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054B1 -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및 그 탈황 방법 - Google Patents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및 그 탈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054B1
KR101807054B1 KR1020160113807A KR20160113807A KR101807054B1 KR 101807054 B1 KR101807054 B1 KR 101807054B1 KR 1020160113807 A KR1020160113807 A KR 1020160113807A KR 20160113807 A KR20160113807 A KR 20160113807A KR 101807054 B1 KR101807054 B1 KR 101807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ulfurization
lnt
mode
cpf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호
김평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3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054B1/ko
Priority to DE102016121209.1A priority patent/DE102016121209B4/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9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3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in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 F01N3/03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in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with catalytic reactors, e.g. catalysed diesel particulate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080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using absorbents or adsorbents
    • F01N3/0871Regulation of absorbents or adsorbents, e.g. purging
    • F01N3/0885Regeneration of deteriorated absorbents or adsorbents, e.g. desulfurization of NOx tr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9/002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of filter regeneration, e.g. detection of clog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21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 F02D41/023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30/00Influencing exhaust purification, e.g. starting of catalytic reaction, filter regeneration, or the like, by controlling engine operating characteristics
    • F01N2430/06Influencing exhaust purification, e.g. starting of catalytic reaction, filter regeneration, or the like, by controlling engine operating characteristics by varying fuel-air ratio, e.g. by enriching fuel-air mix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70/00Exhaust treating apparatus eliminating, absorbing or adsorbing specific elements or compounds
    • F01N2570/04Sulfur or sulfur ox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02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ammonia or u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900/00Details of electrical control or of the monitoring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2900/06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 F01N2900/16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xhaust apparatus, e.g. particulate filter or catalyst
    • F01N2900/1602Temperature of exhaust gas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900/00Details of electrical control or of the monitoring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2900/06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 F01N2900/16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xhaust apparatus, e.g. particulate filter or catalyst
    • F01N2900/1606Particle filter loading or soot amou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900/00Details of electrical control or of the monitoring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2900/06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 F01N2900/16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xhaust apparatus, e.g. particulate filter or catalyst
    • F01N2900/1612SOx amount trapped in cataly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정화 장치는 배기 파이프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린 녹스 트랩(Lean NOx Trap; LNT) 촉매가 코팅된 LNT 장치와, 제2 LNT 촉매가 코팅된 매연 필터(Catalyzed Particulate Filter; CPF)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촉매 컨버터; 그리고 상기 LNT 장치의 온도와 상기 CPF의 온도를 계산 또는 검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LNT 장치와 CPF에 흡장된 황산화물(SOx)의 양을 계산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LNT 장치와 CPF의 탈황을 제어하며, 상기 CPF의 수트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CPF의 수트 재생을 완료한 후 또는 CPF의 수트 재생을 진행하는 도중 LNT 장치와 CPF의 탈황을 진행하되, 상기 제어기는 LNT 장치의 탈황이 주로 발생하는 제1탈황 모드를 수행한 후, CPF의 탈황이 주로 발생하는 제2탈황 모드 또는 제3탈황 모드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거나, 제1탈황 모드를 수행하지 않고 제2탈황 모드만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및 그 탈황 방법{APPARATUS OF PURIFYING EXHAUST GAS AND DESULFURIZ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및 그 탈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린 녹스 트랩(Lean NOx Trap; LNT) 촉매가 코팅된 LNT 장치와, 제2 LNT 촉매가 코팅된 매연 필터(Catalyzed Particulate Filter; CPF)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촉매 컨버터에서 LNT 장치의 탈황과 CPF의 탈황을 분리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및 그 탈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에서 배기 매니폴드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 가스는 배기 파이프에 설치된 촉매 컨버터(Catalytic Converter)로 유도되어 정화되고, 머플러를 통과하면서 소음이 감쇄된 후 테일 파이프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상기한 촉매 컨버터는 배기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정화한다. 그리고 배기 파이프 상에는 배기 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s: PM)을 포집하기 위한 매연 필터가 장착된다.
질소산화물 저감 촉매(Denitrification Catalyst; DeNOx Catalyst)는 배기 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NOx)을 정화시키는 촉매 컨버터의 한 형식이다. 우레아(Urea), 암모니아(Ammonia), 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Hydrocarbon; HC) 등과 같은 환원제를 배기 가스에 제공하면 질소산화물 저감 촉매에서는 배기 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이 상기 환원제와의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환원되게 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질소산화물 저감 촉매로 LNT(Lean NOx Trap) 촉매가 사용되고 있다. LNT 촉매는 엔진의 공연비가 희박(lean)한 분위기에서 작동되면 배기 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을 흡착하고, 엔진의 공연비가 농후(rich)한 분위기에서 작동되면 흡착된 질소산화물을 탈착하며, 탈착된 질소산화물과 배기 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을 환원시킨다.
그런데, LNT 촉매는 배기 가스의 온도가 높으면(예를 들어, 배기 가스의 온도가 400℃보다 높으면), 배기 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을 정화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차량이 고속 또는 고부하 운전 조건에서 운행을 하면, 배기 가스의 온도가 높아 엔진에 가깝게 배치된 LNT 촉매가 배기 가스 중의 질소산화물을 흡장하지 못하고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건에서는 배기 가스의 유량도 많아 정화되지 못하고 차량 외부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질소산화물의 정화 성능이 크게 악화될 수 있었다.
최근에는, 매연 필터에 촉매를 코팅하여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강화하거나 배기 가스에 포함된 유해 물질을 추가로 제거하도록 하고 있으며, 촉매가 코팅된 매연 필터를 촉매가 코팅된 매연 필터(Catalyzed Particulate Filter; CPF)라고 부르기도 한다.
CPF에서 촉매는 유입 채널과 유출 채널을 구분하는 다공성 월에 코팅되며, 유체는 상기 다공성 월을 지나가며 코팅된 촉매와 접촉하게 된다. 다공성 월에 의하여 구분되는 유입 채널과 유출 채널 사이에는 압력 차이가 존재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유체는 다공성 월을 빠르게 지나가게 된다. 따라서, 촉매와 유체의 접촉 시간이 짧아 촉매 반응이 충분하게 일어나지 못한다.
또한, 다공성 월에 코팅된 촉매가 두꺼우면, 촉매가 월에 형성된 세공(micropore)을 막아 유입 채널로부터 유출 채널로의 유체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압이 증가하게 된다. 배압의 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CPF에서는 월에 촉매가 얇게 코팅되게 된다. 이에 따라, CPF에 코팅된 촉매의 양이 부족해 촉매 반응이 충분하게 일어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입 채널과 유출 채널(이하, 통칭하여 '셀'이라고 한다.)의 개수(밀도)를 증가시켜, 촉매가 코팅될 수 있는 월의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한정된 공간에서 셀의 밀도가 증가하면, 월의 두께가 줄어들게 된다. 월의 두께 감소는 필터 성능을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셀의 밀도도 한계 밀도 이상으로 증가시키지 못한다.
한편, LNT 촉매에서 질소 산화물을 흡착하는 물질은 염기성이기 때문에 배기 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과 함께 황산화물(연료 또는 엔진 오일에 포함된 황 성분이 산화된 물질) 역시 흡착하게 된다. LNT 촉매 내 황 성분의 피독은 LNT 촉매의 정화 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에 따라, LNT 촉매의 탈황 과정이 필요하다.
종래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탈황 방법에 따르면, 매연 필터를 재생한 후 LNT 촉매의 탈황을 진행하였다. 즉, 매연 필터의 재생 과정에서 생성된 고온을 이용하여 LNT 촉매의 탈황을 수행하였다.
