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826B1 - 인덕션 쿠커와 무선전력 전송 기기를 겸용하는 전원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인덕션 쿠커와 무선전력 전송 기기를 겸용하는 전원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826B1
KR101807826B1 KR1020160022322A KR20160022322A KR101807826B1 KR 101807826 B1 KR101807826 B1 KR 101807826B1 KR 1020160022322 A KR1020160022322 A KR 1020160022322A KR 20160022322 A KR20160022322 A KR 20160022322A KR 101807826 B1 KR101807826 B1 KR 101807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inductance coil
cooker
inductanc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0146A (ko
Inventor
민병덕
조정구
유주승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그린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린파워 filed Critical (주)그린파워
Priority to KR1020160022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826B1/ko
Publication of KR20170100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05B6/065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using coordinated control of multiple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인덕션 쿠커에 열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집전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원공급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전원공급 장치가 모드 선택을 통해 쿠커부하 생성모드시에는 인덕션 쿠커로 동작하도록 하고 무선전력 전송모드시에는 집전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전력 전송 기기로 겸용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특히, 전원공급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인가받는 집전장치(예: 인덕턴스 리시브 코일부)는 부하(예: 커피 메이커)에 장착되어 그 부하에 열원을 제공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릴레이 스위치부와 모드 선택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인덕션 쿠커로 동작하는 쿠커부하 생성모드와 무선전력 전송 기기로 동작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드의 사용자 선택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인덕션 쿠커와 무선전력 전송 기기를 겸용하는 전원공급 장치 {power supply apparatus using as a two-way induction cooker an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인덕션 쿠커에 열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집전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원공급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전원공급 장치가 모드 선택을 통해 쿠커부하 생성모드시에는 인덕션 쿠커로 동작하도록 하고 무선전력 전송모드시에는 집전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전력 전송 기기로 겸용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특히, 전원공급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인가받는 집전장치(예: 인덕턴스 리시브 코일부)는 부하(예: 커피 메이커)에 장착되어 그 부하에 열원을 제공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 요리를 위한 인덕션 쿠커가 많이 설치되는데, 그 인덕션 쿠커는 상면이 밋밋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밋밋한 상면에 조리용기(예: 금속용기)가 올려지면 그 조리용기에 열원을 제공함으로써 그 조리용기의 내용물이 요리되도록 한다.
즉, 일반적인 인덕션 쿠커는 그 인덕션 쿠커의 상면에 안착되는 금속성의 조리용기에 직접 열을 가하여 요리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인덕션 쿠커는 내측에 구비되는 인덕션 코일이 교류전원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교류전원을 통해 자기유도에 의한 전력을 생성하지만, 인덕션 쿠커의 상면에 안착되는 부하로서의 금속성 조리용기에 대해 직접적인 가열만을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한편, 인덕션 쿠커는 내측에 구비되는 인덕션 코일의 권선된 형태가 납작하게 이루어지므로 결국 상면도 평평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덕션 쿠커의 구조적 특징인 밋밋한 표면을 활용하여 다른 형태의 조리용기(예: 집전장치가 내장된 무선 커피메이커)에 대해서도 열원을 간접적으로 제공함에 따라 인덕션 쿠커를 겸용으로 활용할 수도 있지만, 아직 그러한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6-0054758호 "인덕션 조리기구용 인덕션 히팅코일"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3-7028044호 "인덕션 조리 장치"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9-0061023호 "전자기유도가열식 밥솥용 인덕션 코일가열부"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조작에 따른 모드 전환으로 요리장치로서의 인덕션 쿠커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 전송 기기로서 겸용되는 전원공급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쿠커와 