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769B1 - 조립식 벽체 - Google Patents

조립식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769B1
KR101806769B1 KR1020170066054A KR20170066054A KR101806769B1 KR 101806769 B1 KR101806769 B1 KR 101806769B1 KR 1020170066054 A KR1020170066054 A KR 1020170066054A KR 20170066054 A KR20170066054 A KR 20170066054A KR 101806769 B1 KR101806769 B1 KR 101806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vertical
bars
horizont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채
Original Assignee
송연종합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연종합건설(주) filed Critical 송연종합건설(주)
Priority to KR1020170066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7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7Strips o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조립식 벽체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지면과 고정되고, 측면에 복수의 삽입홀이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파이프(pipe) 타입인 한 쌍의 세로바,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삽입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삽입홀 중 하나에 삽입부가 각각 삽입됨으로써 한 쌍의 세로바와 각각 결합하고, 파이프 타입인 복수의 가로바, 및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홈을 포함하고, 홈에 가로바가 삽입됨으로써 가로바와 결합하는 복수의 외벽블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벽체{PREFABRICATED WALL}
본 발명은 조립식 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골에 블럭을 삽입함으로써 형성되는 조립식 벽체에 관한 것이다.
벽체는 벽을 이루는 부분으로 다양한 공법을 이용하여 시공되며, 특히 조립식 벽체는 시공이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하여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조립식 벽체는 저류조, 집수조, 침전조 등과 같은 시설물뿐만 아니라 저층 주택 또는 건물, 담 등과 같은 다양한 곳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조립식 벽체는 지면에 일 방향에 대하여 복수의 수직대가 박혀 있는 상태에서 홀(hole)이 형성된 블럭을 하층부터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방식이었다. 즉 완성된 벽체의 높이가 2m라면, 2m에 해당하는 복수의 수직대가 지면에 일직선으로 박혀있어야 하고, 2m 높이에서 시공자가 블럭을 수직대에 삽입하여 아래로 내리게 함으로써 블럭을 적층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식에 의하면, 수직대가 지면에 미리 일렬로 박혀 있어야 하는데, 이경우 지면에 일렬로 박힌 수직대를 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에야 벽체 설계의 변경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방식에 의하면, 완성하고자 하는 벽체의 높이에 해당하는 수직대가 박혀 있는 상태에서, 시공자가 해당 높이에 올라가서 블럭을 삽입한 후 아래로 다시 적층해야 하는 방식이므로, 시공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방식에 의하면, 블럭에 형성된 홀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수직대를 지면에 박아야 하므로, 이에 해당하는 기초공사에 투입되는 비용과 시간이 지나치게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고정된 양측의 세로바 사이에 복수의 블럭이 삽입된 복수의 가로바를 결합 및 적층함으로써, 용이하고 신속하게 벽체를 형성하도록 하는 조립식 벽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는 지면과 고정되고, 측면에 복수의 삽입홀이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파이프(pipe) 타입인 한 쌍의 세로바,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삽입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삽입홀 중 하나에 삽입부가 각각 삽입됨으로써 한 쌍의 세로바와 각각 결합하고, 파이프 타입인 복수의 가로바, 및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홈을 포함하고, 홈에 가로바가 삽입됨으로써 가로바와 결합하는 복수의 외벽블럭을 포함한다.
