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511B1 -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511B1
KR101807511B1 KR1020160166999A KR20160166999A KR101807511B1 KR 101807511 B1 KR101807511 B1 KR 101807511B1 KR 1020160166999 A KR1020160166999 A KR 1020160166999A KR 20160166999 A KR20160166999 A KR 20160166999A KR 101807511 B1 KR101807511 B1 KR 101807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ata
light
camera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재상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66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4Cruis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을 지원하는 일반 도로상의 차량 및 특정시설물(공장/생산시설/물류 운반 지역 등)용 AGV(Automatic Guided Vehicle)용 차량)차량을 위한 카메라 통신 시스템은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차량 내에 탑재된 멀티 카메라들 기반의 촬영부 및 독립적인 자율주행을 행하거나 인간과 더불어 보조적으로 자율주행을 지원하는 차량에 있어서, 차량간 또는 차량 주변의 장치와 가시광, 차량 내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멀티 카메라(스마트 기기 및 차량의 전방, 후방, 상/하 방향, 360도 어라운드뷰 카메라 등)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변조하고, 변조된 데이터를 멀티 카메라로 수신하여 자율주행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 및 방법{CAMER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 중에 하나인 카메라 통신 기술(Camera Communication Technology)은 380~780 나노미터의 파장을 갖는 가시광 신호로부터 카메라 (스마트 기기 및 차량의 전방, 후방, 상/하 방향, 360 어라운드뷰 카메라 등)를 적용하여 데이터를 수신 및 복원할 수 있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최근 카메라 기술의 발전으로 말미암아 계속 발전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카메라 통신 기술의 송신부는 사용되는 조명기기 이외에도, 가시광을 발하는 다양한 사이니지 패널, 전광관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에도 적용되어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TV, 모니터, 스마트 디바이스 등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카메라 통신 수신기를 소지한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도로와 차량 등 하드웨어 중심의 기반시설에 통신, 전자, 제어, 컴퓨팅 기술 등의 소프트웨어 기술을 결합하여 일반 차량, 일반도로상의 자율주행차량이나 스마트팩토리 시설 내의 다양한 운반 차량(AGV 등) 등 인간이 직접 운행하지 않는 자율주행 관련된 차량운행기술 및 관련 인프라 구축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중에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통신 분야 및 자율 주행을 위한 위치정보나 객체 탐색/탐지에 대한 기법은 대다수의 방법들이 RF 무선 주파수 기반에 치중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는 서비스는 주파수의 포화 상태 문제, 각종 단말을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 광통신 방법으로 적외선 통신의 경우, 적외선은 눈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다는 점에서 송신 전력에 제한을 받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실정에 따라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통신 분야에 있어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6254호(발명의 명칭: 밝기 조절 및 가시광 무선통신이 가능한 차량 후미등 제어 장치 및 방법)는 차량의 운행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는 광원의 밝기를 제어하는 밝기 제어값을 생성한 뒤, 상기 운행정보 데이터 및 상기 밝기 제어값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펄스의 단위 펄스 구간 내의 펄스 위치 및 펄스 폭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여 자율주행을 지원하는 일반 도로상의 차량 및 특정시설물(공장/생산시설/물류 운반 지역 등)용 AGV(Automatic Guided Vehicle)용 차량)차량을 위한 차량간 또는 차량 주변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이는 가시광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함과 동시에, 가시광을 수신하는 차량 내부에 최근 급속도로 늘어나는 다양한 멀티카메라들을 이용하여 협업으로 카메라통신을 행하여 자율주행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전송 및 복원하기 위한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자율주행을 지원하는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은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차량 내에 탑재된 멀티 카메라(스마트기기 및 전방, 후방, 상/하 방향 등 360 어라운드뷰 카메라 등)들 기반의 촬영부, 상기 촬영된 영상 중 카메라 통신 송신부의 색상 및 깜빡임을 복조 정보로 이용하여 데이터를 추출하여 복조하는 복조부 및 상기 복조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에 포함된 차량 내 멀티 카메라 통신과 연계된 송신부의 주변 색상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주변 색상값을 통해 주변 광 상태 및 반사도를 산출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을 보정하는 보정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조부는 멀티(여러 개)의 카메라들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보정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가시광 송신부의 색상 및 깜빡임을 복조 정보로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신할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부 및 상기 변조부로부터 변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색상 및 깜빡임을 변화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헤드라이트, 방향 지시등, 후방 라이트, 정지등, 차폭등 과 더불어 시설물에 부착된 LED마커, Light-ID 등 다양한 차량 전방, 측방, 후방. 상향, 하향 등 360도 전방위에 존재하는 Light소스들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조부는 상기 발광부의 전방 또는 후방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의 헤드라이트, 방향 지시등, 후방 라이트, 정지등 및 차폭등 또는 LED마커, Light-ID 등 다양한 차량 전방, 측방, 후방. 상향, 하향 등 360도 전방위에 존재하는 Light소스들중 복수 개의 조합을 반영하여 상기 송신할 데이터를 변조할 수 있다.
