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775B1 - Ejecting device for a molding machine - Google Patents

Ejecting device for a mold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775B1
KR101806775B1 KR1020170102340A KR20170102340A KR101806775B1 KR 101806775 B1 KR101806775 B1 KR 101806775B1 KR 1020170102340 A KR1020170102340 A KR 1020170102340A KR 20170102340 A KR20170102340 A KR 20170102340A KR 101806775 B1 KR101806775 B1 KR 101806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llel
sliding
parallel portion
mold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3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선봉
Original Assignee
배선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선봉 filed Critical 배선봉
Priority to KR1020170102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77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7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9/00Removing castings from moulds, not restricted to casting processes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Removing cores; Handling ingots
    • B22D29/02Vibratory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haking out fl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02Sand moulds or like moulds for shaped cas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lease device of a casting machine which is to separate a molding sand positioned in a mold from the mold in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mold for casting a cast, comprises: a seating part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and seating a mold therein; a first oscillating part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seating part, and oscillating the seating part in a height direction; a side surface pressing part connected to upper side of the seating part, and pressing a side surface of the mold to prevent the mol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ating part; and a second oscillating part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seating part,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surface pressing part to oscillate the side surface pressing part in a width direction. The side surface pressing part includes a first accommodation space provided to surround a side surface of the mold, and has a position thereof to be moved to change a siz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in accordance with a size of the mold seated in the seating part. The second oscillating part may be slid along the seating part to be in contact with an outer side of the side surface pressing part when moving the position thereof to change the siz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of the side surface pressing part.

Description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Ejecting device for a molding machin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ing apparatus for a 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주조물을 주조하기 위한 금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금형 내에 위치한 조형사와 상기 금형을 분리시키기 위한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 releasing apparatus for a cast mold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ld releasing apparatus for separating a mold and a mold located in the mol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mold for casting a casting mold.

본 발명은 주물 조형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다품종 소량생산에 대한 대응력이 높아지고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품질의 균일성 확보가 용이하며 중형 제품의 생산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제품 경쟁력을 제고하는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t mold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sponsiveness to small quantity production of multiple kinds, to ensure uniformity of quality irrespective of the skill of a worker, To a mold releasing device of a cast molding machine.

근래에 금형을 통한 연속적 주조방법인 다이캐스팅이 보편화되고 있기는 하지만 중대형 제품의 제조에 경제적인 일반 주조법의 수요도 꾸준하게 이어진다. 이는 먼저 주입속도, 주입량 등 주조방안을 결정하고 목재, 금속 또는 수지를 재료로 하여 모형을 제작한 다음 모래, 점결제, 첨가제의 적절한 배합으로 주물사를 제조하고 주물사를 사용하여 수조형, 기계조형 또는 자동조형기에 의하여 주형을 만드는 과정을 거친다.Recently, die casting, which is a continuous casting method through a die, has become popular, but the demand for a general casting method which is economical for manufacturing a medium and large-sized product is steadily continued. It first determines casting plans such as injection speed and injection amount, and then makes a model using wood, metal or resin, and then produces sand molding with proper mixing of sand, dross, and additive, and casting, molding, The mold is made by an automatic molding machine.