그런데, LNT 장치와 LNT 촉매가 코팅된 매연 필터(Catalyzed Particulate Filter; CPF)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서는 LNT 장치와 CPF 중 어느 것을 기준으로 탈황을 진행하여야 하는지를 정하여야 했다. 예를 들어, LNT 장치를 기준으로 탈황을 진행하면, CPF의 온도가 낮아 CPF의 탈황은 제대로 진행되지 않게 된다. 이와는 달리, CPF를 기준으로 탈황을 진행하면, LNT 장치의 온도가 너무 높아 LNT 장치의 열화가 발생할 수 있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엔진에 가까운 곳에 제1 LNT(Lean NOx Trap; LNT) 촉매가 코팅된 LNT 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LNT 장치의 후단에 제2 LNT 촉매가 코팅된 촉매가 코팅된 매연 필터(Catalyzed Particulate Filter; CPF)를 배치하며, LNT 장치를 기준으로 탈황을 진행한 후, CPF의 온도에 따라 CPF의 탈황을 제어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및 그 탈황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매연 필터의 수트 재생을 제1, 제2수트 재생 모드로 나누어 진행하되, LNT 장치의 탈황 후 CPF의 탈황 전에 제2수트 재생 모드를 수행함으로써 CPF의 탈황을 위한 열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및 그 탈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정화장치의 재생 방법은 배기 파이프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린 녹스 트랩(Lean NOx Trap; LNT) 촉매가 코팅된 LNT 장치와, 제2 LNT 촉매가 코팅된 매연 필터(Catalyzed Particulate Filter; CPF)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촉매 컨버터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탈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탈황 방법은 CPF에 포집된 수트(soot)의 재생이 필요하면, 상기 수트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수트의 재생이 완료되면, LNT 장치에 피독된 황산화물(Sox)의 양이 제1한계값보다 많은지 판단하는 단계; LNT 장치에 피독된 황산화물의 양이 제1한계값보다 많으면, 제1탈황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제1탈황모드가 완료되면, CPF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CPF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으면, 제2탈황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탈황 모드 각각은 연한 공연비와 농후한 공연비가 교대로 반복되면서 수행되고, 제1탈황 모드의 농후한 공연비 지속 시간은 제2탈황 모드의 농후한 공연비 지속 시간보다 짧고 제1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의 온도는 제2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의 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탈황 방법은 CPF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이면, 제3탈황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3탈황 모드는 연한 공연비와 농후한 공연비가 교대로 반복되면서 수행되고, 제3탈황 모드의 농후한 공연비 지속 시간은 제2탈황 모드의 농후한 공연비 지속 시간과 동일하고, 제3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의 온도는 제1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의 온도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탈황 방법은 제1탈황 모드를 수행하는 중 탈황 중지 사유가 발생하면, 제1탈황 모드를 중단하는 단계; CPF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CPF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으면, 제2탈황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탈황 방법은 CPF에 포집된 수트(soot)의 재생이 필요하면, 제1수트 재생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제1수트 재생 모드가 완료되면, LNT 장치에 피독된 황산화물(Sox)의 양이 제1한계값보다 많은지 판단하는 단계; LNT 장치에 피독된 황산화물의 양이 제1한계값보다 많으면, 제1탈황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제1탈황모드가 완료되면, 제2수트 재생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제2수트 재생 모드가 완료되면, 제2탈황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탈황 모드 각각은 연한 공연비와 농후한 공연비가 교대로 반복되면서 수행되고, 제1탈황 모드의 농후한 공연비 지속 시간은 제2탈황 모드의 농후한 공연비 지속 시간보다 짧고 제1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의 온도는 제2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의 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탈황 모드는 LNT 장치에 피독된 황산화물의 양이 제1한계값 이하이면, 제2수트 재생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제2수트 재생 모드가 완료되면, 제2탈황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수트 재생 모드의 지속 시간은 제2수트 재생 모드의 지속 시간보다 길 수 있다.
상기 탈황 방법은 제1탈황 모드를 수행하는 중 탈황 중지 사유가 발생하면, 제1탈황 모드를 중단하는 단계; CPF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CPF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으면, 제2탈황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정화 장치는 배기 파이프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린 녹스 트랩(Lean NOx Trap; LNT) 촉매가 코팅된 LNT 장치와, 제2 LNT 촉매가 코팅된 매연 필터(Catalyzed Particulate Filter; CPF)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촉매 컨버터; 그리고 상기 LNT 장치의 온도와 상기 CPF의 온도를 계산 또는 검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LNT 장치와 CPF에 흡장된 황산화물(SOx)의 양을 계산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LNT 장치와 CPF의 탈황을 제어하며, 상기 CPF의 수트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CPF의 수트 재생을 완료한 후 또는 CPF의 수트 재생을 진행하는 도중 LNT 장치와 CPF의 탈황을 진행하되, 상기 제어기는 LNT 장치의 탈황이 주로 발생하는 제1탈황 모드를 수행한 후, CPF의 탈황이 주로 발생하는 제2탈황 모드 또는 제3탈황 모드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거나, 제1탈황 모드를 수행하지 않고 제2탈황 모드만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CPF의 수트 재생을 완료한 후, 제1탈황 모드를 진행하고, 제1탈황 모드가 완료된 때의 CPF의 온도에 따라 제2탈황 모드 또는 제3탈황 모드를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제3탈황 모드 각각은 연한 공연비와 농후한 공연비가 교대로 반복되면서 수행되고, 제1탈황 모드의 농후한 공연비 지속 시간은 제2탈황 모드의 농후한 공연비 지속 시간보다 짧고 제1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의 온도는 제2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의 온도보다 높으며, 제3탈황 모드의 농후한 공연비 지속 시간은 제2탈황 모드의 농후한 공연비 지속 시간과 동일하고, 제3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의 온도는 제1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의 온도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CPF의 수트 재생은 제1수트 재생 모드와 제2수트 재생 모드로 나누어 진행되되, 상기 제어기는 제1수트 재생 모드를 완료한 후, LNT 장치에 피독된 황산화물의 양에 따라 제1탈황 모드의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LNT 장치에 피독된 황산화물의 양이 제1한계값보다 많으면 제1탈황 모드, 제2수트 재생 모드, 제2탈황 모드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탈황 모드 각각은 연한 공연비와 농후한 공연비가 교대로 반복되면서 수행되고, 제1탈황 모드의 농후한 공연비 지속 시간은 제2탈황 모드의 농후한 공연비 지속 시간보다 짧고 제1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의 온도는 제2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의 온도보다 높으며, 제1수트 재생 모드의 지속 시간은 제2수트 재생 모드의 지속 시간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제1탈황 모드의 중단 사유가 발생하면, CPF의 온도에 따라 제2탈황 모드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LNT 장치에 피독된 황산화물의 양이 제1한계값 미만이면, 제2수트 재생 모드, 제2탈황 모드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제1수트 재생 모드의 지속 시간은 제2수트 재생 모드의 지속 시간보다 길 수 있다.