또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세로바 각각의 하단과 결합되어 지면상에 위치하는 바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로바에 의해 세로바와 연결된 복수의 세로바를 더 포함하고, 바닥부는 한 쌍의 세로바 및 복수의 세로바 각각의 하단 지점이 연결되어 형성된 도형과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가로바 및 세로바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의 단면이 각각 원형,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세로바의 삽입홀 및 가로바의 삽입부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wash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통형의 본체 및 본체에 대하여 직각이고, 본체의 양단에 형성된 한 쌍의 수직 삽입부를 포함하는 결합바를 더 포함하고, 결합바는 한 쌍의 세로바 각각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에 한 쌍의 수직 삽입부를 각각 삽입하여 한 쌍의 세로바를 고정하도록 하는 결합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바는 본체 중 중심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나사 및 나사에 체결되며, 나사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본체의 길이를 조절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홈은 외벽블럭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의 단면에 의한 형상이 가로바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의 단면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홈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외벽블럭의 하면에 대하여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외벽블럭은 외벽블럭의 상면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홈에 대하여 삽입 가능한 형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로바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서,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의 단면의 형상이 'ㄴ'자 형상이고, 세로바의 외부면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블럭이 삽입되기 전에 미리 모든 수직대가 지면에 삽입 및 고정될 필요가 없으므로, 수직대 고정에 필요한 비용, 노력, 및 시간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으며, 추후 벽체의 각도, 설계 등의 변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블럭을 아래층 가로바부터 순차적으로 삽입함으로써 벽체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므로, 소수의 인력에 의한 작업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로바의 다양한 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바의 다양한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바 및 세로바의 체결 방식에 관한 다양한 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바 및 세로바의 고정 방식에 관한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바 및 세로바의 체결 결과에 관한 다양한 예,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벽블럭의 다양한 예,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벽블럭 조립 결과에 관한 다양한 예,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용 외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바 및 외벽블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벽 녹화 구조에 사용되는 식생블럭 조립체에 관한 분해 사시도의 일 예,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벽 녹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벽 녹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특정 도면에 해당 부호가 없더라도, 그 이전에 설명된 도면에 해당 부호가 있다면 이를 표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로바의 다양한 예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바(100)는 파이프(pipe) 타입의 막대기 형태로서, 양단에 개구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세로바(100)의 측면에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삽입홀(120)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120)은 상호간의 간격이 후술할 외벽블럭(미도시)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로바(100)의 양단 중 어느 하나가 지면과 고정되면, 나머지 하나는 상부를 향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a)에서는 세로바(100)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세로바(100)의 단면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형,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삼각형일 수도 있으며, 기타 필요에 따라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한편 세로바(100)의 재질은 다양할 수 있으나, 경도 또는 강도가 높은 금속 재질이 바람직하며, 특히 물 등과 같은 유체에 의한 녹(rust)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에서는 세로바(100)의 일 측면에 대해서만 길이방향으로 삽입홀(120)이 복수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1(a)의 경우 필요하다면 삽입홀(120)이 길이방향에 대하여 복수로 형성된 일 측면의 반대 측면에도 복수의 삽입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복수의 삽입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도 1(b)의 전면에 대한 후면, 좌면, 우면 중 적어도 일 면에도 복수의 삽입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복수의 삽입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도 1(c)의 전면에 대한 양 측면 중 적어도 일 면에도 복수의 삽입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바의 다양한 예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바(200)는 파이프 타입의 막대기 형태로서, 양단에 삽입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10)는 단면의 폭이 가로바(200) 중심부 단면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삽입부(210)는 단면의 폭이 세로바에 형성된 삽입홀의 지름의 크기 이하이므로, 삽입부(210)는 세로바의 삽입홀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가로바(200)의 양단 중 일단에 형성된 삽입부(210)가 제1 세로바의 삽입홀로 삽입 및 고정되고, 타단에 형성된 삽입부(210)는 제2 세로바의 삽입홀로 삽입 및 고정됨으로써, 한 쌍의 세로바는 가로바에 의해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210)에는 개구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로바(200)는 파이프 타입의 막대기 형태이므로, 가로바(200) 내부의 유체는 개구부(220)를 통하여 유입 또는 유출될 수 있다.
한편 도 2(a)에서는 가로바(200)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가로바(200)의 단면은 도 2(b)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기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한편 가로바(200)의 재질은 세로바의 재질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는 전술한 바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바 및 세로바의 체결 방식에 관한 다양한 예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로바(200)의 일단을 도시한 도 3(a)과 같이, 삽입부(210)의 측면에는 수나사, 삽입홀(120)의 측면에는 암나사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경우 수나사 및 암나사의 체결에 의해 가로바(200)의 일단과 세로바(10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가로바(200)의 타단을 도시한 도 3(b)와 같이, 암나사 및 수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세로바(100)와 가로바(200)가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경우 가로바(200)의 타단과 세로바(100)의 접촉 부위는 용접될 수 있다.