또한, 종래의 주물금형으로 주물품을 생산하는 경우 조형사와 금형의 분리(이형)에 따른 문제점이 수반된다. 구체적으로, 금형테이퍼로 인한 불필요한 자재의 낭비, 분리과정에서 사락에 의한 불량률 증가, 특정제품을 제외한 무중자(core) 처리, 다품종 소량 생산시 특정의 기술자에 대한 의존성, 생산 제품의 품질(중량, 편심, 표면조도) 불균일성 등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producing a cast article using a conventional casting mold, there arises a problem due to the separation (release) of the molding form and the mold. Specifically, the waste of unnecessary materials due to the mold taper, the increase of the defect rate due to the separation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the treatment of the core excluding the specific product, the dependency on the specific technician in the small quantity production of the various kinds of products, Eccentricity, surface roughness) non-uniformity.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주물사 제거장치(한국등록특허 제10-1565595호)가 개시되어 있으나, 종래의 이형장치는 금형의 크기에 따라 부대 장비를 교체하거나, 금형의 크기와 맞지 않는 부대 시설을 가용함으로써, 주물사의 효율적인 제거를 구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types of molding sand removing apparatuses (Korean Patent No. 10-1565595) have been disclosed.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ld releasing apparatuses, in order to replace the apparatus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mold, There is a problem that efficient removal of the foundry sand can not be realized.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형사가 포함된 금형의 크기에 따른 부대 장비 교체가 필요하지 않으며, 조형사가 포함된 금형을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요동치도록 하되, 다양한 요동을 발생시킴으로서, 이형이 구현되도록 하는 이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lding machine which does not require replacement of an accessory equipment according to the size of a mold including a molding company, Thereby causing the mold release to be realiz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는, 주조물을 주조하기 위한 금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금형 내에 위치한 조형사와 상기 금형을 분리시키기 위한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에 있어서,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금형이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하부측과 연결된 채, 상기 안착부를 높이 방향으로 요동치게 하는 제1 요동부, 상기 안착부의 상부측에 연결되며 상기 금형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금형이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가압부 및 상기 안착부의 상부측에 연결되되, 상기 측면가압부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측면가압부를 폭 방향으로 요동치게 하는 제2 요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가압부는, 상기 금형의 측면을 포위하도록 제1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금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수용공간의 크기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2 요동부는, 상기 측면가압부의 상기 제1 수용공간의 크기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측면가압부의 외측에 접촉되도록 상기 안착부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가압부는, 상기 제1 수용공간의 제1 측면을 제공하는 제1 평행부, 상기 제1 수용공간의 제2 측면을 제공하는 제2 평행부, 상기 제1 수용공간의 제3 측면을 제공하는 제3 평행부, 상기 제1 수용공간의 제4 측면을 제공하는 제4 평행부, 상기 제1 평행부와 상기 제2 평행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2 평행부와 상기 제3 평행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3 평행부와 상기 제4 평행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 및 상기 제4 평행부와 상기 제1 평행부를 연결하는 제4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평행부의 일측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평행부가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1-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2 평행부의 일측에 연결된 채, 상기 제2 평행부가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1-2 슬라이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평행부의 타측에 연결된 채, 상기 제2 평행부가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2-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3 평행부의 일측에 연결된 채, 상기 제3 평행부가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2-2 슬라이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3 연결부는, 상기 제3 평행부의 타측에 연결된 채, 상기 제3 평행부가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3-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4 평행부의 일측에 연결된 채, 상기 제4 평행부가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3-2 슬라이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4 연결부는, 상기 제4 평행부의 타측에 연결된 채, 상기 제4 평행부가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4-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1 평행부의 타측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평행부가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4-2 슬라이딩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mold releasing apparatus of a cast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mold for casting a mold, a mold releasing apparatus for separating a molding model and a mold located in the mold, A first swinging part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ating part to cause the seating part to oscillate in the height direction, a second swinging part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ating part, And a second swinging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at portion and contacting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pressing portion to swing the side pressing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 The side pressing portion has a first accommodating space for surrounding a side surface of the mold, and is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When the side of the side pressing portion is shifted such that the siz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is changed, the second swinging portion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siz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ld, Wherein the side pressing portion includes a first parallel portion providing a first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a second parallel portion providing a second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 third parallel portion providing a third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 fourth parallel portion providing a fourth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 third parallel portion providing a third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 second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second parallel portion and the third parallel portion, a third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third parallel portion and the fourth parallel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ourth parallel portion and the first parallel portion, A fourth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sliding portion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parallel portion and adapted to allow the first parallel portion to slide along the inner side, and a second sliding portion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parallel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second-1 sliding portion for allowing the second parallel portion to slide along the inner sid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arallel portion, and a second-first sliding portion for allowing the second parallel portion to slide along the inner side, And a second-2 sliding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hird parallel part to allow the third parallel part to slide along the inside, the third connecting part being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third parallel part, And a third-second sliding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ourth parallel part and allowing the fourth parallel part to slide along the inside, And the fourth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ourth parallel portion so that the fourth parallel portion slides along the inner side and the fourth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arallel portion, And a fourth-second sliding portion for allowing the parallel portion to slide along the inner 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의 상기 측면가압부는, 상기 제1 평행부와 상기 제3 평행부는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평행부와 상기 제4 평행부는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3 평행부는, 상기 제1 평행부가 상기 제1-1 슬라이딩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상기 제1 평행부와 연동되어 상기 제2-2 슬라이딩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4 평행부는, 상기 제2 평행부가 상기 제1-2 슬라이딩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상기 제2 평행부와 연동되어 상기 제4-1 슬라이딩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The side pressing portion of the mold releasing device of the cast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ch that the first parallel portion and the third parallel portion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the second parallel portion and the fourth parallel portion are arranged in parallel , And the third parallel portion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parallel portion and slides to the inside of the second-second sliding portion when the first parallel portion is slid to the inside of the first-first sliding portion, and the fourth parallel portion And when the second parallel portion slides inward of the first-second sliding portion, the second parallel portion may be slid inward of the fourth-first sliding portion in association with the second parallel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의 상기 제3 평행부는, 상기 제1 평행부가 상기 제4-2 슬라이딩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상기 제1 평행부와 연동되어 상기 제3-1 슬라이딩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4 평행부는, 상기 제2 평행부가 상기 제2-1 슬라이딩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상기 제2 평행부와 연동되어 상기 제3-2 슬라이딩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The third parallel part of the mold releasing device of the cast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first parallel part slides to the inside of the 4-2 sliding part, 1 sliding portion, and the fourth parallel portion is slid toward the inside of the third-second sliding portion in cooperation with the second parallel portion when the second parallel portion is slid to the inside of the second-first sliding portio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의 상기 측면가압부는, 상기 제1 평행부의 상기 제1-1 슬라이딩부 내측으로의 슬라이딩이 완료되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평행부와 상기 제1-1 슬라이딩부를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제1 평행부의 상기 제1-1 슬라이딩부에 대한 위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평행부의 상기 제1-1 슬라이딩부에 대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side pressing portion of the mold releasing device of the cast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sliding of the first parallel portion inside the sliding portion 1-1 is completed The first parallel portion and the first sliding portion are simultaneously moved so as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first paralle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liding portion, and the second parallel portion is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And a first fixing part for enabling a positional shift of the first parallel part with respect to the first-second sliding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의 상기 측면가압부는, 상기 제1 평행부가 상기 제1-1 슬라이딩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3 평행부가 상기 제2-2 슬라이딩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제1 수용공간의 크기가 감소하고, 상기 제1 평행부가 상기 제1-1 슬라이딩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3 평행부가 상기 제2-2 슬라이딩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제1 수용공간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The side pressing portion of the mold releasing device of the cast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arallel portion is slid to the inside of the first sliding portion 1 and the third parallel portion is slid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sliding portion 2-2 The first parallel portion slides outwardly from the inner side of the first sliding portion, and the third parallel portion slides outwardly from the inner side of the second-second sliding portion, The siz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의 상기 안착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원주가이드부 및 지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지름가이드부로 구성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요동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는 복수의 이동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이동유닛은, 상기 측면가압부의 상기 제1 수용공간의 크기 변화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측면가압부의 외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 of the mold releasing device of the cast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portion formed of a circumferential guide portion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diameter guide portions formed along the diameter dire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mobile units are moved along the guide portion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siz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of the side pressing portion,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의 상기 복수의 이동유닛 중 하나인 제1 이동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된 채 위치 이동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상측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장치와 연결되는 진동전달부 및 상기 진동전달부의 끝단에 연결된 채, 상기 측면가압부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moving unit,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moving units, of the mold releasing apparatus of the cast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ertion unit that is moved in positio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unit, A vibration transmission unit connected to a vibration device that generates vibration by an applied power source, and a contact unit that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vibration transmission unit and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ressing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의 상기 진동전달부는, 상기 삽입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접촉부는, 접촉되는 상기 측면가압부의 외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진동전달부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The vibration transmitting portion of the mold releasing device of the cast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mounted to the inserting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is dispos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pressing portion to be contacted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의 상기 복수의 이동유닛은, 상기 원주가이드부의 시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이동유닛, 제2 이동유닛 및 제3 이동유닛을 구비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한 상기 제1 이동유닛, 상기 제2 이동유닛 및 상기 제3 이동유닛의 작동 시간은, 상기 시계 방향 순서로 구현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moving units of the mold releasing apparatus of the cast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ving unit, a second moving unit, and a third moving unit arranged along the clockwise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guide unit, The operating times of the first mobile unit, the second mobile unit and the third mobile unit by a power source applied from the power source can be implemented in the clockwise order.