상기 CPF는 유체가 유입되는 일단과, 막혀 있는 타단을 포함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 채널; 막혀 있는 일단과, 유체가 유출되는 타단을 포함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출 채널; 이웃하는 유입 채널과 유출 채널 사이의 경계를 정의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공성 월; 그리고 그 위에 상기 제2 LNT 촉매가 코팅되는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 채널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출 채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LNT 촉매는 상기 다공성 월 상에도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엔진에 가까운 곳에 제1 LNT(Lean NOx Trap; LNT) 촉매가 코팅된 LNT 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LNT 장치의 후단에 제2 LNT 촉매가 코팅된 촉매가 코팅된 매연 필터(Catalyzed Particulate Filter; CPF)를 배치하며, LNT 장치를 기준으로 탈황을 진행한 후, CPF의 온도에 따라 CPF의 탈황을 제어할 수 있다. LNT 장치의 탈황과 CPF의 탈황을 분리하여 진행함으로써, 연비의 악화를 방지하고 CPF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매연 필터의 수트 재생을 제1, 제2수트 재생 모드로 나누어 진행하되, LNT 장치의 탈황 후 CPF의 탈황 전에 제2수트 재생 모드를 수행함으로써 CPF의 탈황을 위한 열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연비의 악화를 더욱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사용되는 촉매가 코팅된 매연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촉매가 코팅된 매연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촉매가 코팅된 매연 필터의 일부 유입 채널과 유출 채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촉매 코팅량에 따른 배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탈황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탈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탈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탈황 방법의 수행 중, 탈황 중지 사유가 발생한 경우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정화 장치는 엔진(10), 배기 파이프(20), 배기 가스 재순환(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장치(30), 촉매 컨버터(40), 선택적 환원(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장치(50), 그리고 제어기(60)를 포함한다.
엔진(10)은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기를 연소시켜 화학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한다. 엔진(10)은 흡기 매니폴드(16)에 연결되어 연소실(12) 내부로 공기를 유입받으며, 연소 과정에서 발생된 배기 가스는 배기 매니폴드(18)에 모인 후 엔진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연소실(12)에는 인젝터(14)가 장착되어 연료를 연소실(12) 내부로 분사한다.
여기에서는 디젤 엔진을 예시하였으나 희박 연소(lean burn) 가솔린 엔진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가솔린 엔진을 사용하는 경우, 흡기 매니폴드(16)를 통하여 혼합기가 연소실(12) 내부로 유입되며, 연소실(12) 상부에는 점화를 위한 점화플러그(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된다. 또한, 가솔린 직접 분사(Gasoline Direct Injection; GDI) 엔진을 사용하는 경우, 디젤 엔진과 마찬가지로 인젝터(14)가 연소실(12)의 상부에 장착된다.
배기 파이프(20)는 상기 배기 매니폴드(18)에 연결되어 배기 가스를 차량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배기 파이프(20) 상에는 촉매 컨버터(40), 선택적 환원 촉매(50)가 장착되어 배기 가스 내에 포함된 유해한 물질을 제거한다.
배기 가스 재순환 장치(30)는 배기 파이프(20) 상에 장착되어 엔진(10)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 일부를 상기 배기 가스 재순환 장치(30)를 통해 엔진(10)에 재공급한다. 또한, 상기 배기 가스 재순환 장치(30)는 상기 흡기 매니폴드(16)에 연결되어 배기 가스의 일부를 공기에 섞어 연소 온도를 제어한다. 이러한 연소 온도의 제어는 제어기(60)의 제어에 의하여 흡기 매니폴드(16)에 공급되는 배기 가스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수행된다. 따라서, 배기 가스 재순환 장치(30)와 흡기 매니폴드(16)를 연결하는 라인 상에는 제어기(60)에 의하여 제어되는 재순환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될 수 있다.
촉매 컨버터(40)는 상기 배기 가스 재순환 장치(30)의 후단 배기 파이프(20) 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린 녹스 트랩(Lean NOx Trap; LNT) 장치(42)와 촉매가 코팅된 매연 필터(Catalyzed Particulate Filter; CPF)(44)를 포함한다. 상기 LNT 장치(42)와 CPF(44)는 상기 촉매 컨버터(40) 내에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LNT 장치(42)는 그 내부에 제1 LNT 촉매가 코팅되어 있다. 상기 LNT 장치(42)는 연한(lean) 분위기에서 배기 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NOx)을 흡장하고, 농후한(rich) 분위기에서 흡장된 질소산화물을 탈착하며 배기 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 또는 탈착된 질소산화물을 환원시키거나 암모니아를 생성한다. 또한, LNT 장치(42)는 배기 가스에 포함된 일산화탄소(CO) 및 탄화수소(HC)를 산화시킨다.
여기에서, 탄화수소는 배출 가스와 연료에 포함된 탄소와 수소로 구성된 화합물을 모두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제1 LNT 촉매는 세리아(CeO2), 바륨(Ba), 백금(Pt)을 포함하는 귀금속을 포함한다. 상기 세리아와 바륨은 질소산화물을 질산염 형태로 흡장하는 기능을 가지며, 백금을 포함하는 귀금속은 질소산화물을 질산염 형태로 산화시키고, 질소산화물과 일산화탄소 또는 탄화수소의 산화-환원 반응을 촉진시킨다.
CPF(44)는 상기 촉매 컨버터(40) 내에서 상기 LNT 장치(42)의 후단에 위치한다. 상기 LNT 장치(42)의 출구와 상기 CPF(44)의 입구 사이의 거리는 설정 거리로 유지된다. 상기 설정 거리는 600mm 이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 거리는 100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설정 거리가 600mm를 초과하면 CPF(44)의 온도가 너무 낮아 재생 온도 또는 탈황 온도를 확보하기가 어렵다. 이와는 달리, 설정 거리가 100mm 미만이면 고속 조건이나 고부하 조건에서 CPF(44)의 온도가 높아 질소산화물을 정화하지 못하고 배출할 수 있다. CPF(44)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사용되는 촉매가 코팅된 매연 필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촉매가 코팅된 매연 필터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촉매가 코팅된 매연 필터의 일부 유입 채널과 유출 채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촉매가 코팅된 매연 필터(44)는 하우징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 채널(11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출 채널(12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유입 채널(110)과 유출 채널(120)은 월(130)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 채널(11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출 채널(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에는 지지체(14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입 채널(110)과 유출 채널(120)은 모두 '셀'로 통칭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하우징의 형상은 원통 형상이고 셀의 형상은 사각형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하우징의 형상과 셀의 형상은 예시된 형상들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하우징은 촉매 컨버터의 하우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유입 채널(110)은 배기 가스의 흐름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유입 채널(110)의 전단은 개구되어 배기 가스가 상기 유입 채널(110)을 통하여 CPF(44)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유입 채널(110)의 후단은 제1플러그(112)에 의하여 막혀 있다. 따라서, CPF(44) 내부의 배기 가스는 유입 채널(110)을 통하여 CPF(44) 외부로 유출될 수 없다.
상기 유출 채널(120)은 배기 가스의 흐름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 채널(11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출 채널(120)의 주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 채널(110)이 위치하고 있다.
