합되는 자석 베이스(160)를 포함하는, 도 4에 예시된, 검출기 자석 조립체(158)를 수용하도록 치수 지어질 수도 있고, 검출기 자석 조립체(158)는 본체 종방향 축(30)을 따라 제2 자석 캐비티(154) 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변위될 수도 있다.
반원통형 제1 자석 캐비티(162)는 또한 디스크 형상 제1 자석(114)의 종방향 축이 제1 본체 반부(28a)의 본체 종방향 축(30)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본체(28) 내에 고정 제1 자석(114)을 수용하고 고정하기 위해 제1 본체 반부(28a)에 형성될 수도 있다. 반원통 상부 아암 캐비티(164)는 제2 자석 캐비티(154)와 제1 자석 캐비티(162) 사이에서 본체 종방향 축(30)을 따라 연장될 수도 있고, 상부 아암 캐비티(164)는 피벗가능 크로스 아암(138)과 자석 베이스(160) 사이에서 연장되는 세장형 액츄에이터 아암(166)을 수용하도록 치수 지어질 수도 있으며, 액츄에이터 아암(166), 크로스 아암(138), 및 검출기 자석 조립체(158)는 스위칭 조립체(47)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한다. 전반적인 원통형 접촉 캐비티(168)는 공통 부재(116)의 제2 단부(44c, 제1 접촉 부재(36)(또한 일차 아암으로 칭해짐)의 제2 단부(44a), 제2 접촉 부재(38)(또한 이차 아암으로 칭해짐)의 제2 단부(44b), 크로스 아암(138), 및 액츄에이터 아암(66)의 제1 단부(117)를 수용하기 위해 제1 본체 반부(28a)에 형성될 수도 있다. 반원통 하부 아암 캐비티(170)는 제1 자석 캐비티(162)와 접촉 캐비티(168) 사이에서 본체 종방향 축(30)을 따라 연장될 수도 있고, 하부 아암 캐비티(170)는 액츄에이터 아암(166)을 수용하기 위해 사이징될 수 있다. 직사각형 공통 슬롯(172)은 공통 슬롯(172)이 제1 본체 반부(28a)의 배면(176)에 공통 천공(175)를 형성하도록 접촉 캐비티(168)로부터 제1 본체 반부(28a)의 제2 단부(34)로 본체 종방향 축(30)과 전반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공통 슬롯(172)은 공통 부재(116)의 제1 단부(42c)가 배면(176)에 형성되는 공통 천공(175)를 통해 연장되도록 공통 부재(116)를 수용하도록 치수 지어질 수도 있다. 직사각형 일차 슬롯(178)은 일차 슬롯(178)이 제1 본체 반부(28a)의 배면(76)에 일차 천공(180)를 형성하도록 접촉 캐비티(168)로부터 제1 본체 반부(28a)의 제2 단부(34)로 공통 슬롯(172)과 전반적으로 평행하고 이로부터 오프셋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일차 슬롯(178)은 일차 아암(36)의 제1 단부(42a)가 배면(176) 내의 일차 천공(180)를 통해 연장되도록 일차 아암(36)을 수용하도록 치수 지어질 수도 있다. 게다가, 직사각형 이차 슬롯(182)은 이차 슬롯(182)이 제1 본체 반부(28a)의 배면(176)에 이차 천공(184)를 형성하도록 접촉 캐비티(168)로부터 제1 본체 반부(28a)의 제2 단부(34)로 공통 슬롯(172) 및 일차 슬롯(178) 둘 다와 전반적으로 평행하고 둘 다로부터 오프셋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차 슬롯(182)은 이차 아암(32)의 제1 단부(42b)가 배면(176) 내의 이차 천공(184)를 통해 연장되도록 이차 아암(32)을 수용하도록 치수 지어질 수도 있다.
위에서 논의되고 도 3a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근접 스위치(26)는 또한 스위치 본체(28)의 제1 본체 반부(28a) 및 제2 본체 반부(28b)의 제2 자석 캐비티(154) 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되는 검출기 자석 조립체(158)를 포함한다. 검출기 자석 조립체(158)는 형상이 원통형일 수 있는, 또한 검출기 자석으로 칭해지는, 제2 자석(146)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자석(146)은 디스크의 형상을 갖는다. 제2 자석(146)은 영구 자석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적절한 자석일 수도 있다. 검출기 자석 조립체(158)는 또한 평면 하단 부분(186) 및 하단 부분(186)에서 떨어져서 연장되는 주변 측면 벽(188)을 가질 수도 있는 자석 베이스(160)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단 부분(186) 및 측면 벽(188)은 제2 자석(146)의 편평면이 측면 벽(188)의 상단에 근접하고 제2 자석(146)의 외부 반경이 측면 벽(188)의 내부 반경보다 약간 더 작도록 제2 자석(146)을 수용하도록 치수 지어질 수도 있다. 자석 베이스(160)는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제2 자석(146)은 자기력에 의해 자석 베이스(16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자석 베이스(160)는 비자기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고, 제2 자석(146)은 자석 베이스(160)에 기계적으로 또는 접착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근접 스위치(26)는 또한 바이어스 자석으로 칭해지는, 제1 자석(114)을 더 포함한다. 제1 자석(114)은 형상이 원통형일 수도 있고, 디스크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자석(114)은 또한 제1 자석(114)의 중심 종방향 축을 따라 형성되는 천공(190)을 가질 수도 있고, 천공(190)은 액츄에이터 아암(166)을 수용하도록 치수 지어질 수도 있다. 제1 자석(114)은 제1 본체 반부(28a) 및 제2 본체 반부(28b)가 스위치 본체(28)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접합될 때 제1 자석(114)이 변위할 수 없도록 스위치 본체(28)의 제1 자석 캐비티(162)로 수용될 수도 있다. 제1 자석(114)은 제2 자석(146)과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지만, 제1 자석(114)의 반경 및 두께 각각은 제2 자석(146)의 반경 및 두께보다 각각 더 작을 수도 있다. 제1 자석(114)은 제2 자석(146)이 제1 자석(114)을 향해 끌어당겨지도록 제1 자석 캐비티(162)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즉, 제2 자석(146)의 N극이 스위치 본체(28)의 제2 단부(34)를 향하면, 제1 자석(114)의 S극은 제2 자석(146)의 N극을 향하여 배치된다. 반대로, 제2 자석(146)의 S극이 스위치 본체(28)의 제2 단부(34)를 향하면, 제1 자석(114)의 N극은 제2 자석(146)의 S극을 향하여 배치된다.