본 발명에 의하면, 조형사가 포함된 금형의 크기에 따른 부대 장비 교체가 불필요하여, 공정에 따른 부대비용을 감소할 뿐만 아니라, 장비 교체에 다른 인력 소모를 줄여 공정비용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necessary to replace the auxiliary equipmen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ld including the molding model, so that not only the incidental expenses due to the process can be reduced, but also the labor costs for other equipment can be reduced.

또한, 조형사가 포함된 금형을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요동치도록 하되, 다양한 요동을 발생시킴으로서, 이형이 구현되도록 하여, 품질이 우수한 금형을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ld including the modeling yarn is oscillated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By generating various fluctuations, the mold release can be realized, and a mold with excellent quality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의 측면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의 제2 요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1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mold releasing apparatus of a cast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 releasing apparatus for a cast molding machine,
3 to 7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second swinging part of a mold releasing apparatus of a cast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readily be suggested, but are also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components 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of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의 측면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mold releasing apparatus of a cast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ide pressing unit of a mold releasing apparatus of a cast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의 제2 요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3 to 7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second swinging part of a mold releasing apparatus of a cast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1, 이하 이형장치)는 주조물을 주조하기 위한 금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금형 내에 위치한 조형사와 금형을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1 and 2, a mold releasing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 releasing apparatus ") 1 of a casting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ld releasing apparatus for separating a mold- Lt; / RTI >

참고적으로, 종래의 주물금형으로 주물품을 생산하는 경우 조형사와 금형의 분리(이형)에 따른 문제점이 수반된다. 구체적으로, 금형테이퍼로 인한 불필요한 자재의 낭비, 분리과정에서 사락에 의한 불량률 증가, 특정제품을 제외한 무중자(core) 처리, 다품종 소량 생산시 특정의 기술자에 대한 의존성, 생산 제품의 품질(중량, 편심, 표면조도) 불균일성 등을 들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e case of producing a cast article using a conventional casting mold, there arises a problem due to the separation (release) of the molding form and the mold. Specifically, the waste of unnecessary materials due to the mold taper, the increase of the defect rate due to the separation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the treatment of the core excluding the specific product, the dependency on the specific technician in the small quantity production of the various kinds of products, Eccentricity, surface roughness) non-uniformity.

본 발명의 이형장치(1)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형사가 포함된 금형을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요동치도록 하여, 다양한 요동을 발생시킴으로서, 이형이 구현되도록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mold releas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uses the mold including the molding model to oscillate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nd various moldings are generated so that mold releasing is realized.

본 발명의 이형장치(1)는 안착부(10), 제1 요동부(20), 측면가압부(30) 및 제2 요동부(40)를 포함한다.A mold releas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portion (10), a first swinging portion (20), a side pressing portion (30), and a second swinging portion (40).

안착부(1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조형사가 포함된 금형이 안착된다. 구체적으로, 안착부(10)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배치되는 일종의 선반일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 10 is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and a metal mold having a modeling yarn therein is seated. Specifically, the seating portion 10 may be a kind of shelf disposed at a constant height from the floor surface.

제1 요동부(20)는 안착부(10)의 하부측과 연결된 채, 안착부(10)를 높이 방향으로 요동치게 한다. 제1 요동부(20)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 장치이다.The first swinging part (20)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at part (10), and causes the seat part (10) to oscillate in the height direction. The first oscillating portion 20 is a vibrating device that vibrates by an external power source.

측면가압부(30)는 안착부(10)의 상부측에 연결되며 금형의 측면을 가압하여 금형이 제1 요동부(20) 및 제2 요동부(40)에 의해 요동되는 중에, 안착부(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side pressing portion 30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ating portion 10 and presses the side face of the mold so that the mold is swung by the first and second swinging portions 20 and 40, 10 from being detached.

제2 요동부(40)는 안착부(10)의 상부측에 연결되되, 측면가압부(30)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측면가압부(30)를 폭 방향으로 요동치게 한다. 제2 요동부(40)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 장치이다.The second swinging portion 40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at portion 10 and contacts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pressing portion 30 to swing the side pressing portion 30 in the width direction. The second oscillating portion 40 is a vibrating device that vibrates by a power source applied from outside.

측면가압부(30)는 금형의 측면을 포위하도록 제1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안착부(10)에 안착되는 금형의 크기에 다라 제1 수용공간의 크기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된다. The side pressing portion 30 is provided with a first accommodating space for surrounding the side surface of the mold and is moved so as to change the siz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mold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0. [

또한, 제2 요동부(40)는, 측면가압부(30)의 제1 수용공간의 크기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되는 경우, 측면가압부(30)의 외측에 접촉되도록 안착부(10)를 따라 슬라이딩된다.The second swinging part 40 moves along the seating part 10 so as to come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side pressing part 30 when the first swinging part 30 is moved to change the siz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Lt; / RTI >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로, 제2 요동부(40) 및 측면가압부(3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econd swinging unit 40 and the side pressing unit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Fig.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형장치(1)의 측면가압부(30)는, 제1 수용공간의 제1 측면을 제공하는 제1 평행부(31), 제1 수용공간의 제2 측면을 제공하는 제2 평행부(32), 제1 수용공간의 제3 측면을 제공하는 제3 평행부(33), 제1 수용공간의 제4 측면을 제공하는 제4 평행부(34), 제1 평행부(31)와 제2 평행부(32)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35), 제2 평행부(32)와 제3 평행부(33)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36), 제3 평행부(33)와 제4 평행부(34)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37) 및 제4 평행부(34)와 제1 평행부(31)를 연결하는 제4 연결부(38)를 구비한다.3 to 7, the side pressing portion 30 of the mold releas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arallel portion 31 for providing a first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 third parallel portion 33 providing a third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 fourth parallel portion 34 providing a fourth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 first connecting portion 35 connecting the first parallel portion 31 and the second parallel portion 32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36 connecting the second parallel portion 32 and the third parallel portion 33 A third connecting portion 37 connecting the third parallel portion 33 and the fourth parallel portion 34 and a fourth connecting portion 38 connecting the fourth parallel portion 34 and the first parallel portion 31 .

