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287B1 - 영상감시시스템의 원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감시시스템의 원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287B1
KR101808287B1 KR1020170053925A KR20170053925A KR101808287B1 KR 101808287 B1 KR101808287 B1 KR 101808287B1 KR 1020170053925 A KR1020170053925 A KR 1020170053925A KR 20170053925 A KR20170053925 A KR 20170053925A KR 101808287 B1 KR101808287 B1 KR 101808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data
surveillance system
input
video surveil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연테크
Priority to KR1020170053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2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감시시스템의 원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NVR/DVR을 포함한 영상감시시스템을 원격에서 제어하여, 상기 영상감시시스템에서 모니터링하는 영상데이터 및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함에 있어서, 원격에서 마치 상기 NVR/DVR에 직접 접속하여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영상감시시스템의 원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상감시시스템의 원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A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VIDEO SURVEILLANCE SYSTEMS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감시시스템의 원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NVR(Network Video Recorder)/DVR(Digital Video Recorder)을 포함한 영상감시시스템을 원격에서 제어하여, 상기 영상감시시스템에서 모니터링하는 영상데이터 및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함에 있어서, 원격에서 마치 상기 NVR/DVR에 직접 접속하여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영상감시시스템의 원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과 이를 이용한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대부분의 영상감시시스템이 인터넷을 포함한 통신망에 접속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복수의 영상감시시스템들을 원격에서 관제하는 관제시스템의 필요성도 한층 증가된 상태이다.
영상관제시스템은 영상관리시스템(Video Management System. VMS)과 중앙관리시스템(Central Management System, CMS)의 기능을 통합한 것으로, VMS/CMS라고도 하며, 상기 영상관제시스템은 수백 혹은 수천 개의 카메라를 관리하는 영상감시시스템(NVR, DVR)을 원격지에서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서 NVR/DVR의 원격관리는 원격지에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NVR/DVR의 실시간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NVR/DVR에 저장된 영상을 원격지에서 재생하거나 설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은 DVR/NVR의 녹화, 재생, 모니터링과 같은 전반적인 운용을 위해서 필요한 모든 설정을 포함한다.
그런데, 원격에서 고화질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하고자 할 경우, NVR/DVR에 등록된 영상 채널별로 스트림을 갖고 와서 디코딩한 다음 디스플레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고성능의 프로세서와 대용량의 캐시를 보유한 컴퓨팅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특히 UHD급 영상의 경우 고성능 컴퓨팅 장치를 사용하더라도 지연과 끊어짐이 발생한다. 특히 네트워크의 지연이 가중되면 이러한 장애는 더욱 가중된다.
또한 NVR/DVR의 제조사가 저마다 달라 각기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VMS/CMS에서 이들을 모두 지원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 따라서 축소된 기능만 지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다양한 제조사의 NVR/DVR을 동시에 지원하는데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NVR/DVR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압축하여 전송하고 상기 NVR/DVR의 제어권을 VMS/CMS에서 지원하는 기술을 제시하여, 로컬 모니터를 통해 VMS/CMS에서 NVR/DVR을 핸들링하는 것과 같이 상기 VMS/CMS를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1085862호(2011.11.23.)는 여러 지역(또는 장소)에 분산 설치된 복수의 디지털 영상 감시장치(DVR)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시켜 통합 관리 운영함으로써, 자신의 DVR을 통해 원격지의 타 DVR의 촬영영상까지 통합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영상 감시장치의 통합 감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자신의 DVR을 통해 원격지의 타 DVR의 촬영영상까지 통합적으로 감시, 검색, 그리고 백업할 수 있어 편리하며, 여러 대의 DVR 각각에 대해 원격지의 운영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통합 관리 운영상 비용이 상승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DVR을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시켜 통합 관리 운영하는 점에서 본 발명의 영상관제시스템에서 NVR/DVR을 포함한 영상감시시스템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구성과 일부 유사성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원격지에 위치한 영상관제시스템에서 마치 영상감시시스템에 직접 접속하여 로컬 모니터를 보면서 직접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선행기술의 자신의 DVR을 통해 원격지의 타 DVR의 촬영영상까지 통합적으로 감시, 검색, 백업하는 기술적 구성과는 차이점이 분명하다.
