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451B1 - 분사 노즐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사 노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451B1
KR101806451B1 KR1020170030730A KR20170030730A KR101806451B1 KR 101806451 B1 KR101806451 B1 KR 101806451B1 KR 1020170030730 A KR1020170030730 A KR 1020170030730A KR 20170030730 A KR20170030730 A KR 20170030730A KR 101806451 B1 KR101806451 B1 KR 101806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nozzle
check valve
pressure
suppli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승규
Original Assignee
장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승규 filed Critical 장승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5B15/025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B05B15/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discharged by clean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1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 B05B15/026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B05B15/557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the cleaning fluid being a mixture of gas and liquid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 시스템은 유체를 가압하여 공급하는 투입 펌프; 상기 투입 펌프에서 상호 대응되게 배치되며, 상기 투입 펌프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각각 초고압으로 가압하며 상호 교번되게 작동되는 제1,2 증압기; 상기 제1,2 증압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1,2 증압기에서 각각 가압된 초고압의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유체를 균질화 시키는 분사 노즐부; 및 상기 분사 노즐부의 내부에 주입된 공기를 제거하거나 상기 분사 노즐부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 노즐부에 배치되는에어 액츄 에이터 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사 노즐 시스템{INJECTION NOZZLE SYSTEM}
본 발명은 분사 노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사 노즐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분사 노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사 노즐 시스템은 증압기를 통해 유체를 초고압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유체를 분사 모듈로 통과 시키면 압력의 급격한 저하에 따른 초음파 유속이 형성된다.
이때 유체 내의 입자에 충격, 공동화(Cavitation), 난류 및 전단력이 작용하여 유체는 세포파괴, 미립화, 유화, 분산, 리포좀 등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는 초고압 균질는 기존의 호모믹서, 초음파, 볼밀 등을 이용하는 타 기술에 비해 높은 효율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분산이 제품의 품질 및 불량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면서 초고압 분산 공정은 전기/전자 재료, 생명공학, 제약, 식품, 섬유, 도료, 화장품 산업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분사 노즐 시스템은 증압기를 통해서 공급된 초고압 유체를 분사 노즐에서 유체를 균질하게 한 후 이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하여 증압기와 분사 노즐로 이루어지며, 분사 노즐의 전방 측에는 분사 노즐에서 균질화된 유체를 열교환 시키는 열교환 유닛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분사 노즐 시스템은 분사 노즐과 증압기 사이와 분사 노즐과 열교환 유닛의 사이에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체크 밸브가 각각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분사 노즐 시스템은 증압기에서 공급되는 유체의 입자에 의해서 분사 노즐이 막힐 경우에는 분사 노즐을 분리하여, 분사 노즐이 막힌 부분을 증압기와 반대로 설치한 후 증압기에서 유체를 공급하여, 증압기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분사 노즐의 막히지 않은 부분을 통과하여 유체의 압력에 의해 분사 노즐의 막힌 부분을 세척하여 막힌 부분이 뚫리도록 분사 노즐을 역세척 하여 왔다.
그러나 종래의 분사 노즐 시스템은 분사 노즐이 유체의 입자에 의해 막힐 때 마다 분사노즐을 분리하여 분사 노즐의 막힌 부분을 증압기에 반대 로 설치하여 세척한 후 분사 노즐을 정 방향으로 다시 설치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잦은 분해와 조립으로 인한 분사 노즐 시스템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위하여 선행특허문헌에서는 4개의 수동밸브나 4개의 자동밸브를 장착하여 분사 노즐이 막혔을 경우 밸브를 작동하여, 노즐이 막혔을 때 분해 없이 유체의 유로를 변경하여 막힌 노즐을 뚫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4개의 차단 밸브를 추가설치에 따른 비용증가 및 내부 잔류 공간이 많아 균질화되지 않거나 잔류물질에 의한 제품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설치 부품의 추가로 유지보수의 빈도가 많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분사 노즐의 잦은 분해와 설치로 인하여 분사 노즐과 증압기 및 열교환 유닛 간의 결합 부위의 누수가 발생할 수 있어 증압기에서 공급되는 초고압의 유체의 의해 분사 노즐과 열교환 유닛 간의 결합 부위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 특허 10-2015-007854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사노즐의 양측으로 유체를 교번되게 공급시켜, 분사 노즐이 막힌 부분을 고압의 유체로 세척이 가능하여, 분사 노즐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분사 노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 시스템은 유체를 가압하여 공급하는 투입 펌프(110); 상기 투입 펌프(110)에서 상호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투입 펌프(110)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각각 초고압으로 가압하며, 상호 교번되게 작동되는 제1,2 증압기(130,140); 상기 제1,2 증압기(130,140)와 연결되고, 상기 제1,2 증압기(130,140)에서 각각 가압된 초고압의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유체를 균질화 시키는 분사 노즐부(150); 상기 분사 노즐부(150)의 내부에 주입된 공기를 제거하거나, 상기 분사 노즐부(150)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 노즐부(150)에 배치되는 에어 액츄 에이터 밸브(180); 상기 투입 펌프(110)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제1,2 증압기(130,140)로 각각 공급하는 분기관(120); 상기 제1 증압기(130)와 상기 분사 노즐부(15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가 상기 분기관(120)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를 상기 분사 노즐부(150)로 공급하되,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가 상기 제1 증압기(13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역류 방지부(131); 및 상기 제2 증압기(140)와 상기 분사 노즐부(15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가 상기 분기관(120)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를 상기 분사 노즐부(150)로 공급하되,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가 상기 제2 증압기(14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역류 방지부(141)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역류 방지부(131)는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가 상기 분기관(120)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분기관(120)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제1 체크 밸브(131a)와, 상기 제1 체크 밸브(131a)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2 체크 밸브(131b)와, 상기 제2 체크 밸브(131b)와 연결되고 상기 분사 노즐부(150)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3 체크 밸브(131c)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역류 방지부(141)는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가 상기 분기관(120)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분기관(120)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제1 체크 밸브(141a)와, 상기 제1 체크 밸브(141a)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2 체크 밸브(141b)와, 상기 제2 체크 밸브(141b)와 연결되고 상기 분사 노즐부(150)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3 체크 밸브(141c)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증압기(130)와 상기 분사 노즐부(150)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1,2,3 체크 밸브(131a,131b,,131c)는 제1 연결부(132)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 증압기(140)와 상기 분사 노즐부(150)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1,2,3 체크 밸브(141a,141b,141c)는 제2 연결부(142)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부(132)는 