도 3a, 도 4, 및 도 7a를 참조하면, 근접 스위치(26)는 또한 공통 부재(116)를 포함하며, 이는 제1 스위치 위치에 의해 형성되는 회로 및 제2 스위치 위치에 의해 형성되는 회로의 공통 부품이다. 공통 부재(116)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과 같은, 전도성 금속의 좁은 스트립일 수 있고, 공통 부재(116)는 스탬핑 공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위에 논의된 바와 같이, 공통 부재(116)의 제2 단부(44c)는 공통 부재(116)가 스위치 본체(28)에 형성되는 공통 슬롯(172)을 통해 연장되고, 제1 단부(42c)가 공통 천공(175)를 통해 스위치 본체(28) 외부의 위치로 돌출하도록 접촉 캐비티(168) 내에 배치된다. 공통 부재(116)는 공통 슬롯(172) 내에 위치될 수도 있으며 공통 부재(116)의 그러한 종방향 축은 스위치 본체(28)의 본체 종방향 축(30)에 평행한 한편, 횡방향에서, 공통 부재(116)는 제1 본체 반부(28a)의 접합면(151)을 통과하는 평면에 수직이다. 공통 부재(116)의 후면(19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슬롯(172)의 제1 벽(192)과 접촉할 수도 있으며, 제1 벽(192)은 공통 부재(116)와 종방향으로 정렬되고 접합면(151)의 평면에 수직이다. 공통 슬롯(172) 내에 배치되는 공통 부재(116)의 일부는 만곡될 수도 있고, 만곡 부분(194)의 상단 표면은 공통 슬롯(172)을 형성하는 제2 벽(196)과 접촉할 수도 있으며, 제2 벽(196)은 제1 벽(192)으로부터 오프셋되고 이와 평행하다. 만곡 부분(194)의 상단 표면과 공통 부재(116)의 후면(191) 사이의 횡방향 거리는 공통 슬롯(172)의 제1 벽(192)과 제2 벽(196)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기 때문에, 공통 슬롯(172) 내에 공통 부재(116)를 고정하는 억지 끼워맞춤이 제공된다. 공통 부재(116)의 하단 표면(198)은 제1 본체 반부(28a)의 공통 슬롯(172)을 형성하는 제3 벽(200)과 접촉할 수도 있으며, 제3 벽(200)은 제1 벽(192) 및 제2 벽(196)에 수직이고, 공통 부재(116)의 상단 표면(202)은 제1 본체 반부(28a) 및 제2 본체 반부(28b)가 스위치 본체(28)로 조립될 때 제2 본체 반부(28b)의 대응하는 공통 슬롯(172)의 제4 벽(도시되지 않음)과 접촉할 수도 있다. 공통 슬롯(172)의 제3 벽(200)은 접촉 캐비티(168)의 하단 표면(198)보다 접합면(151)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더 가깝기 때문에, 갭은 공통 부재(116)의 하단 표면(201)과 제1 본체 반부(28a)의 접촉 캐비티(168)의 하단 표면(201) 사이에 존재한다. 유사하게, 갭은 공통 부재(116)의 상단 표면(202)과 제2 본체 반부(28b)의 접촉 캐비티(168)의 상단 표면(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존재한다. 공통 부재(116)는 또한 제2 단부(44c)에 근접한 공통 부재(116)의 폭에 걸쳐 연장되는 가로 슬롯(204)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4를 참조하면, 근접 스위치(26)는 또한 제1 접촉 부재(36)(또한 일차 아암으로 칭해짐)를 포함한다. 일차 아암(36)은 공통 부재(116)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고, 일차 아암(36)은 공통 부재(116)가 공통 슬롯(172)과 결합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일차 슬롯(178)과 결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일차 아암(36)의 만곡 부분(206)은 일차 슬롯(178) 내에서 일차 아암(36)을 유지하기 위해 일차 슬롯(178) 내에 억지 끼워맞춤을 제공한다. 게다가, 일차 아암(36)의 제1 단부(42a)는 접합면(151)에 수직으로 보여질 때, 일차 아암(36)의 제1 단부(42a)가 공통 부재(116)의 제1 단부(42c)와 평행하도록 스위치 본체(28)의 배면(176)에 형성되는 일차 천공(180)로부터 연장된다. 일차 아암(36)은 또한 일차 아암(36)의 제2 단부(44a)에 배치되는 일차 컨택트(128)를 포함한다. 일차 컨택트(128)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과 같은, 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일차 컨택트(128)는 납땜 또는 기계적 체결과 같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일차 아암(36)에 고정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일차 컨택트(128)는 일차 아암(36)의 제2 단부(44a)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차 컨택트(128)는 접촉 캐비티(168)를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제1 캐비티 벽(208)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근접 스위치(26)는 제2 접촉 부재(38)(또한 이차 아암으로 칭해짐)를 포함한다. 이차 아암(38)은 공통 부재(116)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고, 이차 아암(38)은 공통 부재(116)가 공통 슬롯(172)과 결합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차 슬롯(182)과 결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차 아암(38)은 일차 슬롯(178)에서 일차 아암(36)과 “미러 이미지” 관계로 이차 슬롯(182)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 이차 아암(138)의 만곡 부분(210)의 상단 표면은 일차 아암(36)의 만곡 부분(206)의 상단 표면을 향할 수도 있다. 구성된 바와 같이, 이차 아암(38)의 제1 단부(42b)는 접합면(151)에 수직으로 보여질 때, 이차 아암(38)의 제1 단부(42b)가 일차 아암(36)의 제1 단부(42a) 및 공통 부재(116)의 제1 단부(42c) 둘 다와 평행하도록 스위치 본체(28)의 배면(176)에 형성되는 이차 천공(184)로부터 연장된다. 이차 아암(38)은 또한 이차 아암(38)의 제2 단부(44b)에 배치되는 이차 컨택트(136)를 포함한다. 일차 컨택트(128)와 유사하게, 이차 컨택트(136)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과 같은, 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이차 컨택트(136)는 납땜 또는 기계적 체결과 같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이차 아암(38)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차 컨택트(136)는 이차 아암(38)의 제2 단부(44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차 컨택트(136)는 제1 캐비티 벽(208)으로부터 오프셋되고 그것과 평행한 접촉 캐비티(168)의 제2 캐비티 벽(212)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a, 도 4, 및 도 7b를 참조하면, 근접 스위치(26)는 또한 변위가능 스위칭 조립체(47)의 일부인 크로스 아암(138)을 포함한다. 크로스 아암(38)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과 같은, 전도성 금속의 좁은 스트립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공통 부재(116)는 스탬핑 공정 및 후속 굽힘 공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크로스 아암(138)의 제2 단부(142)는 공통 컨택트(45)를 포함할 수도 있다. 공통 컨택트(45)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과 같은, 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공통 컨택트(45)는 납땜 또는 기계적 체결과 같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크로스 아암(138)에 고정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공통 컨택트(45)는 크로스 아암(138)의 제2 단부(14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크로스 아암(138)의 제1 단부(140)는 단부 루프(214)를 포함할 수도 있고, 단부 루프(214)의 일부는 크로스 아암(138)이 공통 부재(116)와의 접촉을 유지하는 동안 공통 부재(116)의 제2 단부(44c) 주위에서 회전할 수도 있도록 공통 부재(116)의 가로 슬롯(204)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크로스 아암(138)은 제1 스위치 위치와 제2 스위치 위치 사이의 공통 부재(116)의 제2 단부(44c) 주위에서 회전가능할 수도 있다. 도 8a에 도시된 제1 스위치 위치에서, 크로스 아암(138)의 공통 컨택트(45)는 일차 아암(36)의 일차 컨택트(128)와 접촉하며, 그것에 의해 공통 부재(116)와 일차 아암(36) 사이에서 회로를 완성한다. 도 8b에 도시된 제2 스위치 위치에서, 크로스 아암(138)의 공통 컨택트(45)는 이차 아암(38)의 이차 컨택트(136)와 접촉하며, 그것에 의해 공통 부재(116)와 이차 아암(38) 사이에서 회로를 완성한다.