특히, 본 발명의 영상관제시스템에서 영상감시시스템으로부터 각각의 채널별로 영상데이터를 전송받아 복원 및 디스플레이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지연과 화질저하를 방지하고, 다양한 제조사의 영상감시시스템들에 대한 구성상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은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제시하지 못하는 본 발명만의 특징적 구성이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0833615호(2008.05.30.)는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DVR)를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 시점의 전후 영상 세트와 이벤트 발생 정보를 관제 센터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관제 센터에서는 상기 정보를 근거로 이벤트 발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대한 가입자를 관리하더라도 관리가 누락되는 상황 없이 이벤트 발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원격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방대한 가입자를 관리하더라도 이벤트 발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관리가 누락되는 상황 없이 모든 보안 영역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관제 센터에서 이벤트 발생 정보를 토대로 DVR의 구동을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영상관제시스템에서 NVR/DVR을 포함한 영상감시시스템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구성과 일부 유사성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영상관제시스템에서 로컬의 영상감시시스템에 직접 접속하여 로컬 모니터를 통해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선행기술의 이벤트 발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관제 센터에서 DVR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적 구성과는 전혀 다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언급한 각각의 선행기술들은 원격지의 관제 센터에서 DVR 장치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을 제시하고는 있으나, 영상관제시스템에서 영상감시시스템의 로컬 모니터를 바로 앞에서 보면서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구성과는 기술적 차이점이 분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NVR/DVR을 포함한 영상감시시스템을 원격에서 제어하여, 상기 영상감시시스템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함에 있어서, 원격에서 마치 상기 NVR/DVR에 직접 접속하여 로컬 모니터를 보면서 직접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하면서 운영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영상감시시스템의 원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접속된 NVR/DVR을 포함한 영상감시시스템의 로컬 제어를 위한 마우스와 키보드에 대한 제어를 원격지에서 확보하고, 상기 제어에 대한 결과를 모니터를 통해서 직접 인터랙티브하게 확인함에 있어서, 상기 영상감시시스템의 출력영상에 대한 해상도가 풀HD 혹은 UHD급으로 상향되어도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한 영상감시시스템의 원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30
또한, 본 발명은 영상관제시스템에서 복수의 영상감시시스템들에 대한 복수의 채널을 전송받아 디코딩하고 디스플레이 함으로서 발생하는 지연과 화질저하를 방지하고, 다양한 제조사의 영상감시시스템들에 대한 구성상의 차이점을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는 영상감시시스템의 원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감시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출력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모니터링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데이터를 압축하여 영상관제시스템에 제공하는 영상압축부; 및 상기 영상데이터와 관련한 입출력데이터(키보드, 마우스, 양방향 음성정보, 시리얼입출력 등을 포함)를 상기 영상관제시스템과 양방향 릴레이하는 입출력데이터 릴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감시시스템은, 상기 영상데이터와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하여 비트스트림을 송수신하는 비트스트림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어부는, 상기 비트스트림에서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추출하는 비트스트림 파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감시시스템은, NVR, DVR 또는 IP 카메라나 CCTV를 통한 영상녹화 및 감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하는 영상데이터는, HDMI, DVI, USB 또는 VGA를 포함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영상출력 인터페이스에서 추출된 영상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관제어댑터는, 영상감시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데이터를 압축하여 영상관제시스템에 제공하는 영상압축부; 및 상기 영상감시시스템과 상기 영상관제시스템 사이에서, 상기 영상데이터와 관련한 입출력데이터를 양방향 릴레이하는 입출력데이터 릴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관제어댑터는, 상기 영상데이터와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하여 비트스트림을 송수신하는 비트스트림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어부는, 상기 비트스트림에서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추출하는 비트스트림 파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관제어댑터는, HDMI, DVI, USB 또는 VGA를 포함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영상출력 인터페이스에서 추출된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한 비트스트림을 이더넷패킷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관제시스템은, 영상감시시스템에서 출력하는 영상데이터를 압축 및 부호화하여 제공된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원하는 영상복원부; 및 상기 복원한 영상데이터와 관련한 입출력데이터를 상기 영상감시시스템과 양방향 릴레이하는 입출력데이터 릴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관제시스템은, 상기 압축된 영상데이터와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하여 비트스트림을 송수신하는 비트스트림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어부는, 상기 비트스트림에서 상기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추출하는 비트스트림 파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관제방법은, 영상감시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출력하거나, 영상감시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받은 모니터링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데이터를 압축하여 영상관제시스템에 제공하는 영상압축단계; 및 상기 영상데이터와 관련한 입출력데이터를 상기 영상관제시스템과 양방향 릴레이하는 입출력데이터 릴레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관제방법은, 상기 영상데이터와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하여 비트스트림을 송수신하는 비트스트림 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어단계는, 상기 비트스트림에서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추출하는 비트스트림 파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관제방법은, 영상감시시스템에서 출력하는 영상데이터를 압축 및 부호화하여 제공된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영상관제시스템에서 수신하여 복원하는 영상복원단계; 및 상기 복원한 영상데이터와 관련한 입출력데이터를 상기 영상감시시스템과 양방향 릴레이하는 입출력데이터 릴레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관제방법은, 상기 압축된 영상데이터와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하여 비트스트림을 송수신하는 비트스트림 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어단계는, 상기 비트스트림에서 상기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추출하는 비트스트림 파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감시시스템의 원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영상관제시스템에서 NVR/DVR을 포함한 영상감시시스템에 접속하여 로컬 모니터를 보면서 제어하기 때문에 관리자가 마치 영상감시시스템에 직접 접속하여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영상관제시스템에서 영상감시시스템의 출력영상에 대한 해상도가 풀HD 혹은 UHD급으로 상향되어도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영상관제시스템에서 복수의 영상감시시스템들에 대한 복수의 채널을 전송받아 디코딩하고 디스플레이할 때 발생하는 지연과 화질저하를 방지하고, 다양한 제조사의 영상감시시스템들에 대한 구성 차이를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영상관제시스템에서 하나의 영상감시시스템을 하나의 채널로 관리하고, 채널 선택을 통해 해당 영상감시시스템의 제어권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영상감시시스템 연결이 손쉽고, 이에 따라 수백, 수천의 채널을 원격지에서 쉽게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영상감시시스템의 원격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감시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관제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관제어댑터의 동작개념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관제어댑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감시시스템의 원격관제 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영상감시시스템의 원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비디오, 영상과 관련한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음성, 음향, 센서 데이터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카메라에서 촬영된 비디오(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할 때, 음성이나 음향 데이터도 추가로 압축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온도, 습도, 날씨, 위치, 환경(미세먼지)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측정 데이터가 함께 부호화되어 전송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영상이나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부가적으로 음성, 음향, 측정 데이터를 포함한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개념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영상감시시스템의 원격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격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영상감시시스템(100)과 영상관제시스템(2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에는 로컬 데이터베이스(300)와 로컬 모니터(400)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에는 데이터베이스(500)와 관제 모니터(600)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은 NVR, DVR 또는 IP 카메라나 CCTV를 통한 영상녹화 및 감시장치인 것으로서, 특정 감시지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 카메라, CCTV, 센서, 마이크 등의 각종 감시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부호화(encoding)하여 로컬 데이터베이스(300)에 채널, 감시장치 종류, 시간, 장소 등을 구분하여 저장, 관리하며, 해당 지역의 감시 담당자가 장소, 시간 등을 입력하면 로컬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해당 영상데이터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복호화(decoding)한 후 로컬 모니터(400)를 통해 재생(playback)한다.