예를 들어, 셀의 형상이 사각형이면, 유출 채널(120)의 4개의 면은 월(130)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다. 상기 4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은 유출 채널(120)과, 이에 이웃하는 유입 채널(11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셀의 형상이 사각형이면, 유출 채널(120)은 4개의 이웃하는 유입 채널(110)에 의하여 둘러싸이고 유입 채널(110)은 4개의 이웃하는 유출 채널(120)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상기 유출 채널(120)의 전단은 제2플러그(122)에 의하여 막혀 있어 배기 가스가 유출 채널(120)을 통하여 CPF(44)의 내부로 유입될 수 없다. 상기 유출 채널(120)의 후단은 개구되어 CPF(44) 내부의 배기 가스는 상기 유출 채널(120)을 통하여 CPF(44)의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월(130)은 이웃하는 유입 채널(110)과 유출 채널(120) 사이에 배치되어 경계를 정의한다. 상기 월(130)을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공(micropore)이 형성된 다공성 월(130)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월(130)은 이웃하는 유입 채널(110)과 유출 채널(120)을 유체적으로 연통한다. 따라서, 유입 채널(110)로 유입된 배기 가스는 상기 다공성 월(130)을 통하여 유출 채널(120)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월(130)은 배기 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은 통과시키지 않는다. 배기 가스가 다공성 월(130)을 통하여 유입 채널(110)에서 유출 채널(120)로 이동할 때, 상기 배기 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은 다공성 월(130)에 의하여 걸러진다. 상기 다공성 월(130)은 알루미늄 티타네이트(aluminum titanate), 코디어라이트(codierite), 실리콘 카바이드(silicon carbide) 등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140)는 상기 유입 채널(110)과 유출 채널(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140)는 유입 채널(110)에만 배치될 수도 있고 유출 채널(120)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상기 지지체(140)가 유입 채널(110) 및/또는 유출 채널(20)이 연장되는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상기 지지체(140)는 유입 채널(110) 및/또는 유출 채널(120)이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 또는 비스듬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140)는 유입 채널(110) 및/또는 유출 채널(120)이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 또는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경우, 상기 지지체(140)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셀을 구획하는 다공성 월(130)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140)가 유입 채널(110) 및/또는 유출 채널(120)이 연장되는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경우, 상기 지지체(140)는 채널(110 또는 120)의 전체 길이만큼 연장될 수도 있고, 채널(110 또는 120)의 일부 길이만큼 연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PF(44)에서, 상기 지지체(140)가 적어도 하나의 유입 채널(110)과 적어도 하나의 유출 채널(120)의 내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다공성 월(130)과 지지체(140)에는 동일한 종류의 촉매(150)가 코팅된다. 즉, 다공성 월(130)에 코팅되는 촉매와 상기 지지체(140)에 코팅되는 촉매는 모두 제2 LNT 촉매(150)이다.
상기 다공성 월(130)과 지지체(140)에 코팅되는 제2 LNT 촉매(150)는 세리아(CeO2), 바륨(Ba), 백금(Pt)을 포함하는 귀금속을 포함한다. 상기 다공성 월(130)과 지지체(140)에 코팅되는 제2 LNT 촉매(150)와 상기 LNT 장치(42)에 코팅되는 제1 LNT 촉매는 성분이 동일하나 각 성분의 함량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일반 차량의 경우), 상기 다공성 월(130)과 지지체(140)에 코팅되는 제2 LNT 촉매(150)에 포함된 세리아의 함량은 상기 LNT 장치(42)에 코팅되는 제1 LNT 촉매에 포함된 세리아의 함량보다 10% 이상 높고, 상기 다공성 월(130)과 지지체(140)에 코팅되는 제2 LNT 촉매(150)에 포함된 백금의 함량은 상기 LNT 장치(42)에 코팅되는 제1 LNT 촉매에 포함된 백금의 함량보다 10% ~ 50% 높을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월(130)과 지지체(140)에 코팅되는 제2 LNT 촉매(150)는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재생(농후한 분위기에서 질소산화물을 탈착하여 환원시키는 것을 의미) 및 탈황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상기 다공성 월(130)과 지지체(140)에 코팅되는 제2 LNT 촉매(150)에서 세리아의 함량을 높여 농후한 분위기에서 발열이 증가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다공성 월(130)과 지지체(140)에 코팅되는 제2 LNT 촉매(150)에서 백금 함량을 높여 발열이 증가하도록 하고 질소산화물과 일산화탄소 또는 탄화수소의 반응이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하였다.
다른 실시예에서(고배기량 차량), 상기 다공성 월(130)과 지지체(140)에 코팅되는 제2 LNT 촉매(150)에 포함된 세리아의 함량은 상기 LNT 장치(42)에 코팅되는 제1 LNT 촉매에 포함된 세리아의 함량보다 10% 이상 낮고, 상기 다공성 월(130)과 지지체(140)에 코팅되는 제2 LNT 촉매(150)에 포함된 바륨의 함량은 상기 LNT 장치(42)에 코팅되는 제1 LNT 촉매에 포함된 바륨의 함량보다 10% 이상 높을 수 있다. 이러한 함량을 통하여, CPF(44)는 300℃ ~ 450℃의 고온에서 질소산화물의 흡장 및 환원에 적합하다.
한편, 지지체(140)는 필터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제2 LNT 촉매(150)를 잡아 두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이므로, 반드시 다공성 재질로 제작될 필요가 없다. 즉, 지지체(140)는 상기 다공성 월(130)과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거나 다른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지지체(140)가 다공성 재질로 제작된다고 하더라도, 지지체(140)에 의하여 구획되는 채널(110 또는 120)의 두 부분 사이에는 압력 차이가 거의 없으므로, 배기 가스는 거의 지지체를 통과하지 않고 지지체(140)와 월(13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지지체(140)는 필터의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지지체(140)를 두껍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 즉, 지지체(140)의 두께는 월(13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배압의 증가를 최소화하게 된다.
도 5는 촉매 코팅량에 따른 배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압을 감소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CPF에는 120(g/L) 이상의 촉매를 코팅하기는 어려웠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180(g/L)의 촉매를 CPF(44)에 코팅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압의 증가는 최소화하면서 CPF(44)에 코팅되는 촉매(150)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배기 가스의 정화 성능이 향상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PF(44)는 제2 LNT 촉매(150)를 포함하므로, 상기 CPF(44)는 연한(lean) 분위기에서 배기 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NOx)을 흡장하고, 농후한(rich) 분위기에서 흡장된 질소산화물을 탈착하며 배기 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 또는 탈착된 질소산화물을 환원시키거나 암모니아를 생성한다. 또한, CPF(44)는 배기 가스에 포함된 일산화탄소(CO) 및 탄화수소(HC)를 산화시키고, 배기 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포집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촉매 컨버터(40)의 후단 배기 파이프(20) 상에는 SCR 장치(60)가 배치된다. 상기 SCR 장치(60)는 그 내부에 SCR 촉매가 코팅되어 상기 촉매 컨버터(40)에서 질소산화물이 완벽하게 정화되지 못하는 경우, 질소산화물을 추가적으로 환원시킬 수 있다. 즉, SCR 장치(60)는 촉매 컨버터(40)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를 이용하여 배기 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을 환원시킨다. 상기 SCR 장치(60)는 상기 촉매 컨버터(40)와는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배기 파이프(20)에는 다양한 센서들이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촉매 컨버터(40)의 전단 배기 파이프(20)에는 제1람다 센서(62)와 제1온도 센서(64)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람다 센서(62)는 상기 촉매 컨버터(40)(즉, LNT 장치(42))에 유입되는 배기 가스의 람다값(이하, 'LNT 장치의 입구 람다값'이라 합니다.)을 측정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기(60)에 전달한다.
상기 제1온도 센서(64)는 상기 촉매 컨버터(40)(즉, LNT 장치(42))에 유입되는 배기 가스의 온도를 측정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기(60)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LNT 장치(42)의 후단 배기 파이프(20)에는 제2람다 센서(66)와 제2온도 센서(68)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람다 센서(66)는 상기 LNT 장치(42)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람다값(이하, 'LNT 장치의 출구 람다값'이라 합니다.)을 측정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기(60)에 전달한다. 상기 제1람다 센서(62)와 제2람다 센서(66)의 검출값을 기초로 상기 제어기(60)는 LNT 장치(42)의 재생(농후한 공연비를 조성하여 LNT 장치(42)에 흡장된 질소산화물을 탈착하고 환원시킴) 및 탈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온도 센서(68)는 상기 LNT 장치(42)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온도를 측정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기(60)에 전달한다. 상기 제1온도 센서(64)와 제2온도 센서(68)의 검출값을 기초로 상기 제어기(60)는 상기 LNT 장치(42)의 온도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LNT 장치(42)의 온도는 제1온도 센서(64)와 제2온도 센서(68)의 검출값의 평균일 수 있다.