무선전력 전송 기기를 겸용하는 전원공급 장치는 교류전원 공급부의 양단자에 연결되어 교류전원 공급부와 통전되는 다이오드 정류부; 다이오드 정류부에 연결되어 다이오드 정류부와 통전되는 인버터; 인버터에 병렬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이루며 외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전력공급부는, 폐회로 상에 직렬로 연결되어 자기유도에 의해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거나 외부 부하에 대해 열원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인덕턴스 코일부; 복수 개의 인덕턴스 코일부와 복수 개가 병렬로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스위칭 온오프하면서 복수 개의 인덕턴스 코일부 중 폐회로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덕턴스 코일부를 선택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릴레이 스위치부; 복수 개의 릴레이 스위치부 중 각각의 릴레이 스위치부와 직렬로 연결되며 해당 릴레이 스위치부의 스위칭 온에 따라 인덕턴스 코일부와 통전되어 전기 공진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인덕턴스 코일부로부터 자기유도에 의해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받아 외부 부하에 대해 열원을 제공하는 인덕턴스 리시브 코일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인덕턴스 코일부가 자기유도에 의해 인덕턴스 리시브 코일부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모드(이하, '무선전력 전송모드'라 함)와 인덕턴스 코일부가 외부 부하에 대해 열원을 제공하는 모드(이하, '쿠커부하 생성모드'라 함) 중 어느하나의 모드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식별함에 따라 복수 개의 릴레이 스위치부 중 소정 릴레이 스위치부만을 스위칭온 동작하도록 하는 모드 선택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쿠커부하 생성모드에서 인덕턴스 코일부가 외부 부하에 대해 열원을 제공하는 전력공급부 상의 미리 설정된 주파수 프로파일에 대해 다이오드 정류부의 미리 설정된 조작 패턴에 따라 전력공급부 상의 타겟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전력공급부 상의 주파수 프로파일에 대해 인덕턴스 코일부가 외부 부하에 제공하는 열원 생성의 오퍼레이팅 포인트를 조정하도록 하는 오퍼레이팅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력공급부는 복수 개의 커패시터가 이루는 커패시터 군과 인버터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어 복수 개의 인덕턴스 코일부와 전기 공진을 가능하게 하는 공진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인덕션 쿠커에 집전장치(예: 인덕턴스 리시브 코일부)가 내장된 부하(예: 무선 커피메이커)를 채용할 때, 요리장치로서의 인덕션 쿠커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 전송 기기로서 겸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릴레이 스위치부와 모드 선택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인덕션 쿠커로 동작하는 쿠커부하 생성모드와 무선전력 전송 기기로 동작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드의 사용자 선택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쿠커와 무선전력 전송 기기를 겸용하는 전원공급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쿠커와 무선전력 전송 기기를 겸용하는 전원공급 장치를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쿠커와 무선전력 전송 기기를 겸용하는 전원공급 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쿠커부하 생성모드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를 도시한 회로구성도,
[도 5]는 [도 4]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무선전력 전송모드에서 하이파워 모드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를 도시한 회로구성도,
[도 7]은 [도 6]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무선전력 전송모드에서 로우파워 모드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를 도시한 회로구성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쿠커와 무선전력 전송 기기를 겸용하는 전원공급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쿠커와 무선전력 전송 기기를 겸용하는 전원공급 장치를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1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인덕턴스 코일부(310)는 전원공급 장치(10)에 구비된 모드 선택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요리장치로서의 인덕션 쿠커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 전송 기기로서 겸용될 수 있다.
먼저, 전원공급 장치(10)에 구비된 인덕턴스 코일부(310)가 모드 선택 제어부(500)의 모드 선택 제어에 따라 인덕션 쿠커로서 동작하면, 인덕턴스 코일부(310)의 상면에 안착되는 조리용기로서의 "COOKER(20)"가 부하(예: 금속용기)로 동작하여 인덕턴스 코일부(310)로부터 제공받는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으로부터 열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전원공급 장치(10)에 구비된 인덕턴스 코일부(310)가 모드 선택 제어부(500)의 모드 선택 제어에 따라 무선전력 전송 기기로서 동작하면, 인덕턴스 코일부(310)의 상면에 인접하는 인덕턴스 리시브 코일부(400)가 집전장치로서 동작하여 인덕턴스 코일부(310)로부터 무선으로 제공받는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을 집전하게 된다.