한편 세로바(100)와 가로바(200) 사이에는 와셔(washer, 230)가 배치될 수 있다. 와셔(230)의 중심부에는 홀(231)이 형성되며, 삽입부(210)는 홀(231)을 통과하여 삽입홀(120)로 삽입될 수 있다. 와셔는 삽입홀(120)을 통해 유출 또는 유입되는 유체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고무 기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바 및 세로바의 고정 방식에 관한 일 예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바(300)는 원통형 막대기 형태의 본체와 양단이 각각 ‘ㄱ’자로 꺾어진 수직 삽입부(310)를 포함한다. 따라서 양단의 수직 삽입부(310)는 한 쌍의 세로바(100) 각각에 형성된 개구부(110)에 삽입됨으로써 한 쌍의 세로바(100)는 고정될 수 있다. 이경우 결합바(300)는 한 쌍의 세로바(100)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결합바(300)의 본체 중심부에는 수나사(330)가 형성되며, 암나사 형태로 수나사(330)와 맞물려 회전 가능한 레버(320)가 형성된다. 레버(32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레버(320)와 수나사(330)의 접촉 부위 길이가 변하므로, 결합바(300) 본체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세로바(100)의 간격에 따라 결합바(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결합바(300)는 일단에 레버(320)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수직 삽입부(310)가 구비되는 제1 본체(301)와 일단에 상기 제1 본체(301)의 레버(320)와 결합되도록 둘레에 나사(33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수직 삽입부(310)가 구비되는 제2 본체(30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301)와 제2 본체(302)는 각각에 구비되는 레버(320)와 나사(320)가 서로 맞물려 상기 결합부(300)의 중심에 구비되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본체(302)의 나사(330)가 상기 제1 본체(301)의 레버(320)의 내측에 회전하여 삽입되면 상기 제1 본체(301)의 수직 삽입부(310)에서 상기 제2 본체(302)의 수직 삽입부(310)까지의 길이가 감소되고, 상기 제2 본체(301)의 나사(330)가 상기 제1 본체(301)의 레버(320)의 외측으로 회전하면서 배출되면 상기 제1 본체(301)의 수직 삽입부(310)에서 상기 제2 본체(302)의 수직 삽입부(310)까지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바 및 세로바의 체결 결과에 관한 다양한 예이다. 가로바와 한 쌍의 세로바의 결합방식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400)는 지면상에 놓여지며, 평면 형상을 할 수 있다. 한 쌍의 세로바(100)의 하단은 바닥부(400)의 상면에 용접 기타 다양한 체결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경우 한 쌍의 세로바(100) 각각을 연결하면 직선이므로, 바닥부(400)는 직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복수의 세로바(100)는 필요한 외벽의 형태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경우 바닥부(400)의 형상 역시 복수의 세로바(100)가 연결된 형태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벽블럭의 다양한 예이다.
외벽블럭(500)은 좌우방향으로 긴 직육면체의 형상으로서, 좌우측면을 관통하는 홀(51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a)는 홀(510)이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가로바(200)의 단면 역시 이와 동일한 지름의 원형일 수 있다. 따라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바(200)는 외벽블럭(500)의 홀(510)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가로바(200)는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외벽블럭(5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외벽블럭(500)이 포함된 가로바(200)는 상하방향으로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은 홀(510)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경우 가로바(200)의 단면 역시 이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사각형일 수 있다. 이외에도 홀(510)의 형상은 가로바(200)의 단면 형상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외벽블럭(500)에 홈(520)이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520)은 외벽블럭(500)의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므로, 외벽블럭(500)의 좌우측면은 개방되어 있다. 특히 외벽블럭(500)의 하면의 중심부는 좌우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므로, 외벽블럭(500)의 하면에는 홈(520)이 형성되지만, 상면에는 홈(520)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바(200)는 외벽블럭(500)의 홈(52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 8(b)에서는 하나의 홈(520)에 하나의 가로바(200)가 삽입된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하나의 홈(520)에 복수의 가로바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는 외벽블럭(500)이 대형 사이즈로 제작되는 경우일 수 있다.
