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751B1 - 신발탈수용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신발탈수용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751B1
KR101807751B1 KR1020160112941A KR20160112941A KR101807751B1 KR 101807751 B1 KR101807751 B1 KR 101807751B1 KR 1020160112941 A KR1020160112941 A KR 1020160112941A KR 20160112941 A KR20160112941 A KR 20160112941A KR 101807751 B1 KR101807751 B1 KR 101807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main body
dewatering
shoes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희한
Original Assignee
은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희한 filed Critical 은희한
Priority to KR1020160112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6Parti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신발탈수용 지그장치는 세탁기의 탈수통의 중앙부와 그 중심이 일치되는 중공을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중공에 삽입되어 원심력에 의해 본체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재와, 상기 본체부와 결합 및 분리가능 하도록 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탈수통의 내주면과 밀착되고, 탈수되는 신발이 갑피부가 외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분리격벽들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신발탈수용 지그장치{jig apparatus for dehydration shoes}
본 발명은 신발탈수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운동화, 런링화, 등산화 등 다양한 신발을 세척 후 탈수기를 이용하여 탈수 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신발탈수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화나 운동화, 등산화, 런링화 등은 착용자의 건강이나 품위를 위해서 수시로 깨끗하게 세탁을 하여 청결상태로 착용하게 된다. 이러한 신발은 일반 세탁물에 비하여 형상이 복잡하고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 손에 의한 수작업으로 문질러 세탁작업을 수행한 후 건조하게 된다.
한편, 신발의 바닥면과 측면은 대부분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방수층으로 되어 있어 세탁 후, 세탁기를 이용한 탈수 시 신발의 바닥이 원심력의 방향으로 향하게 될 경우, 신발 속에 들어 있던 물이 빠지지 않게 되어 탈수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세탁된 신발을 탈수하기 위해서는 세탁기의 탈수통 내부에 털수통의 회전 시 탈수가 용이하도록 원심력이 작용하는 반대방향으로 신발의 바닥이 위치하도록 신발을 고정하는 장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등록실용신안 제 20-0285859호에는 신발 고정장치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02063호에는 세탁기용 신발고정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세탁기용 신발고정장치는 세탁기의 드럼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원통부재와; 상기 원통부재를 세탁기의 탈수통 내부면에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원통부재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지지수단과; 상기 원통부재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신발의 일 측을 지지 고정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대응하여 신발의 타 측을 밀착 고정하도록 힌지축으로 고정되어 작동되는 작동편과 상기 압착편을 고정편 쪽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힌지축에 끼워 설치된 스프링을 구비한 신발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신발고정장치는 신발을 고정하는 별도의 신발고정수단을 가지고 있으므로 원심력을 신발고정수단에 작용하게 되므로 탈수를 위한 회전반경을 크게 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며, 사용이 불편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28585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02063호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과제는 탈수를 위한 신발의 지지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원심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므로 신발의 탈수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탈수통의 직경에 맞도록 본체부의 직경를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을 각 세탁기에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상품적 가치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신발탈수용 지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발탈수용 지그장치는 세탁기 탈수통의 중앙부와 그 중심이 일치되는 중공을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중공에 삽입되어 원심력에 의해 본체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재와, 상기 본체부와 결합 및 분리가능 하도록 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탈수통의 내주면과 밀착되고, 탈수되는 신발의 갑피부가 외측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신발장착공간 형성하는 분리격벽들을 구비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리격벽들의 사이에는 신발의 설치공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격벽이 형성된 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격벽과 구획격벽들에는 물의 통과를 위한 복수개의 탈수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는 직경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의 양단부가 중첩되고, 중첩된 부위 일측에는 상대이동 가능한 상태에 결합될 수 있도록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첩된 양단부는 장공을 통하여 결합되는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대안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발탈수용 지그장치는 세탁기 탈수통의 중앙부와 그 중심이 일치되는 중공을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중공에 삽입되어 원심력에 의해 본체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재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며 각 단부가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신발의 갑피가 외측방향으로 향하도록 절곡되어 신발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제 1,2파지판부재로 이루어진 신발지지부들이 본체부의 반경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2파지판부재에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된다.