상기 자율주행 차량과 상기 카메라 통신 송신부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불가한 경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카메라 통신 송신부와 상기 차량의 사이에 있는 또 다른 카메라 통신 송신부를 탐색하고, 탐색된 카메라 통신 송신부를 중계하여 상기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한 카메라 통신 송신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에서의 카메라 통신 방법은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중 카메라 통신 송신부의 색상 및 깜빡임을 복조 정보로 이용하여 데이터를 추출하여 복조하는 단계; 상기 복조된 데이터를 저장 및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에 포함된 카메라 통신 송신부의 주변 색상값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주변 색상값을 통해 주변 광 상태 및 반사도를 산출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조하는 단계는, 상기 보정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가시광 송신부의 색상 및 깜빡임을 복조 정보로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여 복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신할 데이터를 변조하는 단계 및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색상 및 깜빡임을 변화로 발광부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자율주행을 지원하는 일반 도로상의 차량 및 특정시설물(공장/생산시설/물류 운반 지역 등)용 AGV(Automatic Guided Vehicle)용 차량)차량을 위한, 차량간 또는 차량 주변의 장치와 가시광, 차량 내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카메라(스마트 기기 및 차량의 전방, 후방, 상/하 방향 등 360 어라운드뷰 카메라 등)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경우 데이터 송신은 차량에 이미 구비된 발광부를 통해 송신하고, 데이터 수신은 차량 내의 멀티 카메라(스마트 기기 및 차량의 전방, 후방, 상/하 방향, 360도 어라운드뷰 카메라 등)를 통해 수신 가능하므로 별도의 새로운 장비가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차량에서 카메라 통신을 수행하는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카메라 통신 방법의 데이터 수신 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카메라 통신 방법의 데이터 송신 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100)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간 또는 차량 주변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차량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차량 및 주변 장치를 카메라 통신 송신부라 지칭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는 차량에서 카메라 통신을 수행하는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각 차량(P1, P2)에는 카메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통신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으며, 차량(P1, P2) 주변의 가로등, 신호등과 같은 장치(P3)에도 카메라 통신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어, 차량간(P1, P2) 또는 차량(P1)과 주변 장치(P3)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P1) 내 운전자는 전방 또는 후방 차량(P2)이나 주변 장치(P3)로부터 주변 교통 상황이나 사고 등의 이벤트, 주변 차량의 움직임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타고 있는 차량(P1)의 이벤트 정보, 이동 방향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를 주변 차량(P2)이나 주변 장치(P3)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는 차량(P1)과 차량(P2)의 사이가 멀어져 데이터의 송수신이 불가한 경우, 차량(P1)과 차량(P2) 사이에 있는 가로등과 같은 주변 장치(P3)로 데이터를 송신하면, 주변 장치(P3)는 이를 수신하여 멀리 떨어진 차량(P2)으로의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중계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자율주행 차량은 반드시 자동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1b와 같이 자전거, 열차, 드론, 전동 바이크, AGV 등 교통수단 또는 운반, 이동수단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또한, 주변 장치는 신호등, 가로등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 워치 및 태블릿 PC, 옥외 광고판, 디지털 사이니지 등 다양한 형태의 장치들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100)은 촬영부(110), 복조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촬영부(110)는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다. 이러한 촬영부(110)는 스마트 기기 및 차량의 전방, 후방, 상/하 방향, 360어라운드뷰를 지원하는 카메라로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자율 주행 차량의 경우 자율 주행을 위해 설치된 카메라일 수 있으며, 일반 차량의 경우 블랙박스의 카메라나 또는 차량 내 별도로 설치된 카메라일 수 있다. 차량 내에 이러한 카메라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차량의 ECU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복조부(140)는 촬영된 영상 중 카메라 통신 송신부의 색상 및 깜빡임을 복조 정보로 이용하여 데이터를 추출하여 복조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복조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100)은 입력부(120) 및 보정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카메라 통신 송신부의 주변 색상값을 입력받는다.