도 3a, 도 4, 및 도 7b를 다시 참조하면, 근접 스위치(26)는 또한 변위가능 스위칭 조립체(47)의 일부인 액츄에이터 아암(166)을 포함한다. 액츄에이터 아암(166)은 제1 단부(117) 및 제1 단부(117)에 대향하는 제2 단부(218)를 갖는 세장형 실린더일 수도 있다. 실린더 대신에, 액츄에이터 아암(166)은 정사각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것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단면 형상 또는 형상들의 조합을 가질 수도 있다. 액츄에이터 아암(166)은 플라스틱 재료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액츄에이터 아암(166)은 스위치 본체(28)의 상부 아암 캐비티(164) 및 하부 아암 캐비티(170)에서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고, 상부 아암 캐비티(164) 및 하부 아암 캐비티(170) 각각은 액츄에이터 아암(166)의 외부 직경보다 약간 더 큰 내부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 액츄에이터 아암(166)은 또한 제1 자석(114)이 제1 자석 캐비티(162) 내에 배치될 때 제1 자석(114) 내의 천공(190)를 통해 연장될 수도 있다. 액츄에이터 아암(166)의 제1 단부(117)는 홈(220)을 포함할 수도 있고, 홈(220)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아암(166)을 크로스 아암(138)에 고정하기 위해 크로스 아암(138)의 천공을 한정하는 에지 부분(222)을 수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제1 단부(117)는 예를 들어 기계적 체결과 같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크로스 아암(138)에 결합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 아암(166)의 제2 단부(218)는 크로스 아암(138)에 제1 단부(117)를 결합시키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검출기 자석 조립체(158)의 자석 베이스(16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작동 시, 제1 자석(114)은 제2 자석(146)을 끌어당기는 자기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인력은 제1 자석(114)을 향해 검출기 자석 조립체(158)를 변위시켜, 스위치 본체(28)의 제2 단부(34)를 향해 액츄에이터 아암(166)을 변위시킨다. 액츄에이터 아암(166)의 변위는 공통 컨택트(45)가 일차 컨택트(128)와 접촉하도록 공통 부재(116)의 제2 단부(44c) 주위에서 크로스 아암(138)을 회전시킨다. 도 8a에 도시된 이러한 제1 스위치 위치에서, 회로는 일차 아암(36)과 공통 부재(116) 사이에서 완성된다(, 일차 아암(36)은 공통 부재(116)에 전기적으로 결합됨). 따라서, 제1 스위치 위치에서 기인하는 폐쇄 회로는 공통 부재(116)의 제1 단부(42c)에 (외측 연결 조립체(46)의 제3 핀(48c)을 통해) 그리고 일차 아암(36)의 제1 단부(42a)에 (외측 연결 조립체(46)의 제1 핀(48a)을 통해)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그러나, 영구 자석 또는 철 금속을 포함할 수 있는 자기 타겟(224)이 하우징(12) 내에 배치되는 근접 스위치(26)의 미리 결정된 범위 내의 위치로 이동될 때, 타겟(224)과 제2 자석(146) 사이의 자기력은 제2 자석(146)과 제1 자석(114) 사이의 자기력보다 더 클 수도 있다. 더 큰 힘은 타겟(224)을 향해 그리고 제1 자석(114)에서 떨어져서 검출기 자석 조립체(158)를 변위시키며, 그것에 의해 검출기 자석 조립체(158)의 자석 베이스(160)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액츄에이터 아암(166)을 변위시킨다. 액츄에이터 아암(166)이 변위됨에 따라, 크로스 아암(138)은 일차 컨택트(128)와의 접촉으로부터 그리고 이차 컨택트(136)와의 접촉으로 공통 컨택트(45)를 이동시키기 위해 공통 부재(116)의 제2 단부(44c) 주위에서 회전된다. 도 8b에 도시된 이러한 제2 스위치 위치에서, 회로는 이차 아암(38)과 공통 부재(116) 사이에서 완성된다(, 이차 아암(38)은 공통 부재(116)에 전기적으로 결합됨).
따라서, 제2 스위치 위치에서 기인하는 폐쇄 회로는 공통 부재(116)의 제1 단부(42c)에 (외측 연결 조립체(46)의 제3 핀(48c)을 통해) 그리고 이차 아암(38)의 제1 단부(42b)에 (외측 연결 조립체(46)의 제2 핀(48b)을 통해)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타겟(224)이 하우징(12) 내에 배치되는 근접 스위치(26)의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더 이상 있지 않을 때, 제1 자석(114)과 제2 자석(146) 사이의 자기력은 제2 자석(146)과 타겟(224) 사이의 자기력보다 더 커지고, 근접 스위치(26)는 상술된 방식으로 제1 위치로 이동된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는 타겟(224)과 제2 자석(146) 사이의 자기력이 타겟(224)과 제2 자석(146)의 상대 크기 및 타겟(224)과 제2 자석(146) 사이의 거리와 같은, 수 개의 인자들에 의존할 수 있고, 이러한 변수들이 근접 스위치(26)와 타겟(224) 사이에 최적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2 자석(146)과 제1 자석(114) 사이의 자기력이 또한 조정될 수 있다.