이때 로컬 모니터(400)에는 감시 담당자가 설정한 각 채널(예를 들어, 2ㅧ2, 3ㅧ3, 4ㅧ4 등의 설정에 따라 하나의 모니터 상에 표시되는 화면)별로 로컬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영상데이터가 표시되는데, 상기 영상데이터는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에서 로컬 모니터(400)에서 지원하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VGA(Video Graphic Array) 등을 포함한 다양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영상출력 인터페이스에 따라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 형태로 복호화하여 출력되는 데이터이다.
또한,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은 감시 담당자가 요청하는 특정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로컬 데이터베이스(300)에서 추출하여 복호화한 후 로컬 모니터(400)로 출력하는 방식 이외에, IP 카메라, CCTV, 센서, 마이크 등의 감시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그대로 로컬 모니터(400)로 출력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영상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이때 영상감시시스템(100)에서는 감시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압축되어 입력되는 데이터는 복호화 작업을 처리하여 출력한다.
한편,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은 원격지에 위치한 영상관제시스템(200)의 원격제어에 의해 로컬 모니터(400)로 출력되는 각 채널별 영상데이터를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으로 출력하거나, 기기 내부의 환경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핵심 사항으로서, 원격제어 관리자가 영상관제시스템(200)을 통해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에서 저장, 관리중인 특정 장소, 시점, 채널별 영상데이터를 원격지에서 마치 로컬 모니터(400)를 바로 앞에서 보면서 운영하는 것과 같이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의 기능을 제어하며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영상데이터 이외에 음성데이터를 함께 처리하거나 또는 음성데이터를 별개로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원격지에 위치한 영상관제시스템(200)에서 특정 영상감시시스템(100)에 각각의 채널별로 등록되어 있는 영상데이터의 스트림을 가지고 와서 복호화하여 재생하기 위해서는 고성능의 프로세서와 대용량의 캐시를 보유한 장비가 필요하므로 시스템 구현비용을 많이 소요되었음은 물론, FHD(Full HD) 이상의 UHD(Ultra HD)급 영상의 경우 고성능의 장비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지연과 끊어짐이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영상감시시스템(100)의 제조사마다 각기 다른 GUI, API를 사용하기 때문에 영상관제시스템(200)에서 축소된 기능을 제공하는 등 모든 제조사의 제품을 동시에 지원하지 못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은 로컬 모니터(400)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영상데이터를 하드웨어적으로 압축하고,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비트스트림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관제시스템(200)에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에서 각각의 채널별 영상데이터를 전송받아 복호화하여 재생할 때 지연 및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에서 기 저장되어 있는 특정 영상데이터를 각각의 채널별로 구분하여 별도로 압축한 후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영상관제시스템(200)에 제공하였던 종래의 방식과 달리, 로컬 모니터(400)로 출력되는 HDMI 등의 아날로그 및 디지털 영상출력 인터페이스에 의한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영상데이터 출력 측에 구비된 하드웨어 구성을 통해 압축하여 영상관제시스템(200)에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량을 크게 줄이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영상관제시스템(200)을 운용하는 관리자는 고성능의 프로세서나 대용량의 캐시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에서 제공되는 영상데이터의 지연이나 끊김 현상을 방지하면서, 원격에서 로컬 모니터(400)를 보면서 직접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하면서 운영하는 것과 동일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원격 제어에 대한 결과를 로컬 모니터(400)를 직접 보는 것과 같이 인터액티브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의 출력영상에 대한 해상도가 FHD 혹은 UHD급으로 상향되어도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은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과 상기 영상데이터를 제외한 입출력데이터를 양방향 릴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입출력데이터는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에서 관리자가 입력하는 영상감시시스템(100)의 로컬 제어를 위한 키보드, 마우스 등의 키입력 신호, 키입력 신호에 대한 응답 및 제어결과,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의 구동 및 환경설정을 위한 제어신호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은 로컬 데이터베이스(300)에 기저장된 영상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로컬 모니터(400)로 출력하는 영상을 하드웨어적으로 압축한 영상데이터와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다중화한 비트스트림을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으로 송신하며,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되는 비트스트림에서 입출력데이터를 추출한다.
한편,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영상감시시스템(100)과 통신 접속을 수행하며, 원격지에서 상기 복수의 영상감시시스템(100)을 현장에서 직접 모니터링하는 것과 같은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은 하나의 영상감시시스템(100)을 한 개의 채널로 관리하며, 모니터링이 필요한 특정 채널을 선택하여 해당 영상감시시스템(100)의 제어권을 가지고 원격에서 모니터링을 진행한다.
즉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은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 각각의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출력데이터의 제어권을 확보하고, 상기 입출력데이터의 제어권을 토대로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에서 로컬 모니터(400)로 출력되는 영상 및 음성을 원격지에서 마치 로컬에 위치한 것과 같이 그대로 모니터링 함으로써, 최소한의 영상 및 음성, 일부 명령 제어만으로 원격관리를 수행하였던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은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의 제어권을 확보하기 위한 마우스, 키보드 등의 동작제어신호를 다중화한 비트스트림을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으로 송신하며,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되는 비트스트림에서 로컬 모니터(400)로 출력되는 영상을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추출한 후, 추출된 영상데이터를 복원하여 재생한다.