상기 제1,2 체크 밸브(131a,131b) 및 제1 증압기(130)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가 상기 제2 체크 밸브(131b)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32b)를 형성하는 제1 케이스(132a)와, 상기 제2,3 체크 밸브(131b,131c)를 연결하여 상기 제2 체크 밸브(131b)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제3 체크 밸브(131c)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32d)를 형성하는 제2 케이스(132c)와, 상기 제3 체크 밸브(131c)와 상기 분사 노즐부(150)를 연결하고 상기 제3 체크 밸브(131c)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분사 노즐부(150)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32f)를 형성하는 제3 케이스(132e)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142)는 상기 제1,2 체크 밸브(141a,141b) 및 상기 제2 증압기(140)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가 상기 제2 체크 밸브(141b)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42b)를 형성하는 제1 케이스(142a)와, 상기 제2,3 체크 밸브(141b,141c)를 연결하여 상기 제2 체크 밸브(141b)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제3 체크 밸브(141c)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42d)를 형성하는 제2 케이스(142c)와, 상기 제3 체크 밸브(141c)와 상기 분사 노즐부(150)를 연결하고 상기 제3 체크 밸브(141c)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분사 노즐부(150)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42f)를 형성하는 제3 케이스(142e)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노즐부(150)는 상기 제1 연결부(132)의 제3 케이스(132e)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를 균질화 시키는 제1 보조 분사 노즐(151)과, 상기 제2 연결부(142)의 제3 케이스(142e) 측에 배치되어 연결되고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를 균질화 시키는 제2 보조 분사 노즐(152)과, 상기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에서 각각 균질화된 유체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공급된 유체를 균질화 시켜 이를 외부에 토출 시키는 메인 분사 노즐(153)을 포함하고, 상기 제1,2 증압기(130,140)는 상기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의 일측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서 각각 교번되게 작동되어 상기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에 각각 초고압 유체를 교번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을 각각 교번되게 세척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 시스템은 유체를 가압하여 공급하는 투입 펌프(110); 상기 투입 펌프(110)에서 상호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투입 펌프(110)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각각 초고압으로 가압하며, 상호 교번되게 작동되는 제1,2 증압기(130,140); 상기 제1,2 증압기(130,140)와 연결되고, 상기 제1,2 증압기(130,140)에서 각각 가압된 초고압의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유체를 균질화 시키는 분사 노즐부(150); 상기 분사 노즐부(150)의 내부에 주입된 공기를 제거하거나, 상기 분사 노즐부(150)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 노즐부(150)에 배치되는 에어 액츄 에이터 밸브(180); 상기 투입 펌프(110)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제1,2 증압기(130,140)로 각각 공급하는 분기관(120); 상기 제1 증압기(130)와 상기 분사 노즐부(15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가 상기 분기관(120)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를 상기 분사 노즐부(150)로 공급하되,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가 상기 제1 증압기(13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역류 방지부(131); 및 상기 제2 증압기(140)와 상기 분사 노즐부(15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가 상기 분기관(120)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를 상기 분사 노즐부(150)로 공급하되,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가 상기 제2 증압기(14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역류 방지부(141)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역류 방지부(131)는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가 상기 분기관(120)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분기관(120)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제1 체크 밸브(131a)와, 상기 제1 체크 밸브(131a)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2 체크 밸브(131b)와, 상기 제2 체크 밸브(131b)와 연결되고 상기 분사 노즐부(150)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3 체크 밸브(131c)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역류 방지부(141)는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가 상기 분기관(120)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분기관(120)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제1 체크 밸브(141a)와, 상기 제1 체크 밸브(141a)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2 체크 밸브(141b)와, 상기 제2 체크 밸브(141b)와 연결되고 상기 분사 노즐부(150)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3 체크 밸브(141c)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증압기(130)와 상기 분사 노즐부(150)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1,2,3 체크 밸브(131a,131b,,131c)는 제1 연결부(132)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 증압기(140)와 상기 분사 노즐부(150)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1,2,3 체크 밸브(141a,141b,141c)는 제2 연결부(142)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부(132)는 상기 제1,2 체크 밸브(131a,131b) 및 제1 증압기(130)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가 상기 제2 체크 밸브(131b)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32b)를 형성하는 제1 케이스(132a)와, 상기 제2,3 체크 밸브(131b,131c)를 연결하여 상기 제2 체크 밸브(131b)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제3 체크 밸브(131c)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32d)를 형성하는 제2 케이스(132c)와, 상기 제3 체크 밸브(131c)와 상기 분사 노즐부(150)를 연결하고 상기 제3 체크 밸브(131c)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분사 노즐부(150)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32f)를 형성하는 제3 케이스(132e)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142)는 상기 제1,2 체크 밸브(141a,141b) 및 상기 제2 증압기(140)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가 상기 제2 체크 밸브(141b)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42b)를 형성하는 제1 케이스(142a)와, 상기 제2,3 체크 밸브(141b,141c)를 연결하여 상기 제2 체크 밸브(141b)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제3 체크 밸브(141c)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42d)를 형성하는 제2 케이스(142c)와, 상기 제3 체크 밸브(141c)와 상기 분사 노즐부(150)를 연결하고 상기 제3 체크 밸브(141c)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분사 노즐부(150)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42f)를 형성하는 제3 케이스(142e)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노즐부(150)는 상기 제1 연결부(132)의 제3 케이스(132e)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를 균질화 시키는 복수 개의 제1 보조 분사 노즐(151)과, 상기 제2 연결부(142)의 제3 케이스(142e)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를 균질화 시키는 복수 개의 제2 보조 분사 노즐(152)과, 상기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에서 각각 균질화된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유체를 균질화 시켜 토출 시키도록 제3 연결부(154)에 의해 연결되는 메인 분사 노즐(153)을 포함하고, 상기 제1,2 증압기(130,140)는 상기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의 일측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서 각각 교번되게 작동되어 상기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에 각각 초고압 유체를 교번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을 각각 교번되게 세척한다.