본 발명에 다른 신발탈수용 지그장치는 세탁기의 탈수통을 이용하여 신발의 탈수가 가능하게 하며, 탈수통의 규격에 관계없이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신발탈수용 지그장치는 탈수통의 내주면에 신발의 갑피가 부착될 수 있도록 밀착시킴으로써 원심력을 극대화시켜 신발의 탈수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탈수용 지그장치가 세탁시의 탈수통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탈수용 지그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체부와 분리격벽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탈수용 지그장치가 탈수통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일부절제 사시도,
도 5 내지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탈수용 지그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탈수통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신발탈수용 지그장치는 세탁기의 탈수통에 장착되어 신발을 탈수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들을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내 보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발탈수용 지그장치(10)는 세탁기(100)의 탈수통(110)에 장착되어 탈수하고자 하는 신발(200)의 갑피(210)가 탈수통(110)의 내면에 근접 또는 밀착되도록 지지함으로써 원심력을 극대화 시킬수 있는 것으로, 탈수통(110)의 중앙부와 그 중심이 일치되는 중공(11)을 가지는 본체부(12)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부(12)는 원주방향으로 양단부가 상호 중첩되게 형성되며 직경의 가변 가능한 결합구조를 가진다. 이 결합구조는 본체부(12)의 직경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의 양단부가 중첩되고, 중첩된 부위 일측에는 상대이동 가능한 상태에 결합될 수 있도록 장공(12a)이 형성되고 상기 중첩된 양단부는 장공(12a)을 통하여 결합되는 결합부재(12b)를 가진다. 상기 결합구조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체부(12)의 원주방방향으로의 양단부를 길이 가변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직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2)의 중공(11)에 삽입되어 신발을 지지한 상태에서 회전 시 원심력에 의해 본체부(12)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재(15)가 설치된다. 상기 변형방지부재(15)은 판상의 부재가 단면의 교차하여 십자상태로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부(12)에 보강리브들이 형성되어 일어질 수도 있다.
상기 본체부(12)의 외주면에는 결합 및 분리가능 하도록 결합부(21)에 의해 결합되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탈수통(110)의 내주면과 밀착되고, 탈수되는 신발이 갑피부(210)가 외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분리격벽(20)들이 설치된다. 상기 분리격벽(20)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신발로부터 탈수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을 위해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복수개의 리브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2)에 대해 분리격벽(20)을 결합하는 결합부(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2)에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의 결합공(21a)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격벽(20)의 내측면 즉, 상기 결합공(21a)과 대응되는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공과 결합되는 훅(21b)들이 형성된다. 상기 각 훅(21b)의 개구부(21c)는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분리격벽(20)의 설치간격은 탈수하고자 하는 신발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격벽(20)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신발을 수평방향으로 적층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격벽(20)은 본체부(12)에 반경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부(12)의 외주변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설치될 수 도 있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발(200)의 탈수를 위한 신발설치공간 즉, 탈수공간을 형성하는 분리격벽(20)들의 상호 대향면에 설치되어 탈수공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격벽(30)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격벽(30)이 복수개가 설치되는 경우, 하나의 구획격벽(30)은 분리격벽(20)의 단부측에 양단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분리격벽(20)과 구획격벽(30)에는 신발(200)로부터 탈수된 물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다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신발탈수용 지그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격벽(30)의 단부에 신발의 갑피가 외측을 향하도록 지지할 수 있는 포켓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켓부(35)는 길이 방향으로 신발의 지지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찬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탈수용 지그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발 탈수용 지그장치는 중앙부에 위치되며 세탁기의 탈수통(110)의 중앙부와 그 중심이 일치되는 중공(11)을 가지는 본체부(12)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며 각 단부가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신발의 갑피가 외측방향으로 향하도록 지지할 수 있는 제 1,2파지판부재(41)(42)로 이루어진 신발지지부(40)를 구비한다. 상기 제1,2파지부재(41)(42)는 본체부(12)의 길이 방향으로 절곡된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신발탈수용 지그장치를 이용하여 신발을 탈수하기 위해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2)의 단부의 결합구조 이용하여 본체부(12)의 직경을 조정하여 본체부(12)의 외주면에 분할격벽(20)의 결합 시 분할격벽(12)의 단부가 탈수통(11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조정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부(12)의 직경조정이 완료되면, 상기 본체부(12)의 외주면에 결합부를 이용하여 소정의 가격으로 설치하여 신발의 탈수를 위한 장착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2)와 분리격벽(20)이 결합된 신발탈수용 지그장치를 탈수통(110)의 내부에 삽입하고, 분리격벽(20), 본체부(12) 및 탈수통(110)에 의해 형성된 신발장착공간에 신발을 삽입한다. 