도 2는 도 1의 영상감시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영상관제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부(110), 신호 처리부(120), 데이터 인터페이스부(130), 제어모듈(140), 영상 압축부(150), 입출력데이터 릴레이부(160), 비트스트림 제어부(170), 통신 인터페이스부(180) 등으로 구성된다.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의 구동 및 제어를 위한 플레이, 정지, 빨리감기/되감기, 설정(예를 들어, 기기 환경설정, 로컬 모니터(400)에 표시할 감시대상영역의 채널 수 설정 등), 취소 등을 포함한 각종 동작버튼은 물론,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조그셔틀, 터치패드 스피커, 마이크, 제스처 등의 각종 입출력장치를 조작하는 감시 담당자의 입출력신호를 제어모듈(14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동작버튼이나 입력장치는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장치(터치스크린 포함)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로컬 모니터(400)의 화면에 표시되며, 감시 담당자의 조작에 의한 입력신호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110)에서 확인하여 제어모듈(140)로 전달한다.
신호 처리부(120)는 감시대상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IP 카메라, CCTV, 센서, 마이크 등의 각종 감시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감시현장의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수신하여 신호처리를 수행하고, 신호처리된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제어모듈(140)의 제어를 토대로 데이터 인터페이스부(13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IP 카메라로부터는 압축된 영상데이터가 입력되므로 상기 신호 처리부(120)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그대로 로컬 데이터베이스(300)에 출력하면 된다. IP 카메라는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압축한 다음 IP패킷을 변환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IP카메라로부터 입력받은 영상데이터는 바로 로컬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하거나 IP패킷을 분리하여 압축된 영상데이터 스트림으로 저장하여도 된다. 그리고 센서, 마이크 등으로부터는 아날로그 데이터가 입력되므로 상기 신호 처리부(120)는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후 이를 로컬 데이터베이스(300)에서 지원하는 포맷으로 압축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인터페이스부(130)는 상기 신호 처리부(120)로부터 입력되는 감시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감시장치 종류, 시간, 장소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로컬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감시 담당자의 특정 장소, 시간에 대한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가 요청되면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어 있는 관련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추출하여 제어모듈(140)로 전달한다.
제어모듈(140)은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각종 감시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의 신호처리 및 로컬 데이터베이스(300) 저장을 제어하며,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특정 장소, 시점에서의 각 채널별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140)은 재생 처리부(142)와 영상데이터 출력부(14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재생 처리부(142)는 감시 담당자의 특정 장소, 시간에 대한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의 요청에 의해 데이터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압축된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영상데이터 출력부(144)를 통해 로컬 모니터(400)로 출력함으로써, 로컬 모니터(400)를 통해 감시 담당자가 원하는 영상 및 음성이 재생되도록 한다.
상기 영상데이터 출력부(144)는 상기 재생 처리부(142)에서 복호화된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로컬 모니터(400)에서 지원하는 HDMI, DVI, USB, VGA 등을 포함한 다양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영상출력 인터페이스에 따라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 형태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영상데이터 출력부(144)는 신호 처리부(120)에서 신호처리된 IP 카메라, CCTV, 센서, 마이크 등의 감시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그대로 상기 로컬 모니터(400)로 출력하여 감시 담당자가 실시간 모니터링 영상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40)은 영상관제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받은 입출력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의 구동 및 환경설정에 대한 제어권을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으로 제공하며,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에서의 구동제어에 따라 로컬 모니터(400)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의 하드웨어적인 압축 및 압축된 영상데이터의 영상관제시스템(200)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권을 제공한다는 의미는, 영상관제시스템(200)에서 영상감시시스템을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입출력 데이터(각종 동작버튼은 물론,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조그셔틀, 터치패드 스피커, 마이크, 제스처 등의 각종 입출력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입출력데이터를 말함)등을 영상감시시스템(100)에 전달하여, 영상감시시스템(100)의 로컬에 연결되어 있는 입출력장치 (예: 각종 동작버튼은 물론,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조그셔틀, 터치패드 스피커, 마이크, 제스처 등의 각종 입출력장치)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즉, 영상관제시스템(200)도 영상감시시스템(100)과 같은 정도의 제어권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영상감시시스템(100)과 영상관제시스템(200)에서 입출력장치의 조작결과는 선입선출의 개념이 적용되고, 영상감시시스템(100)과 영상관제시스템(200)에서 개별적으로 동시에 제어동작이 입력될 수 있고, 그 결과는 공통적으로 전달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영상감시시스템(100)은 영상감시시스템에 등록된 (IP)카메라의 채널별 스트림을 네트워크를 통해서 영상관제시스템(200)로 전송하면 영상관제시스템(200)에서 채널별 비트스트림을 복호화하고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감시시스템은 로컬 DB에 저장되어 있거나 IP카메라에서 제공된 채널별 압축 미디어 스트림을 제어모듈(140)의 제어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부(180)를 거쳐서 네트워크로 전송하며,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은 해당 채널별 미디어 스트림을 수신하여 DB(500)에 저장하거나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에 접속된 비디오 출력장치의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저장한 미디어 스트림이나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에서 전송되어온 미디어 스트림은 복호화된 다음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지정한 분할화면의 구성에 따라 출력된다.