또한, 상기 제3 연결부(154)는 양측에 상기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 및 상기 메인 분사 노즐(153)에 결합되어 상기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메인 분사 노즐(153)에 공급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54b)가 형성된 연결 케이스(154a)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분사 노즐부에 열교환 유닛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분사 노즐부에 열교환 유닛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분사 노즐부에 열교환 유닛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 시스템(100)은 분사 노즐부(150)가 유체의 입자에 의해 막힐 경우 분사 노즐부(150)로 공급되는 유체의 방향을 변경하여 유체의 압력을 통해서 분사 노즐부(150)를 세척하여 분사 노즐부(150)의 막힌 부분을 뚫을 수 있은 것으로, 유체를 유화 및 분산 시켜 균질화 된 유체를 분사시키는 초고압 균질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 시스템(100)은 투입 펌프(110), 제1,2 증압기(130)(140), 분사 노즐부(150) 및에어 액츄 에이터 밸브(180)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 펌프(110)는 유체를 가압하여 제1,2 증압기(130)(140)로 공급한다.
상기 제1,2 증압기(130)(140)는 투입 펌프(110)에 상호 대응되게 배치되며, 투입 펌프(110)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각각 초고압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제1,2 증압기(130)(140)는 투입 펌프(110)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각각 공급받도록 분기관(120)을 통해 연결되며, 상호 교번되게 작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1,2 증압기(130)(140)는 기 설정된 타이머 또는 PLC 제어를 통해 상호 교번되게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 노즐부(150)는 제1,2 증압기(130)(140)와 연결되며, 제1,2 증압기(130)(140)에서 각각 가압된 초고압의 유체를 공급받아 유체를 균질화 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증압기(130)와 분사 노즐부(150)에는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제1 역류 방지부(13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역류 방지부(131)는 제1 체크 밸브(131a), 제2 체크 밸브(131b) 및 제3 체크 밸브(131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체크 밸브(131a)는 제1 증압기(13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가 분기관(120)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분기관(120)의 일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체크 밸브(131b)는 제1 케이스(132a)를 통해 제1 체크 밸브(131a)와 연결되어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의 역류를 방지한다.
상기 제3 체크 밸브(131c)는 제2 체크 밸브(131b)와 연결되며, 분사 노즐부(150)에 배치되어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의 역류를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증압기(130)와 분사 노즐부(15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2,3 체크 밸브(131a)(131b)(131c)는 제1 연결부(132)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 연결부(132)는 제1 케이스(132a), 제2 케이스(132c) 및 제3 케이스(132e)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케이스(132a)는 제1 체크 밸브(131a)와 제2 체크 밸브(131b)를 연결하며,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가 제2 체크 밸브(131b)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32b)를 형성한다.
즉, 상기 제1 케이스(132a)는 제1 증압기(130)의 전방 측에 배치되어 제1 체크 밸브(131a)와 제2 체크 밸브(131b) 및 제1 증압기(130)를 상호 연결하며,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가 제2 체크 밸브(131b)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제2 케이스(132c)는 제2 체크 밸브(131b)와 제3 체크 밸브(131c)를 연결하며, 제2 체크 밸브(131b)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제3 체크 밸브(131c)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32d)를 형성한다.
상기 제3 케이스(132e)는 제3 체크 밸브(131c)와 분사 노즐부(150)를 연결하며, 제3 체크 밸브(131c)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분사 노즐부(150)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32f)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2 증압기(140)와 분사 노즐부(150)에는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제2 역류 방지부(141)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역류 방지부(141)는 제1 체크 밸브(141a), 제2 체크 밸브(141b) 및 제3 체크 밸브(141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체크 밸브(141a)는 제2 증압기(14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가 분기관(120)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분기관(120)의 일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체크 밸브(141b)는 제1 케이스(142a)를 통해 제1 체크 밸브(141a)와 연결되어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의 역류를 방지한다.
상기 제3 체크 밸브(141c)는 제2 체크 밸브(141b)와 연결되며, 분사 노즐부(150)에 배치되어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의 역류를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증압기(140)와 분사 노즐부(15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2,3 체크 밸브(141a)(141b)(141c)는 제2 연결부(142)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2 연결부(142)는 제1 케이스(142a), 제2 케이스(142c) 및 제3 케이스(142e)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케이스(142a)는 제1 체크 밸브(141a)와 제2 체크 밸브(141b)를 연결하며,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가 제2 체크 밸브(141b)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42b)를 형성한다.