보정부(130)는 이러한 주변 색상값을 통해 주변 광 상태 및 반사도를 산출하여, 촬영된 영상을 보정한다.
보정부(130)에서 수행되는 영상 보정은 주변 광이 일정한 상태에서의 색상 보정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주변 광이 일정한 상태는 광량 및 반사도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보정부(130)는 미리 설정된 값에 근접하도록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복조부(140)는 보정된 영상에 기초하여 카메라 통신 송신부의 색상 및 깜빡임을 복조 정보로 이용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100)은 카메라 통신 송신부의 주변 색상으로 인하여 영상에 포함된 데이터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데이터를 수신하는 시간이 낮인지 밤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보정 작업을 통해 데이터를 추출 및 복조하게 되므로 데이터 전송 효율이 더욱 상승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100)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으로 변조부(160) 및 발광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변조부(160)는 송신할 데이터를 변조하고, 발광부(170)는 변조부(160)로부터 변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색상 및 깜빡임의 변화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170)는 차량의 헤드라이트, 방향 지시등, 후방 라이트, 정지등 및 차폭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변조부(160)는 발광부(170)의 전방 또는 후방의 위치에 따라 차량의 헤드라이트, 방향 지시등, 후방 라이트, 정지등 및 차폭등 중 복수 개의 조합을 반영하여 송신할 데이터를 변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조부(160)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두 개의 헤드라이트 중 하나의 헤드라이트만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변조하거나, 두 개 모두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변조할 수 있다. 또는 헤드라이트와 색상이 상이한 두 개의 방향 지시등을 함께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100)은 차량과 카메라 통신 송신부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여 데이터의 송신이 불가한 경우에도 해당 카메라 통신 송신부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발광부(170)는 카메라 통신 송신부와 차량 사이에 있는 다른 카메라 통신 송신부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다른 카메라 통신 송신부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원래 목적지인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한 카메라 통신 송신부로 해당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차량이 제 2 차량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였으나, 제 2 차량이 제 1 차량과 상당 거리 떨어져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제 1 차량과 근접한 가로등 또는 신호등이 이를 수신하여 제 2 차량으로 해당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100)에서의 카메라 통신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카메라 통신 방법의 데이터 수신 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카메라 통신 방법의 데이터 송신 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통신 방법은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한다(S310).
다음으로, 영상에 포함된 카메라 통신 송신부의 주변 색상값을 입력받으면(S320), 주변 색상값을 통해 주변 광 상태 및 반사도를 산출하여 촬영된 영상을 보정한다(S330).
그리고 보정된 영상 중 카메라 통신 송신부의 색상 및 깜빡임을 복조 정보로 이용하여 데이터를 추출 및 복조한다(S340).