제1 연결부(35)는, 굴곡지게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제1 평행부(31)의 일측에 연결된 채, 제1 평행부(31)가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1-1 슬라이딩부(351) 및 제2 평행부(32)의 일측에 연결된 채, 제2 평행부(32)가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1-2 슬라이딩부(352)를 구비한다.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5 is bent so as to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parallel portion 31 and includes a first sliding portion 351 for sliding the first parallel portion 31 along the inside thereof And a first-second sliding portion 352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parallel portion 32 and allows the second parallel portion 32 to slide along the inside.

제1-1 슬라이딩부(351) 및 제1-2 슬라이딩부(352)는 각을 형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1 슬라이딩부(351)는 제1 평행부(31)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2 슬라이딩부(352)는 제2 평행부(32)와 평행하게 배치된다.The first-first sliding portion 351 and the first-second sliding portion 352 may be connected to form an angle. The first-first sliding portion 351 is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parallel portion 31, and the first-second sliding portion 352 is disposed parallel to the second parallel portion 32.

여기서, 제1 평행부(31)와 제2 평행부(32)는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므로, 제1-1 슬라이딩부(351) 및 제1-2 슬라이딩부(352) 또한 대략 수직하게 배치된다.Since the first parallel portion 31 and the second parallel portion 32 are arranged substantially vertically, the first-first sliding portion 351 and the first-second sliding portion 352 are also disposed substantially vertically.

제2 연결부(36)는, 굴곡지게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제2 평행부(32)의 일측에 연결된 채, 제2 평행부(32)가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2-1 슬라이딩부(361) 및 제3 평행부(33)의 일측에 연결된 채, 제3 평행부(33)가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2-2 슬라이딩부(362)를 구비한다.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6 is bent so as to be concrete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parallel portion 32 while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61 for sliding the second parallel portion 32 along the inside And a second -2 sliding portion 362 for sliding the third parallel portion 33 along the inner side while being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hird parallel portion 33.

제2-1 슬라이딩부(361) 및 제2-2 슬라이딩부(362)는 각을 형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2-1 슬라이딩부(361)는 제2 평행부(32)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2-2 슬라이딩부(362)는 제3 평행부(33)와 평행하게 배치된다.The second-first sliding part 361 and the second-second sliding part 362 may be connected to form an angle. The second-first sliding portion 361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parallel portion 32, and the second-second sliding portion 362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third parallel portion 33.

여기서, 제2 평행부(32)와 제3 평행부(33)는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므로, 제2-1 슬라이딩부(361) 및 제2-2 슬라이딩부(362) 또한 대략 수직하게 배치된다.Here, since the second parallel portion 32 and the third parallel portion 33 are arranged substantially vertically, the second-first sliding portion 361 and the second-second sliding portion 362 are also arranged substantially vertically.

제3 연결부(37)는, 굴곡지게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제3 평행부(33)의 일측에 연결된 채, 제3 평행부(33)가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3-1슬라이딩부(371) 및 제4 평행부(34)의 일측에 연결된 채, 제4 평행부(34)가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3-2슬라이딩부(372)를 구비한다.The third connecting portion 37 is bent so as to be concrete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hird parallel portion 33 while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371 for sliding the third parallel portion 33 along the inside thereof And a third-second sliding portion 372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ourth parallel portion 34 and allows the fourth parallel portion 34 to slide along the inner side.

제3-1슬라이딩부(371) 및 제3-2슬라이딩부(372)는 각을 형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3-1슬라이딩부(371)는 제3 평행부(33)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3-2슬라이딩부(372)는 제4 평행부(34)와 평행하게 배치된다.The third-first sliding part 371 and the third-second sliding part 372 may be connected to form an angle. The third-first sliding portion 371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third parallel portion 33, and the third-second sliding portion 372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ourth parallel portion 34.

여기서, 제3 평행부(33)와 제4 평행부(34)는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므로, 제3-1슬라이딩부(371) 및 제3-2슬라이딩부(372) 또한 대략 수직하게 배치된다.Here, since the third parallel portion 33 and the fourth parallel portion 34 are arranged substantially vertically, the third-first sliding portion 371 and the third-second sliding portion 372 are also arranged substantially vertically.

제4 연결부(38)는, 굴곡지게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제4 평행부(34)의 일측에 연결된 채, 제4 평행부(34)가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4-1슬라이딩부(381) 및 제1 평행부(31)의 일측에 연결된 채, 제1 평행부(31)가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4-2슬라이딩부(382)를 구비한다.The fourth connecting portion 38 is bent so as to be bent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ourth parallel portion 34 while the fourth connecting portion 381 for sliding the fourth parallel portion 34 along the inside And a fourth-second sliding portion 382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parallel portion 31 and allows the first parallel portion 31 to slide along the inner side.

제4-1슬라이딩부(381) 및 제4-2슬라이딩부(382)는 각을 형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4-1슬라이딩부(381)는 제4 평행부(34)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4-2슬라이딩부(382)는 제1 평행부(31)와 평행하게 배치된다.The 4-1 sliding portion 381 and the 4-2 sliding portion 382 may be connected to form an angle. The fourth-first sliding portion 381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ourth parallel portion 34, and the fourth-second sliding portion 382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parallel portion 31.

여기서, 제4 평행부(34)와 제1 평행부(31)는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므로, 제4-1슬라이딩부(381) 및 제4-2슬라이딩부(382) 또한 대략 수직하게 배치된다.Here, since the fourth parallel portion 34 and the first parallel portion 31 are arranged substantially vertically, the fourth-first sliding portion 381 and the fourth-second sliding portion 382 are also arranged substantially vertically.

측면가압부(30)의 제1 평행부(31)와 제3 평행부(33)는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2 평행부(32)와 제4 평행부(34)는 평행하게 배치된다.The first parallel portion 31 and the third parallel portion 33 of the side pressing portion 30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the second parallel portion 32 and the fourth parallel portion 34 are arranged in parallel.

제3 평행부(33)는, 제1 평행부(31)가 제1-1 슬라이딩부(351)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제1 평행부(31)와 연동되어 제2-2 슬라이딩부(362)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된다.When the first parallel portion 31 is slid to the inside of the first-second sliding portion 351, the third parallel portion 33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parallel portion 31 to form the second-second sliding portion 351 362, respectively.

제4 평행부(34)는, 제2 평행부(32)가 제1-2 슬라이딩부(352)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제2 평행부(32)와 연동되어 제4-1슬라이딩부(381)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된다.The fourth parallel portion 34 is engaged with the second parallel portion 32 when the second parallel portion 32 is slid to the inside of the first-second sliding portion 352, 381, respectively.