즉, 상기 제1 케이스(142a)는 제2 증압기(140)의 전방 측에 배치되어 제1 체크 밸브(141a)와 제2 체크 밸브(141b) 및 제2 증압기(140)를 상호 연결하며,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가 제2 체크 밸브(141b)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제2 케이스(142c)는 제2 체크 밸브(141b)와 제3 체크 밸브(141c)를 연결하며, 제2 체크 밸브(141b)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제3 체크 밸브(141c)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42d)를 형성한다.
상기 제3 케이스(142e)는 제3 체크 밸브(141c)와 분사 노즐부(150)를 연결하며, 제3 체크 밸브(141c)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분사 노즐부(150)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42f)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분사 노즐부(150)는 제1,2 증압기(130)(140)와 연결되며, 제1,2 증압기(130)(140)에서 각각 가압된 유체를 공급받아 유체를 균질화 시키는 것으로, 제1 보조 분사 노즐(151), 제2 보조 분사 노즐(152) 및 메인 분사 노즐(15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은 제1 연결부(132)의 제3 케이스(132e)에 연결되며, 제어부(170)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를 균질화 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은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를 균질화 시키는 믹싱부(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은 제2 연결부(142)의 제3 케이스(142e)에 연결되며,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를 균질화 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은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를 균질화 시키는 믹싱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 분사 노즐(153)은 일단과 타단이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과 연결되어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에서 각각 균질화된 유체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공급된 유체를 균질화 시켜 이를 외부에 토출 시키며 내부에는 별도의 믹싱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분사 노즐부(150)에는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 및 메인 분사 노즐(153)에서 균질화된 유체를 열교환 시키는 상기 열교환 유닛(16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열교환 유닛(160)은 본체(161), 냉각수 공급부(162) 및 냉각수 배출부(163)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61)는 분사 노즐부(150)의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 및 메인 분사 노즐(153)의 외측에 장착되며,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게 된다.
상기 냉각수 공급부(162)는 본체(161)의 내부에 냉각수가 공급되어 흐르도록 본체(161)의 일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냉각수 배출부(163)는 본체(161) 내부에 공급되어 흐르는 냉각수가 배출되도록 본체(161)의 타측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에어 액츄 에이터 밸브(180)는 제1 연결부(132)의 제3 케이스(132e)의 일측과 제2 연결부(142)의 제3 케이스(142e)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어, 분사 노즐부(150)의 제1 보조 분사 노즐(151), 제2 보조 분사 노즐(152) 및 메인 분사 노즐(153)의 내부에 주입된 공기를 제거하거나 분사 노즐부(150)의 제1 보조 분사 노즐(151), 제2 보조 분사 노즐(152) 및 메인 분사 노즐(153)의 내부를 세척할 때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2 증압기(130)(140)는 기 설정된 타이머 또는 PLC 제어에 의해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에 각각 교번되게 초고압의 유체를 공급하여,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을 각각 교번되게 세척하여,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의 일측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호 교번되게 작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2 증압기(130)(140)는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에 기 설정된 타이머 또는 PLC 제어에 의해 각각 교번되게 초고압의 유체를 공급하여,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을 각각 교번되게 세척하여,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의 일측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분사 노즐부(150)의 제1 보조 분사 노즐(151)과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은 제1,2 증압기(130)(140)의 작동에 따라서 상호 교변적으로 작동되어, 분사 노즐부(150)의 제1 보조 분사 노즐(151)과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의 막힘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증압기(130)가 기 설정된 타이머 또는 PLC 제어에 의해 구동하게 되면, 제2 증압기(140)의 작동이 중단되고, 제2 보조 분사 노즐(152) 측에 배치되는 제3 체크 밸브(141c)를 폐쇄하여,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에서 제2 보조 분사 노즐(152) 측으로 유체가 공급된다.
이때,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의 일측이 막힌 상태이면,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유체를 통해서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의 막힌 부분이 세척되어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의 막힌 부분이 세척되어 뚫리게 된다.
반면에, 상기 제2 증압기(140)가 기 설정된 타이머 또는 PLC 제어에 의해 구동하게 되면, 제1 증압기(130)의 작동이 중단되고,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의 제3 체크 밸브(131c)를 폐쇄하여,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에서 제1 보조 분사 노즐(151) 측으로 유체를 공급된다.
이때,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의 일측이 막힌 상태이면,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유체를 통해서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의 막힌 부분이 세척되어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의 막힌 부분이 세척되어 뚫리게 된다.
즉, 상기 분사 노즐부(150)의 제1 및 제2 보조 분사 노즐(151)(152)이 기 설정된 타이머 또는 PLC 제어에 의해서 상호 교번적으로 작동하는 제1,2 증압기(130)(140)의 작동에 따라서, 상호 교번되게 작동되므로 제1 및 제2 보조 분사 노즐(151)(152)의 막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 시스템의 사시도이고,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분사 노즐부에 열교환 유닛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 시스템(100)은 투입 펌프(110), 제1,2 증압기(130)(140), 분사 노즐부(150), 열교환 유닛(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 한다.
여기서 상기 투입 펌프(110)와, 제1,2 증압기(130)(140) 및 열교환 유닛(160)을 포함한다.