근접 스위치의 추가 실시형태들이 또한 고려된다. 예를 들어, 자기 촉발식 근접 스위치(300)의 일 실시형태는 도 10a 내지 도 12b에 예시된다. 도 10a, 도 10b, 도 11b,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근접 스위치(300)는 본체 종방향 축(304)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 스위치 본체(302)(2개의 스위치 본체 반부들(302a, 302b)로 구성됨)를 포함하고, 스위치 본체(302)는 하우징(12)의 제1 단부(16)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단부(306) 및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단부(308)를 갖는다. 원통형 슬리브(309)는 스위치 본체(302)를 둘러쌀 수도 있고, 슬리브(309)는 스위치 본체(302)의 제1 단부(306)에 인접한 폐쇄 단부 및 스위치 본체(302)의 제2 단부(308)에 인접한 개방 단부를 가질 수도 있다. 근접 스위치(300)는 제1 단부(312) 및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단부(314)를 갖는 세장형 제1 접촉 부재(310)를 포함한다. 제2 단부(314)는 스위치 본체(302) 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제1 단부(312)는 스위치 본체(302)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제1 접촉 부재(310)의 일부는 스위치 본체(302)의 제2 단부(308)로부터 하우징(12)의 제2 단부(18)를 향해 연장될 수도 있다. 근접 스위치(300)는 또한 제1 단부(318) 및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단부(320)를 갖는 세장형 제2 접촉 부재(316)를 포함한다. 제2 단부(320)는 스위치 본체(302) 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제1 단부(318)는 스위치 본체(302)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제2 접촉 부재(310)의 일부는 스위치 본체(302)의 제2 단부(308)로부터 하우징(12)의 제2 단부(18)를 향해 연장될 수도 있다.
도 10a, 도 10b, 도 11b, 도 12a 및 도 12b를 여전히 참조하면, 근접 스위치(300)는 제1 단부(324) 및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단부(326)를 갖는 세장형 제3 접촉 부재(322)를 더 포함한다. 제2 단부(326)는 스위치 본체(302) 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제1 단부(324)는 스위치 본체(302)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제3 접촉 부재(322)의 일부는 스위치 본체(302)의 제2 단부(308)로부터 하우징(12)의 제2 단부(18)를 향해 연장될 수도 있다. 제1 접촉 부재(310) 및 제3 접촉 부재(322)는, 제1 접촉 부재(310) 및 제3 접촉 부재(322) 각각의 제2 단부(314, 326)가 스위치 본체(302)의 단부면(328)로부터 동일한 제1 종방향 거리에서 연장되도록 정렬될 수도 있다.
근접 스위치(300)는 제1 단부(332) 및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단부(334)를 갖는 세장형 제4 접촉 부재(330)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제2 단부(334)는 스위치 본체(302) 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제1 단부(332)는 스위치 본체(302)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제4 접촉 부재(330)의 일부는 스위치 본체(302)의 제2 단부(308)로부터 하우징(12)의 제2 단부(18)를 향해 연장될 수도 있다. 제2 접촉 부재(316) 및 제4 접촉 부재(330)는 제2 접촉 부재(316) 및 제4 접촉 부재(330) 각각의 제2 단부(320, 334)가 스위치 본체(302)의 단부면(328)으로부터 동일한 제2 종방향 거리에서 연장되도록 정렬될 수 있고, 이러한 제2 종방향 거리는 제1 종방향 거리보다 더 클 수도 있다.
도 10a,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근접 스위치(300)는 또한 스위치 본체(302)에 형성되는 제1 캐비티(338) 내에 배치될 수도 있는 고정 제1 자석(336)을 포함할 수도 있고, 고정 제1 자석(336)은 디스크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접촉 부재들(310, 316, 322, 330) 각각의 제2 단부들(314, 320, 326, 334)은 스위치 본체(302)에 형성되는 세장형 원통형 제2 캐비티(340)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근접 스위치(300)는 또한 제2 캐비티(340) 내에서 종방향으로 변위될 수도 있는 구형의 변위가능한 제2 자석(344)을 포함하는 변위가능 스위칭 조립체(34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스위치 위치(도 12a에 예시됨)에서, 변위가능 제2 자석(344)은 제1 접촉 부재(310)의 일부와 접촉한다. 더 구체적으로, 변위가능 제2 자석(344)은 제1 접촉 부재(310)를 제3 접촉 부재(322)에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제1 접촉 부재(310)의 제2 단부(314)의 일부 및 제3 접촉 부재(322)의 제2 단부(326)의 일부와 접촉할 고정 제1 자석(336)에 의해 바이어싱된다. 따라서, 제1 스위치 위치에서 기인하는 폐쇄 회로는 제1 접촉 부재(310)의 제1 단부(312)에 (외측 연결 조립체(46)의 제1 핀(48a)을 통해) 그리고 제3 접촉 부재(322)의 제1 단부(324)에 (외측 연결 조립체(46)의 제3 핀(48c)을 통해)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도 1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영구 자석 또는 철 금속을 포함할 수 있는 자기 타겟(224)이 하우징(12) 내에 배치되는 근접 스위치(300)의 미리 결정된 범위 내의 위치로 이동될 때, 타겟(224)과 제2 자석(344) 사이의 자기력은 제2 자석(344)과 제1 자석(336) 사이의 자기력보다 더 클 수도 있다. 더 큰 힘은 타겟(224)을 향해 그리고 제1 자석(344)에서 떨어져서 그리고 제2 스위치 위치(도 12b에 예시됨)로 제2 자석(344)을 변위시킨다. 제2 스위치 위치에서, 변위가능 제2 자석(344)은 제2 접촉 부재(316)의 일부와 접촉한다. 더 구체적으로, 변위가능 제2 자석(344)은 제2 접촉 부재(316)를 제4 접촉 부재(330)에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제2 접촉 부재(316)의 제2 단부(320)의 일부 및 제4 접촉 부재(330)의 제2 단부(334)의 일부와 접촉한다. 따라서, 제2 스위치 위치에서 기인하는 폐쇄 회로는 제2 접촉 부재(316)의 제1 단부(318)에 (외측 연결 조립체(46)의 제2 핀(48b)을 통해) 및 제4 접촉 부재(330)의 제1 단부(332)에 (외측 연결 조립체(46)의 제4 핀(48d)을 통해)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자기 촉발식 근접 스위치(26, 300)의 개시된 실시예들이 통합된 구성을 갖는 비교적 작은 스위치 본체를 허여하는 점을 인식할 것이며, 이는 근접 스위치(26, 300)가 전기 졍션 박스들에서와 같이, 제한된 공간 요건들에서의 응용들에 사용되는 것을 또한 허여한다. 또한, 전형적인 근접 스위치들과 다르게, 근접 스위치(26, 300)의 개시된 실시형태들은 외부 전원이 기능할 필요가 없어 장착을 단순화하고 근접 스위치(26, 300)의 동작 수명을 연장한다는 점이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분명하다.