이때, 인덕턴스 리시브 코일부(400)가 일례로서 무선의 커피메이커(420)에 장착되는 경우 인덕턴스 리시브 코일부(400)가 집전한 전력으로부터 커피메이커(420)가 부하로 동작하여 인덕턴스 리시브 코일부(400)로부터 제공받는 전력으로부터 열을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커피메이커(420)는 인덕턴스 리시브 코일부(400)로부터 제공받는 교류를 직류로 전환하여 인가받을 수 있도록 별도의 다이오드 정류부(41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10)는 외부 부하에 대해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도록, 교류전원 공급부로부터 교류를 인가받아 직류로 전환하는 다이오드 정류부(100), 다이오드 정류부(100)로부터 인가받는 직류를 다시 교류로 전환하여 인덕턴스 코일부(310)에 교류를 제공하는 인버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쿠커와 무선전력 전송 기기를 겸용하는 전원공급 장치의 회로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쿠커와 무선전력 전송 기기를 겸용하는 전원공급 장치(10)는 다이오드 정류부(100), 인버터(200), 전력공급부(300), 인덕턴스 리시브 코일부(400), 모드 선택 제어부(500), 오퍼레이팅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이오드 정류부(100)는 교류전원 공급부의 양단자에 연결되어 교류전원 공급부와 통전된다. 이때, 교류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는 다이오드 정류부(100)를 거치면서 직류로 바뀌어 인버터(200)에 인가된다.
인버터(200)는 다이오드 정류부(100)에 연결되어 다이오드 정류부(100)와 통전된다. 이때, 인버터(200)는 다이오드 정류부(100)로부터 인가되는 직류를 다시 교류로 전환시켜 전력공급부(300)에 인가함으로써 전력공급부(300)에서 전기 공진이 발생하도록 한다.
전력공급부(300)는 인버터(200)에 병렬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이루며 외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 전력공급부(300)는 인덕턴스 코일부(310), 릴레이 스위치부(320), 커패시터(330), 공진 커패시터(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덕턴스 코일부(310)는 전력공급부(300)의 폐회로 상에 직렬로 연결되어 자기유도에 의해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거나 외부 부하에 대해 열원을 제공하며 복수 개가 상호 직렬로 연결된다.
여기서, '열원'이라 함은 외부 부하가 인덕턴스 코일부(310)로부터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제공받는 전력으로부터 곧바로 직접 열을 발생하는 구성(예: 금속 조리용기)인 경우, 인덕턴스 코일부(310)가 그 외부 부하에 제공하는 전력을 의미한다.
이때, 직렬로 연결되는 인덕턴스 코일부(310)는 모드 선택 제어부(500)에 의한 모드(예: 쿠커부하 생성모드, 무선전력 전송모드)의 선택 제어에 따라 특정의 인덕턴스 코일부(310)가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릴레이 스위치부(320)는 복수 개의 인덕턴스 코일부(310)와 복수 개가 병렬로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스위칭 온오프하면서 복수 개의 인덕턴스 코일부(310) 중 전력공급부(300)의 폐회로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덕턴스 코일부(310)를 선택하도록 스위칭한다.
이때, 직렬로 연결되는 릴레이 스위치부(320)는 모드 선택 제어부(500)에 의한 모드(예: 쿠커부하 생성모드, 무선전력 전송모드)의 선택 제어에 따라 특정의 릴레이 스위치(320)만이 스위칭 온되도록 함으로써 전력공급부(300)에서 전기 공진하는 특정의 인덕턴스 코일부(310)와 특정의 커패시터(330)가 동작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커패시터(330)는 복수 개의 릴레이 스위치부(320) 중 각각의 릴레이 스위치부(320)와 직렬로 연결되며 해당 릴레이 스위치부(320)의 스위칭 온에 따라 인덕턴스 코일부(310)와 통전되어 전기 공진 가능하도록 하며, 이때 전기 공진은 통전되는 커패시터(330)의 용량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공진 커패시터(340)는 복수 개의 커패시터(330)가 이루는 커패시터 군과 인버터(200)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어 복수 개의 인덕턴스 코일부(310)와 전기 공진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전력공급부(300)를 구성함에 있어서 먼저 전력공급부(300)에 전자기유도에 의해 생성될 전력의 주파수(예: 20Hz)를 미리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미리 설정된 주파수에 대해 인덕턴스 코일부(310)를 마련하면 인덕턴스 코일부(310)는 자체의 인덕턴스 특성값을 가지기 때문에 미리 설정된 주파수(예: 20Hz)와 인덕턴스 코일부(310)의 인덕턴스 특성값을 공진주파수 공식에 적용하면, 인덕턴스 코일부(310)와 미리 설정한 주파수로 전기 공진하는 커패시터(330)의 용량을 알 수 있다.