상기 투입 펌프(110)와 제1,2 증압기(130)(120)는 분기관(120)을 통해 연결되며, 투입 펌프(110)와 제1,2 증압기(130)(140)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역류 방지부(131)를 구성하는 제1,2,3 체크 밸브(131a)(131b)(131c)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역류 방지부(131)를 제1 증압기(130)에 연결하는 제1,2,3 케이스(132a)(132c)(132e)로 구성되는 제1 연결부(132)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역류 방지부(141)를 구성하는 제1,2,3 체크 밸브(141a)(141b)(141c)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 역류 방지부(141)를 제2 증압기(140)에 연결하는 제1,2,3 케이스(142a)(142c)(142e)로 구성되는 제2 연결부(142)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 유닛(160)을 구성하는 본체(161), 냉각수 공급부(162) 및 냉각수 배출부(163)과 제어부(170)를 구성하는 제1,2 감지 센서(171)(172)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분사 노즐부(150)는 제1,2 증압기(130)(140)와 연결되며, 제1,2 증압기(130)(140)에서 각각 가압된 유체를 공급받아 유체를 균질화 시키는 것으로, 제1 보조 분사 노즐(151), 제2 보조 분사 노즐(152) 및 메인 분사 노즐(15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은 제1 연결부(132)의 제3 케이스(132e)에 연결되며, 제어부(170)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를 균질화 시키는 것으로, 복수 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은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를 균질화 시키는 믹싱부(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은 제2 연결부(142)의 제3 케이스(142e)에 연결되며, 제어부(170)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를 균질화 시키는 것으로 복수 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은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를 균질화 시키는 믹싱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 분사 노즐(153)은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과 연결되는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에서 각각 균질화된 유체를 공급받아 유체를 균질화 시켜 토출 시키도록 제3 연결부(154)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3 연결부(154)는 양측에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의 일단이 결합되며,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메인 분사 노즐(153)에 공급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54b)가 형성되고, 일단에는 메인 분사 노즐(153)이 결합되는 연결 케이스(154a)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2 증압기(130)(140)는 기 설정된 타이머 또는 PLC 제어에 의해 상호 교번되게 작동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 시스템(100)의 제1,2 증압기(130)(140)는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의 일측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서 각각 교번되게 작동되어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에 각각 초고압 유체를 교번적으로 공급하여,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을 각각 교번되게 세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70)는 제1,2 증압기(130)(140)와 분사 노즐부(150) 및 제1,2 역류 방지부(131)(141)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170)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부(170)는 제1,2 증압기(130)(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의 유체를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제1,2 증압기(130)(14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제1 감지센서(171) 및 제2 감지 센서(17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감지 센서(171)는 제1 증압기(130) 측에 배치되어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의 입자에 의해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의 막힘 유무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감지 센서(172)는 제2 증압기(140) 측에 배치되어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의 입자에 의해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의 막힘 유무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제1 감지센서(171)에서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의 막힌 상태를 감지한 신호를 전달받으면, 제1 보조 분사 노즐(151) 측에 배치되는 제3 체크 밸브(131c)를 폐쇄한 후, 제1 증압기(130)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을 통해서 제1 보조 분사 노즐 (151)측으로 유체를 공급하여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의 막힌 부분을 세척하도록 제2 증압기(140)를 구동시킨다.
즉, 상기 제어부(170)는 제2 증압기(140)의 구동이 중지되고, 제1 증압기(130)의 가동을 통해 제1 보조 분사 노즐(151)로 유체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유체의 입자에 의해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이 막히게 되면, 제1 증압기(130)의 구동을 중지 시키고, 제2 증압기(140)를 가동시켜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에서 제1 보조 분사 노즐(151) 측으로 유체의 방향을 변경 시켜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유체를 통해서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의 막힌 부분을 세척하여 뚫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제2 감지센서(172)에서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의 막힌 상태를 감지한 신호를 전달받으면, 제2 보조 분사 노즐(152) 측에 배치되는 제3 체크 밸브(141c)를 폐쇄한 후, 제2 증압기(140)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을 통해서 제2 보조 분사 노즐(152) 측으로 유체를 공급하여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의 막힌 부분을 세척하도록 제1 증압기(130)를 구동시킨다.
즉, 상기 제어부(170)는 제1 증압기(130)의 구동이 중지되고, 제2 증압기(140)의 가동을 통해 제2 보조 분사 노즐(152)로 유체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유체의 입자에 의해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이 막히게 되면, 제2 증압기(140)의 구동을 중지 시키고, 제1 증압기(130)를 가동시켜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에서 제2 보조 분사 노즐(152) 측으로 유체의 방향을 변경 시켜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유체를 통해서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의 막힌 부분을 세척하여 뚫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 시스템(10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증압기(130)(140)은 기 설정된 타이머 또는 PLC 제어에 의해서 상호 교번되게 작동된다.
상기 제1 증압기(130)가 작동되며, 제2 증압기(140)의 작동이 중단되고 제1 체크 밸브(131a)가 작동하여 제1 증압기(13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가 분기관(120)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역류 방지부(131)의 제1, 제2 체크 밸브(131a)(131b)가 작동된다.
그리고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는 역류가 방지된 상태로 제1 보조 분사 노즐(151)로 초고압 유체가 공급되고, 메인 분사 노즐(153)을 통해서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의 일측은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에서 공급되는 초고압의 유체를 통해서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의 일측의 막힌 부분이 세척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의 일측으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는 제2 증압기(140) 측으로 역류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역류 방지부(141)의 제3 체크 밸브(141c)가 작동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제2 증압기(140)가 작동하게 되면, 제1 증압기(130)의 구동이 중단되고, 제1 체크 밸브(141a)가 작동하여 제2 증압기(14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가 분기관(120)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역류 방지부(141)의 제1, 제2 체크 밸브(141a)(141b)가 작동된다.
그리고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는 역류가 방지된 상태로 제2 보조 분사 노즐(152)로 초고압 유체가 공급되고, 메인 분사 노즐(153)을 통해서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의 일측은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에서 공급되는 초고압의 유체를 통해서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의 일측의 막힌 부분이 세척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의 일측으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는 제1 증압기(130) 측으로 역류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역류 방지부(131)의 제3 체크 밸브(131c)가 작동하게 된다.