상기 CPF(44)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차압 센서(70)가 장착되고, 상기 촉매 컨버터(40)의 후단 배기 파이프(20)에는 제3람다 센서(72)가 장착된다.
상기 차압 센서(70)는 CPF(44)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압력 차이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기(60)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기(60)는 상기 차압센서(66)에서 측정된 압력 차이가 설정 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CPF(44)에 포집된 수트를 태우도록(이하, CPF(44)의 '수트 재생'이라 합니다.)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젝터(14)에서 연료를 후분사함으로써 CPF(44) 내부에 포집된 입자상 물질을 연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3람다 센서(72)는 상기 CPF(44)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람다값(이하, 'CPF의 출구 람다값'이라 합니다.)을 측정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기(60)에 전달한다. 상기 제1람다 센서(62)와 제3람다 센서(72)의 검출값을 기초로 상기 제어기(60)는 LNT 장치(42)와 CPF(44)의 재생 밑 탈황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제2람다 센서(66)와 제3람다 센서(72)의 검출값을 기초로 상기 제어기(60)는 CPF(44)의 재생 및 탈황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기(60)는 각 센서들에서 검출된 신호들을 기초로 LNT 장치(42)와 CPF(44)의 재생 시점을 판단하고, LNT 장치(42)와 CPF(44)의 재생 시점을 기초로 린/리치 제어를 제어한다. 일 예로, 제어기(60)는 공연비를 농후한 분위기로 제어함으로써 LNT 장치(42) 및/또는 CPF(44)에서 질소산화물을 제거(본 명세서에서는 '재생'이라고 한다)하도록 할 수 있다. 린/리치 제어는 인젝터(14)에서 분사되는 연료의 양 및 분사 시기를 조절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기(60)는 각 센서들에서 검출된 신호들을 기초로 LNT 장치(42)와 CPF(44)의 탈황 시점을 판단하고, LNT 장치(42)와 CPF(44)의 탈황 시점을 기초로 연한 분위기와 농후한 분위기가 교대로 조성되도록 제어한다. 일 예로, 제어기(60)는 농후한 분위기와 연한 분위기가 교대로 반복되도록 제어함으로써 LNT 장치(42) 및/또는 CPF(44)에 피독된 황산화물(SOx)을 제거(본 명세서에서는 '탈황'이라고 한다)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기(60)는 복수의 맵들과 LNT 장치(42) 및 CPF(44)의 특성들을 정의하는 복수의 모델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것들을 기초로 LNT 장치(42)에 흡장되는 NOx 양, LNT 장치(42)에 피독되는 황산화물의 양, CPF(44)에 흡장되는 NOx 양, CPF(44)에 피독되는 황산화물의 양, LNT 장치(42)의 온도 및/또는 CPF(44)의 온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60)는 LNT 장치(42) 및 CPF(44)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맵들 및 모델들은 수많은 실험에 의하여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60)는 LNT 장치(42) 및 CPF(44)의 탈황을 진행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제어기(6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탈황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 운전 조건(배기 가스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지 않은 조건)에서 배기 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은 주로 LNT 장치(42)에 흡장되게 된다. 만일 차량이 고속 또는 고부하 조건에서 운행 중이면, 배기 가스의 온도가 높아 LNT 장치(42)는 질소산화물을 거의 흡장하지 못한다. 이 때, CPF(44)는 LNT 장치(42)의 후단에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CPF(44)의 온도가 LNT 장치(42)의 온도보다 낮다. 따라서, 고온 또는 고부하 조건에서는 CPF(44)가 배기 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을 주로 흡장하게 된다. 또한, CPF(44)는 열용량이 커서 온도 변화가 적어 고속 또는 고부하 조건에서 CPF(44)로부터 질소산화물의 열탈착이 줄어들게 된다. 더 나아가, 질소산화물의 산화/흡장 반응과 경쟁 반응을 하는 CO/HC가 LNT 장치(42)에서 대부분 정화되므로 질소산화물의 흡장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 촉매 컨버터(40)의 후단 배기 파이프(20) 상에 SCR 장치(60)를 배치함으로써, 촉매 컨버터(40)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를 이용하여 배기 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을 최종적으로 환원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탈황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탈황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람다 센서(62), 제1온도 센서(64), 제2람다 센서(66), 제2온도 센서(68), 차압 센서(70), 제3람다 센서(72), 흡기량 센서(74), 압력 센서(76)는 제어기(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검출한 값들을 제어기(60)에 전달한다.
제1람다 센서(62)는 LNT 장치(42)의 입구 람다값을 측정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기(60)에 전달한다. 통상적으로, 람다는 이론 공연비에 대한 실제 공연비의 비를 나타내며, 람다가 1을 초과하면 희박한 분위기로 보고, 람다가 1 미만이면 농후한 분위기로 본다.
제1온도 센서(64)는 상기 촉매 컨버터(40)에 유입되는 배기 가스의 온도를 측정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기(60)에 전달한다.
제2람다 센서(66)는 LNT 장치(42)의 출구 람다값을 측정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기(60)에 전달한다.
제2온도 센서(68)는 LNT 장치(42)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온도를 측정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기(60)에 전달한다.
차압 센서(70)는 CPF(44)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압력 차이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기(60)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기(60)는 상기 차압센서(66)에서 측정된 압력 차이가 설정 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CPF(44)에 포집된 수트를 태우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3람다 센서(72)는 CPF(44)의 출구 람다값을 측정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기(60)에 전달한다.
흡기량 센서(11)는 엔진(10)의 흡기 장치에 공급되는 흡기의 양을 검출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기(60)에 전달한다.
압력 센서(11)는 엔진(10)의 연소 압력을 측정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기(60)에 전달한다.
제어기(60)는 상기 검출된 값을 기초로 LNT 장치(42)의 온도와 CPF(44)의 온도를 계산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60)는 엔진(10)에 공급된 연료의 양을 기초로 엔진(10)에서 발생되는 황산화물(SOx)의 양을 계산하고, 엔진(10)에서 발생되는 황산화물의 양과 LNT 장치(42)의 온도 및 배기 유량을 기초로 LNT 장치(42)에 피독되는 황산화물의 양을 계산하며, LNT 장치(42)에 피독된 황산화물의 양, LNT 장치(42)의 온도 및 탈황 시 LNT 장치(42)에서 배출되는 황산화물의 양을 기초로 LNT 장치(42)에서 슬립되는 황산화물의 양을 계산하고, LNT 장치(42)에서 슬립되는 황산화물의 양, CPF(44)의 온도 및 배기 유량을 기초로 CPF(44)에 피독되는 황산화물의 양을 계산한다. 또한, 제어기(60)는 LNT 장치(42)에 피독되는 SOx의 양, CPF(44)에 흡장되는 SOx의 양, LNT(42)의 온도, CPF(44)의 온도 등을 기초로 LNT 장치(42)와 CPF(44)의 탈황 시점을 결정하고, 인젝터(14)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인젝터(14)에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는 도 6에 기재된 센서들 외에 다수의 센서들이 장착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탈황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탈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10)의 운전 중에(S200) 제어기(60)는 CPF(44)의 수트 재생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S210).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차압센서(66)에서 측정된 압력 차이가 설정 압력 이상인 경우, 제어기(60)는 CPF(44)의 수트 재생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S210 단계에서 CPF(44)의 수트 재생이 필요하지 않으면, 상기 탈황 방법은 S200 단계로 돌아가 엔진(10)을 계속하여 운전한다. S210 단계에서 CPF(44)의 재생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제어기(60)는 CPF(44)의 수트 재생을 수행한다(S220). 즉, 연한 분위기에서 인젝터(14)가 연료를 후분사하도록 하여 배기 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온도가 상승된 배기 가스에 의하여 CPF(44)에 포집된 수트가 태워진다. 상기 CPF(44)의 수트 재생은 CPF(44)의 온도가 수트가 탈 수 있는 온도까지 상승된 상태에서 설정된 수트 재생 지속 시간 동안 계속된다. 상기 지속 시간은 수트의 재생 목표량만큼 수트를 태울 수 있는 시간으로 미리 설정된다.