또한, 제3 평행부(33)는, 제1 평행부(31)가 제4-2슬라이딩부(382)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제1 평행부(31)와 연동되어 제3-1슬라이딩부(371)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된다.The third parallel portion 33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parallel portion 31 when the first parallel portion 31 slides inward of the fourth-second sliding portion 382, As shown in Fig.

또한, 제4 평행부(34)는, 제2 평행부(32)가 제2-1 슬라이딩부(361)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제2 평행부(32)와 연동되어 제3-2슬라이딩부(372)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된다.The fourth parallel portion 34 is interlocked with the second parallel portion 32 when the second parallel portion 32 slides inward of the second-first sliding portion 361, As shown in Fig.

상술한 바와 같은 측면가압부(30)의 각각의 평행부와 각각의 슬라이딩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측면가압부(30) 내의 제1 수용공간의 크기 및 형태가 변화될 수 있다.The size and shap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in the side pressing portion 30 can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al shifts of the respective parallel portions and the respective sliding portions of the side pressing portion 30 as described above.

구체적으로, 측면가압부(30)는, 제1 평행부(31)가 제1-1 슬라이딩부(351)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고, 제3 평행부(33)가 제2-2 슬라이딩부(362)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면, 제1 수용공간의 크기가 감소한다.Specifically, in the side pressing portion 30, the first parallel portion 31 is slid inside the first-first sliding portion 351, and the third parallel portion 33 is slid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second sliding portion 362 , The siz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is reduced.

또한, 측면가압부(30)는, 제1 평행부(31)가 제1-1 슬라이딩부(351)의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제3 평행부(33)가 제2-2 슬라이딩부(362)의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제1 수용공간의 크기가 증가한다.The side surface pressing portion 30 is formed so that the first parallel portion 31 is slid outwardly from the inside of the first-first sliding portion 351 and the third parallel portion 33 is slid in the outward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is increased in size from the inside toward the outside.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주물금형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측면가압부(30)의 크기 및 형태를 변화시켜 이형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ld releasing process can be performed by chang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side pressing portion 30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various cast metal molds.

또한, 측면가압부(30)는 제1 평행부(31)의 제1-1 슬라이딩부(351) 내측으로의 슬라이딩이 완료되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제1 평행부(31)와 제1-1 슬라이딩부(351)를 동시에 관통하여 제1 평행부(31)의 제1-1 슬라이딩부(351)에 대한 위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고,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제1 평행부(31)의 제1-1 슬라이딩부(351)에 대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고정부(39)를 구비한다.The side pressing portion 30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sliding of the first parallel portion 31 to the inside of the 1-1 sliding portion 351 is completed, 31 and the first sliding part 351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first parallel part 31 with respect to the first sliding part 351 and to move the second sliding part 351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And a first fixing part 39 for shift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parallel part 31 relative to the first sliding part 351.

또한, 측면가압부(30)는, 제2 평행부(32)의 제1-2 슬라이딩부(352)에 대한 위치 이동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제2 고정부, 제2 평행부(32)의 제2-1 슬라이딩부(361)에 대한 위치 이동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제3 고정부, 제3 평행부(33)의 제2-2 슬라이딩부(362)에 대한 위치 이동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제4 고정부, 제3 평행부(33)의 제3-1슬라이딩부(371)에 대한 위치 이동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제5 고정부, 제4 평행부(34)의 제3-2슬라이딩부(372)에 대한 위치 이동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제6 고정부, 제4 평행부(34)의 제4-1슬라이딩부(381)에 대한 위치 이동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제7 고정부, 제1 평행부(31)의 제4-2슬라이딩부(382)에 대한 위치 이동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제8 고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side pressing portion 30 includes a second fixing port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econd parallel portion 32 can be moved relative to the first-second sliding portion 352, A third fixing par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positional shift with respect to the 2-1 sliding part 361 is possible and a fourth fixing par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 is movable relative to the 2-2 sliding part 362 of the third parallel part 33, A fifth fixing par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hird parallel part 33 is movable with respect to the third-first sliding part 371, a third-second sliding part 372 of the fourth parallel part 34 , A seventh fixing par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fourth fixing part is capable of being moved with respect to the fourth sliding part 381 of the fourth parallel part 34, And an eighth fix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movable member 31 is movable relative to the 4-2 sliding portion 382.

제2 고정부 내지 제8 고정부는 상술한 제1 고정부(39)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가지므로, 상술한 제1 고정부(39)에 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Since the second to eighth fixing portions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effect as those of the first fixing portion 39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fixing portion 39 will be omitted.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장치(1)의 안착부(10)는,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원주가이드부(111) 및 지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지름가이드부(112)로 구성되는 가이드부(11)를 구비한다.3, the seating portion 10 of the mold releas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ircumferential guide portion 111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guide portions 111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guide portion 11 composed of a diameter guide portion 112.

안착부(1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가압부(30)의 측면을 포위하도록 배치된다.The seating portion 10 is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and is arranged so as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side pressing portion 30. [

원주가이드부(111)는, 안착부(10)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안착부(10)보다 작은 지름의 원주 형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The circumferential guide portion 111 is formed through the seating portion 10 and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circumferential shape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eating portion 10.

이하 설명할 복수의 이동유닛은 원주가이드부(111)에 삽입된 채, 원주가이드부(111)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A plurality of moving units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moved along the circumferential guide portion 111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ircumferential guide portion 111. [

복수의 지름가이드부(112)는, 원주가이드부(111)로부터 내측 방향 즉, 안착부(10)의 중심을 향하여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원주가이드부(111)와 각각의 지름가이드부(112)는 연결되어, 원주가이드부(111)를 통해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이동유닛은 지름가이드부(112)로 이동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iameter guide portions 112 are formed radially inward from the circumferential guide portion 111, that is, toward the center of the seating portion 10. The circumferential guide part 111 and each of the diameter guide parts 1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a plurality of moving units mov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rough the circumferential guide part 111 can be moved by the diameter guide part 112.

제2 요동부(40)는, 가이드부(11)를 따라 위치 이동되는 복수의 이동유닛을 구비한다.The second swinging part (40) has a plurality of mobile units which are moved along the guide part (11).