이와 같이 복조된 데이터는 저장부(150)에 저장되고 또는 출력부를 통해 출력된다(S350).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100)은 송신할 데이터를 변조하고(S410), 변조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색상 및 깜빡임의 변화로 발광부(170)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한다(S420).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통신 방법은 발광부(170)의 전방 및 후방의 위치와, 발광부(170)의 종류(헤드라이트, 방향 지시등, 후방 라이트, 정지등, 차폭등)를 조합하여 송신할 데이터를 변조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10 내지 S42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아울러, 기타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2에서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3 및 도 4의 카메라 통신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차량간 또는 차량 주변의 장치와 가시광, 차량 내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멀티 카메라(스마트 기기 및 차량의 전방, 후방, 상/하 방향, 360 어라운드뷰 등)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경우 데이터 송신은 자율주행 차량에 이미 구비된 발광부(170)를 통해 송신하고, 데이터 수신은 차량 내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멀티 카메라(스마트 기기 및 차량의 전방, 후방, 상/하 방향, 360 어라운드 뷰 카메라 등) 를 통해 수신 가능하므로 별도의 새로운 장비가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광부(170)의 위치, 색상 및 개수를 조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바, 데이터 전송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과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차량이나 주변 장치 등의 카메라 통신 송신부로도 주변에 있는 다른 카메라 통신 송신부를 통해 중계하여 데이터의 전달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통신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
110: 촬영부
120: 입력부
130: 보정부
140: 복조부
150: 저장부
160: 변조부
170: 발광부

Claims (9)

  1. 자율주행을 지원하는 차량에 있어서,
    차량간 또는 차량 주변의 가시광원을 수신하는 카메라들이 설치된 차량에서 차량에 설치된 복수개의 멀티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송신할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부,
    상기 촬영된 영상 중 카메라 통신 송신부의 색상 및 깜빡임을 복조 정보로 이용하여 멀티 카메라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복조하는 복조부 및
    상기 복조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시광원을 발광하는 발광부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헤드라이트, 방향 지시등, 후방 라이트, 정지등, 차폭등과 더불어 시설물에 부착된 LED마커, Light-ID 등 다양한 차량 전방, 측방, 후방, 상향, 하향을 포함하는 360도 전방위에 존재하는 Light소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변조부는 상기 발광부의 전방 또는 후방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에 장착된 헤드라이트, 방향 지시등, 후방 라이트, 정지등, 차폭등과 더불어 시설물에 부착된 LED마커, Light-ID 등 다양한 차량 전방, 측방, 후방, 상향, 하향 등 360도 전방위에 존재하는 Light소스들중 복수 개의 조합을 반영하여 위치, 색상 및 개수의 조합을 통해 상기 송신할 데이터를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에 포함된 카메라 통신 송신부의 주변 색상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주변 색상값을 통해 주변 광 상태 및 반사도를 산출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을 보정하는 보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조부는 상기 보정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통신 송신부의 색상 및 깜빡임을 복조 정보로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인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부로부터 전적으로 독립적인 자율주행을 행하거나 인간과 더불어 보조적으로 자율주행을 지원하는 차량에 있어서, 차량간 또는 차량 주변의 장치와 가시광, 차량내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변조하고, 변조된 데이터를 멀티 카메라로 수신하여 자율주행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독립적인 자율주행을 행하거나 인간과 더불어 보조적으로 자율주행을 지원하는 차량과 상기 카메라 통신 송신부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불가한 경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카메라 통신 송신부와 상기 차량의 사이에 있는 또 다른 카메라 통신 송신부를 탐색하고, 탐색된 카메라 통신 송신부를 중계하여 상기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한 카메라 통신 송신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
  7.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에서의 카메라 통신 방법에 있어서,
    차량간 또는 차량 주변의 가시광원을 수신하는 카메라들이 설치된 차량에서 차량에 설치된 복수개의 멀티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송신할 데이터를 변조하는 단계;
    상기 영상 중 카메라 통신 송신부의 색상 및 깜빡임을 복조 정보로 이용하여 데이터를 추출하여 복조하는 단계; 및
    상기 복조된 데이터를 저장 및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가시광원을 발광하는 발광부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헤드라이트, 방향 지시등, 후방 라이트, 정지등, 차폭등 과 더불어 시설물에 부착된 LED마커, Light-ID 등 다양한 차량 전방, 측방, 후방, 상향, 하향을 포함하는 360도 전방위에 존재하는 Light소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변조하는 단계는, 상기 발광부의 전방 또는 후방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에 장착된 헤드라이트, 방향 지시등, 후방 라이트, 정지등, 차폭등 과 더불어 시설물에 부착된 LED마커, Light-ID 등 다양한 차량 전방, 측방, 후방, 상향, 하향 등 360도 전방위에 존재하는 Light소스들중 복수 개의 조합을 반영하여 위치, 색상 및 개수의 조합을 통해 상기 송신할 데이터를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통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에 포함된 카메라 통신 송신부의 주변 색상값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주변 색상값을 통해 주변 광 상태 및 반사도를 산출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조하는 단계는,
    상기 보정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통신 송신부의 색상 및 깜빡임을 복조 정보로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여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통신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색상 및 깜빡임을 변화로 발광부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통신 방법.