또한, 제어기(60)는 LNT 장치(42)에 피독된 황산화물의 양을 계산하고(S230), CPF(44)에 피독된 황산화물의 양을 계산한다(S240).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LNT 장치(42)에 피독되는 황산화물의 양은 엔진(10)에서 발생되는 황산화물의 양과 LNT 장치(42)의 온도 및 배기 유량을 기초로 계산되고, CPF(44)에 피독되는 황산화물의 양은 LNT 장치(42)에서 슬립되는 황산화물의 양, CPF(44)의 온도 및 배기 유량을 기초로 계산된다.
제어기(60)는 CPF(44)의 수트 재생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50). 즉, CPF(44)의 수트 재생이 설정된 지속 시간 동안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S250 단계에서 CPF(44)의 수트 재생이 완료되지 않았다면, 상기 탈황 방법은 S220 단계로 돌아간다. 만일 S250 단계에서 수트 재생이 완료되었다면, 제어기(60)는 LNT 장치(42)에 피독된 황산화물의 양이 제1한계값보다 많은지를 판단한다(S260).
만일 S260 단계에서 LNT 장치(42)에 피독된 황산화물의 양이 제1한계값 이하이면, 상기 탈황 방법은 종료된다. 통상적으로, 엔진(10)에서 발생된 황산화물은 먼저 LNT 장치(42)에 유입되어 피독되게 된다. 만일 LNT 장치(42)에 피독된 황산화물의 양이 많지 않다면, 제어기(60)는 LNT 장치(42)와 CPF(44)의 탈황을 진행하지 않는다.
만일 S260 단계에서 LNT 장치(42)에 피독된 황산화물의 양이 제1한계값보다 많으면, 제어기(60)는 제1탈황 모드를 수행/완료한다(S270). 제1탈황 모드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탈황 모드는 연한 공연비와 농후한 공연비가 교대로 반복되면서 수행된다. 수트 재생이 완료되면, 제어기(60)는 연한 분위기에서 연료를 후분사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배기 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 LNT 장치(42)의 온도도 상상한다. LNT 장치(42)의 온도가 제1리치 모드 진입 온도까지 상승하면, 제어기(60)는 공연비를 농후한 분위기가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LNT 장치(42)의 탈황을 시작한다. 상기 농후한 분위기가 제1지속 시간만큼 지속되면, LNT 장치(42)의 온도가 상승되어 LNT 장치(42)가 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60)는 공연비를 연한 분위기가 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LNT 장치(42)의 온도가 하강한다. 만일 LNT 장치(42)의 온도가 제1리치 모드 진입 온도까지 하강하면, 제어기(60)는 공연비를 다시 농후한 분위기가 되도록 제어한다. 제어기(60)는 상기 과정들을 반복하며 LNT 장치(42)에 피독된 황산화물의 양을 계속 계산한다. 만일 LNT 장치(42)에 피독된 황산화물의 양이 제2한계값 이하가 되면, 제어기(60)는 제1탈황 모드를 종료한다.
여기서, 제1리치 모드 진입 온도는 600℃ ~ 65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제1지속 시간은 10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더 나아가, 제어기(60)는 LNT 장치(42)의 온도 대신 연한 분위기 지속 시간을 기준으로 농후한 분위기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기(60)는 연한 분위기가 연한 분위기 지속 시간만큼 지속되면 농후한 분위기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탈황 모드가 완료되면, 제어기(60)는 CPF(44)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은지를 판단한다(S280). 만일 CPF(44)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으면 제어기(60)는 제2탈황 모드를 수행/완료하고(S290), 만일 CPF(44)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이면, 제3탈황 모드를 수행/완료한다(S295). 제2, 제3탈황 모드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탈황 모드와 제3탈황 모드는 제1탈황 모드와 유사하게 진행된다. 다만, 제2탈황 모드와 제3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42)의 온도는 제1탈황 모드의 제1리치 모드 진입 온도와 다르고, 제2탈황 모드와 제3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의 지속 시간은 제1탈황 모드의 제1지속 시간과는 다르다. 즉, 제2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는 제2지속 시간만큼 지속되되, 제2지속 시간은 제1지속 시간보다는 길다. 일 예로, 제2지속 시간은 14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제2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42)의 온도는 제2리치 모드 진입 온도로 설정되되, 제2리치 모드 진입 온도는 제1리치 모드 진입 온도보다 낮다. 일 예로, 제2리치 모드 진입 온도는 550℃ ~ 60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제2리치 모드 진입 온도는 상기 설정 온도와 동일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제3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는 제3지속 시간만큼 지속되되, 제3지속 시간은 제1지속 시간보다는 길다. 일 예로, 제3지속 시간은 14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제3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42)의 온도는 제3리치 모드 진입 온도로 설정되되, 제3리치 모드 진입 온도는 제1리치 모드 진입 온도와 동일하다. 일 예로, 제3리치 모드 진입 온도는 600℃ ~ 65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정리하자면, 농후한 공연비의 지속 시간은 제1탈황 모드에서는 가장 짧고 제2탈황 모드와 제3탈황 모드에서는 동일하다. 또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42)의 온도는 제2탈황 모드에서 가장 낮고 제1탈황 모드와 제3탈황 모드에서는 동일하다. 제1탈황 모드에서는 LNT 장치(42)의 탈황이 주로 진행되고, 제2, 제3탈황 모드에서는 CPF(44)의 탈황이 주로 진행된다. 제2탈황 모드에서는 CPF(44)의 탈황을 위한 충분한 온도가 확보되었으므로, 보다 낮은 온도에서 리치 모드에 진입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LNT 장치(42)가 열화되지 않고도 상승시킬 수 있는 온도가 충분하다. 따라서, CPF(44) 탈황의 효율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2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의 지속 시간을 길게 설정한다. 이와는 달리, 제3탈황 모드에서는 CPF(44)의 탈황을 위한 충분한 온도가 확보되지 못하였으므로, 보다 높은 온도에서 리치 모드에 진입하도록 하였다. CPF(44) 탈황의 효율을 확보하기 위하여 LNT 장치(42)의 열화를 어느 정도 감수하더라도 제3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의 지속 시간을 길게 설정한다.
S290 단계 또는 S295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탈황 방법은 종료된다.
한편, 도 7에서 S230 단계와 S240 단계는 S220 단계와 S250 단계 사이에 수행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230 단계 또는 S240 단계는 S250 단계 이후에 진행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탈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탈황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탈황 방법과 유사하나, CPF(44)의 수트 재생을 두 가지 수트 재생 모드로 나누어 수행하는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차이점을 위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탈황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10)의 운전 중에(S300) 제어기(60)는 CPF(44)의 수트 재생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S310).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차압센서(66)에서 측정된 압력 차이가 설정 압력 이상인 경우, 제어기(60)는 CPF(44)의 수트 재생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S310 단계에서 CPF(44)의 수트 재생이 필요하지 않으면, 상기 탈황 방법은 S300 단계로 돌아가 엔진(10)을 계속하여 운전한다. S310 단계에서 CPF(44)의 재생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제어기(60)는 제1수트 재생 모드에 진입한다(S320). 제1수트 재생 모드에서는 목표 수트 재생량의 70%가 재생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CPF(44)의 온도가 수트가 탈 수 있는 온도까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설정된 수트 재생 지속 시간의 70%동안 제1수트 재생 모드를 지속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제1수트 재생 모드를 수행하는 동안, 제어기(60)는 LNT 장치(42)에 피독된 황산화물의 양을 계산하고(S320), CPF(44)에 피독된 황산화물의 양을 계산한다(S340).