복수의 이동유닛은, 측면가압부(30)의 제1 수용공간의 크기 변화에 따라 가이드부(11)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측면가압부(30)의 외측면과 접촉된 채, 측면가압부(30)가 폭방향으로 요동하게 한다.The plurality of mobile units are moved along the guide portion 11 in accordance with the size chang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of the side pressing portion 30 and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pressing portion 30, 30 in the width direction.

복수의 이동유닛은, 측면가압부(30)의 측면과 접촉되어 측면가압부(30)에 진동을 인가하는 구성요소이므로, 측면가압부(30)의 크기 변화에 따라 위치 이동되어야 하며, 이는 상술한 가이드부(11)를 통해 구현된다.Since the plurality of mobile units are components that contact the side surface of the side pressing portion 30 and apply the vibration to the side pressing portion 30, they must be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change of the side pressing portion 30, And is implemented through a guide portion 11.

구체적으로, 측면가압부(30)는 제1 평행부(31)가 제3 평행부(33)를 향해 위치 이동되어, 제1 수용공간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으며, 이 때 위치 이동되는 제1 평행부(31), 제1 연결부(35) 및 제4 연결부(38)와 인접한 이동유닛은 제1 평행부(31), 제1 연결부(35) 및 제4 연결부(38)와의 접촉을 위해 가이드부(11)를 통해 이동된다.Specifically, the side pressing portion 30 is moved toward the third parallel portion 33 by the first parallel portion 31, so that the siz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can be reduced. At this time, The moving unit adjacent to the parallel portion 31,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5 and the fourth connecting portion 38 is connected to the first parallel portion 31,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5 and the fourth connecting portion 38, (11). ≪ / RTI >

또한, 측면가압부(30)는 제3 평행부(33)가 제1 평행부(31)를 향해 위치 이동되어, 제1 수용공간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으며, 이 때 위치 이동되는 제3 평행부(33), 제2 연결부(36) 및 제3 연결부(37)와 인접한 이동유닛은 제3 평행부(33), 제2 연결부(36) 및 제3 연결부(37)와의 접촉을 위해 가이드부(11)를 통해 이동된다.Further, the side pressing portion 30 can move the third parallel portion 33 toward the first parallel portion 31, so that the siz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can be reduced, and the third parallel portion 33, The mobile unit adjacent to the first linking part 33, the second linking part 36 and the third linking part 37 has a guide part 33 for contacting the third parallel part 33, the second linking part 36 and the third linking part 37, (11).

여기서, 제1 평행부(31)와 제3 평행부(33)는 각각이 서로를 향해 동시에 위치 이동될 수 있다.Here, the first parallel portion 31 and the third parallel portion 33 may be simultaneously moved toward each other.

또한, 측면가압부(30)는 제2 평행부(32)가 제4 평행부(34)를 향해 위치 이동되어, 제1 수용공간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으며, 이 때 위치 이동되는 제2 평행부(32), 제1 연결부(35) 및 제2 연결부(36)와 인접한 이동유닛은 제2 평행부(32), 제1 연결부(35) 및 제2 연결부(36)와의 접촉을 위해 가이드부(11)를 통해 이동된다.Further, the side pressing portion 30 can be moved toward the fourth parallel portion 34 so that the siz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can be reduced, and the second parallel portion 32 can be moved in the second parallel direction The movable unit adjacent to the first linking part 32 and the second linking part 36 is provided with a guide part 32 for contacting the second parallel part 32, the first linking part 35 and the second linking part 36, (11).

또한, 측면가압부(30)는 제4 평행부(34)가 제2 평행부(32)를 향해 위치 이동되어, 제1 수용공간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으며, 이 대 위치 이동되는 제4 평행부(34), 제2 연결부(36) 및 제4 연결부(38)와 인접한 이동유닛은 제4 평행부(34), 제2 연결부(36) 및 제4 연결부(38)와의 접촉을 위해 가이드부(11)를 통해 이동된다.In addition, the side pressing portion 30 can move the fourth parallel portion 34 toward the second parallel portion 32 so that the siz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can be reduced, and the fourth parallel portion 32 The moving unit adjacent to the first connecting unit 34, the second connecting unit 36 and the fourth connecting unit 38 is provided with a guide unit 34 for contacting the fourth parallel unit 34, the second connecting unit 36 and the fourth connecting unit 38, (11).

여기서, 제2 평행부(32)와 제4 평행부(34)는 각각이 서로를 향해 동시에 위치 이동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parallel portion 32 and the fourth parallel portion 34 can be simultaneously moved toward each other.

또한, 측면가압부(30)는 제1 수용공간의 크기가 감소된 상태에서 제1 수용공간의 크기가 커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측면가압부(30)와 이동유닛간의 위치 이동의 역순에 해당되므로 상술한 설명으로 갈음한다.In addition, the side pressing portion 30 can be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iz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is increased while the siz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is reduced. This corresponds to the reverse order of the positional movement between the side pressurizing unit 30 and the mobile unit described above, so that 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복수의 이동유닛 중 하나인 제1 이동유닛(41)은, 가이드부(11)에 삽입된 채, 위치 이동되는 삽입부(411), 삽입부(411)의 상측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장치와 연결되는 진동전달부(412) 및 진동전달부(412)의 끝단에 연결된 채, 측면가압부(30)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접촉부(413)를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mobile unit 41,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mobile units,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sertion unit 411 and the insertion unit 411 that are moved in positio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unit 11, And a contact portion 413 which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vibration transmitting portion 412 and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ressing portion 3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vibration transmitting portion 412 connected to the vibration transmitting device do.

진동전달부(412)는, 삽입부(411)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The vibration transmission portion 412 is rotatably mounted on the insertion portion 411. [

접촉부(413)는 접촉되는 측면가압부(30)의 외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진동전달부(412)를 기준으로 회동된다.The contact portion 413 is pivoted on the basis of the vibration transmitting portion 412 so as to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pressing portion 30 to be contacted.

즉, 본 발명의 이형장치(1)는 접촉부(413)의 측면가압부(30)와의 접촉을 위해 진동전달부(412)의 회동 및 진동전달부(412)에 대한 접촉부(413)의 회동을 통해 접촉부(413)와 측면가압부(30)의 측면과의 접촉이 구현되도록 한다.That is, in the mold releas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of the vibration transmission portion 412 and the rotation of the contact portion 413 with respect to the vibration transmission portion 412 are performed in order to contact the side pressing portion 30 of the contact portion 413 So that the contact between the contact portion 413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ide pressing portion 30 is realized.