즉, 미리 설정하는 하나이상의 주파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커패시터(330)는 서로 다른 용량을 갖도록 채택할 수 있고, 여기서 개별 릴레이 스위치부(320)의 스위칭 온오프에 따라, 즉 모드 선택에 따라 미리 설정된 서로 다른 주파수를 선택할 수도 있게 된다.
인덕턴스 리시브 코일부(400)는 인덕턴스 코일부(310)로부터 자기유도에 의해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받아 외부 부하에 대해 열원을 제공한다.
모드 선택 제어부(500)는 인덕턴스 코일부(310)가 자기유도에 의해 인덕턴스 리시브 코일부(400)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모드(이하, '무선전력 전송모드'라 함)와 인덕턴스 코일부(310)가 외부 부하에 대해 열원을 제공하는 모드(이하, '쿠커부하 생성모드'라 함) 중 어느하나의 모드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식별함에 따라 복수 개의 릴레이 스위치부(320) 중 소정 릴레이 스위치부(320)만을 스위칭온 동작하도록 한다.
오퍼레이팅 제어부(600)는 쿠커부하 생성모드에서 인덕턴스 코일부(310)가 외부 부하에 대해 열원을 제공하는 전력공급부(300) 상의 미리 설정된 주파수 프로파일에 대해 다이오드 정류부(100)의 미리 설정된 조작 패턴에 따라 전력공급부(300) 상의 타겟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전력공급부(300) 상의 주파수 프로파일에 대해 인덕턴스 코일부(310)가 외부 부하에 제공하는 열원 생성의 오퍼레이팅 포인트를 조정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쿠커부하 생성모드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를 도시한 회로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구성도이다.
먼저, [도 3]의 릴레이 스위치부(320) 중에서 모드 선택 제어부(500)의 선택 제어에 따라 "RL2"와 "RLY3"을 스위칭 오프하고 "RLY1"을 스위칭 온하면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전기 공진이 가능한 전력공급부(300)의 폐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CR1"의 커패시터(330) 용량에 맞는 전기 공진이 이루어지고 조리용기인 "COOKER(20)"가 "LX2"와 "LX1"에 대응하는 인덕턴스 코일부(3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히팅된다.
이때, 오퍼레이팅 제어부(600)는 쿠커부하 생성모드에서 인덕턴스 코일부(310)가 조리용기인 "COOKER(20)"에 대해 열원을 제공하는 전력공급부(300) 상의 미리 설정된 주파수 프로파일을 능동적으로 변경함에 따라 인덕턴스 코일부(310)로부터 조리용기인 "COOKER(20)"에 제공하는 인덕턴스의 크기(예: 강, 중, 약)을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오퍼레이팅 제어부(600)가 미리 설정된 조작 패턴에 따라 다이오드 정류부(100)를 제어하면, 전력공급부(300) 상의 미리 설정된 주파수 프로파일(예: 20Hz 내지 30Hz)을 목적하는 타겟주파수(예: 25Hz)로 변경할 수 있는데, 이렇게 변경된 타겟주파수에 따른 인덕턴스 크기에 따라 조리용기인 "COOKER(20)"가 인덕턴스 코일부(310)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해당 타겟주파수에 대응하는 단계의 열로 히팅된다.
상세하게, 전력공급부(300) 상의 미리 설정된 주파수 프로파일(예: 20Hz 내지 30Hz)이 정규분포곡선을 나타낼 때 그 정규분포곡선의 중앙부가 미리 설정된 주파수 프로파일의 공진주파수에 해당하는 경우 그 정규분포곡선의 중앙부로부터 벗어나는 정규분포곡선 상에서 새로운 정규분포곡선의 중앙부가 되도록 하는 프로파일의 타겟주파수를 형성함을 의미한다.
이 경우, 변경된 타겟주파수 프로파일에서의 공진주파수는 애초 변경전 미리 설정된 주파수 프로파일에서의 공진주파수보다 작기 때문에 조리용기인 "COOKER(20)"가 인덕턴스 코일부(310)로부터 제공받는 전력이 낮아진다.
이처럼, 오퍼레이팅 제어부(600)는 다이오드 정류부(100)를 조작 제어함에 따라 공진주파수의 크기, 즉 오퍼레이팅 포인트를 조정하여 결국 전력공급부(300) 상의 인덕턴스 코일부(310)가 조리용기인 "COOKER(20)"에 제공하는 열원 생성을 위한 전력이 증감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무선전력 전송모드에서 하이파워 모드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를 도시한 회로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구성도이다.