특히 도 6 내지 도 7에 의하면, 가로바(200)의 일단만이 제1 세로바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벽블럭(500)을 삽입한 후 가로바(200)의 타단이 제2 세로바에 결합되어야 한다. 그러나 도 8에 의하면, 가로바(200)의 양단이 각각 한 쌍의 세로바에 설치된 후 외벽블럭(500)을 가로바(200)에 삽입하면 되기 때문에, 시공이 수월해 진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9(a)는 도 8(a)에 도시된 외벽블럭(500)의 상면에 돌출부(530)가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돌출부(530)는 전후방향의 단면이 외벽블럭(500)에 형성된 홈(520)의 전후방향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부 외벽블럭에 형성된 돌출부(530)가 상부 외벽블럭에 형성된 홈(520)으로 삽입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외벽블럭이 적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가로바(200)가 홈(520)에 삽입되므로, 돌출부(530)의 높이와 가로바(200)의 지름을 더한 값은 홈(520)의 깊이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바(200)를 삽입한 외벽블럭(500)이 적층될 수 있다.
또한 도 9(b)에서는 하나의 홈(520)에 하나의 가로바(200)가 삽입된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하나의 홈(520)에 복수의 가로바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는 외벽블럭(500)이 대형 사이즈로 제작되는 경우일 수 있다. 이경우 홈(520)의 깊이는 이에 삽입된 돌출부(530)의 높이, 삽입된 복수의 가로바(200) 각각의 지름, 삽입된 복수의 가로바(200)간의 간격을 모두 합한 값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방식으로 세로바, 가로바, 외벽블럭을 조립 및 설치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벽블럭 조립 결과에 관한 다양한 예이다.
여기서 도 10은 외벽의 가장자리에 세로바(100)가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단면이 사각형인 도 1(b)의 세로바(100)를 이용하여 외벽이 설치된 것이다.
다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이 각각 수직으로 만나는 경우, 단면이 사각형이 아닌 원형, 삼각형, 다각형, 타원형인 세로바(10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해당 세로바(100)의 외부면은 커버(550)로 마감될 수 있다. 도 11과 같이 세로바(100)로 연결된 지점에서 만나는 두 외벽이 ‘ㄴ’자 형상이므로, 커버(550)는 단면이 ‘ㄴ’자 형상일 수 있다. 이경우 커버(550)의 제1면의 폭(W1)은 마주하는 제1 외벽의 단면의 폭(W1)과 동일하고, 제2면의 폭(W2)은 마주하는 제2 외벽의 단면의 폭(W2)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서는 커버(550)의 가로방향 단면이 ‘ㄴ’자 형상인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세로바(100)를 중심으로 두 외벽이 만나는지 아니면 하나의 외벽만이 세로바(100)와 만나는지에 따라 커버(55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조립식 벽체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조립식 벽체 구조를 이용한 냉난방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조합되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용 외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용 외벽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은 조립식 벽체 구조에 급수부(410), 배수부(420), 순환부(430), 정수부(440), 보일러(450), 냉각부(460)를 포함한다.
세로바(100) 및 가로바(200)는 파이프 형태로서, 내부에는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로바(100) 및 가로바(200)의 연결지점 역시 홀을 통하여 유체가 이동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세로바(100) 및 가로바(200) 내부에 유입되는 유체는 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세로바(100) 및 가로바(200) 중 어느 하나의 부분에 급수부(410)가 배치되며, 급수부(410)는 세로바(100) 및 가로바(200) 내부에 물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세로바(100) 및 가로바(200) 중 어느 하나의 부분에 배수부(420)가 배치되며, 배수부(420)는 세로바(100) 및 가로바(200) 내부의 물을 외부로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세로바(100) 및 가로바(200) 중 어느 하나의 부분에 보일러(450)가 배치되며, 보일러(450)는 세로바(100) 및 가로바(200) 내부의 물을 가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세로바(100) 및 가로바(200) 중 어느 하나의 부분에 냉각부(460)가 배치되며, 냉각부(460)는 세로바(100) 및 가로바(200) 내부의 물을 냉각할 수 있다.