또한, 복수의 이동유닛은, 원주가이드부(111)의 시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이동유닛(41), 제2 이동유닛(42) 및 제3 이동유닛(43)을 구비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한 제1 이동유닛(41), 제2 이동유닛(42) 및 제3 이동유닛(43)의 작동 시간은, 시계 방향 순서로 구현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mobile units are provided with a first moving unit 41, a second moving unit 42 and a third moving unit 43 which are arranged along the clockwise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guide part 111, The operating times of the first mobile unit 41, the second mobile unit 42 and the third mobile unit 43 by the applied power source can be implemented in clockwise order.

구체적으로, 복수의 이동유닛에 의한 측면가압부(30)의 다양한 폭방향 진동을 위해 복수의 이동유닛의 진동 시점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상술한 시계 방향 순서에 의한 진동 시작 시점은 일예로서, 반시계 방향 순서로 복수의 이동유닛의 진동 시작이 구현되도록 하거나 무작위적으로 복수의 이동유닛의 진동 시작이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vibration timing of the plurality of mobile units can be changed for various lateral direction vibrations of the side pressing portion 30 by the plurality of mobile units. The vibration starting point in the above-described clockwise order is, for example, The start of oscillation of a plurality of mobile units may be implemented in clockwise order or the start of oscillation of a plurality of mobile units may be randomly implemented.

또한, 본 발명의 이형장치(1)에 의해 이형 공정이 진행되는 중에, 복수의 이동유닛의 진동 온/오프를 제어할 수도 있다.Further, during the mold release process by the mold releas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vibration on / off of the plurality of mobile units.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
10: 안착부
20: 제1 요동부
30: 측면가압부
40: 제2 요동부
1: Molding device of cast molding machine
10:
20: first oscillator
30: side pressing portion
40: second oscillator

Claims (9)

주조물을 주조하기 위한 금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금형 내에 위치한 조형사와 상기 금형을 분리시키기 위한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에 있어서,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금형이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하부측과 연결된 채, 상기 안착부를 높이 방향으로 요동치게 하는 제1 요동부;
상기 안착부의 상부측에 연결되며 상기 금형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금형이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가압부; 및
상기 안착부의 상부측에 연결되되, 상기 측면가압부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측면가압부를 폭 방향으로 요동치게 하는 제2 요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가압부는,
상기 금형의 측면을 포위하도록 제1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금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수용공간의 크기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2 요동부는,
상기 측면가압부의 상기 제1 수용공간의 크기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측면가압부의 외측에 접촉되도록 상기 안착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측면가압부는,
상기 제1 수용공간의 제1 측면을 제공하는 제1 평행부, 상기 제1 수용공간의 제2 측면을 제공하는 제2 평행부, 상기 제1 수용공간의 제3 측면을 제공하는 제3 평행부, 상기 제1 수용공간의 제4 측면을 제공하는 제4 평행부, 상기 제1 평행부와 상기 제2 평행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2 평행부와 상기 제3 평행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3 평행부와 상기 제4 평행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 및 상기 제4 평행부와 상기 제1 평행부를 연결하는 제4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평행부의 일측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평행부가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1-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2 평행부의 일측에 연결된 채, 상기 제2 평행부가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1-2 슬라이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평행부의 타측에 연결된 채, 상기 제2 평행부가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2-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3 평행부의 일측에 연결된 채, 상기 제3 평행부가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2-2 슬라이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3 연결부는, 상기 제3 평행부의 타측에 연결된 채, 상기 제3 평행부가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3-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4 평행부의 일측에 연결된 채, 상기 제4 평행부가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3-2 슬라이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4 연결부는, 상기 제4 평행부의 타측에 연결된 채, 상기 제4 평행부가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4-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1 평행부의 타측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평행부가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4-2 슬라이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
A mold releasing apparatus for separating a mold and a mold placed in the mol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mold for casting,
A seating part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on which the mold is seated;
A first swinging part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seating part to swing the seating part in a height direction;
A side pressing part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seating part and pressing the side surface of the mold to prevent the mol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ating part; And
And a second swinging portion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seat portion and contacting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pressing portion to swing the side pressing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The side-
And a first accommodating space for enclosing a side surface of the mold, the accommodating space being positioned to vary the siz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ccording to a size of the mold,
The second pivoting portion
Wherein the side pressing portion is slid along the seating por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side pressing portion when the siz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of the side pressing portion is changed to be changed,
The side-
A second parallel portion providing a second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 third parallel portion providing a third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 fourth parallel portion providing a fourth side fac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 first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parallel portion and the second parallel portion, a second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second parallel portion and the third parallel portion, A third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third parallel portion and the fourth parallel portion, and a fourth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ourth parallel portion and the first parallel portion,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sliding portion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parallel portion and adapted to allow the first parallel portion to slide along the inner side and a second sliding portion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parallel portion, And a second sliding part for sliding the first sliding part along the second sliding part,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second-first sliding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arallel portion, the second-first sliding portion causing the second parallel portion to slide along the inner side, and the second parallel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hird parallel portion, And a second-second sliding portion for sliding along the second sliding portion,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third-first sliding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third parallel portion, the third-side sliding portion causing the third parallel portion to slide along the inner side, and the third parallel portion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ourth parallel portion, And a third-second sliding portion for sliding along the second sliding portion,
The fourth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fourth-1 sliding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ourth parallel portion, the fourth parallel portion sliding along the inner side, and the fourth parallel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arallel portion, And a fourth 4-2 sliding unit for sliding the fourth sliding unit along the second slid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가압부는,
상기 제1 평행부와 상기 제3 평행부는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평행부와 상기 제4 평행부는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3 평행부는,
상기 제1 평행부가 상기 제1-1 슬라이딩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상기 제1 평행부와 연동되어 상기 제2-2 슬라이딩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4 평행부는,
상기 제2 평행부가 상기 제1-2 슬라이딩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상기 제2 평행부와 연동되어 상기 제4-1 슬라이딩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Wherein the first parallel portion and the third parallel portion are arranged in parallel, the second parallel portion and the fourth parallel portion are arranged in parallel,
Wherein the third parallel portion comprises:
The first parallel portion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parallel portion and slides inward of the second-second sliding portion when the first parallel portion slides to the inside of the first-first sliding portion,
Wherein the fourth parallel portion comprises:
And when the second parallel part is slid to the inside of the first-second sliding part, the fourth sliding part is interlocked with the second parallel part and slides inside the fourth-first sliding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평행부는,
상기 제1 평행부가 상기 제4-2 슬라이딩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상기 제1 평행부와 연동되어 상기 제3-1 슬라이딩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4 평행부는,
상기 제2 평행부가 상기 제2-1 슬라이딩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상기 제2 평행부와 연동되어 상기 제3-2 슬라이딩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hird parallel portion comprises:
Wherein the first parallel portion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parallel portion and slides inward of the third-first sliding portion when the first parallel portion slides to the inside of the fourth-
Wherein the fourth parallel portion comprises:
And when the second parallel portion is slid to the inside of the second-first sliding portion, the second sliding portion is interlocked with the second parallel portion and slides inside the third-second sliding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가압부는,
상기 제1 평행부의 상기 제1-1 슬라이딩부 내측으로의 슬라이딩이 완료되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평행부와 상기 제1-1 슬라이딩부를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제1 평행부의 상기 제1-1 슬라이딩부에 대한 위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평행부의 상기 제1-1 슬라이딩부에 대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ide-
Wherein when the sliding of the first parallel portion to the inside of the 1-1 sliding portion is completed, the first parallel portion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o simultaneously pass through the first parallel portion and the 1-1 sliding portion, So that the positional shift of the paralle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second sliding portion is limited, and the second parallel portion is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so that the first parallel portion can be moved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a first fixing part for fixing the mold to the casting mol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가압부는,
상기 제1 평행부가 상기 제1-1 슬라이딩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3 평행부가 상기 제2-2 슬라이딩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제1 수용공간의 크기가 감소하고, 상기 제1 평행부가 상기 제1-1 슬라이딩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3 평행부가 상기 제2-2 슬라이딩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제1 수용공간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ide-
When the first parallel portion is slid to the inside of the first-first sliding portion and the third parallel portion is slid to the inside of the second-second sliding portion, the siz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decreases, And the siz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is increased when the third parallel portion is slid outwardly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second sliding portion, Release device of molding machin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원주가이드부 및 지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지름가이드부로 구성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요동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는 복수의 이동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이동유닛은,
상기 측면가압부의 상기 제1 수용공간의 크기 변화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측면가압부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at (1)
And a guide portion formed of a circumferential guide portion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diameter guide portions form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The second pivot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mobile units that are moved along the guide unit,
Wherein the plurality of mobile units comprise:
Wherein the first pressing portion is moved along the guide por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siz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of the side pressing portion a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pressing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유닛 중 하나인 제1 이동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된 채 위치 이동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상측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장치와 연결되는 진동전달부 및 상기 진동전달부의 끝단에 연결된 채, 상기 측면가압부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mobile unit,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mobile units,
A vibration transmitting portion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inserting portion and connected to a vibrating device for generating vibration by a power source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a contact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pressing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부는,
상기 삽입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접촉부는,
접촉되는 상기 측면가압부의 외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진동전달부를 기준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vibration transmitting portion includes:
A pivotable member mounted on the insertion portion,
The contact portion
And is rotated about the vibration transmitting portion so as to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pressing portion to be contact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유닛은,
상기 원주가이드부의 시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이동유닛, 제2 이동유닛 및 제3 이동유닛을 구비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한 상기 제1 이동유닛, 상기 제2 이동유닛 및 상기 제3 이동유닛의 작동 시간은, 상기 시계 방향 순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조형기의 이형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lurality of mobile units comprise:
A first moving unit, a second moving unit, and a third moving unit arranged along the clockwise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guide unit,
Wherein the operating time of the first moving unit, the second moving unit, and the third moving unit by an externally applied power source is implemented in the clockwise order.
KR1020170102340A 2017-08-11 2017-08-11 Ejecting device for a molding machine KR1018067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340A KR101806775B1 (en) 2017-08-11 2017-08-11 Ejecting device for a mold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340A KR101806775B1 (en) 2017-08-11 2017-08-11 Ejecting device for a mold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6775B1 true KR101806775B1 (en) 2017-12-07