먼저, [도 3]의 릴레이 스위치부(320) 중에서 모드 선택 제어부(500)의 선택 제어에 따라 "RL1"와 "RLY3"을 스위칭 오프하고 "RLY2"을 스위칭 온하면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 전기 공진이 가능한 전력공급부(300)의 폐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CR2"의 커패시터(330) 용량에 맞는 전기 공진이 이루어지고 집전장치인 인덕턴스 리시브 코일부(400)가 "LX2"와 "LX1"에 대응하는 인덕턴스 코일부(310)로부터 무선으로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때, 인덕턴스 리시브 코일부(400)는 직렬로 연결되는 "LX2"와 "LX1"에 대응하는 인덕턴스 코일부(310)로부터 전력을 제공받게 되므로 [도 6]과 [도 7]의 구성상 상대적으로 하이파워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인덕턴스 리시브 코일부(400)가 [도 7]에서와 같이 무선으로 동작하는 "LOAD"에 장착되는 경우, 이 "LOAD"는 인덕턴스 리시브 코일부(400)가 집전한 전력을 인가받아 열을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LOAD"는 인덕턴스 리시브 코일부(400)로부터 제공받는 교류를 직류로 전환하여 인가받을 수 있도록 별도의 다이오드 정류부(41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무선전력 전송모드에서 로우파워 모드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를 도시한 회로구성도이다.
먼저, [도 3]의 릴레이 스위치부(320) 중에서 모드 선택 제어부(500)의 선택 제어에 따라 "RL1"와 "RLY2"을 스위칭 오프하고 "RLY3"을 스위칭 온하면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 전기 공진이 가능한 전력공급부(300)의 폐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CR3"의 커패시터(330) 용량에 맞는 전기 공진이 이루어지고 집전장치인 인덕턴스 리시브 코일부(400)가 "LX2"와 "LX1"에 대응하는 인덕턴스 코일부(310)로부터 무선으로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때, 인덕턴스 리시브 코일부(400)는 "LX1"에 대응하는 인덕턴스 코일부(310)로부터 전력을 제공받게 되므로 [도 6]과 [도 7]의 구성상 상대적으로 로우파워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10 :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
20 : 쿠커(부하)
100 : 다이오드 정류부
200 : 인버터
300 : 전력공급부
310 : 인덕턴스 코일부
320 : 릴레이 스위치부
330 : 커패시터
340 : 공진 커패시터
400 : 인덕턴스 리시브 코일부
410 : 다이오드 정류부
420 : 커피메이커(부하)
500 : 모드 선택 제어부
600 : 오퍼레이팅 제어부

Claims (5)

  1. 무선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면의 동일한 위치에서 무선전력 전송모드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외부 부하와 쿠커부하 생성모드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외부 부하가 선택적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각 모드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인덕션 쿠커와 무선전력 전송 기기를 겸용하는 전원공급 장치로서,
    교류전원 공급부의 양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교류전원 공급부와 통전되는 다이오드 정류부(100);
    상기 다이오드 정류부에 연결되어 상기 다이오드 정류부와 통전되는 인버터(200);
    상기 인버터에 병렬로 연결된 상태로 폐회로를 이루어 외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폐회로 상에 직렬로 연결되어 자기유도에 의해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거나 외부 부하에 대해 열원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인덕턴스 코일부(310)와, 상기 복수 개의 인덕턴스 코일부와 복수 개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인덕턴스 코일부와 통전됨에 따라 전기 공진하는 복수 개의 커패시터(330)와, 상기 복수 개의 인덕턴스 코일부와 상기 복수 개의 커패시터 간의 병렬 연결 라인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그 병렬 연결 라인을 개별적으로 스위칭 온오프 하는 복수 개의 릴레이 스위치부(320)를 구비하는 전력공급부(300);
    상기 인덕턴스 코일부로부터 자기유도에 의해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받아 외부 부하에 대해 열원을 제공하는 인덕턴스 리시브 코일부(400);
    상기 인덕턴스 코일부가 자기유도에 의해 상기 인덕턴스 리시브 코일부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모드(이하, '무선전력 전송모드'라 함)와 상기 인덕턴스 코일부가 외부 부하에 대해 열원을 제공하는 모드(이하, '쿠커부하 생성모드'라 함) 중 어느하나의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 개의 릴레이 스위치부 중 해당 릴레이 스위치부를 선택적으로 스위칭 온 제어하고 나머지는 스위칭 오프 제어하는 모드 선택 제어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덕션 쿠커와 무선전력 전송 기기를 겸용하는 전원공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커부하 생성모드에서 상기 인덕턴스 코일부가 외부 부하에 열원을 제공하는 상기 전력공급부 상의 미리 설정된 주파수 프로파일에 대해 상기 다이오드 정류부의 미리 설정된 조작 패턴에 따라 상기 전력공급부 상의 타겟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전력공급부 상의 상기 주파수 프로파일에 대해 상기 인덕턴스 코일부가 외부 부하에 제공하는 열원 생성의 오퍼레이팅 포인트를 조정하도록 하는 오퍼레이팅 제어부(6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쿠커와 무선전력 전송 기기를 겸용하는 전원공급 장치.