한편,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170)를 통해 분사 노즐부(150)의 구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2 증압기(140)의 작동을 중지 시킨 상태에서, 제1 증압기(130) 가동 시 제1 증압기(130)를 통해 제1 보조 분사 노즐(151)로 공급되는 유체의 입자에 의해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이 막히게 되면, 제어부(170)는 제1 감지센서(171)에서 감지된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의 막힌 상태를 감지한 신호를 전달 받아, 제1 보조 분사 노즐(151) 측에 배치되는 제3 체크 밸브(131c)를 폐쇄한 후, 제1 증압기(130)의 구동을 중지 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증압기(140)를 구동 시켜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에서 제1 보조 분사 노즐(151) 측으로 유체의 방향을 변경 시켜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유체를 통해서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의 막힌 부분을 세척하여 뚫게 된다.
반면에, 상기 제1 증압기(130)의 작동을 중지 시킨 상태에서, 제2 증압기(140) 가동 시 제2 증압기(140)를 통해 제2 보조 분사 노즐(152)로 공급되는 유체의 입자에 의해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이 막히게 되면, 제어부(170)는 제2 감지센서(172)에서 감지된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의 막힌 상태를 감지한 신호를 전달 받아, 제2 보조 분사 노즐(152) 측에 배치되는 제3 체크 밸브(141c)를 폐쇄한 후, 제2 증압기(140)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 증압기(130)를 구동 시켜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에서 제2 보조 분사 노즐(152) 측으로 유체의 방향을 변경 시켜 제1 보조 분사 노즐(151)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유체를 통해서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의 막힌 부분을 세척하여 뚫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분사 노즐 시스템(100)은 분사 노즐부(150)가 유체의 입자에 의해 막힐 경우 분기관(120)을 통해 분기되어 설치되는 제1,2 증압기(130)(140)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구동 시켜 분사 노즐부(150)로 공급되는 유체의 방향을 변경시켜 유체가 분사 노즐부(150)의 막히지 않는 부분을 통과하여 유체의 압력으로 인해 분사 노즐부(150)의 막힌 부분을 세척하여 막힌 부분을 뚫리도록 하여, 분사 노즐부(150)를 세척하기 위하여 별도로 분사 노즐부(150)를 분리할 필요가 없이 손쉽게 분사 노즐부(150)를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 노즐부(150)가 막힐 때 마다 별도로 분사 노즐부(150)를 분해 및 조립이 필요가 없으며, 분사 노즐부(150)의 잦은 분해 및 조립으로 인한 연결 부위의 누수 및 파손을 방지하여, 설치 후 유지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 시스템의 사시도로써, 도 5에 도시된 분사 노즐 시스템에 비해 제3케이스(132e)와 제4케이스(142e)가 수직으로 세워져 있고, 제1 보조 분사 노즐(151)과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은 각각 두개로 적용되면서 수직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배열되며, 연결 케이스(154a)가 두개로 적용되면서 수직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배열된 상태에서 양측에 제1 보조 분사 노즐(151)과 제2 보조 분사 노즐(152)이 각각 연결되고, 메인 분사 노즐(153)이 두개로 분할되면서 수직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두개의 메인 분사 노즐(153)이 하나의 부가 분사부(190)를 통해 연결된다.
이때, 상기 부가 분사부(190)를 구성하는 분사케이스(190a)의 내부에는 상기 두개의 메인 분사 노즐(153)이 각각 연결되는 공급유로(190b)가 형성되며, 상기 분사케이스(190a)의 전측에는 부가 분사 노즐(190c)이 공급유로(190b)와 연결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즉, 상기 두개의 메인 분사 노즐(153)에 의해 토출된 유체는 하나의 공급유로(190b)를 거쳐 하나의 부가 분사 노즐(190c)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투입 펌프(110)와 제1,2 증압기(130,140)와 분사 노즐부(150), 에어 액추 에이터 밸브(180) 및 기타 구성들은 도 11과 같은 형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될 수도 있음을 밝힌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분사노즐 시스템.
110: 투입 펌프 120: 분기관
130: 제1 증압기 131: 제1 역류 방지부
131a: 제1 체크 밸브 131b: 제2 체크 밸브
131c: 제3 체크 밸브 132: 제1 연결부
132a:제1 케이스 132b:공급 유로
132c: 제2 케이스 132d: 공급 유로
132e: 제3 케이스 132f: 공급 유로
140: 제2 증압기 141:제2 역류 방지부
141a: 제1 체크 밸브 141b: 제2 체크 밸브
141c: 제3 체크 밸브 142: 제2 연결부
142a:제1 케이스 142b:공급 유로
142c: 제2 케이스 142d: 공급 유로
142e: 제3 케이스 142f: 공급 유로
150: 분사 노즐부 151: 제1 보조 분사 노즐
152: 제2 보조 분사 노즐 153: 메인 분사 노즐
154: 제3 연결부 154a: 연결 케이스
154b: 공급 유로 160: 열교환 유닛
161: 본체 162: 냉각수 공급부
163: 냉각수 배출부 170: 제어부
171: 제1 감지 센서 172: 제2 감지 센서
180: 에어 액츄에이터 190: 부가 분사부
190a : 분사케이스 190b : 공급유로
190c : 부가 분사 노즐

Claims (7)

  1. 유체를 가압하여 공급하는 투입 펌프(110);
    상기 투입 펌프(110)에서 상호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투입 펌프(110)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각각 초고압으로 가압하며, 상호 교번되게 작동되는 제1,2 증압기(130,140);
    상기 제1,2 증압기(130,140)와 연결되고, 상기 제1,2 증압기(130,140)에서 각각 가압된 초고압의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유체를 균질화 시키는 분사 노즐부(150); 및
    상기 분사 노즐부(150)의 내부에 주입된 공기를 제거하거나, 상기 분사 노즐부(150)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 노즐부(150)에 배치되는 에어 액츄 에이터 밸브(180);
    상기 투입 펌프(110)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제1,2 증압기(130,140)로 각각 공급하는 분기관(120);
    상기 제1 증압기(130)와 상기 분사 노즐부(15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가 상기 분기관(120)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를 상기 분사 노즐부(150)로 공급하되,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가 상기 제1 증압기(13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역류 방지부(131); 및