도 1a, 도 1b, 및 도 1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10)는 또한 외측 연결 조립체(46)를 포함하고, 외측 연결 조립체(46) 및 하우징(12)의 제2 단부(18)는 더 상세히 설명될 플러그(280)를 제거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수 소켓을 형성하기 위해 협력한다. 외측 연결 조립체(46)는 복수의 핀들(48)을 포함하고, 복수의 핀들(48)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보어(22)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 외측 연결 조립체(46)는 제1 접촉 부재(일차 아암(36))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1 핀(48a) 및 제2 접촉 부재(이차 아암(38))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2 핀(48b)을 포함한다. 외측 연결 조립체(46)는 또한 공통 부재(1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핀(48c)을 포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외측 연결 조립체(46)는 예를 들어 전력을 제공하거나 접지의 역할을 하기 위해 근접 스위치(26)의 원하는 특징들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추가 핀들, 예컨대 제4 핀(48d)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핀들(48) 각각은 예를 들어 근접 스위치(26)가 제1 스위치 위치 또는 제2 스위치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컨트롤러 및/또는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표준 암 플러그(280)(도 9a 및 도 9b에 예시됨)의 대응하는 슬롯들 또는 리셉터클들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핀들(48) 각각은 보어(22) 내에 배치될 수도 있는 제1 절연체(250)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제1 절연체(250)는 제2 보어부(62) 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제1 절연체(250)의 측면 표면(252)은 제2 보어부(62)의 제2 내측벽(7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지만, 그것으로부터 약간 내측으로 오프셋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1 절연체(250)의 측면 표면(252)은 원통형일 수도 있고, 원통형 제2 내측벽(70)으로부터 약간 오프셋될 수도 있으며, 제1 절연체(250)의 종방향 축은 하우징(12)의 종방향 축(14)과 동축일 수도 있다. 제1 단부면(254)은 제1 절연체(250)의 제1 단부에서 제1 절연체(250)의 종방향 축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제1 단부면(254)은 편평할 수도 있다. 제2 단부면(256)은 제1 절연체(250)의 제2 단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제1 단부면(254)과 평행할 수도 있다. 제1 단부면(254)은 제2 보어부(62)의 상단 단부(80)에서 숄더부(82)을 포함하는 보어(22)의 방사상 표면과 정렬되거나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도 있다.
도 1a를 여전히 참조하면, 제2 단부면(256)은 제2 보어부(62) 내에 배치될 수 있는 제2 절연체(260)의 제1 단부면(258)에 바로 인접할 수도 있고(또는 이것으로부터 약간 오프셋됨), 제1 단부면(258)은 제2 절연체(260)의 제1 단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절연체(260)는 제1 절연체(250)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고, 제2 절연체(260)는 하우징(12)의 종방향 축(14)과 동축인 종방향 축을 가질 수도 있다. 편평한 제2 단부면(262)은 제2 절연체(260)의 제2 단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단부면(258)은 제2 단부면(262)과 평행할 수도 있다. 제2 단부면(262)은 제2 보어부(62)의 하단 단부(74)에서 숄더부(74)를 포함하는 보어(22)의 방사상 표면과 정렬되거나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도 있다. 갭은 제1 절연체(250)의 측면 표면(252) 및 제2 절연체(260)의 측면 표면(264) 및 제2 보어부(62)의 제2 내측벽(70) 각각 사이에 존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갭은 잔해 또는 다른 오염물들이 제1 및 제2 보어부들(24, 62)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재 또는 접착제로 충전될 수도 있다. 평면 단부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는 제1 절연체(250)의 제1 단부면(254)에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그것과 접촉할 수 있고, 단부 플레이트는 잔해 또는 다른 오염물들이 제1 및 제2 보어부들(24, 62)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12)의 숄더부(82) 또는 제3 내측벽(78)에 고정될 수도 있고, 복수의 핀들(48) 각각은 단부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또는 그것에 형성되는 천공들을 통해 연장)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절연체들(250, 260)이 도시되지만, 임의의 수의 절연체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게다가, 절연체들이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절연체들은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낮은 전기 전도도를 갖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전도성 통로들(266)(도 1a에 점선들로 표현됨)은 제1 및 제2 절연체들(250, 260) 각각을 통해 연장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도성 통로(266a)는 제1 접촉 부재(36)를 제1 핀(48a)에 연결할 수도 있고, 제2 전도성 통로(266b)는 제2 접촉 부재(38)를 제2 핀(48b)에 연결할 수도 있고, 제3 전도성 통로(266c)는 공통 부재(116)를 제3 핀(48c)에 연결할 수도 있다. 추가 전도성 통로들은 근접 스위치(26)의 추가 부분들을 제4 핀(48d)과 같은, 대응하는 핀들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될 수도 있다.
제1 전도성 통로(266a)의 제1 단부는 제1 접촉 부재(36)의 일부(, 제1 접촉 부재(36)의 제1 단부(42a)에 인접한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제1 전도성 통로(266a)의 제2 단부는 제1 접촉 부재(36)에서 비롯하는 전기 전류가 제1 핀(48a)에 전도되도록 제1 핀(48a)의 일부를 수용하도록(또는 그것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전도성 통로(266b)의 제1 단부는 제2 접촉 부재(38)의 일부(, 제2 접촉 부재(38)의 제1 단부(42b)에 인접한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제2 전도성 통로(266b)의 제2 단부는 제2 접촉 부재(38)에서 비롯하는 전기 전류가 제2 핀(48b)에 전도되도록 제2 핀(48b)의 일부를 수용하도록(또는 그것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3 전도성 통로(266c)의 제1 단부는 공통 부재(116)의 일부(, 공통 부재(116)의 제1 단부(42c)에 인접한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제3 전도성 통로(266c)의 제2 단부는 공통 부재(116)에서 기인하는 전기 전류가 제3 핀(48c)에 전도되도록 제3 핀(48c)의 일부를 수용하도록(또는 그것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전도성 통로들(266) 각각은 하나 이상의 전도성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임의의 적절한 전도성 재료 또는 재료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4 전도성 통로(도시되지 않음)의 제1 단부는 근접 스위치(26) 또는 하우징(12)의 원하는 부분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제4 