한편 순환부(430)는 보일러(450) 또는 냉각부(460)에 의하여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을 세로바(100) 및 가로바(200)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은 순환부(430)에 의하여 세로바(100) 및 가로바(200) 내부를 통해 이동 및 순환하므로, 금속 재질의 세로바(100) 및 가로바(200)는 그에 따라 온도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세로바(100)에 결합된 외벽블럭의 온도 역시 그에 따라 변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외벽 구조를 사용하는 시설물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세로바(100) 및 가로바(200) 중 어느 하나의 부분에 정부부(440)가 배치되며, 정수부(440)는 세로바(100) 및 가로바(200) 내부의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조립식 벽체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조립식 벽체 구조를 이용한 외벽 녹화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조합되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바 및 외벽블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바(600)는 본체(610) 및 본체(610)의 측면과 수직으로 배치된 돌출바(620)를 포함한다. 본체(610)는 파이프 타입의 막대기 형태이며, 양단에 형성된 수직 삽입부, 단면의 폭, 단면의 형상, 재질 등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돌출바(620)는 파이프 형태로서, 일단은 본체와 용접 기타 다양한 체결 방식에 의해 결합되므로 본체(610)와 돌출바(620) 내부의 유체는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고, 타단은 내부의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막혀진 형태이다.
또한 도 14에서는 돌출바(620)의 단면 지름이 본체(610)의 단면 지름보다 작은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돌출바(620)의 단면 지름은 본체(610)의 단면 지름과 동일할 수도 있다.
또한 돌출바(620)는 본체(610)의 일 측면에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돌출바(620)간의 간격은 후술할 외벽블럭(미도시)의 너비와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에서는 본체(610) 및 돌출바(620)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기타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돌출바(620)의 하부 일 측면에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홀(630)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가로바(600)가 설치된 경우 돌출바(620)의 외부면 중 지면을 향하는 일 측면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홀(630)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610) 내부의 유체는 돌출바(620)로 이동하여 홀(63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도 14에서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 하나의 배열(array)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복수의 배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5는 외벽블럭(700)에 가로홈(710) 및 세로홈(720)이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가로홈(710)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세로홈(720)의 구체적인 형상은 가로홈(710)의 형상과 동일하며, 다만 좌우방향이 아닌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점만 차이가 있을 뿐이다. 결국 외벽블럭(700)의 하면에는 가로홈(710) 및 세로홈(720)이 교차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외벽블럭(700)의 상면에 가로홈(710) 및 세로홈(720)에 매칭되는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미도시)는 가로 돌출부(미도시) 및 세로 돌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 돌출부(미도시)는 가로홈(710)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외벽블럭(700) 상면의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세로 돌출부(미도시)는 세로홈(720)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외벽블럭(700) 상면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결국 외벽블럭(700)의 상면에 형성되는 돌출부(미도시)는 가로 돌출부(미도시) 및 세로 돌출부(미도시)가 교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 의함으로써, 각 외벽블럭 사이의 결합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가로바(600)의 본체(610) 및 가로 돌출부(미도시)가 가로홈(710)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므로, 가로 돌출부(미도시)의 높이와 가로바(200)의 본체(610) 지름을 더한 값은 가로홈(710)의 깊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이는 세로홈(720)의 깊이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바(610)는 외벽블럭(700)과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610)는 가로홈(710)으로 삽입되고, 돌출바(620)는 세로홈(7200)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벽 녹화 구조에 사용되는 식생블럭 조립체에 관한 분해 사시도의 일 예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860)는 식생에 필요한 토양 및 양분을 제공하는 식생 기반재(810)를 외피(820)로 둘러싼 식생블럭(800), 식생블럭(800)을 내부에 수용하는 골조 프레임(830), 골조 프레임(830) 내에 위치하는 식생블럭(800)의 외부에 노출되는 면을 둘러싸 외부종자의 유입 및 발아를 방지하는 케이스(850)를 포함한다.