이때에 탈수를 위한 신발의 설치는 신발에 발의 삽입부위가 하측에 위치되도록 수직으로 세우며 신발의 갑피부위가 탈수통(110)의 내측면과 대향되도록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신발의 장착이 완료되면, 세탁기의 탈수통을 회전시켜 신발을 탈수한다. 따라서 상기 신발의 머금은 물은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신발의 바닥면이 탈수통의 중심부를 향하고 있으므로 신발의 바닥면에 의해 탈수가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발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탈수통의 내면과 신발의 갑피부가 접촉되어 지지되므로 신발의 원심력에 의한 하중이 신발탈수용 지그장치에 가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분리격벽(20)들의 사이에 도 7 및 도 8에 설치된 바와 같이 구획격벽(30)이 장착되는 경우, 신발의 유동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작은 신발도 탈수가 가능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격벽(20)의 단부에 포켓부(35)가 설치되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파지판부재(41)(42)에 의해 신발장착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탈수를 위한 신발의 지지 시 신발(200)의 흔들림을 줄일 수 있으므로 탈수를 위한 신발의 자세유지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탈수용 지그장치는 세탁기의 탈수조 내주면에 근접된 위치에서 산발의 갑피가 탈수통의 내주면과 근접된 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으므로 탈수를 위한 원심력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신발의 바닥창에 의해 탈수가 방해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세탁기의 탈수통의 중앙부와 그 중심이 일치되는 중공을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중공에 삽입되어 원심력에 의해 본체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재와, 상기 본체부와 결합 및 분리가능 하도록 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탈수통의 내주면과 밀착되고, 탈수되는 신발이 갑피부가 외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분리격벽들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는 직경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의 양단부가 중첩되고, 중첩된 부위일 측에는 상대이동 가능한 상태에 결합될 수 있도록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첩된 양단부는 장공을 통하여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탈수용 지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격벽들의 사이에는 신발의 설치공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격벽과 구획격벽들에는 물의 탈수를 위한 복수개의 탈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탈수용 지그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격벽의 단부에 탈수통의 내주면과 더블어 신발을 탈수할 수 있도록 신발의 갑피가 탈수통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지지하는 신발지지공간을 형성하는 포켓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탈수용 지그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60112941A 2016-09-02 2016-09-02 신발탈수용 지그장치 KR101807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941A KR101807751B1 (ko) 2016-09-02 2016-09-02 신발탈수용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941A KR101807751B1 (ko) 2016-09-02 2016-09-02 신발탈수용 지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7751B1 true KR101807751B1 (ko) 2017-12-11

Family

ID=60943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941A KR101807751B1 (ko) 2016-09-02 2016-09-02 신발탈수용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77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053A (ko) 2018-06-26 2020-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1781Y2 (ja) * 1990-03-23 1997-04-09 秀典 大地 脱水用履物保持具
KR200292355Y1 (ko) * 2002-07-10 2002-10-19 우현민 세탁기용 신발고정장치
KR200298578Y1 (ko) * 2002-09-25 2002-12-18 우현철 세탁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1781Y2 (ja) * 1990-03-23 1997-04-09 秀典 大地 脱水用履物保持具
KR200292355Y1 (ko) * 2002-07-10 2002-10-19 우현민 세탁기용 신발고정장치
KR200298578Y1 (ko) * 2002-09-25 2002-12-18 우현철 세탁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053A (ko) 2018-06-26 2020-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7751B1 (ko) 신발탈수용 지그장치
ATE463602T1 (de) Mitnehmer einer trommel einer wäschewaschmaschine
US7395684B2 (en) Drum
KR101807295B1 (ko) 운동화세탁 겸용 드럼 세탁기
EP3279388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O2009027306A1 (en) A washer/dryer
KR100802063B1 (ko) 세탁기용 신발고정장치
KR20200131535A (ko) 분리형 칸막이 빨래바구니
JP2531781Y2 (ja) 脱水用履物保持具
JP2012523937A (ja) 洗濯機の内部で履物を洗濯することを可能にする装置
KR101304382B1 (ko) 신발 탈수용 안전벨트
CN104195795A (zh) 鞋脱水器
CN205874765U (zh) 一种洗衣机内桶
RU2007132653A (ru) Барабан для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ы
KR20040018724A (ko) 신발세척장치
KR200230468Y1 (ko) 다목적 신발 건조대
JP6950112B1 (ja) 靴ホルダー
US20210087742A1 (en) Convenient dehydration device
US20100116002A1 (en) Washer/dryer
KR200298578Y1 (ko) 세탁기
KR200320727Y1 (ko) 세탁기
JP2021178158A (ja) 靴の脱水補助具
KR200218290Y1 (ko) 세탁기 탈수 조를 활용한 운동화 탈수보조장치
JPS6246200B2 (ko)
KR20150036847A (ko) 세탁물 고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