영상 압축부(150)는 제어모듈(140)의 영상데이터 출력부(144)를 통해 상기 로컬 모니터(400)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하드웨어적으로 압축하고,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비트스트림 제어부(170)를 통해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영상 압축부(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에서 촬영되어 상기 로컬 모니터(400)로 출력되는 모니터링 영상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압축하고,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비트스트림 제어부(170)를 통해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영상압축은 실시간 전송을 위해서는 고압축이 필수적이고, 이를 위하여 H.264, H.265와 같은 표준을 사용하여 다양한 해상도(resolution),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로 압축을 수행하며, 그 이외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압축방식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입출력데이터 릴레이부(160)는 상기 영상 압축부(150)에서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으로 제공되는 영상데이터를 제외한 입출력데이터를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과 양방향 릴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비트스트림 제어부(170)는 상기 영상 압축부(150)에서 압축된 영상데이터와 상기 입출력데이터 릴레이부(160)에서 처리되는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다중화한 비트스트림을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으로부터 비트스트림을 전송받아 역다중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비트스트림 제어부(170)는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받은 비트스트림을 파싱(parsing)하여 입출력데이터를 추출하는 비트스트림 파싱부(17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트스트림 제어부(170)는 상기 영상 압축부(150)에서 수행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축된 영상데이터와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의 제어권을 부여받은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으로 출력되는 입출력데이터(예를 들어, 제어 결과 등)를 다중화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으로 비트스트림을 송신한다.
또한, 상기 비트스트림 제어부(170)는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으로부터 비트스트림을 수신하여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의 구동 및 환경설정을 위한 입출력데이터를 역다중화하고,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입출력데이터 릴레이부(16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영상 압축부(150), 입출력데이터 릴레이부(160) 및 비트스트림 제어부(170)는 하나의 하드웨어 모듈로 구현이 가능하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8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과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의 제어권에 대한 입출력데이터와 원격에서의 모니터링 및 관리를 위한 압축된 영상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한다.
한편,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부(210), 통신 인터페이스부(220), 비트스트림 제어부(230), 영상 복원부(240), 입출력데이터 릴레이부(250), 데이터 인터페이스부(260), 제어모듈(270) 등으로 구성된다.
유저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의 구동을 위한 각종 동작버튼과, 키보드, 마우스, 조그셔틀, 조이스틱, 터치패드 스피커, 마이크, 제스처 등의 각종 입출력장치를 조작하는 관리자의 입출력신호를 제어모듈(27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입력신호에는 상기 복수의 영상감시시스템(100)의 원격 제어권 설정 및 영상 모니터링을 위한 입출력데이터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동작버튼이나 입력장치는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장치(터치스크린 포함)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 관제 모니터(600)의 화면상에 표시되며, 관리자의 조작에 의한 입력신호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210)에서 확인하여 제어모듈(270)로 전달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영상감시시스템(100)과 해당 영상감시시스템(100)의 제어권에 대한 입출력데이터와 원격에서의 모니터링 및 관리를 위한 압축된 영상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한다.
비트스트림 제어부(230)는 상기 입출력데이터 릴레이부(250)에서 처리되는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다중화한 비트스트림을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으로부터 비트스트림을 전송받아 역다중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비트스트림 제어부(230)는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받은 비트스트림을 파싱하여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추출하는 비트스트림 파싱부(23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트스트림 제어부(230)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으로부터 비트스트림을 수신하여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압축된 영상데이터와 입출력데이터를 역다중화하고, 상기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영상 복원부(24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비트스트림 제어부(230)는 상기 입출력데이터 릴레이부(250)에서 수행한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의 원격 제어권 설정 및 영상 모니터링을 위한 입출력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으로 비트스트림을 송신한다.
영상 복원부(240)는 상기 비트스트림 제어부(230)에서 역다중화되어 출력되는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의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영상데이터를 제어모듈(270)을 통해 관제 모니터(600)로 출력되도록 한다.
입출력데이터 릴레이부(25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토대로 특정 영상감시시스템(100)의 원격 제어권 설정 및 영상 모니터링을 위한 입출력데이터를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과 양방향 릴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인터페이스부(260)는 원격관제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감시시스템(100)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 관리하고,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에서 사용하는 각종 동작프로그램 및 데이터의 데이터베이스(500) 저장, 관리를 수행하며, 복수의 영상감시시스템(100)의 원격 모니터링에 따라 변화하는 정보(예를 들어, 각 장비별 구동 환경설정 정보 등)를 데이터베이스(500)에 업데이트하도록 한다.