식생블럭(800)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에 필요한 토양 및 양분을 제공하는 식생 기반재(810)를 외피(820)로 둘러싸 형성되는 구성으로, 식생 기반재(810)는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기반이 되는 토양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면서 필요한 양분과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식생 기반재(810)는 인공토양과 같은 구성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코코피트, 피트모스, 석회질비료, 첨가제 등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되고 있다. 외피(820)는 식생 기반재(810)가 일정 형태로 유지되도록 외부 표피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외피(820)는 통상적으로 코코넛 섬유 등과 같은 천연섬유질로 이루어지고 있다.
골조 프레임(830)은 식생블럭(800)을 내부에 수용하며, 식생블럭 조립체(860)가 견고한 외부 형태를 유지하도록 골격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식생블럭(8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빈 공간을 형성하고, 식생블럭(800)의 면 전체에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 살들이 가급적 얇은 두께로 최소한의 필요 부위에만 형성되어 식생블럭(800)의 전, 후, 좌, 우면이 모두 외부와 연통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 프레임(830)의 중앙부에서 골조 프레임(830)의 전, 후면을 연하여 관통하는 중공(840)이 형성되며, 이러한 중공(840)을 통하여 가로바의 돌출바에 결합됨은 후술하도록 한다.
케이스(850)는 골조 프레임(830) 내에 위치하는 식생블럭(800)의 외부에 노출되는 면을 둘러싸 외부종자의 유입 및 발아를 방지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케이스(850)는 시트 자체의 구조가 식생블럭(800)과 접하며 공기와 수분이 내재될 수 있는 다수의 공극을 포함하도록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사용하여 부직포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층(미도시), 베이스층(미도시) 상부에 형성되어 외부에 노출되며 차광에 의해 복사열을 저감시키고 외부종자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폴리프로필렌(PP) 시트를 직조하여 형성되는 차단층(미도시)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860)가 조립식 벽체 구조에 부착됨으로써 외벽 녹화 구조가 이루어지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벽 녹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바(600)에 외벽블럭(700)이 삽입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후 식생블럭 조립체(860)가 가로바(6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식생블럭 조립체(860)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840)으로 돌출바(620)가 삽입될 수 있다. 이경우 돌출바(620)의 단면 지름은 중공(840)의 지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고정마개(870)는 돌출바(620)의 외측단에 압입될 수 있다. 이경우 고정마개(870)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서,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된 형태의 마개일 수 있다. 따라서 고정마개(870)가 돌출바(620)에 압입됨으로써, 식생블럭 조립체(860)는 외벽블럭(700)의 일 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돌출바(620)에 고정될 수 있다. 조립식 벽체 구조에 식생블럭 조립체(860)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에 대하여 복수로 배치된 구조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돌출바(620) 내부의 물은 하부방향에 대하여 복수로 형성된 홀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를 위하여 외벽 녹화 구조는 급수부 및 순환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2에서 상세한 바와 같다. 따라서 물은 돌출바(620)의 하단에 형성된 복수의 홀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어, 돌출바(620)와 결합된 식생블럭 조립체(860)로 흡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식생블럭 조립체(860)가 직접 조립식 벽체 구조에 결합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거치식 화분이 조립식 벽체 구조에 결합되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0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벽 녹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화분(900)의 사시도이다. 거치식 화분(900)은 부착판(910) 및 화분 본체(930)를 포함한다.
화분 본체(930)는 식생에 필요한 배양토를 보관하는 구성으로, 일면이 개방되며 단면이 U자형인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화분 본체(930)의 적어도 일면에는 배양토에 흡수된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홀(940)이 복수로 형성된 하나의 배열이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940)의 배열은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화분 본체(930)의 일 모서리는 부착판(910)의 하부 모서리와 결합될 수 있다.