  5. 삭제
KR1020160022322A 2016-02-25 2016-02-25 인덕션 쿠커와 무선전력 전송 기기를 겸용하는 전원공급 장치 KR101807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322A KR101807826B1 (ko) 2016-02-25 2016-02-25 인덕션 쿠커와 무선전력 전송 기기를 겸용하는 전원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322A KR101807826B1 (ko) 2016-02-25 2016-02-25 인덕션 쿠커와 무선전력 전송 기기를 겸용하는 전원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146A KR20170100146A (ko) 2017-09-04
KR101807826B1 true KR101807826B1 (ko) 2017-12-11

Family

ID=59924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322A KR101807826B1 (ko) 2016-02-25 2016-02-25 인덕션 쿠커와 무선전력 전송 기기를 겸용하는 전원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78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610A1 (ko) * 2018-10-19 2020-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945B1 (ko) * 2019-02-01 2019-10-01 (주)그린파워 무정전 멀티 페일오버 기능이 구비된 무선 전력전송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610A1 (ko) * 2018-10-19 2020-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11924950B2 (en) 2018-10-19 2024-03-05 Lg Electronics Inc. Cooker
KR102658802B1 (ko) * 2018-10-19 2024-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146A (ko) 2017-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744B1 (ko) 인덕션 쿠커와 무선전력 전송 기기를 겸용하는 전원공급 장치의 동작제어를 위한 부하 인식 방법
CN104159479B (zh) 在感应加热炊具上操作的无线厨房用具
WO2014056785A1 (en) A wireless cooking appliance operated on an induction heating cooktop
US10182472B2 (en) Wireless kitchen appliance operated on induction heating cooker
WO2013094174A1 (ja) 非接触給電装置および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JP2012514495A (ja) スマート調理器具
EP2859776B1 (en) A wireless kitchen appliance
CN207561726U (zh) 分体式烹饪器具
US20200163171A1 (en) Induction cooktop
KR20180120039A (ko) 유도 가열을 이용한 스마트 케틀
JP2015506544A (ja) 誘導加熱調理器上で動作される無線台所器具
KR101807826B1 (ko) 인덕션 쿠커와 무선전력 전송 기기를 겸용하는 전원공급 장치
JP2016134355A (ja) 非接触給電機能付き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200106853A (ko) 인덕션 코일 제어 방법 및 인덕션 코일 장치
EP2547963A2 (en) A cooking hob
US20100078427A1 (en) Device for converting inductively transmitted electric powe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uch a device
JPWO2017064804A1 (ja) 誘導加熱調理装置、複合調理装置、およびこれらを備えた誘導加熱調理システム
US11265972B2 (en) Support structure for object to be heated
KR102194276B1 (ko) 유도 가열을 이용한 스마트 케틀
KR20170101040A (ko) 스마트기기 무선충전형 인덕션 쿠커
KR102658802B1 (ko) 조리기기
CN203749156U (zh) 烹饪电器
JP2023033834A (ja) エネルギー供給装置
CN208435211U (zh) 分体式烹饪器具
KR102194277B1 (ko) 유도 가열을 이용한 스마트 케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