제어모듈(270)은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영상 복원부(240)에서 복호화된 영상데이터를 관제 모니터(600)를 통해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270)은 상기 영상 복원부(240)에서 복호화된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관제 모니터(400)에서 지원하는 HDMI, DVI, USB, VGA 등을 포함한 다양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영상출력 인터페이스에 따라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 형태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영상데이터 출력부(27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270)은 상기 입출력데이터 릴레이부(250)에서의 특정 영상감시시스템(100)의 원격 제어권 설정 및 영상 모니터링을 위한 입출력데이터의 영상감시시스템(100)으로의 전송을 제어하며, 원격관제가 수행된 복수의 영상감시시스템(100)에 대한 정보의 데이터베이스(500) 업데이트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영상감시시스템에 등록된 (IP)카메라의 채널별 스트림이 네트워크를 통해서 영상관제시스템(200)으로 전송되면,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에서 채널별 비트스트림을 저장하거나, 복호화하고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감시시스템에서 로컬 DB에 저장되어 있거나 IP카메라에서 제공된 채널별 압축 미디어 스트림을 제어모듈(140)의 제어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부(180)를 거쳐서 네트워크로 전송하면,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은 해당 채널별 미디어 스트림을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수신하여 제어모듈(270)의 제어에 따라 DB(500)에 저장하거나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에 접속된 비디오 출력장치의 화면으로 출력(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DB(500)에 저장된 미디어 스트림이나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영상감시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한 채널별 미디어 스트림은 복호화된 다음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지정한 분할화면의 구성에 따라 출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모듈(270)에는 채널별 미디어 스트림을 복호화(디코딩 및 압축해제)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관제어댑터가 영상감시시스템(100)의 외부에 구비되어 이더넷으로 영상관제시스템(200)과 연결되어 영상관제를 수행하는 개념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관제어댑터의 동작개념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 보듯이, 영상관제어댑터(100a)는 영상감시시스템(100)에서 HDMI, DVI, USB와 같은 다양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영상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압축한 다음 이더넷 패킷으로 변환하고 이더넷으로 전송함으로써, 영상관제시스템(200)에서 상기 전송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개념이다.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압축된 영상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데이터 스트림을 복원한 다음 관제 모니터(600)에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영상관제어댑터(100a)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은 원격제어 관리자가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에서 저장, 관리중인 특정 장소, 시점, 채널별 영상데이터를 원격지에서 마치 로컬 모니터(400)를 바로 앞에서 보면서 운영하는 것과 같이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의 기능을 제어하며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영상관제어댑터(100a)를 통해 해당 영상감시시스템(100)의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출력데이터의 제어권을 확보한다.
즉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은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의 제어권을 확보하기 위한 마우스, 키보드 등의 동작제어신호를 다중화한 비트스트림을 이더넷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영상관제어댑터(100a)로 송신하고, 상기 영상관제어댑터(100a)는 상기 이더넷 패킷에 포함된 비트스트림을 파싱하여 입출력데이터를 추출하며, 추출한 입출력데이터를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으로 전송하여 해당 제어명령에 의해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의 제어권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의 제어권을 확보한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에서 해당 영상감시시스템(100)에 등록되어 있는 영상데이터 또는 모니터링 영상을 원격지에서 확인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수행하면, 영상관제어댑터(100a)는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으로부터 HDMI, DVI, USB 등의 다양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영상출력인터페이스에 의한 영상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관제어댑터(100a)는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한 영상데이터를 압축하고, 압축한 영상데이터를 다중화한 비트스트림을 이더넷 패킷으로 변환하며, 변환한 이더넷 패킷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은 상기 영상관제어댑터(100a)로부터 전송받은 이더넷 패킷에 포함된 비트스트림을 파싱하여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복호화하여 관제 모니터(600)에서 지원하는 HDMI, DVI, USB, VGA 등의 다양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영상출력 인터페이스에 따라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 형태로 출력하여 재생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관제 모니터(600)에 재생되는 영상데이터를 통해 해당 원격감시시스템(100)을 모니터링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관제어댑터(100a)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상기 영상관제어댑터(100a)는 영상 압축부(150a), 입출력데이터 릴레이부(160a), 비트스트림 제어부(170a), 통신 인터페이스부(180a)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어부(170a)는 비트스트림 파싱부(172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영상 압축부(150a)는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에서 출려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데이터(즉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를 하드웨어적으로 압축하고,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입출력데이터 릴레이부(160a)는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과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 사이에서, 상기 영상데이터와 관련한 입출력데이터를 양방향 릴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비트스트림 제어부(170a)는 상기 영상 압축부(150a)에서 압축된 영상데이터와 상기 입출력데이터 릴레이부(160a)에서 처리되는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다중화한 비트스트림을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으로부터 비트스트림을 전송받아 역다중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비트스트림 제어부(170a)는 상기 비트스트림에서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추출하는 비트스트림 파싱부(17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180a)는 상기 비트스트림 제어부(170a)에서 상기 압축한 영상데이터에 대한 비트스트림을 이더넷패킷으로 변환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180a)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으로부터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의 제어권에 대한 입출력데이터가 포함된 이더넷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비트스트림 제어부(170a)로 출력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감시시스템의 원격관제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각 단계는 사용 환경이나 당업자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감시시스템의 원격관제 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원격지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NVR/DVR을 포함한 영상감시시스템(100)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모니터링할 때, 해당 영상감시시스템(100)에 직접 접속하여 제어하거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영상관제시스템(200)에서 관제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감시시스템(100)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500)에 등록한다(S100).
상기 S100 단계를 통해 관제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감시시스템(100)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500)에 등록한 이후,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은 관리자의 조작을 토대로 원격관제를 수행할 특정 영상감시시스템(100)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한다(S200).
판단결과 원격관제를 수행할 특정 영상감시시스템(100)이 선택되면,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에서 해당 영상감시시스템(100)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을 수행한다(S300).
그리고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에서 통신 접속된 해당 영상감시시스템(100)으로 영상감시시스템(100)의 원격 제어권 설정 및 영상 모니터링을 위한 입출력데이터를 전송하며, 원격 제어권이 설정된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으로부터 로컬 모니터(400)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하드웨어로 압축한 영상데이터를 비트스트림으로 전송받은 후, 이를 복원하여 재생함으로써, 원격지에서 해당 영상감시시스템(100)의 모니터링을 수행한다(S400).
상기 S400 단계를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은 관리자의 조작을 확인하여 입출력데이터 릴레이부(250)를 통해 특정 영상감시시스템(100)의 원격 제어권 설정 및 영상 모니터링을 위한 입출력데이터를 생성한다(S410).
그리고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은 상기 S410 단계에서 생성한 특정 영상감시시스템(100)의 원격 제어권 설정 및 영상 모니터링을 위한 입출력데이터를 상기 비트스트림 제어부(230)를 통해 다중화하여 비트스트림으로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S420).