    상기 제2 증압기(140)와 상기 분사 노즐부(15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가 상기 분기관(120)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를 상기 분사 노즐부(150)로 공급하되,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가 상기 제2 증압기(14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역류 방지부(141);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역류 방지부(131)는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가 상기 분기관(120)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분기관(120)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제1 체크 밸브(131a)와, 상기 제1 체크 밸브(131a)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2 체크 밸브(131b)와, 상기 제2 체크 밸브(131b)와 연결되고 상기 분사 노즐부(150)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3 체크 밸브(131c)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역류 방지부(141)는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가 상기 분기관(120)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분기관(120)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제1 체크 밸브(141a)와, 상기 제1 체크 밸브(141a)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2 체크 밸브(141b)와, 상기 제2 체크 밸브(141b)와 연결되고 상기 분사 노즐부(150)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3 체크 밸브(141c)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증압기(130)와 상기 분사 노즐부(150)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1,2,3 체크 밸브(131a,131b,,131c)는 제1 연결부(132)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 증압기(140)와 상기 분사 노즐부(150)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1,2,3 체크 밸브(141a,141b,141c)는 제2 연결부(142)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부(132)는 상기 제1,2 체크 밸브(131a,131b) 및 제1 증압기(130)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가 상기 제2 체크 밸브(131b)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32b)를 형성하는 제1 케이스(132a)와, 상기 제2,3 체크 밸브(131b,131c)를 연결하여 상기 제2 체크 밸브(131b)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제3 체크 밸브(131c)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32d)를 형성하는 제2 케이스(132c)와, 상기 제3 체크 밸브(131c)와 상기 분사 노즐부(150)를 연결하고 상기 제3 체크 밸브(131c)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분사 노즐부(150)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32f)를 형성하는 제3 케이스(132e)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142)는 상기 제1,2 체크 밸브(141a,141b) 및 상기 제2 증압기(140)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가 상기 제2 체크 밸브(141b)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42b)를 형성하는 제1 케이스(142a)와, 상기 제2,3 체크 밸브(141b,141c)를 연결하여 상기 제2 체크 밸브(141b)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제3 체크 밸브(141c)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42d)를 형성하는 제2 케이스(142c)와, 상기 제3 체크 밸브(141c)와 상기 분사 노즐부(150)를 연결하고 상기 제3 체크 밸브(141c)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분사 노즐부(150)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42f)를 형성하는 제3 케이스(142e)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노즐부(150)는 상기 제1 연결부(132)의 제3 케이스(132e)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를 균질화 시키는 제1 보조 분사 노즐(151)과, 상기 제2 연결부(142)의 제3 케이스(142e) 측에 배치되어 연결되고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를 균질화 시키는 제2 보조 분사 노즐(152)과, 상기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에서 각각 균질화된 유체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공급된 유체를 균질화 시켜 이를 외부에 토출 시키는 메인 분사 노즐(153)을 포함하고,
    상기 제1,2 증압기(130,140)는 상기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의 일측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서 각각 교번되게 작동되어 상기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에 각각 초고압 유체를 교번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을 각각 교번되게 세척하는,
    분사노즐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유체를 가압하여 공급하는 투입 펌프(110);
    상기 투입 펌프(110)에서 상호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투입 펌프(110)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각각 초고압으로 가압하며, 상호 교번되게 작동되는 제1,2 증압기(130,140);
    상기 제1,2 증압기(130,140)와 연결되고, 상기 제1,2 증압기(130,140)에서 각각 가압된 초고압의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유체를 균질화 시키는 분사 노즐부(150); 및
    상기 분사 노즐부(150)의 내부에 주입된 공기를 제거하거나, 상기 분사 노즐부(150)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 노즐부(150)에 배치되는 에어 액츄 에이터 밸브(180);
    상기 투입 펌프(110)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제1,2 증압기(130,140)로 각각 공급하는 분기관(120);
    상기 제1 증압기(130)와 상기 분사 노즐부(15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가 상기 분기관(120)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를 상기 분사 노즐부(150)로 공급하되,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가 상기 제1 증압기(13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역류 방지부(131); 및
    상기 제2 증압기(140)와 상기 분사 노즐부(15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가 상기 분기관(120)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를 상기 분사 노즐부(150)로 공급하되,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가 상기 제2 증압기(14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역류 방지부(141);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역류 방지부(131)는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가 상기 분기관(120)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분기관(120)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제1 체크 밸브(131a)와, 상기 제1 체크 밸브(131a)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2 체크 밸브(131b)와, 상기 제2 체크 밸브(131b)와 연결되고 상기 분사 노즐부(150)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3 체크 밸브(131c)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역류 방지부(141)는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가압된 초고압 유체가 상기 분기관(120)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분기관(120)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제1 체크 밸브(141a)와, 상기 제1 체크 밸브(141a)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2 체크 밸브(141b)와, 상기 제2 체크 밸브(141b)와 연결되고 상기 분사 노즐부(150)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3 체크 밸브(141c)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증압기(130)와 상기 분사 노즐부(150)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1,2,3 체크 