Family

ID=60920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340A KR101806775B1 (en) 2017-08-11 2017-08-11 Ejecting device for a mold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77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4032A (en) * 2019-11-01 2020-02-04 梁红侠 Large casting cavity sand cleaning ma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2121B2 (en) 1997-12-22 2001-07-03 株式会社木村鋳造所 Vibration method of foundry sand
JP3348321B2 (en) 1993-11-22 2002-11-20 太洋マシナリー株式会社 Vibration method of the vibrating device for casting sand fill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8321B2 (en) 1993-11-22 2002-11-20 太洋マシナリー株式会社 Vibration method of the vibrating device for casting sand filling
JP3182121B2 (en) 1997-12-22 2001-07-03 株式会社木村鋳造所 Vibration method of foundry san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4032A (en) * 2019-11-01 2020-02-04 梁红侠 Large casting cavity sand clean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6775B1 (en) Ejecting device for a molding machine
CN103831954A (en) Molding die for molding boot for constant velocity joint
JP2012223777A (en) Tabletting machine
KR20100073597A (en) The block manufacturing apparatus in which the cross direction molding is possible
KR20060081248A (en) A mould assembly
CN105578331B (en) A kind of earphone microphone shell component integral formation method
KR100298680B1 (en) Installation for manufacturing registration carrier
KR101646640B1 (en) Injection mold having an undercut forming a ring that is moved to the inside or outside
JP2019188696A (en) Mold
CN106273168B (en) The resin material feedway and method of compression molding apparatuss, compression molding apparatuss and method
KR101203985B1 (en) Mold
JPH0699247A (en) Casting method using special core
JP2008531341A (en) Compression molding unit and method for polymer articles
JP569239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rmediate mold included in multi-stage press machine
KR101886713B1 (en) Centrifugal mold apparatus for making a floating seal
KR20130102818A (en) Molding
KR102020421B1 (en) Apparatus for oscilating mold
KR20150141118A (en) Pin Less Mold
KR20170027996A (en) Apparatus for forming core for casting faucet having burr removing means
JP2000233423A (en) Mold for powder molding and method for powder molding
KR20190126694A (en) Molding device of molding with fine pattern on the surface
KR101715522B1 (en) Work roll casting apparatus
KR101912902B1 (en) Injection device having simple settings of mold and taking out jigs
JP3733959B2 (en) Foam molding equipment
KR20180089131A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