부착판(910)은 평면 형상이며, 결합홀(920)이 가로방향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경우 인접한 결합홀(920)의 간격은 인접한 돌출바(620)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바(620)가 결합홀(920)에 삽입됨으로써,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식 화분(900)은 조립식 벽체 구조와 결합될 수 있다. 이경우 부착판(910)과 돌출바(620)를 고정하여 거치식 화분(90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고정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돌출바(620) 내부의 물은 하부방향에 대하여 복수로 형성된 홀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를 위하여 외벽 녹화 구조는 급수부 및 순환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2에서 상세한 바와 같다. 따라서 물은 돌출바(620)의 하단에 형성된 복수의 홀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어 하부방향으로 낙하함으로써, 화분 본체(930)에 담긴 배양토로 흡수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세로바 200, 600: 가로바
300: 결합바 400: 바닥부
410: 급수부 420: 배수부
430: 순환부 440: 정수부
450: 보일러 460: 냉각부
500, 700: 외벽블럭
530: 돌출부 550: 커버
800: 식생블럭 810: 식생 기반재
820: 외피 830: 골조 프레임
840: 중공 850: 케이스
860: 식생블럭 조립체 870: 고정 마개
900: 거치식 화분
910: 부착편 920: 결합홀
930: 화분 본체 940: 배수홀

Claims (11)

  1. 지면과 고정되고, 측면에 복수의 삽입홀이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파이프(pipe) 타입인 한 쌍의 세로바;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삽입홀 중 하나에 상기 삽입부가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세로바와 각각 결합하고, 파이프 타입인 복수의 가로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에 상기 가로바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가로바와 결합하는 복수의 외벽블럭;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세로바 각각의 하단과 결합되어 상기 지면상에 위치하는 바닥부;
    상기 세로바의 상기 삽입홀 및 상기 가로바의 상기 삽입부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washer); 및
    원통형의 본체와 상기 원통형의 본체의 양단 각각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한 쌍의 수직 삽입부로 이루어지는 결합바;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바와 상기 가로바는 각각 금속인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와셔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가로바의 양단의 삽입부의 단면의 폭은 상기 가로바의 중심부 단면의 폭보다 작게 구비되며, 상기 와셔의 중심부에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로바의 삽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가로바의 삽입부가 상기 세로바의 삽입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삽입홀을 통해 유출 또는 유입되는 유체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상기 가로바와 상기 세로바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가로바의 삽입부의 외면에는 수나사가 상기 세로바의 삽입홀의 내주연에는 암나사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와 삽입홀은 나사결합으로 연결되며,
    상기 결합바는 상기 한 쌍의 세로바 각각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에 상기 한 쌍의 수직 삽입부를 각각 삽입하여 상기 한 쌍의 세로바를 고정하며, 상기 결합바는 상기 본체 중 중심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나사와 상기 나사에 체결되며, 상기 나사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길이를 조절하는 레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바는 일단에 레버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수직 삽입부가 구비되는 제1 본체와 일단에 상기 제1 본체의 레버와 결합되도록 둘레에 나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수직 삽입부가 구비되는 제2 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본체와 제2 본체는 각각에 구비되는 레버와 나사가 서로 맞물려 상기 결합바의 중심에 구비되어 연결되며, 상기 제2 본체의 나사가 상기 제1 본체의 레버의 내측에 회전하여 삽입되면 상기 제1 본체의 수직 삽입부에서 상기 제2 본체의 수직 삽입부까지의 길이가 감소되고, 상기 제2 본체의 나사가 상기 제1 본체의 레버의 외측으로 회전하면서 배출되면 상기 제1 본체의 수직 삽입부에서 상기 제2 본체의 수직 삽입부까지의 길이가 증가되며,
    복수의 가로바에 의해 상기 세로바와 연결된 복수의 세로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복수의 가로바 및 상기 복수의 세로바 각각의 하단 지점이 연결되어 형성된 도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로바는 상기 가로바의 본체의 측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 형태의 복수개의 돌출바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돌출바는 일정간격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가로바의 본체 내부와 연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와 돌출바 내부의 유체는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며, 상기 돌출바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홀이 구비되어 본체 내부의 유체는 돌출바로 이동하여 홀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고,