밸브(131a,131b,,131c)는 제1 연결부(132)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 증압기(140)와 상기 분사 노즐부(150)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1,2,3 체크 밸브(141a,141b,141c)는 제2 연결부(142)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부(132)는 상기 제1,2 체크 밸브(131a,131b) 및 제1 증압기(130)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가 상기 제2 체크 밸브(131b)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32b)를 형성하는 제1 케이스(132a)와, 상기 제2,3 체크 밸브(131b,131c)를 연결하여 상기 제2 체크 밸브(131b)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제3 체크 밸브(131c)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32d)를 형성하는 제2 케이스(132c)와, 상기 제3 체크 밸브(131c)와 상기 분사 노즐부(150)를 연결하고 상기 제3 체크 밸브(131c)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분사 노즐부(150)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32f)를 형성하는 제3 케이스(132e)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142)는 상기 제1,2 체크 밸브(141a,141b) 및 상기 제2 증압기(140)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가 상기 제2 체크 밸브(141b)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42b)를 형성하는 제1 케이스(142a)와, 상기 제2,3 체크 밸브(141b,141c)를 연결하여 상기 제2 체크 밸브(141b)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제3 체크 밸브(141c)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42d)를 형성하는 제2 케이스(142c)와, 상기 제3 체크 밸브(141c)와 상기 분사 노즐부(150)를 연결하고 상기 제3 체크 밸브(141c)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분사 노즐부(150)로 공급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42f)를 형성하는 제3 케이스(142e)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노즐부(150)는 상기 제1 연결부(132)의 제3 케이스(132e)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증압기(13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를 균질화 시키는 복수 개의 제1 보조 분사 노즐(151)과, 상기 제2 연결부(142)의 제3 케이스(142e)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증압기(140)에서 공급되는 초고압 유체를 균질화 시키는 복수 개의 제2 보조 분사 노즐(152)과, 상기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에서 각각 균질화된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유체를 균질화 시켜 토출 시키도록 제3 연결부(154)에 의해 연결되는 메인 분사 노즐(153)을 포함하고,
    상기 제1,2 증압기(130,140)는 상기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의 일측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서 각각 교번되게 작동되어 상기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에 각각 초고압 유체를 교번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을 각각 교번되게 세척하는,
    분사노즐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결부(154)는 양측에 상기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 및 상기 메인 분사 노즐(153)에 결합되어 상기 제1,2 보조 분사 노즐(151,152)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메인 분사 노즐(153)에 공급하도록 내부에 공급 유로(154b)가 형성된 연결 케이스(154a)로 이루어지는,
    분사 노즐 시스템.
KR1020170030730A 2016-11-18 2017-03-10 분사 노즐 시스템 KR101806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53878 2016-11-18
KR1020160153878 2016-11-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6451B1 true KR101806451B1 (ko) 2018-01-10

Family

ID=60998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730A KR101806451B1 (ko) 2016-11-18 2017-03-10 분사 노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4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074B1 (ko) * 2018-12-07 2019-05-22 김윤아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제작방법
KR20200106256A (ko) 2019-03-04 2020-09-14 유지문 방사상 아암의 도료 균일 분사를 위한 노즐 레귤레이팅 시스템
KR20230078881A (ko) 2021-11-26 2023-06-05 (주)일신오토클레이브 냉각 및 가열구조를 가지는 초고압 분산기 노즐
KR20230078879A (ko) 2021-11-26 2023-06-05 (주)일신오토클레이브 초고압 분산기 노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473Y1 (ko) * 2011-02-11 2011-05-09 최인수 고압력 호모게나이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473Y1 (ko) * 2011-02-11 2011-05-09 최인수 고압력 호모게나이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074B1 (ko) * 2018-12-07 2019-05-22 김윤아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제작방법
KR20200106256A (ko) 2019-03-04 2020-09-14 유지문 방사상 아암의 도료 균일 분사를 위한 노즐 레귤레이팅 시스템
KR20230078881A (ko) 2021-11-26 2023-06-05 (주)일신오토클레이브 냉각 및 가열구조를 가지는 초고압 분산기 노즐
KR20230078879A (ko) 2021-11-26 2023-06-05 (주)일신오토클레이브 초고압 분산기 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6451B1 (ko) 분사 노즐 시스템
JP5038600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EP2497641B1 (en) Ink cleaning method and device for flexographic press
JP5385468B2 (ja) 自動機における三動弁と溶剤弁とスプレーガンの洗浄・検出システム
JP4099488B2 (ja) 平板状ディスプレイ用洗浄装置
US8678237B2 (en) Micro dosing panel system
KR101073382B1 (ko) 원료의 고형화 방지 기능을 갖는 고압 균질화장치
CN107073968B (zh) 喷墨头的气泡去除方法及喷墨头的气泡去除装置
KR200453473Y1 (ko) 고압력 호모게나이저
US20090266923A1 (en) Nozzle for use with a pressure washer
JP5588582B2 (ja) 洗浄装置
JP2011117519A (ja) バルブ装置
RU250847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жекции низконапорного газа в поток жидкости
US7093972B2 (en) Tri-tilt mixing head
CN114867564B (zh) 用于清洁喷嘴施涂器的清洁装置和相应的清洁方法
JP2017035647A (ja) 微粒化装置および微粒化方法
JP6291321B2 (ja) 二流体ノズルユニット
KR101661341B1 (ko) 나노 유화 및 나노 분산을 위한 초고압 분사노즐
JP2010115586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KR101661342B1 (ko) 초고압 분사노즐의 냉각 시스템
KR101073381B1 (ko) 고압 분산기용 에어벤트 일체형 증압기
US9566555B2 (en) Self-pressurization gas-liquid mixing device used for making beverage
KR200380384Y1 (ko) 약품 혼화장치
KR102034562B1 (ko) 마이크로 버블 크리닝 시스템
KR102620720B1 (ko) 디스플레이 기판 세정용 세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