전도성 통로의 제2 단부는 근접 스위치(26) 또는 하우징(12)의 원하는 부분에서 기인하는 전기 전류가 제4 핀(48d)에 전도되도록 제4 핀(48d)의 일부를 수용하도록(또는 그것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전도성 통로들(266) 각각은 대응하는 핀(48)에 그리고 제1 접촉 부재(36), 제2 접촉 부재(38), 및/또는 공통 부재(116)의 대응하는 것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수용 부재에 고정되는 리드 또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리드 또는 와이어는 (예를 들어, 납땜에 의해) 대응하는 핀(48)에 그리고 제1 접촉 부재(36), 제2 접촉 부재(38), 및/또는 공통 부재(116) 중 대응하는 것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복수의 핀들(48) 각각은 제1 절연체(250)의 제1 단부면(254)으로부터(또는 그것에 인접한 지점으로부터) 제3 보어부(64)의 제3 내측벽(78)의 상단 단부(88) 및 하단 단부(84) 사이의 지점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복수의 핀들(48)은 예를 들어 근접 스위치(26)가 제1 스위치 위치 또는 제2 스위치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컨트롤러 및/또는 프로세서에 결합되는 표준 플러그(280)(도 9a 및 도 9b에 예시됨)의 슬롯들 또는 리셉터클들에 대응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배열로 배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핀들(48)은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축(14)으로부터 같은 방사상 거리에서 90° 간격들로 배열될 수도 있다.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10)는 가혹하거나 극한 조건들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2)의 제2 단부(18)는 갭들이 제1 절연체(250)와 보어(22) 사이에 존재하지 않도록 시일링(예를 들어, 밀폐 밀봉)될 수도 있다. 그러한 시일은 제1 절연체(250)와 보어(22) 사이의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또는 제1 절연체(250)의 측면 표면(252)과 보어(22)의 일부, 예컨대 제2 내측벽(70) 사이에 밀봉재를 삽입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게다가, 이전에 논의된 평면 단부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캡 또는 플러그는 잔해 또는 다른 오염물들이 제1 및/또는 제2 보어부들(24, 62)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12)의 일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시일링되면,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10)는 위험한 환경들에서의 사용에 적절하고/하거나 영구적으로 잠수가능할 수도 있다. 게다가, 적절한 고온 재료들의 사용은 핵 응용들에서의 사용을 허용할 것이다.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되면,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10)는 제2 객체에 고정되는 타겟의 상대 이동을 검출하기 위해 제1 객체에 고정되는 위치 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10)는 상대 이동이 검출되어야 하는 다양한 응용에서, 예컨대 밸브 및 액츄에이터 응용들, 핵 응용들(, 연료봉의 위치를 결정함), 및 기계 응용들(, 크레인 위치를 결정함)에서 위치 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어 밸브(267)는 밸브 하우징(268)을 포함할 수도 있고, 밸브 하우징(268)은 유입구(270), 유출구(272), 및 유입구(270)와 유출구(272) 사이에 배치되는 밸브 시트(271)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닛(273)은 밸브 하우징(268)의 상단 부분에 고정될 수도 있다. 밸브 부재(276)는 밸브 스템(274)의 제1 단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밸브 스템(274)은 밸브 하우징(268) 또는 보닛(273)의 일부를 통해 연장되거나 그것에 의해 둘러싸여질 수도 있다. 밸브 스템(274) 및 밸브 부재(276)는 프로세스 유체가 유입구(270)로부터 유출구(272)로 흐르는 제1 위치(도 9a에 예시된 개방 위치)로부터 밸브 부재(276)가 프로세스 유체가 유입구(270)로부터 유출구(272)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위치(도 9b에 예시된 폐쇄 위치)로 액츄에이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종방향으로 변위될 수도 있다.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10)는 나사선 형성부(58)가 밸브 하우징(268)에 형성되는 스레드 보어와 결합하도록 하우징(12)을 회전시킴으로써 밸브 하우징(268)의 일부(예컨대 밸브 스템(274)을 둘러싸는 밸브 하우징(268)의 일부, 또는 밸브 하우징(268)에 고정되는 브래킷)에 고정될 수도 있다. 그와 같이, 하우징(12)의 종방향 축(14)은 밸브 스템(224)의 종방향 축 및 하우징(12)의 제1 단부(16)에 수직일 수도 있다. 게다가, 자기 타겟(224)은 밸브 스템(274)에 고정될 수도 있다. 플러그(280)는 이전에 설명된 방식으로 하우징(12)의 제2 단부(18)에 고정될 수도 있고, 플러그(28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라인들(284)에 의해 프로세서(282)에 작동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제어 밸브(267)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타겟(224)은 하우징(12) 내에 배치되는 근접 스위치(26)의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있지 않다. 따라서, 근접 스위치(26)의 제1 자석(114)과 제2 자석(146) 사이의 자기력은 제2 자석(146)과 타겟(224) 사이의 자기력보다 더 크고, 근접 스위치(26)는 제1 스위치 위치(도 8a에 예시됨)에 있다. 따라서, 회로는 일차 아암(36)과 공통 부재(116) 사이에서 완성되고, 제1 스위치 위치에서 기인하는 폐쇄 회로는 공통 부재(116)의 제1 단부(42c)에 (외측 연결 조립체(46)의 제3 핀(48c)을 통해) 그리고 일차 아암(36)의 제1 단부(42a)에 (외측 연결 조립체(46)의 제1 핀(48a)을 통해)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282)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 밸브(267)가 (예를 들어 비상 정지 조건으로 인해) 제2 위치에 있을 때, 자기 타겟(224)은 하우징(12) 내에 배치되는 근접 스위치(26)의 미리 결정된 범위 내의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타겟(224)과 제2 자석(146) 사이의 자기력은 제2 자석(146)과 제1 자석(114) 사이의 자기력보다 더 크게 된다. 더 큰 힘은 스위칭 조립체(47)의 크로스 아암(138)을 제2 스위치 위치(도 8b에 도시됨)로 변위시킨다. 제2 스위치 위치에서 기인하는 폐쇄 회로는 공통 부재(116)의 제1 단부(42c)에 (외측 연결 조립체(46)의 제3 핀(48c)을 통해) 그리고 이차 아암(38)의 제1 단부(42b)에 (외측 연결 조립체(46)의 제2 핀(48b)을 통해)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282)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10)는 종래의 센서 조립체들에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켜, 근접 스위치(26)에 대한 개별 하우징의 제거를 허용한다. 게다가, 근접 스위치(26)는 또한 자기 작동식 변위가능 스위칭 조립체(47)를 포함할 수 있고, 그러한 메커니즘은 근접 스위치(12)의 크기의 전체 감소를 허용하여, 근접 스위치(26)를 포함하는 하우징(12)의 크기의 감소를 더 허용한다.
변형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여전히 있는 근접 스위치(26)의 개시된 실시예들에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단극/단투 구성 대신에, 쌍극/쌍투 구성이 또한 고려된다. 게다가, LEDS는 근접 스위치가 제1 스위치 위치 또는 제2 스위치 위치에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하우징에 포함될 수 있다.