    상기 외벽블럭에서 상기 홈은 상기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외벽블럭의 하면에 대하여 개방된 구조이고,
    상기 외벽블럭은 육면체로 구비되되 상기 홈은 상기 가로바가 삽입되도록 상기 가로바의 본체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는 가로홈과 상기 돌출바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로홈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세로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벽블럭에서 상기 돌출바가 돌출되는 부분인 상기 외벽블럭의 일 측면에는 외벽 녹화 구조에 사용되는 식생블럭 조립체가 상기 외벽블럭의 일면을 덮도록 구비되고, 상기 식생블럭 조립체는 식생에 필요한 토양 및 양분을 제공하는 식생 기반재와, 상기 식생 기반재을 둘러싸는 외피로 이루어진 식생블럭, 상기 식생블럭을 내부에 수용하는 골조 프레임, 상기 골조 프레임 내에 위치하는 식생블럭의 외부에 노출되는 면을 둘러싸 외부종자의 유입 및 발아를 방지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블럭 조립체는 상기 가로바의 돌출바가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식생블럭 조립체가 상기 외벽블럭의 일면에 구비되면 상기 중공은 상기 외벽블럭의 세로홈에 대면하고, 상기 가로바가 상기 외벽블럭에 삽입되면 상기 가로바의 돌출바가 상기 외벽블럭의 세로홈을 통하여 돌출되어 상기 중공에 삽입되고, 상기 식생블럭 조립체의 중공으로 돌출되는 상기 가로바의 돌출바의 말단의 개구된 부분에는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된 형태의 마개인 고정마개가 압입되어 상기 식생블럭 조립체는 상기 외벽블럭의 일 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돌출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 및 세로바는
    상기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의 단면이 각각 원형,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바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서,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의 단면의 형상이 'ㄴ'자 형상이고, 상기 세로바의 외부면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
KR1020170066054A 2017-05-29 2017-05-29 조립식 벽체 KR101806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054A KR101806769B1 (ko) 2017-05-29 2017-05-29 조립식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054A KR101806769B1 (ko) 2017-05-29 2017-05-29 조립식 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6769B1 true KR101806769B1 (ko) 2018-01-10

Family

ID=60998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054A KR101806769B1 (ko) 2017-05-29 2017-05-29 조립식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7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9584A (ja) * 2006-09-15 2008-03-27 Mitsubishi Plastics Ind Ltd 間仕切り壁コーナー部カバー板の取り付け構造
KR101163383B1 (ko) * 2010-06-23 2012-07-12 윤승배 조립식 방음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9584A (ja) * 2006-09-15 2008-03-27 Mitsubishi Plastics Ind Ltd 間仕切り壁コーナー部カバー板の取り付け構造
KR101163383B1 (ko) * 2010-06-23 2012-07-12 윤승배 조립식 방음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7481U (ja) 緑化壁構造体
KR101296738B1 (ko) 벽면녹화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 수직정원 시스템
US9374947B2 (en) Wall planting module
KR101803092B1 (ko) 벽면 녹화 시스템
BR112015000148B1 (pt) Estrutura de superfície de planta, elemento de base e método para formar uma estrutura de superfície de planta
KR100618407B1 (ko) 도로 경사면용 배수로장치
JP4946134B2 (ja) 暑熱環境低減装置
KR101806769B1 (ko) 조립식 벽체
CA2858946C (en) Modular reservoir wick
KR101951104B1 (ko) 냉난방용 외벽 구조
JP5632666B2 (ja) 壁面緑化設備
KR101471062B1 (ko) 벽면 녹화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벽면 녹화 구조물
KR101951105B1 (ko) 외벽 녹화 구조
KR102038769B1 (ko) 급수화분을 갖는 식물재배화분
KR101494192B1 (ko) 자연장지용 분골안치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분골매장방법
US9206574B2 (en) Aggregate replacement
US9593783B2 (en) Aggregate replacement
KR101056180B1 (ko) 벽면부착형 식물재배기
KR20180047964A (ko) 연결자 및 그 연결자를 이용한 마감구조가 구비된 조립식 화단
KR20150083386A (ko) 조립식 토목 블록
KR101818562B1 (ko) 식생이 용이한 보강토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76385A (ko) 복사열 차단이 가능한 식물재배화분
JP2012019714A (ja) 壁面緑化ユニットと、その壁面緑化ユニットを用いた壁面緑化設備
KR20200077882A (ko) 상하수도관의 매립설치구조물
JPH10164989A (ja) プランターならびにプランター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