그 후, 제어기(60)는 LNT 장치(42)에 피독된 황산화물의 양이 제1한계값보다 큰 지를 판단한다(S350). 만일 S350 단계에서 LNT 장치(42)에 피독된 황산화물의 양이 제1한계값 이하이면, 상기 탈황 방법은 S380 단계로 진행한다. 만일 S350 단계에서 LNT 장치(42)에 피독된 황산화물의 양이 제1한계값보다 보다 크면, 제어기(60)는 제1탈황 모드를 수행/완료한다(S370).
그 후, 제어기(60)는 제2수트 재생 모드에 진입/완료한다(S380). 제2수트 재생 모드에서는 제1수트 재생 모드에서 재생되고 남은 수트가 재생되도록 한다. 제2수트 재생 모드에서 수트의 일부를 태움으로써 제2탈황 모드를 원활히 수행 가능하도록 배기 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그 후, 제어기(60)는 제2탈황 모드를 수행/완료하고(S390), 탈황 방법을 종료한다.
도 8에 도시된 탈황 방법에서 제1탈황 모드와 제2탈황 모드는 도 7에 도시된 탈황 방법의 제1탈황 모드와 제2탈황 모드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한편, 도 8에서 S330 단계 내지 S350 단계는 S320 단계와 S360 단계 사이에 수행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330 단계, S340 단계, 또는 S350 단계는 S360 단계 이후에 진행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탈황 방법의 수행 중, 탈황 중지 사유가 발생한 경우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탈황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탈황 방법 및 도 8에 도시된 탈황 방법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S400 단계에서 제1탈황 모드가 수행되는 도중에 제어기(60)는 탈황 중지 사유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10). 탈황 중지 사유는, 예를 들어 급감속 등으로 배기 가스의 온도가 하강하여 LNT 장치(42)의 탈황을 수행하면 연비가 매우 악화되는 경우일 수 있다.
만일 S410 단계에서 탈황 중지 사유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상기 탈황 방법은 S400 단계로 돌아간다. 만일 S410 단계에서 탈황 중지 사유가 발생하였으면, 제어기(60)는 제1탈황 모드를 중단한다.
그 후, 제어기(60)는 CPF(44)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은지를 판단한다(S430). 제1탈황 모드가 중단되면, LNT 장치(42)의 온도는 비교적 빠르게 하강하나 CPF(44)의 온도는 큰 열용량 덕택에 비교적 천천히 하강한다. 따라서, 제1탈황 모드가 중단되더라도, 연비의 큰 악화 없이 CPF(44)의 탈황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만일 S430 단계에서 CPF(44)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이면, 제어기(60)는 탈황 방법을 종료한다. 만일 S430 단계에서 CPF(44)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으면, 제어기(60)는 제2탈황 모드를 수행/완료하고 탈황 방법을 종료한다.
도 9에 도시된 탈황 방법에서 제2탈황 모드는 도 7에 도시된 탈황 방법의 제2탈황 모드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Claims (18)

  1. 배기 파이프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린 녹스 트랩(Lean NOx Trap; LNT) 촉매가 코팅된 LNT 장치와, 제2 LNT 촉매가 코팅된 매연 필터(Catalyzed Particulate Filter; CPF)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촉매 컨버터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탈황 방법에 있어서,
    CPF에 포집된 수트(soot)의 재생이 필요하면, 상기 수트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수트의 재생이 완료되면, LNT 장치에 피독된 황산화물(Sox)의 양이 제1한계값보다 많은지 판단하는 단계;
    LNT 장치에 피독된 황산화물의 양이 제1한계값보다 많으면, 제1탈황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제1탈황모드가 완료되면, CPF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CPF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으면, 제2탈황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탈황 모드 각각은 연한 공연비와 농후한 공연비가 교대로 반복되면서 수행되고,
    제1탈황 모드의 농후한 공연비 지속 시간은 제2탈황 모드의 농후한 공연비 지속 시간보다 짧고 제1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의 온도는 제2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의 온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탈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CPF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이면, 제3탈황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3탈황 모드는 연한 공연비와 농후한 공연비가 교대로 반복되면서 수행되고, 제3탈황 모드의 농후한 공연비 지속 시간은 제2탈황 모드의 농후한 공연비 지속 시간과 동일하고, 제3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의 온도는 제1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의 온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탈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1탈황 모드를 수행하는 중 탈황 중지 사유가 발생하면, 제1탈황 모드를 중단하는 단계;
    CPF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CPF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으면, 제2탈황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탈황 방법.
  4. 배기 파이프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린 녹스 트랩(Lean NOx Trap; LNT) 촉매가 코팅된 LNT 장치와, 제2 LNT 촉매가 코팅된 매연 필터(Catalyzed Particulate Filter; CPF)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촉매 컨버터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탈황 방법에 있어서,
    CPF에 포집된 수트(soot)의 재생이 필요하면, 제1수트 재생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제1수트 재생 모드가 완료되면, LNT 장치에 피독된 황산화물(Sox)의 양이 제1한계값보다 많은지 판단하는 단계;
    LNT 장치에 피독된 황산화물의 양이 제1한계값보다 많으면, 제1탈황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제1탈황모드가 완료되면, 제2수트 재생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제2수트 재생 모드가 완료되면, 제2탈황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탈황 모드 각각은 연한 공연비와 농후한 공연비가 교대로 반복되면서 수행되고,
    제1탈황 모드의 농후한 공연비 지속 시간은 제2탈황 모드의 농후한 공연비 지속 시간보다 짧고 제1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의 온도는 제2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의 온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탈황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LNT 장치에 피독된 황산화물의 양이 제1한계값 이하이면, 제2수트 재생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제2수트 재생 모드가 완료되면, 제2탈황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탈황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제1수트 재생 모드의 지속 시간은 제2수트 재생 모드의 지속 시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탈황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제1탈황 모드를 수행하는 중 탈황 중지 사유가 발생하면, 제1탈황 모드를 중단하는 단계;
    CPF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CPF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으면, 제2탈황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탈황 방법.