Claims (20)

  1.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로서,
    종방향 축을 따라 하우징의 제1 단부로부터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하우징의 제2 단부로 연장되는 하우징으로서, 보어가 상기 하우징의 제1 단부를 통해 연장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의 제2 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제1 단부에 인접한 지점으로 연장되는 상기 보어를 한정하기 위해 협력하는 하나 이상의 내측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보어가 제1 보어부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
    상기 제1 보어부 내에 배치되는 근접 스위치로서,
    상기 하우징의 제1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스위치 본체의 제1 단부 및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스위치 본체의 제2 단부를 갖는, 본체 종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스위치 본체; 및
    제1 접촉 부재 및 제2 접촉 부재로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부재들 각각은 제1 접촉 부재 및 제2 접촉 부재의 제1 단부 및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제1 접촉 부재 및 제2 접촉 부재의 제2 단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촉 부재 및 제2 접촉 부재의 제2 단부는 상기 스위치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접촉 부재 및 제2 접촉 부재의 제1 단부는 상기 스위치 본체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부재들 각각의 일부는 상기 스위치 본체의 제2 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제2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상기 제1 접촉 부재 및 상기 제2 접촉 부재를 포함하며;
    제1 스위치 위치에서, 변위가능 스위칭 조립체의 컨택트는 상기 제1 접촉 부재의 일부와 접촉하고, 제2 스위치 위치에서, 상기 스위칭 조립체의 컨택트는 상기 제2 접촉 부재의 일부와 접촉하는, 상기 근접 스위치; 및
    상기 제1 접촉 부재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1 핀 및 상기 제2 접촉 부재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2 핀을 포함하는 외측 연결 조립체로서, 상기 제1 핀 및 상기 제2 핀 각각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핀 및 상기 제2 핀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보어 내에 배치되는 상기 외측 연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연결 조립체 및 상기 하우징의 제2 단부는 수 소켓을 형성하기 위해 협력하며 상기 제1 핀 및 상기 제2 핀 각각은 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의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되는 표준 암 플러그에 대응하는 슬롯들 또는 리셉터클들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접 스위치는 제1 단부 및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갖는 공통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통 부재의 제2 단부는 상기 스위치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공통 부재의 제1 단부는 상기 스위치 본체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통 부재의 일부는 상기 스위치 본체의 제2 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제2 단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1 스위치 위치에서 상기 제1 접촉 부재는 상기 공통 부재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 스위치 위치에서 상기 제2 접촉 부재는 상기 공통 부재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접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본체 내에 배치되는 고정 제1 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조립체는 변위가능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석에 작용하는 자기 타겟은 상기 스위칭 조립체가 상기 제1 스위치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스위치 위치로 이동되게 하는,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조립체는 공통 아암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변위가능 제2 자석에 고정 결합되는 크로스 아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변위가능 제2 자석에 작용하는 자기 타겟은 상기 크로스 아암이 상기 스위칭 조립체를 상기 제1 스위치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스위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피벗되게 하는,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변위가능 제2 자석은 구 형상을 갖는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위치에서 상기 변위가능 제2 자석은 상기 제1 접촉 부재 및 제3 접촉 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제2 스위치 위치에서 상기 변위가능 제2 자석은 상기 제2 접촉 부재 및 제4 접촉 부재와 접촉하는,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종방향 축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제1 단부와 상기 하우징 의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지점을 포함하는,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중간 지점으로 연장되는 제1 외측부 및 상기 중간 지점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제2 단부로 연장되는 제2 외측부를 포함하는,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부는 원통형이고 상기 제2 외측부는 원통형이며, 상기 제2 외측부의 직경은 상기 제1 외측부의 직경보다 더 큰,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종방향 축은 상기 본체 종방향 축과 동축으로 정렬되는,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
  12. 제어 밸브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유입구, 유출구, 및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밸브 시트를 포함하는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변위가능 밸브 부재로서, 상기 밸브 부재가 상기 밸브 시트와 밀봉적으로 결합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밸브 부재가 상기 밸브 시트에서 떨어져서 위치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한 상기 변위가능 밸브 부재;
    상기 밸브 부재에 결합되는 자기 타겟;
    상기 밸브 부재에 대해 고정되는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로서,
    종방향 축을 따라 하우징의 제1 단부로부터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하우징의 제2 단부로 연장되는 하우징으로서, 보어가 상기 하우징의 제1 단부를 통해 연장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의 제2 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제1 단부에 인접한 지점으로 연장되는 보어를 한정하기 위해 협력하는 하나 이상의 내측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보어가 제1 보어부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
    상기 제1 보어부 내에 배치되는 근접 스위치로서,
    상기 하우징의 제1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스위치 본체의 제1 단부 및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스위치 본체의 제2 단부를 갖는, 본체 종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스위치 본체; 및
    제1 접촉 부재 및 제2 접촉 부재로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부재들 각각은 제1 및 제2 접촉 부재들의 제1 단부 및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접촉 부재들의 제2 단부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부재들의 제2 단부는 상기 스위치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부재들의 제1 단부는 상기 스위치 본체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부재들 각각의 일부는 상기 스위치 본체의 제2 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제2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상기 제1 접촉 부재 및 제2 접촉 부재를 포함하며;
    제1 스위치 위치에서 변위가능 스위칭 조립체의 컨택트는 상기 제1 접촉 부재의 일부와 접촉하고, 제2 스위치 위치에서 상기 변위가능 스위칭 조립체의 컨택트는 상기 제2 접촉 부재의 일부와 접촉하는, 상기 근접 스위치; 및
    상기 제1 접촉 부재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1 핀 및 상기 제2 접촉 부재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2 핀을 포함하는 외측 연결 조립체로서, 상기 제1 핀 및 상기 제2 핀 각각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핀 및 상기 제2 핀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보어 내에 배치되는 상기 외측 연결 조립체를 포함하는, 상기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 및
    상기 외측 연결 조립체 및 상기 하우징의 제2 단부는 수 소켓을 형성하기 위해 협력하며 상기 제1 핀 및 상기 제2 핀 각각은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표준 암 플러그에 대응하는 슬롯들 또는 리셉터클들에 수용되도록 상기 제1 핀 및 상기 제2 핀에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상기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제1 단부를 갖는 밸브 스템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밸브 스템의 제1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자기 타겟은 밸브 스템에 결합되는, 시스템.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밸브 하우징에 결합되는, 시스템.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근접 스위치는 제1 단부 및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갖는 공통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통 부재의 제2 단부는 상기 스위치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공통 부재의 제1 단부는 상기 스위치 본체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통 부재의 일부는 상기 스위치 본체의 제2 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제2 단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1 스위치 위치에서 상기 제1 접촉 부재는 상기 공통 부재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 스위치 위치에서 상기 제2 접촉 부재는 상기 공통 부재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근접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본체 내에 배치되는 고정 제1 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조립체는 변위가능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변위가능 제2 자석에 작용하는 자기 타겟은 상기 스위칭 조립체가 상기 제1 스위치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스위치 위치로 이동되게 하는,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조립체는 공통 아암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변위가능 제2 자석에 고정 결합되는 크로스 아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변위가능 제2 자석에 작용하는 자기 타겟은 상기 크로스 아암이 상기 스위칭 조립체를 상기 제1 스위치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스위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피벗되게 하는, 시스템.