KR1020160166999A 2016-12-08 2016-12-08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807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999A KR101807511B1 (ko) 2016-12-08 2016-12-08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999A KR101807511B1 (ko) 2016-12-08 2016-12-08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7511B1 true KR101807511B1 (ko) 2018-01-18

Family

ID=61028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999A KR101807511B1 (ko) 2016-12-08 2016-12-08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75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418B1 (ko) * 2019-07-30 2020-02-1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변조 및 복조 방법 및 장치
CN113746903A (zh) * 2021-08-04 2021-12-03 广西科技师范学院 一种应用可见光通信的车联网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5970A (ja) * 2006-07-10 2008-01-24 Tokai Rika Co Ltd 光通信システム
JP2016171476A (ja) * 2015-03-13 2016-09-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復号装置、復号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5970A (ja) * 2006-07-10 2008-01-24 Tokai Rika Co Ltd 光通信システム
JP2016171476A (ja) * 2015-03-13 2016-09-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復号装置、復号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418B1 (ko) * 2019-07-30 2020-02-1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변조 및 복조 방법 및 장치
CN113746903A (zh) * 2021-08-04 2021-12-03 广西科技师范学院 一种应用可见光通信的车联网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2886B2 (en) Driver assistance system with traffic light alert
KR102393845B1 (ko) 동적 범위를 확장하기 위한 다수의 동작 모드들
US10055649B2 (en) Image enhancements for vehicle imaging systems
US105042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age presentation by a vehicle driver assist module
Takai et al. Optical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LED transmitter and camera receiver
US109449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flicker artifacts in imaged light sources
US10564267B2 (en) High dynamic range imaging of environment with a high intensity reflecting/transmitting source
Iwasaki et al. Visible light road-to-vehicle communication using high-speed camera
KR101950850B1 (ko) LED 신호등의 칼라광정보를 통한 신호등객체주변기기로의 IoT 연계형 스마트 가시광 통신장치 및 방법
US201901964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verhead camera-based precision localization for intelligent vehicles
KR101807511B1 (ko) 차량용 카메라 통신 시스템 및 방법
Shahjalal et al. Future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based applications and opportunities for 5G and beyond
KR20210018246A (ko)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정보처리시스템
JP2012054689A (ja) 可視光データ処理装置、可視光通信システム、可視光データ処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22003756A (ja) 可視光通信エミッタ、可視光通信レシーバ、車両および情報装置
Kamiya et al. Achieving Successful VLC Signal Reception Using a Rolling Shutter Image Sensor While Driving at 40 km/h
JP7086632B2 (ja) 車載カメラシステム
Tamang et al.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for vehicular applications: A survey
Islam Convolutional Neural Network-based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System for Internet of Vehicles
CN112769483A (zh) 光源信息传递系统及其实施方法
Patil et al.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LED and Image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