그러면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은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한 비트스트림을 파싱하여 입출력데이터를 추출하고(S430),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명령을 확인한다(S440).
그리고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은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 측으로 제어권을 제공하며,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의 제어 명령을 토대로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의 영상 압축부(150)에서 로컬 모니터(400)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하드웨어적으로 압축한다(S450). 한편, 상기 S450 단계에서 상기 영상 압축부(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에서 촬영되어 상기 로컬 모니터(400)로 출력되는 모니터링 영상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압축하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에서 이루어지는 모니터링 대상의 영상데이터 압축은 종래의 일반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영상데이터 압축과 전혀 다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에서 로컬 모니터(400)로 출력되는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카메라에서 촬영된 모니터링 영상 포함)을 하드웨어적으로 압축한 후 이를 영상관제시스템(200)에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량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다양한 제조사의 영상감시시스템들에 대한 구성상의 차이점을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영상데이터 압축은 감시대상이 되는 장치에서 기 저장되어 있는 특정 영상데이터를 각각의 채널별로 구분하여 별도로 압축한 후 이를 원격관제를 수행하는 장치로 제공하기 때문에 원격관제를 수행하는 장치에서 각각의 채널별로 압축한 영상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재생하기 위해서는 고성능의 프로세서와 대용량의 캐시가 필요하고,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시스템 구현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됨은 물론, 고성능의 장비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대용량의 데이터와 통신 환경으로 인한 지연 및 끊어짐 현상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이다.
상기 S450 단계에서 영상데이터를 압축한 이후,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은 하드웨어적으로 압축한 영상데이터를 입출력데이터(예를 들어, 제어명령의 결과 등)와 함께 비트스트림 제어부(170)를 통해 다중화하여 비트스트림으로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S460).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은 상기 S460 단계를 통해 상기 영상감시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받은 비트스트림을 파싱하여 로컬 모니터(400)에 제공되는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추출하고(S470), 상기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역다중화한 후 복호화를 수행한다(S480).
그리고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은 상기 S480 단계에서 복호화한 영상데이터를 관제 모니터(600)에서 지원하는 HDMI, DVI, USB, VGA 등을 포함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영상출력 인터페이스에 따라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 형태로 출력하여 재생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관제 모니터(600)에 재생되는 영상데이터를 통해 해당 원격감시시스템(100)을 모니터링하도록 한다(S490).
이제, 상기 S400 단계를 통해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에서 복수의 영상감시시스템(100)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는 과정에서,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은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원격관제가 종료되는지를 판단하여(S500), 원격관제가 종료될 때까지 상기 S300 단계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S500 단계의 판단결과 원격관제가 종료되면, 상기 영상관제시스템(200)은 특정 영상감시시스템(100)과 수행하였던 원격관제와 관련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500)에 업데이트하고 서비스를 종료한다(S600).
이처럼, 본 발명은 영상관제시스템에서 NVR/DVR을 포함한 영상감시시스템에 접속하여 제어하므로 관리자가 마치 영상감시시스템에 직접 접속하여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관제시스템에서 영상감시시스템의 출력영상에 대한 해상도가 풀HD 혹은 UHD급으로 상향되어도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복수의 영상감시시스템들에 대한 복수의 채널을 전송받아 디코딩하고 디스플레이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지연과 화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제조사의 영상감시시스템들에 대한 구성 차이를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영상감시시스템 100a : 영상관제어댑터
200 : 영상관제시스템 300 : 로컬 데이터베이스
400 : 로컬 모니터 500 : 데이터베이스
600 : 관제 모니터

Claims (13)

  1. 영상감시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로컬 모니터로 출력하는 영상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에서 촬영되어 로컬 모니터로 출력하는 영상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압축하여 영상관제시스템에 제공하는 영상압축부; 및
    상기 영상감시시스템에서 상기 영상데이터와 관련하여 상기 영상감시시스템을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입출력데이터를 상기 영상관제시스템과 양방향 릴레이하는 입출력데이터 릴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감시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감시시스템은,
    상기 영상데이터와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하여 비트스트림을 송수신하는 비트스트림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어부는,
    상기 비트스트림에서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추출하는 비트스트림 파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감시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감시시스템은,
    NVR(Network Video Recorder), DVR(Digital Video Recorder) 또는 IP 카메라나 CCTV를 통한 영상녹화 및 감시장치이며,
    상기 영상데이터는,
    HDMI, DVI, USB 또는 VGA를 포함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영상출력 인터페이스에서 추출된 로컬 모니터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감시시스템.
  4. 삭제
  5. 영상감시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로컬 모니터로 출력하는 영상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에서 촬영되어 로컬 모니터로 출력하는 영상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수신 받아 압축하여 영상관제시스템에 제공하는 영상압축부; 및
    상기 영상감시시스템과 상기 영상관제시스템 사이에서, 상기 영상관제시스템이 상기 영상데이터와 관련하여 상기 영상감시시스템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입출력데이터를 양방향 릴레이하는 입출력데이터 릴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관제어댑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영상관제어댑터는,
    상기 영상데이터와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하여 비트스트림을 송수신하는 비트스트림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어부는,
    상기 비트스트림에서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추출하는 비트스트림 파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관제어댑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영상관제어댑터는,
    HDMI, DVI, USB 또는 VGA를 포함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영상출력 인터페이스에서 추출된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한 상기 비트스트림을 이더넷패킷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관제어댑터.