  18. 청구항 12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제1 단부로부터 중간 지점으로 연장되는 제1 외측부 및 상기 중간 지점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제2 단부로 연장되는 제2 외측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부는 원통형이고 상기 제2 외측부는 원통형이며, 상기 제2 외측부의 직경은 상기 제1 외측부의 직경보다 더 큰, 시스템.
  20.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종방향 축은 상기 본체 종방향 축과 동축으로 정렬되는, 시스템.
KR1020157028251A 2013-03-13 2014-03-14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 KR1018092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02,150 2013-03-13
US13/802,150 US9202650B2 (en) 2013-03-13 2013-03-13 Quick disconnect connector assembly
PCT/US2014/027857 WO2014160527A1 (en) 2013-03-13 2014-03-14 Quick disconnect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137A KR20150131137A (ko) 2015-11-24
KR101809216B1 true KR101809216B1 (ko) 2017-12-14

Family

ID=50639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8251A KR101809216B1 (ko) 2013-03-13 2014-03-14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202650B2 (ko)
EP (1) EP2973886B1 (ko)
KR (1) KR101809216B1 (ko)
CN (2) CN203839281U (ko)
AR (1) AR095274A1 (ko)
BR (1) BR112015020608A2 (ko)
MX (1) MX2015011827A (ko)
RU (1) RU2015139299A (ko)
WO (1) WO20141605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2650B2 (en) * 2013-03-13 2015-12-01 General Equipment And Manufacturing Company, Inc. Quick disconnect connector assembly
EP3222046A1 (en) 2014-11-18 2017-09-27 Caavo, Inc. Seamless setup and control for home entertainment devices and content
US20160141810A1 (en) * 2014-11-18 2016-05-19 Branch Media Labs, Inc. Automatic detection of a power status of a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schemes based thereon
US20170038241A1 (en) * 2015-08-07 2017-02-09 Rayotek Scientific, Inc. Ring Clamp Level Sensor and Method of Use
US10701284B2 (en) 2017-02-10 2020-06-30 Caavo Inc Determining state signatures for consumer electronic devices coupled to an audio/video switch
CN107859670B (zh) * 2017-10-27 2019-08-13 温州米田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油缸用的接近开关
GB2593575B (en) * 2020-01-24 2022-12-14 General Equipment And Mfg Company Inc D/B/A Topworx Inc High temperature switch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06224A1 (en) * 2010-06-11 2012-08-16 General Equipment And Manufacturing Company, Inc.,D/B/A Topworx, Inc. Magnetically-Triggered Proximity Switch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99938A (en) * 1944-06-17 1946-05-07 Alfred W Pett Control apparatus
US3251961A (en) * 1964-06-22 1966-05-17 Wintriss George Reed switch assembly with prongs
US4071725A (en) 1976-02-27 1978-01-31 Ibec Industries, Inc. Proximity switch for fluid cylinders
US4117431A (en) * 1977-06-13 1978-09-26 General Equipment & Manufacturing Co., Inc. Magnetic proximity device
US4109988A (en) * 1977-07-15 1978-08-29 Olson Ernest E Duplex outlet device
US4674338A (en) * 1984-12-31 1987-06-23 Lake Charles Instruments, Inc. Flow volume detection device
US4837539A (en) * 1987-12-08 1989-06-06 Cameron Iron Works Usa, Inc. Magnetic sensing proximity detector
US5554049A (en) * 1993-08-19 1996-09-10 Woodhead Industries, Inc. Inline indicating interconnect
US6127910A (en) 1998-06-05 2000-10-03 Topworx, Inc. Hermetically sealed proximity switch
US6538542B2 (en) * 2001-01-25 2003-03-25 Sagami Electric Co., Ltd. Magnetic sensor switch
DE102007013292A1 (de) * 2007-03-16 2008-09-18 Magcode Ag Magnetische Schaltvorrichtung
US7489217B2 (en) * 2007-04-24 2009-02-10 Rohrig Iii Vincent W Magnetic proximity sensor
US8036837B2 (en) * 2008-02-29 2011-10-11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Llc Diagnostic method for detecting control valve component failure
US8312892B2 (en) * 2009-07-02 2012-11-20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Ll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failure mode of a pneumatic control valve assembly
JP5986073B2 (ja) * 2010-06-11 2016-09-06 ジェネラル エキップメント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ュアリング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ィー/ビー/エー トップワー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General Equipment And Manufacturing Company, Inc., D/B/A Topworx, Inc. 磁気トリガー型近接スイッチ
US9202650B2 (en) * 2013-03-13 2015-12-01 General Equipment And Manufacturing Company, Inc. Quick disconnect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06224A1 (en) * 2010-06-11 2012-08-16 General Equipment And Manufacturing Company, Inc.,D/B/A Topworx, Inc. Magnetically-Triggered Proximity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02650B2 (en) 2015-12-01
EP2973886A1 (en) 2016-01-20
CN104078274A (zh) 2014-10-01
US20140261794A1 (en) 2014-09-18
AR095274A1 (es) 2015-09-30
CN203839281U (zh) 2014-09-17
MX2015011827A (es) 2016-01-25
BR112015020608A2 (pt) 2017-07-18
WO2014160527A1 (en) 2014-10-02
RU2015139299A (ru) 2017-04-19
WO2014160527A8 (en) 2014-11-20
EP2973886B1 (en) 2023-10-18
KR20150131137A (ko)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216B1 (ko) 신속 연결분리 커넥터 조립체
US20120206224A1 (en) Magnetically-Triggered Proximity Switch
US10396646B2 (en) Micro value comprising an electrodynamic actuator having stationary magnet arrangement and a moveable air-core coil
EP2580771B1 (en) Magnetically-triggered proximity switch
JP5644657B2 (ja) 車載用電気機器のシールカバー
JP2009205912A (ja) コネクタ
EP2812905B1 (en) Magnetically-triggered proximity switch
KR20140119002A (ko) 근접 스위치
EP3118878B1 (en)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000333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nclosed proximity switch assembly
CA2899978A1 (en) Quick disconnect connector assembly
CN105116163B (zh) 速度传感器
EP2637186B1 (en) A tap selector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tap selector
JP6953419B2 (ja) 磁気トリガー式近接スイッチのための作動アセンブリ、及びその組立方法
JP4458062B2 (ja) 電磁開閉装置
CN107665794B (zh) 一种磁触发接近开关及其组装方法
CN105277117A (zh) 位置检测装置
JP2014203786A (ja) 接点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磁リ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