  8. 배기 파이프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린 녹스 트랩(Lean NOx Trap; LNT) 촉매가 코팅된 LNT 장치와, 제2 LNT 촉매가 코팅된 매연 필터(Catalyzed Particulate Filter; CPF)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촉매 컨버터; 그리고
    상기 LNT 장치의 온도와 상기 CPF의 온도를 계산 또는 검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LNT 장치와 CPF에 흡장된 황산화물(SOx)의 양을 계산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LNT 장치와 CPF의 탈황을 제어하며, 상기 CPF의 수트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CPF의 수트 재생을 완료한 후 또는 CPF의 수트 재생을 진행하는 도중 LNT 장치와 CPF의 탈황을 진행하되,
    상기 제어기는 LNT 장치의 탈황이 주로 발생하는 제1탈황 모드를 수행한 후, CPF의 탈황이 주로 발생하는 제2탈황 모드 또는 제3탈황 모드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거나, 제1탈황 모드를 수행하지 않고 제2탈황 모드만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CPF의 수트 재생을 완료한 후, 제1탈황 모드를 진행하고, 제1탈황 모드가 완료된 때의 CPF의 온도에 따라 제2탈황 모드 또는 제3탈황 모드를 선택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탈황 모드 각각은 연한 공연비와 농후한 공연비가 교대로 반복되면서 수행되고,
    제1탈황 모드의 농후한 공연비 지속 시간은 제2탈황 모드의 농후한 공연비 지속 시간보다 짧고 제1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의 온도는 제2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의 온도보다 높으며,
    제3탈황 모드의 농후한 공연비 지속 시간은 제2탈황 모드의 농후한 공연비 지속 시간과 동일하고, 제3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의 온도는 제1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의 온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1. 배기 파이프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린 녹스 트랩(Lean NOx Trap; LNT) 촉매가 코팅된 LNT 장치와, 제2 LNT 촉매가 코팅된 매연 필터(Catalyzed Particulate Filter; CPF)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촉매 컨버터; 그리고
    상기 LNT 장치의 온도와 상기 CPF의 온도를 계산 또는 검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LNT 장치와 CPF에 흡장된 황산화물(SOx)의 양을 계산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LNT 장치와 CPF의 탈황을 제어하며, 상기 CPF의 수트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CPF의 수트 재생을 완료한 후 또는 CPF의 수트 재생을 진행하는 도중 LNT 장치와 CPF의 탈황을 진행하되,
    상기 제어기는 LNT 장치의 탈황이 주로 발생하는 제1탈황 모드를 수행한 후, CPF의 탈황이 주로 발생하는 제2탈황 모드 또는 제3탈황 모드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거나, 제1탈황 모드를 수행하지 않고 제2탈황 모드만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CPF의 수트 재생은 제1수트 재생 모드와 제2수트 재생 모드로 나누어 진행되되,
    상기 제어기는 제1수트 재생 모드를 완료한 후, LNT 장치에 피독된 황산화물의 양에 따라 제1탈황 모드의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LNT 장치에 피독된 황산화물의 양이 제1한계값보다 많으면 제1탈황 모드, 제2수트 재생 모드, 제2탈황 모드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탈황 모드 각각은 연한 공연비와 농후한 공연비가 교대로 반복되면서 수행되고,
    제1탈황 모드의 농후한 공연비 지속 시간은 제2탈황 모드의 농후한 공연비 지속 시간보다 짧고 제1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의 온도는 제2탈황 모드에서 농후한 공연비에 진입하는 LNT 장치의 온도보다 높으며,
    제1수트 재생 모드의 지속 시간은 제2수트 재생 모드의 지속 시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제1탈황 모드의 중단 사유가 발생하면, CPF의 온도에 따라 제2탈황 모드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LNT 장치에 피독된 황산화물의 양이 제1한계값 미만이면, 제2수트 재생 모드, 제2탈황 모드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수트 재생 모드의 지속 시간은 제2수트 재생 모드의 지속 시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7. 제8항 및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CPF는
    유체가 유입되는 일단과, 막혀 있는 타단을 포함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 채널;
    막혀 있는 일단과, 유체가 유출되는 타단을 포함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출 채널;
    이웃하는 유입 채널과 유출 채널 사이의 경계를 정의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공성 월; 그리고
    그 위에 상기 제2 LNT 촉매가 코팅되는 지지체;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 채널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출 채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LNT 촉매는 상기 다공성 월 상에도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KR1020160113807A 2016-09-05 2016-09-05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및 그 탈황 방법 KR101807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807A KR101807054B1 (ko) 2016-09-05 2016-09-05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및 그 탈황 방법
DE102016121209.1A DE102016121209B4 (de) 2016-09-05 2016-11-07 Abgasreinigungsvorrichtung und Entschwefelungsverfahren dav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807A KR101807054B1 (ko) 2016-09-05 2016-09-05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및 그 탈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7054B1 true KR101807054B1 (ko) 2017-12-08

Family

ID=60920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807A KR101807054B1 (ko) 2016-09-05 2016-09-05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및 그 탈황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07054B1 (ko)
DE (1) DE102016121209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635A (ko) * 2018-12-14 2020-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 정화 장치의 내구수명 향상을 위한 배기 정화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1825A (ja) * 2005-04-08 2006-10-26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2014131795A (ja) * 2012-12-03 2014-07-17 Ngk Insulators Ltd ハニカム触媒体
KR101592746B1 (ko) * 2014-07-29 2016-0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작동온도 영역이 확대된 LNT 시스템의 NOx 환원방법 및 SOx 탈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8756A1 (de) 1999-04-24 2000-10-26 Volkswagen Ag Anordnung zur Reinigung eines Abgases einer Verbrennungs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Anordnung
US8555617B2 (en) 2009-03-26 2013-10-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xhaust gas treatment system including a four-way catalyst and urea SCR catalys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048112B1 (ko) 2009-12-02 2011-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연 기관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및 이의 탈황 방법
KR102271239B1 (ko) 2015-03-23 2021-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E102015212846A1 (de) 2015-07-09 2017-01-1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bgasnachbehandlung einer Brennkraftmas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1825A (ja) * 2005-04-08 2006-10-26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2014131795A (ja) * 2012-12-03 2014-07-17 Ngk Insulators Ltd ハニカム触媒体
KR101592746B1 (ko) * 2014-07-29 2016-0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작동온도 영역이 확대된 LNT 시스템의 NOx 환원방법 및 SOx 탈황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635A (ko) * 2018-12-14 2020-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 정화 장치의 내구수명 향상을 위한 배기 정화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
KR102563490B1 (ko) 2018-12-14 2023-08-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 정화 장치의 내구수명 향상을 위한 배기 정화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6121209A1 (de) 2018-03-08
DE102016121209B4 (de) 202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502B1 (ko)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및 배기 가스 정화 방법
JP6305128B2 (ja) リーンノックストラップの脱硫装置および方法
KR101655211B1 (ko) 린 녹스 트랩과 선택적 환원 촉매를 구비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03611B1 (ko) 린 녹스 트랩과 선택적 환원 촉매를 구비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서 린 녹스 트랩의 재생 방법 및 배기 가스 정화 장치
KR101251519B1 (ko) 질소산화물 저감 촉매에 저장되는 황산화물의 양을 예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기 장치
JP2002021544A (ja) 内燃機関の希薄排ガスから窒素酸化物およびカーボンブラック粒子を除去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排ガス浄化装置
WO2003083272A1 (fr) Systeme de decontamination de gaz d'echappement et procede de commande associe
JP5217102B2 (ja) NOx浄化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NOx浄化システム
US10253673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exhaust gas
US20170058743A1 (en) EXHAUST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DESULFURIZING LEAN NOx TRAP OF EXHAUST PURIFICATION SYSTEM PROVIDED WITH LEAN NOx TRAP AND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CATALYST
KR20070049859A (ko) 디젤 자동차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및 그 재생방법
KR101673358B1 (ko) 린 녹스 트랩과 선택적 환원 촉매를 구비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서 린 녹스 트랩의 재생 방법 및 배기 가스 정화 장치
KR101683512B1 (ko) 린 녹스 트랩의 재생 시 환원되는 질소산화물의 양을 계산하는 방법 및 배기 가스 정화 장치
JP2008240640A (ja) 排ガス浄化装置
KR101713743B1 (ko) 선택적 환원 촉매가 코팅된 디젤 매연 필터의 재생 방법 및 배기 가스 정화 장치
JP3885814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の昇温方法及び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KR20120128938A (ko) 차량용 매연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 장치
KR101855769B1 (ko) 배기 시스템 및 질소산화물 탈착 제어 방법
WO2010134204A1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KR101807054B1 (ko)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및 그 탈황 방법
KR101806180B1 (ko) 배기 가스 정화 장치
KR101836293B1 (ko) 질소산화물 흡장 환원 촉매의 탈황 장치 및 탈황 방법
KR20130008881A (ko)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JP5608962B2 (ja)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3876905B2 (ja)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の脱硫制御方法及び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