  8. 영상감시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로컬 모니터로 출력하는 영상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에서 촬영되어 로컬 모니터로 출력하는 영상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압축하여 제공한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영상관제시스템에서 수신하여 복원하는 영상복원부; 및
    상기 영상관제시스템에서 상기 영상데이터와 관련하여 상기 영상감시시스템을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입출력데이터를 상기 영상감시시스템과 양방향 릴레이하는 입출력데이터 릴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관제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영상관제시스템은,
    상기 압축된 영상데이터와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하여 비트스트림을 송수신하는 비트스트림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어부는,
    상기 비트스트림에서 상기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추출하는 비트스트림 파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관제시스템.
  10. 영상감시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로컬 모니터로 출력하는 영상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에서 촬영되어 로컬 모니터로 출력하는 영상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압축하여 영상관제시스템에 제공하는 영상압축단계; 및
    상기 영상데이터와 관련하여 상기 영상감시시스템을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입출력데이터를 상기 영상감시시스템과 영상관제시스템이 양방향 릴레이하는 입출력데이터 릴레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관제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영상관제방법은,
    상기 영상데이터와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하여 비트스트림을 송수신하는 비트스트림 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어단계는,
    상기 비트스트림에서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추출하는 비트스트림 파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관제방법.
  12. 영상감시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로컬 모니터로 출력하는 영상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에서 촬영되어 로컬 모니터로 출력하는 영상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압축하여 제공한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영상관제시스템에서 수신하여 복원하는 영상복원단계; 및
    상기 영상관제시스템에서 상기 영상데이터와 관련하여 상기 영상감시시스템을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입출력데이터를 상기 영상감시시스템과 양방향 릴레이하는 입출력데이터 릴레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관제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영상관제방법은,
    상기 압축된 영상데이터와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하여 비트스트림을 송수신하는 비트스트림 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어단계는,
    상기 비트스트림에서 상기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추출하는 비트스트림 파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관제방법.
KR1020170053925A 2017-04-26 2017-04-26 영상감시시스템의 원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08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925A KR101808287B1 (ko) 2017-04-26 2017-04-26 영상감시시스템의 원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925A KR101808287B1 (ko) 2017-04-26 2017-04-26 영상감시시스템의 원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287B1 true KR101808287B1 (ko) 2018-01-18

Family

ID=61028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925A KR101808287B1 (ko) 2017-04-26 2017-04-26 영상감시시스템의 원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2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113B1 (ko) * 2018-03-13 2018-11-30 주식회사 세연테크 원격 비디오 레코더의 로컬 제어가 가능한 비디오 레코더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104557A (ko) * 2019-02-27 2020-09-04 현대글로벌서비스 주식회사 선박용 혼합형 cctv 시스템
KR102233389B1 (ko) 2020-11-09 2021-03-30 주식회사 베스트디지탈 기능 확장을 지원하는 영상 기반 관제 시스템
CN114938393A (zh) * 2022-05-06 2022-08-23 中富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机房数据交互方法及系统和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076B1 (ko) * 2010-11-03 2011-11-02 주식회사 삼알글로벌 보안기능이 강화된 cctv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076B1 (ko) * 2010-11-03 2011-11-02 주식회사 삼알글로벌 보안기능이 강화된 cctv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113B1 (ko) * 2018-03-13 2018-11-30 주식회사 세연테크 원격 비디오 레코더의 로컬 제어가 가능한 비디오 레코더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104557A (ko) * 2019-02-27 2020-09-04 현대글로벌서비스 주식회사 선박용 혼합형 cctv 시스템
KR102224444B1 (ko) * 2019-02-27 2021-03-08 현대글로벌서비스 주식회사 선박용 혼합형 cctv 시스템
KR102233389B1 (ko) 2020-11-09 2021-03-30 주식회사 베스트디지탈 기능 확장을 지원하는 영상 기반 관제 시스템
CN114938393A (zh) * 2022-05-06 2022-08-23 中富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机房数据交互方法及系统和存储介质
CN114938393B (zh) * 2022-05-06 2024-04-19 中富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机房数据交互方法及系统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287B1 (ko) 영상감시시스템의 원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924502B2 (en) Multimedia player displaying operation panel depending on contents
KR100537305B1 (ko) 네트워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동영상 압축 저장 방법
US20130166769A1 (en) Receiving device, screen frame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11350161B2 (en) Digital video recorder with additional video inputs over a packet link
KR20030039069A (ko) 비 PC기반(stand-alone, 독립형) 방식으로 구성하고 음향채널을 포함한 디지털 영상 및 음향 저장 장치
KR101209515B1 (ko) 고해상도 네트워크 카메라용 멀티채널 임베디드 감시 시스템
KR101311463B1 (ko) 원격 영상정보 제공시스템
KR101352860B1 (ko) 다중 영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100853959B1 (ko) 아이피티브이망을 이용한 다채널 영상의 원격 감시 시스템및 그 방법
US20050183132A1 (en) Digital closed circuit television system
CN115460422B (zh) 一种超高清网络视音频专业解码器和视频帧同步方法
CN101523913A (zh) 具有dvr系统的数字显示设备及其方法
KR101415281B1 (ko) 에이치디 씨씨티브이(HD-CCTV) 카메라의 영상전송용 브이디디에스(Virtual Dynamic Dual Streamming) 시스템
JP2002262272A (ja) ディジタル監視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制御装置
KR101906300B1 (ko) Ip 기반 방송 스트리밍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11158A (ko) 화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1901309B1 (ko) 스트리밍 기반의 비디오 스위칭 시스템
KR20100082166A (ko) 영상 재생장치
KR101652095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및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81494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881276B1 (ko)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0408827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녹화 장치 및 방법
TWM458749U (zh) 監視攝影機整合管理系統
KR101045502B1 (ko) 집합형 영상 선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